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003A - 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003A
KR20040016003A KR1020020048189A KR20020048189A KR20040016003A KR 20040016003 A KR20040016003 A KR 20040016003A KR 1020020048189 A KR1020020048189 A KR 1020020048189A KR 20020048189 A KR20020048189 A KR 20020048189A KR 20040016003 A KR20040016003 A KR 2004001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getation
wall
block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연
이준혁
김순분
서경화
권영휴
민권식
이강우
김현수
안근영
정운익
김학기
박종훈
방광자
김선혜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2004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6003A/en
Publication of KR2004001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00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greening a wall surface of a structure by constructing a supporting unit on the outer wall surface thereof, placing a collapsible planting block on the supporting unit and then planting plants in the collapsible planting block is provided., thereby easily and quickly greening the structure with desired plants and efficiently greening downtown areas with safety. CONSTITUTION: A system for greening a wall surface of a structure comprises: a support frame(100) containing a supporting unit; a collapsible planting block placed on the upper and lower end parts of the support frame; a planting unit(300) containing various plants and soil; an irrigation system(400) containing a rainwater collecting device(410), a drainage pipe(420), a return pipe(450), a pump(440) and a water collecting tank(430). The collapsible planting block is fabricated by modulating a plurality of lattice-type frames and assembling them.

Description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벽면녹화방법{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벽면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옹벽, 석축, 도심지 공동주택(특히 아파트), 오피스텔 등과 같이 외기에 전면이 노출되는 구조물 벽면에 신속하게 녹화 가능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한정된 도심의 부지 내에서 주변 녹지환경이 충분히 조성될 수 없어 삭막한 주거 등의 공간의 양산으로 인한 거주자들의 정서적, 심미적인 요소만이 아닌 총체적인 도심지 환경 측면에서 심각한 부정적인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환경생태적 개선, 도시경관의 향상, 거주자의 삶의 질적 개선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구조물 벽면의 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벽면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and a structure wall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means for quickly recording on the walls of the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retaining walls, stone buildings, urban apartments (especially apartments), officetels, etc., the surrounding green space environment can be sufficiently created within the limited urban site Considering the fact that not only the emotional and aesthetic factors of residents due to the mass production of spaces such as dull housing, but also serious negative factors appear in terms of the overall urban environment,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ecology,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and a method of recording a wall of a structure using the same, which enable the greening of a structure wall most suitable for improvement and economics.

최근에 도심 내 입체녹화와 관련하여 구조물 시공 시 친환경적 계획, 시공 및 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단으로서 생태공원, 인공습지, 인공지반녹화, 구조물의 입면 및 발코니녹화 등이 추진되고 있다.Recently, eco-friendly plann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r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s in the city center, and as such means, ecological parks, artificial wetlands, artificial ground greening, elevation of structures and balcony greening are being promoted.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도심 내의 구조물의 녹화로서 옥상녹화, 아파트와 같은 구조물의 경우 발코니에 화단을 별도로 형성시킨 발코니녹화, 구조물의 벽면에 별도의 식생포트를 설치하여 부분적인 벽면녹화방법이 개발되어 도심지의 녹지부족에 의한 거주자의 녹지확보 의지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여러 법률적인 보완 하에 시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as the greening of the structure in the city cent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oof recording, in the case of a structure such as an apartment, a balcony recording in which a flower bed is formed on the balcony separately, and a separate vegetation port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structure to develop a partial wall recording method. Various ways to satisfy residents' willingness to secure green space due to lack of greenery are being implemented under various legal supplements.

특히 구조물의 옥상녹화 방법이 가장 활발하게 시행되어, 다수의 도심지 구조물에 적용되고 있으며, 옥상뿐만 아니라 중간층에도 별도의 녹화공간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형성시키는 방법까지 보급되어 있다. 하지만 옥상녹화는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거주자의 휴식공간으로서 이용될 수는 있으나 구조물 자체의 녹화기법으로서 이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중간층에 별도로 녹화공간을 만드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구조물 자체의 형상을 어떤 식으로든 변형시켜야 하기 때문에 구조물 설계 당시부터 이를 고려하여 시공하여야 하므로, 기존 구조물에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rooftop recording method of the structure is most actively implemented, and is applied to many urban structures, and a method of separately forming a space for a separate greening space in the middle floor as well as the rooftop is spread. However, since roofing is rarely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be used as a resting space for residents, but it is limited to be used as a recording method of the structure itself. Since it must be transformed in any way, it must b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from the time of desig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pply to existing structures.

또한, 구조물의 벽면을 녹화하는 방법으로서, 도1과 같이 벽면(1)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식생포트(2)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다양한 형상의 블록을 형성시키고 상기 식생포트에 주로 관목 형태의 식물을 심어 구조물 벽면을 일부 장식화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블록을 형성시키는데 다소 시공 상 번잡하고, 특히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식물의 관수 등 관리 부족으로 고사하는 경우가 많고, 구조물 벽면의 일부 녹화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건물 전체와주변 빌딩간의 조화된 녹화방법으로 이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a method for recording the wall surface of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1 in a zigzag form at regular intervals on the wall surface 1, forming a block of various shapes so that the vegetation port (2) is formed inside and mainly in the vegetation port Planting plants in the form of shrubs to decorate the wall part of the structure has been used, but this method is somewhat cumbersome in construction to form blocks, and in particular due to the lack of management, such as watering of plants over time, Although there may be effects for some greening of the wall of th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limited to be used as a harmonized greening method between the whole building and the surrounding buildings.

또한 아파트와 같은 구조물의 경우 발코니에 별도로 간이화단을 형성시켜 상기 화단에 식물을 식재 함으로써 나름대로 구조물을 녹화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대부분 개별 세대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물 외부를 녹화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관리부족으로 지속적인 녹화수단으로서 기능하지 못하고, 특히 아파트 측벽과 같이 개구부가 없는 부위는 녹화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tructure such as an apartment, a simple flower bed is formed on the balcony to plant plants on the flower bed. However, the structure is recorded in its own way.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function as a continuous greening means due to lack, and in particular, areas without openings such as side walls of apartments cannot be greened.

이에, 구조물의 외부 벽면에 보다 시공이 간편하고,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신속한 녹화가 가능한 녹화시스템 및 방법, 적절한 수종의 선택방법 및 기준의 개발을 통하여 도시미관 개선, 거주자의 정서적 안정, 건물자체의 내구성 보완, 방음 및 방재효과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구조물 녹화기법의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Therefore, the city's aesthetics can be improved, the emotional stability of residents, and the buildings themselves are develop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recording system and method that is easier to construct on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can be managed continuously, and can be quickly recorded, and a selection method and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specie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recording technique that can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durability improvement, sound insulation and disaster prevention effect.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고층화되어 가고 있는 아파트 및 일반구조물의 경우 구조물의 입면적이 평면적보다 훨씬 넓으며 경관적 영향도 더 크다 할 수 있음에도 별도의 구조물 벽면녹화기법이 개발되지 않았음에 착안하여, 구조물의 벽면녹화를 통한 입체적인 도심지 구조물의 경관 개선을 얻을 수 있으며, 옹벽, 방음벽, 가설 토류벽, 전시벽 등 인공 구조물에도 적용 가능한 구조물의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cus on the fact that, especially in the case of apartments and general structures that are becoming higher floors, a separate wall recording technique has not been developed, although the area of the structure may be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plan and the landscape effect may be greate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 of the three-dimensional downtown structure through the wall recording of the structure, and to provide the greening method of the structure applicable to the artificial structure such as the retaining wall, the soundproof wall, the temporary earth wall, the exhibition w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의 벽면녹화를 통해서 구조물 표면의 복사열을 감소시켜 도시 열섬화 현상을 완화시키는 등 도시기후의 조절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불어 동절기 단열효과 등 에너지 사용 절감에도 도움이 되는 구조물의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radiant heat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wall recording of the structure to mitigate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to obtain the urban climate control effect, and also to help to reduce energy use, such as winter insulation effect It is to provide a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물의 벽면녹화에 따라 구조물의 벽면에 작은 새나 곤충이 서식할 수 있는 생육환경이 조성될 수 있고, 벽면에 형성된 식물에 의한 대기오염농도 감소, 소음 감소 등 인간과 동식물을 위한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구조물의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growth environment in which small birds or insects can be inhabit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wall recording of the structure, reducing the air pollution concentration by plants formed on the wall, noise and other plants and animals It is to provide a greening method of the structure that can create an ecological environ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기에 노출된 구조물의 산성비 및 자외선 차단으로 벽 표면온도의 일교차, 계절교차, 습도변화가 적게 되어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이 방지되고, 침식, 도료탈색이 방지되는 등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물의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cid rain and ultraviolet rays of the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air, so that the crossover, seasonal crossover, and humidity change of the wall surface temperature are reduced to prevent cracking of the concrete surface, and to prevent erosion and paint discoloration. It is to provide a greening method of the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물의 벽면녹화를 위해 식물의 식생기간과 관계없이 신속하게 기존 건물 및 새로운 구조물 벽면을 녹화할 수 있고, 필요시 녹화의 면적을 임의로 제한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교체 및 해제가 가능한 구조물의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ickly record the wall of the existing building and the new structure, regardless of the vegetation period of the plant for wall recording of the structure, optionally limit the area of greening if necessary, replacement and release at any time It is to provide a greening method of the structure.

