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273Y1 -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273Y1
KR200314273Y1 KR20-2003-0006003U KR20030006003U KR200314273Y1 KR 200314273 Y1 KR200314273 Y1 KR 200314273Y1 KR 20030006003 U KR20030006003 U KR 20030006003U KR 200314273 Y1 KR200314273 Y1 KR 200314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ctenna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frequenc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0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대환
Original Assignee
(주)이노트론
배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트론, 배대환 filed Critical (주)이노트론
Priority to KR20-2003-0006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27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273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02J50/27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ceiving antennas, e.g. rec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02J50/23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tting antennas, e.g. directional array antennas or Yagi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공중파 중계기(휴대폰 기지국, TV방송중계국, 인공위성)를 전기 에너지의 송신부로 하고 이동통신기기 및 전자 및 전기기기를 수신부로 구성한 무선 충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배열 렉테나를 이용한 것으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소정 전력의 전파를 방사하는 송신부와, 상기 공중 전파되는 고주파 전력을 렉테나에 의해 수신하여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전력 변환부 및 상기 직류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전압안정화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충전 시스템은, 공중파 중계기 등과 같은 송신기의 배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고주파 전력을 배열 렉테나로 수신하고, 정류 및 필터링하여 정전압으로 안정화시켜 배터리 전극 연결자로 제공함으로써 파워코드 등에 의한 길이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In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 rectenna,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 which an air repeater (mobile phone base station, TV broadcasting relay station, satellite) is used as a transmitter for electric energy,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n electronic and electrical device are configured as receivers.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es an array rectenna, and includes a transmitter for radiating a radio wave of a predetermined power through an antenna array, and a direct current receiving the high frequency power propagated by the air by the rectenna and converting the radio frequency into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And a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stabilizing and outputting the power converter and the DC voltage to a constant voltage.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high frequency power radiated from the array antenna of the transmitter such as an air repeater using the array rectenna, rectifies and filters the voltage to stabilize the constant voltage, and provides the battery electrode connector with the length of the power cord. It is not restricted.

Description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본 고안은 전원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하여 충전지에 전압·전류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har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voltage and current in a rechargeable battery using a rectenna.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 전화기(radio portable telephone),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휴대용 캠코더(portable camcorder)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등은 배터리(battery)에 충전된 전압을 동력원(power source)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축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축전지에 전압·전류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charging system)가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충전장치는 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Typically, portable terminals such as radio portable tele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camcorders, and the like are used as a power source using a voltage charged in a battery. I use it. As the battery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rechargeable battery is used. Therefore, 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and the voltage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charging system (charging system) is required. Such charging device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가장 널리 보급된 충전시스템은 상용전압(AC 110VAC~220VAC)을 희망하는 전압레벨로 다운시켜 전파정류하고, 상기 전파정류된 전압을 축전지에 공급하여 충전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충전시스템은 전파정류된 직류전압의 출력단자와 배터리의 단자들을 직접적으로 접촉(connection)하여 충전기의 전압·전류가 배터리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most widely used charging system is a method of full-wave rectification by lowering the commercial voltage (AC 110VAC ~ 220VAC) to the desired voltage level, and supplying the full-wave rectified voltage to the storage battery to charge. The charging system is configured to directly connect the output terminal of full-wave rectified DC voltage and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so that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charger are supplied to the battery.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 참조부호 12는 상용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파워코드(power code)이고, 14는 상기 파워코드 12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전압 강하시킨 후 정류하여 직류전압을 발생시키는 충전기이다. 상기 충전기 14에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의 양전극과 음전극이 접촉시키기 위한 전극 연결자(electrode connector) 16들을 갖는다. 참조번호 18은 축전이 가능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전류에 의해 동작되는 휴대용 단말기이다. 도면에서는 휴대용단말기를 이동통신전화기의 예를 들어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18의 뒷면(back plan)에 결합되어진 배터리의 전극이 상기 충전기 14의 전극연결자 16들에 결합되면,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충전기 14에서 소정의 레벨로 다운되어 전파정류된 직류전압이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어 배터리에 전류를 충전하게 된다.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harging system made by a conventional technology.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power code for inputting commercial power, and 14 denotes a DC voltage by rectifying after dropping the commercial AC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code 12 to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It's a charger. The charger 14 has electrode connectors 16 for contac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Reference numeral 18 is a portable terminal operated by voltage and current supplied from a battery capable of storing electricity. In the figure, a portable terminal is shown as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When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coupled to the back plan of the portable terminal 18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electrode connectors 16 of the charger 14, the DC voltage down to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charger 14, as is well known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battery to charge current.

