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768Y1 - Cot for carrying patient - Google Patents

Cot for carrying pat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768Y1
KR200332768Y1 KR20-2003-0025833U KR20030025833U KR200332768Y1 KR 200332768 Y1 KR200332768 Y1 KR 200332768Y1 KR 20030025833 U KR20030025833 U KR 20030025833U KR 200332768 Y1 KR200332768 Y1 KR 200332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legs
frame
mat
ambu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8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두성
Original Assignee
강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두성 filed Critical 강두성
Priority to KR20-2003-0025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76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76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5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 A61G1/0256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having wheels which support exclusively if stretcher is in low position, e.g. on the folded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가 안착되는 사각틀 형상의 등받이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 및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갖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직립설치된 복수 쌍의 다리와, 상기 각 다리 중 한 쌍의 다리와 상기 하부프레임을 비스듬히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각 보조다리와 상기 한 쌍의 다리 중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절첩시 하부를 향하는 면에 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transport cot having a rectangular frame-like backrest frame and a lower frame on which a mat is seated, and a support frame for folding and supporting the main frame, which is foldably installed under the main frame.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pairs of legs installed upright from the lower frame, and a pair of auxiliary legs connecting the pair of legs and the lower frame at an angle to each other; One side of each of the auxiliary legs and the pair of leg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is mounted on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when folded.

이에 의하여, 앰블런스 내부에 수용시 앰블런스 바닥면과 보조다리와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각각의 손상을 방지하고 앰블런스내로의 수용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또한, 캐스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경사지에서 이송하거나 환자를 안착시킬 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간편한 구조의 안전벨트를 마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안착 및 이송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가능한 베개를 마련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다.Accordingly, by minimizing the friction between the ambulance bottom surface and the auxiliary leg when accommodated in the ambul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each damage and to facilitate the accommodation operation into the ambulance. In addition, by installing a stopper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caster to prevent flow when moving from the slope or seating the patient, and by providing a seat belt of a simple structure for easy use and quick mounting, the patient seating And transfer can be performed easily and safely. And by providing a removable pillow, appropriate precautions can be take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아울러, 캐스터가 통전체로 형성됨으로써, 매트상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는 잇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aster is formed of a current collector, thereby preventing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mat to have the advantage of ensuring safety.

Description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COT FOR CARRYING PATIENT}Extra bed for patient transportation {COT FOR CARRYING PATIENT}

본 고안은,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앰블런스 내부에 수용시 앰블런스 바닥면과 다리와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각각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용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며, 캐스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경사지에서 이송하거나 환자를 안착시킬 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간편한 구조의 안전벨트를 마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와 함께, 착탈가능한 베개를 마련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매트상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a bed for transporting 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by minimizing friction between an ambulance bottom and a leg when accommodated in an ambulance, thereby preventing each damage and facilitating a receiving operation. By installing a stopper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topper to prevent flow when transporting on the slope or seating the patient, and to provide a convenient seat belt for easy use and quick installation, with a removable pillow By providing a proper precauti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and to prevent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mat relates to a patient transport extra bed to ensure safety.

일반적으로 응급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가정이나 사고현장에서 병원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앰블런스에는 간이침대가 실려져 있다.In general, the ambulance is equipped with an extra bed to transport emergency patients to the hospital from the home or accident site.

이러한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눕혀지는 매트(140)와, 매트(140)가 안착되는 본체(110)를 포함하며, 본체(110)는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쌍의 다리(121)를 갖는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다리(121)의 말단부에는 캐스터(125)가 장착되어 간이침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각 다리(121)는 앰블런스에 수용될 때 접혀져 간이침대가 앰블런스에 용이하게 실리게 된다.Such an extra bed for transporting the patient includes a mat 140 on which the patient lies down and a main body 110 on which the mat 140 is seated, and the main body 110 is foldable. It includes a support frame 120 having a plurality of pairs of legs (121). Here, the caster 125 is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each leg 121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extra bed, and each leg 121 is folded when accommodated in the ambulance so that the extra bed is easily loaded on the ambulanc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간이침대는, 캐스터(125)의 회전을 정지시킬 아무런장치도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사지에서 이동할 때뿐만 아니라 평지에서도 환자를 간이침대에 안착시킬 때 간이침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간이침대를 붙잡고 있어야 할 사람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경사지에서 이동시나 환자의 안착시 간이침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By the way, since such a conventional extra bed is not provided with any device to stop the rotation of the caster 125, to prevent the flow of the extra bed when the patient is seated on the extra bed in the flat as well as when moving on the slope. The inconvenience is that you need someone to hold onto an extra b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device that can prevent the flow of the extra bed when moving on the slope or the patient's seating.

