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729A -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 Google Patents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729A
KR20040032729A KR1020030020619A KR20030020619A KR20040032729A KR 20040032729 A KR20040032729 A KR 20040032729A KR 1020030020619 A KR1020030020619 A KR 1020030020619A KR 20030020619 A KR20030020619 A KR 20030020619A KR 20040032729 A KR20040032729 A KR 20040032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natal
control device
sound
voic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2485B1 (ko
Inventor
장병화
Original Assignee
장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화 filed Critical 장병화
Publication of KR2004003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43Pregnancy and labour monitoring, e.g. for labour onset detection
    • A61B5/4362Assessing foetal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1Foetal or obstetr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of foet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61B5/741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using synthesised spee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75Special features of memory means, e.g. removable memory c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Card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아(胎兒)와 산모가 상호간에 정보교환을 통해 태아의 안락한 양육환경을 만들어 주어 태아의 정서적인 인격형성과 지능발달을 조기에 실현이 가능한 태교 및 원격진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산모 및 태아의 음성을 감지하면 음성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음성감지부와, 상기 산모의 복부에 진동음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로 이루어진 태교 밴드(BAND)와; 상기 태교밴드의 음성감지부로부터 음성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바이오사운드를 전송받으면 상기 음원출력부로 출력하는 메인제어장치; 및 상기 메인제어장치로부터 음성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그 음성감지신호의 패턴에 해당하는 바이오사운드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아에게 자연의 소리와 정서적인 음악을 들려주며 산모와 태아간의 대화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바이오 사운드 기술을 탑재하여 태아의 IQ와 EQ를 발달시켜 온화한 인격형성과 지능을 발달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산모의 체온 및 태아의 심박동 등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실시간 또는 정해진 시간에 원격지에서 전송받고, 소정의 원격 진료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를 분석·진단할 수 있어 산모 및 태아의 건강상태를 시간·공간에 제약받지 않고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ANTENATAL TRAINING AND REMOTE MEDICAL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태아(胎兒)와 산모가 상호간에 정보교환을 통해 태아의 안락한 양육환경을 만들어 주어 태아의 정서적인 인격형성과 지능발달을 조기에 실현 가능하도록 하고, 산모 및 태아의 건강상태를 원격지에서 진단할 수 있도록 한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산모가 임신중에 태아를 위해 클래식(태교음악)과 같은 음악을 듣거나 좋은 소리만 듣고자 노력하며 산모가 좋은 것만을 생각하고자 하는 것만으로 모든 것이 산모가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태교법으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은 사회적인 환경요인으로 모유 대신 우유를 섭취함으로서 성격이 난폭해지고 개인주의적이고 이기주의적인 교육환경으로 사회가 극단화되어 가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현대 사회는 너무 복잡하여 사건 및 사고가 매우 많고, 또한 통신, 인터넷, 매스컴을 통해 너무나도 사회의 어두운 면을 쉽게 접하게 되어 태아 및 산모의 정신건강을 해칠 우려가 매우 높다.
