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469A -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469A
KR20040031469A KR1020020060925A KR20020060925A KR20040031469A KR 20040031469 A KR20040031469 A KR 20040031469A KR 1020020060925 A KR1020020060925 A KR 1020020060925A KR 20020060925 A KR20020060925 A KR 20020060925A KR 20040031469 A KR20040031469 A KR 20040031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ata
client
expert system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성
정한성
Original Assignee
(주)메드 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드 밴 filed Critical (주)메드 밴
Priority to KR102002006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1469A/ko
Publication of KR20040031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46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뇨기과의 진료에 있어서 진료자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환자의 증상 및 치료방안을 추론하여 제공하고, 진료자가 환자에게 처방한 의약에 대하여 상호작용 및 부작용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진료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데이터를 수신하여 키워드를 추출하여 소정의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결과와 입력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예상되는 질환 및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진단정보, 각 진단정보에 대한 검사항목 및 각 진단정보에 대한 치료법과, 각 진단정보와 치료법에 대한 확률을 포함하는 추론결과를 도출하여 전송하는 의사결정 지원서버; 및
환자를 진료하는 소정의 의료기관에서 누적되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소정의 진료기록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MEDICAL EXPERT SYSTEM FOR UROLOGY AND MANAGING METOHD OF THE SAME}
본 발명은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비뇨기과의 진료에 있어서 진료자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환자의 증상 및 치료방안을 추론하여 제공하고, 진료자가 환자에게 처방한 의약에 대하여 상호작용 및 부작용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임상정보는 외국에서 기술된 교과서적 정보 및 외국의 논문에 수록된 정보를 근간으로 하여 진료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첫째, 국내의 임상정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진료통계가 부실하며, 정보의 공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진료방법의 표준화가 없고,
둘째, 환자의 잦은 이사와 전화번호 및 정보의 잦은 교체로 인해 추적관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셋째, 대다수의 병원 및 진료과들에 의사결정 시스템의 기반이 구축되어 있지 않고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가 대부분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마지막으로, 각 학회차원의 데이터베이스는 진료정보를 수록한다기 보다는 통계처리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임상진료 지침에 대한 논문들은 주로 전문가의 합의 및 메타분석, 데이터 마이닝 등의 단일한 혹은 2, 3 가지의 방법론을 채택하여 왔는데, 이는 여러 전문가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에 제한적이거나 새로운 지식에 대한 대응에 탄력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다각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여 협의와 검수를 받는 탄력적이고 유기적인 임상진료 정보망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후반 이후에 활발해진 진료기록의 전산화는 발전된 데이터 분석의 자료를 제공하기에는 그 양이 턱없이 부족하다. 따라서, 지난 10년간 축적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비뇨기과 환자의 퇴원요약 기록을 활용하여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진료 및 치료에 대하여 패턴연구 및 실용화 작업이 요청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임상진단자료 및 의학연구자료는 병원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축적되어 있으나 단순히 임상진료결과 및 연구결과를 보여주는 형태로 관리되고 있어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정보로 활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병원시스템, 의학연구자료 관리시스템과 연동하고 관련자료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웨어 하우스와,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의사결정지원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가공하고 효과적으로 지식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현이 필요하다.
