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073Y1 -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 Google Patents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073Y1
KR200394073Y1 KR20-2005-0014971U KR20050014971U KR200394073Y1 KR 200394073 Y1 KR200394073 Y1 KR 200394073Y1 KR 20050014971 U KR20050014971 U KR 20050014971U KR 200394073 Y1 KR200394073 Y1 KR 200394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interior
connecting member
front cover
mold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영 filed Critical 박재영
Priority to KR20-2005-0014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0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95Plinths fixed around wall openings or around corner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 이용되는 걸레받이 천장 등의 벽체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용 몰딩과 몰딩 사이의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인테리어 몰딩을 시공함에 있어 몰딩과 몰딩의 접면이 일치하도록 컷팅하는 각도를 정확하게 정밀 시공치 아니하여도 몰딩 접면의 틈새를 은폐시키면서 지지하여 견고하고 미려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인테리어 몰딩의 모서리 시공시 못질이나 실리콘 작업 같은 부수적인 작업을 배제시키고 비접착식으로 단지 끼워 넣는 작업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져 시공 작업성이 대폭 간결하도록 이루며, 몰딩 내측에 마련된 홈과 엣지면에 밀착되도록 역 엣지를 형성하여 시공 후 별도의 고정 작업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탈도 방지하며, 인테리어 몰딩 시공 후에 발생하는 몰딩의 수축에 의한 몰딩 접면의 틈새 발생을 감쌀 수 있고, 틈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각진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진 연결부재가 시공됨으로 부주의한 사고 시 큰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를 제공하고자, 인테리어용 몰딩(1)과 몰딩(1) 끝 부분이 서로 면접하는 부분에 끼워 설치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에 있어, 몰딩(1) 표면과 접하는 전면 덮개부(12, 22, 32)와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14)와 상기 전면 덮개부와 상(하)면 덮개부에서 연장하여 몰딩의 배면에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후면 지지부(18)로 이루어 양측으로 몰딩을 끼워 몰딩의 전면과 배면에 끼워 몰딩 접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Connection absence of molding for interior}
본 고안은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 이용되는 걸레받이 천장 등의 벽체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용 몰딩과 몰딩 사이의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는 모르타르 시공 후 벽체 내부에 벽지 또는 페인트 등을 시공하여 마감하고 있으며, 이러한 벽체 내부에는 추가로 걸레받이 몰딩이나 천장 몰딩 등을 통해 벽체와 바닥 또는 벽체와 천장 사이의 코너를 미적으로 장식하고 기능적으로 보완시키고 있다.
이러한 인테리어 시공에 있어 걸레받이와 천장 몰딩의 시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테리어용 몰딩은 주로 MDF와 같은 압축 목판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시트지를 접합하여 건물 벽체 내부의 모서리를 따라 시공을 이루며 경간이 긴 시공 장소에서는 몰딩을 맞대기로 접하여 연장 시공을 이루며, 모서리(돌출되거나 들어간 곳)에서는 대접하는 몰딩의 컷팅면을 45도 각도로 컷팅하여 대접하는 몰딩이 상호 정확하게 맞닿도록 시공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정교하게 시공을 이루더라도 몰딩의 컷팅 접면은 틈새를 형성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이러한 틈새를 줄이기 위해 시공은 한층 정확한 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가 매우 높아야 하는 단점이 있고, 틈새에는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거나 끼게 되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날카로운 몰딩 접면은 청소기나 걸레 등에 의한 외부 충격에 약하여 파손되는 단점과 함께 부주의사고 시 큰 부상을 입을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몰딩은 시공 후 몰딩 소재(목재)의 수축 등 변형에 의해 틈새가 더욱 크게 벌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시공에 대한 하자의 불만이 증가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인테리어 몰딩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전에도 다양한 제안이 안출된바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실용신안 등록 제20-306351호의 경우 "인테리어 완충 코너 몰딩"으로 충돌 시의 완충 효과를 극대화하여 인체 상해를 방지하고, 실내 디자인을 조화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 코너 몰딩인바, 압입 결합하는 후크(50)와 후크를 형성하는 결합부(52)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호상으로 밴딩 가능하게 형성된 밴딩부(54), 상기 밴딩부에 형성된 다수 돌기(56)를 포함하여 결합부는 경질 수지로 밴딩부와 돌기는 연질 수지로 형성하여 이루어 돌기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압출 성형 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 기술에 있어서 완충 작용은 어느 정도 얻을 수 있겠으나, 폭이 좁은 걸레받이 등의 몰딩에 시공하는 경우 코너 상부에 과도한 틈새가 발생하여 오히려 이물질 유입 등의 문제가 있으며, 후크(50) 삽입 홀을 별도로 가공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후크 삽입 홀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 등록 제20-226458호의 천장 몰딩의 구조가 안출된바 있다.
