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325Y1 -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325Y1
KR200362325Y1 KR20-2004-0016885U KR20040016885U KR200362325Y1 KR 200362325 Y1 KR200362325 Y1 KR 200362325Y1 KR 20040016885 U KR20040016885 U KR 20040016885U KR 200362325 Y1 KR200362325 Y1 KR 200362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er
patient
leg
front leg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진 filed Critical 정유진
Priority to KR20-2004-0016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3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보행기에 별도의 의자가 장착되어져 있으므로 환자가 이동시 잠시 쉴 수 있으며, 의자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므로 환자의 다리길이에 맞게 의자를 조절할 수 있고, 절첩이 용이한 구조이므로 부피를 약 1/2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보행기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 바퀴가 연결되어져 있고, 그 하부는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으며 상부는 지면과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진 전방 다리와, 상기 전방 다리에 힌지결합되고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는 후방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와; 상기 전방 다리의 상단에서 전후방으로 환자의 팔을 걸 수 있게 수평 절곡된 팔걸이부와; 상기 팔걸이부의 전단에 횡측으로 연결된 상부 횡측 연결부와, 상기 전방 다리의 하단부에 횡측으로 연결된 하부 횡측 연결부로 이루어져 보행기의 횡방향 지지력을 부여하는 횡측 연결부와;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에 연결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게 된 안장과; 상기 후방 다리를 전방 다리에 대해 선택적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보행기 사용시에 후방 다리와 전방 다리를 고정시키고, 미사용시 후방 다리가 절첩되게 하는 랙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FOLDTYPE WALKER FOR PATIENT}
본 고안은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보행기에 별도의 의자가 장착되어져 있으므로 환자가 이동시 잠시 쉴 수 있으며, 의자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므로 환자의 다리길이에 맞게 의자를 조절할 수 있고, 절첩이 용이한 구조이므로 부피를 약 1/2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보행기는 환자나 노약자가 보행할 때에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 단순히 스틸파이프를 절곡시켜 몸체 틀을 구성하고, 각 프레임의 하단에는 고무패킹을 삽입시켜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보행기는 사용자가 전진할 때에 보행기를 살짝 들어서 앞쪽으로 옮겨 놓고, 이이서 보행기에 몸을 의지하면서 앞으로 걸어가는 것이다.
또한, 다른 보행기는 몸체 틀의 하단에 캐스터 바퀴를 장착하여 보행기를 앞으로 밀거나 끌어당길 때에 보다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한 것이고, 상단에는 쿠션(cushion)을 구비하여 몸을 의지할 때에 금속이 환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기는 환자가 잠시 앉아서 쉴 수 있도록 하는 의자가 전혀 구비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보행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환자는 상시 직립상태로 위치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비만으로 인해 무릎장애나 관절염 복합환자,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환자의 경우에는 직립 상태로의 이동이 매우 어려우므로 종래의 보행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환자가 종래의 보행기로 이동할 때, 방향 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보행기 자체의 방향을 다시 돌려야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행기 자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비좁은 병실의 상당부분을 보행기가 점유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행기에 별도의 의자가 장착되어져 있으므로 환자가 이동시 잠시 쉴 수 있으며, 의자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므로 환자의 다리길이에 맞게 의자를 조절할 수 있고, 절첩이 용이한 구조이므로 부피를 약 1/2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의 랙고정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의 안장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5a, 5b, 5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보행기, 10:다리부,
12:전방다리, 14:후방다리,
16:제1지지봉, 17:축,
18:제2지지봉, 19:고정부재,
20:팔걸이부, 22:쿠션부재,
30:횡측연결부, 32:상부 횡측연결부,
34:하부 횡측연결부, 40:안장,
50:바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기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 바퀴가 연결되어져 있고, 그 하부는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으며 상부는 지면과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진 전방 다리와, 상기 전방 다리에 힌지결합되고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는 후방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와; 상기 전방 다리의 상단에서 전후방으로 환자의 팔을 걸 수 있게 수평 절곡된 팔걸이부와; 상기 팔걸이부의 전단에 횡측으로 연결된 상부 횡측 연결부와, 상기 전방 다리의 하단부에 횡측으로 연결된 하부 횡측 연결부로 이루어져 보행기의 횡방향 지지력을 부여하는 횡측 연결부와;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에 연결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게 된 안장과; 상기 후방 다리를 전방 다리에 대해 선택적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보행기 사용시에 후방 다리와 전방 다리를 고정시키고, 미사용시 후방 다리가 절첩되게 하는 랙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다리와, 팔걸이부와, 상부 횡측 연결부는 단일의 파이프가 절곡되어 연장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팔걸이부에는 