또한, 앰블런스에 간이침대가 실릴 때, 다리(121)가 접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다리(121)가 접혀진 상태에서 간이침대가 앰블런스 내부로 미는 동안 앰블런스의 입구나 바닥에는 캐스터(125)가 아닌 다리(121)의 측부가 닿게 된다. 따라서 다리(121)의 앰블런스 바닥과의 마찰로 인해, 앰블런스내에서 간이침대를 이동시키는 작업에는 힘이 많이 들게 되며, 뿐만 아니라, 앰블런스는 물론이고 각 다리(121)에도 손상이 가게 되어 간이침대의 사용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다리(121)가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간이침대를 앰블런스에 실을 때, 앰블런스 바닥면과 간이침대의 다리(121)와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n extra bed is loaded on the ambulance, the legs 121 are configured to be folded, but the legs are not casters 125 at the entrance or the bottom of the ambulance while the extra bed is pushed into the ambulance while the legs 121 are folded. The side of 121 comes in contact. Therefore, due to friction with the floor of the ambulance of the leg 121, the operation of moving the extra bed in the ambulance takes a lot of effort, as well as damage to each leg 121 as well as the ambulance of the extra bed If the use period becomes longer, the legs 121 may be damaged. Therefore, when loading the extra bed in the ambulance,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a way to minimize the friction between the ambulance bottom surface and the leg 121 of the extra bed.

한편, 이러한 간이침대에는 이송중 환자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벨트(141)가 장착되어 있으며, 안전벨트(141)는 환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상체벨트(142)와, 하체를 고정하기 위한 하체벨트(144)를 포함한다. 상체벨트(142)는 어깨끈과 허리끈을 갖는 한 쌍의 벨트부분을 가지며, 환자의 양측에서 잡아당겨 조끼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양 어깨와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체벨트(142)를 설치할 때, 환자의 몸 양측으로 팔을 벌려 환자의 양측에서 벨트부분을 잡아당겨서 중앙영역에서 체결해야 하므로, 상체벨트(142)의 장착작업이 불편하며 장착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체벨트(142)의 장착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빠른 시간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상체벨트(142)의 구조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ra bed is equipped with a seat belt 141, in order to prevent the patient from flowing during the transport, the seat belt 141 is to fix the upper body belt 142 and the lower body to secure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Lower belt 144 for includes. The upper body belt 142 has a pair of belts having a shoulder strap and a waist strap, and is pulled from both sides of the patient to form a vest, thereby covering both shoulders and the waist of the patient. However, when installing the upper body belt 142, because the arms must be opened to both sides of the patient to pull the belt portion from both sides of the patient to fasten in the central area, the mounting work of the upper body belt 142 is inconvenient and the mounting time is relatively inconvenient. It takes a long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upper belt 142 so as to simplify the mounting work of the upper belt 142 and to be mounted in a short time.

이렇게 간이침대를 이용해 이송하는 환자는 그 환우나 병의 정도가 다양하며, 환자에 따라서는 머리를 높게 위치시켜야 하는 환자도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간이침대는 매트(140)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동일하므로, 환자에 따라 머리를 적절한 높이로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 물론, 간이침대는 상체와 하체를 절곡시켜 의자 형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나, 의자형태로 만든다 하더라도 머리를 가누기 위해서는 별도의 베개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간이침대에 환자에 따라 베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베개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tient is transported using an extra bed, the degree of the disease or illness varies, and some patients have to place the head high. However, the current extra bed is the same height of the mat 140 as a whol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ad to the appropriate height according to the patient. Of course, the extra bed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chair by bending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but even if it is made in the form of a chair, a separate pillow is required to cover the hea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detachable pillow in the extra bed so that the pillow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patient.

