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400Y1 - sport outfits - Google Patents

sport outfi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400Y1
KR200313400Y1 KR20-2003-0002564U KR20030002564U KR200313400Y1 KR 200313400 Y1 KR200313400 Y1 KR 200313400Y1 KR 20030002564 U KR20030002564 U KR 20030002564U KR 200313400 Y1 KR200313400 Y1 KR 200313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turning
flange
pos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5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종
Original Assignee
김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종 filed Critical 김형종
Priority to KR20-2003-0002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4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40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지면 내에 고정되는 제 1 포스트와, 상기 제 1 포스트의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제 2 포스트와, 반구형상을 가지면서 하부면이 지면상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2 포스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안치대를 갖는 포스트부;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포스트의 상부 외주면상에 고정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중앙부 전면측 및 배면측에 각각 한쌍으로 장착되는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몸체의 하부 타측면상에 장착되는 완충바아를 갖는 제 1 서포트부; 상기 완충바아의 상부면상에 얹혀지면서 상기 제 2 플랜지에 상, 하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운동부; 원통형상을 가지며 제 2 포스트의 외주면상 하부에 고정되는 제 2 몸체와, "ㄱ"자 형상을 가지면서 제 2 몸체의 타측 외주면상 하부 및 상부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수직한 형상을 가지는 장착바아의 일단이 일측에 장착된 연결바아가 장착되는 하부 서포트바아 및 상부 서포트바아와, 장착바아의 상부 전면측 및 배면측에 각각 한쌍으로 장착되는 제 5 플랜지 및 제 6 플랜지와, 상부 서포트바아의 타측 상부면상에 장착되는 안장을 갖는 제 2 서포트바아; 및 안장에 앉아 등으로 밀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바아에 얹혀지면서 제 6 플랜지에 좌, 우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운동부로 이루어진다.A first post fixed in the ground, a second post integral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post, and a support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ost so as to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lower surface closely adheres to the ground. A post portion; A first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st,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mounted in pairs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respectively, and the first body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buffer bar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 first moving par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bar and pivotally mounted on the second flange so as to be pivoted up and down; A second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st, and having an "a" shape and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vertical shape on the other end A lower support bar and an upper support bar on which one end of the bar is mounted, and a fifth flange and a sixth flange mounted on the upper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bar, respectively; A second support bar having a saddle mounted on the other top surface; And a second movement part mounted on the connection bar so as to be able to exercise while sitting on the saddle and pivoting on the sixth flange so as to be pivotable left and right.

Description

복합 운동기구{sport outfits}Sports outfits

본 고안은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 1 운동부 및 제 2 운동부를 장착함으로써, 공간 활용이 용이하며 좁은 장소에서도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 장소에 구애 없이 설치가능하여 유아 및 노인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exercis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by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exercise parts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ost, it is easy to use space and can perform a variety of exercises in a narrow place as well as manufacturing cost This cheap and can be installed anywhere regardless of the composite exercise equipment that can be easily used by infants and seniors.

인간이 개인적으로 건강하고, 이러한 건강을 장래에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사람 자신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를 위해서도 커다란 의미를 가지며 이익이 된다. 그러나 복잡 다변화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매연, 소음 등과 같은 주위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술과 담배 등의 기호식품 선호에 따른 육체적, 정신적인 피로감을 초래하여 허약한 체력을 유발하고 있다.It is of great benefit and benefit for man to be healthy personally and to maintain this health in the future, not only for himself but also for society as a whole. However, modern people living in a complex and diversified modern society cause weak physical strength by causing physical and mental fatigue due to stress caused by heavy work,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moke and noise, and preference of preference foods such as alcohol and tobacco. have.

체력은 신체 활동의 감소와 정신적 스트레스, 심신의 피로축적 등을 해결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것이 약화되면 지적, 정신적 생활과 성생활, 사회생활 등이 모두 위축되고 심하면 생명을 잃게 된다. 이에 따라 건강한 정신과 육체 및 균형적인 몸매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Physical strength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physical activity, mental stress, and mental and physical fatigue. When this is weakened, intellectual, mental and sexual life, social life, etc. are all contracted, and severe life is lost. Accordingly, a variety of exercise equipment is being developed to maintain a healthy mind and body and a balanced body.

