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875Y1 -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875Y1
KR200372875Y1 KR20-2004-0029322U KR20040029322U KR200372875Y1 KR 200372875 Y1 KR200372875 Y1 KR 200372875Y1 KR 20040029322 U KR20040029322 U KR 20040029322U KR 200372875 Y1 KR200372875 Y1 KR 200372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taining wall
wall
mold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3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이형훈
가부시키가이샤 가이에이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이형훈, 가부시키가이샤 가이에이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Priority to KR20-2004-0029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87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875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35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2Moulds for making units for prefabricated buildings, i.e. units each comprising an important section of at least two limiting planes of a room or space, e.g. cells; Moulds for making prefabricated stai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면에 의한 부벽식 옹벽의 저판용 형틀은, 베이스(100)와 측판유닛(110)으로 지지되는 조립 구조체 내에서 부벽식 옹벽의 저판(10)과 돌출판(15)을 성형하는 형틀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110)의 사이에 전면판(121)과 배면판(122)으로 역 T자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면판유닛(120); 상기 전면판(121)과 배면판(122)이 대향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분할면을 형성하는 조정판(130); 상기 면판유닛(120)의 전면판(121) 상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고, 주조시 돌출판(15)을 형성하는 코어카트리지(140); 및 상기 코어카트리지(140)의 일단에서 상기 조정판(130)과 연결되고, 몸체(151) 상에 슬리브(152)를 지니는 조인트블록(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plate mold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 for molding the bottom plate 10 and the protruding plate 15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in an assembly structure supported by the base 100 and the side plate unit 110. In: The face plate unit 120 is coupled between the side plate unit 110 to form an inverted T to the front plate 121 and the back plate 122; An adjustment plate 130 mounted on a portion where the front plate 121 and the back plate 122 face each other to form a divided surface; A core cartridge 140 detachably received on the front plate 121 of the face plate unit 120 to form a protruding plate 15 during casting; And a joint block 150 connected to the adjustment plate 130 at one end of the core cartridge 140 and having a sleeve 152 on the body 151.

이에 따라, 저판과 벽체로 분할하여 성형되는 프리캐스트 제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공법과 관련되어 다양한 형상과 치수의 옹벽을 신속하게 제작이 가능하면서 탈형이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apidly manufacture retaining walls of various shapes and dimensions in connection with a construction method of field-preparing a precast product formed by dividing into a bottom plate and a wall, thereby easily demolding and reducing costs.

Description

부벽식 옹벽용 형틀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Mold for Retaining Walls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본 고안은 옹벽을 제조하는 형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판과 벽체로 분할하여 성형되는 프리캐스트 제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공법과 관련되어 다양한 형상과 치수의 옹벽을 신속하게 제작이 가능하면서 탈형이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벽식 옹벽용 형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manufacturing a retaining wall,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quickly manufacture retaining walls of various shapes and dimensions in connection with a construction method for pre-assembling precast products formed by dividing into a bottom plate and a w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a retaining wall for a subwall type which can be easily reduced in cost.

옹벽은 절개지 사면과 같이 지반고가 급변하는 구간경계에서 상측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여 사면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형태나 주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그 중에서 형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성형되는 옹벽은 시공의 표준화에 의한 비용 절감에 가장 유리하다.Retaining wall is designed to stabilize the slope by preventing the outflow of soil from the upper side in the section boundary where the ground height changes rapidly like incision slope.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main material. Among them, the retaining wall formed into a concrete structure using a mold is most advantageous for cost reduction by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원출원 특허 특2003-0042893호(원출원일자 : 2003년06월28일)를 기초로 이중출원되어 등록된 등록실용 제20-0335471호에 의하면 T형 옹벽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이 개시된다. 설계에 따라 옹벽높이(H), 저판폭(L) 및 저판길이(D)가 변경되어도 주요부를 가변하여 즉시 제작이 가능한 형틀을 제안하는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제작방식의 장점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옹벽을 저판과 벽체의 세그먼트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에 현장에서 일체로 조립함에 있어 연결부에서의 구조적 안전성도 확보된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335471, which is dual filed and registered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patent application No. 2003-0042893 (Source: June 28, 2003), a mold for manufacturing a T-shaped retaining wall is disclosed. Even if the retaining wall height (H), bottom plate width (L) and bottom plate length (D)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take advantage of the precast production method by proposing a template that can be manufactured immediately by changing the main part. The structural safety at the joint is also secured by separating the retaining wall into segment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wall and then assembling them in the field.

