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654Y1 - Racket - Google Patents

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654Y1
KR200376654Y1 KR20-2004-0035119U KR20040035119U KR200376654Y1 KR 200376654 Y1 KR200376654 Y1 KR 200376654Y1 KR 20040035119 U KR20040035119 U KR 20040035119U KR 200376654 Y1 KR200376654 Y1 KR 200376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et
string binding
string
binding fram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1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효정
주우광
Original Assignee
주우광
김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광, 김효정 filed Critical 주우광
Priority to KR20-2004-0035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65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654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8Frames with special construction of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06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air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켓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에 직접 착용한 상태에서 특별히 제조된 제기볼이나 기타 배드민턴용 공 등을 상대방에게 쳐서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제기볼의 반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착용시 손의 파지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면서도 손목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을 더욱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여 경기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et, the user is configured to send a specially prepared raised ball or other badminton ball to the other party while wearing it directly on the hand, so as to increase the anti-elasticity of the raised ball, when worn By making the grip of the hand more solid and the movement of the wrist can be made naturally, the ball can be sent farther, and the wrist can be improved even after prolonged use.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은 바깥면이 막혀 있고 안쪽면은 개방되며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곡면처리되는 한편, 바깥쪽 아랫부분에 손목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 대략 타원형의 외측 커버와; 상기 외측커버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X"형 보강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앞쪽 둘레면을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스트링결속홈이 형성된 스트링결속프레임과;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의 전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된 상태로 결속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의 바깥쪽 윗부분에 결합되어 착용시 손가락이 독립되게 끼워지도록 하는 손가락밴드를 포함하는 라켓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의 바깥쪽 아랫부분에 형성된 경사면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중간부분을 가로질러 형성된 걸림편에 의하여 상하 2개로 구획된 소정 폭의 끼움공과; 상단부는 상기 손가락밴드에 끼워져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걸림편 윗쪽의 끼움공을 통하여 내측으로 끼워진 후 다시 걸림편 아랫쪽의 끼움공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인출되도록 결합되어 착용시 사용자의 손목 아랫부분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감싼 후 손등에서 결속되는 손등보호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상의 "X"형 보강편은 스트링결속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만큼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curv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blocked and the inner surface is open and a predetermined depth portion is formed inward, while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lower portion to prevent the interference of the wrist. An elliptical outer cover; Removably coupled along the inner surface edge of the outer cover, the "X" type reinforcing piece is integrally formed across the inner space, and the string binding frame formed with a string binding groove towar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circumference; ; A string that is bound to the front of the string binding frame in a state that crosses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 protective cover coupl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A racket comprising a finger band coupled to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ver to allow a finger to be fitted independently when worn, the racket being formed transversely at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outer cover, Fitting holes of a predetermined width divided into two up and down by a catching piece formed across; The upper end is fixed by being fitted to the finger band, the lower end is fitted inward through the fitting hole on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piece and then coupled to draw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tting hole on the lower side of the engaging piece. A hand back protection cover which is bound inwardly and bound at the back of the hand to face inwardly; The "X" type reinforcing piece on the string binding frame has a featu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state recessed inward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Description

라켓{RACKET}Racket {RACKET}

본 고안은 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에 직접 착용한 상태에서 특별히 제조된 제기볼이나 기타 배드민턴용 공 등을 상대방에게 쳐서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제기볼의 반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착용시 손의 파지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면서도 손목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을 더욱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목에 무리가가지 않도록 하여 경기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et, and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be sent to the opponent to send a specially prepared raised ball or other badminton ball while wearing directly on the hand, so as to increase the anti-elasticity of the raised ball When you wear it, the grip of the hand is more solid and the movement of the wrist can be made naturally, so that the ball can be sent farther, and the wrist can be improved even by using it for a long time. It is about a racket.

일반적으로, 라켓을 이용하여 공을 상대방에게 쳐넘기는 운동(또는 놀이)종목으로는 대표적으로 테니스와 배드민턴 및 탁구를 들 수 있다.In general, tennis, badminton, and table tennis are typical examples of sports (or play) events in which a racket is used to deliver a ball to an opponent.

