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515Y1 -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 Google Patents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515Y1
KR200325515Y1 KR20-2003-0019500U KR20030019500U KR200325515Y1 KR 200325515 Y1 KR200325515 Y1 KR 200325515Y1 KR 20030019500 U KR20030019500 U KR 20030019500U KR 200325515 Y1 KR200325515 Y1 KR 200325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built
sound
uni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만덕
Original Assignee
기만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만덕 filed Critical 기만덕
Priority to KR20-2003-0019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5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5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현대의 음향전자공학을 이용하여 미세한 음향을 고감도 마이크로폰에 수집하고, 잡음을 여과한 다음에 원음을 증폭하여 본체부에 일체로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적절한 세기의 음향으로 바로 재생함으로써, 튜브와 이어피스(earpiece) 없이 여러 진료인이 신체음을 다같이 청취할 수 있으며, 그립(grip)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한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Wireless stethoscope with a built in speaker}
본 고안은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대의 음향전자공학을 이용하여 미세한 음향을 고감도 마이크로폰에 수집하고, 잡음을 여과한 다음에 원음을 증폭하여 본체부에 일체로 내장 형성된 스피커를 통해 적절한 세기의 음향으로 바로 재생함으로써, 튜브와 이어피스(earpiece) 없이 여러 진료인이 신체음을 청취할 수 있으며, 그립(grip)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한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진기는 인체 내부의 장기 특히, 심장이나 폐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집하여 진료인이 피진료인의 인체 상태를 짐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중요한 의료장비로서, 그 구성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신체음을 모아주는 수집부와, 수집된 신체음을 청취할 수 있는 이어피스(earpiece)와, 상기 수집부 및 이어피스 사이를 음향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튜브(tub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진기는 그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음향의 정확도 및 신뢰도가 피 진료인의 신체 상태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변수인데, 이러한 청진기는 크게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기계식으로 이루어진 청진기는 현재까지도 의료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점차 전자식인 디지털 방식의 청진기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근래에는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진료가 일반화되면서 상기 전자식 청진기가 주목되고 있다.
상기 전자식 청진기는 특허공개번호 제94-80호의 전자 청진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04716호의 휴대용 전자 청진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181469호의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청진기로 제안되어 있으며, 울림판 및 리브에 의해 밀폐되는 청진기의 헤드 내부에 연장된 고무관 내에 마이크로폰을 삽입하여 소리를 수집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한편, 기존의 기계식 또는 전자식 청진기로 청진할 때는 심장음과 호흡음의 미세한 변화 등을 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주변의 다른 사람들이 동시에 청취할 수 없어 소리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이 불가능하며, 이로인해 의사의 주관적 판단이 따르므로 오진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며, 기존의 청진기로 호흡음을 청취할 때 한 위치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흡기와 호기를 청진해야 하는데 여러 위치를 이동하며 청진하는데 있어 시간적 낭비가 많다.
또한, 귀가 잘 들리지 않는 환자와 아이들에게 있어 의사가 호흡음을 청진할 때 인위적 자발호흡의 협조가 되지 않을 경우가 많아 기존의 일반 청진기로는 병을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평상시 호흡만으로 호흡음의 청취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청진기는 튜브와 이어피스를 포함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기존의 방식으로는 단번에 많은 인원을 진료하여야 하는 집단 검진의 경우, 진료인의 귀에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의과대학 실습 등의 단체 교육 시에 개별적으로 진찰하고 판단해야 하므로 청진의 교육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진료 시에 환자 자신의 신체에 대한 알권리를 진료인만이 독점하는 폐단이 있어 현대의 정보공유화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미세한 음향을 고감도 마이크로폰에 수집하고, 잡음을 여과한 다음에 원음을 증폭하여 본체부에 일체로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적절한 세기의 음향으로 바로 재생함으로써, 튜브(tube)와 이어피스(earpiece) 없이 여러 진료인이 신체음을 다같이 청취할 수 있는 한편, 그립(grip)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고, 청진기 내부에 무선송신장치, 파형 디스플레이 윈도우(wave type display window) 등의 부가적인 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며, 피진료인의 청진 이외에 수도누수탐지 등으로 그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의 신체음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집부 20 : 본체부
21 : 마이크로폰 22 : 증폭기
23 : 필터 30 : 출력부
31 : 스피커 40 : 디스플레이부
50 : 스위치부 51 : 볼륨스위치
52 : 파워스위치 60 : 충전단자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인체의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신체음을 수집하는 수집부(10)와;