현재 축적된 진료정보를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대부분 원시자료의 형태로 관리되고 있어 실제 진료 및 연구활동을 위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각 병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유용한 형태로 가공하여 타 기관(병원, 연구소)에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현이 필요하다. 또한, 각 기관(병원, 연구기관)별로 축적된 정보는 각 보유기관에서 설정한 표준에 따라 개발되어 있어 실제로 타 기관에서 바로 활용할 수 없으므로, 과거의 진료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비뇨기과 진료기록의 표준을 제시하고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요구된다.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시스템이 많은 연구를 통하여 개발되고 있으나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구축, 모바일 시스템의 개발, 예측모델의 개발 등 각각에 대한 연구개발로 종료됨으로써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하여 유무선 기술, 모바일 기술, 인터넷, 브이오디(VOD : Video On Demand) 등을 활용한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의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추론결과의 일실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지식관리 모델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진료자 클라이언트 12 : 진료자 단말기
20 : 사용자 클라이언트 22 : 사용자 단말기
30 :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 40 : 의료 전문가시스템
42 : 의사결정 지원서버 44 :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
46 :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 48 : 의약품 데이터베이스
50 : 의료기관 시스템 52 : 오씨에스(OCS)
60 :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 62 : 의학 연구기관 서버
70 : 의약 연구기관 시스템 72 : 의약 연구기관 서버
80 : 임상진료 정보망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은, 환자의 외관 증상, 초기진료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소견 및 전문의학용어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환자에 대한 진단정보, 검사항목 및 치료법을 포함하는 추론결과를 도출하여 전송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서, 입력데이터를 수신하여 키워드를 추출하여 소정의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결과와 입력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예상되는 질환 및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진단정보, 각 진단정보에 대한 검사항목 및 각 진단정보에 대한 치료법과, 각 진단정보와 치료법에 대한 확률을 포함하는 추론결과를 도출하여 전송하는 의사결정 지원서버; 및 환자를 진료하는 소정의 의료기관에서 누적되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소정의 진료기록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데이터는 자연어 문장형태로 입력되도록 하며,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이, 소정의 의학 연구기관이 구비하는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며, 연구논문, 연구결과 및 보고서를 포함하는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소정의 의약 연구기관이 구비하는 의약 연구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며, 각 의약에 대한 약품명, 성분명, 적용질환, 제형, 부작용, 용량 및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의약 데이터를 저장하는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도록 하며,
의사결정 지원서버가,
진료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환자에게 처방한 의약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처방한 각 의약에 대하여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의약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진료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운용방법은, 환자의 외관 증상, 초기진료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소견 및 전문의학용어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환자에 대한 진단정보, 검사항목 및 치료법을 포함하는 추론결과를 도출하여 전송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 진료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입력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각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가 저장된 소정의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진료기록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입력데이터와 진료기록 데이터를 토대로 환자의 예상되는 질환 및 상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진단정보를 도출하고, 각 진단정보에 대한 검사항목과 치료법을 도출하는 제 3 단계; 진료기록 데이터를 통해 각 진단정보의 가능확률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고, 치료법의 사용빈도 및 정확도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는 제 4 단계; 및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의 산출결과를 진료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의료기관이 구비하는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의료기관에 누적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진료기록 데이터의 포맷을 변형하여 표준화하고, 각 항목별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고,
진료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환자에게 처방한 의약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리스트를 이용하여, 각 의약에 대한 약품명, 성분명, 적용질환, 제형, 부작용, 용량 및 부작용을 포함하는 의약 데이터를 저장하는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각 의약에 대한 의약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의약 데이터를 진료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구성은, 환자를 진료함에 있어서 초기 진단결과에 따른 환자의 증상 및 소견을 의료 전문가시스템(40)에 입력하고,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부터 추론결과를 수신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진료자 클라이언트(10),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본인의 증상 등을 입력하여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부터 추론결과를 수신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30), 진료자 클라이언트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진단, 검사항목 및 치료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론결과와 관련되는 연구결과 및 의약정보 등을 제공하는 의료 전문가시스템(40),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누적된 환자의 진료기록인 진료기록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의료기관 시스템(50),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60),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의약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의약 연구기관 시스템(70) 및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추론결과에 대하여 검증하는 임상진료 정보망(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10)는 환자를 진료하는 자로서 통상의 의사가 해당된다. 