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957Y1 -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 Google Patents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957Y1
KR200350957Y1 KR20-2004-0005874U KR20040005874U KR200350957Y1 KR 200350957 Y1 KR200350957 Y1 KR 200350957Y1 KR 20040005874 U KR20040005874 U KR 20040005874U KR 200350957 Y1 KR200350957 Y1 KR 200350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ength
decorative
width
decora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4-0005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의 단위편을 교호 조립하여 구성된 인테리어용 장식판에 있어서, 폭에 해당하는 일측 변 길이에 대하여 2배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임의 소재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길이에 해당하는 1/2 지점에서 양분되어 적어도 2 이상의 각기 다른 화장수단을 형성하여 상호 교호 조립하는 것으로 임의의 무늬가 표현되도록 제공한다.
또한, 폭에 해당하는 일측 변 길이에 대하여 적어도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임의 소재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폭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폭과 상기 폭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각기 다른 화장수단을 상기 장식판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문양을 이루도록 반복 형성하여 상기 장식판을 상호 교호 조립하는 것으로 임의의 무늬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블록 장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교호조립의 특성상 이룰 수 없었던 블록 내지 라인의 형성이 손쉽게 가능한 기술적 효과와 더불어 다종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갖는 장식판을 작업자의 조립순서에 따라 무궁무진한 의장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단조롭던 교호조립된 마루, 우드카펫, 천정재, 벽재 등의 인테리어에 활용할 경우 심미감이 월등한 장식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The interior design a block ornamentation a board}
본 고안은 마루재, 내화천장재, 벽 장식재 등에 사용되는 단위편 내지 블록판(이하 블록판이라 통칭한다)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블록판은 단일종의 화장수단을 표면에 형성하여 제공하거나 원목 또는 기타 석면이나 내화재 등의 소재로 구성된 것들이 있었다.
상기한 블록은 휨이나 들뜸 등의 하자를 방지하고 심미감을 더 하기 위하여 블록판과 블록판이 상호 교호로 조립되어 제공하고 있다.
때문에 단일한 화장수단 내지 표면을 갖고 있는 블록판으로 교호 조립시 단락되는 부분에 의한 의장성만을 지닐 뿐 별 다른 심미감을 느낄 수 없었다.
일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에 무늬목과 같은 화장수단을 더한 것들이 다소 있으나 이 역시 전체 설치시 단일한 의장감만을 제공하였고 내화 천정재 같은 경우 임의 형상의 홈을 더 하여 약간의 의장성을 가미 하였으나 이 역시 소비자의 요구에 충족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일 예로써, 사무실이나 공공 건물 등에 설치된 단일색상의 내화천정재와 실내 인테리어의 불일치로 인한 소비자의 불만이 많은 점 등을 들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의 단위편을 교호 조립하여 구성된 인테리어용 장식판에 있어서, 폭에 해당하는 일측 변 길이에 대하여 2배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임의 소재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길이에 해당하는 1/2 지점에서 양분되어 적어도 2 이상의 각기 다른 화장수단을 형성하여 상호 교호 조립하는 것으로 임의의 무늬가 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의 단위편을 교호 조립하여 구성된 인테리어용 장식판에 있어서, 폭에 해당하는 일측 변 길이에 대하여 적어도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임의 소재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폭 길이에 해당하는 동일한 폭과 상기 폭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각기 다른 화장수단을 상기 장식판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문양을 이루도록 반복 형성하여 상기 장식판을 상호 교호 조립하는 것으로 임의의 무늬를 표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기한 의장감을 극대화 하기 위한 화장수단으로써, 색상 내지 수종, 문양이 각기 다른 무늬목, 무늬지, 콜크, 천, 직물, 한지, 인쇄, 전사, 염색, 프린트, 실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화장재가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화장재는 동일 유사하되 무늬결의 방향 내지 색상을 달리하여 제공한다.
