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179Y1 -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179Y1
KR200378179Y1 KR20-2004-0034764U KR20040034764U KR200378179Y1 KR 200378179 Y1 KR200378179 Y1 KR 200378179Y1 KR 20040034764 U KR20040034764 U KR 20040034764U KR 200378179 Y1 KR200378179 Y1 KR 200378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ile
strength concrete
work
body portion
high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밭
Priority to KR20-2004-0034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반 보강공사 시에 지반에 타공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 및 하측 개구부의 테두리에 안쪽으로 경사면(111)(112)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110)와; 중앙에 관통된 홀(12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120)로 구성되어,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을 몸체부에 끼워 조립하는 작업만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공수를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본 고안은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반 보강공사 시에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들의 이음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 시에 지반 보강을 위하여 일정 깊이로 파일을 박게 되며, 재료에 따라 강관 또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이용된다.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은 내측에 스트레스가 인가된 강선을 삽입한 후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틀에 넣고 돌려 제작하여 강도를 높인 파일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은 건축물의 규모나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그 파일을 일정 깊이 이상 박게 되며 이때,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한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들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해서는 이음하고자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각 단부에 금속 재질의 조인트 캡(이하 연결장치라 함)을 씌운 후에 조인트 캡을 용접함으로써 콘트리트 파일의 이음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종래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10)는 원통 형상의 금속 몸체부(11)의 하단 중앙에 홀(13)이 형성된 원지지판(12)이 일체로 구성된다.
종래의 연결장치(10)는 다른 연결장치와 용접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하단에 고정되며, 먼저 지반에 타공된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연결장치와 조립된 후에 두 연결장치를 용접함으로써 이음 작업이 종료된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연결장치의 이음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지반(G)에 타공된 제1콘크리트 파일(20)은 상단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제1연결장치(21)를 제1콘크리트 파일(20)의 상단에 끼워 고정한다.
다음으로, 제2콘크리트 파일(30)의 하단에는 제2연결장치(31)를 끼워 고정한 후에 제2콘크리트 파일(30)을 들어 올려서 제1연결장치(21)와 제2연결장치(31)를 끼워 조립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장치(21)와 제2연결장치(31)의 이음부위를 용접(W)하여 제1콘크리트 파일(20)과 제2콘크리트 파일(30)을 연결한다.
제1콘크리트 파일과 제2콘크리트 파일의 연결 작업이 끝난 후에는 계속 타공 작업을 하여 목적하는 깊이까지 콘크리트 파일을 박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는 이음하고자 하는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에 각각의 금속성 연결장치를 끼운 후에 두 연결장치를 용접하여 이음 작업을 하므로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연결 작업 시에 종래와 같은 용접 작업을 배제하여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작업이 신속하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는 상측 및 하측 개구부의 테두리에 안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와; 중앙에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에 있어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100)는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중앙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120)로 구성된다.
몸체부(110)의 상측 개구부 테두리에는 안쪽으로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파일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하측 개구부 테두리에는 안쪽으로 경사면(112)이 형성된다.
지지부(120)는 몸체부(110)의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며, 중앙에는 관통된 홀(121)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 몸체부(110)에는 지지부(120)를 중심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볼트 체결공(113)(114)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 체결공(113)(114)은 몸체부(110)의 상하측에 콘크리트 파일을 끼워 조립한 후에 볼트를 끼워 고정하여 몸체부(110)와 콘크리트 파일을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볼트 체결공(113)(114)의 위치는 통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요홈과 일치하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연결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반(G)에 타공된 제1콘크리트 파일(20)의 상단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몸체부(110)의 하측 개구부를 제1콘크리트 파일(20)의 상단에 끼워 조립한다.
몸체부(110) 내의 지지부(120)가 제1콘크리트 파일(20)에 걸려 고정되며, 다음으로 몸체부(110)의 상측 개구부에 제2콘크리트 파일(30)을 끼워 조립한다.
제1콘크리트 파일(20)과 제2콘크리트 파일(30)의 연결 작업이 끝난 후에는 계속 타공 작업을 하여 목적하는 깊이까지 콘크리트 파일을 박는다.
한편, 제1및제2콘크리트 파일(20)(30)을 몸체부(110)에 끼워 조립한 후에 볼트 체결공에 볼트(B)를 끼워 죄여줌으로써 제1콘크리트 파일(20)과 제2콘크리트 파일(30)을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는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을 몸체부에 끼워 조립하는 작업만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공수를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연결장치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장치 110 : 몸체부
113, 114 : 볼트 체결공 120 : 지지부

Claims (2)

  1. 상측 및 하측 개구부의 테두리에 안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와;
    중앙에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KR20-2004-0034764U 2004-12-07 2004-12-07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KR200378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64U KR200378179Y1 (ko) 2004-12-07 2004-12-07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64U KR200378179Y1 (ko) 2004-12-07 2004-12-07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179Y1 true KR200378179Y1 (ko) 2005-03-11

Family

ID=4367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764U KR200378179Y1 (ko) 2004-12-07 2004-12-07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1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563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100835778B1 (ko)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가능 이음장치
KR101299023B1 (ko) 다이아프램을 매개로 하여 각형강관의 이음위치와 철골보의 상부레벨을 서로 일치시키는 접합구조
KR20180007293A (ko) Phc 말뚝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98480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JPH11344169A (ja) 管の継手構造
JP2006037619A (ja) 筒体の連結装置
KR200378179Y1 (ko)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KR101839306B1 (ko)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이음장치
KR101726278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결합구조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JP4545470B2 (ja) 鉄骨柱と鋼管杭のジョイント構造
KR200277683Y1 (ko) 연약지반 보강용 파일의 연결구조
JP2007138522A (ja) 杭の連結構造、pc鋼棒
KR101207194B1 (ko)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장치
KR101644449B1 (ko) 죠인트판과 연결핀을 이용한 phc 말뚝
JP2000328557A (ja) 杭の継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21198B1 (ko) 소켓식 강관파일의 이음시공방법
JPH04122733U (ja) Pc杭のネジ式ジヨイント
KR102138666B1 (ko) 콘크리트파일용 연결유니트
JP4621538B2 (ja) 打設杭と上部柱との接合装置
KR100917416B1 (ko) 강관 트러스 십자형 접합구조
JPH0371524B2 (ko)
CN217150187U (zh) 可靠性高的预制桩连接结构和整桩结构
CN212835350U (zh) 一种土木工程柱形基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