진료자 클라이언트는 환자를 초기진료한 결과 파악된 환자의 증상 및 본인의 소견 등을 의료 전문가시스템(40)에 입력하고,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부터 추론결과를 수신하여 환자를 진료한다. 진료자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는 자연어의 문장입력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료자 클라이언트는 추론결과와 관련하여 연구논문 및 연구결과오 같은 정보를 열람하고자 할 경우 이를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요청하여 검색된 자료를 수신한다. 또한, 환자에게 의약을 처방한 경우 처방한 의약의 내역을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입력하고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부터 처방된 의약의 효능, 상호작용 및 부작용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진료자 클라이언트(10)는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30)을 이용하여 의료 전문가시스템(40)에 접속하여 진료자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데이터를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전송하고,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진료자 단말기(12)를 구비한다. 진료자 단말기는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통신장치를 구비한 통상의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서 개인용 컴퓨터, PDA 또는 휴대전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클라이언트(20)는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을 통하여 전문 의학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자로서, 본인 또는 제 3 자의 증상 등을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입력하고,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부터 추론결과를 수신한다. 이때의 데이터 입력 또한 자연어의 문장입력 방식을 이용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는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30)을 이용하여 의료 전문가시스템(40)에 접속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데이터를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전송하고,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추론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22)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진료자 단말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로서, 개인용 컴퓨터, PDA 또는 휴대전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30)은 진료자 단말기(12) 또는 사용자 단말기(22)와 의료 전문가시스템(40) 간의 접속 및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매체로서, 유선인터넷망, 무선인터넷망 또는 전화망 등의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포함한다. 또한, 진료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위성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인 경우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은 위성통신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은 진료자 단말기(12) 또는 사용자 단말기(22)로부터 전송되는 진료자 클라이언트(10)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의 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추론결과를 구하여 진료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진료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하여 연구결과 또는 의약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진료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의료 전문가시스템은 의사결정 지원서버(42),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44),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46) 및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서버(42)는 진료자 단말기(12) 또는 사용자 단말기(22)로부터 진료자 클라이언트(10)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가 입력한 증상정보,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소견 및 전문의학용어 등을 수신하고,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44)를 검색하여 진단, 검사항목 및 치료법 등에 대한 추론결과를 도출한다. 진료자 클라이언트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입력하는 증상정보는 환자의 외관상 직관할 수 있는 증상과 초기 진찰을 통해 판단된 증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추론결과에 있어서 진단은 입력데이터를 통해 예견되는 환자의 질환 또는 상태에 대한 정보이고, 검사항목은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요구되는 검사에 대한 정보이고, 치료법은 예견되는 환자의 질환에 대한 치료방법을 의미한다.
의사결정 지원서버(42)가 추론결과를 도출함에 있어서, 과학적인 문헌을 기초로 하고 임상성 및 전문성에 기반을 두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론에 근거하여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결과의 패턴 또는 추세를 설명하기 위하여 해당 결과들을 통합하여 총괄적인 결론을 유도할 수 있는 통계적 분석방법인 메타 분석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문헌검색 및 수집단계, 질적 메타분석단계 및 계량적 메타분석단계로 이루어진다.
문헌수집 단계와 질적 메타분석단계에 있어서, 문헌수집시 필요한 문헌검색용 데이터베이스와 임상진료지침에 대한 국내외 문서를 검색하여 수집된 문험을 소정의 문헌 평가양식에 의거하여 분류하고, 연구논문의 게재년도, 게재학술지, 통계방법 및 연구설계방법에 의한 질적 수준 평가 등의 자료를 변수화하여 각종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또한, 계량적 메타분석단계에서는, 논문간의 통합에 필요한 유효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논문이 일정 편수 이상인 경우 적용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료자 클라이언트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입력데이터는 자연어의 문장형태로 입력되므로, 의사결정 지원서버는 수신된 입력데이터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하여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토대로 하여 추론결과를 도출한다.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결과는 키워드에 대한 유사율에 따라 정렬 및 분류하여 각 케이스에 대한 비율을 산출한다. 키워드에 대한 유사율은 해당 키워드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순서에 의하거나 특정 키워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결과는 유사 또는 동일한 케이스별로 구분하고 각 케이스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여 추론결과를 생성한다.
