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749Y1 - 거푸집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749Y1
KR200342749Y1 KR20-2003-0035658U KR20030035658U KR200342749Y1 KR 200342749 Y1 KR200342749 Y1 KR 200342749Y1 KR 20030035658 U KR20030035658 U KR 20030035658U KR 200342749 Y1 KR200342749 Y1 KR 200342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ixing
fixing bar
ba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Priority to KR20-2003-0035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벽체 거푸집의 고정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 고정장치는, 벽체 시공시 내,외벽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내측 및 외측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고정장치로서,
내측 거푸집을 고정하는 내측 고정바와, 이 내측 고정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거푸집을 고정하는 외측 고정바와, 이 외측 고정바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고정바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외측 고정바를 상기 외측 거푸집에서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외측 고정바가 관통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을 외측 거푸집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판에 상기 외측 고정바를 가 고정 상태로 연결하는 잠금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장치{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거푸집의 고정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 2개의 거푸집을 벽체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 즉, 내벽측 및 외벽측 영역에 각각 설치하고 이들의 간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거푸집 고정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2개의 거푸집을 관통하는 자세로 체결되어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내벽측 거푸집을 관통하는 자세로 위치하는 내측 고정바와, 외벽측 거푸집에서 상기 내측 고정바에 대응하는 자세로 관통하여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 외측 고정바와, 상기 내측 및 외측 고정바를 상기 2개의 거푸집 측에 분리 가는하게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측 고정바의 결합측 선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벽측 거푸집을 관통하여 이 거푸집과 이격된 외벽측 거푸집에 대응하는 통상의 자세로 셋팅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고정바는 상기 내측 고정바의 나사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형성된 연결구가 설치되어 이 연결구에 상기 내측 고정바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내측 및 외측 고정바들의 자유단측이 고정핀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 거푸집에 각각 고정되면서 2개의 거푸집이 벽체 시공을 위한 자세로 셋팅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외벽측 거푸집을 관통하여 이격된 2개의 거푸집 사이에 돌출되도록 셋팅되며, 콘크리트 타설 후 벽체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내측 고정바와 체결이 해제됨과 아울러 양생된 벽체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예를들면, 양측단의 직경이 서로 다른 콘(Cone) 모양의 원통체로 제작된다.
상기 2개의 거푸집 즉, 내벽측에 위치하는 거푸집은 유로폼과 같은 기능성 판넬이 사용되고, 상기 외벽측에는 단일의 판넬체에 금속파이프들과 같은 보강체가 결합된 통상의 갱폼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내벽측 및 외벽측 영역에 셋팅된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벽체에서 거푸집을 해체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상기 내측 거푸집 즉, 유로폼은 상기 내측 고정바와 연결된 고정핀을 분리하여 벽체의 내벽면에서 폼들을 각각 분리하면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거푸집 즉, 갱폼은 상기 내측 고정바에 체결된 외측 고정바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갱폼에서 완전 분리한 후 외측 고정바가 분리된 갱폼은 상부층 벽체 시공을 위해 예를들면,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운반장치에 의해 상부층 영역에 그대로 운반되어 상부층에서 벽체 시공을 위한 영역에 다시 셋팅된다.
