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098Y1 -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 Google Patents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098Y1
KR200377098Y1 KR20-2004-0033740U KR20040033740U KR200377098Y1 KR 200377098 Y1 KR200377098 Y1 KR 200377098Y1 KR 20040033740 U KR20040033740 U KR 20040033740U KR 200377098 Y1 KR200377098 Y1 KR 200377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ing mold
flexible wiring
integrated flexible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김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태 filed Critical 김병태
Priority to KR20-2004-0033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05Mounting by adhes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권취 가능토록 연질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이음선이 없어 노출 배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기저부와 커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배선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필요에 따라 커버부의 일부를 깔끔하게 절개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나사 장착 구멍을 구비하여 접착 테이프와 함께 견고한 고정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는 노출 배선을 마감하는 내부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연질 합성수지재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일측에서 힌지부(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에서 단턱수용공간(116)이 형성되도록 지지돌출단(112)과 상부고정단턱(114)을 갖는 커버부(110)와; 상기 힌지부(120)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서 평활한 바닥면(132)의 타측에 상기 단턱수용공간(116)에 대응한 하부고정단턱(134)을 갖는 기저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SOFT MATERIAL WIRING MOLD HAVING COVER AS A BODY}
본 고안은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 천장, 바닥, 기둥 등과 같이 실내 내부의 표면에 노출된 전선, 케이블, 전화선 등의 배선을 미학적으로 깔끔하고 기능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전기 배선 기구에 해당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내 배선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선과, 각종 전기 장치, 조명 장치, 배선반 등을 연결하는 제어용 배선과, TV 안테나 및 동축케이블 등을 위한 케이블 배선과, 전화 라인 내지 홈네트워크용 UTP케이블에 해당하는 통신 배선 등이 있다.
이런 배선은 통상적으로 PVC, 알루미늄 재질로서 전선을 감싸면서 실내 표면에 접착되게 구성된 배선 몰드, 전선 몰드, 전선 보호용 커버 등에 의해 마감처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배선 몰드는 알루미늄의 경우 고강도 제품으로 견고함을 유지하나 표면 여굴(표면이 매끈하지 못한 것)에 대해 대응력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2단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 노출 배선을 마감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매우 불편한 실정이다.
예컨대, 2단으로 분리된 커버와 하부판은 그의 연결 지점을 세밀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겹치지 않을 경우, 축 길이가 상호 일치되지 않게 되어 이후 배열될 다른 배선 몰드의 커버와 하부판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깔끔한 배선 시공이 어렵고, 이를 맞추기 위해서 반복적으로 커버를 하부판에서 착탈시키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선 몰드는 하부판에 형의 덮개를 탄력에 의해 끼워 맞추도록 된 것으로 하부판에 상부덮개를 끼워 맞추기가 난이하고 결합 후 상부덮개에 하중이 가해지면 탄력에 의해 결합된 상부덮개가 쉽게 분리되는 결정이 있었다.