또한 수분 내지 자체 인장력의 요인으로 인한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 내지 저면에 휨 방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상기 휨 방지수단은 장식판의 폭 방향으로 임의 형상의 마디 홈이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이상 표면에 형성하거나, 저면에 부착된 무늬목, 종이, 비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휨 방지재 내지 도료코팅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식판을 제공하여 누구라도 쉽게 보다 아름답고 실용적인 장식판을 조립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장식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블록 장식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블록 장식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3의 장식판의 화장수단의 경계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도 1의 장식판을 교호 조립하여 임의의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장식판을 교호 조립하여 임의의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판재 3a,3b,3c,3d: 화장재
A1,A2,A3,A4,A5,A6: 경계위치 10: 장식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장식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블록 장식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블록 장식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3의 장식판의 화장수단의 경계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도 1의 장식판을 교호 조립하여 임의의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장식판을 교호 조립하여 임의의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1은 판재를, 3a,3b,3c,3d는 화장수단을, A2,A3,A4,A5,A6은 경계위치를 10은 장식판을 표기한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의 단위편을 교호 조립하여 구성된 인테리어용 장식판에 있어서, 판재(1)의 폭에 해당하는 일측 변길이에 대하여 2배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임의 소재의 판재(1)와; 상기 판재(1)의 길이에 해당하는 1/2 지점에서 양분되어 적어도 좌측과 우측이 각기 다른 화장수단(3a,3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의 단위편을 교호 조립하여 구성된 인테리어용 장식판에 있어서, 판재(1)의 폭에 해당하는 일측 변길이에 대하여 적어도 4배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임의 소재의 판재(1)와; 상기 판재(1)의 폭 길이에 해당하는 동일한 폭과 상기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각기 다른 화장수단(3a,3b,3c,3d)이 상기 판재(1)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문양을 이루도록 반복 형성되어 있는 장식판(10)을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장식판(10)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써, 동일한 화장수단(3a,3b,3c,3d)이 무늬방향을 달리하여 반복되거나, 전혀 다른 화장수단(3a,3b,3c,3d)이 불특정하게 형성되어 잇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장식판(10)을 조합하여 교호로 조립할 경우 반복되는 무늬의 교차되는 효과 내지 동일무늬의 연속된 라인 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1)에 의장성을 더 하기 위하여 판재(1)의 표면에 소정의 화장수단(3a,3b,3c,3d)을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화장수단(3a,3b,3c,3d)은 색상 내지 수종, 문양이 각기 다른 무늬목, 무늬지, 콜크, 천, 직물, 한지, 인쇄, 전사, 염색, 프린트, 실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화장재 등이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화장재는 동일 유사하되 무늬결 의 방향 내지 색상을 달리하여 제공한다.
상기한 화장수단(3a,3b,3c,3d)의 부착 내지 도포, 인쇄 등과 같은 기술은 이미 공지의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A1과 같이 상기한 각기 다른 화장수단이 밀접되어 형성될 경우 상호간 겹침이나 갈라짐 또는 칫수가 어긋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재(1)에 각기 다르거나 동일한 화장수단을 형성하고 당접되거나 중앙의 경계위치에 A2 내지 A4와 같이 화장수단(3a,3b)의 중간부위 내지 판재(1)까지 도달하는 홈을 형성하여 또 다른 화장수단을 삽착하거나 도료를 도포하여 제공한다.
