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166Y1 -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 Google Patents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166Y1
KR200373166Y1 KR20-2004-0029743U KR20040029743U KR200373166Y1 KR 200373166 Y1 KR200373166 Y1 KR 200373166Y1 KR 20040029743 U KR20040029743 U KR 20040029743U KR 200373166 Y1 KR200373166 Y1 KR 200373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pus
short
hanbok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숙경
Original Assignee
최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숙경 filed Critical 최숙경
Priority to KR20-2004-0029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앞섶판(14)의 중앙 일측단부에 일정한 형상의 매듭부(15)를 구성하되, 상기 매듭부(15) 내측 방향으로는 매듭홈(16)과, 짧은고름부(17)를 봉제 연결 형성하여 상기 짧은고름부(17)를 타 앞섶판(12)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는 긴고름부(13)와 함께 상기 매듭부(15)의 매듭홈(16)을 통하여 편리하게 고름매듭부(18)를 매듭지을 수 있어서, 옷고름(20)이 쉽게 풀리지 않고 항상 아름다운 고름매듭부(18)를 유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Koreen-style(short) coat wth a eey-to-kuat breast tie}
본 고안은 우리나라 전래의 고유 민속의상인 저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옷고름의 매듭부를 용이하게 묶을 수 있도록 하여 전통 한복 특유의 옷매무새가 흐트러지지 않으면서도 한복을 즐겨 입을 수 있도록 한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복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의복으로서, 특히 조선시대에 입던 형식의 옷을 일컫는다. 현재에는 평상복으로 입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명절이나 경사, 상례, 제레, 등의 경우에 많이 입는다.
상기와 같은 한복은 쭉 뻗은 직선과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루어 옷매무새가 아름답고, 특히 여성의 옷은 저고리는 짧은 반면, 치마가 상대적으로 길어 옷차림이 단정하고 아담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여성 한복저고리는 옷을 입기 위해 옷고름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 옷고름은 저고리를 여미기 위해서 여성의 한복저고리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살려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성 한복저고리(100)는 앞섭을 여미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름부(101)를 이용하여 매듭부(102)를 매어주어야 하는 것이나, 한복저고리의 매듭짓기는 한복을 자주 입어본 사람이 아니면 쉽게 매듭질 수 없으며, 또한 전문가라 할 지라도 긴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가 적당하도록 매듭짓기란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니다.
또한 종래 저고리의 고름 매듭부(102)는 어렵게 고름 매듭부(102)를 잘 지엇다 하더라도 한복저고리(100)의 앞섶판(103)에 봉제되어 있는 두 개의 고름부(101)를 하나는 접고 다른 하나는 접은 고름부(101)를 둥글게 감싼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중에 신체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또는 고름부(101)나 매듭부(102)를 건드리는 과정에서 상기 매듭부(102)가 쉽게 풀어지거나, 비틀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가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도 2a와 도 2b에서와 같이, 고름을 매는 전통한복 저고리(200)에 고름부(203)를 없애고 매듭단추(201, 202)를 이용하거나, 미리 고름부(203)로 부터 매듭부(204)를 형성하여, 상기 고름부(203)와 매듭부(204)를 저고리(200)로 부터 완전히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복 저고리(200))와, 짧은고름부(205)를 긴고름부(206)와 함께 바깥쪽섶(207)의긴고름부(206) 부착위치에 함께 봉재하여 저고리(200)로 부터 고름부(203)가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짧은고름부(205)와 긴고름부(206)를 이용하여 매듭의 뒷면에 합단추(208, 209)을 이용하여 저고리(200) 앞섭을 여미도록 하는 하는 한복저고리가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와 같은 경우들은 전통한복 고유의 고름과 매듭부를 묶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매듭부(204) 이면에 합단추(일명 똑딱단추)로서 저고리(200)의 앞섭을 여미는 방식으로서, 이는 착용과 활동함에 있어 편리함을 도모할 뿐 우리나라의 단아한 전통한복 고유의 옷매무새와 우아함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옷고름의 매듭부를 형성할 수 없다는 데 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전통한복 저고리의 전통성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옷고름부의 매듭부를 간결하고 편리하게 매듭지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옷고름의 매듭부가 항상 깔끔하고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는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종래 일반적인 한복저고리의 참고정면도
