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710Y1 - Flush toilet with urine - Google Patents

Flush toilet with ur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710Y1
KR200360710Y1 KR20-2004-0016687U KR20040016687U KR200360710Y1 KR 200360710 Y1 KR200360710 Y1 KR 200360710Y1 KR 20040016687 U KR20040016687 U KR 20040016687U KR 200360710 Y1 KR200360710 Y1 KR 200360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toilet
water
flush toile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6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명구
Original Assignee
임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구 filed Critical 임명구
Priority to KR20-2004-0016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71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710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using flush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이펀 젯 방식의 수세식 변기에서 소변시 변기내 설치된 소변받이를 통하여 소변이 봉수(封水)와 섞이지 않고 소변만을 모아 배출하고 소변이 닿은 곳만 세정함으로서 수세식 변기의 세정수(洗淨水) 사용량을 줄인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discharges urine only through urine collection installed in the toilet when the urine is flushed in the siphon jet type toilet and cleans only the place where the urine touches. It's about a flush toilet with a low urine reservoir.

Description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omitted}Flush toilet with urine

본 고안은 사이펀 젯 방식의 수세식 변기에서 소변만을 분리하여 배출하고 소변이 묻은 부위만을 세정함으로서 세정수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통 사람에게 있어서 소변의 횟수가 대변의 횟수보다 수배 많아 성인의 경우 1일 4~10회의 소변과 1회의 대변배설의 생리적 활동을 하며, 여자의 경우 남자보다도 더 많은 소변횟수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toilet with a urine receiving bowl, which reduces the amount of washing dramatically by separating and draining only urine from the siphon jet flush toilet and cleaning only the urine stained area. More often, adults have 4 to 10 urine a day and one stool excretory physiological activity, and women are known to have more urine frequency than men.

그러나 공공의 남자 전용 화장실에는 소변전용변기가 설치되어있어 소변의 경우 소량의 물로 세정을 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가정집과 여자 전용 화장실에는 소변전용변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대변을 처리하는 사이펀 작용에 의한 수세식 변기가 설치되어 있어 소변이라 할지라도 많은 물을 소비하는 대변의 세정방법으로 세정해야하기 때문에 물 사용량이 많았다.However, public toilets for men are equipped with a urine-only toilet, and urine can be washed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but most homes and women's toilets do not have a urine-only toilet. Because the toilet is installed, even urine was used because the stool, which consumes a lot of water, should be cleaned.

특히 소변의 경우 점성이 높지 않은 유동성이 큰 액체이므로 높이차에 의한 자연적인 배수가 가능하고 세정 또한 헹구어내듯 적은 물로 소변의 접촉부위를 씻겨내면 세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1회 세정시 6~13리터씩 소비되는 사이펀 젯 방식의 수세식 변기에 비하여 상당히 적은 물로도 세정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urine is a liquid that is not highly viscous, so natural drainage is possibl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and washing is also completed by washing the contact area of urine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as if rinsing. It can be cleaned with considerably less water than the spent siphon jet flush toilets.

그러나 각 가정마다 그리고 여자 전용 화장실에 소변전용변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한다는 비용적인 문제와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지금껏 종래의 수세식 변기의 세정방식으로 소변을 세정해와 수자원의 낭비가 컸다.However, due to the cost and space constraints of additional urine-only toilets in each household and in women's toilets, the urine was washed by the conventional flush toilet and wasted water resources.

이렇게 과소비 되는 물의 양은 연간 1인당 약 18톤(1회 세정시 10리터 소비, 1일 5회, 1년 365일)에 이르며, 인구가 약 4천 500만인 대한민국에 있어서는 연간약 8억톤을 불필요하게 낭비하고 있으며, 그 수도요금을 현행 물 생산 원가인 톤당 800원으로 계산하면 연간 6천4백억원에 이른다.The amount of water consumed in this way is about 18 tons per person per year (10 liter consumption per wash, 5 times a day, 365 days a year), and about 800 million tons per year is unnecessarily required in Korea with a population of 45 million people. The water bill is estimated at 800 billion won per ton, the current cost of water production.

