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382Y1 -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382Y1
KR200320382Y1 KR20-2003-0006061U KR20030006061U KR200320382Y1 KR 200320382 Y1 KR200320382 Y1 KR 200320382Y1 KR 20030006061 U KR20030006061 U KR 20030006061U KR 200320382 Y1 KR200320382 Y1 KR 200320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infant
toilet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춘
Original Assignee
임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춘 filed Critical 임동춘
Priority to KR20-2003-0006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 상면의 팔걸이와 전면 하단으로 용변함이 슬라이딩되는 안착홈과 중앙부에 용변구가 구비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팔걸이를 통하여 상기 시트의 후면부와 연결되며, 상단 중앙부에 인체의 경부(脛部)가 놓일 수 있는 목 받침대가 구비된 등받이와; 상기 시트의 양 팔걸이 중 한 팔걸이 외측에 형성된 구동부의 내측면과 일단이 연결되며 그 외주면으로 탄성 수단이 구비되는 제 1축과 상기 구동부가 설치된 팔걸이의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 팔걸이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제 2축이 양측면으로 결합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에 상응하는 수용구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 1축과 제 2축 중 선택되는 한 축의 단면 외주면에 형성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회동부와; 상기 시트와 상기 등받이 사이에서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통하여 상기 등받이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는 유아용 배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배변기는 배변기, 의자로서의 기능은 물론, 유아의 머리를 감긴다거나, 목욕탕에서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이성과 간편성을 추구하였다.

Description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Bowel Evacuator Having Multi-use for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용 배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로 회동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유아용 배변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유아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중앙부에 용변구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전면 또는 후면을 통하여 상기 시트의 저면으로 슬라이딩 착탈 및 결합할 수 있는 용변함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시트 측면으로 상기 시트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는 측판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배변기는 단순히 유아가 배변하기 위한 기능 이외에는 아무런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배변기 외의 기능을 추가하는 많은 배변기가 고안된 바 있다.
특히,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 1996-030392호 및 제 2000-0004424호 등에서는 종래의 유아용 변기에 등받이를 구비한 유아용 의자 변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유아용 의자 변기는 시트와 그 측판 및 시트 후면과 결합하는 등받이가 다수의 결합수단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어 구성이 복잡하여 가정에서 용이하게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고, 단순히 의자용 변기로서만 기능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에서도 큰 어려움 없이 사용 가능한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의자용 변기로서는 물론, 필요에 따라 샴푸용 의자 및 세면대용 발판으로도 사용 가능한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모든 용도를 가지면서도 보관성이 뛰어난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아용 배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용 배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용변함과 덮개가 각각 시트에 안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회동부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등받이가 배면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본 고안이 유아의 머리감기용(샴푸용) 의자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등받이가 시트의 상면으로 완전히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과 같이 등받이가 회동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배변기가 발판으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12 : 팔걸이
16 : 용변구 17 : 안착홈
20 : 등받이 22 : 목 받침대
24 : 요철부 30 : 회동부
32 : 구동부 33 : 제 1축
34 : 제 2축 35 : 회동수단
36 : 수용구 37 : 고정부
40 : 용변함 50 : 덮개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 상면의 팔걸이와 전면 하단으로 용변함이 슬라이딩되는 안착홈과 중앙부에 용변구가 구비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팔걸이를 통하여 상기 시트의 후면부와 연결되며, 상단 중앙부에 인체의 경부(脛部)가 놓일 수 있는 목 받침대가 구비된 등받이와; 상기 시트의 양 팔걸이 중 한 팔걸이 외측에 형성된 구동부의 내측면과 일단이 연결되며 그 외주면으로 탄성 수단이 구비되는 제 1축과 상기 구동부가 설치된 팔걸이의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 팔걸이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제 2축이 양측면으로 결합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에 상응하는 수용구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 1축과 제 2축 중 선택되는 한 축의 단면 외주면에 형성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회동부와; 상기 시트와 상기 등받이 사이에서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통하여 상기 등받이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는 유아용 배변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유아용 배변기의 상기 덮개는 상기 시트의 상면을 전부 커버하며, 그 저면에 상기 시트의 용변홀에 상응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목 받침대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유아용 배변기는 상기 등받이 후면은 요철되어 있고, 