도 1은 부벽식 옹벽의 다양한 형태를 정면, 측면, 평면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분할 성형되는 부벽식 옹벽의 주요 치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a sub-wall retaining wall in front, side, and plan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dimensions of a sub-wall retaining wall to be dividedly formed.

본 고안에 적용되는 부벽식 옹벽은 저판(10)과 벽체(20)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구조이며, 특히 전면에 리브(rib) 역할을 하는 부벽인 돌출판(15)(25)이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1에 예시되는 것과 같은 저판(10)과 벽체(20)의 치수는 전술한 형틀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방식을 적용하여 변동할 수 있다. 반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판(15)(25)의 치수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가변하는 것은 형틀의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화되므로 적용이 곤란하다.The sub-wall retaining wal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divided into segments of the bottom plate 10 and the wall 20, and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plates 15 and 25, which are sub-walls serving as ribs on the front surface, have a triangular shape. Is formed. The dimensions of the bottom plate 10 and the wall 20 as illustrated in FIG. 1 can be varied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linear slide motion method. On the other hand, varying the dimensions of the protruding plates 15, 25 extending in the inclined direction in a sliding manner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mold is too complicated.

이에 본 고안은 상세하게는 저판과 벽체로 분할하여 성형되는 프리캐스트 제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공법과 관련되어 다양한 형상과 치수의 옹벽을 신속하게 제작이 가능하면서 탈형이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벽식 옹벽용 형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method for pre-assembled precast products formed by dividing the bottom plate and the wall in detail,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manufacture retaining walls of various shapes and dimensions, while easily demolding, thereby reducing cos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ld for a wall retaining wal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가 큰 옹벽이라도 현장에서 세그먼트(저판 및 벽체)로 제작이 용이하고 간단히 결합시키면서 옹벽시공을 진행할 수 있어 품질관리, 공기관리 및 시공관리가 용이한 옹벽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fram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s a segment (base plate and wall) even in a large retaining wall, and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for easy quality control, air management and construction management. will b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 세그먼트를 현장에서 기계적인 볼트이음으로 연결시켜 구조적으로 안전한 상태로 옹벽을 설치할 수 있는 옹벽용 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taining wall mold for installing retaining walls in a structurally safe state by connecting retaining wall segments with mechanical bolted joints in the field.

도 1은 부벽식 옹벽의 다양한 형태를 3면으로 나타내는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a subwall retaining wall on three sides;

도 2는 분할 성형되는 부벽식 옹벽의 주요 치수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dimensions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is formed by division;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저판용 형틀의 3면도,3 to 5 are three views of a mold for a bottom pl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정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6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adjustm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코어카트리지를 나타내는 3면도,Figure 7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the cor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8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joi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른 벽체용 형틀의 3면도,9 to 11 are three views of a wall mol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할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12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iti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joi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200: 베이스 102: 덮개100, 200: base 102: cover

103: 주입편 110, 210: 측판유닛103: injection piece 110, 210: side plate unit

120, 220: 면판유닛 125: 디바이스120, 220: face plate unit 125: device

130: 조정판 140: 코어카트리지130: control panel 140: core cartridge

150, 250: 조인트블록 230: 분할면판150, 250: Joint block 230: Split face plate

240: 돌출면판240: protruding face plate

본 고안의 일면에 의한 부벽식 옹벽의 저판용 형틀은The mold for the bottom plate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100)와 측판유닛(110)으로 지지되는 조립 구조체 내에서 부벽식 옹벽의 저판(10)과 돌출판(15)을 성형하는 형틀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110)의 사이에 전면판(121)과 배면판(122)으로 역 T자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면판유닛(120); 상기 전면판(121)과 배면판(122)이 대향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분할면을 형성하는 조정판(130); 상기 면판유닛(120)의 전면판(121) 상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고, 주조시 돌출판(15)을 형성하는 코어카트리지(140); 및 상기 코어카트리지(140)의 일단에서 상기 조정판(130)과 연결되고, 몸체(151) 상에 슬리브(152)를 지니는 조인트블록(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ld for forming the bottom plate 10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and the protruding plate 15 in the assembly structure supported by the base 100 and the side plate unit 110: A front plate (between the side plate unit 110) A face plate unit 120 coupled to an inverted T by 121 and a back plate 122; An adjustment plate 130 mounted on a portion where the front plate 121 and the back plate 122 face each other to form a divided surface; A core cartridge 140 detachably received on the front plate 121 of the face plate unit 120 to form a protruding plate 15 during casting; And a joint block 150 connected to the adjustment plate 130 at one end of the core cartridge 140 and having a sleeve 152 on the body 151.