따라서 추가적인 소변기의 설치로 인한 비용의 발생과 공간의 제약없이 하나의 수세식 변기 안에서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세정할 수 있는 새로운 수세식 변기가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flush toilet that can separate and clean urine and faeces in a single flush toilet without incurring the cost and space constraints of installing additional urinals.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람의 배변특성을 고려하여 남녀의 소변시 하나의 수세식 변기에서 소변만을 구분하여 배출하고 소변이 닿는 부분만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only the urine from one flush toilet in the urine of men and women in consideration of the bowel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man and to be able to clean only the urine touches.

일반적으로 사람이 앉아서 용변을 볼 때의 배변특성을 살펴보면 수 센티미터에 불과 하지만 남녀 모두 소변의 배설위치와 배설방향이 대변의 배설위치와 배설방향과 다르며 이들 소변 및 대변의 배설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소변 배설 경로와 낙착지점에 소변받이를 두어 소변이 봉수와 섞이지 않고 한곳에 모이도록 하여 배출하고, 소변이 닿은 부분만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 사이펀 젯 방식의 대변의 세정방식이 아닌 적은 물로도 소변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general, when looking at the bowel movements of a person sitting and looking at the stool, it is only a few centimeters, but in both sexes, the excretory position and excretion direction of urine are different from the excretion position and excretion direction of the feces. Focused on the urine excretion path and dropping point, place urine collection so that urine collects in one place without mixing with the water and discharges it, and it is possible to clean only the part where urine touches, and to wash the siphon jet type feces using a large amount of water Its purpose is to allow urine to be washed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rather than the way.

또한 상기의 목적과 유사한 선(先) 출원 사례들을 살펴보면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구조와 세정방법이 복잡하고, 남녀의 배뇨특성을 고려치 않아 남녀 모두에게 불편함과 거부감을 줄 뿐만 아니라 소변 세정시에도 비교적 많은 물을 씀에도 불구하고 세정 또한 용이 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 보다 간편하고 남녀 모두에게 사용상 편리한 소변기 겸용 수세식 변기의 필요성이 요구된다.In addition, the prior application examples similar to the above object are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cleaning method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urine, and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urination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In spite of the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u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leaning is not easy. Therefore, a necessity for a simple and convenient urinal combined flush toilet for both men and women is required.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남자가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낙착되는 지점과 그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oint where the urine falls and the path when a man standing in the urine in the conventional general flush toilet.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남자가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변기에 낙착될 수 있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portion in which the urine may fall on the toilet when a man standing in the conventional toilet flushing urine.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남자가 앉아서 소변과 대변을 볼 때 소변과 대변이 낙착되는 지점과 그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oint and the path where the urine and stool falls when a man sitting in the conventional toilet flushed urine and stool.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남자가 앉아서 소변과 대변을 볼 때 변기에 소변과 대변이 낙착되는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point where the urine and faeces fall into the toilet when a man sitting in the conventional flush toilet and see urine and stool.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여자가 앉아서 소변과 대변을 볼 때 소변과 대변의 낙착지점과 그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dropping point and the path of the urine and feces when the woman sitting in the conventional toilet flushed urine and stool.

도 6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여자가 앉아서 소변과 대변을 볼 때 변기에 소변과 대변이 낙착되는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ure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point where the urine and faeces fall in the toilet when a woman sitting in the conventional flush toilet and see urine and stool.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여자가 몸을 앞으로 이동한 후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낙착되는 지점과 그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int where urine falls and a path thereof when a woman urinates after moving a body forward in a conventional flush toilet. FIG.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여자가 몸을 뒤쪽으로 이동한 후 대변을 볼 때 대변이 낙착되는 지점과 그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oint and the path that the feces fall off when the woman sees the feces after moving the body to the rear in the conventional general flush toilet.

도 9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여자가 몸을 앞으로 이동하여 소변을 볼 때와 몸을 뒤쪽으로 이동한 후 대변을 볼 때 변기에 소변과 대변이 낙착되는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int where urine and feces fall into the toilet when a woman moves forward and urinates when the body moves forward and when the stool is seen after moving the body backwards.