상기 수집부(10)의 안쪽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수집된 음향 에너지인 음압을 전기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마이크로폰(microphone)(21)과, 상기 마이크로폰(21)을 거친 미약한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증폭기(amplifier)(22)와, 상기 증폭기(22)에서 증폭된 전기음향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하여 보다 명확한 신체음을 추출하는 필터(filter)(23)로 구성된 본체부(20)와;
상기 필터(23)에서 추출된 전기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31)로 이루어진 출력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립(grip)형 구조로 상기 출력부(30)의 스피커(31)가 본체부(20)에 일체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수집부(10)와 출력부(30)는 서로 대칭적으로 이루어진 방사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20)는 그 외측면에 볼륨, 배터리 사용량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40)와, 신체음에 대한 볼륨조절 및 전원의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50)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20)는 그 외측면에 충전 케이스에 꼽아두어 충전 가능하도록 충전단자(60)를 더 포함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백라이트 기능이 부가된 액정디스플레이(LCD)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의 신체음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21), 증폭기(22),필터(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본체부(20)를 구비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실린더(cylinder)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튜브 및 이어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청진기와는 완전히 다른 무선(wireless)구조로 되어 있으며, 스피커(31)가 상기 본체부(20)에 일체로 내장 형성되어 있어 휴대가 간편한, 배터리 충전방식으로 이루어진 그립(grip)형 무선청진기이다.
상기 본체부(20)에는 신체음을 수집하는 수집부(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집부(10)는 인체의 접촉부위에 용이하고 안정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접촉면이 넓은 방사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부(10)와 본체부(20)의 결합은 나사결합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본체부(20)에 내장된 회로구성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수집부(10)의 안쪽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수집된 음향 에너지인 음압을 전기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마이크로폰(microphone)(21)이 구비되어 있는 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의 상기 마이크로폰(21)은 다이아프램(diaphragm) 즉, 진동판의 진동을 전기음향신호로 변환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아프램형은 높은 음조의 소리를 청취하는데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벨(bell)형은 낮은 음조의 소리를 청취하는데 우수한 장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청진기로 구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폰(21)을 거친 미약한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증폭기(amplifier)(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증폭기(22)에서 증폭된 전기음향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하여 보다 명확한 신체음을 추출하는 필터(filter)(2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터(23)에서 추출된 전기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31)로 이루어진 출력부(30)가 상기 수집부(10)의 반대편에 그 수집부(10)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출력부(30)는 상기 수집부(10)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출력된 신체음이 넓게 증폭되도록 방사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바깥쪽에는 철재 그물커버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외측면에는 볼륨, 배터리 사용량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40)와, 신체음에 대한 볼륨조절 및 전원의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50)가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볼륨 및 배터리 사용량 등을 숫자 또는 그래픽 처리를 통하여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으로서, 어두운 곳에서도 잘 보일 수 있도록 백라이트(back-light) 기능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라이트는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 변화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LCD:Liquid Crystal Display)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여기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50)는 진료인이 피진료인의 신체음을 또렷하고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볼륨스위치(51)와, 청진기의 청진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전원을 제어하는 파워스위치(5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륨스위치(51)는 통상, 다이얼식과 버튼식으로 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버튼식으로 구성되어 버튼의 입력신호에 의해 입력된 볼륨신호를 숫자 또는 그래픽 등으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는 배터리 충전방식으로 이루어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전 케이스에 일정시간 동안 꼽아두어 리튬이온이나 니켈카드뮴 등의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케이스의 충전단자와 접속되어지는 무선충전기의 충전단자는 도면부호 60으로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는 작은형태의 그립(grip)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며, 스피커(31)가 청진기 내에 일체로 내장되어 있어 여러사람이 동시에 신체음을 청취할 수 있는 한편, 청진기 내부에 무선송신장치, 파형 디스플레이 윈도우(wave type display window) 등의 부가적인 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며, 피진료인의 청진 이외에 수도누수탐지 등으로 그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새로운 청진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에 의하면, 튜브(tube)와 이어피스(earpiece) 없이 여러 진료인이 신체음을 다같이 청취할 수 있으며, 작은 그립(grip)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체의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신체음을 수집하는 수집부(10)와;
