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264Y1 - 삽지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삽지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264Y1
KR200348264Y1 KR20-2004-0001625U KR20040001625U KR200348264Y1 KR 200348264 Y1 KR200348264 Y1 KR 200348264Y1 KR 20040001625 U KR20040001625 U KR 20040001625U KR 200348264 Y1 KR200348264 Y1 KR 200348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writing
ink
instrument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현
Original Assignee
전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우현 filed Critical 전우현
Priority to KR20-2004-0001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264Y1/ko
Priority to PCT/KR2005/000176 priority patent/WO2005068215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다양한 사이즈의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손가락 삽입부의 구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잉크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잉크통과 필기심을 손가락 삽입부 내외부에 일체화시킴으로써, 필기구와 손가락의 연결성이 강화되고 자연상태 그대로의 자유롭고 유연한 필기동작을 지속시킬 수 있는 경량의 삽지식 필기구가 개시된다.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삽지공간을 한정하는 필기구 홀더의 내면상에는 고무재질의 라이닝이 제공되고, 홀더의 상부내경이 하부내경 보다 크며, 홀더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절개부가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된다. 필기구 홀더는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곡선부와 직선부로 구성되며, 이때 곡선부의 중심과 직선부의 중심은 서로 편심을 이룬다. 일정량의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통은 홀더의 내외부에 장착되거나 홀더의 방사상 측벽 자체로도 구성할 수 있다. 잉크통의 하부에는 필기심이 배치되고, 필기구 홀더의 하부 외측에는 필요에 따라 필기구 뚜껑이 탈부착 될 수 있다. 잉크통의 상부에는 통기공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삽지식 필기구{FINGER PEN}
본 고안은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이즈의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손가락 삽입부의 구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잉크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잉크통과 필기심을 손가락 삽입부 내외부에 일체화시킴으로써, 필기구와 손가락의 연결성이 강화되고 자연상태 그대로의 자유롭고 유연한 필기동작을 지속시킬 수 있는 경량의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연필, 볼펜, 만년필 등을 주로 지칭하는 것으로서, 필기구 심과 플라스틱, 철 또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대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필기구는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세 손가락으로 압력을 강하게 주어 파지(握持)하고 손가락과 팔힘을 적절하게 콘트롤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부피가 크거나 무게가 많이 나가서 손가락의 자유로운 동작 및 장시간의 필기를 방해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게다가, 기존의 여러 필기구로서는 필기구를 손에 지닌 채 문서정리, 책장 넘기기, 지우개 사용하기, 자나 콤파스 사용하기 등에 있어서 매우 불편하거나 불가능하였다. 이는 특히 기하학적 작도, 도면작성, 화가의 예술적 활동 등에 있어서 요구되는 다양한 수작업을 번거롭게 하고 혼란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필기구를 개발하기 위한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1990년 4월 3일자로 출원하여 1991년 11월 30일자로 공개된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 10-1991-0018205 호에는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필기구는 필기구 본체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골무형 장치를 별개로 하고 이들 사이를 잉크 중계관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필기구 선단부가 손가락 끝부분과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고 잉크가 저장된 필기구 본체의 하중에 대한 지지가 곤란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1996년 4월 4일자로 출원하여 1997년 11월 10일자로 공개된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1997-57291 호에는 손가락에 끼워쓰는 골무형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골무형 필기구는 다양한 굵기의 손가락에 대한 편의적 고려사항이 없어서 매번 굵기에 맞는 사이즈를 골라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잉크의 저장부위가 필기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서 잉크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1999년 12월 20일자로 출원하여 2000년 3월 9일자로 등록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182840 호에는 골무형 볼펜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골무형 볼펜은 손가락 삽입부와 원호형상의 지지구 그리고 중앙부분에 볼펜심이 위치하는 볼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필기 이외의 작업을 하는 동안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편의 구성이 오히려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결점이 있다.
