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46Y1 - 구급차량 - Google Patents

구급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46Y1
KR200368346Y1 KR20-2004-0024194U KR20040024194U KR200368346Y1 KR 200368346 Y1 KR200368346 Y1 KR 200368346Y1 KR 20040024194 U KR20040024194 U KR 20040024194U KR 200368346 Y1 KR200368346 Y1 KR 200368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room
ambulance
cab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20-2004-0024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60Y2200/116Ambul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급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실과 환자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환자가 위급할 시에 운전실에 있던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이동하여 응급조치를 도울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한 구급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에 운전실(110)이 위치하고, 운전실(110)의 후방에는 환자실(200)이 위치하며, 환자실(200)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형성된 구급차량에 있어서, 환자실(200)은 다수 개의 빔(310a, 320, 330, 340)들이 연결되어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300)을 형성하고, 프레임(300)의 내측면에 내측판(303)이 고정되며, 프레임(300)의 외측면에 외측판(305)이 고정되고, 내측판(303)과 외측판(305)의 사이에 단열재(301)가 빔(310a, 320, 330, 340)에 지지되어 고정되며, 운전실(110)과 환자실(200)이 마주하는 격벽(111, 205)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어느 한 쪽 격벽의 관통공에 창(230)이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급차량은 환자실과 운전실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 운전실에 탑승한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환자실이 프레임과 단열재 및 내외측판으로 구성되어 충격에 강하다.

Description

구급차량{Ambulance}
본 고안은 구급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실과 환자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환자가 위급할 시에 운전실에 있던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이동하여 응급조치를 도울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인 구급차량의 경우에는 전방에 운전실이 위치하고, 후방에 환자실이 구분되어 위치한다. 상기 환자실은 6장의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환자실의 후면에 도어를 형성하여 환자 및 구급요원이 탑승할 수 있게 구성한다. 따라서 운전실과 환자실은 격벽에 의해 구분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구급차량 경우에, 운전실과 환자실이 분리되어 있어서, 환자를 이송하는 도중에 환자의 상태가 더욱 악화되어 응급조치가 필요로 할 경우에, 운전실에 있던 구급요원이 차량 밖을 통해 환자실로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급차량은 주행을 멈춰야 하며, 그로 인해 병원도착 시간이 지연되고, 또한 구급요원이 이동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급차량의 환자실은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환자실을 구성한다. 샌드위치 패널은 평행하게 마주하는 두 금속판의 사이에 단열재가 위치한 패널 구조로서,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급차량의 충돌 시에 환자실에 탑승한 구급요원 및 환자가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운전실과 환자실에 통로를 형성하여 사람이 통행하거나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충돌 시에 탑승객의 안정을 보장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의 구급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급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우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실의 프레임을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실의 프레임을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1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2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3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빔들이 조립된 상태의 환자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운전실과 환자실 사이의 격벽을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격벽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에어 카울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구급차량 110 : 운전실
111 : 후방 격벽 120 : 에어 카울
200 : 환자실 205 : 전방 격벽
210 : 도어 230 : 창
240 : 쿠션부재 300 : 프레임
310a, 310b : 제1 빔 320 : 제2 빔
330 : 제3 빔 340 : 사각 빔
313, 323, 333 : 끼움판 335 : 걸림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에 운전실이 위치하고, 상기 운전실의 후방에는 환자실이 위치하며, 상기 환자실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형성된 구급차량에 있어서, 상기 환자실은 다수 개의 빔들이 연결되어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내측판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외측판이 고정되고, 상기 내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사이에 단열재가 상기 빔에 지지되어 고정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운전실과 상기 환자실이 마주하는 격벽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기 운전실과 상기 환자실이 마주하는 격벽 중에 어느 한 쪽 격벽의 관통공에 창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창의 테두리를 따라 쿠션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쿠션부재는 다른 한 쪽 격벽으로 연장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운전실의 격벽과 상기 환자실의 격벽 사이에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빔은 상기 환자실의 지붕 모서리와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빔과, 상기 환자실의 