또한, 환자를 간이침대로 옮겨 매트 상에서 밀거나 끌어당겨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마찰로 인한 정전기가 왕왕 발생되어 환자에게 위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tatic electricity caused by fric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atient to the extra bed to push or pull on the mat there was a problem that harms the patien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앰블런스 내부에 수용시 앰블런스 바닥면과 다리와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각각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용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ra bed for transporting a patient to minimize damage between the ambulance bottom and legs when accommodated inside the ambulance, thereby preventing each damage and facilitating the receiving opera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캐스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경사지에서 이송하거나 환자를 안착시킬 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ra bed for transporting a patient, by providing a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ster, thereby preventing it from flowing when moving on a slope or seating a patien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편한 구조의 안전벨트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ra bed for transporting a patient, by providing a seat belt having a simpl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and quickly mount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착탈가능한 베개를 마련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ra bed for transporting a patient, by providing a removable pillow, so that appropriate precautions can be take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캐스터가 접지기능을 갖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매트상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로부터 환자의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tient transport cot for ensuring that the caster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grounding function to ensure patient safety from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ma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침대 본체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ra bed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간이침대에 매트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t mounted on the extra bed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간이침대를 앰블런스에 싣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loading the extra bed of FIG. 2 into an ambulance;

도 4는 종래의 간이침대에 매트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mat is mounted on a conventional extra b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11 : 등받이프레임10: body 11: back frame

15 : 하부프레임 16 : 이동보조프레임15: lower frame 16: moving auxiliary frame

18 : 보조캐스터 20 : 지지프레임18: auxiliary caster 20: support frame

21a : 제1다리 21b : 제2다리21a: first leg 21b: second leg

23 : 보조다리 25 : 캐스터23: secondary leg 25: caster

26 : 스토퍼 30 : 롤러조립체26: stopper 30: roller assembly

31 : 롤러 32 : 롤러가이드31: roller 32: roller guide

40 : 매트 41 : 안전벨트40: mat 41: seat belt

42 : 상체벨트 42a : 벨트끈42: upper body belt 42a: belt strap

42b : 버클 43 : 베개42b: Buckle 43: Pillow

44 : 하체벨트44: lower belt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매트가 안착되는 사각틀 형상의 등받이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 및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갖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직립설치된 복수 쌍의 다리와, 상기 각 다리 중 한 쌍의 다리와 상기 하부프레임을 비스듬히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각 보조다리와 상기 한 쌍의 다리 중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절첩시 하부를 향하는 면에 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ransporting the patient having a rectangular frame-shaped back frame and the lower frame on which the mat is seated, and a support frame for folding and supporting the main frame to be foldable under the main frame. In the extra bed,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pairs of legs installed upright from the lower frame, a pair of auxiliary legs connecting the pair of legs and the lower frame of the respective legs at an angle; One side of each of the auxiliary legs and the pair of legs is achieved by a patient transport co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is mounted on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side when the support frame is folded.

여기서, 상기 각 다리의 하부에는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스터 중 진행방향의 가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캐스터에는 상기 캐스터의 진행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됨으로써, 간이침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Here, a caster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each leg, and at least one pair of casters positioned horizontally in the traveling direction among the casters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caster,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an extra bed. You can prevent it.

그리고 환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상기 매트의 일측 영역에는 상기 환자의 상체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벨트끈과, 상기 벨트끈의 단부에 버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벨트가 설치됨으로써, 안전벨트의 장착을 간편하게 한다.In addition, a belt strap that crosses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diagonally and at least one seat belt having a buckle at the end of the belt strap are installed in one region of the mat where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positioned, thereby easily installing the seat belt. do.

상기 매트의 일측 단부 영역에는 착탈가능한 베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detachable pillow is mounted at one end area of the mat.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리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는 매트 상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대한 접지기능을 갖는 통전캐스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ter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eg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ductive caster having a grounding function against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ma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ubject innovation.

