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33Y1 - Supporter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upporter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33Y1
KR200396233Y1 KR20-2005-0018746U KR20050018746U KR200396233Y1 KR 200396233 Y1 KR200396233 Y1 KR 200396233Y1 KR 20050018746 U KR20050018746 U KR 20050018746U KR 200396233 Y1 KR200396233 Y1 KR 200396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cradle
frame
hole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7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서
조상현
Original Assignee
이경서
조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서, 조상현 filed Critical 이경서
Priority to KR20-2005-0018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3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33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PDA, PMP, MP3 등과 같은 소형 휴대장치들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특히 거치시킨 상태로 위성 또는 지상파 DMB 및 자체저장 동영상 등의 시청이 가능하고, 휴대장치의 비거치 시에는 거울 또는 액자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장치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장치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거치부, 전면에 평면 게시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투명판, 측면에 각각 관통홀 및 계지홈이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에서부터 상기 계지홈까지 가이드가 형성되며, 배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안착 프레임;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며,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굴곡부가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계지홈에 계지되어 장착고정되는 로드(rod) 타입으로 구성된 한 쌍의 지지봉;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봉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봉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휴대장치를 책상 상면에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장치의 비거치 시에는 액자 또는 거울 등으로 활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unt small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MPs, MP3s, etc.,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watch satellite or terrestrial DMB and self-save videos in a mount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frame, and includes: a mounting part provided to allow the portable device to be seated, a transparent plat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lat post on the front surface, and a through hole and a locking groove on the side, respectively. A seating frame formed with a guide from the through hole to the locking groove and having a sliding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 pair of support rods supporting the seating frame and having a bent portion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having a rod typ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along the guide; And a base fram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and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 rod. The base frame can be stably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esk. It is available.

Description

휴대장치용 거치대{Supporter for mobile device}Cradle for mobile device {Supporter for mobile device}

본 고안은 휴대장치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핸드폰, PDA, PMP, MP3 등과 같은 소형 휴대장치들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특히 거치시킨 상태로 위성 또는 지상파 DMB 및 자체저장 동영상 등의 시청이 가능하고, 휴대장치의 비거치 시에는 거울 또는 액자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장치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mount small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MPs, MP3s,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watching satellite or terrestrial DMB and self-saving video. It is possible, and when the portable device is not related to a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that can be utilized as a mirror or a picture frame.

일반적으로, 핸드폰, PDA, PMP, MP3 등과 같은 소형 휴대장치들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small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MPs, and MP3s are widely used as necessities of modern people.

이러한 소형 휴대장치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그것을 휴대 시에는 주머니, 목걸이 등을 통하여 간펴하게 휴대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책상 앞에 착석하게되는 경우 등에는 착석자세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소형 휴대장치를 책상 상면에 놓게된다.In using such small portable devices, when carrying it, it can be carried easily through a pocket, a necklace, etc., but when the user is seated in front of the desk, the small portable devic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due to the inconvenience of sitting posture. do.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소형 휴대장치의 분실, 낙상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따르며, 물이나 음료수 등을 흘렸을때 이에 소형 휴대장치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of loss of the small portable device or damage caused by falling, and when the water or beverage is spilled, the small portable device is exposed as it is.

또한, 휴대폰, PDA, PMP 등의 수요가 늘어가는 추세에 맞추어 이를 이용한 위성 또는 지상파 DMB 등의 시청 수요가 기대되고 있으며, 자체저장 동영상 등은 이미 기존의 사용자들에게 사용되어지고 있다.In addition, as demand for mobile phones, PDAs, and PMPs increases, the demand for viewing of satellite or terrestrial DMBs is expected, and self-saving videos are already used by existing users.

그러나, 이러한 DMB 및 자체저장 동영상 등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책상 위에 놓거나 손으로 들고 시청을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However, in order to watch such DMB and self-save video, there has been inconvenience of simply watching on a desk or holding a hand.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장치를 책상 상면에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 상태에서 휴대장치의 작동이 용이하고 충전 등이 가능하며, 휴대장치의 비거치 시에는 액자 또는 거울 등으로 활용가능한 휴대장치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portable devi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stably, it is easy to operate the mobile device in the mounted state, charging and the like, In the case of non-occup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frame or mirr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장치용 거치대는 휴대장치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거치부, 전면에 평면 게시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투명판, 측면에 각각 관통홀 및 계지홈이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에서부터 상기 계지홈까지 가이드가 형성되며, 배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안착 프레임;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며,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굴곡부가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계지홈에 계지되어 장착고정되는 로드(rod) 타입으로 구성된 한 쌍의 지지봉;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봉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봉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dle provided so that the portable device can be seated, a transparent plat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lat post on the front, through holes and locking grooves on each side A seating frame having a guide from the through hole to the locking groove and having a sliding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 pair of support rods supporting the seating frame and having a bent portion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having a rod typ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along the guide; And a base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pair of supporting rods and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ing rods.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장치의 안정된 거치를 위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 내측으로의 하향단차를 이루어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다.Here, the mounting portion is made of a downward step toward the inside of the seating frame for stable mounting of the portable device, the mounting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또한, 상기 투명판은 거울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plate may be formed as a mirro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장치용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용 거치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휴대장치용 거치대의 분해상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의 휴대장치용 거치대의 다른 한 예의 분해상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장치용 거치대의 안착 프레임의 배면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cradle for the portable device of Figure 1, Figure 2b is a cradle for the portable device of Figure 1 Another example of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mounting frame of the cradle for the portable device of FIG.