도 10은 고안된 소변받이에 의해 모여진 소변을 변기 내부를 통과하는 배수관을 통해 소변이 배수되도록한 고안된 변기의 단면도 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in which the urine collected by the urine receiver is designed to drain urine through a drain pipe passing through the toilet. FIG.

도 11는 도 10의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0.

도 12는 고안된 소변받이에 의해 모여진 소변이 변기 외부를 통과하는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urine collected by the designed urine receiver is drained through a drain pipe passing through the outside of the toilet.

도 13은 고안된 소변받이에 의해 모여진 소변을 변기 내부에 형성된 별도의 배수로를 통해 소변이 배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urine is collected through a separate drainage channel formed inside the toilet to collect urine collected by the designed urine receiver.

도 14는 고안된 변기에 남자가 서서 소변을 볼 때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use when the man standing in the urinal to urinate.

도 15는 고안된 변기에 남자가 앉아서 소변을 볼 때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when a man sits on the toilet and urinates.

도 16은 고안된 변기에 여자가 앞으로 몸을 이동한 후 앉아서 소변을 볼 때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urine sitting on the toilet after the woman moves forward to the designed toilet.

도 17은 고안된 소변받이의 탈착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있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achment of the designed urine receiver.

도 18은 고안된 소변받이의 세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eaning the designed urine receiver.

도 19는 고안된 소변받이의 상수도에 의한 세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eaning method by tap water of the designed urine receiv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1. 소변이 닿는 부분101. Where urine comes in

102. 대변이 닿는 부분102. Stool

103. 대변용 세정수 이동경로103. Stool washing water movement path

201. 소변받이201.Urine collection

202. 소변 배수구202. Urine Drain

203. 소변 배수관203. Urine drainpipe

204. 소변 배수로204. Urine drainage

205. 오수관205. Sewage pipe

301. 세정 노즐301. Cleaning Nozzle

302. 세정수 공급관302. Rinsing water supply line

303. 전동 펌프303. Electric pump

304. 전기배선304. Electric wiring

305. 스위치305. Switch

306. 플러그306. Plug

307. 밸브307.Valve

308. 상수도308. Waterworks

309. 물줄기309. Watercourse

본 고안의 구성은 수세식 변기 내측에 떨어지는 소변을 받아 소변 배수구(202)로 흘려보내는 기능을 하는 소변받이(201);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rine receiving unit 201 which functions to receive urine falling inside the flush toilet and flow it to the urine drain 202;

흘러온 소변을 오수관(205)으로 배출하기 위한 소변 배수구(202)와 소변 배수관(203)으로 구성된 소변 배수부;A urine drain consisting of a urine drain 202 and a urine drain 203 for discharging the urine discharged to the sewage pipe 205;

변기에 묻은 소변을 씻어내기 위한 세정 노즐(301), 세정수 공급관(302), 전동 펌프(303), 스위치(305) 및 밸브(308) 등으로 구성된 세정부;A washing unit including a washing nozzle 301 for washing urine in the toilet, a washing water supply pipe 302, an electric pump 303, a switch 305, a valve 308, and the like;

가 종래의 수세식 변기에 추가로 구성된 것으로 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furth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 is further configured to a conventional flush toilet as follows.

도 1은 종래의 수세식 변기에 남자가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낙착될 수 있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남자의 경우는 자기 의지대로 소변의 배출 각도와 방향을 마음대로 조정하여 수세식 변기 전부분에 걸쳐 소변을 낙착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art where the urine can fall when a man standing in a conventional toilet flushing urine, in the case of a man at his own will to adjust the discharge angle and direction of the urine freely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make urine fall over.

도 2는 종래의 수세식 변기에 남자가 소변을 서서 볼 때 소변이 낙착될 수 있는 부분을 평면도로 살펴본 것으로 도 1의 설명과 같이 남자의 경우 소변의 낙착지점을 변기 내부 전부분에 걸쳐 자유로이 위치를 조정하여 소변을 낙착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portion of the urine can fall when a man standing in the toilet flush with a conventional flush toilet as shown in Figure 1 in the position of the urine freely throughout the inside of the toilet It can be adjusted to make urine fall.