그러나, 상기 도 1 및 도 2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충전 시스템은 충전기의 파워코드 12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전원콘센트와 충전기간의 거리 제약을 받는 문제가 발생하여 충전하는 시간동안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용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충전기 14의 전극연결자 16들과 휴대용 단말기 18의 전극간의 접촉 불량이 야기되어 전력손실을 초래하며, 이러한 이유에 의한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ich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 and 2, has a problem in which the length of the power cord 12 of the charger is limi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outlet and the charger may occur, and thus the charging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occur. It becomes difficult to use. In addition, a poor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 connector 16 of the charger 14 and the electr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8 is caused to cause a power loss, there was a problem that a failure by this reason occurs.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 중, 충전기 14의 전극연결자 16들과 휴대용 단말기 18의 전극간의 접촉 불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충전시스템의 전압단자와 배터리의 전극을 비접촉 상태로 충전하는 자기 유도 결합 방식과, 비방사유전체(NRD : Non Radiative Dielectric Wave Guide tech)이론을 응용한 비접촉 충전 시스템이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면 하기와 같다.Among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improve the poor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 connector 16 of the charger 14 and the electr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8, the magnetic induction coupling method of charging the voltage terminal of the charging system and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in a non-contact state, and non-radiation There is a non-contact charging system that applies the whole theory (NRD: Non Radiative Dielectric Wave Guide tech).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종래의 또다른 기술에 의한 충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의 구성과 다른 점은 충전기 14와 휴대용 단말기 18들 각각에는 전극 연결자 16들과 전극을 접촉하는 접점부분이 없다는 점이고, 충전기 14와 휴대용 단말기 18의 배터리간의 전압 충전은 자기 유도 결합 또는 비방사 유전체 이론에 의한 무선 충전을 한다는 점이다.3 briefly shows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1 and 2, the charger 14 and the portable terminal 18 each have no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electrode connectors 16 and the electrode, and the voltage charging between the battery of the charger 14 and the portable terminal 18 is magnetic inductively coupled. Or wireless charging based on non-radiative dielectric theory.

그러나, 자기 유도 결합에 의한 비접촉 결합 충전 시스템은 트랜스포머(transformer)들의 자유 유도 결합에 의해 전압을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것으로 송신기와 수신기간의 유도 결합 거리에 제한에 대한 문제와 부피가 크고 전력 소모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주파 대역에서 전기의 성질이 변하는 비방사유전체(NRD) 이론을 응용한 무선충전방식은 30 GHz이상의 고주파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공중파중계기에 설치할 경우 경제적인 부담과 공간 매질변화(비, 안개, 수증기에 의한)에 따른 전력 손실이 야기되므로 환경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non-contact coupled charging system by magnetic induction coupling charges the battery by the free inductive coupling of the transformers, thereby limiting the inductive coupling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the bulky and power consumption.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non-radiative dielectric (NRD) theory that changes the properties of electricity in the high frequency band uses a high frequency of 30 GHz or more, so when installed in the existing air repeater, the economic burden and space medium change (rain, fog, Power loss caused by water vapor) causes a lot of environmental restriction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간을 매체로 한 전력의 이동 시 환경 변화(비, 안개, 수증기 등)에 따른 전력 송신 장해를 최소화하여 원격지에서 방사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minimize the power transmission obstacles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rain, fog, water vapor, etc.) during the movement of power in space, radio waves radiated from a remote lo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receiving a battery and charging the battery.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렉테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방사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a battery by receiving a radio wave radiated from a remote place using a rectenn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소정 전력의 전파를 방사하는 송신부와, 상기 공중 전파되는 고주파 전력을 렉테나에 의해 수신하여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전력 변환부 및 상기직류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전압안정화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ransmission unit for radiating a radio wave of a predetermined power through an antenna array, and a direct current power to receive the high-frequency power propagated by air through a rectenna to convert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to output And a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stabilizing and outputting the converter and the DC voltage to a constant voltage.