본 출원인이 전술한 바와 같은 필기구들의 결점을 보완할 목적으로 2001년 6월 7일자로 출원하여 2001년 8월 17일자로 등록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20-0244648 호에는 골무형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골무형 필기구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제 1 골무부재와 손가락의 전방마디가 끼워지는 제 2 골무부재 그리고 필기구심 등을 지지시키는 안내체로 구성되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필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도구의 사용시에도 필기를 겸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 골무형 필기구의 경제성 및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 형상, 구조 및 기능면을 좀더 개선시켜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사이즈의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손가락 삽입부의 구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잉크통 및 필기심을 손가락 삽입부에 일체화시킴으로써, 필기구와 손가락의 연결성이 강화되고 자연상태 그대로의 자유로운 필기동작을 지속시킬 수 있으며 모양이 단순한 경량의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필기구와 손가락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필기구 모양을 단순화한 것이다. 그리하여 기존의 필기구로서는 그 필기구를 손가락으로 힘들게 잡고 매우 정교한 동작으로 손의 작동을 해야 원만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결정적 결함을 갖고 있는데, 본 고안은 이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필기시 상하좌우로 손가락 힘의 강약조절을 해야 한다는 복잡한 필기 요령과 필기자의 중압감, 스트레스를 제거 내지 경감시키고자 한다.
본 고안은 손가락 마디에 필기구를 끼우는 것이고 그 필기구의 크기도 부피나 중량에 있어서 소형을 지향하여 자연적인 상태(즉, 필기구를 지니지 않은 경우)의 손가락의 활발하고 창조적인 운동을 필기구 사용시에도 가급적 유지·보장하려고 한다. 즉, 기존의 필기구가 손가락 크기보다 크거나 무거운 점으로 인해 이를 잡아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림에 있어서 손가락 중심이 아닌 필기구 위주의 수동적인 동작을 강요받은 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자연상태 그대로의 자유로운 동작을 지속시키고 필기행동을 할 때 손에 집중해야 하는 행동제약이 두뇌의 추리작용, 사물의 연상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20,30,40 : 삽지식 필기구 11,21,31,41 : 필기구 홀더
11a,21a,31a,41a : 곡선부 11b,21b,31b,41b : 직선부
11c : 뚜껑 장착부 11d,21d : 걸림턱
11e,21e,31e,41e : 라이닝 12,22,32 : 잉크통
13,23,33,43 : 필기심 14,24,34,44 : 절개부
15,25 : 리세스 16,27 : 암나사부
17,26 : 수나사부 18,28,38 : 통기공
19 : 뚜껑 S1,S2,S3,S4 : 삽지(揷指)공간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람의 손가락 모양에 부합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며, 내면상에는 고무재질의 라이닝이 제공되고, 상부내경이 하부내경 보다 크며, 방사상 외면상에는 절개부가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되고,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삽지공간을 한정하는 필기구 홀더;
상기 필기구 홀더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정량의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통; 그리고
상기 잉크통의 하부에 배치된 필기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삽지식 필기구는 필기심을 보호하도록 필기구 홀더의 하부 외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필기구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기구 홀더는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곡선부와 직선부로 구성되며, 이때 곡선부의 중심과 직선부의 중심은 서로 편심을 이룬다.
상기 잉크통은 필기구 홀더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일체로 장착된다.
이와는 달리, 잉크통은 필기구 홀더의 측벽 자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잉크통의 상부에는 잉크통 내부에 채워진 잉크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에서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필기구 홀더 내부의 삽지공간 내로 검지나 중지를 삽입하여 끼울 수 있고 엄지는 살짝 잡아만 주어도 필기가 가능하다. 따라서, 필기구를 잡는 데 힘이 훨씬 적게 들고, 특히 손가락이나 손의 신경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라도 손쉽게 필기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용량의 잉크통을 필기구 홀더 내외부에 장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우측면도이며, 도 1c는 일부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10)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삽지공간(S1)을 한정하는 필기구 홀더(11), 필기구 홀더(11)의 하부 내면상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하여 배치된 잉크통(12), 잉크통(12)의 하단부에 배치된 필기심(13), 그리고 필기심(13)을 보호하도록 필기구 홀더(11)의 하부 외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필기구 뚜껑(19)을 포함한다.
필기구 홀더(11)는 전체적으로 사람의 손가락에 부합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며, 필기구 홀더(11)의 내면상에는 부드러운 고무재질의 라이닝(11e)이 제공된다. 필기구 홀더(11)의 상부내경(D11)은 필기구 홀더(11)의 하부내경(D12) 보다 크다. 또한, 필기구 홀더(11)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절개부(14)가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된다. 절개부(14)는 사용자의 상대적으로 굵은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필기구 홀더(11)에 탄성을 부여한다.