도1은 종래의 구조물 벽면에 식재포트를 이용한 녹화기법의 예이다.1 is an example of a greening method using a planting port on a wall of a conventional structure.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구조물 벽면에 형성된 지지대 및 지지수단의 구체예 및 지지수단에 결합된 조립식 식생블록의 연결수단의 부분 결합사시도의 구체예이다.Figures 2a and 2b is an embodiment of a partial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means formed on the wall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ion means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coupled to the support means.

도3a,도3b,도3c 및 도3d는 본 발명의 조립식 식생블록을 구성하는 격자 틀, 격자 틀의 결합도, 격자 틀에 식물이 덮여진 상태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다수의 격자틀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의 구체예이다.Figures 3a, 3b, 3c and 3d is a lattice frame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of the lattice frame, the front and side views of the vegetation covered with the lattice frame and a plurality of lattice frame is combined It is an example of the front view of a state.

도4는 본 발명의 구조물 벽면 녹화시스템의 관수시스템의 구체예이다.4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watering system of the 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관수시스템에 설치되는 자동관수시스템의 구체예이다.5 is a specific example of an automatic watering system installed in the wate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a,도6b 및 도6c는 본 발명의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의 설치순서도의 구체예이다.6A, 6B and 6C are specific examples of the installation flowchart of the 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이 아파트 구조물에 적용된 구체예이다.7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partment structure.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Short description of drawing symbols>

100:지지대110:지지수단100: support 110: support means

200:조립식 식생블록210:연결수단200: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10: connecting means

300:식생수단 400:관수시스템300: vegetation means 400: watering system

500:자동관수시스템500: automatic watering system

본 발명의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구조물이 존재하는 현장과 분리된 장소에서 구조물의 녹화에 맞는 식물이 이미 덮여져 형성된 일종의 격자형상으로 제작된 격자 틀의 조립체인 조립식 식생블록을 제작하여, 현장에서 구조물 벽면의 면적 및 형상을 고려하여 완성한 후, 구조물의 벽면에 미리 설치한 지지대에 크레인 등과 같은 양중장치로 상기 조립식 식생블록을 단순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조물의 벽면녹화를 가능하게 하여 현장 설치작업을 최소화하고, 언제든지 해체가 가능하며, 조립식 식생블록에 식재되는 식물을 사전에 구조물의 용도, 기능, 온도 및 습도, 장소와 같은 외부환경에 맞도록 미리 선택할 수 있으며, 조립식 식생블록 전체에 미리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 신속하게 구조물 벽체 전면의 녹화가 가능하고, 필요시 조립식 식생블록의 일부분에만 식물을 식재 함으로써, 점증적인 구조물의 벽면녹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핵심적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2 내지 도5를 기준으로 구조물의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벽면녹화방법을 상세히 살펴본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which is an assembly of a lattice frame made of a kind of lattice shape formed by covering the plants suitable for the greening of the structure in a separate place from the site where the structure exists, After completing the constru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and shape of the wall of the structure in the field, the installation of the site by enabling the wall recording of the structure by simply installing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with a lifting device such as a crane on a support previously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structure Can be dismantled at any time, and the plants planted in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can be pre-selected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purpose, func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tructure, and the plant in advance. When planting the plant, it is possible to quickly green the front of the structure wall, and if necessary, prefabricated By planting only a part of the fresh block, the core technical features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all recording of the structure, and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the wall recording system of the structure and the same with reference to FIGS. Examine the wall recording method of the used structure in detail.

<구조물의 벽면녹화시스템><Wall recording system of structures>

본 발명의 구조물의 벽면녹화시스템은 구조물 외부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앵커 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으로서, 지지수단이 형성된 지지대(100); 조립된 상태에서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격자 틀의 조립체로서, 상기 지지대의 지지수단에 대응하는 연결수단이 격자 틀 조립체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조립식 식생블록(200); 및 상기 조립식 식생블록의 하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랜터(planter)로서, 다양한 식물 및 토양을 포함하는 식생수단(300);을 포함한다.Wall recording system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 shape that is fixed by a fixture such as an ancho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tructure, the support means 100 is formed; An assembly of a lattice frame installed on the support using a lifting device in an assembled state,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having connec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means of the support formed on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attice frame assembly; And a planter (planter) installed to be detachable under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the vegetation means 300 including various plants and soil.

본 발명의 벽면녹화 대상인 구조물은 일반주택,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사무용 건물과 같은 도심지 녹화에서 가장 큰 구성비율을 차지하는 것부터 옹벽, 방음벽, 가설 토류벽, 전시벽 등 반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구축되는 구조물을 포함한다.Structures subject to wall recor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tructures that are semi-permanently or temporarily constructed such as retaining walls, soundproof walls, temporary earth walls, exhibition walls, etc., which occupy the largest constituent ratio in urban greening such as general houses, apartment houses such as apartments, and office buildings. do.

즉 다양한 외부환경에 전면이 노출되어 영향 받으면서 주변 녹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평면적보다 입면적이 휠씬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구조물의 벽면(특히 아파트의 측벽부)에 적용됨으로써, 주변 시설물과의 입체녹화가 가능하고(비오톱<Biotope>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녹화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구조물이 본 발명의 주요 적용대상이 된다. 이로써 도심지에 인위적으로 형성된 기존 녹화시설과 어울리는 도심지 녹화라인의 형성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which can have an absolute effect on the surrounding greening. Structures capable of recording (which may have the function of Biotope) and capable of exhibiting various recording effects are the mai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orm an urban greening line that matches the existing greening facility artificially formed in the urban area.

