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885A -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열가소성재의 입자화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열가소성재의 입자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885A
KR20040027885A KR10-2004-7001665A KR20047001665A KR20040027885A KR 20040027885 A KR20040027885 A KR 20040027885A KR 20047001665 A KR20047001665 A KR 20047001665A KR 20040027885 A KR20040027885 A KR 20040027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blade carrier
blade
orifice plate
annul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에르브라인하르트-카르스텐
Original Assignee
리이터 아우토마틱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이터 아우토마틱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리이터 아우토마틱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27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8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29B9/065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under-water, e.g. underwater pelletiz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4Cross-head annular extrusion nozzles, i.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moulding material and the preform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7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로부터 압출된 열가소성재의 입자화 장치에 관한 것이고, 노즐은 원형 배열로 노즐 디스크에 구비된다. 블레이드 캐리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또한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 위치로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에 의해 유지되는 블레이드는 노즐을 소제한다. 블레이드 캐리어 축은 원형 조립체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냉각 매체는 입자화된 플라스틱을 냉각시키기 위해 노즐 디스크와 블레이드로 공급되며, 냉각 매체가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는 환형 중간 챔버는 블레이드 캐리어와 노즐 디스크 사이에 형성된다.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의 캐비티(24)는 중간 챔버에 연결되고, 냉각 매체는 블레이드 캐리어의 캐비티로부터 중간 챔버로 공급된다.

Description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열가소성재의 입자화 장치{DEVICE FOR GRANULATING A THERMOPLASTIC, WHICH IS EXTRUDED FROM NOZZLES}
이와 같은 장치는 미국 특허 제3 317 95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지 장치의 특징은, 냉각 매체가 용융 플라스틱 재료와 동일한 면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이고, 또한 블레이드 캐리어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오리피스의 원형 배열내에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채널을 통하여 냉각 매체가 공급되는 것이다. 블레이드 캐리어는플라스틱 용융물이 공급되는 동일면으로부터 유사하게 구동되고, 이의 결과로 플라스틱 용융물과 냉각 매체에 대한 공급부를 갖는 전체 배열은 블레이드 캐리어 축이 되는 구동축에 의해 관통된다. 이는 특히 밀봉 수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성을 초래하고, 냉각 매체용 공급 채널에 대해 이용가능한 공간이 제한됨으로 인하여 공급 채널은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을 갖고 형성되며, 그 결과 필요한 양의 냉각 매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당한 압력을 가할 필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열가소성 재료의 입자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리피스는 오리피스판에 원형 배열로 구비되며 블레이드 캐리어 축(blade carrier shaft)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블레이드에 의하여 소제되고, 블레이드는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 벨형(bell-shaped) 블레이드 캐리어에 의해 유지되며, 블레이드 캐리어 축은 원형 배열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되고, 냉각 매체는 입자화된 플라스틱 재료의 냉각을 위해 오리피스판과 블레이드로 공급되며, 냉각 매체가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동되는 환형 중간 공간이 블레이드 캐리어와 오리피스판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는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플라스틱 압출물이 오리피스에서 직접 절단되는, 즉 여전히 용융 상태에서 절단되는 소위 핫멜트(hot-melt) 입자화 장치이다.
도 1A는 전제 장치의 단면도.
도 1B는 도 1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2는 블레이드의 3개의 원형 배열에 대한 스트립형 블레이드의 유지를 위해 슬롯이 관통되어 있는 환형판의 평면도.
도 3은 블레이드가 관통부로 삽입되어 있는 동일 환형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오리피스판을 소제하는 블레이드를 갖는 환형판의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배열의 평면도.
도 6은 환형판의 관통부에 블레이드의 접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스프링 가압식 블레이드를 갖는 환형판의 상세도.
도 8은 블레이드가 유압식 작동 피스톤에 의해 가압되는 도 7에 따른 배열의 변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환형판까지 블레이드 캐리어 축을 통한 유압 유체의 공급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오리피스의 단일 환형 배열을 갖는 오리피스판의 평면도.