즉, 상기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또는 저장된 자료로 사전에 알 수 있다면 산모 및 태아의 위급한 상황 또는 질병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산모와 태아에 대한 정보 획득이 정확하거나 빠르게 제공받을 수 없어 경우에 따라서는 산모 및 태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아에게 자연의 소리와 정서적인 음악을 들려주며 산모와 태아간의 대화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바이오 사운드 기술을 탑재하여 태아의 IQ와 EQ를 발달시켜 온화한 인격형성과 지능을 발달시키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교장치를 통해 산모와 태아가 서로 대화가 가능하도록 양방향 대화시스템으로 개발되었으며 가청주파수를 발생시켜 산모의 복부에 전달하여 산모와 태아가 마주보며 대화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하였으며, 특히 태아의 소리도 산모가 들을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므로 태아의 움직임이나 반응등의 패턴을 산모가 익혀 이에 적합한 대화를 직접 할 수 있도록 바이오 사운드 기술을 접목한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교에 적합하도록 특수 제작된 음향을 저장하고 작동시간을 설정하여 필요한 음악이나 메시지를 재생하거나 이러한 재생을 반복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한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신 개월수에 따른 태아에게 들려줄 수 있는 음향을 단계별로 체계적이며 다양화시켜 음향 패키지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다운로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아 및 산모의 반응데이터 심박동수, 체온변화를 별도로 저장하고 이를 의료용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아 및 산모의 반응데이터 심박동수, 체온변화 데이터 등을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제공받고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한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스템 회로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주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제어흐름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부가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제어흐름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를 통해 원격진료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제어흐름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태교밴드를 산모가 착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태교밴드 12 : 메인제어장치 14 : 원격제어장치
16 : 외부기기 18 : 원격진료부 18b: 진료단말기
20 : 음성감지부 22 : 음원출력부 24 : 체온감지부
26 : 맥박감지부 30 : 제1A/D변환부 32 : 메인제정부
34 : 제1D/A변환부 36 : 제1증폭부 38 : 송수신전환부
40 : 제2A/D변환부 42 : 제2D/A변환부 44 : 제2증폭부
46 : 전원공급부 48 : 스위치부 50 : 메모리부
52 : 응답콘트롤러부 54 : 바이오사운드생성부 56 : 원격제어부
58 : 디스플레이부 60 :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모 및 태아의 음성을 감지하면 음성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음성감지부와, 상기 산모의 복부에 진동음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로 이루어진 태교 밴드(BAND)와; 상기 태교밴드의 음성감지부로부터 음성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 부터 바이오사운드를전송받으면 상기 음원출력부로 출력하는 메인제어장치; 및 상기 메인제어장치로부터 음성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그 음성감지신호의 패턴에 해당하는 바이오사운드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스템 회로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주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제어흐름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부가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제어흐름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를 통해 원격진료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제어흐름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태교밴드를 산모가 착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및 도6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는 산모의 복부(腹部)(1)에 착용하도록 하여 산모 및 태아(3)의 음성을 감지하고 산모의 체온 및 태아의 맥박을 감지하고 태아에게 진동음을 출력시켜주는 태교밴드(10)와, 그 태교밴드(10)로부터 획득되는 음성감지신호와 체온 및 맥박을 증폭하는 메인제어장치(12)와, 그 메인제어장치(12)로부터 음성감지신호와 체온 및 맥박을 원격으로 전송받고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고 산모나 의사 등이 확인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의료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제어장치(14) 및, 인터넷망이나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체온 및 맥박데이터를 전송받고 그 데이터 분석에 따라 산모와 태아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원격진료부(18)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원격제어장치(14)를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16)에 연결하여 산모의 체온이나 태아의 맥박 등을 전송하거나, 업데이트(UPDATE)된 자료를 패키지 형태로 교체하거나 다운로딩(DOWNLOADING)받을 수 있도록 하여, 산모와 태아로부터 획득한 감지데이터를 의료용 자료로도 활용가능하다.