특히 아파트, 사무용 건물의 측벽과 같이 단순히 구조물을 구분하거나 미관상의 이유로 다양한 유성페인트로 색상이 입혀진 상태와는 달리 다양한 식물이 형성됨에 따라, 입체적인 경관형성이 가능함은 물론, 벽면녹화를 통해 구조물의 표면의 복사열을 감소시켜 도시 열섬화 현상을 완화시키는 등 도심지 기후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동절기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도심지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조류나 곤충이 서식할 수 있는 생육환경이 자연스럽게 조성될 수 있고, 식 재된 식물에 따라 대기 오염의 감소, 소음의 감소 등 생태학적으로 유리한 환경조성이 가능해지고, 산성비 및 자외선의 차단으로 벽면 표면온도의 일교차, 계절교차, 습도변화가 자연스럽게 조절되어 통상적으로 구조물의 벽면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이 방지되어, 상기 균열에 의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수 있고, 특히 구조물 외부에 도포된 도료의 탈색 등으로 인한 보수작업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발휘된다. 나아가 옹벽, 가설 토류벽과 같이 단순히 절개지 지지벽으로 기능하는 벽면의 전면녹화가 가능하여 미관이 수려하고, 다양한 생태적 장점을 가지게 할 수 있으며, 방음벽과 같이 일단 설치된 후에 별도의 관리가 없는 경우, 심한 오염에 의하여 흉측스러운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청소하기에도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는 등 여러 불리한 점이 많으나 자연스러운 식물의 녹화에 의해 방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차가운 느낌의 알루미늄 판과 같은 재질적 느낌과는 달리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자연 그대로의 색상감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전시벽을 구성함에 있어 식물에 의한 녹화가 가능하여 보다 수려한 가시적인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unlike various types of oil paints, such as the side walls of apartments and office buildings, or because of various aesthetic paints for aesthetic reasons, various plants are formed, allowing for the formation of a three-dimensional landscape and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hrough wall recording. It can reduce urban heat island by reducing radiant heat, and can achieve climate control effect in urban area, furthermore, obtain thermal insulation effect in winter, and naturally create a growth environment in which birds and insects, which are hardly found in urban areas, can live. According to the planted plant, it is possible to create ecologically favorable environment such as reducing air pollution and reducing noise,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aily crossover, seasonal crossover and humidity change of wall surface temperature naturally by blocking acid rain and ultraviolet rays. The cracks in the concrete surface that make up the walls of the structure It is not, and can prevent the durability deterioration of the concrete due to the crack, the advantage that especially requires maintenance due to discoloration, etc. of the co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can be exhibit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entire surface of the wall functioning simply as the incision support wall such as the retaining wall and the temporary earth wall, so that the aesthetics can be beautiful and have various ecological advantages. It is often left in an ugly state, and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such as extra cost to clean it, but it is possible to enhance sound insulation effect by natural greening of plants, and material like cold aluminum plate Unlike the feel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feel the natural color that gives a soft and comfortable feeling.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various exhibition walls can be planted by the plant has the advantage of promoting more beautiful visual effects.

상기 지지대(100)는 도6a와 같이 본 발명이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측벽에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support 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ide wall of a multi-unit house such as an apartment, as shown in FIG. 6A.

지지대(100)는 후술되는 조립식 식생블록(200)을 거치할 수 있는 지지수단(110)이 형성되어 아파트 측벽(130)의 높이 및 폭에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하로 형성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앵커와 같은 고정구(120)에 의하여 지지수단과 함께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다.The support 100 is formed of a support member 110 that can be mounted on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a plate-lik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depending on the height and width of the side wall 130 of the apartment As, it is fixed to th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support means by a fixture 120 such as an anchor to be fixed to the structure, such as concrete.

도6a에는 아파트의 측벽에 3단으로 조립식 식생블록(200)을 설치하기 위해총 6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간격 및 설치 개수 는 얼마든지 구조물의 높이, 녹화면적의 제한 등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In FIG. 6a, a total of six pieces are formed to install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in three stages on the side wall of the apartment, but the spacing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ructure and the limitation of the greening area.

지지대(10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수단(110)의 구체예를 측면도로서 도시한 것이 도2a이며, 조립식 식생블록의 연결수단(210)과 함께 결합된 분리사시도가 도2b이다.Figure 2a is a side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support means 11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pport 100, a separate perspective view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means 210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is shown in Figure 2b.

상기 지지수단(110)은 도2a와 같이, 후술되는 조립식 식생블록(200)의 연결수단(210)과 대응하여 그 위치 및 갯수가 정해지며, 상기 조립식 식생블록(200)을 지지대(100)에 지지되도록 하면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도2b와 같이 U자 형상으로서, 지지대에 접하여 고정된 수직지지부(111); 상기 수직지지부(111) 하부에 접하여 직각으로 형성되며, 지지블록이 돌출단부에 형성된 수평지지부(112); 상기 수평지지부 안쪽에 스프링(113)에 의하여 수직지지부로 이동 가능한 누름판(114); 및 상기 누름판 및 수평지지부의 지지블록 사이에 형성된 이동 제어용 제어핀(115);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2a, the support means 110 is determined in position and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means 210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to the support 100 It serves to be fixed while being supported, the overall cross-sectional shape is a U-shaped, as shown in Figure 2b, a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fix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A horizontal support part 112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111 and having a support block formed at a protruding end thereof; A pressing plate 114 movable to a vertical support part by a spring 113 inside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nd a control pin 115 for movement control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and the support block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상기 수직지지부(111)는 지지대(100)에 접하여 형성되며 지지대(100)에 앵커와 같은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되는 바(bar)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시켜 삽입되는 대상이 충격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support 111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00 and is a bar-shaped member that is fixed to the support 100 by a fastener, such as an anchor, the upper portion is formed by a hook shape, the object inserted into the impact It is preferable not to be easily separated by.

수평지지부(112)는 상기 수직지지부(111) 하부에 직각으로 돌출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위에 조립식 식생블록의 연결수단(210)이 걸쳐 고정될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고, 돌출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지지블록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누름판(114)이 스프링(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있고, 후술되는 누름판의 이동가이드용 홈이 지지블록 및 상기 수용홈 사이에 형성된다.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projecting at right angl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1, the trapezoidal receiving groove can be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means 210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can be fixed over the middle portion. And, the support block is formed vertically upwardly at the projecting end so that the pressing plate 114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upported by the spring 113, the groove for the movement guide of the pressing plate to be described later between the support block and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누름판(114)은 ㄱ 자 형상의 블록으로서, 상기 수평지지부(112)의 지지블록에 한쪽 단부가 지지되는 스프링(113)의 탄성력에 의하여 수평지지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부의 이동가이드용 홈에 형성되어 있다. 즉, 수평지지부에 삽입되는 조립식 식생블록의 연결수단이 도2b와 같이 삽입되면서 누름판이 수평지지부의 지지블록쪽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접하여 형성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부의 충격 등으로 연결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수단(210)을 조여주게 된다. 나아가 상기 ㄱ 자 블록의 상부에는 반원형 등과 같이 조립식 식생블록이 용이하게 미끄러져 끼워지도록 미끄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ing plate 114 is an L-shaped block, the horizontal gu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so as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13, one end is supported on the support block of the horizontal support 112 It is formed in the dragon groove. That is, as the connecting means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inserted as shown in FIG. 2B, the pressing plate is pushed toward the supporting block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the connecting means is not separated by external impact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formed in contact thereto. Tighten the connecting means 210 so as not to.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a slid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shaped block so that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is easily slipped into a semicircular shape or the like.

나아가, 누름판(114)이 설치된 상태에서 조립식 식생블록(200)이 더욱 확실하게 이동되지 않도록, 위치제어용 제어핀(115)을 누름판(114) 및 수평지지부의 지지블록 사이에 형성시킬 수 있다. 단지 이러한 제어핀의 작동에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누름판과 수평지지부의 지지블록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의 경우도 상기 위치제어용 제어핀으로 대체하여 설치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pin 115 for position control may be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114 and the supporting block of the horizontal support so that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does not move more reliably in the state where the pressing plate 114 is installed. Only the operation of such a control pin is additionally installed because it requires additional work, in the case of a spring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and the support block of the horizontal support may be installed by replacing the control pin for position control.