도 11은 반경 방향으로 오리피스의 직경을 초과하는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도 10에 따른 일부 오리피스의 확대도.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냉각 매체의 유동 조건에 대해 서두에 언급된 장치의 설계를 단순화하고 따라서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한 이 방법으로 방금 절단된 입자 주위로 냉각 매체의 신뢰성 있는 유동과 입자의 신속한 이송을 보장하여 입자 사이에 응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의 중공 공간이 블레이드 캐리어와 오리피스판 사이의 중간 공간과 소통되고 또한 냉각 매체가 블레이드 캐리어의 중공 공간으로부터 중간 공간으로 공급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냉각 매체는 플라스틱 용융물이 공급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을 통해 공급되고, 그 결과 열손실 또는 냉각 매체의 소망하지 않는 가열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공지되어 있는 장치에서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냉각 매체가 플라스틱 용융물이 공급되는 영역내에 축방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열전달을 제거하는 것이 한층 더 곤란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플라스틱 용융물이 장치의 한 면으로부터 공급되고 또한 냉각 매체가 장치의 반대면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위의 두 영역은 입자화가 수행되는 장소, 즉 블레이드 캐리어의 영역에서만 접촉하게 되며, 여기에서 블레이드 캐리어와 오리피스판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 인해 냉각 매체가 벨형 블레이드 홀더의 내부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여 보다 더 많은 체적의 냉각 매체가 모든 위치에서 균일한 관통류로 유동하게 되는 영역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입자의 신뢰성 있는 이송과 균일한 냉각이 보장된다.
블레이드 캐리어와 오리피스판 사이의 중간 공간은, 블레이드 캐리어에 부착되고 블레이드에 의해 관통되는 환형판과 그리고 대향되게 배치된 오리피스판에 의해서 중간 공간이 양측면에서 밀폐되고 또한 블레이드가 오리피스판과 접촉될 때까지 개별 강성 스트립(strip)의 형태로 환형판으로부터 중간 공간으로 돌출되며 오리피스판을 향해 경사져 형성된 돌출부의 환형판에서 안내되고 유지됨으로써,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설계는, 환형판과 오리피스판에 의해 형성되고 양측면에서 밀폐되며 냉각 매체의 관통류에 대한 쉽게 제어가능한 조건을 제공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오리피스판을 향해 경사져 형성되고 또한 블레이드 스트립이 삽입되며 적소에 구성된 관통부가 환형판에 구비됨으로써, 환형판의 배열은 블레이드가 개별 강성 스트립 형태로 고정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환형판과 오리피스판에 의해 형성된 중간 공간에서, 외부를 향한 블레이드 캐리어의 회전을 고려할 때 접선에 점차 근접하는 냉각 매체의 외측 방향 유동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 중간 공간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의 경사 위치가 환형판의 회전시 블레이드가 유동에 낮은 유동 저항을 가하도록 선택된다. 블레이드 경사 위치 선택의 결과로, 블레이드 캐리어의 회전시 냉각 매체는 방해받지 않고 유동된다.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경사 위치는 블레이드와 함께 블레이드 캐리어의 펌핑 효과(pumping effect)를 유발하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에 바람직하지 못한데, 그 이유는 첫째 입자의 이송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와류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고 둘째 펌핑 효과가 입자화에 필요한 에너지 이외에 구동 모터 부품의 상응하는 에너지 소비를 초래하기 때문이며, 이는 에너지의 불필요한 손실을 나타낸다.
스트립으로 구성된 블레이드가 환형판에 지지됨으로써 블레이드가 환형판에서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블레이드 캐리어와 함께 환형판은 오리피스판으로부터 고정 간격을 두고 구성되며, 마모의 보상을 위하여 블레이드는 작동 중 압력 수단에 의해 오리피스판에 대해 개별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블레이드는 환형판의 돌출부에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지되고, 그 결과 마모의 보상을 위하여 블레이드는 작동 중 오리피스판의 방향으로 다소간의 조절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용되는 압력 수단은 가요성 스프링, 특히 헬리컬 스프링일 수 있거나, 유압식 또는 공압식 인가 압력일 수 있다.