바닥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빔과, 상기 환자실의 도어 또는 창의 틀을 형성하는 제3 빔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및 상기 제3 빔이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고, 사각 빔이 상기 제1, 제2, 제3 빔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보강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 빔은, 직각삼각형의 두 직각면 바깥쪽 각각에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상기 직각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단면 구조의 빔이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2 빔은, 상호 마주하는 두 측판을 폐쇄판이 연결하여 일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두 측판 중에서 어느 한 측판의 외측면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상기 측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의 빔이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3 빔은, 평판의 일면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쪽 타면에는 걸림판이 상기 평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의 빔이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운전실의 지붕에는 상기 환자실에 연결된 에어 카울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카울의 내부에는 에어컨디셔너가 내장되며, 상기 에어컨디셔너는 상기 환자실의 전방 격벽을 관통해 위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에어 카울에는 조명등이 상기 에어 카울을 관통하여 상기 에어 카울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구급차량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a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급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우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실의 프레임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며,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실의 프레임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1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2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3 빔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빔들이 조립된 상태의 환자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운전실과 환자실 사이의 격벽을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격벽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구급차량의 에어 카울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량(100)은 전방에 운전실(110)이 위치하고, 운전실(110)의 후방에 환자실(200)이 위치한다. 그리고 운전실(110)의 지붕에는 에어 카울(Air Cowl)(120)이 위치하여 환자실(200)에 연결되고, 환자실(200)의 양측면과 뒷면 외측에는 경광등(201), 각종 용도의 도어(210; 210a 내지 210e) 및 창(220), 그리고 환풍기(203)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내부에는 운전실(110)과 환자실(200)을 연결하는 여닫이식 통로 창(230)이 형성되어 구조요원이 통행할 수 있게 구성되며, 환자실(200)의 내부에는 환자를 응급 처리할 수 있는 각종 기자재 및 기기들이 배치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구급차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은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빔(310a, 320, 330, 340)들이 연결되어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300)을 형성하고, 빔(310a, 320, 330, 340)과 빔(310a, 320, 330, 340)이 연결되어 형성된 평면공간에는 단열재(도 4d의 301)가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프레임(300)의 내측과 외측에는 내측판(도 4d의 303)과 외측판(도 4d의 305)이 각각 고정되어 환자실(200)을 형성한다.
빔(310a, 320, 330, 340)은 크게 4종류의 빔으로 구분되는데, 제1 빔(310a)은 환자실(200)의 지붕 모서리와 환자실(200)의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제2 빔(320)은 환자실(200)의 바닥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3 빔(330)은 환자실(200)의 도어(210) 또는 창(220)의 틀을 형성한다. 그리고 다른 한 종류의 빔은 사각 빔(340)으로서, 사각 빔(340)들을 연결하여 프레임(300)을 보강한다.
아래에서는 각 빔(310a, 320, 330, 340)에 대해 도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환자실(200)의 지붕 모서리 및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빔(310a)은 그 횡단면이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두 직각면(311) 바깥쪽 각각에는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31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빔(310a)들이 환자실(200)의 지붕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사각구조를 갖는 환자실(200)의 지붕 각 꼭지점에는 제1 빔(310a)이 수직하게 위치하여 환자실(200)의 수직 모서리를 형성한다.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한 제1 빔(310a)들 중에서 운전실(110) 쪽에 위치한 두 개의 제1 빔(310b)은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310a)에 비해 한 쪽 직각면(311)의 폭이 작아 한 쪽 끼움판(313)이 브라켓의 형상으로 직각면(311) 밖으로 나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지붕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빔(310a)과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두 종류의 제1 빔(310a, 310b)을 '제1 빔(310a)'이라 통칭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제1 빔(310a)에 의해 지붕 모서리와 수직 모서리가 형성되면, 사각 빔(340)이 상호 마주하는 제1 빔(310a)을 연결하여 프레임(300)을 보강한다. 사각 빔(340)의 단부가 제1 빔(310a)의 끼움판(313)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빔(310a)과 사각 빔(340) 또는 제1 빔(310a)과 제1 빔(310a)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평면 공간에는 단열재(301)가 위치하며 단열재(301)는 제1 빔(310a)의 끼움판(313) 사이에 끼워져 위치한다.