일례로서, 입력데이터에 따라 예견되는 환자의 질환 또는 상태에 대한 진단정보를 나열하고, 각 경우에 대한 비율(가능성)을 함께 제시한다. 또한, 각 진단정보의 항목에 대하여 추가로 요구되는 검사항목 또는 진단결과의 신뢰성을 위하여 검사가 필요한 경우 각 검사항목을 나열하고, 각 검사항목별로 검사결과를 케이스로 나누어 각 케이스에 대한 대처방법을 제시한다. 이때의 대처방법으로는 치료법 또는 다른 검사항목 등이 포함될 것이다. 즉, 'A 검사를 시행하고 검사결과 B 이면 C 검사를 시행하고, A 검사결과가 D 이면 E 로 진단'과 같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진단정보와 치료법의 경우 각 항목별로 비율을 함께 제시하여 진료자 클라이언트가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비율은 각 항목에 대한 가능성, 사용빈도 또는 정확도 등을 의미한다. 또한, 시기별로 진단법 또는 치료법 등에 변천이 있은 경우에는 각 시기별 진단법 또는 치료법을 구분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A 라는 증상에 대하여 80 년대 후반에는 B 라고 진단하여 C 라는 치료법을 사용하였고, 90 년대 초반에는 D 라고 진단하여 E 라는 치료법을 사용하였으며, 90 년대 후반에는 F 라고 진단하여 G 라는 치료법을 사용하였고, 2000 년대에는 H 라고 진단하여 I 라는 치료법을 사용하였다와 같은 방식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따라서, 진료자 클라이언트는 환자에게 양질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용이하게 전문의학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의사결정 지원서버(42)는 생성된 추론결과를 진료자 단말기(12) 또는 사용자단말기(22)로 전송한다. 또한, 진료자 클라이언트(10)가 전송된 추론결과에 대하여 연구결과 데이터를 요청할 경우 관련되는 연구결과 데이터를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46)로부터 검색하여 전송한다. 연구결과는 진료정보와 달리 키워드 검색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료자 클라이언트가 의사결정 지원서버로부터 제공된 진료정보를 보고 관련되는 연구결과를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입력하거나 진료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의 링크를 클릭한다.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입력데이터는 의사결정 지원서버로 전송되고, 의사결정 지원서버는 수신된 데이터를 키워드로 하여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논문 또는 연구결과 등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 또는 리스트를 진료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리스트를 전송할 경우에는 각 항목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의사결정 지원서버(42)는 진료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처방한 의약의 리스트를 수신하여 해당 의약에 대한 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로부터 추출하여 진료자 단말기(12)로 전송한다. 즉, 진료자 클라이언트가 환자에게 처방한 의약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각 의약에 대한 효과, 상호작용 및 부작용 등 의약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진료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진료자 클라이언트는 환자에게 의약을 처방함에 있어 각 의약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양질의 처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44)는 각 의료기관 시스템(50)으로부터 전송되는 진료기록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진료기록 데이터는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진료하면서 발생한 정보로서 의료기관 시스템에 구비되는 오씨에스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에 의해 관리되며, 각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 및 업데이트된다. 진료기록 데이터로는, 퇴원 요약정보 (discharge summary), 검사결과 요약정보(LAB summary), X 레이, CT, MRI, 초음파, 핵의학 촬영데이터, 내시경적 시술결과 요약정보(Cystoscopy), 진찰기록, 수술기록, 징후 정보 등 상세한 진료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46)는 각 의학학회의 발표자료, 논문, 최근 연구동향 및 보고서 등의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는 각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6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업데이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는 각 의약에 대한 약품명, 성분명, 적용질환, 제형, 부작용, 용량 및 상호작용 등의 의약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의약 데이터는 각 의약 연구기관 시스템(70)으로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업데이트된다. 