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550Y1 -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550Y1
KR200391550Y1 KR20-2005-0014430U KR20050014430U KR200391550Y1 KR 200391550 Y1 KR200391550 Y1 KR 200391550Y1 KR 20050014430 U KR20050014430 U KR 20050014430U KR 200391550 Y1 KR200391550 Y1 KR 200391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pport
lower case
camera support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Priority to KR20-2005-0014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5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촬영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촬영 사각지대를 거의 제로로 하여 촬영 범위를 최대한 넓혀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극대화한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카메라가 수용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가 형성된 구형의 카메라 지지구와; 대상물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카메라 지지구를 수용하여 사방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양단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지지구의 외면 중간부를 둘러싸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원형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되 그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카메라 지지구의 회전 가능 정도를 조절하며, 타단부에는 상기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촬영각도 증가수단이 형성된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Surveillance camera}
본 고안은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촬영 사각지대를 거의 제로로 하여 촬영 범위를 최대한 넓혀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극대화한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자 및 그 동태를 감시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감시카메라(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그 구조에 따라 돔형, 세트형, 총알형, 미니어처 타입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중 돔 타입은 실내 인테리어 조명장치등에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반구형상을 기본 디자인요소로 채택하고 있어 피감시자가 느끼는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실내 인테리어와 잘 어울리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돔 타입 감시카메라의 종래 구조를 도 1 내지 도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감시카메라는 크게 카메라 지지구(10)와, 상부 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지지구(10)는 내부에 카메라(미도시)가 수용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a)가 형성된 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는 전선은 통상적인 기술 수준이어서 도시하지 않았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카메라 지지구(10)는 제1 반구(11)와 제2 반구(12)로 이루어지며, 이 제1 반구(11)와 제2 반구(12)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서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반구(11)와 제2 반구(12)로 이루어진 카메라 지지구(10)의 내부에는 카메라가 수용되어 고정 설치되는데, 이 카메라의 렌즈부는 제1 반구(11) 또는 제2 반구(12)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노출부(11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노출부(11a)는 대략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반구(11)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 반구(12)의 개구부측의 내주면에는 나사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부(12a)에 나사 결합되도록 제1 반구(11)의 개구부측 외주면에는 나사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대상물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21)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카메라 지지구(10)를 수용하여 사방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면(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1)에는 체결수단(40)인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21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30)는 양단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지지구(10)의 외면 중간부를 둘러싸도록 소정 높이(h)를 갖는 원형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30)의 내주면은 소정 곡률로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일단부는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되 그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카메라 지지구(10)의 회전 가능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31은 나사부이고, 미설명 부호 23은 상부케이스(20)에 돌출 형성된 체결턱이고, 미설명 부호 23a는 상기 나사부(31)가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턱(23)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이다.
즉, 하부케이스(30)의 나사부(31)를 상부케이스(20)의 나사부(23a)에 덜 조여지도록 나사 결합시키면 하부케이스(30)내에서 카메라 지지구(10)는 자유롭게 사방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면에 하부케이스(30)의 나사부(31)를 상부케이스(20)의 나사부(23a)에 완전히 조여지도록 나사 결합시키면 하부케이스(30)의 내면과 카메라 지지구(10)의 외면이 서로 접촉되어 카메라 지지구(10)가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결국, 하부케이스(30)가 원형테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에 의해 카메라 지지구(10)는 이탈되지 않을 뿐더러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감시카메라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은 감시카메라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20)를 대상물인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 또는 복도의 천정등에 설치한 상태에서 카메라 지지구(10)내에 설치된 카메라의 렌즈부가 촬영 각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90°(도)범위 이내로 극히 제한되어 보다 폭넓게 촬영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하부케이스(30)가 양단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지지구(10)의 외면 중간부를 둘러싸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원형테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감시카메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각도 90°(도)를 벗어나 더 추가된 각도 범위인 45°(도) 범위를 촬영할 수 없어 복도의 천정에 설치할 경우에 촬영 사각지대가 생겨 제품의 신뢰성이 극히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촬영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촬영 사각지대를 거의 제로로 하여 촬영 범위를 최대한 넓혀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극대화한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카메라가 수용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가 형성된 구형의 카메라 지지구와; 대상물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카메라 지지구를 수용하여 사방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양단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지지구의 외면 중간부를 둘러싸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원형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되 그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카메라 지지구의 회전 가능 정도를 조절하며, 타단부에는 상기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촬영각도 증가수단이 형성된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결합 사시도로서, 반구와 체결부재는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감시카메라가 대상물인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부가 천정에 대해 수직 하방향이 되게 카메라 지지구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은 도 7에 도시된 감시카메라를 구성하는 카메라 지지구를 회전시켜 노출부가 요홈부와 일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사시도로서, 돌출턱이 요홈부에 삽입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하부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하부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하부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시카메라는 크게 카메라 지지구(100)와, 상부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하게는 도 6,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는 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카메라(미도시)가 수용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미도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0a)가 형성된다.