블레이드의 회전시 냉각 매체에 대한 블레이드의 잔류 저항을 더 감소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범위가 오리피스의 단면을 다소 초과하나 블레이드에 의해 수행되는 절단이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분리된 플라스틱 입자로 절단하는 정도까지의 길이로 블레이드가 제작된다. 이는 블레이드의 길이를 최소화시키고, 그 결과 블레이드의 회전시 블레이드는 냉각 매체의 관통 유동에 대해 단지 작은 저항만을 가하게 된다.
이용된 냉각 매체는 주로 물일 수 있고, 또는 선택적으로 오일이나 니트로겐과 같은 가스 매체일 수 있다. 냉각 매체의 선택은 입자화될 플라스틱 재료의 화학적 특성에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은 부품, 즉 용융 플라스틱재를 공급하기 위한 압출기가 생략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이다. 공지 방법으로 이용되고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2개의 채널(2, 3)인 다수의 용융물 채널을 포함하는 용융물 분배기(1)가 장치에 포함된다. 오리피스판(4)이 부착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용융물 분배기(1)에 플랜지형으로 부착되고, 오리피스판(4)으로 용융물 채널(2, 3)이 연결되며, 오리피스(5, 6)를 형성한다. 작동 중, 입자화될 열가소성 재료는 오리피스(5, 6)로부터 용융 형태로 배출된다. 오리피스판(4)은 추가의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그 오리피스의 원형 구성이 도 10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환형판(7)이 오리피스판(4)에 대향되어 구성되고, 환형판(7)으로부터 블레이드(8, 9)(다른 블레이드는 도시되지 않음)가 돌출되며 또한 환형판(7)을 마주하는 오리피스판(4)의 표면을 공지 방법으로 소제하고, 오리피스(5, 6)로부터 배출되는 열가소성 압출물을 분쇄한다. 환형판(7)에서 블레이드(8, 9)의 지지와 구성에 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환형판(7)은 블레이드 캐리어 축(11)의 단부에 구성된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10)에 부착되고, 블레이드 캐리어 축(11)은 구동 모터(12)(외형선으로만 도시됨)와 결합된다. 블레이드 캐리어 축(11)을 매개로 하여, 구동 모터(12)는 블레이드 캐리어(10)와 따라서 블레이드(8, 9)와 함께환형판(7)을 회전시키고,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급된 열가소성 압출물이 입자화된다.
장치의 내측부는 하우징(13)에 의해 둘러싸여 구성되고, 하우징(13)은 오리피스(5, 6)와 블레이드(8, 9)의 영역에 걸쳐 연장된 커버(14)로 연장된다. 플라스틱 공급과 입자화의 두 관련 영역은 하우징(13)의 플랜지형 쇼울더(15)와 용융물 분배기(1)의 플랜지형 쇼울더(16)에 의해 함께 유지되고, 이는 체결시 커버(14)를 견고하게 둘러싸는 스크류(17)에 의해 이루어지며, 따라서 부품(13, 14)으로 구성된 하우징을 통하여 전체 장치가 용융물 분배기(1)의 영역으로 연장된다.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따른 장치는 회전대칭이고, 즉 커버(14)와 함께 하우징(13)은 외부에서 원형 표면을 가진다. 장착부(39)로 인해 오리피스판(4)이 중심설정된다.
하우징(13)에 포함된 커버(14)는 본 명세서에서 플렉시글라스(plexiglass)로 형성되고, 플렉시글라스는 그 투명성으로 인해 입자화가 수행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현상의 관찰을 가능하게 한다.
