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541A - 의료용품용 블록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의료용품용 블록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541A
KR20040002541A KR1020030037980A KR20030037980A KR20040002541A KR 20040002541 A KR20040002541 A KR 20040002541A KR 1020030037980 A KR1020030037980 A KR 1020030037980A KR 20030037980 A KR20030037980 A KR 20030037980A KR 20040002541 A KR20040002541 A KR 20040002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block
suture
caprolactone
trimethylene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705B1 (ko
Inventor
윤혜성
김태헌
고명석
홍종택
배철민
임정남
서장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ublication of KR2004000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7/105Polyesters not covered by A61L17/1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05Modified block co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를 공중합하여 세그먼트 공중합체를 형성한 후 파라디옥사논 단량체를 반응시켜 형성한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과 흡수성(absorption)이 요구되는 봉합사 등과 같은 의료용 및 수술용품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의료용품용 블록 공중합체{A block copolymer for surgical articles}
본 발명은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를 공중합하여 세그먼트 공중합체를 형성한 후 파라디옥사논 단량체를 반응시켜 형성한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과 흡수성(absorption)이 요구되는 봉합사 등과 같은 의료용 및 수술용품으로 유용하다.
흡수성의 생체적합 고분자는 의료용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의료용품 특히 봉합사에 사용되어지는 고분자는 적절한 인장강도와 생체적합성을 가져야 하는 것 이외에도 용도에 맞는 적절한 흡수율을 가지고 있어 생체에 흡수되어야 한다. 또한, 봉합사는 수술시에 용이하게 다룰 수 있으며, 취급이 용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봉합사의 취급용이성은 봉합사의 유연성(flexibility)과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유연성이 좋은 것이 취급도 용이하다. 즉, 유연성이 낮은 봉합사는 매듭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어렵고 혈관 접속과 같은 미세한 부분의 시술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유연성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효과적인 봉합을 위해서 봉합사는 일정한 정도의 매듭안정성(knot-security)을 필요로 하며 이에 종래에는 매듭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수의 매듭을 행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조직 반응(tissue reaction), 감염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높은 유연성을 갖는 봉합사는 매듭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도 매듭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높은 유연성(flexibility)은 봉합사가 가져야 할 물성이며, 매듭안정성도 높아야 한다. 또한 봉합사의 분해를 나타내는 흡수성은 일정한 기간이 필요하며, 대체적으로 제조된 봉합사의 물성에 따라 50%의 강력을 유지하는 기간이 7일, 10일, 14일, 21일, 28일 등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각기 다른 흡수성을 가진 봉합사를 수술 사용 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초기에는 봉합사로 천연물질인 의료용 걷(Gut)이나 콜라겐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조직 염증반응이 형성되고, 흡수성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강력 유지기간을 예측하기 어려웠다. 이에 생체적합성을 갖는 합성 고분자를 봉합사에 사용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존의 공중합체를 이용한 봉합사에는 폴리글리콜라이드(poyglycolide)가 60%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미국특허 제5,431,679호에는 폴리글리콜라이드와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특허로서 이들은 유연성이 높은 봉합사를 만들지 못하였으며, 또한 강력 유지기간이 높은 것이었다.
미국특허 제5,854,383호에는 폴리글리콜라이드와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가 아닌 랜덤 공중합체를 개발하였으며, 이들은 상기 미국특허 제5,431,679호에 비해 유연성을 증가시켰으나, 50% 강력 유지기간이 14일 정도로 강력 유지기간이 짧은 봉합사는 만들지 못하였고 매듭안정성이 우수한 봉합사를 만들지 못하였다.
미국특허 제4,052,988호는 파라디옥사논 단량체 만을 이용한 단일성분 중합체인 폴리파라디옥사논으로 이루어진 합성봉합사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으며, 단일성분 중합체인 폴리파라디옥사논은 천연봉합사인 캣걷이나 콜라겐에 비하여 그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천연봉합사인 의료용 걷(Gut)이나 콜라겐 봉합사를 대신하여 봉합사로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5,047,048호에서는 상기 파라디옥사논에 ε-카프로락톤을 반응시켜 파라디옥사논과 ε-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파라디옥사논을 이용한 단일성분 중합체(homopolymer) 보다 개선된 유연성을 갖는 봉합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파라디옥사논과 ε-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봉합사는 유연성은 단일 성분 중합체 보다 조금 향상되었으나, 50% 강력이 유지되는 기간이 3 주 이상의 것이며, 매듭안정성의 향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합사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행해져왔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나 다른 연구들에서는 봉합사에서 중요하게요구되는 높은 유연성 및 매듭안정성, 빠른 흡수성과 같은 물성을 갖는 봉합사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를 세그먼트 공중합한 후, 파라디옥사논 단량체와 반응시켜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유연성과 매듭안정성 및 짧은 흡수특성을 갖는 새로운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파라디옥사논으로 이루어진 블록과,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로 조성된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를 중합하여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1차 공중합체 형성단계와, 상기 세그먼트 공중합체에 파라디옥사논 단량체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2차 공중합체 형성단계가 포함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서로 상이한 구조의 폴리파라디옥사논 블록과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로 조성된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블록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AB형 다이블록공중합체 또는 ABA형 트리블록공중합체로 구분 될 수 있다. 상기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는 A블록으로 표시되는 파라다이옥사논 모노머와 B블록으로 표시되는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세그먼트 공중합체를 중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ABA형 트리블록공중합체는 양 말단을 폴리다이옥사논 블록이고 중간은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로 조성된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 블록으로 형성된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폴리파라디옥사논의 구조(unit)를 지니고 있고,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세그먼트 공중합체의 구조(unit)를 지니고 있다.