상기와 같은 내측 및 외측 거푸집의 해체시 상기 유로폼은 건축물의 실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하부층에서 벽체와 함께 천장 슬라브 등이 시공되므로 셋팅된 위치의 특성상 조립된 상태로 수직 운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각 분리하여 이를 다시 상부층 영역으로 운반하는 것이 불가피하고, 상기 갱폼은 건축물의 외측 영역에 셋팅되기 때문에 양생된 벽체의 외벽면에서 완전 분리하지 않고도 조립된 상태로 수직 운반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 고정장치는 거푸집 고정을 위해 체결되는 2개의 고정바가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어 2개의 거푸집을 특정 간격으로만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예를들면, 시공되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거푸집들에 설치하려면 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고정바가 제작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상 만족할 만한 설치 호환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게다가, 상기 외측 고정바는 상기 갱폼과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서 갱폼의 설치 또는 운반시 별도로 보관 및 운반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잦은 분실에 의해 유지보수 등에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고정바와 외측 고정바를 연결하는 연결구는 단일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측 고정바에 고정되므로 벽체 양생 후 콘크리트 등의 압력에의해 벽체 내부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들의 체결을 해제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구를 강제로 분리할 때에 벽체가 파손되어 작업능률은 물론이거니와 시공 품질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 운반 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작업호환성과 거푸집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푸집 고정을 위한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벽체 시공시 내,외벽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내측 및 외측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고정장치로서,
내측 거푸집을 고정하는 내측 고정바와, 이 내측 고정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거푸집을 고정하는 외측 고정바와, 이 외측 고정바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고정바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외측 고정바를 상기 외측 거푸집에서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외측 고정바가 관통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을 외측 거푸집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판에 상기 외측 고정바를 가 고정 상태로 연결하는 잠금구를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가 거푸집에 셋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거푸집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지지수단이 거푸집에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지지수단 잠금구의 록킹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도 3의 잠금구에 의해 외측 고정바가 잠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3의 잠금구에 의해 외측 고정바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벽체 시공을 위해 2개의 거푸집이 고정장치에 의해 셋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2개의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된상태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벽체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13은 12와 같은 거푸집의 해체시 내측 고정바와 외측 고정바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는, 내벽면 영역에 위치하는 내측 거푸집(F1)을 고정하는 내측 고정바(2)와, 이 내측 고정바(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벽면 영역에 위치하는 외측 거푸집(F2)을 고정하는 외측 고정바(4)와, 이 외측 고정바(4)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고정바(2)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6)와, 상기 외측 고정바(4)를 상기 외측 거푸집(F2)에서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 거푸집(F1)과 외측 거푸집(F2)이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의 유로폼과 갱폼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 유로폼과 갱폼은 건축물의 벽체 시공에 널리 사용되는 거푸집들로서, 이들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유로폼은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내벽면을 한정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다수개가 위치하고, 테두리에는 보강 리브들이 형성되어 이 리브들이 핀과 같은 연결부재의 끼움 결합에 의해 조립되는 통상의 내벽용 거푸집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갱폼은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거푸집(F1)에 대응하여 외벽면을 한정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단일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이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금속파이프들이 서로 교차하는 자세로 지지체(10)가 설치된 통상의 외벽용 거푸집 구조이다.
상기 내측 고정바(2)는 일정한 직경을 갖으며 도 4에서와 같은 자세로 상기 내측 거푸집(F1)을 관통한 후 후술하는 외측 고정바(4)에 설치된 연결구(6)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체결될 수 있는 길이 범위내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고정바(2)의 일측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고정핀(12)이 끼움 결합되는 고정홀(14)이 형성되고, 타측단은 후술하는 연결구(6)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4)은 상기 내측 고정바(2)가 상기 내측 거푸집(F1)에 셋팅될 때에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내측 거푸집(F1)의 보강리브 또는 비계형틀 등에 상기 내측 고정바(2)의 자유단 측이 고정핀(12)에 의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측 고정바(2)의 재질은 가벼우면서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외측 고정바(4)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거푸집(F2)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 고정바(2)와 연결된 후 자유단측이 상기 외측 거푸집(F2)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 범위내로 제작된다.
상기 외측 고정바(4)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자유단 측에는 상기 내측 고정바(2)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될 때에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예를들면, 육각볼트머리 모양의 돌기부(18)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 고정바(2)와 외측 고정바(4)가 관통하는 내측 및 외측 거푸집(F1,F2)에는 상기 고정바(2,4)들이 관통할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홀(G)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6)는 도 3에서와 같은 콘 모양의 원기둥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외측 고정바(4)의 고정단측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위치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6)는 상기 외측 고정바(4)의 체결 동작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볼팅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연결구(6)에는 상기 외측 고정바(4)와의 결합부 영역에 도 3에서와 같은 모양의 플랜지(P)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P)가 형성되면, 상기 외측 고정바(4)가 상기 외측 거푸집(F2)의 홀(G)을 관통할 때에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P)가 상기 외측 거푸집(F2)의 홀(G) 영역에서 접촉하여 상기 연결구(6)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6)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연결구(6)의 외주면 전체를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감싸는 캡(20)이 설치된다. 이 캡(20)은 일정한 신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6)의 외주면에서 끼움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6)에 캡(20)이 설치되면, 상기 연결구(6)가 2개의 거푸집 즉, 내측 거푸집(F1)과 외측거푸집(F2) 사이에서 상기 내측 고정바(2)와 외측 고정바(4)를 연결 한 후 상기 내측 거푸집(F1)과 외측 거푸집(F2) 사이에 도 5에서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내측 고정바(2)에서 외측 고정바(4)를 분리할 때에 상기 캡(20)이 상기 연결구(6)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연결구(6)가 양생된 벽체(W)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하여 상기 내측 고정바(2)에서 외측 고정바(4)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연결구(6)에 상기와 같이 캡(20)이 설치되지 않고 단일의 형태로만 제작되면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에 상기 연결구(6)의 외주면에 콘크리트가 달라붙은 상태로 굳게 되므로 상기 내측 고정바(2)에서 상기 외측 고정바(4)를 분리하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다한 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연결구(6) 외주면에 콘크리트가 달라붙은 상태에서 상기 외측 고정바(4)를 강제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구(6)는 물론이거니와 이 연결구(6)가 삽입된 벽체 영역이 파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 고정바(4)는 상기 외측 거푸집(F2)에서 지지수단(8)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러한 지지수단(8)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수단(8)은, 상기 외측 고정바(4)가 관통하는 고정판(22)과, 이 고정판(22)을 외측 거푸집(F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24)와, 상기 고정판(22)에 상기 외측 고정바(4)를 가고정 상태로 연결하는 잠금구(2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22)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도 3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제작되어 상기 외측 거푸집(F2)의 지지체(10)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위치한다.
