KR20040034963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963A
KR20040034963A KR1020020063625A KR20020063625A KR20040034963A KR 20040034963 A KR20040034963 A KR 20040034963A KR 1020020063625 A KR1020020063625 A KR 1020020063625A KR 20020063625 A KR20020063625 A KR 20020063625A KR 20040034963 A KR20040034963 A KR 20040034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charge
black stripe
layer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피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피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피디
Priority to KR102002006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4963A/ko
Publication of KR2004003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05Applying optical coatings or shielding coatings to the vessel of flat panel displays, e.g. applying filter layer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layers, anti-reflection coatings or anti-glare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전극과 버스전극으로 이루어진 방전유지전극의 손상을 방지하고, 방전셀 부위의 유전체 전하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데 적당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쌍의 방전유지전극이 형성된 제 1 기판과,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 및 격벽이 형성된 제 2 기판과, 이웃하는 방전유지전극쌍과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의 측단부까지 연장된 비전도성의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과, 상기 격벽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비전도성의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방전 공간에서 과다한 방전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이 방전전류를 차단하여 방전유지전극이 방전전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이 화상이 표시되는 제1기판상에서 격벽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한 부분에 형성되므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A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전유지전극의 손상을 방지하고, 유전체 전하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며 콘트라스트(Contrast)를 향상시키는데 적당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약칭함)은 액정표시장치(LCD)와 함께 차세대 평판형 표시장치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 중에서 PDP는 LCD에 비해 휘도가 높고 시야각이 넓어 옥외 광고탑 또는 벽걸이용 티브이(TV)와 같이 박형의 대형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그 응용성이 매우 넓다 하겠다.
이와 같은 PDP는 가스 방전을 이용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구동방식에 따라 대향방전을 하는 직류(DC)형 PDP와, 면방전을 하는 교류(AC)형 PDP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교류형 PDP는 직류형에 비해 저소비전력과 라이프 타임이 크다는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면방전 방식의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전면판(100)과 배면판(200)이 서로 합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100)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유지 전극(11)과 스캔 전극(13) 그리고 상기 유지 전극(11)을 포함한 전면에 형성된 유전체층(15) 및 보호막(17)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판(200)은 데이터를 라이트(Write)하기 위한 어드레스 전극(21)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21)을 포함한 배면판(200) 전면에 형성된 유전체층(23)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21) 사이의 유전체층(23) 상에 형성되어 단위셀을 구분짓는 격벽(25), 그리고 각 단위셀 내의 격벽(25) 및 유전층(23) 표면에 형성된 형광체(2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100)과 배면판(200) 사이의 방전 영역에는 네온(Ne) 또는 헬륨(He), 크세논(Xe) 등의 불활성 가스가 혼합되어 400 내지 500 Torr 정도의 압력으로 채워져 있는데, 통상,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영역에 채워지는 불활성 가스는 헬륨-크세논(He-Xe)의 혼합기체가 사용되고,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영역에 채워지는 불활성 가스는 네온-크세논(Ne-Xe)의 혼합기체가 사용된다.
상기 유지 전극(11)과 스캔 전극(13)은 각 방전셀의 광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투명전극(11a)(13a) 및 금속으로 된 버스전극(11b)(13b)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스전극(11b)(13b)은 외부에 설치된 구동 IC(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방전전압을 인가 받고, 투명전극(11a)(13a)은 상기 버스전극(11b)(13b)에 인가된 방전전압을 전달받아 인접한 투명전극(11a)(13a)간에 방전을 유도한다.
상기 투명전극(11a)(13a)은 산화인듐 또는 산화주석으로 이루어지며 버스전극(11b)(13b)은 크롬(Cr)-구리(Cu)-크롬(Cr)으로 구성된 3층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데, 통상 버스전극(11b)(13b)의 폭은 상기 투명전극(11a)(13a)의 1/3정도의 폭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3전극 면방전 방식의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캔 전극(13)과 어드레스 전극(21)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전극(13)과 어드레스 전극(21) 사이에 대향방전이 일어난다, 이 대향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 주입된 불활성 가스가 순간적으로 여기되었다가 다시 기저 상태로 천이하면서 이온들이 발생되고, 이 때 발생된 이온들 혹은 준여기 상태의 원자들 중 일부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막(17)의 표면에 충돌한다. 이러한 이온들의 충돌로 인하여 보호막(17)의 표면에는 2차적으로 전자가 방출되며, 상기 방출된 전자들은 플라즈마 상태의 가스에 충돌하여 방전을 확산시킨다.