상기 지지대(100) 및 지지대에 형성된 지지수단(110)은 외부에 항상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되도록 부식되지 않는 재질의 스테인레스 또는 내구성이확보된다면 경량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support 100 and the support means 110 formed on the support are always installed in an exposed state to the outside, if the stainless steel or durability of the material which is not corroded is secured,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lightweight reinforced plastic.

조립식 식생블록(200)은 후술되는 식생수단(300)에 의하여 식물이 덮여지는 격자 틀이 다수 조립된 조립체이다.(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다양한 식물이 자생하기 위한 토양, 인공양분 등이 포함되지 않고, 단지 덩굴식물과 같은 식물이 감아 올라 가기 위한 유도로 역할을 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의 기능을 담당한다.) 즉, 기본적인 격자 틀 다수가 조립되어 본 발명의 조립식 식생블록이 완성된다. 상기 기본적인 격자 틀은 도3a와 같이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3b와 같이 상하 좌우로 클램프 등과 같은 연결구 또는 용접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으며, 도3c와 같이 식생수단(300)이 하부에 결합되어 식생수단에 식재된 식물이 덮여진 상태로 제작되어 최종적으로 특정 높이로 조립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3d이다.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is an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lattice frames are covered by vegetation means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soil, artificial nutrients, etc. for growing various plants therein are not included therein). , It functions only as a cuboid-shaped block that serves as a guide for winding up a plant such as a vine plant. That is, many basic lattice frameworks are assembled to complete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lattice frame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s shown in FIG. 3A, and may be assembled by welding or welding such as clamps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3B, and the vegetation means 300 is coupled to the bottom as shown in FIG. 3C. The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means are covered and finally assembled to a specific height. This state is shown in Fig. 3D.

즉, 조립식 식생블록(200)은 다양한 크기로 부식되지 않고, 경량재료인 스테인레스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서 제작된 격자 틀의 조립체로서, 다양한 식물이 덮여져 제작된 상태의 격자 틀이 현장에 운반되어, 적용되는 구조물의 벽면 면적 등에 따라 현장에서 도3d와 같이 조립되어, 최종적으로 도6b 및 도6c와 같이 구조물의 벽면에 기 설치된 지지대(100)에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설치된다.That is,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is an assembly of a grating frame made of stainless steel or reinforced plastic, which is a lightweight material, without being corroded to various sizes, and the grating frame having various plants covered is transported to the site for application. It is assembled as shown in Figure 3d according to the wall surface area of the structure to be, and finally is installed using a lifting device on the support 100 is already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s 6b and 6c.

도3a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제작된 조립식 식생블록의 일부를 구성하는 격자 틀을 도시한 것이다. 일정한 크기(예컨대, W1000*D500 또는 W500*D250 등)로모듈화되어 이용된다. 단지 조립 시 설치 위치에 따라 부가적인 요소가 결합될 수 있는데, 도3d와 같이 가장 상부에 형성되는 조립식 식생블록의 격자 틀은 상부면에 연결수단(210)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고, 가장 하부에 형성되는 조립식 식생블록의 격자 틀은 하부 면에 역시 연결수단(210)이 별도로 형성된다.Figure 3a illustrates a lattice framework that forms part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fabricated as the most common form. It is used in a modular size (eg W1000 * D500 or W500 * D250). When assembling, additional elements may be coupl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s shown in FIG. 3D, the grid frame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formed at the top thereof has a connecting means 2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The grid frame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is also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210 is formed separately.

중간에 서로 조립되는 것은 도3b와 같이 클램프 등과 같은 연결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클램프 이외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핀이 삽입되면서 상하 식생블록이 서로 조립될 수도 있고 서로 용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구조물의 벽면의 면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반드시 사각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장식적 효과를 위해 얼마든지 원형, 삼각형, 동물형상, 특정 형상으로 제작될 모자이크의 부분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Assembled with each other in the middle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or such as a clamp, as shown in Figure 3b, although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clamp, the upper and lower vegetation block may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as the connecting pin is inserted or welded to each other. Furthermore,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wall surface of the structur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rectangular shape, but can be manufactured as circular, triangular, animal shape, or partial shape of the mosaic to be made in a specific shape for decorative effect. Can be.

도3d는 특히 지지대(100)에 설치되는 조립식 식생블록(200)을 구성하는 격자 틀의 조립체의 구체예를 도시한 것인데, 식생수단(300)이 조립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Figure 3d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assembly of the lattice frame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is installed in particular in the support 100, the vegetation means 30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ssembly.

상기 식생수단(300)은 일종의 플랜트 박스(plant box)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식재되는 식물이 지속적으로 식생할 수 있도록, 인공토양 및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제작되어 탈착이 가능하도록 받침대, 용접, 앵커 등에 의하여 상기 조립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부식되지 않고 경량재료인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그 크기 및 재질은 구조물 벽면의 면적 및 조립식 식생블록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vegetation means 300 serves as a kind of plant box (plant box) so that the planted plant can be continuously vegetated, including artificial soil and drainage means are produced so as to be removable, pedestal, welding, anchor, etc. It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ssembly, and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of a lightweight material without corros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ize and the materi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structure wall surface and the size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식생수단의 식물은 본 발명의 조립식 식생블록(200)이 적용되는 구조물의 용도, 외부환경 및 위치 등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도심지 아파트의 경우 고층화되고, 일정 방향(특히 남향)으로 아파트의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일조조건이 정해지고, 대기오염에 의한 영향을 덜 받으며, 주변 녹지와도 어울릴 수 있는 종류가 선택되어져야 한다. 물론 다른 구조물의 경우에도 유사한 조건이 적용될 수 있다.Vegetation means of vegetation mean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external environment and location of the structure to which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specially in the case of downtown apartments are high-rise, and the direction of the apartment in a certain direction (especially south) Since the location is determined, the sunshine conditions must be determined, which is less affected by air pollution, and must be selected to match the surrounding green space. Of course, similar conditions may apply to other structures.

벽면녹화를 위한 식물들은 식생환경(배수, 최소 토심, 일조량, 계절영향 등)에 따라 다양한 생육상태가 나타날 수 있는데, 구조물의 벽면녹화를 위해 가장 최선의 식물은 더 많은 실험과 결과를 토대로 선택되어야 하고, 본 발명에서는 특히 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 (S. et Z.) Planch.), 송악(Hedera rhombea Bean.),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Rupr.),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줄사철(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Sieb. et Xiq.) Rehder), 으름덩굴(Akebia quinata DECNE.), 다래(Actindia argute), 등나무(Wisteria floribunda),덩굴장미(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Thunb.), 칡(Pueraria thunbergiana (S.et Z.)Benth.) 등 덩굴식물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보며, 상기 식생환경에 가장 잘 적응하고, 일반적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관리로 정상적인 생육을 확보할 수 있다.Plants for wall recording may have various growth conditions depending on vegetation environment (drainage, minimum soil, sunshine, seasonal effects, etc.). The best plants for wall recording of structure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more experiments and results.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 et Z.) Planch. asiaticum var.intermedium Nakai, Euonymus fortunei var.radicans (Sieb. et Xiq.) Rehder, Akebia quinata DECNE., Actindia argute, Wisteria floribunda, Rosa rose Vine plants, such as multiflora var. platyphylla Thunb.) and Pueraria thunbergiana (S.et Z.) Benth.,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suitable and are best adapted to the vegetation environment, are generally available for purchase, and with minimal care. Normal growth It can be secured.

이러한 식생수단은 최소한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인공적으로 식물을 구조물의 벽면에 식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필연적인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의 핵심은 배수 및 시비의 제공 여부이다.Such vegetation means require minimal management, which is an inevitable problem caused by artificially planting plants on the walls of the structure. The key to this problem is the provision of drainage and fertilization.

