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956Y1 -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956Y1
KR200314956Y1 KR20-2003-0004816U KR20030004816U KR200314956Y1 KR 200314956 Y1 KR200314956 Y1 KR 200314956Y1 KR 20030004816 U KR20030004816 U KR 20030004816U KR 200314956 Y1 KR200314956 Y1 KR 200314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belt conveyor
ground reinforcement
reinforcemen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봉
Original Assignee
최귀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귀봉 filed Critical 최귀봉
Priority to KR20-2003-0004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는, 연약지반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가 중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지반보강재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분산 포설하기 위한 지반보강재 분사장치;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전반부 및 후반부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 상기 벨트 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에 지반보강재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퍼; 및 임의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공급받아 상기 연결호퍼로 공급하는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연약층에 직접 하중을 주지 않고도 지반보강재의 포설이 가능하고, 컨베이어 단부에서 분사 방식으로 모래를 포설하므로 초연약지반에서도 소성변형이나 연약층 밀림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균질한 포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materials for reinforcing the ground for approach of equipments to the soft ground}
본 고안은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처리시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처리에 필요한 장비진입이 불가능할 경우 장비진입을 위한 주행성(trafficability) 확보를 위한 것으로, 접지압이 최소화 되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주행식 벨트 컨베이어 및 지반보강재(모래, 슬래그, 토석 등)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향후 압밀 진행시 사용될 수평배수층 지반보강재를 사전에 균질하게 포설함으로써 지반 강도를 보강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탈수공법에 의해 개량하는 경우 약 50∼150 톤급 정도의 대형 장비를 이용하여 드레인을 박아 지반을 개량하게 되는데, 대상 지반이 해성점성토이거나 해성점성토로 매립된 지역과 같이 초연약지반인 경우 장비 진입이 불가능하여 장비 진입을 위한 사전 조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장비 진입을 위한 사전 조치 방법으로는 현재 주로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방법과 표층 고화 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 토층 상단에 토목 섬유(101)를 깐 후, 그 위에 소형 습지 도저(102)를 이용하여 1회에 약 50cm 정도로 수차례 반복하여 소정의 두께만큼 토사를 포설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연약토층 위에서 소형 도저(102)로 반복 주행하여 토사를 포설함에 따라 도저 중량 및 잦은 반복 주행에 따른 진동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의 변형 또는 연약토층이 밀리게 되며, 따라서 단거리 포설의 작은 면적은 가능하나 비교적 장거리를 포설하는 경우는 연약층의 밀림이 누적됨에 따라 토목섬유 (101)가 터져 복토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토목섬유(101)가 터지지 않더라도 복토층 두께가 균질하게 포설되지 않아 후속 공정인 드레인 타입이 곤란하거나 관입 지연에 따른 지층 연약화로 드레인 장비의 전복의 위험성이 커진다. 뿐만 아니라, 작업 능력이 작은 소형 도저(102)의 사용이 불가피하여 토사 포설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표층 고화 처리방법은 연약토층 상층부의 일정 부분에만 시멘트 등을 주입, 믹싱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우선 공사비가 고가이고, 고화된 지층과 연약토층 간의 토질 특성이 달라 불규칙한 하중 전달로 후속 공정인 하부 연약토층 개량시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접지압이 최소화 되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주행식 벨트 컨베이어와 지반보강재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향후 압밀 진행 시 사용될 수평배수층 지반보강재를 사전에 균질하게 포설하여 지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연약층의 변형 및 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와 그 공급장치에 지반보강재를 원활히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시공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시공 과정에 있어서, 지반의 변형 또는 연약토층의 밀림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의 높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전반부는 상승시키고 후반부는 하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반보강재 분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발췌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의 지반보강재 분사장치의 다수의 회전판 날개를 갖는 수차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 일체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독립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공급호퍼와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된 일체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공급호퍼와 다수의 스크류로 구성된 일체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공급호퍼와 버킷 시스템으로 구성된 일체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실린더로 구성된 공급호퍼 구동 메커니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실린더와 와이어로 구성된 공급호퍼 구동 메커니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벨트 컨베이어 320...지반보강재 분사장치
330...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 340...연결호퍼
350,350'...지반보강재 공급수단 370...고정용 로프
380...벨트 컨베이어 고정용 기둥 390...엔진 및 기름탱크
400...운전실
330a...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용 실린더
330b...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용 힌지
500...지반보강재 운반용 스크류 600...지반보강재 운반용 버켓 시스템
700...공급호퍼 승강용 실린더 800...와이어 로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전초작업으로서 연약지반의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모래, 슬래그, 토석 등의 지반보강재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로서,
연약지반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도가 충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지반보강재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분산 포설하기 위한 지반보강재 분사장치;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전반부 및 후반부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
상기 벨트 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에 지반보강재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퍼; 및
임의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공급받아 상기 연결호퍼로 공급하는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원 고안은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특허/실용 이중출원 (2002.9.10), 출원번호 특허:10-2002-0054534호, 실용:20-2002-0027074호)된 바 있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와 그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당 부분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기출원건과 비교해 볼 때 외부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벨트 컨베이어에 공급해주는 지반보강재 공급수단 부분이 특징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먼저 밝혀 둔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높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전반부는 상승시키고 후반부는 하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는 벨트 컨베이어(310), 지반보강재 분사장치(320),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330), 연결호퍼(340),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참조번호 370은 벨트 컨베이어 고정용 로프, 380은 벨트컨베이어 고정용 기둥, 390은 엔진 및 기름탱크, 400은 운전실을 각각 나타낸다.