한편, A5 내지 A6은 화장수단(3a,3b)위에 도료에 대한 도포 내지 인쇄하거나, 비교적 얇은 판막형상의 또 다른 화장수단을 아웃레이(OUT-LAY) 형태로 형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것처럼 장식판(10)의 중앙에 또 다른 화장수단(3a,3b)을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심미감이 뛰어난 장식판(10)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장식판(10)은 전면 내지 저면에 휨 방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상기 휨 방지수단은 장식판(10)의 폭 내지 길이 방향으로 임의 형상의 마디 홈이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적어도 2 이상 표면에 형성하여 제공하거나, 저면에 무늬목, 종이, 비닐 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거나, 도료코팅 중 어느 하나 이상 실시하여 제공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장식판(10)은 다수의 단위편을 저면재에 부착하여 테두리재로 감싸서 되는 우드카펫 또는 마루재, 천정재, 벽면 장식재 등으로 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인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다면 그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위편 내지 블록을 교호 조립할 경우 그 특성상 도저히 구현할 수 없었던 박스 내지 라인의 형성이 손쉽게 가능한 기술적 효과와 더불어 다종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갖는 장식판을 작업자의 조립순서에 따라 무궁무진한 의장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단조롭던 교호조립된 마루, 우드카펫, 천정재, 벽재 등의 인테리어에 활용할 경우 심미감이 월등한 장식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의 단위편을 교호 조립하여 구성된 인테리어용 장식판에 있어서,
    폭에 해당하는 일측 변 길이에 대하여 2배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임의 소재의 판재(1)와;
    상기 판재(1)의 길이에 해당하는 1/2 지점에서 양분되어 적어도 2 이상의 각기 다른 화장수단(3a,3b)을 형성하여 상호 교호 조립하는 것으로 임의의 무늬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2.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의 단위편을 교호 조립하여 구성된 인테리어용 장식판에 있어서,
    폭에 해당하는 일측 변 길이에 대하여 적어도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임의 소재의 판재(1)와;
    상기 판재(1)의 폭 길이에 해당하는 동일한 폭과 상기 폭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각기 다른 화장수단(3a,3b,3c,3d)을 상기 판재(1)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문양을 이루도록 반복 형성하여 장식판(10)을 제공하고, 상기 장식판(10)을 상호 교호 조립하는 것으로 임의의 무늬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수단(3a,3b,3c,3d)은 색상 내지 수종, 문양이 각기 다른 무늬목, 무늬지, 콜크, 천, 직물, 한지, 인쇄, 전사, 염색, 프런트, 실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화장재가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화장재는 동일 유사하되 무늬결 의 방향 내지 색상을 달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10)은 전면 내지 저면에 휨 방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상기 휨 방지수단은 단위편의 폭 방향으로 임의 형상의 마디 홈이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이상 표면에 형성되어 구성된 것, 또는 저면에 부착된 무늬목, 종이, 비닐을 부착하거나 도료코팅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10)은 우드카펫 또는 마루재, 천정재, 벽면 장식재로 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KR20-2004-0005874U 2004-03-02 2004-03-02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KR200350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874U KR200350957Y1 (ko) 2004-03-02 2004-03-02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874U KR200350957Y1 (ko) 2004-03-02 2004-03-02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957Y1 true KR200350957Y1 (ko) 2004-05-22

Family

ID=4943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874U KR200350957Y1 (ko) 2004-03-02 2004-03-02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9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6172A (en) Partitioned fragment in a closed contour
US4164598A (en) Veneer wall covering and method of assembly
RU2007125635A (ru) Комплект панелей для настила пола с линейным рисунком
US20060123731A1 (en) Panel of laminate structure
KR200350957Y1 (ko) 인테리어용 블록 장식판
KR200453792Y1 (ko) 입체 몰딩
JPH09144268A (ja) 建築板
JPH0724403A (ja) 建築用化粧板の塗装方法
RU2593670C1 (ru) Панели отделочные
KR200430184Y1 (ko) 인조 대리석 부분 장식 판재
KR100425955B1 (ko) 인테리어용 몰딩재
KR100400675B1 (ko) 장식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장식판재를 이용한벽면장식 방법
JP3229503U (ja) タイルおよびタイルの組合せセット
JPH0719460U (ja) 建築仕上げ面の構造と化粧板
JP7275512B2 (ja) 化粧材
CN209832830U (zh) 镜像涂装木皮饰面板组合
KR200301732Y1 (ko) 문양이 표현된 건축용 문양합성수지패널
KR20120081727A (ko) 바닥장식재
RU21058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внутренней отделки помещений
RU2752297C2 (ru) Панели, имитирующие доски из натуральной древесины, имеющие специально отделанные кромки
JPH01275856A (ja) 化粧板
US20060037266A1 (en) Tile
JP2022127495A (ja) 化粧部材及び化粧部材の施工構造
JPH0731930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JPH022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