오늘날과 같은 배드민턴은 1820년 인도에서 유래하여 1945년에 우리나라에 도입된 운동경기이고, 테니스는 1874년 윙 필드(Wing Field)소령이 네트와 코트의 규격을 만들어 '스퀘어리 스틱'이라는 스포츠서적에 발표한 이후로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발전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고종 때 미국인 선교사, 벵키, 제중원의 앤더슨 박사 등이 코트를 만들고 치기 시작한 것이 시초이다. Badminton, like today, originated in India in 1820 and was introduced to Korea in 1945. Tennis was created by Major Wing Field in 1874 in the sports book called 'Square Stick'. Since the announcement, it has developed into the same form as it is today, and it was the first time in Korea that American missionaries, Benki, and Dr. Anderson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began making coats.

이와 같은 배드민턴은 경기시 네트를 사이에 두고 게임을 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적고, 셔틀콕을 치기 위해서 움직이는 운동량이 적당하고, 순발력과 하지 근력이 강화되는 것은 물론, 심폐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남녀노소 좁은 장소에서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se badminton games are played with the net in between, so there is little risk, the amount of movement to move the shuttlecock is moderate, the quickness and lower leg muscle strength are strengthened, and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is improved.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enjoy.

테니스 또한 배드민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쳐넘겨지는 공의 속도가 빠르고 강하기 때문에 운동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운동종목이 되었다.Tennis is also a sport used by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despite the high amount of exercise because of the fast and strong speed of the ball that falls relatively faster than badminton.

상기와 같은 배드민턴이나 테니스와는 별도로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전통놀이를 이용하면서도 남녀노소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운동종목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출원인은 우리의 전통놀이의 일종인 제기차기를 응용한 운동종목과 그에 필요한 라켓을 개발하였다.Apart from the badminton and tennis as described abov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sports event that can be enjoyed without the spatial constraints of young and old, while using traditional Korean games in recent years. We developed a sporting event using the kick kick and a racket necessary for it.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된 라켓의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366012호가 제안되었다.On the other h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366012 has been proposed as a prior art of the racket developed by the applicant.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366012호는 상면은 폐쇄형으로 되고 저면은 개방되며 통상적으로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라켓의 외주면에 망결속공을 등간격으로 통공하여 줄을 수평과 수직으로 엮어 망을 형성하며, 라켓의 상면에 손등밴드와 독립형 손가락밴드를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라켓을 상측 프레임과 망결속 중간프레임으로 분할하여 형성하여 장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측프레임은 외측일면에 손목지지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손목지지 경사면과 그 반대측에 한쌍씩의 밴드결속공을 각각 나란하게 통공하여 손목을 결속시키는 손목밴드와 여러개의 손가락을 통시에 삽입하여 결속시킬 수 있도록 된 손가락밴드를 설치한 것과, 망결속 중간프레임은 망결속림의 주연부에 통상의 망결속공을 등간격으로 통공하여 줄을 수평과 수직으로 엮어 망을 형성하고, 망결속림의 내측에는 중간 힘살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과 상측프레임의 하측 주염부단부에는 커버링을 결속시켜서 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366012 is the upper surface is closed type, the bottom surface is open, an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cket formed in a generally elliptical shape through the net binding holes at equal intervals to weave the wir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form a net. In the case where the back of the racket and an independent finger b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et, the racket is formed by dividing the upper frame and the middle frame of the network binding to be integrally coupled or separated by the mounting means, the upper side The frame forms a wrist support inclined surface on an outer side surface, and through the pair of band binding hol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rist support inclined surface and the opposite side, respectively, the wrist band and the plurality of fingers that bind the wrist can be inserted and bound at the same time. The interlocking finger frame and the interlocking intermediate frame are placed at the periphery of the interlocking rim so It is made by forming a net by weaving the string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orming a net, and forming a middle force bar integrally inside the net binding rim, and by binding the covering to the lower main end of the upper frame. The point is to.

그러나, 상기 종래 라켓의 경우에는 손목밴드가 분리형이 아니라 고정형으로 구성되고, 그 폭 또한 손가락밴드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착용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acket, the wrist band is configured as a fixed type instead of a separate type, and the width thereof is also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nger band,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wear or very uncomfortable when worn.