일정길이로 쿠션부재가 덮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의 중앙에는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 하부 횡측 연결부의 중앙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삽입공을 둘레에는 안장과 안장받침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기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피봇과, 그 피봇을 상시 강제로 삽입공에 삽입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삽입된 유동파이프로 이루어진 안장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랙 고정부는 전방 다리와 후방다리에 각각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각 타단은 회전 가능하게 축에 의해 연결된 제 1, 2 지지봉이 제공되며, 그 어느 한 지지봉의 외주연 소정부에는 수나사가 각설되어져 있고, 그 수나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연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2 지지봉의 절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2)는 보행기에 별도의 의자가 장착되어져 있으므로 환자가 이동시 잠시 쉴 수 있으며, 의자가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방향 전환시 의자만을 회전시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절첩 구조이므로 부피를 약 1/2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져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2)는 크게 다리부(10)와; 팔걸이부(20)와; 횡측 연결부(30)와; 안장(40)과; 랙고정부(A)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다리부(10)는 보행기(2)의 하부를 지탱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전방 다리(12)와, 후방 다리(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 다리(12)는 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 바퀴(50)가 연결되어져 있고, 그 하부는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으며 상부는 지면과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져 있다.
상기 후방 다리(14)는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전방 다리(12)에 힌지 결합되어짐으로써 미사용시 상기 후방다리(14)를 전방 다리(12)측으로 절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팔걸이부(20)는 상기 전방 다리(12)의 상단에 연장되어져 환자의 팔을 걸 수 있도록 수평 절곡되어져 있다. 즉, 상기 전방다리(12)에 연장되게 구성되며, 수평으로 절곡되어 환자가 보행기(2)를 의지하여 이동할 때 환자의 팔을 그 팔걸이부(20)에 걸 수 있게 된다.
상기 횡측 연결부(30)는 크게 상부 횡측 연결부(32)와, 하부 횡측 연결부(34)로 구성되는 바, 상부 횡측 연결부(32)는 상기 팔걸이부(20)의 일단에서 횡측으로 연결된 것이며, 하부 횡측 연결부(34)는 상기 전방 다리(12)의 하단이나 중앙부에서 횡측으로 연결되어져 보행기(2)의 횡방향 지지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횡측 연결부(32)는 팔걸이부(20)와 연장된 상태에서 절곡되어져 구성되는 것이 보행기(2)의 강도를 높힐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며, 하부 횡측 연결부(34)는 용접을 통해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안장(40)은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34)에 안장받침대(42)에 의해 연결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게 된 수단이며, 상기 랙고정부(A)는 상기 후방 다리(14)를 전방 다리(12)에 대해 선택적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보행기(2) 사용시에 후방 다리(14)와 전방 다리(12)를 고정시키고, 미사용시 후방 다리(14)가 절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방 다리(12)와, 팔걸이부(20)와, 상부 횡측 연결부(32)는 단일의 파이프가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이 보행기(2)의 전체 강도를 높히는 데 유리하다. 또, 상기 팔걸이부(20)에는 일정길이로 쿠션부재(22)가 덮혀져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의 랙고정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2)의 랙고정부(A)는 전방 다리와 후방다리에 각각 제 1, 2 지지봉(16,18)의 일단이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각 타단은 회전 가능하게 축(194)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으며, 어느 한 지지봉(예컨대, 18)의 외주연 소정부에는 수나사(182)가 각설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수나사(182)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암나사(192)가 내주연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2 지지봉(16,18)의 절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고정부재(19)가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9)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축(194)이 상기 고정부재(19)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1, 2 지지봉(16,18)이 절첩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후방 다리(14)를 전방다리(12)측으로 접게 되면 상기 후방다리(14)가 전방 다리(12)측으로 접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후방다리(14)를 전방다리(12)로부터 잡아당겨 펴게 되면 상기 제 1, 2 지지봉(16, 18)은 수평방향으로 펴지게 되고, 상기한 절첩동작과 반대로 상기 고정부재(19)를 상기 축(194)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상기 나사(182, 192)가 체결되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19)는 제 1, 2 지지봉(16, 18)을 절첩 불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도 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의 안장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2)의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34)에는 안장(40)이 안장받침대(42)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는 바, 이때 본 고안의 보행기(2)에는 그 안장(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안장 높이 조절부(B)가 구성되어져 있다.