이런 점을 감안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 보호용 커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의 일측상단에 원형홈(2)을 형성시키고 타측끝단은 반원형체 덮개(3)와 연결부(4)로서 연결시키고 있다. 여기서, 반원형체 덮개(3)의 선단의 원형돌기(4)는 원형홈(2)에 맞물리며, 하부판(1)의 연결부(4) 내측에 형성된 내측홈(7)에는 반원형체 덮개(3)의 내측돌출단(5)이 맞물리게 되며, 그럼으로 써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고 결속시 상부에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 보호용 커버는 통상의 배선 몰드와 동일하게 경질의 소재로서 약간의 휨변형이 가능할 뿐, 돌기, 돌출부, 곡면 등과 같은 표면에 대응하게 밀착 및 고정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전선 보호용 커버를 비롯하여 통상의 배선 몰드는 대략 1미터 간격의 길이를 갖고 있는 반면, 노출 배선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벽의 표면의 폭 또는 높이와 대동소이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하는 일자 배열이기 때문에, 상기 길이 간격마다 이음선이 덮개 또는 하부판에 노출되게 됨에 따라 미학상 깔끔한 노출 배선 마감 처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 보호용 커버 내지 배선 몰드는 통상적으로 전선 배선을 마감하기 위해서는 복수개가 요구되나, 낱개로 존재하는 연유로 인하여 관리 및 운반이 불편하고, 필요한 치수만큼 절단하여 사용한 나머지 부분은 거의 버리게 되므로 비경제적이면서도 폐기물 처리의 불편함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전선 보호용 커버는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내측돌기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를 기준으로 내측돌기단과 원형돌기가 복수개의 자유단과 같은 구조를 갖게 되며, 이는 복수개의 자유단과 같은 원형돌기와 내측돌기단을 각각 내측홈과 원형홈에 각각 맞물리게 끼움결합을 하여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배선 시공상 불편함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 보호용 커버 내지 배선 몰드는 하부판 내지 이와 유사한 배선 몰드의 부위를 단순히 접착 테이프로만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어서, 견고한 고정 상태 유지가 불가능하며, 소정 시간 사용 후 접착 테이프의 접착 성능이 떨어질 때 표면으로부터 일부 또는 전부가 분리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 보호용 커버 내지 배선 몰드는 그의 일부분만을 절개하여 전선 내지 배선의 방향을 전환시키려 할 때, 가위, 칼과 같은 절단 공구를 사용하여 일부분만을 절개하여야 하나, 이때 덮개를 하부판에서 완전 분리한 상태에서 덮개의 일부분을 절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덮개를 하부판에서 분리하지 않고 절개 작업을 할 경우, 절개 부위가 지저분하게 절개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권취 가능토록 연질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이음선이 없어 노출 배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기저부와 커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배선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필요에 따라 커버부의 일부를 깔끔하게 절개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나사 장착 구멍을 구비하여 접착 테이프와 함께 견고한 고정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버부에서 지지돌출단의 돌출길이를 상부고정단턱의 돌출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에 따라, 커버부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기저부에 결착되도록 유한한 회전 거리동안 개폐 작동시, 커버부의 지지돌출단과 경사고정단으로 감싸진 단턱수용공간의 개구부위가 상기 커버부의 개폐 작동시의 회전 아크 라인을 따라 회동한 후, 기저부의 하부고정단턱에 일치되어 커버부와 기저부의 결착을 손가락 하나 정도의 지압에도 용이하게 결착될 수 있어 배선 시공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방염 및 난연 특성을 갖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중 하나는 노출 배선을 마감하는 내부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 있어서, 연질 합성수지재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일측에서 힌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에서 단턱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돌출단과 상부고정단턱을 갖는 커버부와; 상기 힌지부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서 평활한 바닥면의 타측에 상기 단턱수용공간에 대응한 하부고정단턱을 갖는 기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 중 다른 하나는 노출 배선을 마감하는 내부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 있어서, 연질 합성수지재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일측에서 힌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선단에서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되 반쪽 또는 양쪽 화살표 형상의 단턱수용공간에 대응한 상부고정단턱을 갖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결착되도록 상기 단턱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고정단턱에 결착되는 하부고정단턱를 갖는 기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서 기저부를 기준으로 커버부를 일측으로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서 커버부의 일부를 절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먼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커버 일체형으로서 주택, 건물의 내부 및 외부에서 각종 배선의 마감 처리를 요구하는 어떠한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 테이프로 부착되거나, 또는 고정 볼트, 나사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는 노출 배선 깔끔 처리 수단에 해당하는 연질 몸체(100)로서 미관상 노출 배선을 깔끔하게 처리한다.
이런 본 고안의 몸체(100)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예컨대, 몸체(100)의 재질은 휨변형이 좋고 탄성 발생이 양호한 연질 폴리염화비닐(PVC), 연질 폴리에틸렌(PE), 연질 폴리프로필렌(PP), 범용 연질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기본 재질로 한다.