이와같은 구성에 따라 태교밴드(10)로부터 음성감지신호가 메인제어장치(12)로 전송되며, 메인제어장치(12)는 그 음성감지신호를 원격제어장치(14)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원격제어장치(14)는 그 음성감지신호의 응답 패턴에 해당하는 바이오사운드(bio sound)를 생성하고 이를 메인제어장치(12)로 다시 전송하면, 메인제어장치(12)는 이를 음원출력부로 송출하게 되어 그 진동을 산모의 복부에 가해주게 되어 그 진동이 뱃속의 태아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하, 도2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태교밴드(10)는 산모의 복부(1)에 착용하도록 복대(腹帶)(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산모 및 태아(3)의 음성을 감지하면 음성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음성감지부(20)와, 산모의 복부에 진동음을 출력하여 태아가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원출력부(22)와, 산모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감지부(24)와, 태아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감지부(26)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음성감지부(20)는 산모와 태아의 숨소리와 음성 추출이 가능한 픽업(PICK-UP)용 센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음원출력부(22)는 가청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로 구성되어 자연과 가까운 소리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태아의 심음(心音)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태교밴드(10)는 산모와 태아의 체온, 맥박, 숨소리, 심음, 및 음성 등을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여 정확한 임상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태교밴드(10)는 그 내부에 음원출력부(22)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음을 산모 복부(1)에 전달할 수 있도록 진동타입의 스피커(도면 미도시) 또는 일반 스피커(도면 미도시)가 장착되며, 상기 스피커는 산모 복부(1) 이외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구리·은 과 같은 흡음부재 또는 합금형태의 흡음부재로 둘러 쌓여 있거나, 태교밴드(10)가 하나 이상의 섬유층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그 섬유층의 공간을 이용하여 흡음효과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태교밴드(10)는 후술하는 음성감지부(20), 음원출력부(22), 체온감지부(24), 맥박감지부(26) 및, 메인제어장치(12) 등의 전자부품소자가 태교밴드 내부에 구비된 수납공간(도면 미도시)에 수납과 이탈이 가능하도록 그 수납공간이 형성된 태교밴드 일측을 지퍼형식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태교밴드(10)의 후면부 즉 산모 복부와 밀착되는 부위는 전자파가 인체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섬유재질이 더 제공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메인제어장치(12)는 태교밴드(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바이오사운드를 출력시켜 주며, 원격제어장치(14)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이와같은 메인제어장치(12)는 태교밴드(10)의 음성감지부(20)로부터 음성감지신호와 체온감지부(24)로부터의 체온 및 맥박감지부(26)로부터의 맥박 즉, 아날로그신호인 이와같은 음성감지신호와 맥박 및 체온 등의 감지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제1A/D변환부(30)와, 그 제1A/D변환부(3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고 내부연산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제어부(32)와, 그 메인제어부(32)로부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감지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D/A변환부(34)와, 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감지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14)로 전송하기 위해 증폭하는 제1증폭부(36)와, 태교밴드(10)의 음성감지부(20)로부터 음성감지신호가 메인제어부(32)로 입력되면 원격 제어장치(14)로 데이터를 송신모드로 전환시키고 태교밴드(10)의 음성감지부(20)로부터 음성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원격제어장치(14)로부터 데이터 수신모드로 전환되는 송수신전환부(38)와, 원격제어장치(14)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디지틸신호로 변환하여 메인제어부(32)로 송출하는 제2A/D변환부(40)와, 메인제어부(32)로부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바이오사운드를 입력받으면 이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제2D/A변환부(42)와, 그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음원출력부(22)로 출력하는 제2증폭부(44)와, 메인제어장치(12)의 각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6)와, 그 전원공급부(46)의 전원이 메인제어장치(12)내로 투입되도록 온/오프하는 스위치부(48)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46)는 건전지 등과 같이 1회용으로 사용하고 폐기되는 휴대용 1차전지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외부 가정용 전원 등을 공급받고 이를 충전장치 등을 통해 재충전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충전지와 같은 2차전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태교밴드(10)의 각부 구성은 상술한 메인제어장치(12)의 신호 입출력에 직접 관계된 것이다. 