이때, 상기 면판유닛(120)의 전면판(121)은 베이스(100)상에 고정코어(123)로 지지되고, 배면판(122)은 베이스(100) 상에서 슬라이드코어(124)로 지지된다.At this time, the front plate 121 of the face plate unit 120 is supported by the fixing core 123 on the base 100, the back plate 122 is supported by the slide core 124 on the base 100.

또, 상기 조정판(130)은 프레임(131) 상에 조인트블록(132)과 접속키용블록(133)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adjusting plate 130 has a joint block 132 and a connection key block 133 on the frame 131.

또, 상기 코어카트리지(140)는 프레임(141) 상에 돌출면판(142)과 측면판(143)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core cartridge 140 includes a protruding surface plate 142 and a side plate 143 on the frame 141.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의한 부벽식 옹벽의 벽체용 형틀은And the mold for the wall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200)와 측판유닛(210)으로 지지되는 조립 구조체 내에서 부벽식 옹벽의 벽체(20)와 돌출판(25)을 성형하는 형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에 전면판(221)과 배면판(222)으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면판유닛(220); 상기 돌출판(25)을 형성하기 위한 측판(241)과 덮개(242)가 상기 배면판(222)의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베이스(200)로 지지되는 돌출면판(240); 상기 면판유닛(220)과 돌출면판(2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옹벽의 분할면을 형성하는 조정판(230); 및 상기조정판(230)의 상단에 연결되고, 몸체(251) 상에 슬리브(252)를 지니는 조인트블록(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ld for forming the wall 20 and the protrusion plate 25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in the assembly structure supported by the base 200 and the side plate unit 210: A front plate 221 at the bottom of the base 200 Face plate unit 220 is coupled to form a space with a back plate 222); A side plate 241 and a cover 242 for forming the protruding plate 25 are extended to an upper side of the rear plate 222 and are supported by the base 200; An adjustment plate 23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ace plate unit 220 and the protruding face plate 240 to form a divided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nd a joint block 250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adjustment plate 230 and having a sleeve 252 on the body 251.

이때, 상기 조정판(230)은 프레임(231) 상에 조인트블록(232)과 접속키용블록(233)을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adjusting plate 230 is provided with a joint block 232 and a connection key block 233 on the frame 23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저판용 형틀의 3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정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코어카트리지를 나타내는 3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중심으로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 그때마다 도 6, 도 7, 도 8을 인용한다.3 to 5 are three views of a mold for a bottom pl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adjustm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cor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Front and side views showing a joi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 to 5 and more detailed explanations are required, FIGS. 6, 7 and 8 are cited each time.

본 고안의 일면은 베이스(100)와 측판유닛(110)으로 지지되는 조립 구조체 내에서 부벽식 옹벽의 저판(10)과 돌출판(15)을 성형하는 형틀에 관련된다. 도 2에서 옹벽의 중간 부분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높이 H1의 부분을 저판(10) 세그먼트, 높이 H2의 부분을 벽체(20) 세그먼트로 각각 성형한다. 돌출판(15)(25)도 상하로 분리되어 각각의 저판(10) 또는 벽체(20)와 일체로 형성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molding the bottom plate 10 and the protruding plate 15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in an assembly structure supported by the base 100 and the side plate unit 110. In FIG. 2, the middle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cut horizontally to form a portion of the height H1 into the bottom plate 10 segment and a portion of the height H2 into the wall 20 segment. The protruding plates 15 and 25 are also separated up and down, and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bottom plate 10 or the wall 20.