도 2a - 종래 다른 일반적인 한복저고리의 참고정면도
도 2b - 종래 또 다른 일반적인 한복저고리의 참고정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한복저고리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매듭부에 짧은고름부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고름매듭부를 형성하기 전의 정면도
도 6a - 본 고안에 따른 매듭부에 긴고름부가 연결되기 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b - 본 고안에 따른 매듭부에 긴고름부가 일부 삽입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c - 본 고안에 따른 매듭부에 짧은고름부가 연결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d - 본 고안에 따른 긴고름부 상부로 짧은고름부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6e - 본 고안에 따른 매듭부에 긴고름부와 짧은고름부가 연결되어 고름매듭부가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소매판 12 ; 앞섶판
13 ; 긴고름부 14 ; 앞섶판
15 ; 매듭부 16 ; 매듭홈
17 ; 짧은고름부 18 ; 고름매듭부
19 ; 매듭구성부 20 ; 고름
10 ; 한복저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고리의 상부 양측으로 한 쌍의 소매와, 상기 소매의 하단부로 각각 좌, 우 한 쌍의 앞섶판과, 상기 앞섭판의 좌측부로 긴고름부가 마련된 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앞섭판의 중앙 일단부에 매듭부를 형성하되, 상기 매듭부의 일측 내면으로 일정 길이의 짧은고름부를 봉제 형성하여 매듭부의 내측 매듭홈으로 부터 긴고름부와 짧은고름부가 상호 연결지도록 함으로서 옷고름의 매듭을 형성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듭부의 내측에 마련된 매듭홈으로 앞섭판에 근접된 긴고름부의 일부를 일정한 길이로 접은 다음 상기 매듭홈으로 밀어 넣고, 상기 매듭홈으로 밀어 넣은 긴고름부의 일부 접은 부분의 상측으로 상기 매듭홈의 일단에 연결된 짧은고름부의 끝단면을 밀어 넣어 줌으로서 아름다운 고름매듭부를 손 쉽게 묶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과 잇점들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저고리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매듭부에 짧은고름부가 연결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저고리의 좌, 우 앞섭판 양측으로 긴고름부와 매듭부 및 짧은고름부가 봉제 표현된 정면도이고,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도 6e는 본 고안에 다른 매듭홈에 긴고름부와 짧은고름부가 연결되어 고름매듭부가 완성되는 순서를 나타낸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면 상부 양측으로 한 쌍의 소매판(11과, 상기 소매판(11)의 하단부로 각각 좌,우 한 쌍의 앞섶판(12, 14)이 형성되어, 상기 앞섶판(12)의 중앙 일측부에 긴고름부(13)가 형성된 한복저고리(10)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한 쪽의 앞섶판(14) 중앙 일측단부에 일정한 형상의 매듭부(15)를 구성하되, 상기 매듭부(15)을 통하여 고름(20)이 상호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매듭부(15)는 내측면으로 틔여 있는 매듭홈(16)을 구성하되, 그 형상은 장방형 또는 정사각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듭부(15)의 일측 내면 단부에는 일정한 길이의 짧은고름부(17)를 봉제하여 연결 형성하되, 그 길이는 긴고름부(13)가 상기 매듭부(15)의 매듭홈(16)에 고름매듭부(18)를 만들 수 있는 크기로 접어 상기 매듭홈(16)에 삽입한 후, 남아 있는 긴고름부(13)의 일정한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긴고름부(13)는 고름매듭부(18)를 형성하기 위한 크기로 접은 매듭구성부(19)를 형성한 후, 나머지 길이가 짧은고름부(17)의 전체 길이와 일치하도록 긴고름부(13)의 길이를 짧은고름부(17)의 길이보다 대략 10/2 정도로 긴 길이가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긴고름부(13)는 한 장 정도로도 봉제하여 연결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매듭구성부(19)를 접을 때, 네 겹으로 하는 것이 고름매듭부(18)가 쉽게 풀려나지 않으므로 두 장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전통한복 고유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기 위해서도 두 장 정도가 적합하며 각각 색상을 달리하면 전통한복 저고리 고유의 전통미를 더욱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즉,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되어 있는 데, 먼저, 도 6a는 본 고안의 앞섶판(14) 중앙부 일측 단부에 형성된 매듭부(15)의 매듭홈(16) 내측으로 긴고름부(13)와 짧은고름부(17)가 고름매듭부(18)를 매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최초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한복저고리(10)의 앞섶판(12) 중앙 주위에 봉제 되어 있는 두 장의 긴고름부(13)를 모아서 그 일부를 고름매듭부(18)를 만들 수 있는 크기의 매듭구성부(19)를 접은 다음 상기 매듭구성부(19)를 상기 매듭부(15)의 매듭홈(16)에 일부삽입한 상태이고,
도 6c는 상기 매듭부(15)의 매듭홈(16)에 긴고름부(13)가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 짧은고름부(17)의 일단면을 이용하여 상기 긴고름부(13)의 상면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d는 상기 짧은고름부(17)가 긴고름부(13)를 완전히 연결하여 상기 짧은고름부(17)와 긴고름부(13)의 길이가 일치되는 상태이고,