한편, 도 4b에 보이듯이, 환자실(200)의 바닥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2 빔(320)은 일방향으로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는 폐쇄된 'ㄷ'형 빔으로서, 마주하는 두 측면(321)과 상기 두 측면(321)의 일측을 연결하는 폐쇄면(324)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런 제2 빔(320)이 바닥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함에 있어서, 개방부(325)가 환자실(200) 바닥면에서 안쪽을 향하고 폐쇄면(324)이 환자실(200)의 바닥 바깥쪽을 향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마주하는 두 측면(321)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측면의 바깥쪽에는 한 쌍의 끼움판(323)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판(323)의 사이에는 제1 빔(310a) 또는 사각 빔(340)이 삽입되어 리벳팅되며, 단열재(301)가 끼워져 위치한다. 그리고 끼움판(323)이 형성된 측면의 반대쪽 측면에는 하부 프레임이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또한 환자실(200)의 바닥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2 빔(320)의 개방부에는 바닥을 보강하는 사각 빔(340)이 상호 마주하여 위치한 제2 빔(320)에 체결되는데, 사각 빔(340)의 양단부가 제2 빔(320)의 개방부(325)에 삽입된 상태로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도어(210) 및 창(220)을 형성하는 제3 빔(330)은 도 3a 및 도 3b에 보이듯이, 프레임(300)에서 도어(210) 또는 창(220)이 위치할 지점에 설치되어 문틀 또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3 빔(330)은 평판(331)의 일면에 한 쌍의 끼움판(333)이 수직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평행하게 위치하고, 그 반대쪽인 타면에는 걸림판(335)이 평판(331)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3 빔(330)을 설치함에 있어서, 걸림판(335)이 도어(210) 또는 창(220)의 안쪽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제3 빔(330)의 양단은 제1 빔(310a) 또는 제2 빔(320)의 끼움판(313, 323) 사이에 삽입되어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한편 도 4d에 보이듯이, 설치 고정된 제3 빔(330)에 있어서, 걸림판(335)은 도어(210)의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면서 도어(210)가 환자실(200)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창(220)의 경우에는 창틀이 걸림판(335)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3 빔(330)의 끼움판(313, 313, 333)에는 단열재(301) 또는 다른 제1, 제2, 제3 빔(310a, 320, 330)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300)은 제1, 제2, 제3 빔(310a, 320, 330) 및 사각 빔(340)들이 연결되어 완성되고, 빔(310a, 320, 330, 340)의 사이에 단열재(301)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300)의 안쪽면에는 내측판(303)이 부착되어 리벳팅되어 고정되고, 프레임(300)의 바깥면에는 외측판(305)이 부착되어 고정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과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은 상호 마주하여 위치하고,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과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과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 중에 어느 한 쪽 격벽의 구멍에 통로 창(230)이 형성되어 구급요원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통로 창(230)이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5a에 보이듯이, 전방 격벽(205)의 양측에 위치한 제1 빔(310a)의 끼움판(313)에 사각빔(34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사각 빔(340)의 안쪽에 쿠션부재(240)를 고정하는데, 쿠션부재(240)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으로 연장되고, 후방 격벽(111)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 형성된 구멍의 상하단에는 사각 빔(340)이 위치하며 운전실(110)의 후방 격벽(111)과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의 사이에는 쿠션부재(240)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에는 구멍 안쪽에 통로 창(230)을 설치 고정하고, 쿠션부재(240)가 통로 창(230)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면서, 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110)의 지붕 위에는 에어 카울(120)이 설치된다. 에어 카울(120)의 내부에는 제1 공간(121)과 제2 공간(122)이 형성되며, 제1 공간(121)에는 환자실(200)로 배기하는 에어컨디셔너(141)가 위치하며, 제2 공간(122)에는 서치라이트(142)가 설치된다.
내부에 두 공간을 갖는 에어 카울(120)의 구성은, 운전실(110)의 지붕에서 환자실(200)의 전방 격벽(205)까지의 공간을 폐쇄하는 제1 캐빈(131)과, 제1 캐빈(131)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함몰된 공간(133)을 폐쇄하는 제2 캐빈(132)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 캐빈(131)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이 제1 공간(121)이고, 제1 캐빈(131)의 함몰된 공간(133)이 제2 공간(122)이다.
