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400Y1 - Sketch material for children - Google Patents

Sketch material for childr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400Y1
KR200399400Y1 KR20-2005-0022495U KR20050022495U KR200399400Y1 KR 200399400 Y1 KR200399400 Y1 KR 200399400Y1 KR 20050022495 U KR20050022495 U KR 20050022495U KR 200399400 Y1 KR200399400 Y1 KR 200399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workpiece
user
imagin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4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구
Original Assignee
이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구 filed Critical 이원구
Priority to KR20-2005-0022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4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40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유도부와 사용자가 상상한 것을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스케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공작물에 관해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aby workpiece comprising at least one motivation unit for stimulating the user's imagination and at least one sketch unit for expressing what the user imagines.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에 의하면, 유아의 적극적 사고력 및 창의력/상상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아의 3차원 공간에 대한 이해 및 입체적 연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aby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not only active thinking and creativity / imagination of the infant, but also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three-dimensional association ability of the infant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Description

유아용공작물{SKETCH MATERIAL FOR CHILDREN}Baby Workpieces {SKETCH MATERIAL FOR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용공작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유아)의 적극적 사고력 및 창의력/상상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아의 3차원 공간에 대한 이해 및 입체적 연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용공작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workpie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by workpiece that can not only improve the active thinking and creativity / imagination of the user (infant), but also improve the child's understanding of three-dimensional space and stereoscopic association. It is about.

유아에게 있어서 놀이는 곧 학습인데, 일반적인 스케치북이나 연습장은 어떤 형상도 포함하지 않은 완전한 백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유아의 호기심 또는 상상력을 전혀 자극하지 못한다. For toddlers, play is learning, since a typical sketchbook or exercise book is composed of complete blanks that do not contain any shapes, which does not stimulate the curiosity or imagination of the toddler using it.

반면, 일반적인 유아용 그림책이나 이야기책을 비롯한 교재 및 교구는 그 자체로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어서 유아는 수동적인 사용자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On the other hand, textbooks and teaching aids, including general children's picture books and story books, are provided in their own form, and infants are mostly passive users.

또한, 일반적인 유아용 교재는 특정된 사물의 이미지를 활용한 것으로서, 제작 당시 이미 획일적으로 정해진 한 두가지의 내용만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교재를 수회 사용한 후에는 흥미를 잃게 되며, 구성상 단조로움 및 내용상 한계로 인하여 계속해서 새로운 것을 원하는 유아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general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 use the image of a specific object, and since they contain only one or two contents already uniformly defined at the time of production, they lose interest after using these materials several times, due to the monotony and limitation of conten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not satisfy the desire of the infant to continue to want something new.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교재는 유아기의 지적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창의력 발달에는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se textbooks have no drawbacks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which is most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intellectual growth.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유아)의 적극적 사고력 및 창의력/상상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아의 3차원 공간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유아용공작물을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such a probl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 the active thinking and creativity / imagination of the user (infant), but also to develop a baby workpiece that can help the child understand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provi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은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유도부와 사용자가 상상한 것을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스케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by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motivations for stimulating the user's imagination and one or more sketches for expressing what the user imagined.

상기 유아용공작물은 다면체 형상 또는 다면체의 전개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by work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lyhedron shape or a development of the polyhedron.

상기 유아용공작물은 하나 이상의 피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by workpiec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one or more pieces.

상기 동기유도부는 상기 유아용공작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고, 문자, 숫자,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duction part is form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baby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letters, numbers, or shapes.

상기 동기유도부는 하나 이상의 통공 또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ynchronous induct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through holes or doors.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은 다면체의 전개도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동기유도부와 사용자가 상상한 것을 표현하는 스케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유도부는 상기 전개도의 전면 또는 후면에 하나 이상의 통공, 도어, 문자, 숫자,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aby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the development of the polyhedron, and includes a motivation for stimulating the user's imagination and a sketch for expressing the user's imagination, the motivation induction of the development At least one through-hole, door, letter, number, or sha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r ba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baby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의 사시도, 도2 내지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의 전개도, 도6 내지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work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5 is an exploded view of a baby work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10 is the use of a baby work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100)은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동기유도부(110)와 스케치부(130, 131, 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baby workpie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ivation unit 110 and sketches 130, 131, 132 to stimulate the imagination of the user.