상기 고주파전력을 송신하는 송신기는 공중파 중계기에서 송신하는 기본 송신시스템을 그대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부가 장비가 필요 없게된다. 또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변조장치 및 신호의 품질을 논의하지 않는다. 다만 송신하고자하는 고주파전력의 효율을 위하여 송신안테나의 구성은 배열 안테나(antenna array)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high frequency power can be used by adopting a basic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d from an air repeater. Therefore, no additional equipment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transmit data,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scuss the quality of a separate modulator and signal. However, for the efficiency of the high frequency power to be transmitted,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antenna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antenna array.

수신부에 해당하는 상기 직류전력 변환부는 송신기의 배열 안테나로부터 방사된 고주파전력을 수신하는 수신용 배열 렉테나; 상기 수신용 배열 렉테나에서 수신된 고주파전력을 직류화하는 RF정류기; 평활회로 및 부하에서 발생되는 교류분(ripple) 및 전도성 전자파장해를 억제하기 위한 RF블로킹 필터(blocking filter)와; 상기 RF정류기에서 반파 또는 전파로 정류된 고주파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바꾸기 위한 평활회로와; 상기 직류전력을 배터리 충전용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상기 전압안정화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C power convert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unit receiving array rectenna for receiving the high frequency power radiated from the array antenna of the transmitter; An RF rectifier for directing the high frequency power received by the receiving array rectenna; An RF blocking filter for suppressing alternating ripples and condu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generated in the smoothing circuit and the load; A smoothing circuit for converting the high frequency power rectified by the half wave or the electric wave into the DC voltage in the RF rectifier; And a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converting the DC power into a battery charging voltage.

또한 상기 고주파전력 송신기는 공중파 중계기에서 정보 및 방송신호의 전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frequency power transmitter may use the power of information and broadcast signals in the air repe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충전 시스템은, 공중파 중계기 등과 같은 송신기의 배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고주파 전력을 배열 렉테나로 수신하고, 정류 및 필터링하여 정전압으로 안정화시켜 배터리 전극 연결자로 제공함으로써 파워코드 등에 의한 길이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high frequency power radiated from the array antenna of the transmitter such as an air repeater using the array rectenna, rectifies and filters the voltage to stabilize the constant voltage, and provides the battery electrode connector with the length of the power cord. It is not restricted.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의 또다른 기술에 의한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타나낸 도면.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 rectenn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배열 렉테나를 이용한 직류 전압 변환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C voltage converter using an array rectenna among the components of FIG. 4.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하기의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며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하며, 이들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본 고안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공용에 대한 기술적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to sufficiently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embodiments ar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publicly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충전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고주파 전력 송신부 20은 디지털 정보 혹은 아날로그 정보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정보를 전력증폭된 고주파전력을 최종 출력 노드에 접속된 배열안테나 22를 통해 공간으로 방사한다. 이때, 상기 고주파 전력 송신부 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는 변조되지 않은 정보일 수 도 있음에 유의 유의하여야 한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 rectenna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frequency power transmitter 20 shown in FIG. 1 modulates digital information or analog information, and radiates the modulated information into space through an array antenna 22 connected to the final output node.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igh frequency power transmitter 20 may be unmodulated information.

상기 고주파 전력 송신부 20은 공중파 중계기,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 cellular mobile radio system)의 중계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공중파 중계기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 공간으로 방사되는 고주파전력의 효율 증대를 위하여 안테나는 도 5와 같이 배열 안테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gh frequency power transmitter 20 may use an air repeater, for example, a repeater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 cellular mobile radio system (CDMA). When using an air repeater as it is, the antenna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n array antenna as shown in Figure 5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high frequency power radiated into the space.

상기 고주파 전력 송신부 20의 배열 안테나 22로부터 방사되는 고주파 전력은 공간상에서 이격되어진 원격지의 휴대용 단말기(도시하지 않았음)에 내장되어 수신기에 연결된 배열 렉테나 24로 수신되어진다.The high frequency power radiated from the array antenna 22 of the high frequency power transmitter 20 is received in an array rectenna 24 embedded in a remote portable terminal (not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a receiver.