블레이드(8, 9)에 의해 절단된 입자의 냉각을 위하여, 입자화가 수행되는 영역과 하우징(13)에 냉각 매체가 공급되고, 냉각 매체는 이 경우 냉각수이며, 냉각수는 냉각제 입구(18)를 통하여 공급된다. 냉각제 입구(18)는 하우징(13)의 내부(19)에 가상적으로 접선방향으로 연결되고, 이는 하우징(13)에 회전 유동의 결과를 형성하며, 회전 유동의 회전 속도는 공급된 물의 체적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냉각수는 내부(19)로부터 유동 개구부(20, 21, 22)를 통해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10)의 중공 공간(24)으로 이동된다. 블레이드 캐리어(10)는 구동 모터(12)에 의해 부여된 회전 속도에서 회전된다. 내부(19)에서 회전하는 냉각수가 대부분 비난류식으로 유출되어 유동 개구부(20, 21, 22)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각수를 유동 개구부(20, 21, 22)를 통해 블레이드 캐리어(10)의 중공 공간(24)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유동 개구부(20, 21, 22)의 영역에서 내부(19)의 냉각수가 유동 개구부(20, 21, 22)의 회전 속도와 동일한 회전 속도에서 순환되도록, 냉각수의 공급률과 따라서 내부(19)에서 냉각수의 회전 속도가 조절된다. 이는 다른 회전 속도의 결과로 인한 그 점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한다. 이 회전 속도 적용 방법은 냉각제 입구(18)를 통한 냉각수의 접선방향 공급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10)가 오리피스판(4)을 향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 캐리어(10)의 중공 공간(24)은 오리피스판(4)의 영역과 블레이드(8, 9)와 직접 소통되어, 블레이드 캐리어(10)의 중공 공간(24)으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블레이드(8,9)를 통과하여 오리피스판(4)의 표면에 걸쳐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유출은 유사하게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냉각제 출구(25)에 의하여 쉽게 이루어지고, 냉각제 출구(25)는 오리피스판(4)과 환형판(7) 사이의 중간 공간(26) 외부로 소통된다. 이 중간 공간에서, 냉각수는 블레이드 캐리어(10)와 블레이드(8, 9)의 회전으로 인해 순환되고, 이 순환은 냉각제 출구(25)에 따른 접선 방향으로 직접 전이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는 냉각제 관통류에 대한 있을 수 있는 최소 저항에도 대항하는 한 영역에서 영역으로의 전이 및 방향을 냉각수의 모든 관통류에 대해 형성하고, 구동 모터(12)에 대해 상응하는에너지 감소 효과를 가진다.
도 1B는 도 1A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따라서, 이 단면은 블레이드를 마주하는 오리피스판(4)의 면을 따라 연장된다. 이로부터 도 1B에 블레이드(8, 9)를 가진 환형판(7)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환형판(7)은 블레이드 캐리어(10)에 의해 유지되고, 블레이드 캐리어(10)에 유동 개구부(20, 21, 22)가 구성된다(제 4 유동 개구부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음). 도 1B에 추가로 커버(14)가 도시되어 있고, 커버(14)는 냉각제 출구(25)점으로부터 나선형으로 환형판(7) 주위로 연장되며, 블레이드(8, 9)를 포함하는 환형판(7)과 커버(14)의 외벽 사이의 공간은 지속적으로 더 작아지고 역으로 유동 방향(화살표 참조)으로는 지속적으로 더 커지며, 그 결과 이 영역에서 상기 공간의 증가되는 직경으로 인해 냉각수의 유동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결과를 형성하고, 이는 냉각수의 비난류 유동을 위해 중요한 사항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절단 후 입자를 일정하게 냉각제 출구를 통하여 이송시키게 된다.
도 2에 블레이드없이 블레이드 캐리어에 부착된 환형판(7)이 도시되어 있고, 특히 도 2는 블레이드가 돌출되는 면에 대한 평면도이다. 따라서, 다음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2는 개별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개별 관통부(27)의 개구부를 나타낸다. 도 2는 3개의 원형 배열(28, 29, 30)을 가진 환형판을 나타낸다.