또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In addition, Figures 4a to 4c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용 거치대(100)는 휴대장치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거치부(11)가 구비되며, 일면에 전시면(15)이 구성된 안착 프레임(10), 안착 프레임(10)과 연결되고 안착 프레임(10)을 지지하며,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어 로드(rod) 타입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봉(30) 및 한 쌍의 지지봉(30) 하부와 연결되어 지지봉(30)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radle 100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1 so that the portable device can be seated, and a seating frame 10 having a display surface 15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eating frame ( It is connected to the 10 and supports the seating frame 10, mak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s connected to a pair of support rods 30 and a pair of support rods 30 formed of a rod type (rod) support rod 30 It comprises a base frame 50 is configured to be fixed.

장방형의 안착 프레임(10)에는 그 위에 휴대장치가 안착되도록 거치부(11)가 구비되어 있다. 거치부(11)는 휴대장치가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프레임(10)의 하부에 구성된다. 거치부(11)는 그 위에 거치되는 휴대장치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 프레임(10) 일면의 하부 양측에 각각의 거치부(11)를 구비하여 어느 휴대장치에서나 무난한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이 거치부(11)는 안착 프레임(10) 내측으로의 하향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휴대장치가 그 위에 안착 시, 이를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거치부(11)는 안착되는 휴대장치의 안착 시 충격을 완화시켜주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ctangular seating frame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1 so that the portable device is seated thereon. The mounting portion 11 is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frame 10 so that the portable device can be stably seated. The mounting portion 11 may vary in shape depending on the type of portable device mounted there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11 is provided with respective mounting portions 11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frame 10. Esau made a good shape. The mounting portion 11 is formed to form a downward step into the seating frame 10, the portable devic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unt it stably when seated thereon. The mounting portion 11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 order to mitigate the shock when the portable device is seated.

또한, 이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거치부(1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프레임(10) 일면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거치돌기(12)에 끼워맞춤 형태로 조립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1 made of this elastic material, as shown in Figure 2b, may be assembled and used in the form of fitting to the mounting projections 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frame 10, respectively.

안착 프레임(10)의 일면 즉, 사용자측을 향하게 되는 전시면(15)은 사진, 그림 등의 평면 게시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액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면으로써 형성되어 거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전시면(15)의 뒷면 즉, 안착 프레임(10)의 타 일면에는 전시면(15)을 액자로써 사용 시 전시면 상에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되며 그 전면에는 투명판이 구성되고, 내부의 소정의 공간에 수납되는 평면 게시물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슬라이딩 홈(17)이 구성된다. 전시면(15)을 액자로써 사용 시, 평면 게시물의 배면을 슬라이딩 푸쉬홈(16)을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평면 게시물이 슬라이딩 홈(17)으로 배출되고 다시 슬라이딩 홈(17)으로 교체할 평면 게시물을 인입함으로써 교체가 이루어진다. One surface of the seating frame 10, that is, the display surface 15 facing the user side, may have a picture frame formed to accommodate a flat post such as a picture or a picture. It may also be formed as a reflective surface and used as a mirror. When the display surface 15 is used as a picture frame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surface 15, that is, the other surface of the seating frame 10,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on the display surface, and a transparent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The sliding groove 17 is configured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flat posts stored in the space. When the display surface 15 is used as a picture frame, the flat post is discharged to the sliding groove 17 and replaced by the sliding groove 17 by pushing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ost with the user's finger through the sliding push groove 16. Replacement is made by introducing a flat post to be made.

지지봉(30)은 로드(rod)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 로드 타입의 지지봉(30)의 일 끝단(31)은 안착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안착 프레임(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일 끝단(35)은 베이스 프레임(50)에 연결되어 안착 프레임(10)을 지지하는 지지봉(30)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rod 30 is formed in a rod type. One end 31 of the rod-type support rod 30 is connected to the seating frame 10 to support the seating frame 10, and the other end 35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50 to be seated. The support rod 30 for supporting the frame 10 is configured to be fixed.

