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676Y1 -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676Y1
KR200351676Y1 KR20-2004-0004503U KR20040004503U KR200351676Y1 KR 200351676 Y1 KR200351676 Y1 KR 200351676Y1 KR 20040004503 U KR20040004503 U KR 20040004503U KR 200351676 Y1 KR200351676 Y1 KR 200351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gnet
mobile phone
interface
provided a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범
Original Assignee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특수금속 filed Critical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to KR20-2004-0004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6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커넥터의 연결을 손쉽게 하면서도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포함된 컨넥터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후방 단부인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와 상기 케넥터의 전방 단부인 연결단자의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부착 연결시키는 자석 착탈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커넥터의 연결을 손쉽게 하면서도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portable telephone)이라 함은,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을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을 통해 일반 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전화기와 통화할 수 있는 전화를 말하는 것이다.
이에 도 16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G부 확대도이며, 도 18은 종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휴대폰은, 키패드(101)가 포함되는 몸체(100)와 문자 등을 식별하는 액정부(200)로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몸체(100)에는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PC등의 전자장비와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부(3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인터페이스부(300)의 내부에는 접속단자(3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300)에 삽입되는 커넥터(400)는, 전원이 공급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케이블(401)과, 이 케이블(401)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300)에 연결되는 커넥터 몸체(402)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몸체(402)의 단부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00)의 접속단자(301)에 삽입되는 연결단자(40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300)의 홈부(302) 양측에는 관통공(30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몸체(402)의 양측에는 상기 관통공(303)에 삽입되는 판 스프링(404)과 이 판 스프링(404)을 조작하는 분리버튼(40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커넥터(400)를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300)에 삽입 연결함으로서, 베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거나 휴대폰과 전자장비등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의 홈부에 삽입함에 있어 분리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에 삽입해야 함으로서, 커넥터를 연결함에 있어 번거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커넥터를 양측 분리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를 휴대폰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가 빈번함에 따라서, 커넥터에 포함되는 판스프링을 손상시킴으로서 케넥터 전체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에 커넥터를 연결함에 있어 부착만을 통해 커넥터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커넥터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별도의 조작 없이 휴대폰과 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D부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E부 확대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F부 확대도.
도 16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일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G부 확대도.
도 18은 종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폰
11 : 인터페이스부
111 : 접속단자
2 : 커넥터
21 : 연결단자
3 : 자석착탈수단
31 : 자석부착 금속부
311 : 띠 판
312 : 금속부재
32 : 자석부
321 : 띠 자석
322 : 자석부재
33 : 자석부
331 : 띠 자석
332 : 자석부재
34 : 자석부착 금속부
341 : 띠 판
342 : 금속부재
35 : 고정 자석부
351 : 띠 자석
352 : 자석부재
36 : 부착 자석부
361 : 띠 자석
362 : 자석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포함된 컨넥터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후방 단부인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와 상기 케넥터의 전방 단부인 연결단자의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부착 연결시키는 자석 착탈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석 착탈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와,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자석 착탈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와,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착 금속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자석 착탈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면이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고정 자석부와,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자석부에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외면이 상기 고정 자석부의 외면 극성과 반대의 극성으로 된 부착 자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장치는,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111)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1)에 상기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1)가 포함된 컨넥터(2)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폰(1)의후방 단부인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와 상기 케넥터(2)의 전방 단부인 연결단자(21)의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부착 연결시키는 자석 착탈수단(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31)와,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판(31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32)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판(31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사각형상의 띠 자석(32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32)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31)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자석(321)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판(311)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견고하게 부착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연결함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와 커넥터(2)의 연결단자(21) 주위를 완전하게 상호 부착함으로서, 커넥터(2)가 휴대폰(1)에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폰(1)이 유동되더라도 커넥터(2)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연결함에 있어서 단순히 커넥터(2)를 휴대폰(1)의 인터페이스부(11)에 부착하는 과정으로만 커넥터(2)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커넥터(2)의 연결시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커넥터(2)를 휴대폰(1)에서 분리함에 있어서, 별도의 조작없이 커넥터를 잡아 빼는 과정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로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을 구성하는 휴대폰(1)의 인터페이스부(11) 주위에 형성된 자석부착 금속부(31)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부재(31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을 구성하는 커넥터(2)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자석부(32)는 상기 금속부재(31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22)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부재(312)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용이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장치는,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111)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1)에 상기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1)가 포함된 컨넥터(2)를 상호 연결하는 자석 착탈수단(3)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33)와, 상기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33)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착 금속부(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33)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자석(33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4)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자석(33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띠 판(34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판(341)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자석(331)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견고하게 부착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부 확대도로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을 구성하는 휴대폰(1)의 인터페이스부(11) 주위에 형성된 자석부(33)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32)로 구성되어 있고,상기 자석 착탈수단(3)을 구성하는 커넥터(2)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34)는 상기 자석부재(33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되어 있는 금속부재(3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부재(342)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32)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용이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E부 확대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장치는,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111)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1)에 상기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1)가 포함된 컨넥터(2)를 상호 연결하는 자석 착탈수단(3)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면이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고정 자석부(35)와, 상기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자석부(35)에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외면이 상기 고정 자석부(35)의 외면 극성과 반대의 극성으로 된 부착 자석부(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 자석부(35)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사각 형상의 띠 자석(35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자석부(36)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자석(35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띠 자석(36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자석(351)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자석(361)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견고하게 부착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커넥터(2)의 단부 주위에 띠 자석(351)을 구비하고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띠 자석(361)을 구비하여 각 띠 자석(351,361)이 상호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컨넥터의 연결힘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14의 F부 확대도로서, 상기 고정 자석부(35)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5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자석부(36)는 상기 자석부재(36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52)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62)에 부착됨으로서,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견고하게 부착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커넥터(2)의 단부 주위에 띠 자석(352)을 구비하고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띠 자석(362)을 구비하여 각 띠 자석(351,361)이 상호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컨넥터(2)의 연결힘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에 커넥터를 연결함에 있어 부착만을 통해 커넥터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좀더 간편한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커넥터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서,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폰이 유동될 경우에도 컨넥터가 휴대폰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도 있다.
또 별도의 조작없이 휴대폰에서 커넥터를 빼내는 과정을 통해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커넥터의 분리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0)