이후, 상기 스캔 전극(13)과 어드레스 전극(21) 사이에서 대향방전이 끝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캔 전극(13)과 유지 전극(11) 위의 보호막(17)의 표면에는 각각 반대극성의 벽전하가 생성된다. 그리고 스캔 전극(13)과 유지 전극(11)에 서로 극성이 반대인 방전전압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면서 동시에 어드레스 전극(21)에 인가되던 구동전압이 차단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전극과 유지 전극 상호간의 전위로 인하여 유전체층(23)과 보호막(17) 표면의 방전영역에서 면방전이 일어난다.
이러한 대향방전과 면방전으로 인하여 방전 셀 내부에 존재하는 전자들이 방전 셀 내부의 불활성 가스에 충돌하게 되고, 그 결과, 방전 셀의 불활성 가스가 여기되면서 방전 셀 내에 147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발생된다. 이러한 자외선은 어드레스 전극과 격벽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형광체층과 충돌하여 형광체가 여기되고, 여기된 형광체가 종국에는 가시광선을 발생시켜 화면에 화상을 구현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크게 전(前)공정, 후(後)고정, 모듈 공정의 3단계로 나뉘어 진행되는데, 상기 전 공정은 전면판(100)과 배면판(200)에 여러 가지의 막을 형성하는 공정이고, 후 공정은 전면판(100)과 배면판(200)을 합착, 배기 방전 가스 주입 및 팁-오프(Tip-off), 에이징(Aging) 및 검사단계로 이루지며, 모듈 공정은 회로 실장 및 조립을 통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완성시키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후공정에서 팁-오프 단계는 배기관을 통해 배기 및 방전 가스를 주입한 후, 배기관을 잘라 내고 밀봉하는 공정이며, 에이징은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소정시간 구동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하고 그에 따른 방전 강하 효과를 얻기 위한 공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3전극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요부 레이아웃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5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배면 기판을 90°회전시킨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00)과 배면판(200)으로 구성되고, 화상을 표시하는 전면판(100)에는 복수개의 투명전극(11a)(13a)이 쌍을 이루고 배치되며, 각 투명전극(11a)(13a)상의 일측 단부에는 버스전극(11b)(13b)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전극(11b)(13b)을 포함한 전면에는 방전 전류를 제한하는 투명한 유전체층(15)이 형성되며, 인접 셀 사이에는 콘트라스트(Contrast) 향상을 위해 블랙스트라이프층(Black Stripe)(19)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100)과 대향되게 배치된 배면판(200)에는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어드레스 전극(21)이 상기 투명전극(11a)(13a)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어드레스 전극(21)을 포함한 전면에는 유전체층(23)이 형성되며, 상기 어드레스 전극(21) 사이의 상기 유전체층(23) 상에는 단위셀을 구분짓는 격벽(25)이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셀 내의 격벽(25) 및 유전체층(23) 표면에는 형광체(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00)과 배면판(200) 사이에는 불활성 가스가 봉입되어 방전 영역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한 쌍의 투명전극(11a)(13a) 상호간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면 유전체층(23)과 보호막(17) 표면의 방전영역에서 면방전이 일어나 자외선이 발생되고, 상기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가 여기되며, 여기된 형광체에 의해 칼라 표시가 이루어진다.