안장 높이 조절부(B)는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34)의 중앙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공(342)과, 그 삽입공(342)을 둘레에는 안장(40)과 안장받침대(4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34)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기 삽입공(34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피봇(348)과, 그 피봇(348)을 상시 강제로 삽입공(342)에 삽입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0)으로 이루어진 유동 파이프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유동파이프의 일단에는 스프링 수용부(344)가 돌출되어져 있으며, 그 돌출된 스프링 수용부(344)의 상단에 삽입공(346)이 형성되어져 그 삽입공(346)을 통해 피봇(348)이 인출입되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피봇(348)의 단부에는 고리(352)가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그 고리(352)를 잡아당기면 스프링(350)의 탄성력에 반하는 힘이 부여되어 피봇(348)과 상기 삽입공(342)과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유동 파이프를 회전시키면 상기 안장(40)의 높이 및 각도가 변경되게 되고, 상기 유동 파이프를 적정한 위치까지 회전시킨 상태로 상기 고리(352)를 놓게 되면 피봇(348)이 스프링(350)의 탄성력에 따라 상기 삽입공(342)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5b, 5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9)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축(194)이 상기 고정부재(19)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1, 2 지지봉(16,18)이 절첩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후방 다리(14)를 전방다리(12)측으로 접게 되면 상기 후방다리(14)가 전방 다리(12)측으로 접히게 되고, 반면에, 상기 후방다리(14)를 전방다리(12)로부터 잡아당겨 펴게 되면 상기 제 1, 2 지지봉(16, 18)은 수평방향으로 펴지게 되고, 상기한 절첩동작과 반대로 상기 고정부재(19)를 상기 축(194)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상기 나사(182, 192)가 체결되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19)는 제 1, 2 지지봉(16, 18)을 절첩 불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보행기(2)의 다리가 이동 가능하게 펴진 상태에서는 환자가 여러 형태로 보행기(2)를 지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첫째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보행기(2)의 팔걸이부(20)를 손으로 잡은 채로 그 하부에 몸을 지탱한채로 도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팔걸이부(20)는 안장(40)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어져 있으므로 환자는 도보시에 상기 안장(40)에 의해 이동하는 발이나 허벅지가 방해받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보는 가능하지만 순간적으로 쓰러지거나 졸도할 위험이 있는 환자( 예컨대 중풍이나 고혈압 환자들)의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4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팔걸이부(2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보중 환자가 상기 안장(40)에 잠시 걸터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장(40)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이용하여 보행기(2)가 이동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예시된 보행기(2)의 경우에는 그 전방 및 후방이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환자가 보행기(2)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팔걸이부(2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이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든지 무관하다.