여기서, 카메라 지지구(100)내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은 통상적인 기술 수준이어서 카메라의 설치 상태를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고,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는 전선은 통상적인 기술 수준이어서 전선의 설치 상태를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는 제1 반구(110)와 제2 반구(120)로 이루어지며, 이 제1 반구(110)와 제2 반구(12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사으로 서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반구(110)와 제2 반구(120)로 이루어진 카메라 지지구(1000의 내부에는 카메라(미도시)가 수용되어 고정 설치되는데, 이 카메라의 렌즈부(미도시)는 제1 반구(110) 또는 제2 반구(120)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노출부(110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노출부(110a)는 대략 관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반구(1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제2 반구(120)의 개구부측의 내주면에는 나사부(12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부(120a)에 나사 결합되도록 제1 반구(110)의 개구부측 외주면에는 나사부(110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대상물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210)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를 수용하여 사방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면(2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210)는 상부케이스(20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 또는 복도의 천정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10)에는 체결수단(400)인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210a)이 관통 형성된다.
이제까지는 카메라 지지구(100)와 상부케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양단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의 외면 중간부를 둘러싸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원형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300)의 내주면은 소정 곡률로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일단부는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부케이스(200)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되 그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의 회전 가능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300a는 나사부이고, 미설명 부호 230은 상부케이스(200)에 돌출 형성된 체결턱이고, 미설명 부호 230a는 상기 나사부(300a)가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턱(23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이다.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타단부에는 상기 렌즈부(미도시)의 촬영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촬영각도 증가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촬영각도 증가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 6,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타단부에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가 소정 각도 회전되었을때 상기 노출부(110)가 보이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요홈부(31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를 구성하는 제1 반구(110)의 상기 노출부(110a)의 주변을 따라 일정 구간에 걸쳐 돌출 형성된 돌출턱(130)이 형성되며, 이 돌출턱(130)은 상기 요홈부(310)에 인입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00a)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내측 나사부(231)가 구비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외측 나사부(232)가 구비된 체결턱(230)이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턱(230)의 끝단면에는 투명 재질의 반구(400)가 안착되며, 상기 반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턱(230)의 외측 나사부(232)에 나사 결합되는 링형상의 체결부재(500)가 구비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01은 상기 외측 나사부(23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이다.
여기서, 상기 반구(400)의 역할은 노출부(110a)을 통해 보이는 카메라 렌즈브(미도시)에 먼지등 이물질이 끼여 촬영 정밀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이물질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그 잴은 투명 재질로 함이 바람직한데, 필요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부가 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범위이내에서 엷게 코팅을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를 대상물(건물의 천정면, 벽면, 복도의 천정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카메라 지지구(1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카메라 지지구(100)에 형성된 노출부(110a)는 하부케이스(300)에 형성된 촬영각도 증가수단인 요홈부(310)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카메라 지지구(100)내에 내장된 카메라(미도시)의 렌즈부(미도시)는 대상물의 면에 대해 거의 일직선 방향으로 피사체를 감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는 종래보다 촬영 각도를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촬영 각도를 사방 180°(도) 범위로 넓힐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각도 증가수단인 요홈부(310)에 상기 노출부(110)의 주변을 따라 일정 구간에 걸쳐 돌출 형성된 돌출턱(130)이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케이스(300)를 상부케이스(200)에 나사 결합할때 작업자가 카메라 지지구(100)를 취부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위치를 자연스럽게 세팅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돌출턱(130)이 요홈부(310)에 인입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300)가 나사 결합되면서 회전될때 요홈부(310)의 내벽면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카메라 지지구(100)도 하부케이스(300)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카메라 렌즈부 또는 노출부(110a)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세팅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종래에는 돌출턱(130)과 요홈부(310)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반드시 카메라 지지구(100)를 움직이지 않은 상태로 취부한 후 하부케이스(300)를 회전시켰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렌즈부의 촬영 위치를 세팅하는 방법은 하부케이스(300)의 나사 결합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중 하부케이스(300)의 요홈부(310)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도) 간격으로 3등분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감시카메라를 건물의 천정등의 대상물에 설치 방향에 구에받지 않고 장착하여도 