상기 유아용공작물(100)은 다면체 형상으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면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을 동기유도부(110)로, 나머지 면들은 스케치부(130, 131, 13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by workpiece 100 is configured in a polyhedral shap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to the synchronization induction unit 110, the remaining surfaces are composed of sketches (130, 131, 132).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유아용공작물(200, 300)은 다면체의 전개도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미 완성된 완전한 형태의 공작물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것보다 사용자 스스로 자신이 사용할 공작물을 만들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개도 상에 접이선(260)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공작물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and 3, the baby workpieces 200 and 300 may be configured to develop a polyhedron. That is,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user to make a work piece for his own use, rather than presenting the completed work piece to the user.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the fold line 260 on the developed view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mplete the workpiece.

또한, 상기 전개도(200)의 특정 부분에 손잡이부(271, 273) 또는 접착부(275)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전개도(200)를 사용해서 스스로 유아용공작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접착부(275)는 이미 접착제로 접착된 거의 완성된 상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완성된 유아용공작물을 만들거나 놀이하도록 한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handle portion 271, 273 or the adhesive portion 275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evelopment view 200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make the baby workpiece by using the development view 200. 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275 is provided in a nearly completed state already bonded with an adhesive so that the user can make or play the finished baby workpiece more conveniently.

상기 다면체의 전개도(200, 300)는 사용자의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와 색상의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전개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개도의 전면과 후면의 색상을 다르게 구성하여 시각적 자극을 더함으로써 사용자의 상상력/창의력을 한층 더 발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development view of the polyhedron (200, 300) is preferably composed of the development of a cube or a cube of various sizes and colors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production of the user, and the visual stimulus by configuring the color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development view differently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further demonstrate the user's imagination / creativity.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스스로 접어서 만든 3차원의 공작물 자체가 자신의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는 스케이치북 역할을 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전개도를 구성하는 면의 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종류의 다면체의 전개도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연령이나 기호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view of the fact that the three-dimensional workpiece itself, which is created by the user, serves as a sketchbook that can express one's own thoughts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faces constituting the developed view is not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polyhedron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development view so that various choices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age or preference of the user.

상기 동기유도부(110, 210, 310)는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모티브 역할을 하는 것 즉, 사용자가 상기 동기유도부를 보고 상상/연상한 것을 상기 스케치부(131, 231, 331)에 자신만의 독특한 그림 또는 문장으로 표현하도록 모티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유아용공작물의 내부(전면) 또는 외부(후면)에 형성된다. The motivation induction unit (110, 210, 310) acts as a motive for stimulating the imagin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user's own imagination / imagination to see the motivation induction to the sketching unit (131, 231, 331) It provides a motif to be represented by a unique picture or sentence, which is formed inside (front) or outside (rear) of a baby workpiece.

이때, 상기 동기유도부(110, 210, 310)는 상기 유아용공작물(100, 200, 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고, 문자, 숫자, 동·식물, 기타 사물 등 다양한 종류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motivation induction unit (110, 210, 310) is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baby workpiece (100, 200, 300), it is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shapes, such as letters, numbers, animals, plants, other objects. desirable.

또한, 상기와 같이 유아용공작물 자체가 다면체의 형상 또는 다면체의 전개도(200, 300)인 경우에는 도3과 같이 사용자가 전개도를 따라 접어서 만든 유아용공작물의 내부에만 동기유도부(310, 311, 312)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놀이과정 중에 유아용공작물의 특정면을 오픈한 경우에만 동기유도부(310, 311, 312)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호기심을 강하게 자극하고, 적극적 사고력 향상을 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baby workpiece itself is a polyhedron shape or a polyhedron (200, 30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By forming,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motivation induction unit 310, 311, 312 only when the specific surface of the baby workpiece during the play process, it is desirable to strongly stimulate the curiosity of the user, and to improve the active thinking ability.