벨트 컨베이어(310)는 연약지반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미도시)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도가 충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지반보강재(예를 들면, 모래, 슬래그, 토석 등)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지반보강재 분사장치(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 (310)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310)에 의해 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분산 포설한다. 이와 같은 지반보강재 분사장치(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판 날개(320w)를 갖는 수차구조로 구성된다.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330)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310)의 전반부 및 후반부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31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이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330)은 벨트 컨베이어(310)의 전반부에 설치되어 벨트 컨베이어(310)의 전반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벨트 컨베이어(3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컨베이어 높이 조절용 실린더(330a)와, 벨트 컨베이어 (310)의 후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330a)의 작동에 따라 하나의 지지점 역할을 하면서 벨트 컨베이어(310)가 힌지식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높이 조절용 힌지(330b)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높이 조절용 실린더 (330a)로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호퍼(340)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310) 후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310)에 지반보강재를 공급한다.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은 임의의 운송수단(예컨대, 덤프 트럭)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공급받아 상기 연결호퍼(34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310) 구조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 (310) 구조체와는 별개의 독립구조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일체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은 상기 연결호퍼 (340)의 양측면부에 힌지식의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독립구조체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은 자체 운전에 의해 이동 가능한 하나의 차량체로서, 외부의 운송수단(덤프 트럭)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공급호퍼(351)의 상승 및 하강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벨트 컨베이어(352)와, 공급호퍼 (351)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인계받아 연결호퍼(340)로 공급해주는 슈트(chute)(353)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며, 내부에 엔진 등이 설치되어 있는 몸체부(354)로 구성된다.
도 9a 내지 도 11은 상기 도 7의 일체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의 다양한 구성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운송수단(덤프 트럭)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공급호퍼(351)의 상승 및 하강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352)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0a 및 도 10b에서와 같이, 외부의 운송수단(덤프 트럭)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그 공급호퍼(351) 내부에 횡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지반보강재 운반용 스크류(5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운송수단(덤프 트럭)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다수의 지반보강재 운반용 버켓(bucket)이 무한궤도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버켓 시스템(60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물론 이상과 같은 구성예들은 일체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 8a 및 도 8b의 독립구조체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이상과 같은 일체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의 힌지식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급수단 구동 메커니즘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2에서와 같이, 공급호퍼(351) 하부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실린더(예를 들면, 유압실린더)(700)만을 이용한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전후진 운동하도록 설치된 실린더 (700)와, 그 실린더(700)의 선단부와 상기 공급호퍼(351)의 일측 하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8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공급수단 구동 메커니즘은 일체형 뿐만이 아니라 독립형에도 공히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의 동작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지반 보강 대상의 연약지반에 부등침하 최소화 및 지지력 보강을 위해토목섬유(미도시)를 포설하게 된다. 토목섬유 포설은 현장에서 적정 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봉합하여 포설하되, 그 재질은 상재하중으로 간극 수압이 발생될 시, 연약층 상부에서 즉시 배수될 수 있고, 연약층의 변형과 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투수 능력이 큰 토목섬유를 이용한다.
이렇게 하여 토목섬유의 포설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지반보강재(여기서는 편의상 지반보강재를 모래로 설정하고 설명함)를 포설한다. 즉, 덤프 트럭 등에 의해 운송되어 온 모래가 본 고안 장치에서의 공급호퍼(351)에 적하되면, 벨트 컨베이어(352)나 스크류(500) 또는 버켓 시스템(600)의 작동으로 공급호퍼(351)에 적하되어 있던 모래는 연결호퍼(340)로 공급된다. 그리고, 연결호퍼(340)에 공급된 모래는 다시 벨트 컨베이어(310)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모래는 벨트 컨베이어(31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반보강재 분사장치(320)에 의해 분산되어 투하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모래는 균질하게 포설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벨트 컨베이어 단부가 캔티레버식으로 되어 있어, 일정 거리만큼 연약층에 직접 하중을 주지 않고도 지반보강재의 포설이 가능하고, 컨베이어 단부에서 분사 방식으로 모래를 포설하므로 초연약지반에서도 소성변형이나 연약층 밀림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균질한 포설이 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특히 연약층이 뒤섞이지 않고 연약층 상단의 고결층이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보다 더 소성변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위와 같이 지반보강재의 균질한 포설이 가능하므로, 수평 배수층 유지가 가능하고, 인근 연약층과 비슷하게 침하됨에 따라 압밀도중에 압밀 배수가 용이하여 압밀의 품질관리가 용이하다.