상기 화학식 1과 2에서, x, y 및 z는 10 내지 104범위 내의 정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 제조공정은 2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를 120 ∼ 180 ℃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150 ∼ 170 ℃의 온도에서 반응시켜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세그먼트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1차 공중합체 형성단계를 행한다. 상기 1차 공중합체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세그먼트 공중합체에 파라디옥사논 단량체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게 되는 2차 공중합체 형성단계를 행한다.
즉, 1차 공중합체 형성단계에서 얻어진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세그먼트 공중합체에 파라디옥사논이 반응하여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단위와 상기 화학식 2의 구조단위가 블록을 형성하고 있는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1차 공중합체 형성단계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중합시 중합반응 온도는 120 ∼ 180 ℃이며, 보다 바람직한 중합반응온도는 150 ∼ 170 ℃이다. 그리고,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세그먼트 공중합시에는 0.5 ∼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 온도를 130 ∼ 160 ℃로 맞추어 파라디옥사논을 투입한다. 투입한 파라디옥사논과 세그먼트 공중합체와의 반응을 위해 약 1 ∼ 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그런 다음, 반응온도를 90 ℃로 낮추어 5 ∼ 20시간 반응시킨 후, 다시 80 ℃로 낮추어 3 ∼ 5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3 ∼ 4일 동안 충분히 반응시킨다.
이와 같이,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2차 공중합체 형성단계에서 다단계를 거쳐서 반응을 진행시키는 이유는 파라디옥사논이 높은 온도에서 분해가 일어나므로 1차 공중합체 형성단계에서 얻어진 세그먼트 공중합체와 반응한 후에는 가능하면 낮은 온도에서 반응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에는 통상적으로 개환 중합(ring opening polymerization)에 이용되는 유기금속 촉매(organometal catalyst)와 개시제(initiator)를 사용한다. 상기 유기금속 촉매로는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tin 2-ethylhexanoate)가 사용될 수 있는 데, 단량체/촉매의 사용 몰비는 10,000/1 ∼ 100,000/1이다. 그리고, 상기 개시제는 통상적으로 디올(diol)이나 폴리올(polyol)인 알카놀(alkanol), 글리콜(glycol), 하이드록시에시드(hydroxyacid), 혹은 아민(amine) 등이 사용되며, 단량체/개시제의 사용 몰비는 500/1 ∼ 5000/1을 사용하여 적당한 반응온도와 시간에서 반응시켜 원하는 점도와 분자량을 가진 공중합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블록 공중합체는 사용하는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폴리파라디옥사논 블록과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로 구성된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emr) 또는 양 말단은 폴리파라디옥사논 블록이고 중간은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로 조성된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 블록인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는, 양쪽에 하이드록시(-OH)기가 있는 디올류의 개시제를 사용하여 반응을 시작하며, 양 말단에 파라디옥사논이 존재하도록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제로서 디에틸렌글리콜(이하 'DEG'라 함)을 사용하여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를 공중합하면 DEG의 양쪽에 있는 하이드록시(-OH)기가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와 각각 반응하여 양 말단이 파라디옥사논과 반응할 수 있는 세그먼트 공중합체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파라디옥사논 단량체를 투입하면 세그먼트 공중합체의 양 말단에 파라디옥사논이 붙어 전체적으로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가지는 세그먼트 공중합체내의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조성비는 5/95 ∼ 95/5 몰비이며, 바람직하게는 90/10 ∼ 10/90 몰비인 것이 좋다.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조성비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유연성이 증가하며, ε-카프로락톤의 조성비가 증가하면 할 수록 흡수성은 길어진다. 따라서 유연성과 흡수성을 고려하여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조성비를 목적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다. 상기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세그먼트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25 ℃에서 농도 0.1 g/dL로 하여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 용매에서 0.5 ∼ 2.1 dL/g이며, 바람직하게는 0.7 ∼ 1.8 dL/g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파라디옥사논은 본 발명에서 얻어진 블록 공중합체 내에 5 ∼ 95 mole% 범위, 바람직하게는 60 ∼ 90 mole%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파라디옥사논의 조성이 5 mole% 미만인 경우 10% 미만의 낮은 결정화도로 인해 용융 압출을 통해 실의 형태로 제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강력, 흡수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공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과 동일한 성분으로 랜덤 공중합체로도 제조할 수는 있으나, 랜덤 공중합체로 제조할 경우에는 결정화도가 너무 낮아 봉합사로서 요구되는 물성인 매듭강력 10,000 psi 이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는 25 ℃에서 농도는 0.1 g/dL로 하여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 용매에 녹인 후 점도(inherent viscosity) 측정한 결과 0.8 ∼ 4.0 dL/g이며, 바람직하게는 1 ∼ 3.5 dL/g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약 180,000 psi 이하의 낮은 모듈러스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의 영스 모듈러스(Youngs modulus) 값은 140,000 psi 이하이다.