본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는, 보조다리에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앰블런스에 수용될 때 적은 힘을 들이고도 간편하게 실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앰블런스 바닥과 보조다리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스터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경사지나 평지에서 환자의 안착시 간이침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용 안전벨트 형태의 상체벨트를 마련함으로써, 환자의 이송시 환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매트에 베개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처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patient bed is provided with a roller on the auxiliary leg so that it can be easily loaded with little force when accommodated in the ambula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ambulance bottom and the auxiliary leg. In addition, the stopper is installed on the caster to prevent the extra bed from flowing when the patient is seated on an incline or on a flat surface, and by providing an upper body belt in the form of a vehicle seat belt,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patient when the patient is transported. And by attaching the pillow to the mat detachably,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본 간이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눕혀지는 매트(40)와, 매트(40)가 안착되는 프레임 형태의 본체(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extra bed includes a mat 40 on which a patient lies down, and a main body 10 in a frame form on which the mat 40 is seated.

본체(10)는, 환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등받이 역할을 하며 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내에서 기립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프레임(11)과, 등받이프레임(11)의 외측을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이동보조프레임(16)과, 환자의 하체가 위치하는 하부프레임(15)과, 하부프레임(15)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쌍의 다리를 갖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10 serves as a backrest o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located, and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ackrest frame 11 and the backrest frame 11 installed so as to stand in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ne. 16), a lower frame 15 on which the lower body of the patient is positioned, and a support frame 20 having a plurality of pairs of legs foldably installed under the lower frame 15.

이동보조프레임(16)에는 본체(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연결된 제1연결로드(12)가 설치되어 있고, 제1연결로드(12)와 등받이프레임(11)의 선단부는 제2연결로드(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연결로드(13)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도록 일측이 타측에 수용된 한 쌍의 바아로 형성되며, 각 바아의 연결영역에는 제2연결로드(13)의 길이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레버(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각도조절레버(14)의 작동에 따라 제2연결로드(13)의 길이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등받이프레임(11)과 이동보조프레임(16)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므로 등받이프레임(11)의 기립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moving auxiliary frame 16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rod 12 connect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12 and the front end of the backrest frame 11 are connected to the second. It is connected by the rod 13. The second connecting rod 13 is formed of a pair of bars accommodated on the other side to be stretch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ngle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13 in the connection region of each bar ( 14) is installed.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13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ngle adjustment lever 14, and, according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frame 11 and the auxiliary movement frame 16 is adjusted so that the backrest frame 11 is adjusted. The standing angle of can be adjusted.

여기서, 이동보조프레임(16)은 등받이프레임(11)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고 하향 절곡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의 양측에는 보조캐스터(18)가 장착되어 있다. 이 보조캐스터(18)는 간이침대를 앰블런스에 실을 때, 간이침대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movable auxiliary frame 16 is bent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frame 11, and the auxiliary casters 18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tip portion thereof. The auxiliary caster 18 serves to smooth the movement of the extra bed when loading the extra bed in the ambulance.

한편, 지지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5)의 하부에 직립설치된 두 쌍의 다리를 포함하며, 각 쌍의 다리는 하부프레임(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중, 등받이프레임(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한 한 쌍의 제1다리(21a)의 하단부에는 각각 캐스터(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캐스터(25)에는 캐스터(25)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26)가 설치되어 있고, 캐스터(25)의 일측에는 스토퍼(26)의 작동을 위한 페달이 장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frame 20 includes two pairs of legs upright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5, each pair of leg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15). Among these, casters 25 are provided at lower ends of the pair of first legs 21a positioned relatively spaced from the backrest frame 11, and the casters 25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casters 25. A stopper 26 is provided, and a pedal for operating the stopper 26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ter 25.

이러한 한 쌍의 제1다리(21a)에 인접한 하부프레임(15)으로부터 등받이프레임(11)에 인접하게 위치한 한 쌍의 제2다리(21b)로는 대각선으로 배치된 한 쌍의 보조다리(23)가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제2다리(21b)와 보조다리(23)는 그 단부가 링크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조다리(23)의 단부에는 캐스터(25)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다리(23)의 중앙영역에는 피봇이 형성되어 보조다리(23)가 소정 각도내에서 절첩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다리(23)의 피봇 하부에는 제2다리(21b)를 향한 면에 롤러조립체(30)가 설치되어 있다.From the lower frame 15 adjacent to the pair of first legs 21a to the pair of second legs 21b positioned adjacent to the backrest frame 11, a pair of auxiliary legs 23 arranged diagonally are provided. It is provided, and the pair of second legs 21b and the auxiliary legs 23 are linked at their ends. And the casters 25 are provided at the end of each auxiliary leg 23, the pivot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auxiliary leg 23 so that the auxiliary leg 23 can be fold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The roller assembly 3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leg 23 toward the second leg 21b.