도 3은 동일한 환형판(7)을 나타내나, 이 때 블레이드(8)는 각각의 관통부(27)로 삽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8)는 회전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또한 환형판(7)의 표면에 대해 경사지게 관통부(27)로부터 돌출된다. 블레이드(8)는 회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되고, 경사 위치로 인해 환형판의 회전시냉각수의 유동에 대해 단지 낮은 유동 저항만을 가하도록, 경사 위치가 형성된다. 즉, 냉각수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동되고(도 1A에 대한 설명 참조), 냉각수의 유동은 반경방향 외부로 직접 연장되지 않고 나선형을 이룬다. 각 블레이드(8)의 경사 위치는 상기 나선의 각 각도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이의 결과로 블레이드(8)는 통과하는 냉각수에 대해 낮은 유동 저항만을 가하게 된다. 환형판(7)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오리피스(5)를 가진 오리피스판(4)에 대한 블레이드(8)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8)는 환형판(7)의 관통부(27)에 삽입되고 관통부(27)에 부착된다. 오리피스판은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10)로 형성되고,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10)는 점선으로 도시된 블레이드 캐리어 축(11)에 부착된다.
도 5는 블레이드(8)가 환형판(7)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도 4의 블레이드(8)와 함께 도시된 환형판(7) 영역의 평면도이다. 블레이드(8)는 점선으로 도시된 관통부(27)에 삽입된다. 블레이드(8)는 스크류(31)에 의해 환형판(7)에 부착된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고, 이는 어떤 방법으로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캐리어(7), 즉 이를 위해 구성된 관통부(27)로 삽입되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그 다음에 스크류(31)가 블레이드(8)를 관통부에 압착시킨다.
도 6과 유사하게, 도 7은 블레이드(8)가 삽입되어 있는 관통부(27)와 함께 환형판의 일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블레이드(8)는 환형판(7)의 중앙 영역에서 마감되고, 환형판(7)의 중앙 영역에서 블레이드(8)의 후면은 헬리컬 스프링(32)과접촉되며, 헬리컬 스프링(32)은 접착부(33)에 대해 지지된다. 헬리컬 스프링(32)은 블레이드(8)에 대해 가압되고, 블레이드(8)는 환형판(7)에서 변위가능하게 따라서 조절가능하게 유지되며 결과적으로 상응 압력에 의하여 오리피스판(4)과 일정하게 접촉된다. 블레이드(8)가 마모되고 따라서 더 짧아질수록, 헬리컬 스프링(32)은 블레이드를 더 오리피스판(4)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가압시키고, 이는 발생되어 있는 마모를 완전히 보상하게 된다.
도 8은 도 7의 배열에 대한 변형을 도시하고 있고, 도 8에서 블레이드(8)의 후면은 상응 보어(35)에서 안내되는 피스톤(34)에서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보어(35)는 오리피스판(4)의 후면을 향하는 관통부(27)의 연속이다. 피스톤(34)은 유체 또는 가스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받게 되고, 이 압력은 보어(35)의 특정 채널(36)을 통하여 공급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블레이드(8)의 마모는 도 7에 개시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상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배열에 필요한 종류의 압력 매체의 공급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압력 매체는 블레이드 캐리어 축(10)을 통하여 중앙 분배기(37)로 이동되고, 중앙 분배기(37)로부터 압력 매체는 보어(38)를 통하여 블레이드 캐리어(10)를 거쳐 환형판(7)으로 이동된다.
도 10은 오리피스판(4)을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에 오리피스판(4)은 오리피스(4, 5)의 단지 하나의 원형 배열만을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4, 5)는 동일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가진 보어에 의해 형성되고, 블레이드(8)에 의해 소제된다.