    상기 수집부(10)의 안쪽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수집된 음향 에너지인 음압을 전기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마이크로폰(microphone)(21)과, 상기 마이크로폰(21)을 거친 미약한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증폭기(amplifier)(22)와, 상기 증폭기(22)에서 증폭된 전기음향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하여 보다 명확한 신체음을 추출하는 필터(filter)(23)로 구성된 본체부(20)와;
    상기 필터(23)에서 추출된 전기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31)로 이루어진 출력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립(grip)형 구조로 상기 출력부(30)의 스피커(31)가 본체부(20)에 일체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10)와 출력부(30)는 서로 대칭적으로 이루어진 방사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그 외측면에 볼륨, 배터리 사용량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40)와, 신체음에 대한 볼륨조절 및 전원의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50)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그 외측면에 충전 케이스에 꼽아두어 충전 가능하도록 충전단자(60)를 더 포함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백라이트 기능이 부가된 액정디스플레이(LCD)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KR20-2003-0019500U 2003-06-20 2003-06-20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KR200325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00U KR200325515Y1 (ko) 2003-06-20 2003-06-20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00U KR200325515Y1 (ko) 2003-06-20 2003-06-20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515Y1 true KR200325515Y1 (ko) 2003-09-03

Family

ID=4941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500U KR200325515Y1 (ko) 2003-06-20 2003-06-20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5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394B1 (ko) 2013-06-07 2018-12-24 애플 인크. 데스크톱 전자 디바이스
US10248171B2 (en) 2013-06-07 2019-04-02 Apple Inc. Desktop electronic device
US11899509B2 (en) 2013-06-07 2024-02-13 Apple Inc. Computer housing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394B1 (ko) 2013-06-07 2018-12-24 애플 인크. 데스크톱 전자 디바이스
US10248171B2 (en) 2013-06-07 2019-04-02 Apple Inc. Desktop electronic device
US10254805B2 (en) 2013-06-07 2019-04-09 Apple Inc. Desktop electronic device
US10539984B2 (en) 2013-06-07 2020-01-21 Apple Inc. Computer housing
US10725507B2 (en) 2013-06-07 2020-07-28 Apple Inc. Desktop electronic device
US10845852B2 (en) 2013-06-07 2020-11-24 Apple Inc. Desktop electronic device
US11256307B2 (en) 2013-06-07 2022-02-22 Apple Inc. Desktop electronic device
US11256306B2 (en) 2013-06-07 2022-02-22 Apple Inc. Computer housing
US11650634B2 (en) 2013-06-07 2023-05-16 Apple Inc. Desktop electronic device
US11899509B2 (en) 2013-06-07 2024-02-13 Apple Inc. Computer housing
US11899511B2 (en) 2013-06-07 2024-02-13 Apple Inc. Computer hou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4764C2 (ru) Клейкая накладка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акустических сигналов
KR100339987B1 (ko) 청진기 마우스
EP2314212A1 (en) Aural hear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41455A (ko) 원격진료 청진기
CN204562207U (zh) 一种高度集成的多功能电子听诊器
CN105982692A (zh) 一种宽频带参数监测的多功能听诊器及其实现方法
KR200325515Y1 (ko)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CN111938693A (zh) 一种智能听诊装置
KR100918575B1 (ko) 멀티 생체신호 무선 모니터링시스템
KR19990085828A (ko) 전자 청진기
KR100416402B1 (ko) 휴대용 심폐음 진단장치
CN214387499U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电子听诊器
JPH06105828A (ja) 聴覚検査・訓練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ヘッドホン
KR100669531B1 (ko) 유에스비포트를 이용한 무선 디지털청진기
CN204741568U (zh) 一种声音探测器
CN204744231U (zh) 一种电子体内音采集器
KR20220102231A (ko) 심전도(ecg) 장치 결합 전자청진기
KR200269579Y1 (ko) 휴대용 심폐음 진단장치
JPH0928702A (ja) 電子式聴診装置
CN220876794U (zh) 一种电子听诊器
Singh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digital stethoscope for cardiac murmur
KR20100094042A (ko) 탈부착식 청진부를 이용하는 무선 청진음 전송 전자 청진 장치
KR200177946Y1 (ko) 전자식 청진기
KR20010097170A (ko) 전자 청진기
KR101637830B1 (ko)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