또, 착용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손목밴드가 사용자의 손목을 윗부분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손목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되어 경기중 공을 정확하게 쳐넘길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it is possible to wear the wrist band because the support of the user's wris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wrist movement is unnatural, there is a problem that you can not accurately pass the ball during the game.

또, 상기한 종래 라켓의 경우 망결속림의 바닥면에 형성된 중간 힘살대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결속된 망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기 때문에 공을 임팩트할 때 공과 힘살대가 접촉됨에 따라 반탄력이 크게 저하되어 공이 원하는 멀리 나가지 못하게 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acke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force rib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sh rim and the mesh boun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s too narrow, the anti-elastic force is greatly reduced as the ball and force rods contact when the ball is impacted. There are some serious problems, such as the ball not getting as far as you wa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손에 직접 착용한 상태에서 특별히 제조된 제기볼이나 기타 배드민턴용 공 등을 상대방에게 쳐서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제기볼의 반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착용시 손의 파지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면서도 손목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을 더욱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여 경기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user is to wear a specially prepared raised ball or other badminton ball to send to the other party while wearing directly on the hand, the anti-elasticity of the raised ball It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the ball by making it possible to send the ball further by making the movement of the wrist more natural while making the grip of the hand more solid while wearing it. It is to provide a new racket to make it possibl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은 바깥면이 막혀 있고 안쪽면은 개방되며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곡면처리되는 한편, 바깥쪽 아랫부분에 손목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 대략 타원형의 외측 커버와; 상기 외측커버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X"형 보강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앞쪽 둘레면을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스트링결속홈이 형성된 스트링결속프레임과;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의 전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된 상태로 결속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의 바깥쪽 윗부분에 결합되어 착용시 손가락이 독립되게 끼워지도록 하는 손가락밴드를 포함하는 라켓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의 바깥쪽 아랫부분에 형성된 경사면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중간부분을 가로질러 형성된 걸림편에 의하여 상하 2개로 구획된 소정 폭의 끼움공과; 상단부는 상기 손가락밴드에 끼워져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걸림편 윗쪽의 끼움공을 통하여 내측으로 끼워진 후 다시 걸림편 아랫쪽의 끼움공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인출되도록 결합되어 착용시 사용자의 손목 아랫부분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감싼 후 손등에서 결속되는 손등보호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상의 "X"형 보강편은 스트링결속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만큼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moothly curved outward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blocked, the inner surface is open and the inner space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while the interference of the wrist to the outer lower portion A substantially elliptical outer cover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thereon to prevent it; Removably coupled along the inner surface edge of the outer cover, the "X" type reinforcing piece is integrally formed across the inner space, and the string binding frame formed with a string binding groove towar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circumference; ; A string that is bound to the front of the string binding frame in a state that crosses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 protective cover coupl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A racket comprising a finger band coupled to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ver to allow a finger to be fitted independently when worn, the racket being formed transversely at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outer cover, Fitting holes of a predetermined width divided into two up and down by a catching piece formed across;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finger band, and the lower end is fitted inward through the fitting hole on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piece, and then coupled to be pulled outward through the fitting hole on the lower side of the engaging piece. A hand back protection cover which is bound inwardly and bound at the back of the hand to face inwardly; The "X" type reinforcing piece on the string binding frame has a featu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state recessed inward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본 고안에서 상기 외측 커버의 바깥쪽면에는 착용시 손이 놓여지는 부분을 벗어난 좌우 양쪽에 라켓을 휘두를 때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has a fea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to reduce air resistance when swinging the racket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way from where the hand is plac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에서 스트링결속프레임상의 보강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정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piece on the string binding frame in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착용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라켓(10)은 배드민턴용 라켓이나 테니스용 라켓 처럼 스트링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거리 연장된 별도의 그립을 쥐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의 손에 직접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착용시 손의 파지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면서도 손목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을 더욱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여 경기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this, the rack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worn directly on the user's hand rather than holding a separate grip extended from the string frame like a badminton racket or a tennis racket. By holding the hand more firmly while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wrist to be made naturally, the ball can be sent farther, and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the wrist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even further.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라켓(10)은 크게 대략 타원형상을 이루는 외측 커버(12)와, 상기 외측 커버(12)의 내면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스트링결속프레임(14)과, 스트링(16)과, 보호커버(18)와, 외측 커버(12)에 결합되는 손가락밴드(20)와, 외측 커버(12)의 바깥면 아랫쪽에 형성되는 끼움공(22) 및 손등보호덮개(24)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rack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n elliptical outer cover 12, the string binding frame 1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12, the string 16 And a protective cover 18, a finger band 20 coupled to the outer cover 12, and a fitting hole 22 and a back protection cover 24 formed below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12. .