따라서, 메인제어장치(12)와 태교밴드(10)를 일체로 형성하여 산모의 복부(1)에 착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원격제어장치(14)는 메인제어장치(12)로부터 음성감지신호와 맥박, 체온 등의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그 음성감지신호의 패턴에 해당하는 바이오사운드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제어장치(12)로 전송하고, 이와같이 전송받은 데이터를 메모리부(50)에 저장하고 의료용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16)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같은 원격제어장치(14)는 패턴별 음향데이터와, 클래식과 같은 음악은 물론 파도소리와 새소리 같은 자연음과 명상음 등의 음향데이터를 패턴별로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메인제어장치(12)로부터 음성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그 음성감지신호의 신호패턴을 비교하여 메모리부(50)로부터 알맞은 음향데이터를 추출하는 응답콘트롤러부(52)와, 그 추출된 음향데이터에 따른 바이오사운드를 생성하는 바이오사운드 생성부(54)와, 그 바이오사운드를 메인제어장치(12)로 전송하는 것을제어하고, 맥박 및 체온 데이터를 내부 연산하여 상술한 메모리부(50)에 저장하는 각종 제어연산을 하는 원격제어부(56)와, 산모 자신이 소정 형식의 음악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재생시키는 MP3부(57), 그와 같은 원격제어부(56)로부터 연산된 맥박 및 체온 데이터를 산모나 의사 등이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8)와,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거나 메인제어장치(12)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16)로 전송하거나,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60)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모리부(50)에는 태아에게 들려주기 위한 음악 등의 음향데이터는 메모리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태아가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의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교체가 자유로운 메모리카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모리부(50)에는 상기 음악소리나 자연음, 그리고 심신을 편안하게 하는 소정 음파를 가지는 명상음 등의 음향데이터가 독립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일정 규칙에 따라 조합되어, 단계적으로 음향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조합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14)는 메인제어장치(12)로부터 전송받은 맥박, 체온 등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원격전송할 수 있도록 CDMA, PDA, PCS, FM ,RS232C, 이더넷 방식 등과 같은 소정 전송방식을 갖는 무선통신부(17)가 더 구성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14)로부터 맥박 및 체온 등의 데이터를 무선통신부(17)를 통해 소정 거리 이탈된 원격지(예컨대, 병원 등)에서 진단할 수 있는 원격진료부(18)가 더 구비되며, 원격진료부(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18a)내에 구비되어 전송받은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진료단말기(18b) 및, 선택적으로 산모 및 태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8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진료단말기(18b)는 무선통신부(17)와 데이터 송수신시에 동일한 전송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태교밴드(10)에서 감지한 산모의 체온데이터나 태아의 맥박데이터는 원격제어장치(14)의 메모리부(50) 또는 원격진료부(18)의 데이터저장부 (18c) 또는 무선사업자(도 1)에 구비되는 별도의 저장매체에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914)의 메모리부(50)에는 월(月)별로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원격진료부(18)의 데이터저장부(18c)에는 산모 별로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14)에서 원격진료부(18)를 액세스하거나, 원격진료부(18)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14)에서 액세스 하여 데이터를 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2 및 도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태교장치의 주요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메인제어장치(12)의 스위치부(48)를 작동시켜 온(ON)되면, 전원 공급부(46)의 전원이 메인제어부(32) 등의 메인제어장치(32)의 전반에 걸친 회로 구동을 위해 전원이 투입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산모의 복부(1)에 부착되는 태교밴드(10)의 음성감지부(20)는 태아 및 산모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감지신호를 출력한다(S100).
상기 음성감지신호는 아날로그신호이므로 이를 제1A/D변환부(3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메인제어부(32)에 입력된다. 메인제어부(32)에서는 그에 따라 송수신전환부(38)의 송신라인을 통해 원격제어장치(14)로 음성감지신호를 원격전송할 수 있도록 송수신전환부(38)의 내부 스위치(미도시됨)를 절환하여 송신모드로 절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32)에서는 이와같은 음성감지신호를 제1D/A변환부(34)를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제1증폭부(36)를 통해 음성감지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이와같이 증폭된 음성감지신호는 송신모드(TX_MODE)로 절환된 상태인 송수신전환부(38)의 전송라인을 통해 원격제어장치(14)에 음성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102).
상기 원격제어장치(14)에서는 이와같이 음성감지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는 원격제어부(14)에 입력된다.
이와같이 수신된 음성감지신호에 따라 원격제어부(14)는 응답콘트롤러부(5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동작하게 된다(S104).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일단 수신되는 음성감지신호의 패턴별의 음향데이터는 메모리부(50)에 기저장되어 있으므로, 응답콘트롤러부(52)는 그 음향데이터를 바이오사운드 생성부(54)에 출력하여 그 음향데이터로부터 음원을 추출하여 바이오사운드를 생성하게 된다(S106).