즉, 식생수단의 식물이 성장 또는 생존을 최소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수분 및 시비가 필수적이며, 이는 최소한의 관리로서 달성되어야 한다. 이에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시스템을 본 발명에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는데, 이러한 관수시스템(400)은 구조물 상부에 형성되며, 식생의 양분 공급장치(411)가 포함된 우수집수구(410); 상기 우수수집구에 하부에 연결되는 파이프로서, 조립식 식생블록의 식생수단에 역시 연결되어 중력식으로 수집된 우수 및 양분을 공급해주는 배수파이프(420); 상기 구조물 지반에 매립되어 배수파이프가 연결됨으로서 최종적으로 우수의 필터링 및 집수 가능한 집수정(430); 상기 구조물 지반 또는 지표면에 설치되며, 집수정에 의하여 필터링된 우수를 구조물 상부에 설치된 우수집수구에 재반송하는 펌프(440);를 포함하며,In other words, the necessary moisture and fertilization is essential for the vegetation plant to maintain minimal growth or survival, which should be achieved with minimal car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watering system for supplying the water necessary for plants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watering system 400 is formed on the upper structure, rainwater catchment 410 including the nutrient supply device 411 of the vegetation ); A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ainwater collecting port, the drain pipe 420 connected to the vegetation means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to supply rainwater and nutrients collected by gravity; A water collecting well 430 capable of finally filtering and collecting water by being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structure and connected to a drain pipe;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or ground surface of the structure, the pump 440 for returning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sump well to the rainwater collection port installed on the structure;

이러한 관수시스템(400)을 최소한의 노력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동 관리시스템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 자동관리시스템(500)은 외부온도센서, 습도측정센서, 식생수단의 양분측정센서 등과 같은 센서부(510); 상기 센서부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520);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펌프 및 양분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30); 및 상기 제어부 및 입력부의 입력수치 및 제어수치를 표시하는 출력부(540);를 포함하며, 도4 및 도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단지 이러한 관수시스템 및 그 자동시스템은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사항이며, 구조물의 외부환경 등에 따라 적의 추가 선택되게 된다.As a means for managing the watering system 400 with a minimum of effort, an automatic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and the automatic management system 500 includes a sensor such as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measuring sensor, a nutrient measuring sensor of vegetation means, and the like. Unit 510; An input unit 520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of the sensor unit; A control unit 5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and the nutrient supply device by comparing with a reference value preset by the signal input by the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540 for displaying the input values and the control values of the controller and the input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Only such watering system and its automatic system is a matter that can be selectively ad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my is addition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structure.

상기 관수시스템(400)은 기본적으로 관수를 위해 우수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우수를 구조물의 상부(아파트의 경우 옥상)에서 우수집수구(410)를 이용하여 집수하여 배수파이프(420)를 본 발명의 조립식 식생수단(200)의 하부에 설치된 식생수단(300)에 연결하여 중력식으로 공급하고, 관수에 필요한 우수를 제외한 여분의 우수는 구조물의 지반에 매립된 집수정(430)을 통해 다시 집수한 후, 필터링하여, 건조기에 다시 펌프(440)를 이용하여 구조물 상부의 우수집수구에 반송파이프(450)이용하여 반송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파트에 설치된 상태인 도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The irrigation system 400 basically uses rainwater for irrigation, and collects the rainwater using the rainwater catchment 41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cture (on the roof in the case of an apartment) to drain the pipe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vegetation means 30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getation means 200 and supplied by gravity, and the extra rain except for the excellent water required to collect again through the sump 430 buried in the ground of the structure, By filtering, using the pump 440 back to the dryer can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conveying pipe 450 using the conveying pipe 450 to the rainwater collection por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4 installed in the apartment,

상기 우수집수구(410)는 구조물의 상부(아파트의 옥상 등)와 같은 장소에 우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는 깔때기 형상의 호퍼(hopper)로 제작할 수 있으며, 통상의 사각통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별도의 덮개를 포함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되는 배수파이프(410) 및 반송파이프(450)가 연결된다. 또한 우수집수구에는 필요시 조립식 식생블록(200) 하부에 설치된 식생수단을 구성하는 식물의 시비에 필요한 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양분공급장치(41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식물에 필요한 수분 및 시비의 인위적인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The rainwater collecting port 410 may be manufactured as a funnel-shaped hopper that can easily collect rainwater at a place such as an upper portion of the structure (such as a rooftop of an apartment),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conventional rectangular cylinder shape.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a separate cover so that foreign matters are not included, and the drain pipe 410 and the conveying pipe 45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In addition, the rainwater collection por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nutrient supply device 411 that can supply the materials required for fertilizing the plants constituting the vegetation means installed in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if necessary. This makes it possible to artificially provide the moisture and fertilization necessary for the plant.

상기 배수파이프(420)는 우수집수구에 한쪽 단부가 연결되어, 조립식 식생블록의 식생수단(300)에 다양한 형태로 분기되면서, 우수가 중력식으로 상기 식생수단에 공급되는 수분공급라인이다. 통상의 PVC 파이프를 이용할 수 도 있고, 스텐레스 파이프를 이용해도 상관 없다. 배수파이프는 중간에 물이 저류되지 않도록 배수파이프의 설치형태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 하방 또는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단지 최종적으로 집수정(430)에 집수될 수 있도록 최종 분기점은 집수정이 매립된 부근에서 형성시켜야 한다.One end of the drain pipe 420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collecting port, and branched into various forms of the vegetation means 300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and is a moisture supply line supplied to the vegetation means by rainwater gravity. Ordinary PVC pipes may be used, or stainless pipes may be used. The drain pipe is preferably adjusted to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drain pipe so that water is not stored in the middle, it can be installed vertically downward or inclined. The final branch point should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landfill well so that it can be finally collected in the well 430.

상기 집수정(430)은 통상의 콘크리트 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하면 된다. 우수의 양에 따라 크기는 선택할 수 있으며, 식물에 필요한 최소한의 여분의 수분만 집수하면 되므로, 일정 높이 이상으로 채워지면 자연스럽게 배수라인으로 하여금 배수(OVER FLOW 처리)되도록 하기 위해 집수구 상부에 별도의 배수라인을 형성시킨다. 이 때 집수구에 집수된 우수는 식생수단을 통과하기 때문에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집수구 하부에 설치된 배수라인에는 필터링장치를 하여 펌프에 의하여 반송되는 우수에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The sump 430 may use a conventional concrete product and a plastic product. The siz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inwater, and since only the minimum amount of excess water required for the plant is collected, a separate drainag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ump to naturally drain the drain line (OVER FLOW) when it is filled above a certain height. Form a line. At this time, because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catchment may pass through vegetation means, various foreign matters may be included, so that the drainage line installed under the catchment does not include foreign matter in the rainwater conveyed by the pump.

상기 펌프(440)는 집수구와 같이 지중에 설치될 수 있고, 지상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펌프의 역할은 필터링된 우수를 갈수기와 같이 우수의 공급이 거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인위적으로 수분을 식생수단의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송파이프(450)를 통해 우수를 구조물 상부에 설치된 우수집수구(410)까지 양수시키게 된다.The pump 440 may be installed underground, such as a catchment, and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The role of the pump is to supply artificially moisture to the vegetation means in case there is almost no supply of rainwater, such as the filtered rainwater, and the rainwater collecting hol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conveying pipe 450 ( Up to 410).

이러한 관수시스템(400)은 아무래도 관리자의 작업을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데, 구조물의 녹화에 있어 대부분 실패하는 요인은 지속적인 관리부족으로 인한 것임을 보았을 때, 저관리 지향적인 식물을 선택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최소한의 관리를 유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수시스템을 자동으로 관린하기 위한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This watering system 400 may require additional work of the manager, and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failure factors in the greening of the structure are due to continuous lack of management,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a plant that is low in management, but at least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maintain management.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automatically managing the watering system may be additionally applied.