도 6e는 긴고름부(13)와 짧은고름부(17)를 일치시킨 후 하측으로 완전히 내려진 상태로서, 고름매듭부(18)가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6a 내지 도 6e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복저고리(10)의 앞섶판(14) 중앙 일측 단부에 별도의 매듭홈(16)이 형성되어 있는 매듭부(15)와, 상기 매듭부(15)의 일측 내면으로 짧은고름부(17)를 봉제 연결 형성하므로서, 타 측면의 앞섶판(12)에 봉제 연결되어 있는 긴고름부(13)를 상기 매듭부(15)를 통하여 쉽게 고름매듭부(18)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름(20)을 쉽게 묶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고름매듭부(18)는 매듭부(15)에 연결되어 있는 짧은고름부(17)가 긴고름부(13)의 상측에 연결하여 줌으로서 고름매듭부(18)가 쉽게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한복저고리(10)의 앞섶판(14)의 중앙 일측 단부면에 매듭부(15)와, 상기 매듭부(15)의 내측에 형성된 매듭홈(16) 일단면에 짧은고름부(17)를 봉제 연결 형성함으로서, 타측의 앞섶판(12)에 봉제 연결되어 있는 긴고름부(13)를 상기 짧은고름부(17)와 함께, 매듭부(15)의 내측 매듭홈(16)에 상호 연결함으로서, 상기 고름매듭부(18)를 쉽게 묶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착용 후 움직이거나 고름(20)을 건드려도 상기 고름매듭부(18)가 쉽게 풀려지지 않고, 항상 깔끔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한복전통저고리 고유의 아름다움을 간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전면 상부 양측으로 형성된 한 쌍의 소매판 하측부로 좌,우 한 쌍의 앞섶판이 구비되고, 상기 앞섶판 일면에는 긴고름부를 가진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일정한 형상으로 구성된 매듭부가 타 앞섶판의 중앙 일측단부에 고정되게 하되, 상기 매듭부의 내측 방향으로는 매듭홈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홈의 일면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짧은고름부를 봉제 연결 형성하여 상기 매듭부의 매듭홈을 통하여 상기 긴고름부와 짧은고름부가 연결되어 고름매듭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KR20-2004-0029743U 2004-10-21 2004-10-21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KR200373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43U KR200373166Y1 (ko) 2004-10-21 2004-10-21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43U KR200373166Y1 (ko) 2004-10-21 2004-10-21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166Y1 true KR200373166Y1 (ko) 2005-01-15

Family

ID=4944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743U KR200373166Y1 (ko) 2004-10-21 2004-10-21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16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40B1 (ko) * 2012-07-25 2014-01-02 이봉이 전통한복 저고리
KR101511919B1 (ko) 2014-12-02 2015-04-13 박춘화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KR102388133B1 (ko) 2021-10-01 2022-04-19 최경숙 한복 저고리
KR20220049153A (ko) * 2020-10-14 2022-04-21 (주)영광토탈써비스 두루마기
KR20230154125A (ko) 2022-04-30 2023-11-07 이남희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40B1 (ko) * 2012-07-25 2014-01-02 이봉이 전통한복 저고리
KR101511919B1 (ko) 2014-12-02 2015-04-13 박춘화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KR20220049153A (ko) * 2020-10-14 2022-04-21 (주)영광토탈써비스 두루마기
KR102567359B1 (ko) * 2020-10-14 2023-08-16 주식회사 영광 두루마기
KR102388133B1 (ko) 2021-10-01 2022-04-19 최경숙 한복 저고리
KR20230154125A (ko) 2022-04-30 2023-11-07 이남희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40717A (ja) 対丈着物
KR200373166Y1 (ko)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JPWO2005023033A1 (ja) ネクタイ、シャツ、ボタン及びナプキン
US20010042259A1 (en) Necktie
JP2006214021A (ja) 着回し自在被服
KR200492341Y1 (ko)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JP3726186B2 (ja) 和服
KR100385753B1 (ko)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JP3187104U (ja) スカーフ
KR101535293B1 (ko) 여성 제례 앞치마
JP3026637U (ja) 美容首巻き
KR100828991B1 (ko) 넥타이 착용구
JPH0510651Y2 (ko)
JP3163835U (ja) 簡易装着帯
JP3206666U (ja)
KR200231710Y1 (ko) 한복 웃옷
JP3103272U (ja) 巻きスカート風ボトム
KR200333661Y1 (ko) 스카프
JP3212514U (ja) ゆかた
JP3106219U (ja) 衣服
KR200240356Y1 (ko) 스카프
JP3070135U (ja) 袖口カバ―
KR200277857Y1 (ko)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JP3177162U (ja) 吸汗及び汚れ防止用布地で樹脂製カラーを包んだ簡易装着付け襟
KR200372649Y1 (ko) 두건겸용 티셔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