본 고안에서는 형틀 본체를 겸용형으로 하여 각 부분품(어태치먼트)을 바꾸는 것에 의해 다품종ㆍ다치수의 제품을 제조하는 구성을 기반으로 한다. 베이스(100)는 ㄷ자 형강을 장방형으로 결합하는 구성으로써 직접적인 성형을 수행하지는 않으나 형틀의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한다. 측판유닛(110)은 옹벽의 양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서 원터치클램프(112)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100)의 상측으로 결합된다. 옹벽에서 측면이라는 용어는 길이(L) 방향으로 시공할 때 상호 대향하며 접하는 양측면을 말한다.This invention is based on the structure which manufactures a product of multiple types and multiple dimensions by changing each part (attachment) using a mold main body as a combined type. The base 100 is configured to combine the U-shaped steel in a rectangular shape, but does not perform direct molding, but maintains the overall strength of the mold. The side plate unit 11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0 using a one-touch clamp 112 or the like as a member for forming both sides of the retaining wall. The term side on the retaining wall refers to both sides facing and facing each other when constructed in the length (L) direction.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측판유닛(110)의 사이에 전면판(121)과 배면판(122)으로 역 T자를 이루도록 면판유닛(120)이 결합된다. 전면판(121)과 배면판(122)은 공히 수평부재, 경사진 부재, 수직부재가 일체로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수평부재의 길이에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상호 동일한 치수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면판유닛(120)이 역 T자를 이루게 되므로 저판(10)이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성형된다. 면판유닛(120)의 단부에는 각각 디바이스(125)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양측의 디바이스(125) 사이의 거리는 저판(10)의 폭(W)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면판유닛(120)과 측판유닛(110)의 상측으로 덮개(102)가 결합되고, 덮개(102) 상에 다수의 콘크리트 몰타르 주입편(103)이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e plate unit 120 is coupled between the side plate unit 110 to form an inverted T by the front plate 121 and the back plate 122. The front plate 121 and the back plate 12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rizontal member, the inclined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are integrally extended, and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rest are formed in the same dimension. As such, the face plate unit 120 forms an inverted T, and thus the bottom plate 10 is molded in an inverted state. Each device 125 is mounted to the end of the face plate unit 120 to be movable.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s 125 on both sides determines the width W of the bottom plate 10. The cover 102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ace plate unit 120 and the side plate unit 110, and a plurality of concrete mortar injection pieces 103 are installed on the cover 102.

이때, 상기 면판유닛(120)의 전면판(121)은 베이스(100)상에 고정코어(123)로 지지되고, 배면판(122)은 베이스(100) 상에서 슬라이드코어(124)로 지지된다. 도시에는 생략되나 슬라이드코어(124)는 가이드레일과 다수의 롤러가 개재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한 방식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처럼 개폐되는 작동에 의해 저판(10)의 두께(T)를 가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력으로 형틀의 개폐가 가능하고 제조 작업에 있어 편리성과 안전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제품의 탈형후 형틀의 청소가 쉬워 청결한 상태로 보존되므로 수명이 늘어난다.At this time, the front plate 121 of the face plate unit 120 is supported by the fixing core 123 on the base 100, the back plate 122 is supported by the slide core 124 on the base 1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lide core 124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and a plurality of rollers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not only the thickness T of the bottom plate 10 may be changed by an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like a sliding door, but als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old by manpower and convenience and safety in manufacturing work are improved. And since the mold is easy to clean after demolding of the product, it is preserved in a clean state, and its life is extended.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전면판(121)과 배면판(122)이 대향하는 부분에조정판(130)이 장착되어 분할면을 형성한다. 이때의 '분할면'은 도 2에서 높이 H1과 H2로 절단되는 부분의 T자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단면을 의미한다. 조정판(130)은 측판유닛(110) 사이에 결합되어(도 4 참조) 후술하는 코어카트리지(140)와 함께 상기한 T자형 분할면을 형성한다. 분할면을 형성하는 만큼 추후 옹벽의 조립시 긴밀한 결합을 위해 주요부의 치수 관리가 중요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plate 130 is mounted on a portion where the front plate 121 and the back plate 122 face each other to form a divided surface. In this case, the "divided surface" means a cross-section formed by forming a T-shape of the portion cut into the height H1 and H2 in FIG. The adjusting plate 130 is coupled between the side plate units 110 (see FIG. 4) to form the above T-shaped partition surface with the core cartridge 140 to be described later. As it forms the dividing surface,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dimensions of the main part for close coupling in the assembly of the retaining wall later.

이때,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조정판(130)은 프레임(131) 상에 조인트블록(132)과 접속키용블록(133)을 구비한다. 조정판(130)은 형강을 용접하여 프레임(131)을 형성하며 상면에 조인트블록(132)과 접속키용블록(133)을 배치한다. 조인트블록(132)은 앵커(138)를 인서트하기 위한 부재이고, 접속키용블록(133)은 옹벽의 조립시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6b처럼 프레임(131)의 상면에는 전둘레에 걸쳐 패킹홈(131a)을 형성하고 패킹을 삽입하여 형틀의 하방향으로 콘크리트 몰타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6A, the adjustment plate 130 includes a joint block 132 and a connection key block 133 on the frame 131. The adjusting plate 130 forms a frame 131 by welding the shaped steel, and arranges the joint block 132 and the connection key block 133 on the upper surface. The joint block 132 is a member for inserting the anchor 138, and the connection key block 133 is a member for guiding to the correct position when assembling the retaining wall. 6b forms a packing groove 131a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131 and inserts the packing so that the concrete mortar does not leak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mold.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주조시 돌출판(15)을 형성하는 코어카트리지(140)가 상기 면판유닛(120)의 전면판(121) 상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코어카트리지(140)는 전면판(1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면판(121)의 일측 연하여 조정판(130)과 인접한다. 도 5는 도 3에서 배면판(122)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어 상기한 코어카트리지(140)가 드러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cartridge 140 forming the protrusion plate 15 during casting is detachably received on the front plate 121 of the face plate unit 12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re cartridge 140 is accommodated in the front plate 121 and is adjacent to the control plate 130 by one side of the front plate 121. 5 shows the back plate 122 in a separated state in FIG. 3 so that the core cartridge 140 is exposed.