도 3은 남자가 변기에 앉아서 소변과 대변을 볼 때 소변과 대변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남자의 신체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소변과 대변의 배출위치가 수 센티미터 이상 차이가 나며, 배출방향도 소변의 경우 사선방향으로 앞쪽으로 배출되나 대변의 경우 수직방향으로 배출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ath of urine and stool when the man sitting on the toilet and urine and stool,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 and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urine and faeces differ by more than a few centimeters, the discharge direction also urine In the case of the discharge in the oblique direc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but in the case of feces have a characteristic to discharg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4는 남자가 변기에 앉아서 소변과 대변을 볼 때 소변과 대변이 변기에 낙착되는 부분을 표시한 도면으로 소변이 낙착되는 부분(101)과 대변이 낙착되는 부분(102)이 겹치지 않고 수 센티미터 떨어진다.4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urine and stool falling in the toilet when the man sitting on the toilet bowl and urine and stool, the urine is the portion of the dropping 101 and the portion of the stool is dropped 102 centimeters without overlapping Falls.

도 5는 여자가 변기에 앉아서 소변과 대변을 볼 때 소변과 대변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여자의 신체적인 특징으로 소변과 대변의 배출위치는 남자의 배출위치에 비하여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 배출방향 역시 대변의 배출방향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urine and stool when the woman sitting on the toilet and urine and stool as a physical feature of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urine and stool does not differ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man In addition, the discharge direc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eces.

도 6은 여자가 변기에 앉아서 소변과 대변을 볼 때 소변과 대변이 변기에 낙착되는 부분을 표시한 도면으로 여자의 신체적인 특징으로 소변과 대변의 배출위치와 배출방향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관계로 소변이 낙착되는 부분(101)과 대변이 낙착되는 부분(102)이 일정부분 겹치는 것을 알 수 있다.6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urine and stool fall into the toilet when the woman sitting on the toilet and urine and feces as a physical feature of the woma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urine and feces does not differ significantly As can be seen that the portion of the urine falling portion 101 and the stool falling portion 102 overlaps a certain portion.

도 7은 여자가 몸을 조금 앞으로 이동하여 소변을 볼 때 소변의 경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ath of urine when a woman moves urine a little forward to urinate.

도 8은 여자가 몸을 조금 뒤로 이동하여 대변을 볼 때 대변의 경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ath of the stool when the woman moves the body slightly to see the stool.

도 9는 위의 도 7과 도 8의 경우와 같이 여자가 소변을 볼 때 몸을 앞으로 이동했을 때와 대변을 볼 때 몸을 뒤로 이동하였을 때 소변과 대변의 낙착지점을 평면도 상에 표현한 도면으로 소변이 낙착되는 부분(101)과 대변이 낙착되는부분(102)이 수 센티미터 이상 거리를 두고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다.FIG. 9 is a view showing a dropping point of urine and feces on the floor plan when a woman moves forward when urinating the body and when moving back when seeing feces as in the case of FIGS. 7 and 8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art 101 where urine falls and the part 102 where feces fall apart are clear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everal centimeters or more.

따라서 도 10은 상기 남녀의 배변 특성을 고려하여 고안된 변기의 실시 예의 단면도로서 앞선 도면에서 설명했던 것과 같이 소변의 낙착예상지점에 소변이 흘러내려 변기 내 봉수와 섞이지 않도록 변기내 돌출부인 소변받이(201)를 두고, 그 곳에 모여진 소변을 별도의 소변 배수구(202)과 변기내부를 통과하는 소변 배수관(203)를 통하여 오수관(205)으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이때 소변이 묻은 부분을 세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간단히 컵 분량의 물을 해당 부분에 붓기만 해도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Therefore,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toilet designed to take into account the bowel characteristics of the sexes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figure as the urine flows into the urine dropping point of the urine falling into the urine in the toilet so as not to mix with the water in the toilet bowl (201) ), And the urine collected therein was discharged to the sewage pipe 205 through a separate urine drain 202 and a urine drain pipe 203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toilet. At this time, when you want to clean the part of the urine, as shown in Figure 10 simply by pouring a cup of water to the portion can be sufficiently washed.