이는 천장과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몰딩(60)의 표면에 점착테이프를 형성하고 몰딩의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62)을 천공하고, 쐐기형상으로 된 끼움 돌기(64)가 양측 선단에 형성되며 일측 선단이 상기 몰딩의 구멍에 삽입되고 타측 선단은 다른 몰딩의 구멍에 삽입되어 몰딩과 몰딩을 연결하는 연결핀(6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천장 몰딩 구조에 따르면 몰딩과 몰딩이 연결되는 면접 부위에서 몰딩이 어긋나지 않고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이점과 함께 몰딩 표면의 점착 테이프를 도배 또는 벽면 페인트 작업 후 박리하면 몰딩 면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설명하고 있으나, 몰딩이 시공되는 장소는 벽면 바닥면 및 천장면 등이 모두 표면 평탄도가 일정치 않은 장소에 해당하여 몰딩이 약간의 휨 상태에서 시공될 수도 있어 이러한 몰딩 연결 구멍과 연결핀이 항상 몰딩 상호 간을 정확하게 면접하도록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결국, 몰딩은 실내 인테리어의 목적에 따라 주로 질감을 고려한 목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목재는 그 특성상 수축과 팽창을 이루게 되고 수축의 경우에는 몰딩 간의 틈새 발생이 후속적으로 따르게 되므로 이러한 틈새의 발생에 대하여 상기 선원 기술은 전혀 기능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시공 후 발생하는 틈새와 시공 중 틈새를 배제하기 위한 기능적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인테리어 몰딩 시공의 문제점과 선행기술이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시공의 편리성과 함께 미적 마감 및 사용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인테리어 몰딩을 시공함에 있어 몰딩과 몰딩의 접면이 일치하도록 컷팅하는 각도를 정확하게 정밀 시공치 아니하여도 몰딩 접면의 틈새를 은폐시키면서 지지하여 견고하고 미려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인테리어 몰딩의 모서리 시공시 못질이나 실리콘 작업 같은 부수적인 작업을 배제시키고 비접착식으로 단지 끼워 넣는 작업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져 시공 작업성이 대폭 간결해진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몰딩 내측에 마련된 홈과 엣지면에 밀착되도록 돌기와 역 엣지를 형성하여 시공 후 별도의 고정 작업없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탈도 방지될 수 있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인테리어 몰딩 시공 후에 발생하는 몰딩의 수축에 의한 몰딩 접면의 틈새 발생을 감쌀 수 있고, 틈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각진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진 연결부재가 시공됨으로 부주의한 사고 시 큰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수적으로 본 고안은 몰딩 연결부재에 채색을 가하거나 로고를 인쇄하여 인테리어 시 포인트를 줄 수 있고 광고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고자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인테리어용 몰딩과 몰딩 단부가 서로 면접하는 부분에 끼워 설치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에 있어, 몰딩 표면과 접하는 전면 덮개부와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와 상기 전면 덮개부와 상(하)면 덮개부에서 연장하여 몰딩의 배면에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후면 지지부로 이루어 양측으로 몰딩을 끼워 몰딩의 전면과 배면에 끼워 몰딩 접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을 위해 이루어진다.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 또는 천장과 벽면 사이에 시공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양쪽 몰딩 단부가 서로 면접하는 부분에 끼워 설치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에 있어, 몰딩 표면과 접하는 전면 덮개부와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와 상기 전면 덮개부와 상(하)면 덮개부에서 연장하여 몰딩의 배면에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후면 지지부로 이루어 양측으로 몰딩을 끼워 몰딩의 전면과 배면에 끼워 몰딩 접면을 덮어씌우도록 연결부재를 이룬다.