이런 몸체(100)의 기본 재질에는 황산바륨, 방해석, 실리카, 카올린, 칼크(kalk : 석회), 탈크(talc : 활석), 탄산칼륨과 같은 충전제가 적어도 하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함유 비율은 기본 재질이 연질 성질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정도의 소정 phr(part per hundred resin)로 제한될 것이다. 또한, 몸체(100)의 기본 재질에는 기타 첨가제, 즉 불연제, 방염제, 난연제, 핵제, 충격보강제, 활제, 안정제를 합성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저하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각 1phr ∼ 5phr 정도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난연제는 SAYTEX 102E(제조사 : Albemarle Corp), 페넌트렌 타입의 무독성 인계 난연제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몸체(100)의 기본 재질에는 다양한 컬러, 색상 및 광택을 제조시부터 갖도록 소정 비율의 염료 및 통상의 광택제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기본 재질, 충전제, 첨가제는 본 고안에서 개시될 단면적에 대응한 형틀을 갖는 통상의 합성수지 제조 설비에 의해 양산 제조된다.
특히 본 고안의 몸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성형되고 상온 상태로 냉각된 후, 소정 권취 장치에 의해 감겨진다.
즉, 몸체(100)는 축방향 길이가 10미터, 20미터, 30미터 규격 등과 같이 수십 미터로 연장 및 냉각된 후, 롤(200)에 권취되어 상기 규격에 대응하게 절단됨에 따라, 결국 롤(200)에 감겨진 상태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몸체(100)는 배선 시공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 및 절단되어 사용된다.
이런 본 고안의 몸체(100)는 배선 시공시에 노출 배선의 길이만큼 절단되기 때문에, 적어도 양 끝단부를 제외하고는 노출 배선의 길이 상에 어떠한 이음선도 노출시키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본 고안의 구성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고안의 몸체(100)는 소형, 중형, 대형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를 갖는 것으로서, 그의 두께, 폭, 길이 등과 같은 레이아웃(layout)은 전기 배선에 관련된 법규 내지 규격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양산될 수 있다.
몸체(100)는 크게 커버부(110), 힌지부(120), 기저부(13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전체적으로 그의 내부가 축방향을 따라 빈 공간을 갖고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배선을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0)의 단면 형상은 반타원형, 반원형, 육각형, 반육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는 반복되면서도 안정된 개폐 성능을 제공하는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커버부(110) 또는 기저부(130) 중 하나는 유한한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개방 또는 폐쇄하게 회동될 때, 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을 제외하는 범위 내에서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특히, 커버부(110)의 일측은 힌지부(12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버부(110)의 자유단에 해당하는 타측의 선단에는 지지돌출단(112)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꺾쇠 형상을 갖는 반쪽 화살표 형상의 상부고정단턱(114)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커버부(110)와 결착되는 기저부(130)의 일측은 힌지부(12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저부(130)의 타측은 하부고정단턱(134)을 형성하고 있다.
하부고정단턱(134)은 상기 상부고정단턱(112)과 지지돌출단(114)에 의해 한정되는 반쪽 화살표 형상의 단턱수용공간(116)의 개구부위를 통해서 탄성에 의해 결착된다.
여기서, 커버부(110)에서 지지돌출단(112)의 돌출길이는 상부고정단턱(114)의 돌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돌출단(112)은 끝이 둥근 평활한 벽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상부고정단턱(114)은 지지돌출단(114)과 함께 상기 하부고정단턱(134)을 감싸면서 단턱끼리 탄성에 의해 결착되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고정단턱(114)의 외측 형상은 상기 커버부(110)의 외표면에 일치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고정단턱(134)이 기저부(130)측에 형성되고, 하부고정단턱(134)에 대응하여 지지돌출단(112)과 상부고정단턱(114)에 의해 한정된 반쪽 화살표 형상의 단턱수용공간(116)이 커버부(110)측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제1실시예의 특징이다.