이때, 도 7a~7c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카트리지(140)는 프레임(141) 상에 돌출면판(142)과 측면판(143)을 구비한다. 프레임(141)은 형강을 용접하여 형성되고 상단의 내측으로 다수의 고정너트(144)가 구비되어 도 3처럼 전면판(121)에 볼트결합에 의해 수용된다. 돌출면판(142)과 측면판(143)은 프레임(141) 상에서 연결되어 저판(10)의 돌출판(15)을 형성한다. 돌출면판(142)은 완전한 수평면으로 할 수도 있으나 도시처럼 적절한 각도로 경사진 부분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판(10)과 벽체(20)의 분할면에 경사를 두는 구조는 조립시 위치를 정하거나 사용시 앵커의 하중을 분산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돌출판(15)의 두께는 구배를 지니고 가장 작은 부분에서 도 2의 부호 E로 표현된다. 측면판(143)은 이러한 구배를 형성하도록 도 7b와 같이 사다리꼴로 배치된다.7A to 7C, the core cartridge 140 includes a protruding surface plate 142 and a side plate 143 on the frame 141. The frame 141 is formed by welding the shaped steel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nuts 144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end thereof, and is accommodated by bolt coupling to the front plate 121 as shown in FIG. 3. The protruding surface plate 142 and the side plate 143 are connected on the frame 141 to form the protruding plate 15 of the bottom plate 10. The protruding face plate 142 may be a completely horizontal plane but may have a portion inclined at an appropriate angle as shown. As such, the structure inclining the divided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and the wall 20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sitioning at the time of assembly or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anchor at the time of use. The thickness of the protruding plate 15 has a gradient and is represented by the symbol E in FIG. 2 at the smallest part. Side plate 143 is arranged in a trapezoidal shape as shown in Figure 7b to form such a gradient.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코어카트리지(140)를 교환하도록 탈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치수로 코어카트리지(140)를 준비한다면 형틀에 대한 설비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removable to replace the core cartridge 140, so that if the core cartridge 140 is prepared in various dimensions, the cost of equipment investment for the mold can be reduced.

또,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151) 상에 슬리브(152)를 지니는 조인트블록(150)이 코어카트리지(140)의 일단에서 상기 조정판(130)과 연결된다. 도 8에서 압연강판을 이용하여 구배를 지닌 상자형의 몸체(151)를 형성하고 몸체(151)의 전후면을 연통하여 다수의 슬리브(152)가 매설되도록 한다. 슬리브(152)는 중공형 구조이고 일측에 단면이 좁아지는 목부(152a)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인트블록(150)은 도 3처럼 코어카트리지(140)에서 분할면을 형성하는 일측에서 조정판(130)과 T형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조정판(130)과 조인트블록(150)을 일체화하면 성형중에 주요 치수의 유동이 없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block 150 having the sleeve 152 on the body 151 is connected to the adjusting plate 130 at one end of the core cartridge 140. In FIG. 8, a box-shaped body 151 having a gradient is formed by using the rolled steel sheet, and a plurality of sleeves 152 are embedded by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151. The sleeve 152 has a hollow structure and has a neck 152a having a narrow cross section at one side. The joint block 150 is connected to form a T-shape with the adjusting plate 130 on one side to form a split surface in the core cartridge 140, as shown in FIG. Integrating the control plate 130 and the joint block 150 is preferred because there is no flow of major dimensions during molding.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조인트블록(150)을 바꾸는 것에 의해 다치수의 조인트용 앵커 와이어에 대응이 가능하게 되어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joint block 15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multi-dimension joint anchor wire, thereby reducing the cost.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른 벽체용 형틀의 3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할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중심으로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 그때마다 도 12와 도 13을 인용한다.9 to 11 are three views of a wall mol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iti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joi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1,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whenever necessary.