상기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는 돌출 코너에 사용되는 연결부재(10)와, 요입 코너에 사용되는 연결부재(20) 및 나란히 연결되는 몰딩에 사용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돌출 코너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10)는 양측의 몰딩(1)이 직교하는 돌출 코너에 사용하며, 몰딩의 표면 굴곡과 동일한 굴곡면을 형성한 전면 덮개부(12)를 돌출하는 직교 형상으로 이루고 이 전면 덮개부(12)의 상부면에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14)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 덮개부(12)의 교차 내면으로부터 등각 분할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면으로 연장판(16)을 이루어 연장판의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단턱(162)을 전면 덮개부와 평행하게 직교하여 형성하며, 하 단부에는 몰딩의 엣지면에 대응하여 면접하는 역 엣지부(164)로 이루어지는 후면 지지부(18)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판(16)에는 돌기(166)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면 덮개부(12)는 교차하는 몰딩의 돌출 각도보다 약 2°~ 3°작은 내각(a1)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재는 가요성이 보장되는 연질 수지로 성형하여 이루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도 9에는 본 고안의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중 요입 코너에 사용되는 연결부재(20)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재(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구조와 동일성의 것이나 양단으로 벌려진 전면 덮개부(22)가 요입 코너를 이루도록 외각(a2)은 교차 몰딩의 요입각도보다 약 2°~ 3°큰 각으로 형성하여 이루며, 후면 지지부(28)의 돌출단턱 및 역 엣지부는 전면 덮개부(22)의 덮개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2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10에는 본 고안의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중 몰딩 간에 평행한 연결부위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30)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 부재(30)는 상기 연결 부재(10)의 구조와 동일성의 것이나 양단으로 벌려진 전면 덮개부(32)가 평행하고, 후면 지지부(38)의 돌출단턱 및 역 엣지부는 전면 덮개부(32)의 덮개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3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미 설명 부호로서 1은 몰딩, 3은 몰딩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패인 홈을, 5는 몰딩의 폭 방향 하단부에 사면으로 깎아 형성한 엣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제 작용에 대하여 이하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인테리어용 몰딩의 시공에 있어서 천장 또는 바닥면에 벽체를 따라 몰딩(1)을 설치할 때 돌출된 벽체 코너 부위에서는 연결부재(10)를 일측의 몰딩에 삽입하면 몰딩(1) 배후면의 길이방향 홈(3)에 후면 지지부(18)의 돌출 단턱(162)과 몰딩(1) 배후면의 엣지(5)에는 역 엣지부(164)가 끼워지면서 몰딩(1)의 전면과 후면이 연결부재(10)의 일단에 끼워진다. 이후 대향 될 몰딩(1)을 동일한 방식으로 끼워넣으면 몰딩은 직교하는 돌출형태(도 3 "A" 참조)로 연결부재(10)를 통해 마감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부재(10)는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하여 돌출되는 몰딩 각도보다 약 2°~ 3°작은 내각(a1)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몰딩 표면과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작용하며, 돌출된 모서리 부위에 연결부재(10)를 시공하면 몰딩(1)의 면접부위의 컷팅 각도를 정확하게(도 8의 컷팅접면이 사면 또는 직각면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유지하지 아니하여도 몰딩의 단부가 연결부재(1) 내부에 삽입되어 컷팅면 일체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마감,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용이함을 알 수 있으며, 결합된 연결부재는 타카핀이나 실리콘 등을 이용한 별도의 고정을 행하지 아니하고 몰딩의 전면 표면과 후면 홈(3) 및 엣지(5)를 이용하여 양단을 지지하면서 끼워 시공됨으로 마감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몰딩(1)의 접면 컷팅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정확하게 45°각도를 유지하여 컷팅하여야 하지만 상기 각도로 컷팅되지 아니하더라도 연장판(16)에 마련된 돌기(166)에 의하여 컷팅된 몰딩면이 지지되므로 몰딩의 컷팅 각도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며 극단적으로는 몰딩 표면과 직각 상태로 절단한 경우에도 연결부재(10) 내에 삽입 시공하면 견고하며 몰딩의 절단면 은폐가 가능하다.