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를 세그먼트 공중합함으로써, 파라디옥사논의 단독 중합체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전체의 결정화 영역(crystalline domains)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낮은 결정화도(degree of crystallinity)를 나타낸다. 즉, 파라디옥사논의 단독 중합체에 비하여 증가된 비결정 영역들이 낮은 모듈러스(Modulus)를 나타내어 뛰어난 유연성을 갖게 되며 매듭안정성이 우수하며, 이 비결정 영역들은 서로 물리적인 가교역할(physical crosslink)을 하여 높은 강력(strength)을 갖게 한다. 또한, 이들은 결정화도가 작아짐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빠른 흡수경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블록공중합체는 낮은 모듈러스와 높은 유연성을 가지며 일정한강력을 갖고 짧은 시간에 흡수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공중합체는 생체 적합성과 생체 흡수성이 요구되는 봉합사(suture), 스크류(screw), 스태플러(stapler), 클립(clips), 핀(pins), 혈관봉합용 링(anastomosis ring), 의료용 메쉬(surgical mesh), 보철용 장치(prosthetic devices)등과 같은 신체 내 이식조직(implant)이나 의료용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스크류, 스태플러, 클립, 핀, 혈관봉합용 링은 본 발명의 블록공중합체를 원료로 사용하여 일반적인 사출공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의료용 메쉬는 본 발명의 블록공중합체를 용융압출 및 연신하여 봉합사와 같은 필라멘트로 제조한 후 이를 제직 또는 편직하여 제조하거나, 일반적인 부직포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블록공중합체는 보철 및 수술용 물품과 같은 의료용 용품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며 특히,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낮은 모듈러스와 높은 매듭안정성을 나타내므로 수술용 봉합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봉합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봉합사에 바늘을 일체형으로 부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특히 빠른 흡수성을 갖는 단사형(monofilament) 봉합사로 사용되는 것이 합사형태(multifilament)의 봉합사로 사용되는 것에 비해 조직의 상처가 적고 감염율이 낮게 되므로 단사형 봉합사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단사형 봉합사의 직선 강력(tensilestrength)는 45,000 psi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5,000 내지 70,000 psi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9,000 내지 53,000 psi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 봉합사의 매듭 강력(knot-pull strength)은 25,000 psi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50,000 psi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33,000 psi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 봉합사의 모듈러스는 180,000 psi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180,000 psi으로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봉합사의 50% 강력 유지 기간은 7 ∼ 10일로서 빠른 흡수성을 요구하는 의료분야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단량체와 블록 공중합체들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화학 구조와 순도는 NMR(부르커사 제품-Bruker AVANCE DPX 400), GC(휴렛팩커드사-HP6890)를 이용하였다. 공중합체들의 점도(inherent viscosity) 측정은 캐논(Cannon)사의 자동 점도계를 사용하여 용액의 농도는 0.1 g/dL으로 하고, 측정 온도는 25 ℃로 하며, 용액은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정화도(degree of crystallinity)는 x-ray(리가쿠텐키사 제품-Rigaku Tenki RAD/B)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체외 실험을 통한(In vitro) 강력의 변화는 인산 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H 7.27)을 사용하여 37 ℃에서 시간에 따라 보관 후 강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블록 공중합체를 방사기를 통하여 용융 압출, 연신, 배향을 거쳐 얻어진 봉합사는 다음의 물리적 성질 시험방법을 통해서 그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봉합사의 물리적 성질 시험]
(1) 매듭안정성
매듭 안정성은 매듭 미끄러짐성(knot slippage ratio)으로 평가하였는데 이는 외과의사의 매듭(surgeon`s knot (2=1=1)) 방법으로 매듭을 체결한 후 인장강도 시험기에 시료를 장착하여 인장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인장하였을 때 매듭에서 끊어지지 않고 매듭이 풀리는지를 살펴보았다. 시료를 각 10회 측정을 하여 매듭이 풀리는 비율로 매듭 미끄러짐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매듭 미끄러짐성이 작을수록 매듭안정성이 우수한 봉합사를 나타낸다.
