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390Y1 - 전열케이블 - Google Patents

전열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390Y1
KR200361390Y1 KR20-2004-0018017U KR20040018017U KR200361390Y1 KR 200361390 Y1 KR200361390 Y1 KR 200361390Y1 KR 20040018017 U KR20040018017 U KR 20040018017U KR 200361390 Y1 KR200361390 Y1 KR 200361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conductive
conductive core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구
요시모리 가나이
Original Assignee
우주실리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주실리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주실리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8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05B3/565Heating cables flat cable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열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전열케이블(100)은, 절연체인 피복(110)과; 상기 피복(1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장되는 도전심(120)과; 상기 도전심(120) 사이의 피복(1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장되고, 그 일단부는 서로 접속되며, 타단부는 각각 양 도전심(120)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전열선(130)과; 상기 도전심(120)의 각 단부에 접속되어 피복(110) 외측으로 인출된 도체인 인출선(150);로 구성되어, 도전심(120)과 인출선(150)을 통해 여러개의 전열케이블(100)을 간단하게 병렬 연결하여 접속하고, 이의 작업성이 향상되며, 접속부위의 저항이 작아 병렬 연결된 전열케이블(100)의 발열성능이 고르게 형성되므로 난방장치의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열케이블{Electric Heat Cable}
본 고안은 전열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이용한 난방장치에 설치되는 전열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장치에 사용되는 전열케이블은 피복내에 하나의 전열선만이 내장되어 설치되었고, 이 전열선에 직접 전기를 흘려 전열 즉 발열을 이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열케이블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단일의 전열케이블이 사용되고, 여러개의 전열케이블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저항값이 큰 전열선과 전열선을 직접 연결하여 접속시킴으로써 접속부위의 저항이 매우 커짐으로 인해 전열케이블의 발열성능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난방장치의 전반적인 성능이 저하됨으로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도전심과 전열선을 피복에 내장시킨 전열케이블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심을 통해 다수의 전열케이블을 간편하게 병렬 연결할 수 있고, 이의 작업성이 향상되며, 연결부위의 저항이 작아 난방장치의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전열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형의 전열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열케이블 110 : 피복
112 : 제 1 피복층 114 : 제 2 피복층
120 : 도전심 130 : 전열선
140 : 압착단자 150 : 인출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열케이블은, 절연체인 피복과; 상기 피복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장되는 도전심과; 상기 도전심 사이의 피복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장되고, 그 일단부는 서로 접속되며, 타단부는 각각 양도전심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전열선과; 상기 도전심의 각 단부에 접속되어 피복 외측으로 인출된 도체인 인출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피복은, 실리콘, 절연PVC, 고무, 나이론써미스터, 캡톤, 에나멜, 니켈, 테프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전열선은, 니크롬선 또는 카본섬유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인출선과 도전심 및 전열선의 각 접속부는, 압착단자로서 압착되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인출선과 도전심 및 전열선의 각 접속부는, 납땜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전열케이블(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인 제 1,2 피복층(112)(114)으로 이루어진 피복(110)과, 도전심(120), 전열선(130), 인출선(150) 등으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전심(120)은, 피복(110)의 제 1 피복층(112)에 복수의 도전심(120)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열선(130)은, 상기 양 도전심(120) 사이의 제 1 피복층(112)에 복수의 전열선(130)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내장된다.
상기 전열선(130)은, 전기를 통과시키되 그 저항값이 높아 자체에서 발열을 하는 발열체를 사용하되, 바람직하게는 니크롬선이나 카본섬유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예를들어, 금속 발열체에는 대분분이 니크롬선이나 철크롬선이 사용된다. 상기 니크롬선은 1100℃ 내,외의 고온을 견딜수 있고, 상기 철크롬선은 가격이 저렴해서 니크롬선 대신에 사용된다. 이밖에, 철, 니켈, 백금, 텅스텐, 몰리브덴 등이 특수한 용도로 사용된다. 비금속 발열체는 카보런덤(Carborundum : 탄화수소) 발열체가 대표적인 것으로, 1400℃ 정도의 고온을 견딜수 있기 때문에 1100℃ 이상의 고온 발열체로 많이 사용된다. 성분은 탄화규소(SiC)를 주성분으로 한 것으로 탄소와 규소의 혼합 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의 고유 저항을 얻을수 있다. 그러나 가동이 어렵고 여리기 때문에 단자의 설치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이밖에 탄소 발열체에는 탄소의 분말에 점결제를 가하여 막대 모양 또는 대롱 모양으로 만들어 구운 카본섬유사가 있다.
예를들어, 상기 카본섬유사를 사용할 경우, 카본섬유사의 집합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합사하여 1m당 저항값이 약 25Ω이 되도록 한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카본사는 3000가닥(130Ω±5%), 6000가닥(70±5%), 12000가닥(34±5%)이 있다. 가령, 카본사 6000가닥을 사용할 경우 상기 카본사 집합체(6000가닥) 하나만 사용해도 되지만, 카본사 3000가닥을 사용할 경우 25Ω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카본사집합체(3000가닥)를 두 개 합사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열선(130)은, 그 일단이 서로 연결되어 접속되고, 타단은 각각 양 도전심(1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선(150)은, 도체로서 도전심(120)의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접속되고, 피복(110) 외측으로 인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접속되는 접속부는 제 1 피복층(112)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 2 피복층(114)에 내장된다.
상기 피복(110)은, 실리콘, 절연PVC, 고무, 나이론써미스터, 캡톤, 에나멜, 니켈, 테프론 등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피복(110)은 전열선(130)을 감싸는 절연체이므로, 그 절연특성 및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한 절연물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실리콘은 열을 장시간 받을 때 열에 의해 그 조직이 손상을 입어 부서지기 쉬운 취성을 갖기 때문에, 테프론과 같은 열에 강한 절연물을 사용한다. 상기 테프론은 삼플루오르화 에틸렌을 중합시켜 만들어진 열가소성 수지로서 내약품성, 특히 플루오르산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열이나 방사선에 대해서도 강하여 고주파 절연물로서 우수한 재질이다.
또한, 상기 피복(110)은, 대략 직사각형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그 발열면적이 넓어짐으로써, 난방장치로의 열전도가 증대되어 난방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선(150)과 도전심(120) 및 전열선(130)의 각 접속부는, 압착단자(140)로서 압착되어 접속되거나, 또는 납땜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열케이블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복수개의 도전심(120)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고, 양 도전심(120) 사이에 복수의 전열선(130)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구비한 후, 실리콘 등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피복(110)을 압출 등의 방법을 통해서 도전심(120)과 전열선(130)상에 성형하여 제 1 피복층(112)을 형성한다.
이후, 제 1 피복층(112)의 양단부로 각각 도전심(120)과 전열선(130)의 양단부를 인출되게 한 후, 양 전열선(130)의 일단부는 압착단자(140)나 납땜 등의 방법을 통해서 접속시키고, 타단부는 각각 양 도전심(120)의 일단부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접속시킨다.
그리고, 도전심(120)의 양단부에는 별도의 인출선(150)을 접속시킨 후, 이 접속부위에 제 1 피복층(112)보다 두꺼운 두께로 제 2 피복층(114)을 성형하여 모든 접속부를 제 2 피복층(114)내에 내장시킴으로써, 단일의 전열케이블(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이와 같이 제작된 여러개의 전열케이블(100)을 병렬 연결할 때에는, 전열케이블(100)의 양 인출선(150)을 이에 인접한 각각의 전열케이블(100) 일측의 인출선(150)에 각각 접속시키는 방법으로 나머지 전열케이블(100)을 계속해서 접속시키면,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여 각 전열케이블(100)이 동일한 발열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개의 전열케이블(100)을 병렬 연결할 때에는, 전열선(130)끼리 직접 접속되지 않고, 인출선(150)을 통해서 병렬로 접속됨으로써 접속부의 저항이 작아 전열케이블(100)의 발열성능이 고르게 형성되어 난방장치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열케이블에 의하면, 도전심과 인출선을 통해 여러개의 전열케이블을 간단하게 병렬 연결하여 접속하고, 이의 작업성이 향상되며, 접속부위의 저항이 작아 병렬 연결된 전열케이블의 발열성능이 고르게 형성되므로 난방장치의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절연체인 피복(110)과;
    상기 피복(1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장되는 도전심(120)과;
    상기 도전심(120) 사이의 피복(1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장되고, 그 일단부는 서로 접속되며, 타단부는 각각 양 도전심(120)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전열선(130)과;
    상기 도전심(120)의 각 단부에 접속되어 피복(110) 외측으로 인출된 도체인 인출선(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110)은, 실리콘, 절연PVC, 고무, 나이론써미스터, 캡톤, 에나멜, 니켈, 테프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케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130)은, 니크롬선 또는 카본섬유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케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150)과 도전심(120) 및 전열선(130)의 각 접속부는, 압착단자(140)로서 압착되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케이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150)과 도전심(120) 및 전열선(130)의 각 접속부는, 납땜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케이블.
KR20-2004-0018017U 2004-06-25 2004-06-25 전열케이블 KR200361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17U KR200361390Y1 (ko) 2004-06-25 2004-06-25 전열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17U KR200361390Y1 (ko) 2004-06-25 2004-06-25 전열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390Y1 true KR200361390Y1 (ko) 2004-09-13