즉, 방전셀 내부에 존재하는 전자들이 구동전압에 의해 음극(-)으로 가속되면서 상기 방전셀에 400~500 Torr 정도의 압력으로 채워진 불활성 혼합가스 예를들면, 헬륨(He)을 주성분으로 하여 크세논(Xe), 네온(Ne) 가스 등을 첨가한 페닝(Penning) 혼합 가스와 충돌하여 불활성 가스가 여기되면서 147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발생된다. 이러한 자외선이 배면판(200)과 격벽(25)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형광체층(27)과 충돌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발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투명전극 양단에 방전 전압이 공급되면 방전 영역에서는 방전이 일어나며 투명전극 상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버스전극은 상기 투명전극의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를 방지하게 되는데, 이 때 방전 영역에서 과다하게 방전 전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투명전극 및 버스전극의 손상의 손상을 초래하고, 상기 투명전극 및 버스전극이 손상될 경우 해당 셀에서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미방전 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명전극과 블랙스트라이프층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가"부분)으로 방전시 발생된 가시광선이 누설되어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투명전극과 버스전극으로 이루어진 방전유지전극의 손상을 방지한 고신뢰성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전 셀 부위의 유전체층의 전하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데 적당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3전극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3전극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도 3a 내지 3d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아웃도
도 5는 도 4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아웃도
도 7은 도 6의 Ⅱ-Ⅱ'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Ⅱ-Ⅱ'선에 따른 실제 단면도
도 9는 도 6의 Ⅲ-Ⅲ'선에 따른 실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도 11a 내지 1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공정 레이아웃도
도 12a 내지 12e는 도 11a 내지 11e의 Ⅳ-Ⅳ'선에 따른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제 1, 제 2 기판 61 : 방전유지전극
61a : 투명전극 61b : 버스전극
63a, 63b : 제 1,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 65 : 어드레스 전극
67 : 격벽 69a, 69b : 하, 상부 유전체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쌍의 방전유지전극이 형성된 제 1 기판과,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 및 격벽이 형성된 제 2 기판과, 이웃하는 방전유지전극쌍과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의 측단부까지 연장된 비전도성의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과, 상기 격벽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비전도성의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은 제 1 기판과, 어드레스 전극 및 격벽이 형성된 제 2 기판이 합착되고 그 사이에 방전 가스가 봉입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상에 일방향으로 복수쌍의 방전유지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이웃하는 방전유지전극쌍과의 사이에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의 측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비전도성의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포함한 제 1 기판 전면에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격벽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유전체층상에 비전도성의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포함한 전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은 비전도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격벽은 백색 페이스트층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백색 페이스트층과 블랙 페이스트층이 적층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 상에 복수의 방전유지전극쌍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방전유지전극쌍의 사이에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하되, 상기 블랙스트라이프층이 양쪽의 방전유지전극과 밀착되도록 충분한 폭으로 형성한다.
상기 비전도성의 블랙스트라이프층을 양쪽의 방전유지전극과 밀착되도록 형성할 경우, 방전시 과다한 방전 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비전도성의 블랙스트라이프층이 상기 방전 전류가 방전유지전극쪽으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방전유지전극이 과다한 방전 전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 상의 소정 위치,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기판 상의 격벽 형성 위치에 상응하여 비전도성의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블랙스트라이프층은 방전유지전극을 포함한 전면 기판 상에 형성된 유전체층의 상부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유전체층이 2중의 적층 구조일 경우에는 두 유전체층의 경계면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유전체층의 상부 또는 두 유전체층의 경계면에 비전도성의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하면 유전체층의 전하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블랙스트라이프층이 배면 기판에 형성된 격벽 형성 위치에 상응하여 전면 기판에 형성되므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격벽을 백색과 블랙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요부레이아웃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이를 위해 배면 기판을 90°회전시킨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Ⅱ-Ⅱ'선에 따른 실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Ⅲ-Ⅲ'선에 따른 실제 단면도이다.
먼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이하, "제 1 기판"이라 함)(1)상에서 일방향을 형성된 복수쌍의 방전유지전극(61)들과, 방전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의 측단부까지 연장된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63a)과, 배면 기판(이하, "제 2 기판"이라 함)상에 형성되며 상기 방전유지전극(6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65)들과, 상기 제 2 기판(1a)상에 형성된 격벽(67)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기판(1)상에 형성되는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쌍의 방전유지전극(61)은 2개의 투명전극(61a)과, 각 투명전극(61a)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버스전극(61b)으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전극(61a)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인 ITO(Indium Tin Oxide)가 바람직하고, 버스전극(61b)은 Cr/Cu/Cr이 적층된 금속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a)(63b)은 비전도성 물질이고, 상기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유지전극(61)을 포함한 제 1 기판(1)상에 형성된 유전체층(69)의 상부에 