이러한 자동관리시스템(500)은 도5와 같이 크게 관수 및 시비의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부(510),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측정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520)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제어부(530) 및 상기 입력부와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체크할 수 있도록 모니터와 같은 출력부(5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utomatic management system 500 is a sensor unit 510 that can determine the timing of watering and fertilization largely, as shown in Figure 5, the input unit 520 and the input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can input the measured signa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530 that can process a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540 such as a monitor to check th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센서부(510)는 기본적으로, 외부온도센서, 습도측정센서, 식생수단의 양분측정센서를 포함한다. 관수시스템의 가동은 결국 식생수단(300)의 식물이 수분을 공급받아야 하는 시점이므로 이는 외부온도와 가장 관련이 있으므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가 필요하며, 온도에 따라 습도가 변하지만 습도가 충분할 때는 굳이 온도와 관계없이 수분공급의 필요성이 없으므로 이를 별도로 채택할 필요가 있고, 식물에 시비가 필요한 경우는 결국 식생수단을 구성하는 인공토양의 상태가 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 중에 어떠한 상태로 되어 있는가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센서부는 경제적인 관점, 유지관리의 중요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의 센서가 추가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510 basically includes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measuring sensor, and a nutrient measuring sensor of vegetation means. Since the operation of the watering system is the point at which the plants of the vegetation means 300 should be supplied with moisture, it is most related to the external temperature, so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is required. When it is sufficient, there is no need for water supply regardless of temperature, so if it is necessary to fertilize plants, the state of artificial soil which constitutes vegetation means is in any state among acid, neutral and alkaline. Since it can be judged horizontally, it can be included. Eventually, the sensor unit may be added with sensors for various purposes depending on the economic viewpoint and the importance of maintenance.

상기 입력부(520)는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센서입력장치를 이용하면 된다.The input unit 520 is a means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 conventional sensor input device may be used.

상기 제어부(530)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준값(구조물의 외부환경에 따라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일정 수치 이상이면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40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마이컴 형태로서 제작되면 족하다. 나아가 작업자가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제어수단이 포함되게 된다.The control unit 530 serves to operate the management system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is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a reference value previously in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structure)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t is enough if produced as. Furthermore, a separate control means will be included so that the operator can control this.

상기 출력부(540)는 관리자가 입력부의 입력신호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한 관리라인이 표시되는 모니터와 같은 출력장치이다.The output unit 540 is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on which a certain management line is displayed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check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이러한 관수시스템(400) 및 자동관수시스템(500)은 구조물의 중요성, 용도에 따라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아파트와 같은 경우 중앙관리소에 집적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ing system 400 and the automatic watering system 500 may b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importance and use of the structure, which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such as an apartment.

<구조물의 벽면 녹화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 녹화방법><Structure recording method using wall recording system of structure>

본 발명의 구조물의 벽면 녹화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 녹화방법은 연결수단이 형성되며, 식물이 자생하는 식생수단이 하부에 별도로 형성된 일정한 크기 및 모양의 격자 틀을 별도의 장소에서 제작한 후, 상기 식생수단의 식물에 의하여 덮여진 상태의 격자 틀을 구조물 외부 벽면의 크기에 따라 현장에서 조립하여 조립식 식생블록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식생조립블록의 연결수단과 대응한 지지수단이 형성된 지지대를 구조물 외부 벽면에 앵커 등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다수 형성시키는 단계(S20); 및 상기 식생조립블록을 구조물에 형성된 지지대에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In the structure recording method using the wall recording system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ans is formed, and after the vegetation means in which the plants grow natively is produced in a separate place a grid frame of a constant size and shape formed separately, the vegetation means Forming a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by assembling a lattice frame in a state covered by a pla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S10); Forming a plurality of supports on which the support mea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means of the vegetation assembly block are formed by using a fixture such as an anchor on an outer wall of the structure (S20); And installing the vegetation assembly block on a support formed in the structure by using a lifting device (S30).

상기 S10단계는 본 발명의 조립식 식생블록(200)의 제작, 현장운반 및 현장조립단계를 포함하는데, 먼저 구조물의 벽면의 형상, 면적 등에 따라 미리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격자 틀을 별도의 장소에서 제작한다. 이러한 격자 틀에는 식생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생수단의 식물이 덮여져 있는 상태이다. 단지 신속한 녹화가 필요 없는 경우, 또는 일정한 면적만 녹화해야 하는 경우 일부분 또는 전혀 식물이 덮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격자 틀을 제작할 수 있다.The step S10 includes the fabrication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on-site transportation and on-site assembling step. First, a grid frame of various shapes and sizes is prepared in a separate place according to the shape and area of the wall surface of the structure in advance. do. Since vegetation means are formed in the lattice framework, the plants of the vegetation means are covered. If only rapid greening is required, or if only a fixed area is required, the grid can be fabricated with some or no vegetation covered.

이러한 격자 틀이 제작되며, 운반의 용이성을 위해 최소한의 크기로 차량 등을 이용하여 현장으로 운반된다. 이러한 운반과정에서 식생수단의 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며, 운반거리가 먼 경우에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관수 및 차광막의 설치가 필요하다.Such a grid frame is manufactured and transported to the site using a vehicle or the like with a minimum size for ease of transportation. Care must be taken not to damage the vegetation means in this transport process, and if the transport distance is far,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necessary irrigation and shading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현장에 기본적인 형태의 격자 틀이 운반되면, 시공계획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조립체로 조립하며, 조립이 완성된 상태가 도3d이다. 즉, 각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야 하는 격자 틀은 도3d와 같이 하부에 별도의 연결수단(210)을 형성시키게 되고, 각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야 하는 격자 틀도 역시 별도의 연결수단(210)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그 중간에 격자 틀은 연결핀, 클램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하 좌우로 조립하면 된다.When the basic form of grid frame is transported to the site, it is assembled into a certain sized assembly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lan, and the assembly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3D. That is, the lattice frame to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support is to form a separate connecting means 210 at the bottom as shown in Figure 3d, the lattice frame to be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support is also a separate connecting means 210 In the state formed, the grid frame in the middle may be assembled up, down, left and right by a method such as connecting pin, clamp, welding.

이러한 격자 틀의 조립체가 일정 크기로 조합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식생블록이 완성된다. 상기 조립식 식생블록(200)은 양중장치에 의하여 도6a와 같이 구조물에 미리 설치된 지지대(100)에 양중장치로 도6b와 같이 구조물 상부로부터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는 결국 지지대에 형성된 지지수단에 조립식 식생블록에 형성된 연결수단의 결합에 의하여 달성되는데, 조립식 식색블록(20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연결수단(210)을 분리하여 지지대(100)의 지지수단(110)과의 결합사시도가 도2b이다. 즉 조립식 식생블록(200)의 각 연결수단(210)은 지지대에 형성된 지지수단의 수평지지부에 삽입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지지부의 수평홈 및 누름판에 의하여 위치 고정된다. 나아가 미리 구조물의 벽면에 조립식 식생블록의 고정을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시스템 앵커를 미리 형성시켜 상기 조립식 식생블록의 고정을 보완할 수 있다.When the assembly of the lattice framework is combined to a certain size,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is install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6b as a lifting device on the support 100 pre-installed on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6a by the lifting device. This installation is finally achieved by the coupling of the connecting means formed on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to the support means formed on the support, by separating the connecting means 210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refabricated color block 200 to support the support 100. A combined perspective view with means 110 is shown in FIG. 2B. That is, each connecting means 210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20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means formed in the support,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horizontal groove and the pressing plate of the horizontal support so as not to be separated. Furthermore, in order to fix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on the wall surface of the structure in advance, a system anchor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compensate for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다수의 조립식 식생블록(200)이 각 지지대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설치가 양중장치에 의하여 완료된 상태가 도6c이며, 아파트에 적용된 경우의 사시도가 도7이다. 결국 다수의 지지대에 다수의 조립식 식생블록이 설치되는 시간이 매우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물이 신축 건물이든 기존 건물이든 신속하게 원하는 형상의 벽면녹화가 가능해진다.6C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s 200 are installed from a top to a bottom of each support by a lifting device, and FIG. 7C is a perspective view when applied to an apartment. As a result, the tim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a large number of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s on a plurality of supports is very short, so whether the structure is a new building or an existing building, it is possible to quickly record a wall of a desired shape.