상기 배열 렉테나 24는 수신된 고주파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직류전압을 필터링하여 그에 포함된 고주파 및 불요파 성분을 제어하여 전압안정화회로 26으로 공급한다.The array rectenna 24 rectifies and converts the received high frequency power into a DC voltage, filters the converted DC voltage, controls the high frequency and unwanted components included therein, and supplies the same to 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26.

상기 전압 안정화 회로 26은 상기 정류되어 평활된 직류전압의 레벨을 정전압으로 안정화시켜 출력노드에 연결된 충전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 28의 전극으로 공급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 28을 충전한다.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26 stabilizes the level of the rectified and smoothed DC voltage to a constant voltage and supplies it to an electrode of a rechargeable battery 28 connected to an output node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28.

상기한 바와 같이, 공중파 중계기로 구성되는 고주파 전력 송신기 20가 배열 안테나 22를 통해 공중으로 고주파 전력을 방사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탑재(혹은 내장, 설치)된 배열 렉테나 14가 고주파 전력을 수신하여 직류전압을 검파(정류) 및 필터링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압안정화회로 26로 공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충전배터리 28에 전압이 충전되게 됨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igh frequency power transmitter 20 constituted by the air repeater radiates high frequency power into the air through the array antenna 22, the array recta 14 mounted in (or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high frequency power. By detecting (filtering) and filtering the DC voltage, the DC voltage is converted into the DC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26, and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is charged in the charging battery 28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도 4의 구성에서는 충전 배터리 28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충전 배터리 28의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전압안정화회로 26의 출력을 "온/오프"스위칭하여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회로가 추가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 4,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over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28 is not illustrated, but detecting the voltage level of the rechargeable battery 28 to switch on / off the output of 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26 to prevent overcharging of the battery.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overcharge protection circuits may be added.

상기와 같은 동작은 수신기, 즉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어지는 배열렉테나 24, 전압안정화회로 26 및 충전배터리 28들간의 상세한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하기 도 5의 동작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Such an opera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FIG. 5 below, which shows a detailed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array rectifier 24, 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26, and the rechargeable batteries 28, which are built into the receiver, i.e., the portable terminal. .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배열 렉테나를 이용한 직류 전압 변환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열 렉테나 2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렉테나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렉테나는 이격된 두개의 안테나 31과 33의 사이에는 고주파 전력을 정류하기 위한 쇼트키 다이오드 30의 애노드와 캐소드가 접속되며,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 30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는 리플(ripple) 및 전도성 전자파 장해를 억제하기 위한 RF 블록킹 필터 32와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 30에서 반파 혹은 전파 정류된 고주파 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평활회로 34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이때, 다수의 렉테나들은 하나 이상의 컬럼(column)과 로우(row)의 방향으로 배열되어 매트릭스의 형태를 갖는다. 각 컬럼에 배열된 쇼트키 다이오드 30들은 병렬 접속된 형태를 갖는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C voltage converter using an array rectenna among the components of FIG. 4. Referring to FIG. 5, the array rectenna 24 includes at least one rectenna arranged in a matrix form. One rectenna is connected between two antennas 31 and 3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anode and a cathode of the Schottky diode 30 for rectifying high frequency power, and a ripple and an anode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Schottky diode 30. An RF blocking filter 32 for suppressing condu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a smoothing circuit 34 for converting high frequency power half-wave or full-wave rectified by the Schottky diode 30 into direct current pow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rectennas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one or more columns and rows to form a matrix. Schottky diodes 30 arranged in each column have a parallel connection.