도 11은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블레이드(8)와 3개의 오리피스(5)를 갖는 오리피스판(4)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블레이드(8)의 반경 방향 범위(R)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범위(R)는 오리피스(5)의 직경(D)보다 다소 크다. 그 결과 블레이드(8)가 오리피스(5)를 통해 공급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절단에 충분하게 되고,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범위(R)가 직경(D)보다 다소 크기 때문에 입자가 개별적으로 또한 독립적으로 절단되며, 이의 결과로 블레이드(8)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8)는 냉각수의 유동에 대한 최소한의 저항만을 받게 된다.

Claims (5)

  1. 오리피스(5, 6)는 오리피스판(4)에 원형 배열로 구비되고 블레이드 캐리어 축(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블레이드(8, 9)에 의하여 소제되며, 블레이드(8, 9)는 반경 방향에 대한 경사 위치로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10)에 의해 유지되고, 블레이드 캐리어 축(11)은 원형 배열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며, 냉각 매체는 입자화된 플라스틱 재료의 냉각을 위해 오리피스판(4)과 블레이드(8, 9)로 공급되고, 냉각 매체가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동되는 환형 중간 공간(26)이 블레이드 캐리어(10)와 오리피스판(4) 사이에 형성되는, 오리피스(5, 6)로부터 배출되는 열가소성 재료의 입자화 장치에 있어서,
    벨형 블레이드 캐리어(10)의 중공 공간(24)은 중간 공간(26)과 소통되고, 냉각 매체는 블레이드 캐리어(10)의 중공 공간으로부터 중간 공간(26)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는 열가소성 재료의 입자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블레이드 캐리어(10)에 부착되고 블레이드(8, 9)에 의해 관통되는 환형판(7)과 그리고 대향되게 배치된 오리피스판(4)에 의해서 중간 공간(26)이 양측면에서 밀폐되고, 블레이드(8, 9)는 오리피스판(4)과 접촉될 때까지 개별 강성 스트립의 형태로 환형판(7)으로부터 중간 공간(26)으로 돌출되며 오리피스판(4)을 향해 경사져 형성된 돌출부(27)의 환형판(7)에서 안내되고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입자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 공간(26)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8, 9)의 경사 위치는 환형판(7)의 회전시 형성된 유동에 블레이드(8, 9)가 낮은 유동 저항을 가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입자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8, 9)는 환형판(7)에서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하고, 환형판(7)은 오리피스판(4)으로부터 고정 간격을 두고 구성되며, 마모의 보상을 위하여 블레이드(8, 9)는 작동 중 압력 수단(32, 34)에 의하여 오리피스판(4)에 대해 개별적으로 가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입자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8, 9)의 반경방향 범위는 오리피스(5, 6)의 단면을 다소 초과하나 블레이드(8, 9)에 의해 수행되는 절단이 오리피스(5, 6)로부터 배출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분리된 플라스틱 입자로 절단하는 정도까지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입자화 장치.
KR10-2004-7001665A 2001-08-01 2002-07-23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열가소성재의 입자화 장치 KR20040027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7525A DE10137525A1 (de) 2001-08-01 2001-08-01 Vorrichtung zum Granulieren von aus Düsen austretende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10137525.5 2001-08-01
PCT/EP2002/008208 WO2003011547A1 (de) 2001-08-01 2002-07-23 Vorrichtung zum granulieren von aus düsen austretende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885A true KR20040027885A (ko) 2004-04-01

Family

ID=769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665A KR20040027885A (ko) 2001-08-01 2002-07-23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열가소성재의 입자화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40258784A1 (ko)
EP (1) EP1412151A1 (ko)
JP (1) JP2004535957A (ko)
KR (1) KR20040027885A (ko)
CN (1) CN1537043A (ko)
BR (1) BR0205822A (ko)
CA (1) CA2454071A1 (ko)
DE (1) DE10137525A1 (ko)
MX (1) MXPA04000872A (ko)
TW (1) TW575486B (ko)
WO (1) WO2003011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9862B4 (de) * 2004-10-13 2013-08-01 Automatik Plastics Machinery Gmbh Messerrotor zum Granulieren von Kunststoffsträngen
AT507066B1 (de) * 2008-09-18 2010-02-15 Econ Maschb Und Steuerungstech Vorrichtung zum granulieren von kunststoff
DE102008049054A1 (de) * 2008-09-26 2010-04-01 Automatik Plastics Machinery Gmbh 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r Lochplatte eines Extruders