또한 소변받이(201)의 돌출 높이는 대변 세정시 많은 물이 짧은 시간에 변기 내에 쏟아져 나오게 되므로 봉수의 수위가 높아지고 대변의 내용물이 소변받이(201)의 안쪽으로 넘어올 수 있기 때문에 소변받이(201)의 돌출높이는 봉수의 최고 수위보다 높게 하고, 대변시 소변도 같이 나오게 되므로 대변 세정시 소변받이(201)도 같이 세정되고 그 세정수가 소변받이(201)를 넘어 다시 대변을 세정할 수 있도록 도면에 표현된 대변용 세정수 이동 경로(103)와 같이 대변 세정수가 소변받이(201)를 충분히 넘어 갈 수 있는 높이로 돌출부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urine collection 201 is urine collection 201 because a lot of water is poured into the toilet in a short time when cleaning the feces because the water level of the stool increases and the contents of the stool can fall into the inside of the urine collection 201 The height of protrusion of the water is higher than the maximum level of the water, the urine during the stool also comes out when cleaning the urine collection (201) is also washed together and the washing water over the urine collection 201 is represented in the figure so that the feces can be washed again Like the stool cleaning water movement path 103, the stool cleaning water is formed to protrude to a height enough to pass over the urine receiver 201.

특히 대변의 세정수는 비교적 센 물살로 배출되기 때문에 소변받이(201) 그리고 소변 배수구(202) 주위에 붙은 털이나 각종 이물질을 제거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대변 세정시 배출되는 세정수가 소변받이(201)를 충분히 타고 넘어 갈 수 있도록 돌출부의 높이와 구조로 한다.In particular, since the feces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to relatively strong water, it helps to remove the hairs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adhering around the urine receiver 201 and the urine drain 202, so that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during the fecal washing is urine receiver 201. The height and structure of the protrusions should be enough to ride over.

도 11은 고안된 변기의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소변의 예상 낙착 지점을 둘러싸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소변받이(201)를 두고 소변 배수구(202) 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변기 내 봉수와 섞이지 않고 자연적으로 소변이 배수구(202)로 흘러나가게 하였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designed toilet, forming a protrusion surrounding an expected dropping point of urine so that the urine receiver 201 is inclined toward the urine drain 202 so that urine naturally drains from the toilet without mixing with the water in the toilet. ) To flow out.

또한 상기 고안된 변기에서 소변 배수관(203)은 도 12와 같이 변기의 외부로 노출시켜 오수관(205)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rine drain pipe 203 in the designed toile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as shown in Figure 12 to be discharged to the sewage pipe 205.

그리고 상기 고안된 변기에서 소변 배수관(203)은 도 13과 같이 소변 배수관(203) 대신에 변기 내부에 일체화된 소변 배수로(204)를 통해 소변을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e drain pipe 203 in the designed toilet may discharge urine through the urine drain passage 204 integrated into the toilet instead of the urine drain pipe 203 as shown in FIG.

도 14는 고안된 변기에서 남자가 서서 소변을 보는 예로서 남자가 소변 낙착지점을 조정한다면 소변을 봉수와 섞이지 않고 소변받이(201) 안쪽에 낙착시킬 수 있다.14 is an example in which a man stands and urinates in the designed toilet, and if the man adjusts the urine dropping point, the urine may fall inside the urine receiver 201 without mixing with the water.

도 15는 고안된 변기에서 남자가 앉아서 소변을 보는 예로서 남자가 특별한 주의를 하지 않더라도 소변을 봉수와 섞이지 않고 소변받이(201) 안쪽에 낙착시킬 수 있다.15 is an example in which a man sits and urinates in the designed toilet, and even if the man does not pay special attention, the urine may be mixed inside the urine receiver 201 without mixing with the water.

도 16은 고안된 변기에서 여자가 소변을 보는 예로서 여자가 조금만 몸을 앞으로 이동하여 소변을 본다면 소변을 봉수와 섞이지 않고 소변받이(201) 안쪽에 낙착시킬 수 있다.FIG. 16 shows an example of urinating a woman in the designed toilet, in which if the woman moves forward a little to urinate, the urine may fall into the urine receiver 201 without mixing with the water.