(2) 유연성
봉합사의 유연성은 직선 강력 측정시 탄성계수(Young's modulus)에 근거한다.
실시예 1: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조성비가 10/90(mole/mole)이고 파라디옥사논이 90 mole% 인 다이블록(d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잘 건조된 반응기에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138.6 g과 ε-카프로락톤 15.4 g을 첨가하였다.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0.8 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tin 2-ethylhexanoate, 0.63M, 톨루엔 용액)와 1.8 g의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을 투입하였다. 개시제와 촉매를 투입한 반응기를 오일 수조에 침지하여 160 ℃에서 2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하였다. 다음으로 질소를 투입하면서 교반하면서 파라디옥사논을 1346.4 g 투입하였다. 150 ℃로 반응 온도를 낮추어 1시간 반응 한 후 90 ℃로 온도를 내렸다. 90 ℃에서 16시간 반응 한 후 80 ℃에서 7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물은 반응기에서 분리한 다음 분쇄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1H-NMR을 이용한 폴리디옥사논(PDO)/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TMC)/폴리카프로락톤(PCL)의 조성은 89.9/9.0/1.1 이었다. X-ray를 통해 관찰한 결과 본 조성의 블록 공중합체의 결정화도는 23%로 나타났다. 다이블록(d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2.3 dL/g이었다. 점도 측정 조건은 25 ℃에서 HFIP를 사용하여 0.1 g/dL 농도에서 측정한 다음, 그 물성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조성비가 25/75(mole/mole)이고 파라디옥사논이 90 mole% 인 다이블록(d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잘 건조된 반응기에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112.2 g과 ε-카프로락톤 41.8 g을 첨가하였다.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0.8 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tin 2-ethylhexanoate, 0.63M, 톨루엔 용액)와 1.8 g의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을 투입하였다. 개시제와 촉매를 투입한 반응기를 오일 수조에 침지하여 160 ℃에서 2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하였다. 다음으로 질소를 투입하면서 교반을 하면서 파라디옥사논을 1346.4 g 투입하였다. 150 ℃로 반응 온도를 낮추어 1시간 반응 한 후 90 ℃로 온도를 내렸다. 90 ℃에서 16시간 반응 한 후 80 ℃에서 7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물은 반응기에서 분리한 다음 분쇄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1H-NMR을 이용한 폴리디옥사논(PDO)/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TMC)/폴리카프로락톤(PCL)의 조성은 89/8.5/2.5 이었다. X-ray를 통해 관찰한 결과 본 조성의 블록 공중합체의 결정화도는 25%로 나타났다. 다이블록(d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2.9 dL/g이었다. 점도 측정 조건은 25 ℃에서 HFIP를 사용하여 0.1 g/dL 농도에서 측정한 다음, 그 물성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조성비가 75/25(mole/mole)이고 파라디옥사논이 90 mole% 인 다이블록(d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잘 건조된 반응기에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37.4 g과 ε-카프로락톤 125.5 g을 첨가하였다.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1 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0.63M, 톨루엔 용액)와 2 g의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을 투입하였다. 개시제와 촉매를 투입한 반응기를 오일 수조에 160 ℃에서 2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하였다. 다음으로 질소를 투입하면서 교반을 하면서 파라디옥사논을 1346.4 g을 투입하여 150 ℃로 반응 온도를 낮추어 1시간 반응 한 후 90 ℃로 오일 수조의 온도를 내렸다. 90 ℃에서 16시간 반응 한 후 80 ℃에서 7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물은 반응기에서 분리한 다음, 분쇄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1H-NMR을 이용한 폴리디옥사논(PDO)/폴리트리메틸렌카르보네이트(PTMC)/ 폴리카프로락톤(PCL)의 조성은 89/3.5/7.5 이었다. X-ray를 통해 관찰한 결과 본 조성의 블록 공중합체의 결정화도는 27%로 나타났다. 다이블록(diblock)형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2.3 dL/g 이었다. 점도 측정 조건은 25 ℃에서 HFIP를 사용하여 0.1 g/dL 농도에서 측정한 다음, 그 물성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조성비가 50/50(mole/mole)이고 파라디옥사논이 80 mole% 인 다이블록(d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잘 건조된 반응기에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204 g과 ε-카프로락톤 228 g을 첨가하였다.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29 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0.63M, 톨루엔 용액)와 4 g의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을 투입하였다. 시간에 맞추어 파라디옥사논을 1632 g을 투입하였으며, 다음 공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며 그 물성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조성비가 25/75(mole/mole)이고 파라디옥사논이 80 mole% 인 다이블록(d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잘 건조된 반응기에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306 g과 ε-카프로락톤 114.1 g을 첨가하였다.