몸체(100)의 커버부(110)는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기저부(130)에 결착되도록 유한한 회전 거리 사이에서 개폐 작동을 하게 된다. 특히, 커버부(110)의 지지돌출단(112)과 상부고정단턱(114)으로 감싸진 단턱수용공간(116)의 개구부위는 상기 유한한 회전 거리 사이에 대응한 가상의 회전 아크 라인을 따라 회동하여 기저부(130)의 하부고정단턱(114)에 체결된다.
또한, 기저부(130)는 그의 평활한 바닥면(132)에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의 나사 장착 구멍(136)을 형성하고 있다. 기저부(130)는 복수개의 나사 장착 구멍(136)이 미리 깔끔하게 천공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볼트 체결시 깔끔함을 제공할 수 있고, 무리한 볼트 천공에 따른 기저부(130)의 변형 및 비틀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저부(130)의 저면에는 산업용 또는 건축용 접착 테이프(140)가 고정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140)는 양면 테이프 형식으로서, 접착층으로부터 이형(離型)처리된 시트를 벗겨 낸 후 본 고안의 기저부(130)의 저면을 부착 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이형처리는 표면에 소정 목적물(시트)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요에 따라 시트의 분리를 가능케 하는 통상의 표면처리공법의 하나이다.
따라서, 기저부(130)는 접착 테이프(140)와 병용하면서 복수개의 나사 장착 구멍(136)을 통한 고정 나사로 부착 대상물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힌지부(120)는 양측 허리부위가 삼각 홈과 같이 각각 함몰된 단면을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있다.
이런 힌지부(120)의 형상적 특징은 커버부(110) 또는 기저부(130)의 회전시 힌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깨끗한 절개선을 제공하는 절개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몸체(100)의 안쪽에 노출 배선(20)을 길이방향을 따라 안치시킨다.
이런 몸체(100)는 힌지부(120)를 통해 일체형의 커버부(110) 및 기저부(130)를 갖기 때문에, 커버부(110)와 기저부(130)의 결착을 위해 각각 커버부(110) 및 기저부의 양측 끝단을 상호 일치시킬 필요 없고, 사용자의 손가락(10)의 지압 정도로 커버부(110)를 가볍게 누를 때, 커버부(110)의 일부가 순차적으로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저부(130)에 결착되게 된다.
즉, 몸체(10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질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어서,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커버부(110)의 일측 부위(A)가 기저부(130)에 결착되었더라도 커버부(110)의 타측 부위(B)가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사용자가 손가락(10)을 커버부(110)의 일측 부위(A)의 상면에 압착한 상태로 타측 부위(B)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타듯이 움직일 경우, 커버부(110)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커버부(110)의 타측 부위(B)가 소정 아크 라인을 따라 회동하면서 자동으로 기저부(130)에 결착되어, 정확 및 신속하게 커버부(110)와 기저부(130)의 결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힌지부(120)의 시작 위치에는 내측으로 각지게 함몰된 절취 탭홈(12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커버부(110)의 시작 부위를 경사 상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절취 탭홈(122)에서부터 크랙이 발생한다. 여기서, 힌지부(12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허리부위가 삼각 홈과 같이 각각 함몰되어 있기 때문에, 크랙은 힌지부(120) 이외의 곳으로 전파되지 않고, 힌지부(120)를 따라 깔끔한 절개선(124)이 형성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부위만큼, 즉 일부분 또는 전체부분에 해당하게 커버부(110)를 기저부(130)로부터 절취하고, 이후 가위, 칼과 같은 절단 공구를 사용하여 일부분만을 깔끔하게 절개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는 커버부의 타측의 선단에 양쪽 화살표 형상의 단턱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저부의 타측 선단에 양쪽 화살표 형상의 하부고정단턱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 내지 도 7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서 기저부를 기준으로 커버부를 일측으로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몸체(100)는 일측의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개폐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된 커버부(110)와 몸체부(120)를 갖는다.