이는 도 8의 몰딩 컷팅면이 45°빗각으로 컷팅된 상태로부터 직각으로 컷팅된 상태까지 모두 시공이 가능하며 연결부재(10)에 의해 은폐되고 연결부재(10)는 몰딩(1)의 홈(3), 엣지(5)와 돌출단턱(162) 및 역 엣지(164) 각각 끼워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면서 무 접착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연결부재의 시공 과정을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타 다른 연결부재(20), (30)는 도 9, 10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부재(10)의 시공과 유사하며 단지 각각 도 3의 "B" , "C" 부분에 시공되며 이때 벽체의 요입 코너 및 평행한 면에 각각 시공된 상태는 상기 설명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인테리어용 몰딩을 시공함에 있어 단순히 끼워 조립하는 몰딩 연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마감 시공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몰딩 연결부재는 연질 수지로 이루어져 돌출된 코너 부분에는 날카로움이 배제되어 부주의한 사고에 의한 큰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바닥면에 시공하는 걸레 받이 몰딩의 경우 돌출 코너의 손상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높고, 시공시에는 몰딩 컷팅의 편차를 정밀하게 관리하지 아니하므로 시공이 매우 빠르고 연결부재는 몰딩 전 표면과 후면에 틈새 없이 끼워지므로 별도의 고정 작업을 배제하여도 밀리거나 분리되지 아니하며, 몰딩의 수축이나 팽창에 따른 몰딩 틈새의 변화를 흡수하는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인테리어용 코너 완충 몰딩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다른 천장 몰딩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몰딩 연결 부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몰딩 시공 상태 개략도.
도 4는 도 3 고안 중 요부 발췌 도시한 일 실시예로서 몰딩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몰딩 연결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몰딩 연결부재의 횡단면도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몰딩 연결부재와 몰딩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 상태에서 몰딩과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횡단면도.
도 9는 도 3 고안 중 요부 발췌 도시한 다른 몰딩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3 고안 중 요부 발췌 도시한 다른 몰딩 연결부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30 : 연결부재 12, 22, 32 : 전면 덮개부
14 : 상(하)면 덮개부 16 : 연장판
18, 28, 38 : 후면 지지부 162 : 돌출단턱
164 : 역 엣지부 166 : 돌기

Claims (7)

  1.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 또는 천장과 벽면 사이에 시공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양쪽 몰딩 단부가 서로 면접하는 부분에 끼워 설치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에 있어,
    상기 몰딩 표면과 접하는 전면 덮개부와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와 상기 전면 덮개부와 상(하)면 덮개부에서 연장하여 몰딩의 배면에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후면 지지부로 이루어 양측으로 몰딩을 끼워 몰딩의 전면과 배면에 끼워 몰딩 접면을 덮어씌우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는 돌출 코너에 사용되는 연결부재(10)와, 요입 코너에 사용되는 연결부재(20) 및 나란히 연결되는 몰딩에 사용되는 연결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 코너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10)는 양측의 몰딩(1)이 직교하는 돌출 코너에 사용하며, 몰딩의 표면 굴곡과 동일한 굴곡면을 형성한 전면 덮개부(12)를 돌출하는 직교 형상으로 이루고 이 전면 덮개부(12)의 상부면에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14)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 덮개부(12)의 교차 내면으로부터 등각 분할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면으로 연장판(16)을 이루어 연장판의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단턱(162)을 전면 덮개부와 평행하게 직교하여 형성하며, 하 단부에는 몰딩의 엣지면에 대응하여 면접하는 역 엣지부(164)로 이루어지는 후면 지지부(18)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중 요입 코너에 사용되는 연결부재(20)는 양단으로 벌려진 전면 덮개부(22)가 요입 코너를 이루도록 외각(a2)은 교차 몰딩의 요입각도보다 약 2°~ 3°큰 각으로 형성하여 이루며, 후면 지지부(28)의 돌출단턱 및 역 엣지부는 전면 덮개부(22)의 덮개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여 이루고, 양측의 몰딩(1)이 직교하는 요입 코너에 사용하며, 몰딩의 표면 굴곡과 동일한 굴곡면을 형성한 전면 덮개부(22)를 요입 직교 형상으로 이루고 이 전면 덮개부(22)의 상부면에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24)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 덮개부(22)의 