형성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층이 하부유전체층(69a)과 상부유전체층(69b)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상기 하부유전체층(69a)과 상부유전체층(69b)과의 경계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63a)을 방전셀의 경계부위에 형성하되,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61)의 측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방전유지전극(61)과 밀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방전시에 발생된 가시광선이 제 1 기판(1)쪽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을 제 1 기판(1)상의 유전체층(69)의 상부 또는 하부유전체층(69a)과 상부유전체층(69b)의 경계면에서 형성하되, 제 2 기판(1a)상에 형성된 격벽(67)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격벽(67)의 구조를 백색층과 블랙층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할 필요가 없이 백색층만을 형성하여도 상기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이 셀 간 경계를 구분짓는 역할을 하므로 공정이 간소화될 뿐만 아니라, 화상이 표현되는 제 1 기판(1)에 셀 간의 경계가 구분되므로 그 만큼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참고로, 도 8은 도 6의 Ⅱ-Ⅱ'선에 따른 실제 단면이므로 어드레스 전극(65)은 도시되는 반면에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는 도시되지 않고, 도 9는 Ⅲ-Ⅲ'선에 따른 단면이므로 어드레스 전극은 도시되지 않으나,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은 도시됨을 알 수 있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66"은 유전체층을 지시하고, "71"은 형광체층을 그리고 "73"은 보호층을 지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내지 11e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따른 레이아웃 공정도이고, 도 12a 내지 12e는 도 11a 내지 11e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1a 및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셀 영역으로 정의된 제 1 기판(1)상에 투명전극(61a)을 사진 식각(Photo etching) 기술 또는 리프트 오프(Lift off)법 등 통상의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일 예로, 사진 식각 기술을 이용할 경우, 상기 제 1 기판(1) 상에 스퍼터링을 통해 투명한 도전성 물질인 ITO(Indium Tin Oxide)층을 증착한 후, ITO층상에 감광성 물질인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도포한 다음, 노광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그 하층의 ITO층을 식각하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패턴의 투명전극(61a)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1b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61a)상에 사진 식각 기술 또는 UV 페이스트법을 이용하여 버스전극(61b)을 형성한다. 일 예로 UV 페이스트(Paste)법을 이용할 경우, 상기 투명전극(61a)을 포함한 제 1 기판(1)상에 스크린 마스크(Screen Mask)(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 후, UV 페이스트를 스퀴저(Squeezer)를 이용하여 제 1 기판(1)상에 인쇄한 후, 통상의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투명전극(61a) 상부의 일측에 버스전극(61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투명전극(61a)은 산화인듐 또는 산화주석으로 구성되고, 버스전극(61b)은 크롬(Cr)-구리(Cu)-크롬(Cr)으로 구성된 3층의 적층막 또는 은(Ag)으로 구성되며, 통상 버스전극(61b)의 폭은 투명전극(61a)에 비해 1/3정도의 폭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1c 및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1)의 셀 간 경계부위에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61)의 측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비전도성의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63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63a)은 방전유지전극을 방전전류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투명전극 양단에 방전전압이 공급되면 방전 공간에서는 방전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방전전류가 과다하게 발생할 경우 방전유지전극이 상기 과다한 방전전류에 의해 손상될 수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비전도성의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63a)을 셀 간의 경계부위에 이웃하는 방전유지전극(61)의 측단부까지 밀착 형성함으로써 과다한 방전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63a)에 의해 차단되어 방전유지전극을 방전전류로부터 보호할 수가 있다.
이어, 도 11d 및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61a)과 버스전극(61b)으로 구성된 방전유지전극(61)이 형성된 제 1 기판(1)상에 하부유전체층(69a)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유전체층(69a)은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키고 유전율을 내리기 위해 전기전도를 일으키는 글라스(Glass) 성분 중 Na2O, CaO, K2O, Li2O 등과 같은 알카리 이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하부유전체층(69a)은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한 페이스트 인쇄 및 건조, 소성 단계로 이루어지는 인쇄법이나 드라이 필름(Dry film)을 이용한 D/F법 등의 공정을 이용하며, 일 예로,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한 인쇄법으로 하부유전체층(69a)을 형성할 경우, 스퀴저(Squeezer)가 스크린 마스크(ScreenMask)의 상부를 지나면서 페이스트(Paste)를 스크린 메쉬(Screen Mesh)를 통해 유입시킨 다음 건조 및 소성 단계를 거치면 소정 두께의 하부유전체층(69a)이 패터닝된다. 이러한 하부유전체층(69a)의 유전율(??)은 5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1d의 레이아웃도에서는 상기 하부유전체층(69a)이 투명한 관계로 도시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도 12d의 단면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방전유지전극(61) 및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63a)을 포함한 제 1 기판(1)상에 하부유전체층(69a)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후, 도 11e 및 도 1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유전체층(69a)상에 상기 방전유지전극(6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을 패터닝한 후, 상기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을 포함한 전면에 상부유전체층(69b)과 보호층(73)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때, 하부유전체층(69a)과 상부유전체층(69b)의 경계면에 이들과는 유전율이 다른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을 형성함으로써, 방전셀 부위의 유전체층의 전하량을 제어할 수가 있음은 물론, 상기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을 제 2 기판(1a) 상의 격벽(67)과 평행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격벽(67)을 백색과 블랙의 2층 구조로 형성하지 않아도 상기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에 의해 셀 간 경계가 구분되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을 하부유전체층(69a)과 상부유전체층(69b)의 경계면에 형성하였으나, 단층의 유전체층(69)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유전체층(69)과 보호층(73)의 경계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1e의 