도 17은 고안된 변기에서 소변받이(201)는 변기와 일체화 할 수도 있으며, 그림에서와 같이 탈착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FIG. 17 shows that the urine receiver 201 may be integrated with the toilet in the designed toilet, and may have a detachable structure as shown in the figure.

도 18은 고안된 변기에 세정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변기의 저수조안에 전동 펌프(303)를 설치하고 전원과 연결된 스위치(305)로 전동펌프(303)의 작동을 제어하여 저수조 내 물을 세정수관(302)을 통해 보내면 변기의 안쪽에 부착되어진 세정 노즐(301)에서 세정수가 분사되어 소변이 씻겨 나가도록한 것이다.18 is an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cleaning device to the designed toilet to install the electric pump 303 in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pump 303 by the switch 305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o the water in the water tank ( When sent through 302 to wash water is sprayed from the cleaning nozzle 301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toilet so that the urine is washed out.

여기서 세정 노즐(301)에서 분사되어진 세정수는 변기 뒤쪽에서 앞쪽으로 수세식 변기를 가로질러 분사되어, 세정수가 소변이 닿은 부위를 충분히 씻겨 낼 수 있다.Here,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nozzle 301 is sprayed across the flush toilet from the rear of the toilet to the front, so that the washing water sufficiently washes out the portion of the urine.

또한 도 21과 같이 세정수 공급관(302)을 상수도관(308)에 연결하고 밸브(307)로 제어하여 세정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1,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302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08 and controlled by the valve 307 to perform cleaning.

이상으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서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은 기술적 사상과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have to.

본 고안은 종래의 수세식 변기 안쪽에 소변의 예상 낙착 지점을 둘러싸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소변받이(201)을 두고, 소변 배수구(202)와 소변배수관(203) 그리고 세정장치를 둠으로서 남녀 모두 별도의 소변기 없이 적은 물로도 소변을 세정할 수 있어 물 절약 효과가 뛰어나며, 소변기 설치에 따른 추가비용과 공간적 손실이 없는 매우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urine receiving unit 201 by forming a protrusion surrounding an expected dropping point of urine inside a conventional flush toilet, and having a urine drain 202, a urine drain pipe 203, and a washing device, both men and women are separated. Urine can be washed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without a urinal, so water-saving effect is excellent, it is a very economical design without the additional cost and space loss of urinal installation.

Claims (9)