교차 내면으로부터 등각 분할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면으로 연장판(16)을 이루어 연장판의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단턱(162)을 전면 덮개부와 평행하게 직교하여 형성하며, 하단부에는 몰딩의 엣지면에 대응하여 면접하는 역 엣지부로 이루어지는 후면 지지부(28)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몰딩의 연결 부재 중 몰딩 간에 평행한 연결부위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30)는 양단으로 벌려진 전면 덮개부(32)가 평행하고, 후면 지지부(38)의 돌출단턱 및 역 엣지부는 전면 덮개부(32)의 덮개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양측의 몰딩(1)이 직교하는 요입 코너에 사용하며, 몰딩의 표면 굴곡과 동일한 굴곡면을 형성한 전면 덮개부(32)를 요입 직교 형상으로 이루고 이 전면 덮개부(32)의 상부면에 몰딩의 노출 상(하)면을 감싸는 상(하)면 덮개부(34)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 덮개부(32)의 교차 내면으로부터 등각 분할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면으로 연장판(16)을 이루어 연장판의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단턱(162)을 전면 덮개부와 평행하게 직교하여 형성하며, 하 단부에는 몰딩의 엣지면에 대응하여 면접하는 역 엣지부로 이루어지는 후면 지지부(38)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6. 청구항 3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16)에는 돌기(166)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의 전면 덮개부(12)는 교차하는 몰딩의 각도보다 약 2°~ 3°작은 각을 이루어 몰딩 표면과 연결부재 전면 덮개부의 밀착도를 높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KR20-2005-0014971U 2005-05-26 2005-05-26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KR200394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971U KR200394073Y1 (ko) 2005-05-26 2005-05-26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971U KR200394073Y1 (ko) 2005-05-26 2005-05-26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554A Division KR100727891B1 (ko) 2005-05-26 2005-05-26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073Y1 true KR200394073Y1 (ko) 2005-09-01

Family

ID=4369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971U KR200394073Y1 (ko) 2005-05-26 2005-05-26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0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33Y1 (ko) 2010-12-24 2012-03-07 서은순 인테리어용 몰딩재
KR200483281Y1 (ko) 2016-02-03 2017-04-24 주식회사 에스아이디어코스틱 인테리어 벽체 몰딩부재
KR200493023Y1 (ko) * 2019-08-23 2021-01-19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덧붙임용 몰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33Y1 (ko) 2010-12-24 2012-03-07 서은순 인테리어용 몰딩재
KR200483281Y1 (ko) 2016-02-03 2017-04-24 주식회사 에스아이디어코스틱 인테리어 벽체 몰딩부재
KR200493023Y1 (ko) * 2019-08-23 2021-01-19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덧붙임용 몰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891B1 (ko)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KR200394073Y1 (ko)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JP7286443B2 (ja) コーナーカバーとその取り付け方法
KR200164340Y1 (ko) 건물바닥 모서리의 걸레받이용 몰딩 장착구조
JP4741314B2 (ja) 内装構造及び内装構造用部材
JP2829284B2 (ja) コーナ造作材仮保持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ーナ造作材の保持方法
JP4881675B2 (ja) 枠および枠取付構造
JP5577447B1 (ja) 建築用目地材
KR200271093Y1 (ko) 코너 마감재
JP4435382B2 (ja) 化粧材取付具
JP4442414B2 (ja) 見切り材及びその階段への取付構造
JP3711004B2 (ja) 発泡合成樹脂製建築用桟
JP2605261Y2 (ja) 幅 木
JP3606845B2 (ja) 天井用の廻り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構造
JP4282812B2 (ja) 化粧材
JP2000154639A (ja) 床見切り材
JP2001098754A (ja) 幅木の構造及び幅木の取付け構造
JP3917745B2 (ja) 建築物の壁面における出隅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3685017B2 (ja) 端部カバー
JP2000265659A (ja) 住宅の化粧材、内装構造および化粧材の施工方法
JPH0734567A (ja) 壁パネルの接合方法
JP2006037368A (ja) 建築用コーナー仕舞部材及びその施工構造
JP2003227230A (ja) リフォーム用巾木材
JP2002364165A (ja) 巾木の固定構造
JP6483396B2 (ja) 建物用枠材の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