의약 연구기관 시스템으로는 각 대학의 약학관련 연구기관의 시스템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관 시스템(50)은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시스템으로서 진료기록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의료 전문가시스템(40)에 전송하고, 오씨에스(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씨에스(52)는 해당 의료기관의 진료기록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해당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진료하면서 발생되는 모든 진료기록을 누적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오씨에스는 누적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의료 전문가시스템(50)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60)은 의학을 연구하는 각 연구단체 또는 학회의 시스템으로서, 논문, 보고서 및 발표자료 등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를 의료 전문가시스템(4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의학 연구기관 서버(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연구기관 시스템(70)은 의약을 연구하는 대학의 연구기관 등의 시스템으로서, 의약 연구결과 데이터를 의료 전문가시스템(4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의약 연구기관 서버(7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상진료 정보망(80)은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의 추론결과를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임상진료 정보망으로는 의학학회 등이 포함되는데,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경우 대한 비뇨기과 학회(URO 디지털 의사결정 시스템개발 연구회) 등이 해당된다. 임상진료 정보망은 주기적으로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접속하여 테스트를 위한 가상 환자의 증상 및 소견 등을 입력하여 추론을 요청하고, 의료 전문가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추론결과를 검증하여 의료 전문가시스템이 올바른 추론결과를 생성하는지 검증한다. 또한, 진료정보에 대한 추론결과 뿐만 아니라 연구결과 및 의약정보에 대한 검증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전문가시스템의 추론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오류가 있을 경우 오류에 대한 신속한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한 진료과정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관 시스템(50)은 주기적으로 진료기록 데이터를 전송한다(S100 단계). 구체적으로는 각 의료기관 시스템의 오씨에스(52)가 누적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은 진료기록 데이터를 수신하고(S102 단계) 수신된 데이터를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한다(S104 단계). 각 의료기관 시스템(50)의 오씨에스(52)는 해당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누적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전송한다. 각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각 의료기관마다 고유의 데이터 포맷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수신된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수신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이료 전문가시스템의 데이터 포맷으로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데이터를 각 항목별로 분류하여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60)은 주기적으로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S106 단계). 즉,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의 의학 연구기관 서버(62)는 주기적으로 논문 또는 연구결과 등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를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은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S108 단계) 수신된 데이터를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46)에 저장한다(S110 단계). 진료기록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도 의학 연구기관에 따라 데이터 포맷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전문가시스템은 수신된 데이터를 표준화 과정으로 거쳐 동일 포맷으로 변환하고, 표준화된 데이터를 분류하여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이 논문 또는 연구결과 등에 대한 데이터 전부를 전송하지 않고 해당 정보에 대한 리스트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에 논문 또는 연구결과 등의 리스트와 각 항목에 대한 링크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 자료의 열람을 원할 경우 해당 자료가 저장된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으로 접속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10)는 진료자 단말기(12)를 이용하여 의료 전문가시스템(40) 또는 의료 전문가시스템이 제공하는 소정의 웹사이트에 접속하고(S112 단계), 의료 전문가시스템은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쳐 진료자 클라이언트를 인증한다(S114 단계).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인증방법으로는 통상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 또는 지문인식 단말기 등의 인증수단을 이용한 보안인증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과정과 유사하므로,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10)가 진료기록의 검색을 선택하면(S116 단계)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은 검색어의 입력을 요청한다(S118 단계). 