커버부(110)의 타측 선단에는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단턱수용공간(116')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단턱수용공간(116')는 양쪽 화살표 형상과 유사 내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단턱수용공간(116')의 내측면에 양쪽 대칭으로서 복수개인 상부고정단턱(114')이 형성된다.
한편, 커버부(110)와 결착되는 기저부(130)의 타측 선단에는 상기 단턱수용공간(116')에 삽입되어 상부고정단턱(114')과 결착되는 양쪽 화살표 형상의 하부고정단턱(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복수개의 상부고정단턱(114')과 하부고정단턱(134')의 체결은 제1실시예의 것보다 상대적으로 큰 결합 고정력을 제공하여, 더욱 견고한 체결 상태 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3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의 단면 형상이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호 교합되게 형성된 절곡 내벽체와 절곡 외벽체의 탄성 결합을 통해서 힌지부를 기준으로 커버부와 기저부가 체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제2실시예의 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그러므로, 도 2 내지 도 9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몸체(100)는 커버부(110)와 기저부(130)가 상호 교합될 때 전체적으로 육각형 단면 형상을 갖게 된다.
앞서 설명에서와 같이 상부고정단턱 또는 하부고정단턱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몸체(100)는 커버부(110)에 절곡 외벽체(118)가 형성되고, 기저부(130)에 절곡 내벽체(138)가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 단면 형상을 각각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저부(130)의 절곡 내벽체(138)는 바닥면(132)의 양측 부위 중 선단에서부터 각각 축심까지 상기 커버부(110)의 두께를 고려하여 내측 쪽으로 들어온 곳에서 각각 'V'자와 같이 확장된 평활형 벽체를 형성하다가 다시 축소된 평활형 벽체를 유지하며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커버부(110)의 절곡 외벽체(118)의 일측 아래쪽 부위는 기저부(130)의 바닥면(132)의 일측 부위와 만나게 되며, 상기 바닥면(132)을 기준으로 소정 높이(예 : 1㎜ ∼ 3㎜) 정도에 힌지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110)의 절곡 외벽체(118)의 타측은 자유단으로서 기저부(130)의 선단과 절곡 내벽체(138)의 사이 코너에 기밀하게 안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런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커버부(110) 또는 기저부(13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 쪽으로 열고 닫는 개폐 작동이 가능하며, 앞서 언급한 고정단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높이)가 긴 절곡 외벽체(118)와 절곡 내벽체(138)의 탄력성 있는 압착을 통해서 결착이 용이하면서도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는 통상의 배선 몰드와 달리 부드러운 휨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돌기, 돌출부, 곡면 등과 같은 표면에 대응하게 밀착 및 고정이 가능하고, 여굴이 있는 불규칙한 표면에 부착이 용이하고, 연장방향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하더라도 밀착 성능이 떨어지지 않고, 고품격 인테리어용 자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는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를 갖게 감겨진 상태로 제작되어 있어서, 필요한 노출 배선의 거리만큼 절단하여 사용함에 따라 이음선이 없는 하이테크한 노출 배선 마감재로서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는 감겨진 상태로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여 관리 및 운반이 용이하고, 필요한 치수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에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기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커버부를 제공함에 따라, 배선 시공상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는 접착 테이프와 병용하여 나사 장착 구멍에 나사를 체결하여 표면에 부착될 경우 견고한 고정 상태 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는 힌지부에 절취 탭홈을 구비하여, 기저부를 기준으로 커버부를 일부 또는 전부 절취할 때 깔끔한 절개선이 형성되며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 보호용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서 기저부를 기준으로 커버부를 일측으로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의 사용 상태도,
도 5a와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서 커버부의 일부를 절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서 기저부를 기준으로 커버부를 일측으로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서 기저부를 기준으로 커버부를 일측으로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커버부
112 : 지지돌출단 114 : 상부고정단턱
116 : 단턱수용공간 120 : 힌지부
130 : 기저부 134 : 하부고정단턱

Claims (9)

  1. 노출 배선을 마감하는 내부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 있어서,
    연질 합성수지재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일측에서 힌지부(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에서 단턱수용공간(116)이 형성되도록 지지돌출단(112)과 상부고정단턱(114)을 갖는 커버부(110)와;