상기 고정판(22)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고정바(4)가 관통할 수 있는 가이드홀(28)이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뚫려진다.
상기 체결부재(24)는 상기 고정판(22)을 도 3에서와 같이 외측 거푸집(F2)즉, 갱폼의 지지체(10)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U"자 모양의 볼트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체(10)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판(22)의 양측단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24)가 "U"자 모양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지면 상기 지지체(10)에 상기 고정판(22)을 고정할 때에 위치 제한을 받지 않고 상기 지지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하면서 셋팅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체결부재(24)가 "U"자 모양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통상의 "-"자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판(22)과 상기 지지체(10)를 관통하는 자세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22)을 상기 지지체(10)에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잠금구(26)는, 상기 고정판(22)을 관통하는 자세로 위치하는 외측 고정바(4)의 고정 위치를 변화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22)의 가이드홀(28) 영역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0)에 가이드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잠금구(26)에는 상기 고정판(22)의 가이드홀(28)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 고정바(4)를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잠금홀(32)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홀(32)은 도 3에서와 같이 예를들면, 서로 다른 타공 영역을 가지는 2개의 홀(34a,34b)이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연결된 단일의 홈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측 홀(34a) 영역은 상기 외측 고정바(4)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 범위내로 이루어지고, 상부측 홀(34b) 영역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고정바(4)에서 외주면에 파여진 걸림홈(36)에 대응하는 크기 범위내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홈(36)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고정바(4)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고정바(4)의 외주면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한 깊이로 파여져서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구(26)에는 이 잠금구(26)가 상기 고정판(22)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측 고정바(4)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로 멈출 수 있도록 멈춤장치(38)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잠금구(26) 하부 영역에서 볼(ball)과 같은 가압부재(40)가 도면에서와 같이 탄성부재(42)에 탄지되도록 셋팅되어 이 탄성부재(42)의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판(22)의 표면을 가압하는 구조를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멈춤장치(38)는 상기 고정판(22)에서 상기 잠금구(26)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부재(40)가 탄성부재(42)의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판(22)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잠금구(26)가 상기 고정판(22)에서 도 9에서와 같은 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40)는 상기 잠금구(26)에 설치될 때에 상기 고정판(22)에서 상기 잠금구(26)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측 고정바(4)를 잠금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판(22)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 영역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 바람직한 벽체 거푸집의 설치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내측 거푸집(F1)과 외측 거푸집(F2)을 도면에서와 같이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각각 셋팅한 후 이들 내측 거푸집(F1)과 외측 거푸집(F2)이 도면에서와 같이 이격된 자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F1,F2)들에 다음과 같이 거푸집 고정장치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거푸집 고정장치의 체결은 상기와 같이 내측 거푸집(F1)과 외측 거푸집(F2)이 가셋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들 내측 거푸집(2) 및 외측 거푸집(4)에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고정바(2) 및 외측 고정바(4)를 삽입한 후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고정바(4)에 설치된 연결구(6)를 이용하여 상기 내측 고정바(2)와 외측 고정바(4)를 도면에서와 같이 자세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측 거푸집(F2) 즉, 갱폼의 지지체(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지수단(8) 즉, 체결부재(24)에 의해 고정판(22)과 잠금구(26)가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미리 셋팅되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외측 고정바(4)가 상기 고정판(22)을 관통하면서 상기 내측 고정바(2)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상기 내측 고정바(2)와 외측 고정바(4)의 체결이 완료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거푸집(F1)에서 돌출된 내측 고정바(2)의 자유단측고정홀(14)에 고정핀(12)을 체결하여 상기 내측 거푸집(F1)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핀(12)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내측 고정바(2)의 자유단측을 상기 내측 거푸집(F1)의 보강리브 또는 비계형틀 등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고정바(4)는 상기 지지수단(8)의 잠금구(26)를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고정바(4)의 