이와 같이 원격제어장치(14)에서 생성된 바이오사운드는 메인제어장치(12)의 메인제어부(32)가 음성감지부(2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이 없는, 즉송수신전환부(38)가 수신모드(RX_MODE)로 동작시에 메인제어장치(12)로 송신하게 된다(S108에서 예). 즉, 송수신전환부(38)가 송신모드로서 메인제어장치(12)에서 계속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바이오사운드의 전송은 그 시간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S109).
상기 수신모드로 절환된 경우 원격제어장치(14)로부터 수신된 바이오사운드는 아날로그신호이므로 이를 제2A/D변환부(40)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메인제어부(32)에 입력된다. 메인제어부(32)에서는 이와같은 바이오사운드를 제2D/A변환부(42)를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제2증폭부(44)를 통해 증폭하게 된다.
그런 다음 태교밴드(10)의 음원출력부(22)의 진동소자를 통해 진동(振動)음으로 변환되어 산모의 복부에 가해주게 되어 태아가 이와같은 진동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S110).
한편, 도2 및 도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의 부가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산모와 태아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음성감지부(20) 이외에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체온감지부(24)와 맥박감지부(26)가 구비된 태교밴드(10)에 의해 산모로부터 체온과 태아의 맥박을 감지하게 된다(S120,S122).
이와같이 감지된 체온과 맥박 등의 감지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가 대부분이므로, 이들은 제1A/D변환부(30)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메인제어부(32)에 입력되고, 그 메인제어부(32)로부터 출력되는 감지데이터는 제1D/A변환부(34)를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제1증폭부(36)를 통해 증폭되어 송수신전환부(38)의송신라인을 통해 원격제어장치(14)로 전송된다(S124).
그러면, 메인제어장치(12)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은 원격제어장치(14)의 원격제어부(56)는 메모리부(50)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누적된 맥박수와 체온변화 데이터를 메모리부(50)에 기저장하고, 이와같은 데이터와 입력되는 감지데이터를 비교하여 의료용 데이터로 사용시 더욱 정확한 임상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S128).
즉, 이와같이 메모리부(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산모나 산모를 돌보는 보호자 및 의사 등이 확인 가능하도록 엘씨디(LCD)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58)에 출력되어 평균 맥박수와 체온 등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감지데이터는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16)의 유에스비포트(USB PORT) 등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부(60)를 통해 외부기기(16)로 전송하여 누적자료로 활용하게 된다(S130, S132).
한편, 본 발명의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에 따르면 산모 및 태아의 건강상태를 원격지에서 진단할 수 있는 바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교밴드(10)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맥박수, 체온 데이터를 메인제어장치(12)를 통해 원격제어장치(14)가 전송받은 상태에서(S200), 원격진료를 하고자 하는 경우 원격제어부(56)는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부(17)를 통해 원격진료부(18)로 전송한다(S200).
이때, 원격진료를 할때에는 원격제어장치(14)에 미도시된 별도의 조작 버튼이 구비되어야 하며, 원격진료부(18)와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격진료를 하지 않는 경우, 도 4에서 설명한 부가적인 과정만을 실행하거나, 진료를 미실시한다(S220).
계속해서, 상기 원격진료부(18)가 인터넷망이나 무선통신망을 통해 감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진료단말기(18b)에 감지 데이터를 표시하게 되면, 담당 주치의가 이를 근거로 분석하게 되며, 선택적으로 최소한 한번 이상 원격진료를 받은 산모인 경우 데이터 저장부(18c) 또는 무선사업자에 제공된 별도 저장매체(도면 미도시)에 저장된 데이터나 원격제어장치(14)의 메모리부(50)에 저장된 산모 및 태아에 대한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비교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진단하게 된다(S206).