또한 제1 캐빈(131)은 도 6에 보이듯이, 운전실(110)의 지붕에 리벳팅되어 고정되며, 환자실(200)의 지붕으로 연장된 제1 캐빈(131)의 단부는 환자실(200)의전방 격벽(205)의 제1 빔(310a)에 접하여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2 캐빈(132)은 제1 캐빈(131)의 함몰된 공간(133)을 폐쇄하며 제1 캐빈(131)과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보이듯이, 제1 캐빈(131)에는 제2 캐빈(132)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게 홈(131h)이 형성되고, 상기 홈(131h)에 제2 캐빈(132)의 절곡부(132V)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 캐빈(132)에는 서치라이트(142)가 제2 캐빈(132)의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며, 환자실(200)에 설치된 에어컨디셔너(141)는 제1 캐빈(131)이 형성한 제1 공간(121) 내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급차량에 있어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량(100)의 정면에서는 서치라이트(142)가 제2 캐빈(132)을 관통해 나온 운전실(110)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구급차량(100)의 좌측에는 도 1a 및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300)의 형상과 같이, 접이형 들것 보관함 도어(210a)와 배전함 도어(210b)가 형성되며, 구급차량(100)의 우측에는 도 1b 및 도 3b에 도시된 프레임(300)의 형상에 따라 측면 도어(210c)와 분리형 들것 보관함 도어(210d) 및 측면 창(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후면에는 후면 도어(210e)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실(200)의 내부에는 전방 격벽(205)에 형성된 통로 창(230)과 그 상부에 위치한 에어컨디셔너(141)를 포함하여, 각종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기기 및 장비들이 설치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급차량은 환자실과 운전실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 운전실에 탑승한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위급할 시에 구급차량이 정차하지 않고서도 구급요원이 환자실로 이동하여 환자를 보살필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를 운전실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급차량은 환자실이 프레임과 단열재 및 내외측판으로 구성되어 충격에 강하다. 따라서 구급차량이 충돌하였을 때에, 환자실에 탑승한 환자 및 구급요원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급차량은 운전실의 지붕에 에어 카울을 설치하여 공기의 저항을 덜 받으며, 에어 카울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서치라이트 및 에어컨디셔너를 설치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급차량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0)

  1. 전방에 운전실이 위치하고, 상기 운전실의 후방에는 환자실이 위치하며, 상기 환자실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형성된 구급차량에 있어서,
    상기 환자실은 다수 개의 빔들이 연결되어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내측판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외측판이 고정되고, 상기 내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사이에 단열재가 상기 빔에 지지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과 상기 환자실이 마주하는 격벽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운전실과 상기 환자실이 마주하는 격벽 중에 어느 한 쪽 격벽의 관통공에 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둘레를 따라 쿠션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쿠션부재는 다른 한 쪽 격벽으로 연장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운전실의 격벽과 상기 환자실의 격벽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환자실의 지붕 모서리와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빔과, 상기 환자실의 바닥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빔과, 상기 환자실의 도어 또는 창의 틀을 형성하는 제3 빔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및 상기 제3 빔이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고, 사각 빔이 상기 제1, 제2, 제3 빔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은, 직각삼각형의 두 직각면 바깥쪽 각각에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상기 직각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단면 구조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은, 상호 마주하는 두 측판을 폐쇄판이 연결하여 일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두 측판 중에서 어느 한 측판의 외측면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상기 측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빔은, 평판의 일면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끼움판이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쪽 타면에는 걸림판이 상기 평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의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의 지붕에는 상기 환자실에 연결된 에어 카울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카울의 내부에는 에어컨디셔너가 내장되며, 상기 에어컨디셔너는 상기 환자실의 전방 격벽을 관통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카울에는 조명등이 상기 에어 카울을 관통하여 상기 에어 카울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량.
KR20-2004-0024194U 2004-08-24 2004-08-24 구급차량 KR200368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194U KR200368346Y1 (ko) 2004-08-24 2004-08-24 구급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194U KR200368346Y1 (ko) 2004-08-24 2004-08-24 구급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46Y1 true KR200368346Y1 (ko) 2004-11-20

Family

ID=4935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194U KR200368346Y1 (ko) 2004-08-24 2004-08-24 구급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79B1 (ko) 2016-09-07 2017-03-1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구급차의 루프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79B1 (ko) 2016-09-07 2017-03-1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구급차의 루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1186B1 (en) Combination luggage rack and air distribution duct
US10421641B2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US3730583A (en) Passenger compartment
ES2842111T3 (es) Cabina de ascensor
US20180208437A1 (en) Elevator car lining panel and method of assembling an elevator car
KR200368346Y1 (ko) 구급차량
US9409632B2 (en) Cabin for a floating installation with lines which contribute to reinforcement
EP1031445B1 (de) Fahrzeug mit Klimakanal und Beleuchtungseinrichtung
CN112389478B (zh) 车厢隔断、车厢及轨道车辆
US4538390A (en) Insulation and partition means for existing building
US4364203A (en) Modular sheet metal door structure
US20160236908A1 (en) Elevator door arrangement
ES2644170B1 (es) Habitáculo con cabinas independientes de descanso
JP6713856B2 (ja) ダクト構成部材および鉄道車両
US10899370B2 (en) Paneling modules for vehicles
GB2081331A (en) Building or Vehicle Panelling Structure
US3033130A (en) Refrigerated car
SU1640094A1 (ru) Створка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лифта
ES2744808T3 (es) Puerta cortafuego
JP3541173B2 (ja) 間仕切り通気パネル
WO2018132096A1 (en) Aircraft passenger cabin airflow metering
JPH1113178A (ja) 部屋の可変構造
JP3466666B2 (ja) トイレの吊り戸棚
JP2022090908A (ja) 鉄道車両用の仕切壁構造
JP2020176472A (ja) 間仕切壁における通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