도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통공(440) 또는 도어(door, 460)가 형성된 동기유도부를 고안하여, 사용자가 상기 통공(440) 또는 도어(460)를 통하여 공작물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ure 4, by designing a synchronous induction portion formed with one or more through holes 440 or doors (door, 460),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e the inside of the workpiece through the through holes 440 or door 460 desirable.

이때, 사용자가 상기 통공(440) 또는 도어(460)를 통하여 공작물의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공작물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 문자, 숫자, 동·식물, 기타 사물 등 다양한 종류의 형상이 도안화된 동기유도부(410)를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통공(440)과 동기유도부(410)의 결합에 의하여 또 다른 새로운 이미지르 상상/연상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user can see the inside from the outside of the workpiece through the through hole 440 or the door 460 on the inner and / or outer surface of the workpiece of various types such as letters, numbers, animals, plants, and other objects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the shape-induced synchronization induction part 410 to induce a user to imagine / relate another new image by combining the through hole 440 and the synchronization induction part 410.

상기 형상은 동그라미, 네모, 세모 등의 간단한 도형 또는 사람, 동물, 식물, 사물 등을 단순화한 이미지 등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한 것이면 그 종류나 크기 또는 색상에 제한은 없다.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type, size, or color as long as it stimulates the user's imagination, such as a simple figure such as a circle, a square, a triangle, or a simplified image of a person, an animal, a plant, or an object.

도5를 참조하면, 다면체 형상의 유아용공작물은(500) 각각 동기유도부(551, 591)와 스케치부(552, 592, 59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피스(550, 59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피스(550)와 제2피스(590)는 각각 그 일면 또는 복수개의 면을 오픈하여 좌우로 밀어 넣거나 끼워서 서로 결합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5, the polyhedral baby workpiece 50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pieces 550 and 590 including a synchronization induction part 551 and 591 and a sketch part 552, 592 and 594, respectively. . In this case, the first piece 550 and the second piece 590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y opening one side or a plurality of surfaces and pushing or inserting each side.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전개도로 구성된 유아용공작물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s 6 to 10 will be described the method of using the baby workpiece composed of the developme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보조사용자(부모 등)는 사용자가 육면체의 전개도로 구성된 유아용공작물의 동기유도부에 도안된 형상을 보고, 충분한 시간 동안 생각하고 상상할 수 있도록 한다. First, the auxiliary user (parent, etc.) allows the user to see the shape drawn on the motivation portion of the baby workpiece composed of the development of the cube, and to think and imagine for a sufficient time.

이때, 보조 사용자는 적절한 질문, 예를 들어 "눈은 누구의 눈일까요?, 무엇을 보고 있을까요?(도1, 도6 참조)", "문을 열면 무엇이 있을까요? 여기는 어디일까요?(도7 참조)등 제1차 질문을 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이야기를 듣는 피드백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미나 상상력을 유발하고, 표현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At this point, the secondary user will be asked a suitable question, for example "Whose eyes are the eyes? What are you looking at?" (See Figures 1 and 6), "What are the doors open? Where are they?" Through the feedback process, which asks the first question and listens to the user's story, the user's continuous interest or imagination is encouraged and expression is improved.