본 고안의 다른 일면은 베이스(200)와 측판유닛(210)으로 지지되는 조립 구조체 내에서 부벽식 옹벽의 벽체(20)와 돌출판(25)을 성형하는 형틀에 관련된다. 도 2에서 옹벽의 중간 부분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높이 H2의 벽체(20)와 돌출판(25) 세그먼트를 성형한다. 특히 주요부의 착탈 구조에 의해 제품의 디자인을 바꾸어 다품종 생산이 가능하고, 각 부분품의 설치위치 변경이나 교환에 의해 치수에 맞게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forming the wall 20 and the protrusion plate 25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in an assembly structure supported by the base 200 and the side plate unit 210. In FIG. 2, the middle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cut horizontally to form a wall 20 and a segment of the protrusion plate 25 having a height H2.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products by changing the design of the product by the removable structure of the main part, and to be able to produce in accordance with the dimensions by changing or replac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part.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에 전면판(221)과 배면판(222)으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면판유닛(220)이 결합된다. 도 11은 도 9에서 조정판(230)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다. 베이스(200)는 형강을 이용하여 도 11처럼 역 T자형으로 구성하며 도 9처럼 돌출판(25)의 경사면을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다수개를 배치한다. 전면판(221)과 배면판(222)은 베이스(200)의 저면에서 측판유닛(210)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도 10처럼 전면판(221)은 벽체(20)의 돌출판(25)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에서 양분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e plate unit 22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200 to form a space with the front plate 221 and the back plate 222. FIG. 11 shows the adjustment plate 230 removed in FIG. 9. Base 200 is configured in an inverted T-shape as shown in FIG. 11 using a shaped steel, and a plurality of bases having a variable size alo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plate 25 as shown in FIG. The front plate 221 and the back plate 222 are coupled to be supported by the side plate unit 210 at the bottom of the base 200. As shown in FIG. 10, the front plate 221 is bisected at the center to form the protruding plate 25 of the wall 20.

이때, 도 9처럼 배면판(222)의 상측으로 도 10처럼 양측의 측판유닛(210) 사이에 디바이스(225)가 설치된다. 디바이스(225)는 이동 가능하며, 벽체(20)의 높이 H2를 결정한다. 디바이스(225) 상에는 다수의 앵커를 설치하여 벽체(20)의 상단에일체로 인서트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evice 225 is installed between the side plate unit 210 of both sides as shown in Figure 10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 plate 222 as shown in FIG. The device 225 is movable and determines the height H2 of the wall 20. A plurality of anchors may be installed on the device 225 to be integrally inserted at the top of the wall 20.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돌출판(25)을 형성하기 위한 측판(241)과 덮개(242)가 상기 배면판(222)의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베이스(200)로 지지되는 돌출면판(240)이 사용된다. 측판(241)은 전면판(221)의 양분된 지점에서 상측으로 결합되고, 덮개(242)는 대향하는 측판(241)의 상단에 결합된다. 측판(241)과 덮개(242)는 베이스(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late 241 and the cover 242 for forming the protruding plate 25 is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 plate 222 while the protruding surface plate 240 supported by the base 200 is Used. The side plate 241 is coupled upward at a bisected point of the front plate 221, and the cover 24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pposing side plate 241. The side plate 241 and the cover 242 are supported by the base 200.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면판유닛(220)과 돌출면판(2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옹벽의 분할면을 형성하는 조정판(230)이 구비된다. 조정판(230)은 디바이스(225)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전면판(221), 배면판(222), 측판유닛(210), 측판(241), 덮개(242)에 동시에 결합된다. 조정판(230)에 의해 형성되는 벽체(20)의 분할면은 도 3에서 전술한 조정판(130) 및 코어카트리지(140)에 의해 형성되는 저판(10)의 분할면과 정확하게 일치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plate 2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ace plate unit 220 and the protruding face plate 240 to form a divided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The adjusting plate 230 is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front plate 221, the back plate 222, the side plate unit 210, the side plate 241, and the cover 242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evice 225. The dividing surface of the wall 20 formed by the adjusting plate 230 corresponds exactly to the dividing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formed by the adjusting plate 130 and the core cartridge 14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이때, 상기 조정판(230)은 프레임(231) 상에 조인트블록(232)과 접속키용블록(233)을 구비한다. 도 12에서 프레임(231)은 형강을 이용하여 역 T자형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조인트블록(232)과 접속키용블록(233)을 적절한 간격으로 구비한다. 상기 조인트블록(232)은 전술한 도 6a의 조인트블록(132)에 대응하는 치수로 설치되고 앵커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키용블록(233)은 전술한 도 6a의 접속키용블록(133)에 대응하는 치수로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adjusting plate 230 is provided with a joint block 232 and a connection key block 233 on the frame 231. In FIG. 12, the frame 231 is formed in an inverted T-shape using a shaped stee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joint blocks 232 and a block 233 for connection keys at appropriate intervals. The joint block 232 is installed in a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joint block 132 of FIG. 6A and includes an anchor. The access key block 233 is provided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ccess key block 133 of FIG. 6A described above.