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29 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0.63M, 톨루엔 용액)와 4 g의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을 투입하였다. 시간에 맞추어 파라디옥사논을 1632 g을 투입하였으며, 다음 공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며 그 물성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조성비가 75/25(mole/mole)이고 파라디옥사논이 80 mole% 인 다이블록(d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잘 건조된 반응기에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102 g과 ε-카프로락톤 342.3 g을 첨가하였다.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29 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0.63M, 톨루엔 용액)와 4 g의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을 투입하였다. 시간에 맞추어 파라디옥사논을 1632 g을 투입하였으며, 다음 공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며 그 물성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 양 말단이 파라디옥사논이고 중간 블록이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ε-카프로락톤 세그멘트 공중합체이며, 조성비가 45/(7/3)/45 (mole/mole)인 트리블록(Tr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잘 건조된 반응기에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112.2 g과 ε-카프로락톤 41.8 g을 첨가하였다.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1.8 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0.63M, 톨루엔 용액)와 1.8 g 디에틸렌글리콜(DEG)을 투입하였다. 개시제와 촉매를 투입한 반응기를 오일 수조에 침지하여 170 ℃에서 1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하였다. 질소를 투입하면서 온도를 160 ℃로 내린 후 교반을 하면서 파라디옥사논을 1346.4 g 투입하였다. 160 ℃에서 1시간 반응 한 후 90 ℃로 온도를 내린 다음, 90 ℃에서 16시간 반응 한 후 80 ℃에서 7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물은 반응기에서 분리한 다음 분쇄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1H-NMR을 이용한 폴리디옥사논(PDO)/(폴리트리메틸렌카르보네이트(PTMC)/폴리카프로락톤(PCL))/폴리디옥사논(PDO)의 조성은 44/8.0/3.0/45 이었다. 점도 측정 조건은 25 ℃에서 HFIP를 사용하여 0.1 g/dL 농도에서 측정한 다음, 그 물성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 양 말단이 파라디옥사논이고 중간 블록이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ε-카프로락톤 세그멘트 공중합체이며, 조성비가 40/(15/5)/40 (mole/mole)인 트리블록(Triblock)형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잘 건조된 반응기에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224.4 g과 ε-카프로락톤 83.6 g을 첨가하였다.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1.8 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0.63M, 톨루엔 용액)와 1.8 g 디에틸렌글리콜(DEG)을 투입하였다. 개시제와 촉매를 투입한 반응기를 오일 수조에 침지하여 170 ℃에서 1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하였다. 질소를 투입하면서 온도를 160 ℃로 내린 후 교반을 하면서 파라디옥사논을 1346.4 g 투입하였다. 160 ℃에서 1시간 반응 한 후 90 ℃로 온도를 내린 다음, 90 ℃에서 16시간 반응 한 후 80 ℃에서 7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물은 반응기에서 분리한 다음 분쇄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1H-NMR을 이용한 폴리디옥사논(PDO)/(폴리트리메틸렌카르보네이트(PTMC)/폴리카프로락톤(PCL))/폴리디옥사논(PDO)의 조성은 38/17/6/39 이었다. 점도 측정 조건은 25 ℃에서 HFIP를 사용하여 0.1 g/dL 농도에서 측정한 다음, 그 물성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는 다이블록형 블록 공중합체나 트리블록형 블록 공중합체 모두 약 1.8 ∼ 2.9 dL/g 이며, 결정화도는 PDO 단독 중합체보다 약 5 ∼ 12%가 낮은 20 ∼ 27%의 범위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PDO의 조성이 동등할 경우 PTMC의 양이 증가할 수록 결정화도가 감소하며, PCL의 양이 증가할 수록 결정화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비교예 1. ε-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및 파라디옥사논의 랜덤 공중합체(random copolymer)의 제조
잘 건조된 반응기에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306 g, ε-카프로락톤 114.1 g과파라디옥사논을 612 g을 투입하였다.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0.8 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0.63M, 톨루엔 용액)와 1.8 g의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을 투입하였다. 개시제와 촉매를 투입한 반응기를 오일 수조에 침지하여 160 ℃에서 2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하였다. 다음으로 질소를 투입하면서. 150 ℃로 반응 온도를 낮추어 1시간 반응 한 후 90 ℃ 온도를 내렸다. 90 ℃에서 16시간 반응하였다.
반응물은 반응기에서 분리한 다음 분쇄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1H-NMR을 이용한 폴리디옥사논(PDO)/폴리트리메틸렌카르보네이트(PTMC)/폴리카프로락톤(PCL)의 조성은 62/38/10 이었다. X-ray를 통해 관찰한 결과 본 조성의 랜덤 공중합체의 결정화도는 15%로 나타났다. 랜덤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1.7 dL/g 이었다.