한편, 병실 등으로 그 보행기(2)를 이용하여 이동이 완료되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재(19)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축(194)이 상기 고정부재(19)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1, 2 지지봉(16,18)이 절첩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후방 다리(14)를 전방다리(12)측으로 접게 되면 상기 후방다리(14)가 전방 다리(12)측으로 접히도록 하여 보행기(2)의 부피를 감소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는 보행기에 별도의 의자가 장착되어져 있으므로 환자가 이동시 잠시 쉴 수 있으며, 의자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므로 환자의 다리길이에 맞게 의자를 조절할 수 있고, 절첩이 용이한 구조이므로 부피를 약 1/2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보행기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 바퀴가 연결되어져 있고, 그 하부는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으며 상부는 지면과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진 전방 다리와, 상기 전방 다리에 힌지결합되고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는 후방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와;
    상기 전방 다리의 상단에서 전후방으로 환자의 팔을 걸 수 있게 수평 절곡된 팔걸이부와;
    상기 팔걸이부의 전단에 횡측으로 연결된 상부 횡측 연결부와, 상기 전방 다리의 하단부에 횡측으로 연결된 하부 횡측 연결부로 이루어져 보행기의 횡방향 지지력을 부여하는 횡측 연결부와;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에 연결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게 된 안장과;
    상기 후방 다리를 전방 다리에 대해 선택적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보행기사용시에 후방 다리와 전방 다리를 고정시키고, 미사용시 후방 다리가 절첩되게 하는 랙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리와, 팔걸이부와, 상부 횡측 연결부는 단일의 파이프가 절곡되어 연장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에는 일정길이로 쿠션부재가 덮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의 중앙에는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 하부 횡측 연결부의 중앙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삽입공을 둘레에는 안장과 안장받침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부 횡측 연결부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기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피봇과, 그 피봇을 상시 강제로 삽입공에 삽입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삽입된 유동파이프로 이루어진 안장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 고정부는 전방 다리와 후방다리에 각각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각 타단은 회전 가능하게 축에 의해 연결된 제 1, 2 지지봉이 제공되며, 그 어느 한 지지봉의 외주연 소정부에는 수나사가 각설되어져 있고, 그 수나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연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2 지지봉의 절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KR20-2004-0016885U 2004-06-16 2004-06-16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KR200362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885U KR200362325Y1 (ko) 2004-06-16 2004-06-16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885U KR200362325Y1 (ko) 2004-06-16 2004-06-16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325Y1 true KR200362325Y1 (ko) 2004-09-16

Family

ID=4943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885U KR200362325Y1 (ko) 2004-06-16 2004-06-16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32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193B1 (ko) 2007-06-25 2009-12-29 김은희 유아용 보행 보조구
WO2011010890A3 (ko) * 2009-07-23 2011-04-21 Kim Jong Tae 육아보조기구
KR101699052B1 (ko) 2015-11-30 2017-01-24 황정용 보행 보조장치
KR20220150022A (ko) 2021-05-03 2022-11-10 박인화 성인용 보행보조기
KR20230152957A (ko) 2022-04-28 2023-11-06 박기주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KR20240015347A (ko) 2022-07-27 2024-02-05 황정용 하체를 부축하는 보행 안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193B1 (ko) 2007-06-25 2009-12-29 김은희 유아용 보행 보조구
WO2011010890A3 (ko) * 2009-07-23 2011-04-21 Kim Jong Tae 육아보조기구
KR101050514B1 (ko) * 2009-07-23 2011-07-20 김종태 육아보조기구
CN102469883A (zh) * 2009-07-23 2012-05-23 金钟泰 保育辅助器械
KR101699052B1 (ko) 2015-11-30 2017-01-24 황정용 보행 보조장치
KR20220150022A (ko) 2021-05-03 2022-11-10 박인화 성인용 보행보조기
KR20230152957A (ko) 2022-04-28 2023-11-06 박기주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KR20240015347A (ko) 2022-07-27 2024-02-05 황정용 하체를 부축하는 보행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863B2 (en) Walker with lift-assisting seat assembly
US7540565B2 (en) Lift chair
US9089194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s
JP4339829B2 (ja) 浴室用折り畳み椅子
JP5279190B2 (ja) マッサージ椅子
JP5289711B2 (ja) マッサージ椅子
JP2007507281A (ja) 高さ調節可能なワークチェア
CN105411449A (zh) 多功能护理洗浴椅
EP3721850B1 (en) Aid device
US7328953B2 (en) Customized articulating anatomical support
KR200362325Y1 (ko)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CN106667682A (zh) 一种站立式轮椅
JP2010005077A (ja) 補助手摺装置
US9421138B1 (en) Self-propelling standing commode wheelchair
KR100849268B1 (ko) 휠체어용 풋레스트 어셈블리
JP4866720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0490704Y1 (ko)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JP5294408B2 (ja) 移乗支援器具
JPH08257061A (ja) 起立補助椅子
TW201347749A (zh) 步行輔助器具
KR101790441B1 (ko) 보행보조기 겸용 휠체어
JP2000084017A (ja) 生活活動を可能にする自立歩行器
JP3219802U (ja) 車椅子
JP2007090014A (ja) パイプ椅子の足置き補助具
JP2008237583A (ja) 介助用車椅子並びにそれに用いるフットレストアッ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