상기와 같은 매트릭스형태 배열 렉테나 24중 첫 번째 컬럼에 위치된 렉테나들내의 다수의 쇼트키 다이오드 30들의 애노드는 전압안정화회로 26의 음전극에 접속되며, 최종 컬럼에 위치된 렉테나들내의 쇼트키 다이오드 30들의 캐소드는 상기 전압안정화회로 26의 양전극에 접속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첫 번째 컬럼 및 최종 컬럼의 사이에 위치된 렉테나들내의 쇼트키 다이오드 30들의 캐소드와 애노드는 이웃하는 컬럼에 위치된 쇼트키 다이오드 30들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접속되어 있다.The anode of the plurality of Schottky diodes 30 in the rectennas located in the first column of the matrix array rectenna 24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26, and the Schottky in the rectennas located in the final column. The cathode of diodes 30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26. The cathode and anode of Schottky diodes 30 in the rectennas located between the first column and the final column are connected to the anode and cathode of Schottky diodes 30 located in the neighboring column.

상기 배열 렉테나 24는 다수의 렉테나들이 매트릭스 어레이 형태로 접속되어 있어 원하는 전력량의 직류 전압을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안테나 31과 33의 사이에 접속된 쇼트키 다이오드 30의 접속 위치를 조정하여 안테나들 31, 33과 쇼트키 다이오드 30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여야 한다.In the array rectenna 24, a plurality of rectennas are connected in a matrix array form to obtain a DC voltage having a desired amount of power.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chottky diode 30 connected between the antennas 31 and 33 should be adjusted to achieve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antennas 31 and 33 and the Schottky diode 30.

도 5와 같이 구성되는 배열 렉테나 24는 유전체 기판상에 형성된 도전성 키판을 적절하게 설계하여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icrostrip Line)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rray rectenna 24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is preferably formed in a microstrip line structure by appropriately designing a conductive keypad formed on a dielectric substrate.

지금 도 4와 같이 구성된 고주파 전력 송신부 20에서 출력하는 고주파 전력이 배열 안테나 22에 의해 송신되어 도 5와 같이 구성된 배열 렉테나 24로 입사되면, 상기 배열 렉테나 24내의 안테나 31, 33들이 상기 고주파 전력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 31 및 33의 사이에 접속된 쇼트키 다이오드 30들이 극간의 기생 용량값을 최소화하여 직류 전압으로 검파한다. 즉, 쇼트키 다이오드 30들이 안테나 31 및 33을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전력을 정류한다.When the high frequency power output from the high frequency power transmitter 20 configured as shown in FIG. 4 is transmitted by the array antenna 22 and is incident to the array rectenna 24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the antennas 31 and 33 in the array rectenna 24 are the high frequency power. Will be received. At this time, the Schottky diodes 30 connected between the antennas 31 and 33 detect the DC voltage by minimizing the parasitic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poles. That is, the Schottky diodes 30 rectify the high frequency power received via antennas 31 and 33.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 30들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접속된 RF 블록킹 필터 32와 평활회로 34들은 정류된 직류전압에 포함된 리플 성분 및 전도성 전자파 장해신호를 억제/제거하여 고주파 전력의 레벨에 따른 직류전압을 전압 안정화 회로 26으로 제공한다.The RF blocking filter 32 and the smoothing circuit 34 connect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Schottky diodes 30 suppress / remove the ripple component and the condu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rectified DC voltage to reduce the DC voltage according to the high frequency power level. To 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26.

상기 전압 안정화 회로 26은 상기 배열 렉테나 2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의 레벨을 안정화시켜 소정의 레벨로 클램프된 정전압을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된 충전용 배터리 28의 음전극과 양전극으로 제공하여 배터리 28내의 배터리 셀에 전압이 충전되도록 한다.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26 stabilizes the level of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array rectenna 24 to provide a positive voltage clamped to a predetermined level to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28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providing battery cells in the battery 28. Allow voltage to charg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열 렉테나 24에 의해 공중파 중계기 등과 같은 고주파 전력 송신부로부터 방사된 고주파 전력을 수신하여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후 불요파를 제거하여 충전 배터리의 충전 전압으로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을 보다 자유스럽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high frequency power radiated from a high frequency power transmitter such as an air repeater by an array rectifier 24, converts it into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removes unnecessary waves, and provides a charging voltage of a rechargeable battery. The battery of the terminal can be charged more freely.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충전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지만,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전 배터리의 충전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전압 안정화 회로의 출력을 적절하게 스위칭시키는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음에 유의 하여야 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over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has not been discussed,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detect the charging voltage level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ppropriately switch the output of 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may be added furth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충전시스템에 의하면 유선 충전시스템에 발생된 거리상의 제약과 공간에서의 전력손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거리의 제약이나 공간손실에 의한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어느 장소에서든지 항상 전자기기 및 이동통신기기를 사용할 수 있어 배터리의 용량이 문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rectenna can solve the distance limitation and the power loss in the space caused by the wired charging system. In addition, since electronic devices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an always be used in any place away from the influence of distance or space los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battery capacity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Claims (6)