필기구 홀더(11)는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곡선부(11a)와 직선부(11b)로 구성되는데, 이때 원통형 곡선부(11a)의 중심과 원통형 직선부(11b)의 중심은 서로 편심을 이루게 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10)를 사용하여 필기를 할때, 필기구 홀더(11)의 삽지공간(S1)에 삽입된 손가락이 책상 등과 같은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지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잉크통(12)은 필기구 홀더(11)의 하부 내면상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하여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필기구 홀더(11)의 하부 내측에는 잉크통(12)의 체적에 부합하는 리세스(15)가 형성된다. 이 리세스(15) 내에서 필기구 홀더(11)의 방사상 내면에는 제 1 암나사부(16)가 형성된다.
잉크통(12)은 필기구 홀더(11)의 리세스(15) 내로 나사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잉크통(12)의 방사상 외면에는 제 1 수나사부(17)가 형성된다. 제 1 수나사부(17)는 제 1 암나사부(16)에 대응하며, 잉크통(12)을 필기구 홀더(11)의 리세스(15) 내로 삽입하는 경우에 제 1 암나사부(16)에 나사결합된다. 잉크통(12)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잉크(I)가 채워지며, 잉크통(12)의 상부벽에는 잉크통(12) 내부에 채워진 잉크(I)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18)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잉크통(12)이 필기구 홀더(11)의 리세스(15) 내로 삽입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통기공(18)은 필기구 홀더(11)의 삽지공간(S1)과 연통하게 된다.
잉크통(12)의 필기심(13)은 잉크통(12)의 하부벽에 삽입하여 배치되는데, 이때 잉크통(12) 내에 충전된 잉크(I)와 필기심(13) 사이에는 필기심 지지부재(13a)가 배치된다. 필기심 지지부재(13a)는 필기심(13)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잉크통(12) 내에 충전된 잉크(I)에 의해서 항상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필기심(13)을 통한 잉크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끝으로, 필기구 홀더(11)의 하부 외측에는 필기심(13)을 보호하기 위한 필기구 뚜껑(19)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필기구 홀더(11)의 하부 외측에는 뚜껑 장착부(11c)가 마련된다. 뚜껑 장착부(11c)는 뚜껑(19)의 내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테이퍼지며, 뚜껑 장착부(11c)와 직선부(11b) 사이에는 걸림턱(11d)이 형성된다. 뚜껑(19)은 뚜껑(19)의 내면이 뚜껑 장착부(11c)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필기구 홀더(11)의 하부 외측에 장착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우측면도이며, 도 2c는 일부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2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필기구 홀더(21)에 대한 잉크통(22)의 결착부위가 필기구 홀더(21)의 외부이고 필기심(23)이 뚜껑없이 외부로 노출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에서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10)와 거의 유사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10)와 마찬가지로,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삽지공간(S2)을 한정하는 필기구 홀더(21), 필기구 홀더(21)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하여 배치된 잉크통(22), 그리고 잉크통(22)의 하단부에 배치된 필기심(23)을 포함한다.
필기구 홀더(21)는 전체적으로 사람의 손가락에 부합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며, 필기구 홀더(21)의 내면상에는 부드러운 고무재질의 라이닝(21e)이 제공된다. 필기구 홀더(21)의 상부내경(D21)은 필기구 홀더(21)의 하부내경(D22) 보다 크다. 또한, 필기구 홀더(21)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절개부(24)가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된다. 절개부(24)는 사용자의 상대적으로 굵은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필기구 홀더(21)에 탄성을 부여한다.
필기구 홀더(21)는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곡선부(21a)와 직선부(21b)로 구성되는데, 이때 원통형 곡선부(21a)의 중심과 원통형직선부(21b)의 중심은 서로 편심을 이루게 된다. 이것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삽지식 필기구(20)를 사용하여 필기를 할때, 필기구 홀더(21)의 삽지공간(S2)에 삽입된 손가락이 책상 등과 같은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지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잉크통(22)은 필기구 홀더(21)의 하부 외면상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하여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먼저 필기구 홀더(21)의 하부 내측에는 잉크통(22)의 체적에 부합하는 리세스(25)가 형성되고, 필기구 홀더(21)의 하부 외측에는 잉크통 장착부(21c)가 마련된다. 필기구 홀더(21)의 방사상 외면 상에서 잉크통 장착부(21c)와 직선부(21b) 사이에는 걸림턱(21d)이 형성된다.