롤러조립체(30)는, 롤러(31)와, 롤러(31)의 단부영역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롤러(31)를 감싸는 긴 통상의 롤러가이드(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간이침대를 앰블런스에 수용시킬 때, 보조다리(23)의 롤러(31)가 앰블런스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간이침대가 보조캐스터(18)와 롤러(31)에 의해 앰블런스의 바닥면에서 원활하게 이동함에 따라 앰블런스 바닥면과 보조다리(23)의 마찰이 방지된다.The roller assembly 30 includes a roller 31 and a long conventional roller guide 32 surrounding the roller 31 so that only the end region of the roller 31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extra bed is accommodated in the ambulance, the roller 31 of the auxiliary leg 23 slide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mbulance, whereby the extra bed is supported by the auxiliary caster 18 and the roller 31 of the ambulance. As the smooth movement on the bottom surface, friction between the ambulance bottom surface and the auxiliary leg 23 is prevented.

이러한 본체(10)에 안착설치되는 매트(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매트(40)에는 환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벨트(41)가 장착되어 있다. 안전벨트(41)는, 상체에 해당되는 영역인 등받이프레임(11) 영역에 설치된 상체벨트(42)와, 하부프레임(15) 영역에 설치된 하체벨트(44)를 포함하며, 상체벨트(42)는 환자의 일측 어깨로부터 타측 허리 영역으로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벨트끈(42a)과, 벨트끈(42a)의 단부에 형성된 버클(42b)에 체결된다. 이러한 상체벨트(42)는 상호 교차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할 수 있으며, 기존의 차량용 안전벨트(41)와 그 구조 및 사용방법이 유사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방법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안전벨트(41)를 체결할 수 있다.The mat 40 seated on the main body 10 is dispos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2, and the mat 40 has a seat belt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patient. (41) is attached. The seat belt 41 includes an upper body belt 42 installed in an area of the backrest frame 11, which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and a lower body belt 44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15, and the upper body belt 42. Is fastened to a belt strap 42a disposed along a diagonal direction from one shoulder of the patient to the other waist region, and a buckle 42b formed at an end of the belt strap 42a. The upper body belt 42 may be provided in pairs to cross each other, and the structure and the method of use of the vehicle seat belt 41 are similar to those of the existing vehicl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method of use and is urgent. In a situation, the seat belt 41 can be fastened easily and quickly.

한편, 이러한 안전벨트(41)가 설치된 매트(40)의 일단부 영역에는 환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베개(43)가 설치되어 있다. 베개(43)의 일측면과 매트(40)의 일단부 영역에는 각각 벨크로 등 착탈을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베개(43)를 착탈가능하도록 한다. 베개(43)는 환자의 병 상태에 따라 머리를 높게 하여야 하는 환자에게 주로 사용되며, 이에 따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세심한 배려를 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이송 중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mat 40, the seat belt 41 is installed is provided with a pillow 43 that can support the head of the patient. One side of the pillow 43 and one end region of the mat 40 are provided with detachable means such as Velcro to detach the pillow 43. The pillow 43 is mainly used for patients whose head is to be raised according to the patient's disease state, and thus can be carefully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thereby preventing the patient's condition from deteriorating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patient.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다리(21a,21b)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25)는 매트(40)상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대한 접지기능을 갖는 통전캐스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ters 25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s of the legs 21a and 21b may be formed as energizing casters having a grounding function against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mat 40.

상기 통전캐스터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에 도전체 분말을 합성하여 형성되며, 매트 상에서 발생된 정전기의 흐름을 지면으로 유도하여 정전기로부터 환자를 안전하게 보호토록 한다.The electrification caster is formed by synthesizing a conductor powder in a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nduces the flow of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mat to the ground to protect the patient from static electricity.