카메라 지지구(100)의 노출부(110a)를 작동 범위를 넓힐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요홈부(310)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부에 걸쳐 대칭되게 형성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요홈부(310)를 도 12의 상태에서 중앙부를 가로질러 카메라 지지구(100)를 일부 커버링할 수 있도록 커버부(3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13)는 카메라 지지구(100)가 하부케이스(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촬영 사각지대를 거의 제로로 하여 촬영 범위를 최대한 넓혀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시카메라가 대상물인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카메라의 렌즈부가 천정에 대해 수직 하방향이 되게 카메라 지지구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감시카메라를 지시선 "X-X"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로 대상물인 천정에 설치되어 카메라 지지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감시카메라를 지시선 "Y-Y"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로 대상물인 천정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결합 사시도로서, 반구와 체결부재는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감시카메라가 대상물인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부가 천정에 대해 수직 하방향이 되게 카메라 지지구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은 도 7에 도시된 감시카메라를 구성하는 카메라 지지구를 회전시켜 노출부가 요홈부와 일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사시도로서, 돌출턱이 요홈부에 삽입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하부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하부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하부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메라 지지구
110a : 노출부
200 : 상부케이스
210 : 플랜지부
220 : 지지면
300 : 하부케이스

Claims (4)

  1. 내부에 카메라가 수용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0a)가 형성된 구형의 카메라 지지구(100)와;
    대상물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210)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를 수용하여 사방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면(220)이 형성된 상부케이스(200)와;
    양단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의 외면 중간부를 둘러싸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원형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되 그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의 회전 가능 정도를 조절하며, 타단부에는 상기 렌즈부의 촬영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촬영각도 증가수단이 형성된 하부케이스(300)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각도 증가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타단부에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가 소정 각도 회전되었을때 상기 노출부(110a)가 보이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요홈부(3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구(100)의 외면에는 상기 노출부(110a)의 주변을 따라 일정 구간에 걸쳐 돌출 형성된 돌출턱(130)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130)은 상기 요홈부(310)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일단부 외주면과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내측 나사부(231)가 구비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외측 나사부(232)가 구비된 체결턱(230)이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턱(230)의 끝단면에는 투명 재질의 반구(400)가 안착되며,
    상기 반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턱(230)의 외측 나사부(232)에 나사 결합되는 링형상의 체결부재(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KR20-2005-0014430U 2005-05-23 2005-05-23 감시카메라 KR200391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430U KR200391550Y1 (ko) 2005-05-23 2005-05-23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430U KR200391550Y1 (ko) 2005-05-23 2005-05-23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550Y1 true KR200391550Y1 (ko) 2005-08-03

Family

ID=4369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430U KR200391550Y1 (ko) 2005-05-23 2005-05-23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5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30Y1 (ko) 2009-08-06 2010-12-03 정성호 설치가 용이한 볼형 돔 감시카메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30Y1 (ko) 2009-08-06 2010-12-03 정성호 설치가 용이한 볼형 돔 감시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4057B2 (en) Surveillance camera gimbal mechanism
US7170560B2 (en) Surveillance camera with impact absorbing structure
US20030103161A1 (en) Reduce size structure of surveillance camera
US11134200B2 (en) Two axis pan tilt camera system configured to maintain a level image when wall or ceiling mounted
JP2000350058A (ja) テレビカメラ
KR200391550Y1 (ko) 감시카메라
KR20070092792A (ko) 돔 카메라
JP4322561B2 (ja) 多光軸光電スイッチ及びその取付構造並びに取付具
KR200392486Y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100492121B1 (ko) 돔형상 감시카메라 조립체
KR200277709Y1 (ko)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EP3817372B1 (en) Triaxial dome-type surveillance camera
KR200200321Y1 (ko) 돔형 카메라의 지지 고정장치
KR100913392B1 (ko) 카메라 틸팅 장치
KR200361958Y1 (ko) 감시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모듈 고정용 홀더
KR200361948Y1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KR200316928Y1 (ko) 돔형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KR200352632Y1 (ko) 감시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모듈 고정용 홀더
KR100383735B1 (ko) 감시용 카메라의 하우징 체결 장치
KR100917243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카메라 모듈 지지체
KR200252099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돔 카메라
KR200281458Y1 (ko) 감시용 카메라
RU2321070C1 (ru) Телевизионная камера в корпусе извещателя пожарного дымового
KR200446255Y1 (ko)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회전체
KR102643664B1 (ko) 감시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