랜덤 공중합체는 결정화도가 너무 낮아 봉합사의 물성인 매듭강력이 10,000 psi로 봉합사로의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2: 파라디옥사논과 ε-카프로락톤의 조성비가 90/10(mole/mole)인 블럭공중합체의 제조
잘 건조된 500 mL 플라스크에 41.0 g의 카프로락톤을 넣고 교반봉을 부착한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반응기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0.34mL의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0.63M, 톨루엔 용액)와 0.5 g의 디에틸렌글리콜(DEG)을 투입하였다. 개시제와 촉매를 투입한 반응기를 오일 수조에 침지하여 160 ℃에서 1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하였다. 질소를 투입하면서 온도를 110 ℃로 온도를 내린 후 교반을 하면서 파라디옥사논을 265.2 g 투입하였다. 110 ℃에서 4시간 반응 한 후 90 ℃에서 24시간 반응 한 다음 80 ℃에서 7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물은 반응기에서 분리한 다음 분쇄 후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1H-NMR을 이용한 폴리디옥사논(PDO)/폴리카프로락톤(PCL)의 조성은 88.8/11.2 이었다. X-ray를 통해 관찰한 결과 본 조성의 공중합체의 결정화도는 26.3%로 나타났다.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2.21 dL/g 이었다.
실시예 9: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단사형 봉합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2, 3, 5, 6, 7 및 8의 방법으로 제조된 각각의 블록 공중합체를 가지고 다음 표 3에 기재된 조건으로 단사형 봉합사를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봉합사의 물성을 살펴보면 직선강력은 49,000 psi 이상이며, 매듭강력이 30,000 psi 이상이고, 모듈러스가 150,000 psi 이하로 나타났으며, 높은 유연성이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PDO의 양이 동일할 때, 세그멘트 공중합체에서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의 비율은 높은 유연성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와 비교예 2의 공중합체 및 상용 단사형 봉합사의 물성 비교
다음 표 5에는 상기 실시예 1의 PDO/PTMC/PCL 블록 공중합체, 실시예 4의 PDO/PTMC/PCL 블록 공중합체 및 비교예 2의 PDO-PCL 공중합체 각각을 상기 실험예 1의 표 3에 기재된 조건으로 단사형 봉합사를 제조하여 그 물성(모듈러스와 매듭안정성)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상용 제품으로서 MONOCRYL™(에티콘사)은 글리콜라이드와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를 이용한 단사형 봉합사이다.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의 모듈러스가 MONOCRYL™보다 매우 낮고, 또한 유연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10개의 매듭 중 3 ∼ 5개만 미끄러지는 데 비하여, PDO-PCL 공중합체는 10개의 매듭 모두 미끄러지고, MONOCRYL™는 10개의 매듭 중 8개가 미끄러지고, 비교예2는 10개 모두 미끄러지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로 제조한 봉합사는 매우 우수한 매듭안정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와 비교예 2의 공중합체 및 상용 단사형 봉합사의 강력 유지율 비교
체외실험(In vitro)에서의 강력 유지 기간은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H 7.27)을 사용하여 37 ℃에서 보관 후 초기 강력대비 보관 일(day)에 따른 강력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로 제조된 봉합사의 50% 강력 유지 기간은 약 10일로서 비교예 2(PDO-PCL 공중합체)로 제조된 봉합사 또는 MONOCRYL™에 비하여 매우 빠른 강력 유지 기간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3의 봉합사를 비교해 보면 PDO의 함량이 동일할 때 PTMC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에 50% 강력 유지 기간이 다소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ε-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를 세그먼트 중합한 후 이 공중합체와 파라디옥사논 단량체를 반응시켜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봉합사와 같은 의료용품을 제조시에 낮은 모듈러스를 가지며, 유연성이 증가되고 높은 매듭 강력과 매듭안정성과 같은 물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짧은 흡수성을 갖게 하여 생체 적합성, 생체 흡수성 재료에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높은강력과 유연성 및 흡수성을 가지므로 의료용 용품, 즉, 봉합사(suture), 스크류(screw), 스태플러(stapler), 클립(clips), 핀(pins), 혈관봉합용 링(anastomosis ring), 의료용 메쉬(surgical mesh), 보철용 장치(prosthetic devices)에 이용 가능하며, 특별히 단사 형태(monofilament)의 합성 흡수성 봉합사 제조에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높은 강력과 유연성 및 매듭안정성을 지니며, 50% 강력 유지 기간은 7 ∼ 10일로 나타남으로써 빠른 흡수성을 요구하는 의료분야의 용품에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5)

  1. 파라디옥사논의 A 블록과,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가 공중합된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의 B 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내 A 블록의 조성이 5 ∼ 95 m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내 A 블록의 조성이 60 ∼ 90 m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내 B 블록의 조성이 5 ∼ 95 m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블록의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몰비가 5/95 ∼ 9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블록의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몰비가 10/90 ∼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0.8 ∼ 4.0 dL/g(25 ℃, 0.1 g/dL의 농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 용매 조건에서)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1 ∼ 3.5 dL/g(25 ℃, 0.1 g/dL의 농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 용매 조건에서)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영스 모듈러스(Youngs modulus)는180,000 psi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10. 제 1 항에 있어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디옥사논의 A 블록과,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가 공중합된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의 B 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과 2에서, x, y 및 z는 10 내지 104범위 내의 정수이다.