잉크통(2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잉크통(12)과는 달리 잉크가 채워져있는 중앙 본체(22a) 및 이러한 중앙 본체(22a)를 필기구 홀더(21)에 장착시키기 위한 결착부(22b)로 구성된다. 잉크통(22)은 중앙 본체(22a)가 필기구 홀더(21)의 리세스(25)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결착부(22b)에 의해 필기구 홀더(21)의 잉크통 장착부(21c)의 방사상 외면상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필기구 홀더(21)의 하부 방사상 외면상에서 걸림턱(21d)에 인접한 직선부(21b)의 방사상 외면 상에는 제 2 수나사부(26)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잉크통(22)의 상부 방사상 내면, 즉 결착부(22b)의 상부 방사상 내면상에는 제 2 암나사부(27)가 형성된다.
잉크통(22)의 중앙 본체(22a)를 필기구 홀더(21)의 리세스(25) 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잉크통(22)의 제 2 암나사부(27)는 필기구 홀더(21)의 제 2 수나사부(26)와 나사결합된다. 잉크통(22)의 중앙 본체(22a) 내부에는 일정량의 잉크(I)가 채워지며, 중앙 본체(22a)의 상부벽에는 중앙 본체(22a) 내부에 채워진 잉크(I)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28)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잉크통(22)의 중앙 본체(22a)가 필기구 홀더(21)의 리세스(25) 내로 삽입되고 결착부(22b)에 의해서 잉크통(22)이 필기구 홀더(21)의 하부 외면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기공(28)은 필기구 홀더(21)의 삽지공간(S2)과 연통하게 된다.
잉크통(22)의 필기심(23)은 잉크통(22)의 중앙 본체(22a)의 하부벽에 삽입하여 배치되는데, 이때 잉크통(22) 내에 충전된 잉크(I)와 필기심(23) 사이에는 필기심 지지부재(23a)가 배치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우측면도이며, 도 3c는 종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30)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삽지공간(S3)을 한정하는 필기구 홀더(31), 필기구 홀더(31)의 하부 외측에 일체로 부착된 잉크통(32), 그리고 잉크통(32)의 하단부에 배치된 필기심(33)을 포함한다.
필기구 홀더(31)는 전체적으로 사람의 손가락에 부합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며, 필기구 홀더(31)의 내면상에는 부드러운 고무재질의 라이닝(31e)이 제공된다. 필기구 홀더(31)의 상부내경(D31)은 필기구 홀더(31)의 하부내경(D32) 보다 크다. 또한, 필기구 홀더(31)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절개부(34)가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된다. 필기구 홀더(31)는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곡선부(31a)와 직선부(31b)로 구성되는데, 이때 원통형 곡선부(31a)의 중심과 원통형 직선부(31b)의 중심은 서로 편심을 이루게 된다. 이것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삽지식 필기구(30)를 사용하여 필기를 할때, 필기구 홀더(31)의 삽지공간(S3)에 삽입된 손가락이 책상 등과 같은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지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30)의 잉크통(32)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실시 예의 잉크통(12,22)과는 달리 잉크저장 용량을 증대시켰다.
이를 위해서 잉크통(32)은 필기구 홀더(31)의 하부 외면상에 일체로 부착된다. 잉크통(32)은 필기구 홀더(31)의 곡선부(31a)와 직선부(31b) 경계위치에서 필기구 홀더(31)의 외벽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부벽(32a), 상부벽(32a)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고 필기구 홀더(31)의 직선부(31b)와 이격된 측벽(32b), 및 측벽(32b)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하방향 연장된 하부벽(32c)을 포함한다. 잉크통(32)의 상부벽(32a)에는 잉크통(32) 내부에 채워진 잉크(I)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38)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하부벽(32c)의 중앙 위치에는 필기심(33)이 배치된다. 필기심(33)은 잉크통(32)의 하부벽(32c) 중앙에 삽입하여 배치되는데, 이때 잉크통(32) 내에 충전된 잉크(I)와 필기심(33) 사이에는 필기심 지지부재(33a)가 배치된다.
도 4a 및 4b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종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40)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삽지공간(S4)을 한정하는 필기구 홀더(41), 및 필기구 홀더(41)의 하단부에 배치된 필기심(43)을 포함한다.