이러한 구성에 의한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extra bed for transporting the patient by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간이침대를 응급환자가 발생한 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환자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제1다리(21a)에 설치된 캐스터(25)의 스토퍼(26)용 페달을 밟아 캐스터(25)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환자를 매트(40) 위에 안착시키기 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베개(43)의 필요 유무를 결정하여 베개(43)를 장착 또는 탈착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환자를 매트(40) 위에 안착시키고, 상체벨트(42)를 대각선을 따라 잡아당겨 다음 버클(42b)에 체결하고, 하체벨트(44)를 체결하여 환자의 유동을 방지한다.When an emergency patient occurs, the extra bed is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emergency patient occurs, and then placed near the patient, and by pressing the pedal for the stopper 26 of the caster 25 installed on the first leg 21a, the caster 25 Limit the movement of. And before seating the patient on the mat 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illow 43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o mount or detach the pillow 43. Then, the patient is seated on the mat 40, the upper belt 42 is pulled along the diagonal to the next buckle 42b, and the lower belt 44 is fastened to prevent the flow of the patient.

이렇게 환자가 안착된 간이침대를 앰블런스까지 이동시킨 다음, 이동보조프레임(16)의 보조캐스터(18) 영역이 앰블런스의 바닥면에 닫도록 간이침대를 배치시키고, 간이침대를 앰블런스 내부를 향해 가압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 및 제2다리(21a,21b)가 등받이프레임(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각 보조다리(23)에 장착된 롤러(31)가 앰블런스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롤러(31)에 의해 보조다리(23)와 앰블런스 바닥면의 마찰을 방지하고, 간이침대의 이송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atient rests the extra bed to the ambulance, and then places the extra bed so that the sub caster 18 area of the movable auxiliary frame 16 closes to the bottom of the ambulance and presses the extra bed toward the inside of the ambulance.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3,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21a, 21b) is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ck frame 11, the roller 31 mounted on each auxiliary leg 23 is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ambulance. As a result, the roller 31 prevents the friction between the auxiliary leg 23 and the bottom of the ambulance, and the transfer of the extra bed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이와 같이, 본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는, 보조다리(23)에 롤러(31)를 설치함으로써, 간이침대를 앰블런스에 실을 때 보조다리(23)와 앰블런스 바닥면, 특히 앰블런스의 입구측 바닥면 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찰로 인한 각 보조다리(23)와 앰블런스 입구측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이침대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patient bed is provided with a roller 31 on the auxiliary leg 23, so that the auxiliary leg 23 and the ambulance bottom surface, especially the bottom surface of the entrance side of the ambulance, when the extra bed is mounted on the ambulance. The friction between the liver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damage to each auxiliary leg 2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mbulance inlet side due to fric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movement of the extra bed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에 반해, 각 다리에 설치된 캐스터(25)에는 스토퍼(26)를 설치함으로써, 경사지에서 이동시나 환자의 안착시 간이침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매트(40)에 설치되는 안전벨트(41)를 간편한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누구나 간편하게 안전벨트(41)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환자의 안착시는 물론 환자의 이송시 간이침대나 환자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자를 보다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매트(40)의 일측에 착탈가능한 베개(43)를 마련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여 환자에게 보다 세심한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a stopper 26 in the casters 25 provided on each le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ra bed from flowing when moving on the slope or when the patient is seated. In addition, by changing the seat belt 41 installed on the mat 40 to a simple structure, anyone can easily mount the seat belt 41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ly prevent the flow of the patient. Accordingly, by preventing an extra bed or the patient from flowing when the patient is seated as well as when the patient is transported, the patient can be transported more safely. In addition, by providing a detachable pillow 43 on one side of the mat 40, it can be used proper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o take more careful precautions to the patient.