  1.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111)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1)에 상기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1)가 포함된 컨넥터(2)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장치는,
    상기 휴대폰(1)의 후방 단부인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와 상기 케넥터(2)의 전방 단부인 연결단자(21)의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부착 연결시키는 자석 착탈수단(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31)와,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판(31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32)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판(31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사각형상의 띠 자석(32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부재(31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32)는 상기 금속부재(31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되어 있는 자석부재(3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33)와,
    상기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33)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착 금속부(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33)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자석(33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4)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자석(33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띠 판(34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33)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3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4)는 상기 자석부재(33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되어 있는 금속부재(3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면이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고정 자석부(35)와,
    상기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자석부(35)에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외면이 상기 고정 자석부(35)의 외면 극성과 반대의 극성으로 된 부착 자석부(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석부(35)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자석(35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자석부(36)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자석(35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띠 자석(36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석부(35)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5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자석부(36)는 상기 자석부재(36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되어 있는 자석부재(3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
KR20-2004-0004503U 2004-02-20 2004-02-20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KR200351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03U KR200351676Y1 (ko) 2004-02-20 2004-02-20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03U KR200351676Y1 (ko) 2004-02-20 2004-02-20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676Y1 true KR200351676Y1 (ko) 2004-06-09

Family

ID=4934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503U KR200351676Y1 (ko) 2004-02-20 2004-02-20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6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99B1 (ko) 2005-01-22 2007-07-09 (주)대한특수금속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WO2011136498A2 (ko) * 2010-04-29 2011-11-03 아이볼타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KR101239215B1 (ko) 2012-08-30 2013-03-05 (주)파트론 휴대용 전자 장치의 마그네틱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99B1 (ko) 2005-01-22 2007-07-09 (주)대한특수금속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WO2011136498A2 (ko) * 2010-04-29 2011-11-03 아이볼타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WO2011136498A3 (ko) * 2010-04-29 2012-03-01 아이볼타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KR101239215B1 (ko) 2012-08-30 2013-03-05 (주)파트론 휴대용 전자 장치의 마그네틱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016B1 (ko) 무선 헤드셋 장치
KR100736399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KR20050056027A (ko) 화상 통화용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통신 방법
KR101668461B1 (ko)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용 디바이스
KR200351676Y1 (ko)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KR100677336B1 (ko) 리셉터클과 충전커넥터의 결합구조
JP3220340U (ja) 携帯端末用ケース型充電モジュール
CN201601805U (zh) 可拆卸的传声器耳机模块及具有该模块的手表式电话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200382247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KR1004423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결합장치
CN204103200U (zh) 设备支架和对接站
KR20130054665A (ko)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09460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97433Y1 (ko) 초슬림형 거치장치
KR200235210Y1 (ko) 마그네틱 잭
KR200287418Y1 (ko) 장착부재를 이용한 탈부착가능한 핸즈프리
JP3494975B2 (ja) プラグキャップ
KR100639338B1 (ko)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EP1233598A1 (en) Holding device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 means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JPH0656986U (ja) 装置本体に対する給電器の着脱構造
KR1006863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휴대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0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