본 발명의 구조물의 녹화시스템에 의하여 다양한 기존 구조물 또는 신축 구조물에도 원하는 부위에 원하는 형상으로 다양한 식물로 벽면녹화가 가능하며 대부분 기계적인 설치가 가능하여 비계를 이용하는 등의 작업자의 안전이 문제시 될 수 있는 고소작업 단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안전하고, 이러한 녹화에 의하여 생태적, 정서적, 심리적, 환경 보호적인 추가적인 기능과 함께 구조물 자체의 내구성 증진이 가능하며, 주변 녹화시설과의 조화를 통해 녹화라인을 임의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어 도심지 녹화의 효율적인 시행이 가능하고, 무엇보다도 신속한 녹화가 가능하며, 자동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시 얼마든지 다른 식물에 의한 교체 녹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구조물 녹화의 도입에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범위에 해당하는 사항이라면 일부 구성(조립식 식생블록의 연결수단, 지지수단 등)에 다소 변경이 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 to the greening system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xisting structures or stretchable structures can be wall-recorded with various plants in a desired shape on a desired site, and most of them can be mechanically installed, which may cause safety problems for workers such as using scaffolding. It is safe to reduce the level of aerial work,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itself with additional functions that are ecological, emotion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t can be used for efficient greening of urban greenery, quick greening above all, easy automatic management, and replacement greening by other plants if necessary. do. Furthermore, if it is a matter corresponding to the cor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a slight change in some components (connection means of the assembled vegetation block, support means, etc.)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구조물 외부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앵커 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으로서, 지지수단이 형성된 지지대;A plate shape fixed by a fixture such as an anch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n outer wall of the structure, the support having a support means; 조립된 상태에서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격자 틀의 조립체로서, 상기 지지대의 지지수단에 대응하는 연결수단이 격자 틀의 조립체의 상하단 부에 형성된 조립식 식생블록; 및An assembly of a lattice frame installed on the support using a lifting device in an assembled state,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having connec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means of the support formed on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ssembly of the lattice frame; And 상기 조립식 식생블록의 하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랜터(planter)로서, 다양한 식물 및 토양을 포함하는 식생수단;A planter (planter) installed to be detachably under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the vegetation means including various plants and soil; 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수단의 식물이 조립식 식생블록 위를 덮도록 형성되어 구조물 외부 벽면이 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And a plant of the vegetation means is formed to cover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so that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is greened. 제1항에서, 상기 구조물은 주상복합건물, 공동주택(아파트 포함), 사무용 건물, 오피스텔, 옹벽, 방음벽, 가설 토류벽, 전시벽 및 석축 등의 측벽과 같이 특정 부위 전면이 외기에 노출되는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front surface of a specific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air, such as a side wall of a residential complex, an apartment house (including an apartment), an office building, an officetel, a retaining wall, a soundproof wall, a temporary earth wall, an exhibition wall, and a stonework. 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서, 상기 식생수단이 덮인 식생조립블록은 식생수단의 식물에 따라 외부에서 격자 틀이 모듈화(크기, 색상 및 모양) 되어 제작된 후 현장에서 조립된 격자 틀의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vegetation means is covered vegetation assembly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tice frame is modular (size, color and shape) is manufactur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vegetation means is an assembly of the lattice frame assembled in the field 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제1항에서, 상기 식생수단의 식물은 담쟁이덩굴, 송악, 인동덩굴, 으아리, 마삭줄, 줄사철, 으름덩굴, 다래, 등나무, 덩굴장미, 칡 등과 같은 덩굴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The plant wall surface of claim 1, wherein the vegetation means includes vegetation plants such as ivy, songak, honeysuckle, creeper, abrasion line, rope, vine, wormwood, rattan, vine rose, vine, and the like. Recording system. 제1항에서, 상기 격자 틀의 조립은 일정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자 틀이 클램프 등과 같은 연결구 또는 용접에 의하여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The 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sembling of the lattice frame is assemb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or or welding such as a clamp or the like. 제1항에서, 상기 식생수단의 식물에 필요한 수분 및 양분을 공급해주는 것으로서,According to claim 1, As to supply the moisture and nutrients necessary for the plant of the vegetation means, 구조물 상부에 형성되며, 식생의 양분 공급장치가 포함된 우수집수구;It is formed on top of the structure, rainwater catchment containing a vegetation nutrient supply device; 상기 우수수집구에 하부에 연결되는 파이프로서, 조립식 식생블록의 식생수단에 역시 연결되어 중력식으로 수집된 우수 및 양분을 공급해 주는 배수파이프;A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ainwater collecting port, the drain pipe being connected to the vegetation means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to supply rainwater and nutrients collected by gravity; 상기 구조물 지반에 매립되어 배수파이프가 연결됨으로서 최종적으로 우수의 집수 및 필터링장치가 구비된 집수정; 및A water collecting well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structure and connected to a drain pipe, and finally having an excellent water collecting and filtering device; And 상기 구조물 지반 또는 지표면에 설치되며, 집수정에 의하여 필터링된 우수를 구조물 상부에 설치된 우수집수구에 재반송하는 펌프;A pump installed on the ground or the ground of the structure and re-bending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sump to the rainwater collecting por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cture; 를 포함하는 관수 시스템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watering system comprising a. 제6항에서, 상기 관수 시스템의 펌프를 제어할 수 있는 자동관리시스템으로서,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utomatic management system that can control the pump of the watering system, 외부온도센서, 습도측정센서, 식생수단의 양분측정센서 등과 같은 센서부;A sensor unit such as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measuring sensor, a nutrient measuring sensor of a vegetation means, etc .; 상기 센서부의 전기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of the sensor unit;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펌프 및 양분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and the nutrient supply device by comparing with a reference value preset by the signal input by the input unit; And 상기 제어부 및 입력부의 입력수치 및 제어수치를 표시하는 출력부;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input values and control values of the controller and the input unit; 를 포함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상기 관수 시스템에 더 설치되어 관수시스템이 자동관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Structured wall recor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comprising a further installed in the watering system is automatically managed watering system. 제1항에서, 상기 지지대의 지지수단은 전체적인 형상이 U자 형상으로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ans of the support as the overall shape of the U-shape, 지지대에 접하여 고정된 수직지지부; 및A vertical support fixed to the support; And 상기 수직지지부 하부에 접하여 직각으로 돌출되며, 돌출단부에 지지블록이 수직으로 형성된 수평지지부;A horizontal support part protruding at a right ang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and having a support block vertically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comprising a. 제8항에서, 상기 수평지지부의 지지블록 안쪽에 스프링에 의하여 수직지지부로 이동 가능한 누름판; 및The pressing plate of claim 8, wherein the pressing plate is movable to the vertical support part by a spring inside the support block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nd 상기 누름판과 수평지지부의 지지블록 사이에 형성된 누름판 이동 제어용 제어핀;A control plate for controlling the pressing plate movement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and the support block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The 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ed. 제8항 또는 제9항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대응하는 조립식 식생블록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연결수단은 지지수단의 수평지지부에 삽입되어, 걸치도록 구멍이 형성되며, 누름판에 의하여 위치 고정되는 연결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The connecting mean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means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means, the hole is formed to be hooked, the connection is fixed by the pressing plate Structure wall recor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별도의 장소에서 제작된 연결수단이 상부 및 하부의 단부면에 형성되며, 식물이 자생하는 식생수단이 하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일정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진 격자 틀의 조립체이며, 상기 가능한 식생수단의 식물에 의하여 덮여진 조립식 식생블록을 구조물 외부 벽면의 면적에 따라 현장에서 완성시키는 단계;Connection means manufactured in a separate place is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the vegetation means in which the plant grows is an assembly of a grid frame having a constant size and shape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lower, of the possible vegetation means Completing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covered by the plant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wall outside the structure; 상기 조립식 식생블록의 연결수단과 대응한 지지수단이 형성된 지지대를 구조물 외부 벽면에 앵커 등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다수 형성시키는 단계; 및Forming a plurality of supports on which the support mea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means of the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are formed using fixtures such as anchors on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And 상기 식생조립블록을 구조물에 형성된 지지대에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the vegetation assembly block on a support formed in the structure using a lifting devi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방법.Structure wall recording method comprising the. 제11항에서, 상기 지지대의 지지수단은 전체적인 형상이 U자 형상으로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upport means of the support as the overall shape of the U-shape, 지지대에 접하여 고정된 수직지지부; 및A vertical support fixed to the support; And 상기 수직지지부 하부에 접하여 직각으로 돌출되며, 돌출단부에 지지블록이 수직으로 형성된 수평지지부;A horizontal support part protruding at a right ang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and having a support block vertically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상기 수평지지부의 지지블록 안쪽에 스프링에 의하여 수직지지부로 이동 가능한 누름판; 및A pressing plate movable into a vertical support part by a spring inside the support block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nd 상기 누름판과 수평지지부의 지지블록 사이에 형성된 누름판 이동 제어용 제어핀;A control plate for controlling the pressing plate movement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and the support block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방법.Structure wall recording method comprising the. 제12항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되는 연결수단은 지지수단의 수평지지부에 삽입되어 걸치도록 구멍이 형성되며, 누름판에 의하여 위치 고정되는 연결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벽면녹화방법.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ans is a connecting block which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of the supporting means, and is fixed by a pressing plate.
KR1020020048189A 2002-08-14 2002-08-14 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400160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189A KR20040016003A (en) 2002-08-14 2002-08-14 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189A KR20040016003A (en) 2002-08-14 2002-08-14 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655U Division KR200335230Y1 (en) 2003-08-28 2003-08-28 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003A true KR20040016003A (en) 2004-02-21