그런데, 전술한 운동기구들은 각각 하나의 기능만을 가지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운동기구를 보유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다양의 운동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xercise equipments are manufactured to have only one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xpensive to have various exercise equipments, and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place for installing various exercise equipmen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스트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 1 운동부 및 제 2 운동부를 장착함으로써, 공간 활용이 용이하며 좁은 장소에서도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 장소에 구애 없이 설치가능하여 유아 및 노인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복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arts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ost, the space is easy to use and various movements in a narrow place Not only can be carried out but the production cost is low and can be installed anywhere regardless of location to provide a complex exercise equipment that can be easily used by infants and the elder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x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며, 그리고2 is a front view of the combined exercise device shown in FIG. 1, and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운동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mbined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복합 운동기구 110 : 포스트부100: composite exercise equipment 110: post portion

112 : 제 1 포스트 114 : 제 2 포스트112: first post 114: second post

116 : 기초바아 118 : 안치대116: Foundation Bar 118: Restoration

120 : 제 1 서포트부 122 : 제 1 몸체120: first support portion 122: first body

124a, 124b : 제 1, 2 플랜지 128 : 완충바아124a, 124b: 1st, 2nd flange 128: buffer bar

130 : 제 1 완충재 140 : 제 1 운동부130: first cushioning material 140: first moving part

142a, 142b : 제 1, 2 터닝바아 144 : 손잡이142a, 142b: 1st and 2nd turning bar 144: handle

146a, 146b : 제 1, 2 연결부재 148a, 148b : 제 1, 2 수직바아146a, 146b: 1st, 2nd connection member 148a, 148b: 1st, 2nd vertical bar

150a, 150b : 제 2, 3 플랜지 154 : 제 1 회전바아150a, 150b: 2nd, 3rd flange 154: 1st rotation bar

156 : 제 1 쿠션 160 : 제 2 서포트부156: first cushion 160: second support portion

162 : 제 2 몸체 164 : 하부 서포트바아162: second body 164: lower support bar

166 : 상부 서포트바아 168 : 장착판166: upper support bar 168: mounting plate

170 : 연결바아 172 : 장착바아170: connection bar 172: mounting bar

174a, 174b : 제 5, 6 플랜지 178 : 안장174a, 174b: Fifth, Sixth Flange 178: Saddle

180 : 제 2 운동부 182a, 182b : 제 3, 4 터닝바아180: 2nd exercise part 182a, 182b: 3rd, 4th turning bar

184a, 184b : 제 5, 6 터닝바아 186a, 186b : 제 7, 8 터닝바아184a, 184b: 5th and 6th turning bars 186a, 186b: 7th and 8th turning bars

188a, 188b : 제 3, 4 연결부재 190a, 190b : 제 7, 8 플랜지188a, 188b: 3rd, 4th connection member 190a, 190b: 7th, 8th flange

194 : 제 2 회전바아 196 : 제 2 쿠션194: second rotating bar 196: second cushion

197 : 바벨축 198 : 바벨197: Babel axis 198: Babel

199a, 199b : 제 3, 4 완충재199a, 199b: third and fourth buffer material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지면 내에 고정되는 제 1 포스트와, 상기 제 1 포스트의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제 2 포스트와, 반구형상을 가지면서 하부면이 지면상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2 포스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안치대를 갖는 포스트부;A first post fixed in the ground, a second post integral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post, and a support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ost so as to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lower surface closely adheres to the ground. A post portion;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포스트의 상부 외주면상에 고정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중앙부 전면측 및 배면측에 각각 한쌍으로 장착되는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몸체의 하부 타측면상에 장착되는 완충바아를 갖는 제 1 서포트부;A first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st,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mounted in pairs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respectively, and the first body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buffer bar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상기 완충바아의 상부면상에 얹혀지면서 상기 제 2 플랜지에 상, 하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운동부;A first moving par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bar and pivotally mounted on the second flange so as to be pivoted up and down;

원통형상을 가지며 제 2 포스트의 외주면상 하부에 고정되는 제 2 몸체와, "ㄱ"자 형상을 가지면서 제 2 몸체의 타측 외주면상 하부 및 상부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수직한 형상을 가지는 장착바아의 일단이 일측에 장착된 연결바아가 장착되는 하부 서포트바아 및 상부 서포트바아와, 장착바아의 상부 전면측 및 배면측에 각각 한쌍으로 장착되는 제 5 플랜지 및 제 6 플랜지와, 상부 서포트바아의 타측 상부면상에 장착되는 안장을 갖는 제 2 서포트바아; 및A second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st, and having an "a" shape and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vertical shape on the other end A lower support bar and an upper support bar on which one end of the bar is mounted, and a fifth flange and a sixth flange mounted on the upper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bar, respectively; A second support bar having a saddle mounted on the other top surface; And

안장에 앉아 등으로 밀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바아에 얹혀지면서 제 6 플랜지에 좌, 우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운동부를 포함하는 복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bined exercise device including a second exercise part mounted on the connecting bar so as to be able to exercise while sitting on the saddle and pivotally mounted to the sixth flang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포스트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 1 운동부 및 제 2 운동부를 장착함으로써, 공간 활용이 용이하며 좁은 장소에서도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 장소에 구애없이 설치가능하여 유아 및 노인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portions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st portion, it is easy to utilize space, and can perform various movements in a narrow place, It can be installed anywhere and can be used easily by infants and the elderl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운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composit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combined exercise device shown in FIG.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운동기구(100)는 포스트부(110), 제 1 서포트부(120), 제 1 운동부(140), 제 2 서포트부(160) 및 제 2 운동부(180)를 구비한다.1 and 2, the composite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st portion 110, the first support portion 120, the first movement portion 140, the second support portion 160 and the second The exercise unit 180 is provided.