상기 진단 완료된 데이터는 데이터저장부(18c)에 선택적으로 저장되며(S208),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메인제어장치(12)로 전송하여 산모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10, S21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태아에게 자연의 소리와 정서적인 음악을 들려주며 산모와 태아간의 대화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바이오 사운드 기술을 탑재하여 태아의 IQ와 EQ를 발달시켜 온화한 인격형성과 지능을 발달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태교에 적합하도록 특수 제작된 음향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작동시간을 설정하여 필요한 음악이나 메시지를 재생하거나 이러한 재생을 반복하여 태교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를 교체가 용이한 메모리카드로 형성함으로써, 임신기간과 태아의 성장속도를 반영한 다양한 음향을 태아에게 들려줄 수 있다.
또한, 태아 및 산모의 반응데이터 맥박수, 체온 변화를 별도로 저장하고 이를 외부기기 등에 전송하여 의료용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며, 인터넷망이나 무선통신망을 통해 병원 등의 진료단말기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담당 주치의에 의한 데이터 분석 및 진단이 가능하여 사전에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교밴드는 소정 부위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체 제공되는 메인제어장치 및 각종 전자소자가 구비된 전자유니트부를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지퍼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태교밴드를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산모 및 태아의 음성을 감지하면 음성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음성감지부와, 상기 산모의 복부에 진동음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로 이루어진 태교 밴드(BAND);
    상기 태교밴드의 음성감지부로부터 음성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 부터 바이오사운드를 전송받으면 상기 음원출력부로 출력하는 메인제어장치; 및
    상기 메인제어장치로부터 음성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그 음성감지신호의 패턴에 해당하는 바이오사운드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교밴드는 산모의 복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교밴드는 상기 산모의 체온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제어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체온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교밴드는 상기 태아의 심박동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제어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맥박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교밴드는 상기 체온감지부, 맥박감지부, 음성감지부, 음원출력부 및 메인제어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전자 유니트(UNIT)가 태교밴드 내부의 소정 수납공간에 수납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태교밴드 일면에 지퍼나 밸크로 테이프 등의 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산모 복부와 밀착되는 상기 태교밴드의 후면 일 부위는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섬유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맥박 및 체온 등의 데이터를 소정 거리 이탈된 원격지에서 전송받고 진단할 수 있도록 진료단말기 및 데이터저장부 등이 구비되는 원격진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출력부는 태아가 느낄 수 있는 진동음을 출력하도록 일반 스피커 또는 진동형식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출력부의 스피커는 상기 진동음이 산모 복부 이외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흡음부재로 둘러 쌓여 있거나, 하나 이상의 섬유층을 갖는 태교밴드 내에 장착되어 그 섬유층의 공간을 이용하여 진동음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는,
    상기 태교밴드의 음성감지부로부터 음성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제1A/D변환부와,
    상기 제1A/D변환부로부터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으면 내부연산하여 출력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음성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제1D/A변환부,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바이오사운드를 전송받으면 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제어부로 송출하는 제2A/D변환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바이오사운드를 입력받으면 이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원출력부로 송출하는 제2D/A변환부,
    상기 메인제어장치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교체가능한 휴대용 1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별도 전원을 공급받고 충전하여 사용이 가능한 2차전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투입을 위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D/A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감지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장치로 전송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D/A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바이오사운드를 상기 음원출력부로 출력시 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는 상기 태교밴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는 상기 태교밴드의 음성감지부로부터 음성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감지부로부터 음성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바이오사운드를 수신받도록 전환되는 송수신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패턴별 음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인제어장치로부터 음성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그 음성감지신호의 패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음향데이터를 추출하는 응답콘트롤러부;