Family

ID=4934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017U KR200361390Y1 (ko) 2004-06-25 2004-06-25 전열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3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2083A (en) Flexible, elongated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ing assembly and method
EP0096492B1 (en) Elongate electrical heaters
US6005232A (en) Heating cable
US4037083A (en) High temperature parallel resistance pipe heater
EP0475458B1 (en) Elongated parallel, constant wattage heating cable
EP1199727B1 (en) Heating cable
WO2014022245A1 (en) High-voltage high-temperature heating cables, connectors and insulations
US6144018A (en) Heating cable
AU592289B2 (en) Flexible, elongated thermistor heating cable
KR20150053052A (ko) 고출력 금속저항선 히팅케이블
KR200361390Y1 (ko) 전열케이블
GB2041709A (en) Heating cable
US20050252910A1 (en) Electrical heating cable
CA1338315C (en) Cut to length heater cable
US20170238370A1 (en) Flexible Small-Diameter Self-Regulating Heater Cable
KR20140093455A (ko) Ptc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EP0930804B1 (en) Heating cable
KR101548983B1 (ko) Ptc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RU2046553C1 (ru) Гибки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провод
KR20230000024A (ko) 고 내굴곡성 케이블하네스
CN113316276A (zh) 一种柔软性硅橡胶恒功率电热带
KR20000022269A (ko) 가열 케이블
JPH0679501B2 (ja) ヒーティングチューブ
JPH0617038U (ja) 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