또,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251) 상에 슬리브(252)를 지니는 조인트블록(250)이 상기 조정판(230)의 상단에 연결된다. 도 13에서 압연강판을 이용하여 구배를 지닌 상자형의 몸체(251)를 형성하고 몸체(251)의 전후면을 연통하여 다수의 슬리브(252)가 매설되도록 한다. 슬리브(252)는 중공형 구조이고 도 8처럼 일측에 단면이 좁아지는 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인트블록(250)은 도 9처럼 조정판(230)에서 옹벽의 분할면을 형성하는 일측에 볼트로 고정하여 상호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블록(250)을 바꾸는 것에 의해 비용이 절감되는 측면은 전술한 도 8과 동일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block 250 having the sleeve 252 on the body 25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djustment plate 230. In FIG. 13, a box-shaped body 251 having a gradient is formed using a rolled steel sheet, and a plurality of sleeves 252 are embedded by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251. Sleeve 252 is a hollow structure and has a neck narrowing the cross section on one side as shown in FIG. The joint block 250 may be fixed to one side to form a divided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adjusting plate 230 as shown in Figure 9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st is reduced by changing the joint block 250 is the same as in FIG. 8 described above.

사용에 있어서, 본 고안의 저판용 형틀과 벽체용 형틀에서 각각 성형된 저판과 벽체를 현장으로 이동한 다음 각각의 조정판(130)(230)과 조인트블록(150)(250)의 앵커를 결합하면 도 1과 같은 옹벽이 완성된다. 앵커의 치수 및 수량은 옹벽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In use, by moving the bottom plate and the wall formed in the mold for the bottom plate and th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ite, and then combine the anchors of the respective adjustment plates 130, 230 and joint block 150, 250 The retaining wall as shown in Fig. 1 is completed. The dimensions and quantity of anchors can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taining wall.

한편, 도 3의 슬라이드코어(124)를 포함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벽식 옹벽의 저판 및 벽체의 치수를 가변하는 여타의 구성은 전술한 특2003-0042893호에 개시되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ther configurations that vary the dimension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wall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in a sliding manner, including the slide core 124 of Figure 3 can be applied to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special 2003-0042893.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고안은 앞부벽(buttress)을 사용하는 앞부벽식 옹벽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뒷부벽(counterfort)을 사용하는 뒷부벽식 옹벽에도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ront wall retaining wall using the front wall (buttress), it is possible to use the same technical concept for the rear wall retaining wall using the counterfort (counterfort).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저판과 벽체로 분할하여 성형되는 프리캐스트 제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공법과 관련되어 다양한 형상과 치수의 옹벽을 신속하게 제작이 가능하면서 탈형이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quickly manufacture retaining walls of various shapes and dimensions in connection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for pre-assembled precast products formed by dividing into a bottom plate and a wall, and to be easily demolded to reduce costs. It can work.

Claims (6)