레이아웃도에서는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를 포함한 제 1 기판(1) 전면에 상부유전체층(69b)와 보호층(73)이 형성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도 1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63b)을 포함한 전면에 상부유전체층(69b)와 보호층(73)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 1 기판(1)상에 복수의 패턴들을 형성한 후, 어드레스 전극 및 격벽이 형성된 제 2 기판(1a)과 씨일재를 이용하여 합착하고, 배기 후 방전 가스를 주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가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방전셀의 경계부위에 인접한 방전유지전극과 밀착되도록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함으로써 방전시 방전전류가 과다하게 발생하더라도 상기 블랙스트라이프층이 방전유지전극쪽으로 방전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방전유지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둘째, 방전시 발생된 가시광선이 방전셀의 경계부위로 누설될 염려가 없으므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셋째, 유전체층의 상부 또는 하부유전체층과 상부유전체층의 경계면에 이들과 유전율이 다른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함으로써 유전체의 전하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배면 기판의 격벽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여 전면 기판에 형성함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상기 격벽을 백색과 블랙의 2층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가 있다.

Claims (5)

  1. 복수쌍의 방전유지전극이 형성된 제 1 기판과;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 및 격벽이 형성된 제 2 기판과;
    이웃하는 방전유지전극쌍과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의 측단부까지 연장된 비전도성의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과;
    상기 격벽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비전도성의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백색의 글라스 페이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복수의 패턴이 형성된 제 1 기판과, 어드레스 전극 및 격벽이 형성된 제 2 기판이 상호 합착되고 그 사이에 방전 가스가 봉입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상에 형성된 복수쌍의 방전유지전극과;
    이웃하는 방전유지전극쌍과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의 측단부까지 연장된 비전도성의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과;
    상기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포함한 제 1 기판 전면에 적층된 제 1, 제 2유전체층 및 보호층과;
    상기 제 2 기판의 격벽 형성 위치에 상당하는 상기 제 1 유전체층과 제 2 유전체층의 경계면 또는 상기 제 2 유전체층과 보호층의 경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비전도성의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백색 글라스 페이스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백색 그라스 페이스트 상부에 블랙 글라스 페이스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기판과, 어드레스 전극 및 격벽이 형성된 제 2 기판이 합착되고 그 사이에 방전 가스가 봉입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상에 일방향으로 복수쌍의 방전유지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이웃하는 방전유지전극쌍과의 사이에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의 측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비전도성의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포함한 제 1 기판 전면에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격벽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유전체층상에 비전도성의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블랙스트라이프층을 포함한 전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KR1020020063625A 2002-10-17 2002-10-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4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25A KR20040034963A (ko) 2002-10-17 2002-10-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25A KR20040034963A (ko) 2002-10-17 2002-10-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963A true KR20040034963A (ko) 2004-04-29

Family

ID=3733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625A KR20040034963A (ko) 2002-10-17 2002-10-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49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788B1 (ko) * 2005-06-25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복수의 층들의 전극 라인들이 형성된 교류형 방전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788B1 (ko) * 2005-06-25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복수의 층들의 전극 라인들이 형성된 교류형 방전디스플레이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906B1 (ko) 플로팅 전극을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2923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349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5901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335592B1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specific electrode structures
KR1006810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318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전극 구조
JP200309206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3669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080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010241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39032A (ko) 플라즈마 표시패널의 전면 기판 제조방법
KR1008448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유지전극쌍 제조방법
KR1003644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5264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6275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350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273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351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52641A (ko) 플로팅전극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0000439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2000927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2404A (ko) 광 손실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0005930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