    상기 힌지부(120)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서 평활한 바닥면(132)의 타측에 상기 단턱수용공간(116)에 대응한 하부고정단턱(134)을 갖는 기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출단(112)은 끝이 둥근 평활한 벽체의 형상이고, 상기 상부고정단턱(114)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단턱수용공간(116)으로 하여금 반쪽 화살표 형상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출단(112)의 돌출길이는 상기 상부고정단턱(114)의 돌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4. 노출 배선을 마감하는 내부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 있어서,
    연질 합성수지재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일측에서 힌지부(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선단에서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되 반쪽 또는 양쪽 화살표 형상의 단턱수용공간(116')에 대응한 상부고정단턱(114')을 갖는 커버부(110)와;
    상기 커버부(110)와 결착되도록 상기 단턱수용공간(116')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고정단턱(114')에 결착되는 하부고정단턱(134')를 갖는 기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반타원형, 반원형, 육각형, 반육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연질 합성수지재는 연질 폴리염화비닐(PVC), 연질 폴리에틸렌(PE), 연질 폴리프로필렌(PP), 범용 연질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기본 재질에 적어도 소정 비율의 충전제, 난연제를 포함한 첨가제, 염료, 광택제 중 하나를 각각 함유하여 롤(200)에 의해 감겨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20)는 양측 허리부위가 삼각 홈과 같이 각각 함몰된 단면을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20)에는 시작 위치에서 내측으로 각지게 함몰된 절취 탭홈(122)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130)에는 접착 테이프(140)에 병용 사용 가능하게 복수개의 나사 장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KR20-2004-0033740U 2004-11-29 2004-11-29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KR200377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40U KR200377098Y1 (ko) 2004-11-29 2004-11-29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40U KR200377098Y1 (ko) 2004-11-29 2004-11-29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098Y1 true KR200377098Y1 (ko) 2005-03-10

Family

ID=4367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740U KR200377098Y1 (ko) 2004-11-29 2004-11-29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0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45B1 (ko) * 2020-09-09 2021-05-28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102285484B1 (ko) * 2020-11-03 2021-08-03 김성준 케이블 몰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45B1 (ko) * 2020-09-09 2021-05-28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102285484B1 (ko) * 2020-11-03 2021-08-03 김성준 케이블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4180A (en) Multi-channel duct for power and tel/com conductors
US6867370B2 (en) Temporary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ical box
US20140014787A1 (en) Cable organizer structure
US8575483B2 (en) Electrical box for installation in insulated concrete form construction
JP5320589B2 (ja) 照明器具及び誘導灯
KR200377098Y1 (ko)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JP2015225935A (ja) 電線固定具
RU2714826C2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шну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JP4857449B2 (ja) 伸縮自在の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2005294132A (ja) 外装モールド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外装モールドハーネス搭載の自動車
JP2023541867A (ja) ケーブルモール
JP4175271B2 (ja) 防気カバー
JP2006230059A (ja) 配線システム
KR200207493Y1 (ko)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JP2000253535A (ja) ケーブルダクトおよびその接続構造
JP2008075310A (ja) 配線収納部材
JP3122361U (ja) 配線装置
KR200236626Y1 (ko) 다목적배선덕트
JP3690270B2 (ja) 配線器具用の防気装置
KR200285097Y1 (ko) 배선 덕트용 커버
KR102021581B1 (ko) 배선용 몰딩
US20230187916A1 (en) System for Childproofing a Wall Outlet, While Functionally Moving and Aesthetically Hiding It and Securing an Electrical Cord or Data Cable to the Wall
KR20000066824A (ko) 배선덕트와 다변 확장형몸체 및 이를 구비한 다변 확장형 배선덕트
KR200207527Y1 (ko) 통신용 케이블 배선을 위한 홀더
JP5711611B2 (ja) 給電ポ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