안착 프레임(10)에 연결되는 지지봉(30)의 일 끝단(31)은 안착 프레임(10)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안착 프레임(10)의 좌우측면에는 지지봉(30)의 일 끝단(31)이 관통되도록 관통홀(13a)을 가지고, 일 끝단(31)이 계지되도록 계지홈(13b)을 가진다. 지지봉(30)의 일 끝단(31)이 관통홀(13a)을 관통하여 계지홈(13b)까지 계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관통홀(13a)에서 계지홈(13b)까지 가이드(14)가 형성된다.One end 31 of the support rod 30 connected to the seating frame 10 is connected to the seating frame 10 in a sliding manner.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sliding metho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frame 10 has a through hole 13a through which one end 31 of the support bar 30 passes, and the locking grooves so that one end 31 is locked. 13b). A guide 14 is formed from the through hole 13a to the locking groove 13b so that one end 31 of the supporting rod 3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3a to the locking groove 13b.

지지봉(30)의 다른 일 끝단(35)은 베이스 프레임(50)의 요홈부(53)에 삽입되어 안착 프레임(10)을 지지하는 지지봉(3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 다른 일 끝단(35)은 요홈부(53)에 연결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착고정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요홈부(53)는 베이스부(51)와 연결구성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베이스부(51)는 평판형으로 구성되어 책상 등의 지지면 상에 놓여지게 된다. The other end 35 of the supporting rod 30 is inserted into the recess 53 of the base frame 50 so that the supporting rod 30 supporting the seating frame 10 is fixed. The other end 35 may be made in a connecting manner to the groove portion 53, it may be made of a fixing method. The groove portion 5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r integral with the base portion 51, the base portion 51 is formed in a flat plate is placed on a support surface, such as a desk.

책상 등의 지지면 상에 직접 맞닿는 베이스부(51)에는 휴대장치용 거치대(100)가 지지면 상에 더욱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쿠션부(59)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도 2b). 이 쿠션부(59)는 발포 우레탄 등의 소재로 구성되며 거치되는 휴대장치의 진동 등을 감쇄시켜 지지면에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base portion 51 directly abuts on a support surface such as a desk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portion 59 so that the holder 100 for the portable device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FIG. 2B). . The cushion unit 59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foamed urethane, and attenuates vibration of a portable device to be mounted, thereby preventing transmission to the support surface.

지지봉(30)의 굴곡부(33)는 안착 프레임(10) 및 안착 프레임(10) 상에 안착된 휴대장치가 안정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그리고 전시면(15)이 사용자에게 적절히 보여질 수 있도록 굴곡구성된다. 이 굴곡부(33)는 지지봉(30)으로 지지되는 안착 프레임(10)이 최적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고정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경사각을 조절가능하도록 벨로우즈 타입 또는 그 이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bent portion 33 of the support rod 30 is bent so that the seating frame 10 and the portable device seated on the seating frame 10 can be stably mounted, and the display surface 15 can be properly displayed to the user. It is composed. The bent portion 33 may be fixed so that the seating frame 10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30 has an optimal inclination angle, and a bellows type or other angle adjustable type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It may be made of.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장치용 거치대(100) 상에는 소형 휴대장치의 대표적인 한 예로써 휴대전화(200)가 거치될 수 있다. 휴대전화(200)는 휴대장치용 거치대(100) 상에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거치되어 안정된 거치가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휴대전화(200) 상의 표시화면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거치된다. 따라서, 휴대전화(200)를 통한 공중파 방송, 위성 또는 지상파 DMB 및 자체저장 동영상 등의 시청, 음악듣기 등이 용이하며, 이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 또한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4A, the mobile phone 200 may be mount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small portable device on the holder 100 for a portable device. The mobile phone 200 is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holder 100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o allow stable mounting and is easily mounted to the user so that the display screen on the mobile phone 200 can be easily recognized. Therefore, it is easy to watch, listen to music, such as airwave broadcasting, satellite or terrestrial DMB and self-stored video through the mobile phone 200, it is also possible to charge in this mounted state.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200)와 같은 휴대장치의 비거치 시에는 전시면(15) 상에 그림 또는 사진과 같은 평면 게시물을 수납하여 휴대장치의 거치 용도 외에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when the portable device such as the mobile phone 200 is not installed, a flat post such as a picture or a picture may be stored on the display surface 15 to be used in addition to the mounting purpose of the mobile device. .