베이스(100)와 측판유닛(110)으로 지지되는 조립 구조체 내에서 부벽식 옹벽의 저판(10)과 돌출판(15)을 성형하는 형틀에 있어서:In the mold for forming the bottom plate 10 and the protrusion plate 15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in an assembly structure supported by the base 100 and the side plate unit 110: 상기 측판유닛(110)의 사이에 전면판(121)과 배면판(122)으로 역 T자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면판유닛(120);A face plate unit 120 coupled between the side plate unit 110 to form an inverted T by a front plate 121 and a back plate 122; 상기 전면판(121)과 배면판(122)이 대향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분할면을 형성하는 조정판(130);An adjustment plate 130 mounted on a portion where the front plate 121 and the back plate 122 face each other to form a divided surface; 상기 면판유닛(120)의 전면판(121) 상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고, 주조시 돌출판(15)을 형성하는 코어카트리지(140); 및A core cartridge 140 detachably received on the front plate 121 of the face plate unit 120 to form a protruding plate 15 during casting; And 상기 코어카트리지(140)의 일단에서 상기 조정판(130)과 연결되고, 몸체(151) 상에 슬리브(152)를 지니는 조인트블록(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식 옹벽의 저판용 형틀.One end of the core cartridge 1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late 130, the joint block 150 having a sleeve 152 on the body 151; for the bottom plate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comprising a Tem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면판유닛(120)의 전면판(121)은 베이스(100)상에 고정코어(123)로 지지되고, 배면판(122)은 베이스(100) 상에서 슬라이드코어(124)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식 옹벽의 저판용 형틀.The front plate 121 of the face plate unit 120 is supported by the fixing core 123 on the base 100, the back plate 122 is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slide core 124 on the base 100 Formation for bottom plate of retaining wall type wall to do.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정판(130)은 프레임(131) 상에 조인트블록(132)과 접속키용블록(1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식 옹벽의 저판용 형틀.The adjustment plate 130 is a frame for the bottom plate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oint block 132 and the connection key block 133 on the frame 131.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코어카트리지(140)는 프레임(141) 상에 돌출면판(142)과 측면판(1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식 옹벽의 저판용 형틀.The core cartridge 140 is a template for the bottom plate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surface plate 142 and the side plate 143 on the frame 141. 베이스(200)와 측판유닛(210)으로 지지되는 조립 구조체 내에서 부벽식 옹벽의 벽체(20)와 돌출판(25)을 성형하는 형틀에 있어서:In the mold for forming the wall 20 and the protrusion plate 25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in the assembly structure supported by the base 200 and the side plate unit 210: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에 전면판(221)과 배면판(222)으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면판유닛(220);A face plate unit 220 coupled to form a space with a front plate 221 and a back plate 222 at the bottom of the base 200; 상기 돌출판(25)을 형성하기 위한 측판(241)과 덮개(242)가 상기 배면판(222)의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베이스(200)로 지지되는 돌출면판(240);A side plate 241 and a cover 242 for forming the protruding plate 25 are extended to an upper side of the rear plate 222 and are supported by the base 200; 상기 면판유닛(220)과 돌출면판(2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옹벽의 분할면을 형성하는 조정판(230); 및An adjustment plate 23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ace plate unit 220 and the protruding face plate 240 to form a divided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nd 상기 조정판(230)의 상단에 연결되고, 몸체(251) 상에 슬리브(252)를 지니는 조인트블록(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식 옹벽의 벽체용 형틀.And a joint block (25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djustment plate (230) and having a sleeve (252) on the body (251).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정판(230)은 프레임(231) 상에 조인트블록(232)과 접속키용블록(2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벽식 옹벽의 벽체용 형틀.The adjustment plate 230 is a frame for the wall of the sub-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oint block 232 and the connection key block 233 on the frame 231.
KR20-2004-0029322U 2004-10-16 2004-10-16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KR2003728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322U KR200372875Y1 (en) 2004-10-16 2004-10-16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322U KR200372875Y1 (en) 2004-10-16 2004-10-16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925A Division KR100585494B1 (en) 2004-10-16 2004-10-16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875Y1 true KR200372875Y1 (en) 2005-01-15

Family

ID=4935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322U KR200372875Y1 (en) 2004-10-16 2004-10-16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87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001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KR101631894B1 (en) Baundary stone prefabricated formwork for construction of the baundary ston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A2540511A1 (en) System for vertically forming concrete panels
CN108687939A (en) The universal mold of house prefabricated components overlapping sheet metal forming
KR101199997B1 (en) P.C mold equipment and Method for septic tank using thereof
US8132776B2 (en) Sideform system
KR100585494B1 (en)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KR101552226B1 (en) Structure of mounting form on the T-typed deckplate for the hollow core slab
CN109203192B (en) Adjustable template assembly, combined die for component production and component forming process
KR200372875Y1 (en) Mold for buttress retaining wall
KR101558992B1 (en) Reinforcement facilities for mold for building structure
CN111958783A (en) Floor mould and lower side mould thereof
KR101909572B1 (en)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of such Concrete Members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JPH1044128A (en) Form for producing precast concrete plate
KR101907676B1 (en) Combining concrete mold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wall include variable concrete mold for precast concrete wall, method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wall using combining concrete mold, precast concrete wall constructed by this metho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precast concrete wall
KR20050021417A (en) Steel forming of assemble type for construction
KR101693743B1 (en) Structure of mounting form on the T-typed deckplate for the hollow core slab
JP290320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variable slope type waterway block
JP3054733B2 (en) Formwork for concrete blocks
CN211541672U (en) Prefabricated mould of coincide floor
CN220548442U (en) Prefabricated enclosure board mould
KR101564435B1 (en) the formwork substitute Prefabricated blocks
JP4426271B2 (en) Forming mold for concrete parts
JP4803842B2 (en) Formwork for manufacturing bevel top blocks
KR101933796B1 (en) Yuro-pom foot floor panel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