그리고, 상기 캐스터(25)가 접지기능을 갖는 통전캐스터로 형성됨으로써 매트상에서 환자를 끌어당길때 빈번히 발생되는 정전기가 지면으로 유도됨으로 정전기로부터의 안전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since the caster 25 is formed of an energizing caster having a grounding function,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equently when the patient is attracted on the mat is induced to the ground, thereby ensuring safety from static electricity.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다리(21a)에 설치된 캐스터(25)에 스토퍼(26)를 설치하였으나, 대신 제2다리(21b)의 캐스터(25)에 스토퍼(26)를 설치할 수도 있고, 제1다리(21a)와 제2다리(21b)에 설치된 캐스터(25) 모두에 스토퍼(26)를 설치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opper 26 is installed on the caster 25 installed on the first leg 21a, but instead, the stopper 26 may be installed on the caster 25 of the second leg 21b. The stopper 26 can also be provided in both the caster 25 provided in the 1st leg 21a and the 2nd leg 21b.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등받이프레임(11) 만이 하부프레임(15)에 대해 기립가능한 간이침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하부프레임(15) 중 다리가 안착되는 영역도 절첩가능한 형태의 간이침대에도 상기 고안들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하부프레임(15) 중 다리가 안착되는 영역을 절첩시키는 경우, 이동시 충격으로 인해 다리 영역이 접힐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영역의 하부에 종래보다 긴 연결링크(35)와, 'ㄴ'자 형상의 보조링크(36)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연결링크(35)의 일단은 하부프레임(15)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보조링크(36)의 절곡된 부분은 하부프레임(15)의 절첩영역에 고정되어 있으며, 보조링크(36)의 내측에는 보조다리(23)에 접촉하는 원통의 돌출부(37)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링크(35)와 보조링크(36)가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ckrest frame 11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extra bed that can stand on the lower frame 15 as an example, but the area where the legs are seated in the lower frame 15 may also be folded. Of course, the above designs can be applied. When folding the area in which the leg is seated in the lower frame 15, the leg area may be folded due to the impact during the movement.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1, a longer link link 35 and a 'b' shaped auxiliary link 36 are provided below the leg region. Here,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35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wer frame 15, the bent portion of the auxiliary link 36 is fixed to the folded region of the lower frame 15, the auxiliary link 36 By forming a cylindrical projection 37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leg 23 in the inner side, the connection link 35 and the auxiliary link 36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folded by an external impac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앰블런스 내부에 수용시 앰블런스 바닥면과 보조다리와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각각의 손상을 방지하고 앰블런스내로의 수용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friction between the ambulance bottom surface and the auxiliary leg when accommodated in the ambul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each damage an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into the ambulance.

또한, 캐스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경사지에서 이송하거나 환자를 안착시킬 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간편한 구조의 안전벨트를 마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안착 및 이송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topper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caster to prevent flow when moving from the slope or seating the patient, and by providing a seat belt of a simple structure for easy use and quick mounting, the patient seating And transfer can be performed easily and safely.

또한, 캐스터가 통전체로 형성됨으로써, 매트상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는 잇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caster is formed of a current collector,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mat to ensure safety.

그리고 착탈가능한 베개를 마련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다.And by providing a removable pillow, appropriate precautions can be take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Claims (5)

매트(40)가 안착되는 사각틀 형상의 등받이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5)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 및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프레임(20)을 갖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에 있어서,Square frame-shaped backrest frame 11 and the lower frame 15 on which the mat 40 is seated, and is provided to be foldable under the main frame and has a support frame 20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main frame. In the extra bed for patient transportation,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하부프레임(15)으로부터 직립설치된 복수의 다리(21a,21b)와, 상기 각 다리(21a,21b) 중 한 쌍의 다리(21a)와 상기 하부프레임(15)을 비스듬히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다리(23)를 포함하며;The support frame 20 includes a plurality of legs 21a and 21b installed upright from the lower frame 15, a pair of legs 21a and each of the lower frames 15 of the legs 21a and 21b. It includes a pair of secondary legs (23) for connecting the at an angle; 상기 각 보조다리(23)와 상기 한 쌍의 다리(21a,21b) 중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절첩시 하부를 향하는 면에 롤러(3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One side of each of the auxiliary leg 23 and the pair of legs (21a, 21b) for transporting the pati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31 is mounted on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side when folding the support frame 20 b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다리(21a,21b)의 하부에는 캐스터(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스터(25) 중 진행방향의 가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캐스터(25)에는 상기 캐스터(25)의 진행을 제한하는 스토퍼(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Casters 25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legs 21a and 21b, and the casters 25 are provided in at least one pair of casters 25 positioned on the same line horizontally in the travel direction among the casters 25. Extra bed for transporting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26 is installed to limit the progress 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환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상기 매트(40)의 일측 영역에는 상체를 대각선으로가로지르는 벨트끈(42a)과, 상기 벨트끈(42a)의 단부에 버클(42b)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벨트(4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At least one seat belt 41 having a belt strap 42a for diagonally crossing the upper body and a buckle 42b at an end of the belt strap 42a in one region of the mat 40 where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located. Extra bed for transporting the patient,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매트(40)의 일측 단부 영역에는 착탈가능한 베개(43)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One side end area of the mat 40, the detachable pillow 4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 bed for transporting the patien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다리(21a,21b)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25)는 매트(40)상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대한 접지기능을 갖는 통전캐스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Caster 25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eg (21a, 21b) is an extra bed for transporting the pati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power supply caster having a grounding function against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mat (40).
KR20-2003-0025833U 2003-08-11 2003-08-11 Cot for carrying patient KR2003327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833U KR200332768Y1 (en) 2003-08-11 2003-08-11 Cot for carrying pat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833U KR200332768Y1 (en) 2003-08-11 2003-08-11 Cot for carrying pat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768Y1 true KR200332768Y1 (en) 2003-11-07