필기구 홀더(41)는 전체적으로 사람의 손가락에 부합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며, 필기구 홀더(41)의 내면상에는 부드러운 고무재질의 라이닝(41e)이 제공된다. 필기구 홀더(41)의 상부내경(D41)은 필기구 홀더(41)의 하부내경(D42) 보다 크다. 또한, 필기구 홀더(41)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절개부(44)가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된다. 필기구 홀더(41)는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곡선부(41a)와 직선부(41b)로 구성되는데, 이때 원통형 곡선부(41a)의 중심과 원통형 직선부(41b)의 중심은 서로 편심을 이루게 된다. 이것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삽지식 필기구(40)를 사용하여 필기를 할때, 필기구 홀더(41)의 삽지공간(S4)에 삽입된 손가락이 책상 등과 같은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지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4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별도의 잉크통을 설치하지 않고 필기구 홀더(41)의 방사상 측벽 내에 잉크(I)를 저장시켰다. 이때, 필기구 홀더(41)의 방사상 측벽은 필기구 홀더(41)의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잉크(I)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측벽 상부의 두께보다 측벽 하부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기구 홀더(41)의 방사상 측벽내에 저장된 잉크(I)는 측벽 내부를 따라서 필기구 홀더(41)의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쪽으로 흐르게 된다. 필기구 홀더(41)의 측벽 상부중 일부는 측벽 내에 채워진 잉크(I)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다.
필기구 홀더(41)의 하단부 중앙 위치에는 필기심(43)이 배치된다. 필기심(43)은 필기구 홀더(41)의 하부벽(41c) 중앙에 삽입하여 배치되는데, 이때 필기구 홀더(41)의 방사상 측벽내에 저장된 잉크(I)와 필기심(43) 사이에는 필기심 지지부재(43a)가 배치된다. 필기구 홀더(41)의 방사상 측벽내에 저장되어 측벽 내부를 따라서 필기구 홀더(41)의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흐르는 잉크(I)는 필기심 지지부재(43a)에 저류된후 필기심(43)의 선단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10,20,30,40)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손가락으로 잡거나 필기구를 잡고 이동하는 것이 간편해진다. 이 삽지식 필기구(10,20,30,40)는 필기구 홀더(41) 내부의 삽지공간(S1,S,S3,S4) 내로 검지나 중지를 삽입하여 끼울 수 있고 엄지는 살짝 잡아만 주어도 필기가 가능하다. 따라서, 필기구를 잡는 데 힘이 훨씬 적게 들고, 특히 손가락이나 손의 신경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라도 손쉽게 필기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필기작업은 오랜 시간의 학교교육과 자기훈련에 의해 터득되는 고난이도의 작업이었다. 그리하여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장애의 유무, 손가락 운동신경 발달정도의 차이는 명필과 악필의 사회적 차별을 낳았고, 악필의 필기자는 문자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문명사회에서 이단아가 되어 큰 고통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세 손가락(엄지, 검지, 중지)에 강한 압력을 주어 필기구를 꽉 붙잡아야 한다는 부담에서 해방될 수 있으므로, 손가락의 자유롭고 기민한 동작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손의 인체공학적 아이디어를 통하여 누구나 필기구 악지와 힘의 조절에 수반된 스트레스를 피할수 있고, 명필·악필의 차별이라는 모순으로부터 벗어나 필기구를 쉽게 잡고 쉽게 쓰도록 함에 초점을 맞추었다.
인간의 두뇌활동은 손이나 발 등 다른 신체부분의 운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발달하지만, 그 반면 다른 신체부분에 많은 힘과 신경이 집중되어야 하는 그 동안에는 두뇌활동이 그 신체동작 이외의 것에 미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필기시 손에 가해져야 하는 힘이 대폭 절감되는만큼 두뇌의 작용은 손의 동작에 대한 컨트롤보다 필기하는 내용에 할애할 수 있고 필기자의 집중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는 이를 사용하면서도 문서정리를 할 수 있고, 지우개, 자, 컴퍼스 등을 함께 사용해야 하는 예술적, 공학적 작업자의 경우에는 그 작업능률이 대폭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사람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고, 상부내경이 하부내경 보다 크며, 일면에는 절개부가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되고, 삽지공간을 한정하는 필기구 홀더;
    상기 필기구 홀더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정량의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통; 그리고
    상기 잉크통의 하부에 배치된 필기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홀더의 내면에는 고무재질의 라이닝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홀더는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곡선부와 직선부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곡선부의 중심과 상기 직선부의 중심은 서로 편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홀더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잉크통의 체적에 부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 내에서 상기 필기구 홀더의 방사상 내면에는 제 1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잉크통의 방사상 외면에는 제 1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잉크통을 상기 필기구 홀더의 상기 리세스 내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수나사부는 상기 제 1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홀더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잉크통의 체적에 부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필기구 홀더의 하부 외측에는 잉크통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필기구 홀더의 방사상 외면 상에서 상기 잉크통 장착부와 상기 직선부 