상기 시트의 저면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 밑받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배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와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유아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10)와, 상기 시트의 후단부에서 상기 시트(10) 및 상기 시트의 양 측면 상에 형성되는 팔걸이(12)와 결합되는 등받이(20)와, 상기 시트(10) 및 등받이(2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회동부(30, 도 4 참조)와, 상기 시트(10)의 저면으로 슬라이딩되는 용변함(40)과,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덮개(50)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10)는 유아가 착석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그 상면 중앙부에 용변구(16)가 구비되며, 용변함(40)이 상기 시트(10)의 저면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전면 중앙 하단부에 안착홈(1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용변함(40)이 시트(10)의 저면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은 도 3을 통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시트(10)의 양측면상으로는 유아가 상기 시트(10)에 탈석할 경우 팔을 안치할 수 있도록 팔걸이(12)가 구비된다. 통상, 유아용 배변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유아가 탈석할 수 있는 시트의 측면에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측판을 결합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게 되는 경우에는 볼트와 너트, 나사공 또는 봉 등의 결합수단이 포함되게 되어 구성이 복잡하게 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서 상기 팔걸이(12)는 상기 시트(10)의 양측상면에 일체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본 고안의 유아용 배변기 중 팔걸이(12)가 포함된 전체 시트(10)는 몰드 타입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걸이(12) 중 일측의 팔걸이 외측으로는 본 고안의 등받이(20)를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32)가 설치되는 데, 구동부(32)의 조작에 따른 상기등받이(20)의 회동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 도 5a 및 도 5b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32)가 설치되는 일 팔걸이와 대응되는 타 팔걸이의 외측에는 휴지걸이구(19)를 구비하여, 유아가 용변 후에 휴지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용변 습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등받이(20)는 상기 시트(10)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데, 상기 회동부(30) 내의 구동부(32)의 작동을 통하여 시트(10)의 상면 또는 일정한 각도로 전후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등받이(20) 상단 중앙부분에는 목 받침대(22)가 구비됨으로써, 유아의 경부가 놓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목 받침대(22)는 탄력성 또는 쿠션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용변함(40)과 덮개(50)가 각각 시트(10)의 저면과 상면으로 슬라이딩 또는 안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용변함(40)은 상기 시트(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17)을 통하여 상기 시트(10)의 저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용변구(16)의 하단으로 슬라이딩되어 안착,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홈(17)의 내측으로 걸림턱(17a)이 구비되며, 상기 용변함(40)의 상단 측면으로는 상기 걸림턱(17a)의 상면에 올려질 수 있는 걸림단(44)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용변함(40)의 전면에는 손잡이(42)가 구비되어, 상기 용변함(40)이 손쉽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50)는 상기 시트(10)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데,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10)와 완전히 분리되어 용변 전후에 시트(1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용변구(16)를 통하여 상기 시트(10)의 상면으로 안착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덮개(50)가 시트(10)의 상면으로 안착되었을 경우에 의자로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덮개(50)가 상기 (16)의 상면으로 안착되었을 경우 나머지 시트부분과 굴곡이 없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상기 덮개(50)는 팔걸이(12)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시트(10)의 상면을 실질적으로 전부 커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용변구(16)의 내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볼록부(52)가 저면 중앙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미적으로도 유아에게 거부감이 없도록 하고 그 상면에 유아가 탈석하였을 경우에도 불편이 없도록 하였다.
용변 전후에는 상기 덮개(50)를 상기 시트(10)의 제 1홀(16)의 상면에 안착시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용변을 보고자 하는 때에는 덮개(50)를 상기 시트로부터 분리시켜 유아 또는 어린아이도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10)의 일측 팔걸이(12)에는 휴지를 걸 수 있는 휴지걸이구(19)가 설치되는 데, 상기 휴지걸이구(19)를 상기 팔걸이(12)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휴지걸이구(19)의 일단에는 휴지결합봉(19a)이, 상기 팔걸이(12)의 외측면으로는 상기 휴지결합봉(19a)과 대응되는 휴지결합공(12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배변기가 발판이나 샴푸용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아가 휴지걸이에 의하여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상기 휴지결합공(12a)이 형성된 팔걸이(12)의 외측면으로는 휴지걸이구 삽입홈(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휴지걸이구(19)가 상기 삽입홈에 접혀져서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회동부(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5b는 상기 등받이(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회동부(30)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질적인 크기와 무관하도록 도시하였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회동부(30)는 시트(10)의 양 측면상에 형성된 팔걸이 중 일측 팔걸이(12)의 외측면에 설치된 