진료자 클라이언트는 환자의 초기진료에 따라 판단된 환자의 증상, 외관상태,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소견 및 관련 의학용어 등을 입력하고(S120 단계),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진료기록 데이터의 검색을 요청한다(S122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진료자 클라이언트는 검색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자연어 문장 형태로 입력한다. 즉, 입력사항을 자유기술 형태로 입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은 입력된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에 따라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44)를 검색하고(S124 단계), 검색결과를 토대로 진단, 검사항목 및 치료법 등을 포함하는 추론결과를 도출한다(S126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추론결과의 도출은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입력데이터와 검색결과를 토대로 하여 예견되는 환자의 질환 또는 상태 등을 포함하는 각 진단정보와, 각 진단정보에 대한 검사항목 및 치료법을 도출하는 것으로서, 각 항목에 대한 비율을 함께 제시한다. 즉, 환자의 예견되는 진단항목과 각 항목에 대한 가능성을 비율로 제시하고, 각 진단항목에 대하여 필요한 검사항목을 제시하고, 각 검사항목에 대해 검사결과 나올 수 있는 검사결과와 각 결과에 대한 대처방법 또는 진단결과 등을 제시힌다. 또한, 각 진단항목에 대하여 가능한 치료법과 각 치료법에 대한 사용빈도 또는 정확도를 비율로 제시하고, 시기별로 치료법에 변천이 있은 경우 각 시기별로 구분하여 치료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은 S126 단계에서 구해진 추론결과를디스플레이한다(S128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10)는 디스플레이된 추론결과를 보면서 진단을 하고 적합한 치료법을 도출하여 진료를 진행한다. 또한, 추론결과와 관련하여 연구논문 또는 연구결과 등을 열람하고자 할 경우 연구결과 데이터의 검색을 요청한다(S130 단계). 연구결과 데이터 검색의 경우, 진료자 클라이언트가 키워드를 직접 입력하거나 추론결과 중 진료자 클라이언트가 키워드를 선택(클릭)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은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46)를 검색하고(S132 단계), 검색된 연구결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34 단계). 연구결과 데이터는 각 항목에 대한 연구논문 또는 연구결과에 대한 데이터로서, 각 자료를 포함하거나 해당 자료가 저장된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진료자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자료를 직접 열람하거나 링크를 통해 해당 자료가 저장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열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10)는 환자를 진료한 결과를 의료 전문가시스템(40)에 전송하고(S136 단계), 의료 전문가시스템은 진료결과를 수신하여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한다(S138 단계). 진료결과는 진료기록 데이터와 유사한 형태의 데이터로서 진료결과의 전송 및 저장은 S100 단계 내지 S104 단계와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진료자 클라이언트가 의료기관 시스템에 포함될 경우에는 S100 단계 내지 S104 단계의 전송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연구기관 시스템(70)은 주기적으로 의료 전문가시스템(40)에 의약 데이터를 전송하고(S140 단계), 의료 전문가시스템은 의약 데이터를 수신하여(S142 단계)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에 저장한다(S144 단계). 의약 데이터는 약품에 대한 각각의 효능, 상호작용 및 부작용에 대한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는 환자의 진료에 따른 처방전을 작성하고 (S146 단계), 처방된 약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자 할 경우 처방된 약의 리스트를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한다(S148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전문가시스템(40)은 입력된 처방약에 대하여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를 검색하고(S150 단계), 각 약에 대한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S152 단계).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로는 처방된 약에 대한 효능, 상호작용 및 부작용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10)는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통해 각 처방약의 정보를 조회하고, 처방전을 발급한다(S154 단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추론결과의 일실시 예시도로서, 환자의 증상에 대하여 소정의 검사를 시행하고 검사결과에 대한 각 케이스별 대처방안을 제공하는 예이다.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추론결과의 실시례에 대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우연히 신장의 종물이 발견된 경우(Renal mass), 신체검사(이학적 검사, Physical examination)와 소변검사(Urinalysis)를 시행하고, 초음파 검사(Ultra-sonography)를 시행한다.
초음파 검사 결과 종물이 분엽화(Possible lobulation)되어 있으면 핵의학검사(99Tc-DTPA scan)을 시행하여 종물(Mass)인지 정상(Normal)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정상일 경우 추적관찰(Observe)을 한다.
또한, 상기 초음파 검사 결과 종물이 낭성의 종물(Cystic lesior)이면 추적관찰(Observe)만을 하고, 종물이 고형 또는 중간단계의 종물(Solid or indeterminate mass)이면 CT 를 시행한다.