사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잉크통은 잉크가 채워지는 중앙 본체 및 상기 중앙 본체를 상기 필기구 홀더에 장착시키기 위한 결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잉크통은 상기 중앙 본체가 상기 필기구 홀더의 상기 리세스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착부에 의해 상기 잉크통 장착부의 상기 방사상 외면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홀더의 하부 방사상 외면상에서 상기 걸림턱에 인접한 상기 직선부의 방사상 외면 상에는 제 2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착부의 상부 방사상 내면상에는 제 2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잉크통의 상기 중앙 본체를 상기 필기구 홀더의 상기 리세스 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통의 상기 제 2 암나사부는 상기 필기구 홀더의 상기 제 2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홀더의 하부 외면상에는 상기 잉크통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잉크통은 상기 필기구 홀더의 상기 곡선부와 상기 직선부 경계위치에서 상기 필기구 홀더의 외벽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부벽,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직선부와 이격된 측벽,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하방향 연장된 하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8. 제 3 항에 있어서, 필기심을 보호하도록 상기 필기구 홀더의 하부 외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필기구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9. 제 4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통의 상부벽에는 상기 잉크통 내부에 채워진 잉크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통은 상기 필기구 홀더의 속이빈 방사상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기구 홀더의 열린 상부로부터 폐쇄 하부 쪽으로 잉크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측벽 상부의 두께는 상기 측벽 하부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측벽의 상부중 일부는 상기 측벽 내에 채워진 잉크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심은 상기 필기구 홀더의 하부벽 중앙에 삽입하여 배치되고, 상기 필기구 홀더의 방사상 측벽내에 저장된 잉크와 상기 필기심 사이에는 필기심 지지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KR20-2004-0001625U 2004-01-20 2004-01-20 삽지식 필기구 KR200348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25U KR200348264Y1 (ko) 2004-01-20 2004-01-20 삽지식 필기구
PCT/KR2005/000176 WO2005068215A1 (en) 2004-01-20 2005-01-20 Finger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25U KR200348264Y1 (ko) 2004-01-20 2004-01-20 삽지식 필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675A Division KR100572351B1 (ko) 2004-04-22 2004-04-22 삽지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264Y1 true KR200348264Y1 (ko) 2004-04-28

Family

ID=3479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625U KR200348264Y1 (ko) 2004-01-20 2004-01-20 삽지식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48264Y1 (ko)
WO (1) WO2005068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0446A (zh) * 2014-01-06 2015-07-08 何小科 指套笔
CN104760443A (zh) * 2014-01-06 2015-07-08 何小科 新型钢笔
JP6880619B2 (ja) * 2016-09-27 2021-06-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保持部材及び描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8556A (en) * 1987-01-12 1988-04-19 James Brown Finger pen
US5314260A (en) * 1989-03-22 1994-05-24 Jan Andersson Finger pen
US4986682A (en) * 1989-12-19 1991-01-22 Lu Shuenn Chin Retractable finger pen
US5529415A (en) * 1995-03-29 1996-06-25 Bishop; Deborah L. Fingertip pen writer
US5868509A (en) * 1997-02-16 1999-02-09 Crutcher; William C. Holder for a writ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68215A1 (en)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US5785443A (en) Ergonomic snap-fit cartridge pen
US8444339B2 (en) Apparatus having a slidable cap
US5791798A (en)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US5228794A (en)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KR200348264Y1 (ko) 삽지식 필기구
US7484903B2 (en) Stylus holder
JP2007275531A (ja) 回転式収納器
KR100572351B1 (ko) 삽지식 필기구
KR200419520Y1 (ko) 핑거 펜
US5549405A (en) Heel-shaped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US6006693A (en) Bookmark with highlighter pen
KR200441249Y1 (ko) 다목적 필기구
JP3973158B2 (ja) 書写道具構造
KR200261344Y1 (ko) 삽지식 필기구
CN211519038U (zh) 一种人体工学活动铅笔
KR200288240Y1 (ko) 필기구
CN112406373B (zh) 圆规
KR200399099Y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KR200314626Y1 (ko) 다기능 필기구
KR200270387Y1 (ko) 오프너를 겸한 필기구
US6658702B1 (en) Writing implement holder with clip
KR200231670Y1 (ko) 필기구를 이용한 휴대용 세면도구
KR20230043527A (ko) 다중적 기능이 탑재된 지우개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