걸림홈(36)에 잠금홀(32)의 상부측 홀(34b) 영역이 끼워지도록 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거푸집(F2)을 상기 외측 고정바(4)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외측 고정바(4)의 고정 위치는 상기 잠금구(26)를 이용하여 상기 외측 고정바(4)에 이격 형성된 걸림홈(36)에 대응하는 범위내로 용이하게 셋팅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크기나 시공되는 벽체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셋팅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고정장치는 시공되는 벽체(W)의 크기나 구조 등에 따라 이에 요구되는 거푸집의 지지 및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한 구조로 다수개가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 고정장치의 체결이 완료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벽체 거푸집(F1,F2)의 셋팅이 모두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 거푸집(F1)과 외측 거푸집(F2)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기간 동안 양생하면 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도 11에서와 같이 벽체(W)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내측 거푸집(F1) 및 외측 거푸집(F2)을 해체하여 시공된 벽체(W) 위에 상부층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내측 거푸집(F1) 및 외측 거푸집(F2)의 해체작업은 먼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거푸집(F1)과 내측 고정바(2)의 선단부에 체결된 고정핀(12)을 분리하여 상기 내측 거푸집(F1)을 벽체(W)의 내벽면에서 분리한다.
이때, 상기 내측 거푸집(F1)이 분리된 벽체(W)의 내벽면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고정바(2)의 자유단이 일정부분 돌출되는데, 이러한 돌출부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해머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돌출 부분을 타격하여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거푸집(F2)은 도 13에서와 같이 외측 고정바(4)를 고정하고 있는 잠금구(26)를 해제시킨 후 이 외측 고정바(4)를 도면에서와 같이 회전시켜서 상기 내측 고정바(2)와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외측 고정바(4)의 분리는 랜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외측 고정바(4)의 선단에 형성된 육각모양의 돌기부(18)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구(6)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벽체(W) 내부에 고정된 내측 고정바(2)와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구(6)의 외주면에는 캡(20)이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상기 연결구(6)의 외주면 전체를 커버함으로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연결구(6) 외주면에 달라붙어서 굳거나 양생시 콘크리트 압력 등에 의해 연결구(6)가 벽체(W)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외측 고정바(4)의 분리시 상기 연결구(6)가 원활하게 회전하여 상기 내측 고정바(2)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내측 고정바(2)에서 분리된 외측 고정바(4)는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거푸집(F2)에서 벽체(W)의 외벽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동시킨 후 상기 잠금부(26)를 다시 록킹시켜서 상기 고정판(22)에 걸려진 상태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외측 고정바(4)의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외측 거푸집(F2) 즉, 갱폼은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운반장치와 연결된 후크(H)를 이용하여 도 12에서와 같이 상부층 벽체 시공을 위치한 영역으로 운반하여 상기한 체결과정과 동일하게 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 외측 고정바(4)는 상기 지지수단(8)에 의해 상기 외측 거푸집(F2)에 고정된 상태로 함께 운반되므로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상부층 영역에서 벽체 거푸집을 설치할 때에도 상기 지지수단(8)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내측 고정바(2)와 체결하면 되므로 이에 따른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의 설치 또는 해체시 고정바와 같은 부품 등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는, 2개의 벽체 거푸집에 대응하는 2개의 고정바로 이루어지고 일측 고정바를 외벽측 거푸집에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져서 벽체 시공시 상기 2개의 고정바가 체결되면서 벽체 거푸집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 고정바가 지지수단에 의해 외벽측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로 타측 고정바와 체결 또는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는 물론이거니와 운반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은 체결부재에 의해 외벽측 거푸집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서 상기 고정바의 위치를 변화 가능하게 고정하는 잠금구로 이루어져서 간단한 구조로 상기 고정바를 외벽측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잠금구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서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고정바와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하는 구조이므로 조작이 용이하고 벽체 시공시 발생되는 물리적인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고정바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고정바를 나사 결합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는 콘 모양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됨과 아울러 외주면 전체를 커버하는 캡이 설치되어 벽체 양생 후 상기 연결구가 벽체 내부에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고정바들의 분리 동작을 용이할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체 표면에서 상기 연결구가 삽입된 영역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질의 시공품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벽체 시공시 내,외벽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내측 및 외측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고정장치로서,