상기 외측 커버(12)는 바깥면이 막혀 있고 안쪽면은 개방되며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곡면처리되는 한편, 바깥쪽 아랫부분에 손목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12a)이 형성된 대략 타원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outer cover 12 is smoothly curved outward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blocked and the inner surface is open and a sp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hile the inclined surface 12a for preventing the interference of the wrist at the outer lower portion thereof. ) Is formed into an approximately oval or circular shape.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14)는 스크류(26)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외측 커버(12)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string binding frame 14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along the inner surface edge of the outer cover 12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26.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14)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X"형 보강편(14a)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편(14a)는 스트링결속프레임(14)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만큼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The "X" type reinforcing piece 14a is integrally formed across the inner spac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14, and the reinforcing piece 14a is inwardly formed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14. It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ecessed state.

또,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14)의 앞쪽 둘레면을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스트링결속홈(14b)이 형성된다.Further, the string binding grooves 14b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long the front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14.

상기 스트링(16)은 쉽게 끊어지지 않으며, 어느 정도 인장될 때 강한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스트링결속프레임(14)상의 스트링결속홈(14b)을 따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된 상태로 결속된다. The string 16 is not easily broken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ong elasticity when it is stretched to some extent, and is bound in a crosswise and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tring binding groove 14b on the string binding frame 14. .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14)의 가장자리는 별도로 마련되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의 보호커버(18)에 의하여 감싸여지도록 구성된다.The edg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14 is configured to be wrapped by a protective cover 18 of synthetic resin material or rubber material provided separately.

본 고안에서 상기 외측 커버(12)의 바깥쪽 윗부분에는 착용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독립되게 끼워지도록 하는 손가락밴드(20)가 결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ver 12 is coupled to the finger band 20 so that the user's fingers are fitted independently when worn.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외측 커버(12)의 바깥쪽 아랫부분에 형성된 경사면(12a)의 중심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갖는 끼움공(22)이 횡방향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in the center of the inclined surface (12a) formed on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outer cover 12, the fitting hole 22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끼움공(22)의 중간부분에는 단일의 걸림편(28)이 끼움공(22)의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됨에 따라 상기 끼움공(22)은 상하 2개로 구획된다.The fitting hole 22 is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parts as a single locking piece 28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tting hole 22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tting hole 22.

본 고안에서 상기 손등보호덮개(24)는 손가락밴드(20)와 끼움공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손등을 보호함과 동시에 손목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of the hand protection cover 24 is installed between the finger band 20 and the fitting hole serves to protect the back of the hand and support the wrist at the same time.

상기 손등보호덮개(24)의 상단부는 손가락밴드(20)에 끼워져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걸림편(28) 윗쪽의 끼움공(22)을 통하여 내측으로 끼워진 후 다시 걸림편(28) 아랫쪽의 끼움공(22)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인출되도록 결합된다(도 6 및 도 7 참조).The upper end of the back of the hand protection cover 24 is fixed to the finger band 20, the lower end is fitted inward through the fitting hole 22 of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piece 28, and the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iece 28 is fitted again It is coupled to be pulled out through the ball 22 (see FIGS. 6 and 7).