  11. 상기 청구항 1 내지 10 중에서 선택된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가 원료로 사용되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품은 봉합사(suture), 스크류(screw), 스태플러(stapler), 클립(clips), 핀(pins), 혈관봉합용 링(anastomosis ring), 의료용 메쉬(surgical mesh), 및 보철용 장치(prosthetic device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suture)는 단사형 봉합사(monofilament sut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suture)는 바늘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사형 봉합사의 직선강력은 45,000 내지 70,000 p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사형 봉합사의 매듭 강력(knot-pull strength)은30,000 내지 50,000 p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사형 봉합사의 모듈러스는 30,000 내지 180,000 p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18. 파라디옥사논의 A 블록과,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가 공중합된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의 B 블록으로 이루어진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내 A 블록의 조성이 10 ∼ 90 m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 내 B 블록의 조성이 10 ∼ 90 m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B 블록의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몰비가 5/95 ∼ 9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B 블록의 ε-카프로락톤/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몰비가 10/90 ∼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0.8 ∼ 4.0 dL/g(25 ℃, 0.1 g/dL의 농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 용매 조건에서)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inherent viscosity)는 1 ∼ 3.5 dL/g(25 ℃, 0.1 g/dL의 농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 용매 조건에서)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영스 모듈러스(Youngs modulus)는 180,000 psi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26. 제 18 항에 있어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디옥사논의 A 블록과,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가 공중합된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의 B 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과 2에서, x, y 및 z는 10 내지 104범위 내의 정수이다.
  27. 상기 청구항 18 내지 26 중에서 선택된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원료로사용되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품은 봉합사(suture), 스크류(screw), 스태플러(stapler), 클립(clips), 핀(pins), 혈관봉합용 링(anastomosis ring), 의료용 메쉬(surgical mesh), 및 보철용 장치(prosthetic device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suture)는 단사형 봉합사(monofilament sut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suture)는 바늘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사형 봉합사의 직선강력은 45,000 내지 70,000 p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사형 봉합사의 매듭 강력(knot-pull strength)은 30,000 내지 50,000 p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사형 봉합사의 모듈러스는 30,000 내지 180,000 p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34. a)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를 중합하여 세그먼트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1차 공중합체 형성단계와,
    b) 상기 세그먼트 공중합체에 파라디옥사논 단량체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2차 공중합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파라디옥사논의 A 블록과, ε-카프로락톤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가 공중합된 세그먼트(segment) 공중합체의 B 블록으로 이루어진 AB형 다이블록 공중합체 또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3-0037980A 2002-06-26 2003-06-12 의료용품용 블록 공중합체 KR100529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34 2002-06-26
KR20020035834 2002-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541A true KR20040002541A (ko) 2004-01-07
KR100529705B1 KR100529705B1 (ko) 2005-11-17

Family

ID=3674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980A KR100529705B1 (ko) 2002-06-26 2003-06-12 의료용품용 블록 공중합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30236319A1 (ko)
EP (1) EP1516006B1 (ko)
JP (1) JP4022220B2 (ko)
KR (1) KR100529705B1 (ko)
AT (1) ATE332324T1 (ko)
AU (1) AU2003206175A1 (ko)
DE (1) DE60306652T2 (ko)
ES (1) ES2266775T3 (ko)
MX (1) MXPA04012824A (ko)
WO (1) WO20040030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72B1 (ko) * 2006-06-30 200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s 기반 차세대 망에서의 확장된 프락시 호 세션 제어기능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이동성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06185C (zh) * 2004-12-29 2009-07-01 株式会社三养社 具有改进的挠性和生物相容性的单丝外科用网及其制造方法
EP1818348A1 (en) * 2006-02-10 2007-08-15 Mnemoscience GmbH Polymer material for useful medical devices
US7662883B2 (en) * 2006-12-28 2010-02-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ubbery block polymers containing polylactone and rubber compounds including the same