DE102009006123B4 (de) * 2009-01-26 2019-01-10 Maag Automat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ranulier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material
DE202009015876U1 (de) * 2009-11-20 2010-03-04 Automatik Plastics Machinery Gmbh Vorrichtung zum Granulieren
JP2014069525A (ja) * 2012-10-01 2014-04-21 Japan Steel Works Ltd:The 樹脂造粒用ダイプレート
DE102013015190A1 (de) * 2013-09-11 2015-03-12 Automatik Plastics Machiner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berflächig kristallinen sphärischen Granulaten mittelsTrockenheißabschla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22108106A1 (de) 2022-04-05 2023-10-05 Lean Plastics Technologies GmbH Messerkopf für eine Vorrichtung zur Unterwassergranulierung
DE102022117007A1 (de) 2022-07-07 2024-01-18 Maag Germany Gmbh Unterwassergranulier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7957A (en) * 1965-06-11 1967-05-09 Nrm Corp Pelletizer
DE1977175U (de) * 1967-09-29 1968-01-18 Hermann Berstorff Maschb G M B Vorrichtung zum granulieren von kunststoffen, beispielsweise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DE2646309C3 (de) * 1976-10-14 1980-02-21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Unterwasser-Granuliervorrichtung für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US4300877A (en) * 1979-01-10 1981-11-17 Sterling Extruder Corp. Underwater pelletizer
IT1180182B (it) * 1984-06-08 1987-09-23 Montedison Spa Dispositivo di taglio per la granulazione a caldo di polimeri termoplastici
US4621996A (en) * 1985-04-24 1986-11-11 Gala Industries, Inc. Removable die center for extrusion dies
US5017119A (en) * 1990-04-03 1991-05-21 Lauri Tokoi Cutting means for underwater pelletizer
US5330340A (en) * 1992-03-25 1994-07-19 The Black Clawson Company Pelletizer with automatic knife adjustment
US5593702A (en) * 1995-12-15 1997-01-14 Shell Oil Company Underwater pelletizer having shroud element mounted to die face
US5611983A (en) * 1995-04-28 1997-03-18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pelletizing polymer
DE19637378A1 (de) * 1996-09-13 1998-03-19 Werner & Pfleider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Granulieren von Kunststoffen
US6551087B1 (en) * 1999-09-21 2003-04-22 Gala Industries, Inc. Flow guide for underwater pellet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11547A1 (de) 2003-02-13
MXPA04000872A (es) 2005-07-01
DE10137525A1 (de) 2003-02-13
BR0205822A (pt) 2003-07-29
CN1537043A (zh) 2004-10-13
JP2004535957A (ja) 2004-12-02
EP1412151A1 (de) 2004-04-28
CA2454071A1 (en) 2003-02-13
US20040258784A1 (en) 2004-12-23
TW575486B (en)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4350A (en) Plastic extruder assembly
KR100603137B1 (ko) 펠렛제조기의 유수 가이드
US6925741B2 (en) Sectioned adjustable water flow guide for pelletizer
CA2744983C (en) Apparatus for granulating hot cut
KR100836242B1 (ko)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열가소성재의 입자화 장치
KR20040027885A (ko)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열가소성재의 입자화 장치
US20070254059A1 (en) Center heated die plate with two heat zones for underwater pelletizer
US5292240A (en) Pelletizer with cutting knife control
US5652000A (en) Pelletizer particularly suitable for pelletizing water-dispersible melt-extrudate
EP0797495A1 (en) Pelletizer particularly suitable for pelletizing water-dispersible melt-extrudate
SU8211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гранулировани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WO2006022733A1 (en) High pressure liquid jet cutting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polymer pel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