상기 라켓(10)을 착용할 때에 손등보호덮개(24)의 하단부는 사용자의 손목 아랫부분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감싼 후 손등에서 결속되도록 구성된다.When the racket 10 is worn, the lower end of the back of the hand protection cover 24 is configured to be bound at the back of the hand after wrapping the lower part of the user's wrist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이를 위하여, 상기 손등보호덮개(24)의 하단부와 중간부위에 벨크로파스너(30)가 결합된다. To this end, the Velcro fastener 3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hand protection cover 24.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외측 커버(12)의 바깥쪽면에는 착용시 손이 놓여지는 부분을 벗어난 좌우 양쪽에 라켓(10)을 휘두를 때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32)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12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2 to reduce the air resistance when swinging the racket 10 on both sides left and right away from where the hand is placed Is formed.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손을 손등보호덮개(24)의 아랫쪽으로 넣어 손가락을 손가락밴드(20)에 끼운다.First, the user puts his han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hand protection cover 24,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finger band (20).

그런 다음, 끼움공(22)을 통하여 끼워져 인출된 손등보호덮개(24)의 하단부를 손목의 아랫부분 바깥쪽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당겨 감싸지게 한 다음 그 끝을 다시 엄지손가락이 있는 쪽의 손등위로 감싸올린 후 하단부에 형성된 벨크로파스너(30)를 중간부위에 있는 벨크로파스너(30)에 결합시킨다.Then, the lower end of the hand back protection cover 24,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fitting hole 22, is pulled i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wrist, and then the end is wrapped over the back of the hand with the thumb. After raising the Velcro fastener 3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Velcro fastener 30 in the middle portion.

이와 같이 라켓(10)을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로 마련된 공(34:제기볼)을 스트링(16)으로 쳐 넘기면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racket 10 is to wear the ball (34: raised ball) provided separately to the string (16).

한편, 스트링(16)으로 공을 쳐넘길 때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14)상의 보강편(14a)이 내측으로 일정 깊이 만큼 함몰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공(34)이 보강편(14a)에 닿지 않으므로 인해 반탄력이 높아져 공이 멀리 나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ball 34 does not touch the reinforcing piece 14a because the reinforcing piece 14a on the string binding frame 14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ly by a predetermined depth when the ball is thrown into the string 16.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farther the ball can go.

또, 상기 외측 커버(12)상에 다수의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라켓(10)을 휘두를 때 공기저항이 작아지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2 are formed on the outer cover 12, the air resistance decreases when the racket 10 is swung, which is very convenient to use.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외측 커버상에 손등보호덮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이 매우 간편함과 동시에 손목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경기력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ck of the hand protection cover is installed on the outer cover is very easy to wear and at the same time freely move the wris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또,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상에 형성된 보강편이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내측으로 일정 깊이 만큼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을 임팩트할 때 반탄력이 향상되어 공을 멀리 쳐 넘길 수 있으며, 외측 커버상에 관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라켓을 휘두를 때 공기저항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piece formed on the string binding frame has a structure recessed inwardly by a certain depth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anti-elasticity is improved when the ball is impacted, so that the ball can be thrown away and penetrated on the outer cover. As the ball is formed, the air resistanc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hen swinging the racke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결합상태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에서 스트링결속프레임상의 보강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piece on the string binding frame in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착용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2 : 외측 커버 14 : 스트링결속프레임12: outer cover 14: string binding frame

14a : 보강편 16 : 스트링14a: reinforcing piece 16: string

18 : 보호커버 20 : 손가락밴드18: protective cover 20: finger band

22 : 끼움공 24 : 손등보호덮개22: fitting hole 24: hand back protective cover

28 : 걸림편 30 : 벨크로파스너.28: jam piece 30: Velcro fastener.

Claims (2)