    상기 음향데이터에 따른 바이오사운드를 생성하는 바이오사운드 생성부;
    상기 바이오사운드를 상기 메인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로부터 원격으로 전송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로부터 원격으로 전송받은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산모 자신이 소정 형식의 음악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재생시키는 MP3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메인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맥박, 체온 등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원격전송할 수 있도록 소정 전송방식을 갖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교체가 가능한 메모리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KR1020030020619A 2002-10-09 2003-04-01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KR100542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502 2002-10-09
KR1020020061502 2002-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729A true KR20040032729A (ko) 2004-04-17
KR100542485B1 KR100542485B1 (ko) 2006-01-20

Family

ID=3733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619A KR100542485B1 (ko) 2002-10-09 2003-04-01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4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58B1 (ko) * 2007-06-13 2009-06-02 (주)비스토스 분만 감시장치, 분만 중앙관리장치 및 그에 따른 분만중앙관리시스템
KR100901740B1 (ko) * 2007-06-27 2009-06-10 전자부품연구원 코쿤형 육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쿤형 육아 관리 시스템
CN102222428A (zh) * 2011-07-04 2011-10-19 孟奇志 一种促进胎儿大脑发育的方法
CN102881194A (zh) * 2012-09-21 2013-01-16 天津朝海科技有限公司 一种有音量音频控制功能的无电磁辐射胎教设备
CN106663303A (zh) * 2014-07-10 2017-05-10 株式会社手里医生 少儿健康管理***及少儿健康管理方法
CN108261207A (zh) * 2017-12-28 2018-07-10 宁波江丰生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胎心监护功能的远程胎教***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58B1 (ko) * 2007-06-13 2009-06-02 (주)비스토스 분만 감시장치, 분만 중앙관리장치 및 그에 따른 분만중앙관리시스템
KR100901740B1 (ko) * 2007-06-27 2009-06-10 전자부품연구원 코쿤형 육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쿤형 육아 관리 시스템
CN102222428A (zh) * 2011-07-04 2011-10-19 孟奇志 一种促进胎儿大脑发育的方法
CN102881194A (zh) * 2012-09-21 2013-01-16 天津朝海科技有限公司 一种有音量音频控制功能的无电磁辐射胎教设备
CN106663303A (zh) * 2014-07-10 2017-05-10 株式会社手里医生 少儿健康管理***及少儿健康管理方法
US20170262588A1 (en) * 2014-07-10 2017-09-14 Mobile Doctor Co.,Ltd. Chil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child health management method
CN108261207A (zh) * 2017-12-28 2018-07-10 宁波江丰生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胎心监护功能的远程胎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485B1 (ko) 200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9132B2 (ja) 音声インジケータを有する移動式医療用遠隔測定装置
US20080208009A1 (en)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Vital Parameters
US20030126593A1 (en) Interactive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US20160174840A1 (en)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20040073094A1 (en) Fetal monitoring systems with ambulatory patient units and telemetric links for improved uses
KR101910282B1 (ko) 골전도 보청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JPH09122083A (ja) 常時装着可能な患者モニタ装置
US20130150754A1 (en) Electronic stethoscopes with user selectable digital filters
EP1278455A2 (en) Interactive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JP2009539576A (ja) 構成変更可能なパルスオキシメーター
US20020071570A1 (en) Hybrid structure
KR100542485B1 (ko) 태교 및 원격진료 장치
JP2002245167A (ja) 医療支援システム及び生体信号検出装置
KR100334892B1 (ko)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초음파 감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원격 진료 시스템
JPH09322882A (ja) 身体装着型健康情報収集装置
JP2005534381A (ja) 血流分析システム
JPH1071128A (ja) 患者監視システム
JP2003070759A (ja) 携帯型心電計及びその装着方法並びに使用方法
KR100366816B1 (ko) 원격 의료 장치 및 방법
JPH11128174A (ja) 緊急通報装置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3111760A (ja) 妊婦の体調管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システム
KR200300056Y1 (ko) 태교 장치
JPH0779805B2 (ja) 個別呼出機能付き携帯型心電計
US6572544B1 (en) Body monitoring apparatus
KR200204716Y1 (ko) 휴대용 전자 청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