    내측 거푸집을 고정하는 내측 고정바와, 이 내측 고정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거푸집을 고정하는 외측 고정바와, 이 외측 고정바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고정바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외측 고정바를 상기 외측 거푸집에서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외측 고정바가 관통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을 외측 거푸집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판에 상기 외측 고정바를 가 고정 상태로 연결하는 잠금구를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U"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상기 외측 고정바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이 홀은 서로 다른 타공 영역을 2개의 홀이 연결된 단일의 홀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측 고정바의 관통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잠금 또는 해제 동작되는 거푸집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잠금구가 잠금 또는 해제 동작된 상태로 멈추게 하는 멈춤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멈춤장치는, 볼 또는 핀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와, 이 가압부재를 탄성에 의해 가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고정판 또는 잠금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거푸집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콘 모양의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캡이 설치되는 거푸집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일정한 두께로 커버할 수 있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거푸집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고정바에는 상기 잠금구의 홀에 끼워져서 잠금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은 상기 고정바의 관통 방향으로 1개 또는 그 이상이 이격 형성되는 거푸집 고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와 상기 외측 고정바의 결합 영역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는 상기 연결구 및 외측 고정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거푸집에 연결구만 관통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KR20-2003-0035658U 2003-11-14 2003-11-14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42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58U KR200342749Y1 (ko) 2003-11-14 2003-11-14 거푸집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58U KR200342749Y1 (ko) 2003-11-14 2003-11-14 거푸집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749Y1 true KR200342749Y1 (ko) 2004-02-18

Family

ID=4934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658U KR200342749Y1 (ko) 2003-11-14 2003-11-14 거푸집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7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32B1 (ko) 2009-08-25 2009-12-14 남웅건설주식회사 갱폼시스템의 고정장치
KR101310846B1 (ko) * 2011-12-14 2013-09-25 (주)에이원알폼 거푸집용 간격유지 장치
CN114991461A (zh) * 2022-07-19 2022-09-02 四川省第六建筑有限公司 一种应用于现浇墙体的模板加固机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32B1 (ko) 2009-08-25 2009-12-14 남웅건설주식회사 갱폼시스템의 고정장치
KR101310846B1 (ko) * 2011-12-14 2013-09-25 (주)에이원알폼 거푸집용 간격유지 장치
CN114991461A (zh) * 2022-07-19 2022-09-02 四川省第六建筑有限公司 一种应用于现浇墙体的模板加固机构
CN114991461B (zh) * 2022-07-19 2024-04-09 四川省第六建筑有限公司 一种应用于现浇墙体的模板加固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299B1 (ko) 분리형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CN209369051U (zh) 一种混凝土内的预埋装置
KR102105585B1 (ko) 형틀 체결용 너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형틀 체결 장치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0511462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연결장치
KR101899297B1 (ko) 단열재 일체형 외벽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100996578B1 (ko) 거푸집 지지 웨일러
KR100619466B1 (ko)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측면 보강시설
KR20200025633A (ko) 건축물 거푸집 조립구조
KR200426202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90013479A (ko) 가변형 계단 벽면 거푸집
JP4916693B2 (ja) コンクリート壁と断熱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具
KR20090011248U (ko) 개량 거푸집 연결고정장치
KR200370254Y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200400316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金具
KR100446023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0167472Y1 (ko) 거푸집의 판넬 간격유지장치의 체결구
KR200342269Y1 (ko) 거푸집 체결구조
JP3081441U (ja) コンクリート型枠板の締結具
CN216865989U (zh) 一种下脱模预留孔模具
JP2008196137A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用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KR200414986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420412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376965Y1 (ko)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KR101878437B1 (ko) 인버터 타입 맨홀용 성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