휴대장치용 거치대(100) 상에 거치되는 휴대전화(200)는 이 거치된 상태에서 통상의 충전기(C)를 통하여 충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언급되거나 도면 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전화(200)는 휴대장치용 거치대(100) 상에 거치된 상태로 데이터 케이블 등을 통하여 컴퓨터 또는 프린터 등과 데이터유동통신이 가능하다.The mobile phone 200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holder 100 may be charged through the conventional charger C in this mounted state. Although not mentioned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mobile phone 200 is capable of data flow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or printer through a data cable while being mounted on the holder 100 for a portable device.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The forego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recognize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shall.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장치용 거치대에 의하여, 휴대장치를 책상 상면에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 상태에서 휴대장치의 작동이 용이하고 충전 등이 가능하며, 휴대장치의 비거치 시에는 액자 또는 거울 등으로 활용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by the cradle for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can be mounted stab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and the portable device can be easily operated and charged in the mounted state. Poetry can be used as a picture frame or mirro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용 거치대가 도시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1의 휴대장치용 거치대의 분해상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cradle for the portable device of Figure 1,

도 2b는 도 1의 휴대장치용 거치대의 다른 한 예의 분해상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nother example of the cradle for the portable device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휴대장치용 거치대의 안착 프레임의 배면이 도시된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mounting frame of the cradle for the portable device of Figure 1,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4a to 4c is a state of use of the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안착 프레임, 30... 지지봉,10 ... seating frame, 30 ... support rod,

50... 베이스 프레임, 100...휴대장치용 거치대.50 ... base frame, 100 ... mount for mobile device.

Claims (4)

휴대장치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거치부, 전면에 평면 게시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투명판, 측면에 각각 관통홀 및 계지홈이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에서부터 상기 계지홈까지 가이드가 형성되며, 배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안착 프레임;A mounting portion provided to allow the portable device to be seated, a transparent plat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lat post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 hole and a locking groove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ide, and a guide is formed from the through hole to the locking groove. A seating frame having a sliding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며,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굴곡부가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계지홈에 계지되어 장착고정되는 로드(rod) 타입으로 구성된 한 쌍의 지지봉; 및A pair of support rods supporting the seating frame and having a bent portion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having a rod typ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along the guide; And 상기 한 쌍의 지지봉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봉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A base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pair of supporting rods and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ing rods;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장치용 거치대.The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장치의 안정된 거치를 위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 내측으로의 하향단차를 이루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용 거치대.The cradle is a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up a downward step into the seating frame for stable mounting of the port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치부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용 거치대.The mounting portion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명판은 거울로 형성되는 휴대장치용 거치대.The transparent plate is a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is formed of a mirror.
KR20-2005-0018746U 2005-06-29 2005-06-29 Supporter for mobile device KR2003962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46U KR200396233Y1 (en) 2005-06-29 2005-06-29 Supporter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46U KR200396233Y1 (en) 2005-06-29 2005-06-29 Supporter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33Y1 true KR200396233Y1 (en) 2005-09-21

Family

ID=4369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746U KR200396233Y1 (en) 2005-06-29 2005-06-29 Supporter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23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64B1 (en) * 2011-03-25 2011-07-19 최병삼 Apparatus for mounting a cellular phone
KR200459390Y1 (en) 2010-05-28 2012-03-23 주식회사 타즈 Mobile phone stand for multi purpo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90Y1 (en) 2010-05-28 2012-03-23 주식회사 타즈 Mobile phone stand for multi purpose
KR101050264B1 (en) * 2011-03-25 2011-07-19 최병삼 Apparatus for mounting a cellular phone
WO2012134073A2 (en) * 2011-03-25 2012-10-04 Choi Byeong-Sam Device for supporting a mobile phone
WO2012134073A3 (en) * 2011-03-25 2012-11-29 Choi Byeong-Sam Device for supporting a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28185A1 (en) Integrated Magnetic Tablet Stand
KR101586496B1 (en) Portable cradle
US7477919B2 (en) Handheld input/output device providing enhanced user interface for a mobile telephone
KR100730298B1 (en) display connected with cellular phone
US20060105808A1 (en) Input-output device with universal phone port
US7536751B2 (en) Multi-step hin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US20130087666A1 (en) Supporting device
US9092193B2 (en) Electronic device
US20100072333A1 (en) Support stan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396233Y1 (en) Supporter for mobile device
KR101280196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CN114844964A (en) Shell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80032818A (en) Portable terminal
KR101789578B1 (en) Folding type slim stand for mobile terminal
CN212966089U (en) Keyboard with independent support function
KR20180076532A (en) Smart phone holder for seat backrest handle
KR200488233Y1 (en) Phone Cradle for Airplane
KR101838874B1 (en) Cradle for mobile phone
KR200330219Y1 (en) Handsfree for Portable Telephone
KR100654704B1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KR200397436Y1 (en) Apparatus of support with DMB phone
KR100762674B1 (en) Portable terminal
CN209787260U (en) Mobile phone shell with ring support
KR20120138555A (en) Apparatus of cradle case for mobile-phone
KR200459390Y1 (en) Mobile phone stand for multi purp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