다음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상기 전개도를 접어서 유아용공작물을 제작한다. 사용자가 전개도 접기를 마친 후, 보조사용자는 제2차 질문 및 피드백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상상력/창의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특히, 보조사용자는 동기유도부가 유아용공작물의 내부에만 형성된 경우에는 "뚜껑을 열어 박스를 뉘어 생각해볼까?(도3, 도8 참조)", 동기유도부에 통공이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는 "안에는 뭐가 있을까? 의자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누가 앉아 있을까? 바깥은 어디일까?(도4, 도9 참조") 유아용공작물이 두개의 피스로 구성된 경우에는 "안쪽 상자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꺼내 볼까? 상자 속에 무엇이 들어있지?(도5, 도10 참조)"등 다양한 질문을 통해 사용자의 놀이를 도울 수 있다. Next, the user directly folds the development view to produce a baby workpiece. After the user has finished folding the layout, the secondary user can improve the imagination / creativity of the user through the second question and feedback process. In particular, if the auxiliary user is formed only inside the baby workpiece, the motivation induction part "Will open the lid to think of the box? (Refer to Figure 3, Figure 8)", when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motivation part, the user "What is inside? Where is the chair, who is sitting, where is it outside? (See Figures 4 and 9.) If the baby workpiece consists of two pieces, "Slide the inner box with your fingers." (See FIG. 5 and FIG. 10), etc., may help the user play.

즉, 보조사용자는 상기 제1차 및 제2차 피드백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유도함과 동시에 색상, 숫자, 동식물·무생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사물의 특성 등에 대한 다양한 학습효과를 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econdary user can induce a continuous interest and interest of the us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eedback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a variety of learning effects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objects such as color, numbers, animals and plants, and inanimate objects. .

그러나, 보조사용자는 정답 또는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사용자가 전개도의 일부를 펼치거나 접으면서 자유롭게 상상하고 그것을 유아용공작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표현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3차원 공간에 대한 개념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 secondary user should be careful not to force the correct answer or his thoughts, and the user naturally imagines the 3D space during the process of freely imagining and expressing it inside or outside of the baby workpiec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learn concepts.

다음으로, 사용자는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와 같은 피드백 과정을 거친 후에는 스케치부에 자신이 상상한 것을 직접 완성그림으로 표현한다. 이때, 보조사용자는 사용자가 '유아용공작물 뚜껑을 열고 닫거나 돌려가면서 주어진 형상과 관련지어 3차원적으로 상상하고, 생각나는 것을 이야기나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윗벽을 열어볼까? 공작물을 옆으로 뉘어볼까? 날개를 양쪽으로 빼내고 양쪽으로 펼쳐보자. 벽이랑 뚜껑에도 그림을 그려볼까?" 등의 질문을 통해 보조사용자는 사용자의 입체적 연상능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Next, the user expresses his or her imagination directly to the sketch part after the feedback process as described above for a sufficient time.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for the secondary user to induce the user to 'imagine in three dimensions in relation to a given shape while opening and closing or turning the lid of the baby workpiece, and to express what comes to mind as a story or a picture.' For example, "Let's open the upper wall? Let's lay the workpiece to the side? Let's pull out the wings on both sides and spread them on both sides. The secondary user can further improve the user's three-dimensional associative ability.

사용자는 펜을 사용하여 완성그림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커를 붙이거나 사진, 그림 등을 오려붙이는 등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이 상상한 것을 표현할 수 있으며, 그 색상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제한이 없다. The user can not only express a completed picture using a pen, but also express one's imagination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ttaching a sticker or cutting a picture or a picture, and there is no limit in selecting a color.

다음으로, 상기 독창적인 완성그림에 제목을 짓고, 자신이 그림을 그리면서 생각한 스토리를 보조사용자에게 설명한다. Next, a title is given to the original completed picture and the story that the user thinks while drawing is explained to the secondary user.