수세식 변기 내측의 소변이 낙착되는 지점을 두르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소변이 봉수(封水)와 섞이지 않고 소변 배수구(202)로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는 소변받이(201);A urine receiving unit 201 which forms a protrusion surrounding the point where the urine inside the flush toilet falls, so that the urine does not mix with the bong water and flows to the urine drain 202; 흘러온 소변을 배출하기 위한 소변 배수구(202)와 소변 배수관(203)으로 구성된 소변 배수부;A urine drain consisting of a urine drain 202 and a urine drain 203 for discharging the urine; 변기에 묻은 소변을 씻어내기 위한 세정 노즐(301), 세정수 공급관(302), 전동펌프(303), 스위치(305), 밸브(307) 등으로 구성된 소변 세정부;A urine cleaner including a washing nozzle 301 for washing urine in the toilet, a washing water supply pipe 302, an electric pump 303, a switch 305, a valve 307, and the like; 가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 추가로 구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Flush toilet with urine, characterized in that is configured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general flush toilet 1항에 있어서 소변받이(201)는 남녀의 배변특성을 고려하여 남녀의 공통된 소변낙착지점의 한 쪽 측면을 둘러싸는 반타원형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배출된 소변이 봉수와 섞이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The urine receiver 201 is formed in the semi-elliptic protrusion surrounding one side of the common urine dropping point of men and women in consideration of the bowel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d urine does not mix with the water Flush toilet with urine 1항에 있어서 소변받이(201)는 배출된 소변이 소변 배수구(202)로 자연적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소변 배수구(202)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The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rine receiver 201 has a slope toward the urine drain 202 so that the discharged urine naturally flows into the urine drain 202. 1항에 있어서 소변받이(201)는 대변 세정시 봉수의 최고 수위보다 조금 높게 하여 봉수가 소변받이(201) 안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며, 대변 세정시 강하게 배출되는 세정수가 소변받이(201)를 충분히 넘어 갈 수 있는 높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The urine receiver 201 is slightly higher than the maximum water level of the stool when the stool is washed so that the bong water does not fall into the urine receiver 201,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strongly during the stool cleaning is sufficiently filled with the urine receiver 201. Flush toilet with urine 1항에 있어서 소변받이(201)는 종래의 수세식 변기와 일체화하거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The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rine receiver 201 is integrated with a conventional flush toilet or is detachable. 1항에 있어서 소변받이(201)는 세정 노즐(301)에서 분사되어진 세정수로 세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The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rine receiver 201 is capable of cleaning with the washing water injected from the washing nozzle 301. 1항에 있어서 소변받이(201)는 대변 세정시 배출되는 세정수로 동시에 세정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The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rine receiver 201 is simultaneously flushed with washing water discharged during fecal washing. 6항에 있어서 세정 노즐(301)에서 분사되어진 세정수는 수세식 변기의 저수조 내에 설치되어진 전동펌프(303)의 작동으로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The flush toile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nozzle 301 is supplied with the washing water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pump 303 installed in the water tank of the flush toilet. 1항에 있어서 소변 배수관(203)은 한 쪽 끝이 소변 배수구(202)에 연결되고, 다른 한 쪽 끝은 변기 내부 또는 외부를 통과하여 오수관(205)에 연결되어 소변이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The urine drain pipe 203 i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rine drain 202,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205 through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urine is discharged Flush toilet with urine
KR20-2004-0016687U 2004-06-14 2004-06-14 Flush toilet with urine KR2003607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87U KR200360710Y1 (en) 2004-06-14 2004-06-14 Flush toilet with ur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87U KR200360710Y1 (en) 2004-06-14 2004-06-14 Flush toilet with ur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552A Division KR20050116326A (en) 2004-06-07 2004-06-07 Flush toilet with ur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710Y1 true KR200360710Y1 (en) 2004-09-01

Family

ID=4934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687U KR200360710Y1 (en) 2004-06-14 2004-06-14 Flush toilet with ur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71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17Y1 (en) 2009-11-09 2012-02-14 김영은 Feces and urine separate draining type toilet bowl
KR101516646B1 (en) * 2013-02-22 2015-05-04 신동렬 Toilet bow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17Y1 (en) 2009-11-09 2012-02-14 김영은 Feces and urine separate draining type toilet bowl
KR101516646B1 (en) * 2013-02-22 2015-05-04 신동렬 Toilet bow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229B1 (en) Automated flap and cup cleaner water-saving toilet
KR200458417Y1 (en) Feces and urine separate draining type toilet bowl
KR101410360B1 (en)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of toilet bowl cover type
KR101164091B1 (en)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KR200360710Y1 (en) Flush toilet with urine
CN101824850B (en) Urine and excrement separating device
KR20050116326A (en) Flush toilet with urine
JP2015505345A (en) Super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Western toilet without a water tank
CN102400487A (en) Sequential control water saving toilet stool
CN210917625U (en) Squatting pan is prevented blockking up by splashproof water
CN201459887U (en) Cross-discharge type water-saving closestool without water tank
KR200455687Y1 (en) Flush toilet for women
CN102312475A (en) Multidirectional pollutant-discharging type water tank-free water-saving water closet
CN201395848Y (en) Water-saving toilet with preposed discharge outlet
JP2002322716A (en) Water closet
KR200163354Y1 (en) Chamber pot installed water saving urine apparatus
KR100280662B1 (en) Recycled water storage tank for flush toilet
CN109736403B (en) Compatible sanitary appliance of turnover type closestool urinal
KR20110003279U (en) Flush Public Seated Women&#39;s Toilet
CN2423328Y (en) Water-saving toilet
CN2200668Y (en) Toilet
KR100471666B1 (en) the lavatory has basin
JPH0351430Y2 (en)
CN113482119A (en) Splash-proof closestool capable of recycling sewage
KR200432981Y1 (en) The toilet bowl in which an urinal atta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