US20090192554A1 (en) * 2008-01-29 2009-07-30 Confluent Surgical, Inc. Bioabsorbable block copolymer
US8716410B2 (en) 2009-11-13 2014-05-06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Biodegradable thermoplastic elastomers
US10300165B2 (en) * 2016-01-20 2019-05-28 Ethicon, Inc. Segmented, p-Dioxanone-Rich, Poly(p-Dioxanone-co-epsilon-Caprolactone) copolymers for medical applications and devices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988A (en) * 1976-01-12 1977-10-11 Ethicon, Inc. Synthetic absorbable surgical devices of poly-dioxanone
US4788979A (en) * 1986-09-23 1988-12-06 American Cyanamid Company Bioabsorbable coating for a surgical article
US5120802A (en) * 1987-12-17 1992-06-09 Allied-Signal Inc. Polycarbonate-based block copolymers and devices
US5047048A (en) * 1990-01-30 1991-09-10 Ethicon, Inc. Crystalline copolymers of p-dioxanone and ε-caprolactone
CA2060635A1 (en) * 1991-02-12 1992-08-13 Keith D'alessio Bioabsorbable medical implants
US5352515A (en) * 1992-03-02 1994-10-04 American Cyanamid Company Coating for tissue drag reduction
US5371176A (en) * 1993-02-05 1994-12-06 Ethicon, Inc. Castor oil polymers
US5431841A (en) * 1993-06-23 1995-07-11 Lockhart; Ronald R. Golf equipment cleaner formulation
US5403347A (en) * 1993-05-27 1995-04-04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bsorbable block co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US5522841A (en) * 1993-05-27 1996-06-04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bsorbable block co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US5411554A (en) * 1993-07-20 1995-05-02 Ethicon, Inc. Liquid polymer filled envelopes for use as surgical implants
US5854383A (en) * 1997-10-06 1998-12-29 Ethicon, Inc. Aliphatic polyesters of trimethylene carbonate epsilon-caprolactone and glycolide
DE69834375T2 (de) * 1997-10-10 2007-03-15 Ethicon, Inc. Geflochtenes Nahtmaterial mit verbesserter Knotenfestigkeit
US6287499B1 (en) * 1998-10-09 2001-09-1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bioabsorbable block copolymer filaments
US6576246B1 (en) * 1999-05-24 2003-06-10 Seefar Technologies, Inc. Degradable animal chewing article possessing enhanced safety, durability and mouth-feel
US6423818B1 (en) * 1999-07-30 2002-07-23 Takehisa Matsuda Coumarin endcapped absorbable polym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72B1 (ko) * 2006-06-30 200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s 기반 차세대 망에서의 확장된 프락시 호 세션 제어기능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이동성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66775T3 (es) 2007-03-01
MXPA04012824A (es) 2005-02-24
JP2005536581A (ja) 2005-12-02
EP1516006A1 (en) 2005-03-23
EP1516006B1 (en) 2006-07-05
KR100529705B1 (ko) 2005-11-17
DE60306652D1 (de) 2006-08-17
AU2003206175A1 (en) 2004-01-19
WO2004003056A1 (en) 2004-01-08
DE60306652T2 (de) 2007-07-05
JP4022220B2 (ja) 2007-12-12
ATE332324T1 (de) 2006-07-15
US20030236319A1 (en) 200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0416B1 (en) Crystalline copolymers of p-dioxanone and epsilon-caprolactone
US5633343A (en) High strength, fast absorbing, melt processable, gycolide-rich, poly(glycolide-co-p-dioxanone) copolymers
US4838267A (en) Glycolide/p-dioxanone block copolymers
US5639851A (en) High strength, melt processable, lactide-rich, poly(lactide-CO-P-dioxanone) copolymers
US4441496A (en) Copolymers of p-dioxanone and 2,5-morpholinediones and surgical devices formed therefrom having accelerated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4700704A (en) Surgical articles of copolymers of glycolide and ε-caprolacton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CA2122670C (en) Absorbable block co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JP2603229B2 (ja) p―ジオキサノンおよびラクチドの結晶質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US5007923A (en) Crystalline copolyesters of amorphous (lactide/glycolide) and p-dioxanone
JPH0696633B2 (ja) グリコリドとε―カプロラクトンの共重合体の製造方法
US6048947A (en) Triblock terpolymer, its use for surgical suture material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EP1260533B1 (en) High strengh fibers of i-lactide copolymers, e-caprolactone, and trimethylene carbonate and absorbable medical constructs thereof
KR100529705B1 (ko) 의료용품용 블록 공중합체
CA2035592C (en) Segmented copolymers of .epsilon.-caprolactone and glycolide
KR20150132318A (ko) 2개 이상의 카르복실산 기를 갖는 모놀 및 다이올 중합 개시제로부터 제조된 폴리락톤 중합체
US20080058870A1 (en) Compliant, Long-Lasting Absorbable Monofilament Sutures
Shalaby et al. New Approaches to the Synthesis of Crystalline Fiber-Forming Aliphatic Copolye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