CT 결과 낭성의 종물(Cystic lesior)이면 추적관찰을 시행하고, 중간형태의 종물(Indeterminate)이면 세침 흡입술(Renal puncture)를 시행한다. 세침 흡입술 결과 협성액체(Bloody fluid)이면 세포학 검사를 시행하여 양성(Positive cytology)으로 판명될 경우 종양으로 판단한다. 또한, 음성(Negative cytology)인 경우에는 혈관 조영술(Anglography)을 시행하여, 정상이거나 혈관 분포가 없으면(Normal or avascular appearance) 추적관찰을 시행하고 혈관의 이상소견이 있으면(Abnormal vasculature) 근치적 신적출술(Radical nephrectomy)을 시행한다. 세침흡입술 결과 Clear fluid 인 경우에는 세포학 검사를 시행하여, 양성이면 종양으로 판단하고 음성이면 추적관찰을 시행한다.
상기 CT 결과 고형의 종물이면서 신정맥 또는 대정맥의 침범소견이 없는 경우(Solid mass without evidence of renal vein or vena caval involvement)에는 근치적 신적출술(Radical nephrectomy)을 시행하고, 고형의 종물이면서 신정맥 또는 대정맥의 침범소견이 있는 경우(Solid mass with evidence of renal vein orvena vaval involvement)에는 MRI 또는 하대정맥 조영술(Inferior venacavography)을 시행한다. 그 결과, 형관의 침범이 없거나 신정맥에만 침범이 있으면(No involvement or renal vein only) 근치적 신적출술을 시행하고, 하대정맥의 침범이 있으면(Vena cava involvement) 근치적 신적출술 및 종양혈전 제거술(Tumor thrombus removal)을 시행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지식관리 모델의 예시도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표준적인 구성을 제시하였으므로, 비록 비뇨기과의 의료 전문가시스템에 한정하여 기술하였으나 다른 진료과목의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의 응용이 용이하다. 즉, 다른 진료과목의 의료 전문가시스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과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은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진료자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환자의 증상에 가장 근접하고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오진 또는 처방 오류 등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도 필요한 전문의학정보를 추론 및 제공함으로써 본인 또는 제 3 자의 증상에 대한 자가진단 또는 예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각 의료기관별로 누적 및 관리되던 진료기록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의학 연구결과 및 의약 연구결과를 누적 및 통합하고 세분화하여 관리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사항에 가장 근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임상 진료정보망을 통해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추론결과에 대한 검증과 데이터 무결성의 검증이 이루어지므로, 추론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표준적인 구성을 제시하였으므로, 다른 진료과목의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의 변형 및 응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8)

  1. 환자의 외관 증상, 초기진료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소견 및 전문의학용어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환자에 대한 진단정보, 검사항목 및 치료법을 포함하는 추론결과를 도출하여 전송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으로서,
    상기 입력데이터를 수신하여 키워드를 추출하여 소정의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와 상기 입력데이터를 통해 상기 환자의 예상되는 질환 및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진단정보, 상기 각 진단정보에 대한 상기 검사항목 및 상기 각 진단정보에 대한 상기 치료법과, 상기 각 진단정보와 상기 치료법에 대한 확률을 포함하는 추론결과를 도출하여 전송하는 의사결정 지원서버; 및
    상기 환자를 진료하는 소정의 의료기관에서 누적되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소정의 진료기록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데이터가,
    자연어 문장형태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이,
    소정의 의학 연구기관이 구비하는 의학 연구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며, 연구논문, 연구결과 및 보고서를 포함하는 의학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이,
    소정의 의약 연구기관이 구비하는 의약 연구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며, 각 의약에 대한 약품명, 성분명, 적용질환, 제형, 부작용, 용량 및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의약 데이터를 저장하는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 지원서버가,
    상기 진료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환자에게 처방한 의약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처방한 각 의약에 대하여 상기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의약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를 상기 진료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6. 환자의 외관 증상, 초기진료에 따른 진료자 클라이언트의 소견 및 전문의학용어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환자에 대한 진단정보, 검사항목 및 치료법을 포함하는 추론결과를 도출하여 전송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
    상기 진료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각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가 저장된 소정의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진료기록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데이터와 상기 진료기록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예상되는 질환 및 상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진단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각 진단정보에 대한 검사항목과 치료법을 도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진료기록 데이터를 통해 상기 각 진단정보의 가능확률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치료법의 사용빈도 및 정확도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의 산출결과를 상기 진료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운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소정의 의료기관이 