Claims (12)

  1.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전초작업으로서 연약지반의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모래, 슬래그, 토석 등의 지반보강재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로서,
    연약지반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도가 충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지반보강재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분산 포설하기 위한 지반보강재 분사장치;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전반부 및 후반부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
    상기 벨트 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에 지반보강재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퍼; 및
    임의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공급받아 상기 연결호퍼로 공급하는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호퍼(340)의 양측면부에 힌지식의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일체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은 외부의 운송수단(덤프 트럭)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그 공급호퍼 (351)의 상승 및 하강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벨트 컨베이어(35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일체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은 외부의 운송수단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그 공급호퍼(351) 내부에 횡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지반보강재 운반용 스크류(5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일체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은 외부의 운송수단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다수의 지반보강재 운반용 버켓이 무한궤도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버켓 시스템(6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일체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의 힌지식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 메커니즘은 공급호퍼(351) 하부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일체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의 힌지식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 메커니즘은 수직 방향으로 전후진 운동하도록 설치된 실린더(700)와, 그 실린더(700)의 선단부와 상기 공급호퍼(351)의 일측 하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8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는 별개의 독립구조체로 구성되며 자체 운전에 의해 이동 가능한 하나의 차량체로서, 외부의 운송수단(덤프 트럭)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공급호퍼(351)의 상승 및 하강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벨트 컨베이어(352)와, 공급호퍼(351)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인계받아 연결호퍼(340)로 공급해주는 슈트(chute)(353)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며, 내부에 엔진 등이 설치되어 있는 몸체부 (35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독립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은 자체 운전에 의해 이동 가능한 하나의 차량체로서, 외부의 운송수단(덤프 트럭)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그 공급호퍼(351) 내부에 횡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지반보강재 운반용 스크류(500)와, 스크류(500)에 의해 운반된 지반보강재를 인계받아 연결호퍼(340)로 공급해주는 슈트(chute)(353)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며, 내부에 엔진 등이 설치되어 있는 몸체부(35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독립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은 자체 운전에 의해 이동 가능한 하나의 차량체로서, 외부의 운송수단(덤프 트럭)으로부터 지반보강재를 적하받는 공급호퍼(351)와, 공급호퍼(351)에 적하된 지반보강재를 운반하기 위한 다수의 지반보강재 운반용 버켓이 무한궤도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버켓 시스템(600)과, 버켓 시스템(600)에 의해 운반된 지반보강재를 인계받아 연결호퍼(340)로 공급해주는 슈트(chute)(353)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며, 내부에 엔진 등이 설치되어 있는 몸체부(35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독립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의 힌지식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 메커니즘은 공급호퍼(351) 하부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독립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의 힌지식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 메커니즘은 수직 방향으로 전후진 운동하도록 설치된 실린더(700)와, 그 실린더(700)의 선단부와 상기 공급호퍼(351)의 일측 하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8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KR20-2003-0004816U 2003-02-19 2003-02-19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KR200314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816U KR200314956Y1 (ko) 2003-02-19 2003-02-19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816U KR200314956Y1 (ko) 2003-02-19 2003-02-19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956Y1 true KR200314956Y1 (ko) 2003-06-02

Family

ID=4940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816U KR200314956Y1 (ko) 2003-02-19 2003-02-19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9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909B1 (ko) * 2008-05-07 2009-04-02 주식회사 준건설 컨베이어를 이용한 주행식 성토재 포설장비
KR101055299B1 (ko) * 2008-07-28 2011-08-09 주식회사 준건설 성토재 살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909B1 (ko) * 2008-05-07 2009-04-02 주식회사 준건설 컨베이어를 이용한 주행식 성토재 포설장비
KR101055299B1 (ko) * 2008-07-28 2011-08-09 주식회사 준건설 성토재 살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1461A (en) Pipeline padding machine and method
US11168460B1 (en) Self-propelled pavement material placing machine and methods for backfilling micro-trenches
CN110952561A (zh) 一种抛石整平船的工作方法
CN109677864A (zh) 一种移动式皮带传输机及“之”字型土方开挖方法
US6185847B1 (en) Continuous shovel
RU2532311C1 (ru) Комплекс строительный путевой
KR100467174B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KR200314956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US5577808A (en) Quarry miner
KR100750342B1 (ko) 신축 가능한 컨베이어를 이용한 주행식 성토재운반장치 및주행식 성토재운반장치를 이용한 성토방법
KR200296438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KR101962926B1 (ko) 연약지반 보강재 포설 시공방법
KR100898806B1 (ko) 연약지반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시공방법
KR20080105213A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KR200325150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RU21936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US3587825A (en) Jackknife type conveyor for reclaiming material
KR100423384B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 강도 보강방법 및 그장치
KR200427979Y1 (ko) 신축 가능한 컨베이어를 이용한 주행식 성토재운반장치
JPS5922846B2 (ja) ダム建設工事におけるコンクリ−トの打設方法及びその装置
CN206737012U (zh) 带搅拌机构的挖掘机
KR200247018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 강도 보강장치
JP2015086623A (ja) 疎水材投入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疎水材充填方法
US112550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building a new ballastway for a rail line
KR100550674B1 (ko) 이동분사식 벨트컨베이어 장비 및 왕복이동식 분사 및전달장치가 장착된 벨트컨베이어에 의한 연약지반의복토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