무선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In a wireless charging system, 고주파 전력을 공중으로 방사하는 송신부와,A transmitter that radiates high frequency power into the air, 상기 공중 전파되는 고주파 전력을 렉테나에 의해 수신하여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직류전압 변환부 및,A DC voltage converter which receives the high-frequency power propagated by the air by a rectenna and converts the DC power into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상기 직류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전압안정화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And a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stabilizing and outputting the DC voltage to a constant volt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신부는 고주파 전력을 배열 안테나를 통해 방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The transmitter is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 rectenna,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high-frequency power through the array antenn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 변환부 및 전압 안정화 회로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 rectenna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C voltage converter and th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ar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력 변환부는 송신기의 배열 안테나로부터 방사된 고주파전력을 수신하는 배열 렉테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DC power converter comprises an array rectenna configured to receive the high frequency power radiated from the array antenna of the transmit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렉테나는 이격된 두개의 안테나들 사이에는 고주파 전력을 정류하기 위한 쇼트키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캐소드가 접속되며,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는 리플 및 전도성 전자파 장해를 억제하기 위한 RF 블록킹 필터 및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에서 정류된 고주파 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평활회로가 접속되어 구성된 렉테나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접속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rray rectenna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antennas spaced apart from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Schottky diode for rectifying high-frequency power, the ripple and conductive electromagnetic waves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Schottky diode An RF blocking filter for suppressing a disturbance and a smoothing circuit for converting high frequency power rectified from the Schottky diode into direct current pow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rectenna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a matrix form is used fo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렉테나의 안테나들은 유전체 키판상에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antennas of the rectenna are formed in a structure of a micro strip line on a dielectric keypad.
KR20-2003-0006003U 2003-02-28 2003-02-28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KR2003142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03U KR200314273Y1 (en) 2003-02-28 2003-02-28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03U KR200314273Y1 (en) 2003-02-28 2003-02-28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701A Division KR20040077228A (en) 2003-02-28 2003-02-28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273Y1 true KR200314273Y1 (en) 2003-05-23

Family

ID=4940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003U KR200314273Y1 (en) 2003-02-28 2003-02-28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27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43B1 (en) 2015-11-06 2018-01-0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 stimulation apparatus using rectenna and cell regeneration system including 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43B1 (en) 2015-11-06 2018-01-0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 stimulation apparatus using rectenna and cell regeneration system includ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7228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US10910884B2 (en) Electric power charge and discharge system
US20180152054A1 (en) Power-receiving device, wireless power-feeding system including power-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power-receiving device
US8421408B2 (en) Extended range wireless charging and powering system
KR101134625B1 (en)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ower supplying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6037743A (en) Battery charger and power source employing an environmental energy extractor and a method related thereto
US20140139180A1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increased charging efficiency
US2012024227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ssembly and wireless power assembly thereof
US9143002B2 (en)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KR1019686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30102218A (en)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with multi coil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ethod
US20140104898A1 (en)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WO2017007163A1 (en) Method for operat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30111832A (en) Device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transmission coil array
KR102452017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0314273Y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rectenna
Sangare et al. RF energy harvesting networks: Existing techniques and hardware technology
KR20100019208A (en) Charge apparatus for using radio frequency
Kawahara et al. Virtualizing power cords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energy harvesting
Saxena et al. Efficient rectenna circu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20210119491A1 (en) Wireless Charger with Microwave Transformed Power and Energy-Storing
RU2180465C1 (en) Emergency power supply for cellular radiophones
Singla Wireless Charging of Mobile Phone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Signals
Lin et al. Microstrip Antenna for Ambient RF Energy Harvesting
US20230211684A1 (en) A plug-in module for wireless char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