구동부(32)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 1축(33)과 상기 구동부가 설치된 팔걸이에 대응되는 타측 팔걸이의 내면을 관통하는 제 2축(34)과 각각 외측면에서 결합하는 회동수단(35)과, 상기 회동수단(35)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구(36)가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부(37)와 상기 제 1축(33) 및 제 2축(34)중 어느 하나의 축 일단 외주면에 구비되는 탄성수단(38)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수단(36)은 기어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등받이(20)의 측면에는 상기 제 1축(33) 및 제 2축(34)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32)가 구비되는 일측 팔걸이(12)의 외측면으로는 상기 구동부(32)가 삽입될 수 있는 구동홀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상기 구동부(32)와 상기 제 1축(33)의 일 단부는 상기 구동부(32)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35)과 상기 고정부(37)는 상기 구동부(32)의 작동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구(36)를 통하여 서로 치합(齒合)되어 있으므로, 등받이(20)는 상기 시트의 상면과 특정 각도, 예를 들어 시트에 수직인 형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등받이가 특정 각도로 고정된 상태에서 유아의 체중에 따른 하중에 의하여 등받이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상기 제 1축(33), 제 2축(34)은 그 단면이 원형이 아닌 다각형, 예컨대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받이(20)를 전후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2)를 상기 제 1축과 제 2축의 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수단(35)은 상기 고정부(37)의 수용구(36)로부터 해제된다. 이와 같이 회동수단(35)이 상기 수용구(36)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팔걸이(12) 및 상기 등받이(20)의 내면을 관통하는 제 1 축(33), 제 2축(34) 및 이에 연결되는 회동수단(35)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질 수 있어, 상기 등받이(20)는 전후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회동을 위하여 상기 고정부(37)의 양측면에 형성된 수용구(36)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는 회동수단(35)을 채택하여 회동수단의 어느 일부가 아닌 전체적인 범위에 걸쳐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유아의 체중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상기 제 2축(34) 중 상기 회동수단(35)과 연결되지 않는 단부를 내삽시킬 수 있는 걸림홈(39)을 일측 팔걸이(12)의 내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동부(32)가 상기 팔걸이(12)의 내면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가 적절한 위치로 회동된 후에는 상기 구동부(32)의 누름을 중단시키면, 축의 외주면에 설치된 탄성수단(38)에 의하여 상기 제 1축, 제 2축 및 회동수단은 도 5a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회동수단(35)이 상기 고정부(37)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수용구(35)에 내삽됨으로써 그 움직임이 제한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상기 제 1축(33) 및 제 2축(34)은 그 단면이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기 회동수단(35)이 상기 고정부(37)에 삽입된 경우에는 절대로 회동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는 상기 탄성수단(38)이 제 1축(33)의 구동부(32) 인근에 형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 2축의 단부, 즉 상기 걸림구(39) 인근에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탄성수단(38)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32)가 상기 팔걸이의 외측면에 형성된 구동홀(미도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의 일측단에는 걸림단(32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배변기가 유아용 샴푸 의자로 사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30)의 작동을 통하여 등받이(20)를 그 후면으로 적절한 각도로 회동시켜 욕조의 측벽 상면에 기대어질 수 있도록 한 뒤, 유아를 본 고안의 시트(10)에 안착시키면 유아의 머리를 감기는 것과 같은 샴푸용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등받이(20)의 상단 중앙 부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아의 경부가 안착될 수 있는, 쿠션 재질의 목 받침대(22)가 형성되는 데, 상기 목 받침대(22)는 하측으로 요입된 오목한 형상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등받이(20)가 상기 시트(10)의 상면과 둔각을 이룰 수 있도록 후면으로 젖혀지는 경우에는 시트(10)에 탈석한 유아의 두부(頭部)가 자연스럽게 뒤로 젖혀지게 되고 유아의 안면은 전면이 아니라 위쪽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를 돌보는 사람은 위와 같이 젖혀진 유아의 안면을 피해서 비누 또는 샴푸를 유아의 두부에만 묻힐 수 있고, 머리를 감긴 뒤에는 욕조 상측에 형성된 샤워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유아 또는 아동의 머리를 감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등받이(20)의 각도를 따라 뒤로 젖혀지는 유아의 체중으로 인한 하중을 회동부(30)의 회동수단(35)이 감당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회동부(30)는 단순히 기어의 톱니바퀴사이의 일대일 치합이 아니라 등받이(20) 내부 중앙에 부착 결합하는 고정부(37)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구(36)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회동수단(35)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회동부(30), 특히 상기 회동수단(35) 및 이에 치합될 수 있는 고정부(37)는 본 고안의 배변기가 유아의 샴푸용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유아의 체중에 따른 하중부담을 견딜 수 있다.
다만, 샴푸용 의자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20)의 배면 상단을 욕조의 측벽 상단 등에 기댄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체중으로 인한 하중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등받이(20) 배면을 욕조의 측벽에 기댄 상태에서 등받이(20)를 뒤로 젖히고 유아를 눕힌 상태가 되면 유아의 머리를 손쉽게 감길 수 있다. 특히, 머리를 감기는 과정에서 비눗물 또는 샴푸 액 등의 유해물은 욕조의 주변에 설치되는 샤워기를 이용하여 유아의 머리 뒤쪽, 다시 말하면 욕조의 중심부쪽으로 흘려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눗물과 같은 유해물은 유아의 안면이나 전면으로 유입되거나 흘러내리지 않기 때문에,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유아의 머리를감길 수 있다.