구비하는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관에 누적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진료기록 데이터의 포맷을 변형하여 표준화하고, 각 항목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상기 임상진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환자에게 처방한 의약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를 이용하여, 각 의약에 대한 약품명, 성분명, 적용질환, 제형, 부작용, 용량 및 부작용을 포함하는 의약 데이터를 저장하는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각 의약에 대한 의약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의약 데이터를 상기 진료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20060925A 2002-10-07 2002-10-07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31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925A KR20040031469A (ko) 2002-10-07 2002-10-07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925A KR20040031469A (ko) 2002-10-07 2002-10-07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469A true KR20040031469A (ko) 2004-04-13

Family

ID=3733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925A KR20040031469A (ko) 2002-10-07 2002-10-07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146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977B1 (ko) * 2006-03-27 2008-02-11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동적 의학 모듈을 이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방법
KR100811651B1 (ko) * 2006-06-02 2008-03-07 김혁 온라인 동류(同類) 한방 진료 방법 및 시스템
WO2008093977A1 (en) * 2007-01-29 2008-08-07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using home health care data and medical information in hospital
KR101066246B1 (ko) * 2009-02-26 2011-09-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375221B1 (ko) * 2012-02-24 2014-03-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프로세스 모델링 및 검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977B1 (ko) * 2006-03-27 2008-02-11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동적 의학 모듈을 이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방법
KR100811651B1 (ko) * 2006-06-02 2008-03-07 김혁 온라인 동류(同類) 한방 진료 방법 및 시스템
WO2008093977A1 (en) * 2007-01-29 2008-08-07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using home health care data and medical information in hospital
KR101066246B1 (ko) * 2009-02-26 2011-09-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375221B1 (ko) * 2012-02-24 2014-03-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프로세스 모델링 및 검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ramovich et al. Assessment of health conditions and health service use among transgender patients in Canada
JP7213632B2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US8949079B2 (en) Patient data mining
Juurlink et al. Medical illness and the risk of suicide in the elderly
Lawrenson et al. Clinical information for research; the use of general practice databases
US66118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cal patient data analysis
EP3255573A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ing ensemble system and clinical decison supporting method using the same
US8900141B2 (e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s determination
KR20010093986A (ko)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JP2005110944A (ja)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方法及び診療支援プログラム
Bruch et al. Characteristics of private equity–owned hospitals in 2018
JP2018081528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Gray et al. Volume-outcome associations for parathyroid surgery in England: Analysis of an administrative data set for the Getting It Right First Time program
CN116469571A (zh) 一种真实世界数据的专病图谱的构建方法及***
Gobaud et al. Assessing the gun violence archive as an epidemiologic data source for community firearm violence in 4 US cities
Jiang et al. An aided diagnosis model of sub-health based on rough set and fuzzy mathematics: A case of TCM
Smulowitz et al. Association of functional status, cognition, social support, and geriatric syndrome with admission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
KR102395921B1 (ko) 사용자 정보 및 쿼리 분석을 통해 의료대상 추천 방법
Murff et al. Colonoscopy screening in African Americans and Whites with affected first-degree relatives
Weiner et al. Electronic health records: high-quality electronic data for higher-quality clinical research.
CN110047566B (zh) 一种医疗数据展示平台
KR20040031469A (ko) 비뇨기과 의료 전문가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8081527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Tsai et al. Race and ethnicity and emergency department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CN111667910A (zh) 一种基于计算机医疗的病理管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