Family

ID=4941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833U KR200332768Y1 (en) 2003-08-11 2003-08-11 Cot for carrying pati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768Y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53B1 (en) 2006-12-05 2007-10-24 강두성 A cot with elevtor for carrying patient
KR101183235B1 (en) * 2010-06-01 2012-09-21 한국원자력연구원 Disk-type periodic wave control instrument
KR101287342B1 (en) * 2011-10-16 2013-07-23 오다형 Assembly device of medical treatment for emergency cases
KR101435160B1 (en) 2014-03-28 2014-08-29 제트스타 주식회사 Multi-functional bed
KR101519055B1 (en) 2013-04-19 2015-05-12 주식회사 오텍 Ambulance Bed With Safety Belt
KR101878410B1 (en) * 2017-04-05 2018-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keeping it horizontal position for stretcher cart
KR101878411B1 (en) * 2017-04-05 2018-08-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tretcher cart for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 and nuclear disaster situation
KR102258182B1 (en) * 2019-12-17 2021-06-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Anti-head drop pillow for rehabilitation patients in tilt table stand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53B1 (en) 2006-12-05 2007-10-24 강두성 A cot with elevtor for carrying patient
KR101183235B1 (en) * 2010-06-01 2012-09-21 한국원자력연구원 Disk-type periodic wave control instrument
KR101287342B1 (en) * 2011-10-16 2013-07-23 오다형 Assembly device of medical treatment for emergency cases
KR101519055B1 (en) 2013-04-19 2015-05-12 주식회사 오텍 Ambulance Bed With Safety Belt
KR101435160B1 (en) 2014-03-28 2014-08-29 제트스타 주식회사 Multi-functional bed
KR101878410B1 (en) * 2017-04-05 2018-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keeping it horizontal position for stretcher cart
KR101878411B1 (en) * 2017-04-05 2018-08-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tretcher cart for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 and nuclear disaster situation
KR102258182B1 (en) * 2019-12-17 2021-06-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Anti-head drop pillow for rehabilitation patients in tilt table sta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5931A (en) Detachable child seat and supporting frame
US8336133B2 (en) Multi-functional patient transfer device
US6488332B1 (en) Traveling seat
US4266305A (en) Wheelchair for transportation vehicles
US3234568A (en) Lifting and transporting sling for persons
US4728119A (en) Travel chair for the elderly and physically handicapped
US20040111798A1 (en) Stretcher
EP0776648A1 (en) Bed for sick or wounded patient
JP4491690B2 (en) stretcher
US20070089242A1 (en) Adjustable transfer device
KR200332768Y1 (en) Cot for carrying patient
KR20020043562A (en) Combination ambulance cot and chair
US20020133881A1 (en) Baby pillow
GB2300845A (en) Apparatus for Assisting the Movement of Disabled Persons
JPH078287B2 (en) Mobile nursing lift
KR101424388B1 (en) Lifting equipment for disabilities vehicle
KR102289619B1 (en) Wheelchair Detachable Type Bed
JPH0620504Y2 (en) Bed equipment
KR101448887B1 (en)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JP4552041B2 (en) Wheelchair device for care
JP2008104813A5 (en)
JP3135405U (en) Simple stretcher
US5903939A (en) Raised frame support for sofa-sleeper
WO2020089604A1 (en) Lifting apparatus
KR101889068B1 (en) Transformable patient trans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