도 7은 상기한 회동부(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등받이(20)를 시트(10)의 상면으로 완전히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이와 같은 경우에 본 고안의 배변기가 유아용 발판, 예컨대 세면대 발판으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20)가 시트(10)의 상면으로 완전히 회동된 경우에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팔걸이(20)의 높이와 등받이(20)의 폭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등받이(20)의 후면은 요철(24)형상을 갖는 데, 이는 이와 같이 등받이(20)가 시트 상면으로 완전히 회동된 상태에서 유아용 발판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아가 발판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특히, 유아가 목욕탕의 세면대의 전면에서 이와 같은 발판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목욕탕의 바닥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발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 시트(10)와 일체로 제조되는 시트 저면의 네 모서리(18)의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 받침대(18a)를 구비하였다. 상기 미끄럼 방지 받침대(18a)는 고무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키고, 미끄럼 방지 받침대(18a)와 바닥의 접촉에 의하여 바닥 또는 상기 받침대(18)가 마모를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도 3에서는 본 고안의 덮개(50)가 시트(10)와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기술하였으나, 통상의 좌변기용 덮개와 같이 힌지 결합을 통하여 덮개가 시트의 상면으로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전면 중앙에 상기 덮개를 손쉽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손가락 등으로 상기 손잡이를 걸 수 있는 걸이구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본 고안의 정신을 훼손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후술하는 청구범위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유아용 배변기는 의자로서는 물론, 회동부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샴푸용 의자, 발판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트와 연결되는 등받이를 시트 상면으로 안착시키게 되면 전체적으로 사면체 형상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성이 뛰어나다.
특히, 본 고안의 유아용 배변기는 유아가 탈석하는 시트 및 팔걸이를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양측 상면의 팔걸이와, 전면 하단으로 용변함이 슬라이딩되는 안착홈과, 중앙부에 용변구가 구비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팔걸이를 통하여 상기 시트의 후면부와 연결되며, 상단 중앙부에 인체의 경부(脛部)가 놓일 수 있는 목 받침대가 구비된 등받이와;
    상기 시트의 양 팔걸이 중 한 팔걸이 외측에 형성된 구동부의 내측면과 일단이 연결되는 제 1축과 상기 구동부가 설치된 팔걸이의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 팔걸이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제 2축이 양측면으로 연결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에 상응하는 수용구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 1축과 제 2축 중 선택되는 한 축의 단면 외주면에 형성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회동부와;
    상기 시트와 상기 등받이 사이에서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통하여 상기 등받이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는
    유아용 배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시트의 상면을 전부 커버하며, 그 저면에 상기 시트의 용변홀에 삽입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유아용 배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대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배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후면은 요철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의 저면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 밑받침을 더욱 포함하는
    유아용 배변기.
KR20-2003-0006061U 2003-02-28 2003-02-28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 KR200320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61U KR200320382Y1 (ko) 2003-02-28 2003-02-28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61U KR200320382Y1 (ko) 2003-02-28 2003-02-28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382Y1 true KR200320382Y1 (ko) 2003-07-22

Family

ID=4941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061U KR200320382Y1 (ko) 2003-02-28 2003-02-28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3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46B1 (ko) * 2010-02-01 2013-01-07 안원태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46B1 (ko) * 2010-02-01 2013-01-07 안원태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507433A (ja) 一体構造の便器付き椅子
KR20170088245A (ko) 장애인 또는 노인용 목욕 의자
US5068927A (en) Replacement seat for sanitary chairs
KR200320382Y1 (ko)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
US10660480B1 (en) Adjustable bathtub/shower seat and associated use thereof
KR200399680Y1 (ko) 체중 고정구조를 갖는 반신욕 의자
US20060272085A1 (en) Recreational bath chair
KR101776139B1 (ko) 원터치 스프링탄성판 접이 목욕의자
KR102307381B1 (ko) 유아용 샴푸 의자
KR200374452Y1 (ko) 유아용 샴푸의자
KR200341780Y1 (ko) 누운 자세에서 커트와 샴푸가 가능한 미용샴푸 장치.
JP2003038369A (ja) 移動洗面台
CN105962819B (zh) 沐浴排便椅
KR200415432Y1 (ko) 욕조 받침대
WO2018161189A1 (zh) 可清洗屁股的携带式便盆
KR20060020530A (ko) 샴푸 의자
TWM546788U (zh) 可清洗屁股之攜帶式便盆
KR20180124255A (ko) 욕실용 샴푸의자
AU2020327867B2 (en) A support device for showering or toileting
CN201005591Y (zh) 一种保健座椅
JPH0753585Y2 (ja) 風呂用椅子
JP2000279336A (ja) 腰掛け取り付け式浴槽、並びに浴槽用腰掛け
KR200233921Y1 (ko) 샴푸용 의자
JP4505988B2 (ja) 浴室ユニット
TWI626029B (zh) Portable butt portable bed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