Family

ID=3732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189A KR20040016003A (en) 2002-08-14 2002-08-14 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6003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64B1 (en) * 2006-09-25 2008-01-02 엠에이디자인(주) Frame for wall-greening system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853728B1 (en) * 2006-10-02 2008-08-22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Sectional facade greenery device
KR101033876B1 (en) * 2010-10-07 2011-05-1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System for greening of front-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046479B1 (en) * 2010-12-16 2011-07-04 장기웅 Meshes for surface afforestation
KR101157611B1 (en) * 2009-07-22 2012-06-19 최윤기 Pot Brick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393713B1 (en) * 2013-08-06 2014-05-13 옥치섭 Climbing bagbane for quick afforestation and large area afforesting method using the same that
KR101472023B1 (en) * 2012-11-19 2014-12-12 대한민국 wall-greening system
KR20160015667A (en) 2014-07-31 2016-0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Versatile Planting Block
WO2018155870A1 (en) * 2017-02-21 2018-08-30 주식회사 아시아코르크 Wall surface afforesting structure using carbonized cork
KR20210077895A (en) 2019-12-18 2021-06-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mart outer shell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645A (en) * 1993-02-03 1994-08-16 Kajima Corp Cassette type construction for greening wall surface and reducing thermal load of the wall surface
JPH08228616A (en) * 1995-02-23 1996-09-10 Dokoo:Kk Three-dimensional flower-bed system of ecosymbiotic building
JPH10313692A (en) * 1997-05-19 1998-12-02 Toho Leo Kk Wall surface greening panel, and greening construction method for wall surface using the panel
KR200277373Y1 (en) * 2002-03-08 2002-06-01 주식회사 한설그린 Green system of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645A (en) * 1993-02-03 1994-08-16 Kajima Corp Cassette type construction for greening wall surface and reducing thermal load of the wall surface
JPH08228616A (en) * 1995-02-23 1996-09-10 Dokoo:Kk Three-dimensional flower-bed system of ecosymbiotic building
JPH10313692A (en) * 1997-05-19 1998-12-02 Toho Leo Kk Wall surface greening panel, and greening construction method for wall surface using the panel
KR200277373Y1 (en) * 2002-03-08 2002-06-01 주식회사 한설그린 Green system of structur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64B1 (en) * 2006-09-25 2008-01-02 엠에이디자인(주) Frame for wall-greening system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853728B1 (en) * 2006-10-02 2008-08-22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Sectional facade greenery device
KR101157611B1 (en) * 2009-07-22 2012-06-19 최윤기 Pot Brick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033876B1 (en) * 2010-10-07 2011-05-1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System for greening of front-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046479B1 (en) * 2010-12-16 2011-07-04 장기웅 Meshes for surface afforestation
KR101472023B1 (en) * 2012-11-19 2014-12-12 대한민국 wall-greening system
KR101393713B1 (en) * 2013-08-06 2014-05-13 옥치섭 Climbing bagbane for quick afforestation and large area afforesting method using the same that
KR20160015667A (en) 2014-07-31 2016-0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Versatile Planting Block
US9901036B2 (en) 2014-07-31 2018-02-27 Foundation For Research And Busines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Versatile eco-friendly planting block
WO2018155870A1 (en) * 2017-02-21 2018-08-30 주식회사 아시아코르크 Wall surface afforesting structure using carbonized cork
KR20210077895A (en) 2019-12-18 2021-06-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mart outer shel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9686B2 (en) Assembled landscape system
RU2370020C2 (en) Construction for greening up wall
Hopkins et al. Living architecture: green roofs and walls
US7627983B1 (en) Modular, wall-mounted plant growing system
Jim Greenwall classification and critical design-management assessments
KR101296738B1 (en) Flower pot for wall afforestation and the vertical garden system for wall afforestation using the same
US20190119935A1 (en) Urban forest high-rise villa
JP2006262712A (en) Greening structure and greening method
CN108401729B (en) Assembled anti-vibration water-saving mosquito-proof plant wall
KR101105543B1 (en) Gardening pot for 3-dimensional greening and 3-dimensional 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CN102396356A (en) Garden ecological three-dimensional greening system for urban buildings
KR20040016003A (en) 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Baran et al. Green Wall systems: a literature review
KR101033876B1 (en) System for greening of front-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0335230Y1 (en) Wall-greening system for building
Thakor et al. Review on greenwalls, a sustainable urban landscaping feature
KR101030731B1 (en) A unit for green wall of constr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ahanayake et al. 63: A brief discussion on current vertical greenery systems in Hong Kong: the way forward
Hui Technical guidelines for green roofs systems in Hong Kong
Peng et al. The use of vertical greening in urban rehabilitation to improve sustainability of the environment in Taiwan
Papadopoulou Green Walls as element of bioclimatic design in Mediterranean Urban Buildings
JP2012023992A (en) Three-dimensional garden laid in building
Malakar et al. Vertical gardening for enlivening the ambiance.
Peng The application of vertical greening to urban rehabilitation and maintenance
JP2008142044A (en) Green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