바깥면이 막혀 있고 안쪽면은 개방되며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곡면처리되는 한편, 바깥쪽 아랫부분에 손목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 대략 타원형의 외측 커버와; 상기 외측커버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X"형 보강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앞쪽 둘레면을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스트링결속홈이 형성된 스트링결속프레임과;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의 전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된 상태로 결속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의 바깥쪽 윗부분에 결합되어 착용시 손가락이 독립되게 끼워지도록 하는 손가락밴드를 포함하는 라켓에 있어서, A substantially elliptical outer cover which is curved outwardly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blocked and the inner surface is open and the inner surface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while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lower portion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wrist; Removably coupled along the inner surface edge of the outer cover, the "X" type reinforcing piece is integrally formed across the inner space, and the string binding frame formed with a string binding groove towar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circumference; ; A string that is bound to the front of the string binding frame in a state that crosses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 protective cover coupl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In the racket comprising a finger band coupled to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ver to allow the fingers to be fitted independently when worn, 상기 외측커버의 바깥쪽 아랫부분에 형성된 경사면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중간부분을 가로질러 형성된 걸림편에 의하여 상하 2개로 구획된 소정 폭의 끼움공과; A fitti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n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an outer lower portion of the outer cover and divided into two up and down by a catching piece formed across the middle portion thereof; 상단부는 상기 손가락밴드에 끼워져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걸림편 윗쪽의 끼움공을 통하여 내측으로 끼워진 후 다시 걸림편 아랫쪽의 끼움공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인출되도록 결합되어 착용시 사용자의 손목 아랫부분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감싼 후 손등에서 결속되는 손등보호덮개를 포함하며;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finger band, and the lower end is fitted inward through the fitting hole on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piece, and then coupled to be pulled outward through the fitting hole on the lower side of the engaging piece. A hand back protection cover which is bound inwardly and bound at the back of the hand to face inwardly; 상기 스트링결속프레임상의 "X"형 보강편은 스트링결속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만큼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The "X" type reinforcing piece on the string binding frame is a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ate recessed inward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ing binding fr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측 커버의 바깥쪽면에는 착용시 손이 놓여지는 부분을 벗어난 좌우 양쪽에 라켓을 휘두를 때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racke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to reduce the air resistance when swinging the racket on both left and right away from the place where the hand is placed.
KR20-2004-0035119U 2004-12-10 2004-12-10 Racket KR2003766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119U KR200376654Y1 (en) 2004-12-10 2004-12-10 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119U KR200376654Y1 (en) 2004-12-10 2004-12-10 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654Y1 true KR200376654Y1 (en) 2005-03-14

Family

ID=4367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119U KR200376654Y1 (en) 2004-12-10 2004-12-10 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65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028Y1 (en) * 2010-06-10 2013-06-04 김병근 Hand badminton
KR20170001444U (en) * 2015-10-14 2017-04-24 유은호 table tennis paddle
WO2023178434A1 (en) * 2022-03-23 2023-09-28 2 Pong Inc. Sport padd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028Y1 (en) * 2010-06-10 2013-06-04 김병근 Hand badminton
KR20170001444U (en) * 2015-10-14 2017-04-24 유은호 table tennis paddle
KR200483855Y1 (en) 2015-10-14 2017-07-03 유은호 table tennis paddle
WO2023178434A1 (en) * 2022-03-23 2023-09-28 2 Pong Inc. Sport pad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3444B2 (en) Direct contact racquet
JP5802004B2 (en) Sports gloves
WO2009008563A1 (en) Soft golf club head
KR101179817B1 (en) Multi-Function Hand racket
US3990699A (en) Game bat
JP2006265804A (en) Shock-absorbing nonslip glove
KR200376654Y1 (en) Racket
KR100664354B1 (en) Soft Golf Club
US6682448B2 (en) Play device
US6234922B1 (en) Fielding practice bat
KR200261717Y1 (en) racket which has multi-use
KR200453743Y1 (en) Racket head cover
CN204073340U (en) Wrist auxiliary appliance fixed by a kind of tennis
KR20060130905A (en) Glove for golf
KR200497358Y1 (en) Cover for racket swing trainer and set having the same
CN220554572U (en) Spliced multifunctional tennis racket
CN211189042U (en) Soft stick ball rod
US20180028875A1 (en) Tennis Racket Side Frame Stings or Diamond Shape Frame, for More Ball Spins and for Reduce Errors.
US4471958A (en) Racket concentration aid
KR200376653Y1 (en) Ball-type shuttlecock
KR100869827B1 (en) Soft golf club head
KR200464668Y1 (en) Clip for head frame of badminton racket
KR200421748Y1 (en) Racket for athletic sports
JP3016909U (en) Uneven racket
JPS6311178A (en) Hardly curved golf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