물론, 사용자가 반드시 스케치부에 그림을 그려야 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상한 것을 이야기하며 놀이하는 것으로 그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use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draw a picture in the sketch, and in some cases, it may be just to play by talking about the imagination.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에 의하면, 사용자(유아)의 적극적 사고력 및 창의력/상상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아의 3차원 공간에 대한 이해 및 입체적 연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by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ac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 imagination of the user (infant), but also improves the child's understanding of three-dimensional space and stereoscopic association.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work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의 전개도, 2 to 5 is a development view of the baby work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 내지 도10은 도1 내지 도5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공작물의 사용상태도이다. 6 to 10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baby workpie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s 1 to 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200, 300, 400, 500: 유아용공작물 100, 200, 300, 400, 500: Baby Workpiece

110, 210, 310, 410, 551, 591: 동기유도부110, 210, 310, 410, 551, 591: motivation induction part

131, 231, 331, 431, 552, 592: 스케치부131, 231, 331, 431, 552, 592: sketch

260: 접이선 440: 통공260: fold line 440: through hole

460: 도어 550: 제1피스460: door 550: first piece

590: 제2피스590: second piece

Claims (6)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유도부와 사용자가 상상한 것을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스케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공작물.A baby workpiece comprising at least one motivation unit for stimulating the imagination of the user and at least one sketching unit for expressing what the user imagin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아용공작물은 다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공작물.The baby workpiece is a baby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hedron shap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아용공작물은 하나 이상의 피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공작물.The baby workpiece is a baby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one or more pieces.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상기 동기유도부는 상기 유아용공작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고, 문자, 숫자,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공작물.The motive induction part is form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baby workpiece, the baby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letters, numbers, or shapes.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상기 동기유도부는 하나 이상의 통공 또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공작물.The synchronous induction part is a baby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through-holes or doors. 다면체의 전개도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동기유도부와 사용자가 상상한 것을 표현하는 스케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유도부는 상기 전개도의 전면 또는 후면에 하나 이상의 통공, 도어, 문자, 숫자,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공작물.A polyhedral exploded view, comprising a motive inducing part stimulating a user's imagination and a sketching part representing a user's imagination, wherein the motive inducing part has one or more openings, doors, letters, numbers, or Baby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20-2005-0022495U 2005-08-03 2005-08-03 Sketch material for children KR2003994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495U KR200399400Y1 (en) 2005-08-03 2005-08-03 Sketch material for child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495U KR200399400Y1 (en) 2005-08-03 2005-08-03 Sketch material for child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400Y1 true KR200399400Y1 (en) 2005-10-25

Family

ID=4370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495U KR200399400Y1 (en) 2005-08-03 2005-08-03 Sketch material for childr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40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1046A1 (en) * 2006-10-26 2008-05-02 Boung Jae Lee Assembly toy block 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1046A1 (en) * 2006-10-26 2008-05-02 Boung Jae Lee Assembly toy block 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genthaler The meanings in play with objects
Davis et al. Intergenerational learning through play
Kolbe Co-player and co-artist: New roles for the adult in children’s visual arts experiences
Zuckerman Historical overview and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and digital learning objects
KR200399400Y1 (en) Sketch material for children
Bruce The whole child
Uyanik et al. New Explorations with Waste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R20170003111U (en) Dices for studying
KR200263136Y1 (en) Play implement for paper folding having scene-board
CN210583600U (en) Freely combined jigsaw puzzle
KR100846916B1 (en) Assembly toy playing house
KR20170026698A (en) Educational tool using storytelling and tactile impression
KR200397831Y1 (en) Stencil for children
KR100722959B1 (en) Cake box and method for playing with puppets using the same
KR200420471Y1 (en) Cake box
KR100782165B1 (en) Cookie box
KR101529815B1 (en) Paper toy book
KR20010095344A (en) Art educational book for child
Houghton What the Eye Doesn't See: The Power of Non-Ocularcentric Engagement in Museum Learning
Ablan et al. Developing Toy Design Criteria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A New Play Set Design.
JP3159124U (en) Embossing plate used for viscosity work
KR200397019Y1 (en) Scratch sheet
Parkes Phrases of the kinetic: dynamic physicality as a dimension of the design process
Drewes Cultural issues in relation to play for teachers
Chinwe Imperativeness of Toy Making for Cognitiv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Ni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