먼저, 포스트부(110)는 지면 내에 고정되는 제 1 포스트(112) 및 지면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 2 포스트(114)를 구비한다. 제 1 포스트(112)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수직한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포스트(112)의 하부 인접위치에는 방사상 사방으로 제 1 포스트(112)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기초바아(116)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초바아(116)는 제 1 포스트(112)가 지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포스트(114)는 제 1 포스트(112)와 마찬가지로 제 1 포스트(11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제 1 포스트(112)의 상부면 상에 일체로 고정되는 수직한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2 포스트(114)의 하부에는 제 2 포스트(11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하부면이 지면상에 밀착되는 반구형의 안치대(118)가 배치된다. 이때, 안치대(118)의 상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돔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포스트부(110)에는 상부에 제 1 서포트부(120) 및 제 1 운동부(140)가 장착되고, 하부에 제 2 서포트부(160) 및 제 2 운동부(180)가 장착된다.First, the post part 110 includes a first post 112 fixed in the ground and a second post 114 extending to the top of the ground. The first post 112 has a vertical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lower adjacent position of the first post 1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undation bars 116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st 112 in radial directions. This foundation bar 116 prevents the first post 112 from leaving the ground. The second post 114, like the first post 112, has a vertical cylindrical shape that is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post 112 and is integrally fix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ost 112. A hemispherical seat 118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post 114 and having a lower surface closely contacted with the ground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post 114.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set up 118 has a dome shape protruding upward. The first support part 120 and the first moving part 140 are mounted on the upper part 1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60 and the second moving part 180 ar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ost part 110.

제 1 서포트부(120)는 제 2 포스트(114)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몸체(122)와, 완충바아(128)를 구비한다. 제 1 몸체(122)는 내주면이 제 2 포스트(114)의 외주면을 따라서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제 2 포스트(114)의 상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몸체(122)의 중앙부 전면측 및 배면측 상에는 중앙부가 관통되면서 원판 형상을 가지는 제 1 플랜지(124a)가 장착되어 고정되고, 각각의 제 1 플랜지(124a)의 외측면 상에는 제 1 플랜지(124a)와 동일한 형상의 제 2 플랜지(124b)가 볼트(B)로 체결되어 장착된다. 이때, 제 2 플랜지(124b)의 내주면상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된다. 한편, 완충바아(128)는 수평한 봉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이 제 1 몸체(122)의 하부 일측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완충바아(128)의 타단 상부면상에는 제 1 완충재(13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완충재(130)는 방진고무나 또는 탄성스프링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서포트부(120)에는 제 1 운동부(140)가 장착된다.The first support part 120 includes a first body 122 and a buffer bar 128 disposed on the second post 114. The first body 122 has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coup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st 114, and is disposed at an upper adjacent position of the second post 114. The first flange 124a having a disk shape is mounted and fixed on the center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body 122, and the first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first flange 124a. A second flange 124b having the same shape as 124a is fastened and mounted by bolts B.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a bearing (not shown)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4b. On the other hand, the buffer bar 128 has a horizontal rod-shaped e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122). The first buffer 130 is mounted on the other end upper surface of the buffer bar 128. Preferably, the first shock absorbing material 130 is made of a dustproof rubber or elastic spring. The first movement part 140 is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part 120 formed as described above.

제 1 운동부(140)는 제 1 터닝바아(142a), 제 2 터닝바아(142b), 제 1 수직바아(148a), 제 2 수직바아(148b) 및 제 1 회전바아(154)를 구비한다. 제 1 터닝바아(142a)는 "L"자 형상을 가지고, 제 2 터닝바아(142b)는 제 1 터닝바아(142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터닝바아(142a) 및 제 2 터닝바아(142b)의 일단은 각각의 제 2 플랜지(124b)의 내측에 장착된 제 1 베어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터닝바아(142a) 및 제 2 터닝바아(142b)의 타단은 봉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상에 널링(knurling) 처리된 손잡이(144)가 장착된다. 이때, 제 1 터닝바아(142a) 및 제 2 터닝바아(142b)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만곡된 봉형상을 가지는 제 1 연결부재(146a) 및 제 2 연결부재(146b)의 일단 및 타단이 일체로 장착된다. 이러한 제 1 연결부재(146a) 및 제 2 연결부재(146b)는 제 1 터닝바아(142a) 및 제 2 터닝바아(142b)가 선회될 때 서로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 1 수직바아(148a) 및 제 2 수직바아(148b)는 수직한 봉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제 1 터닝바아(142a) 및 제 2 터닝바아(142b)의 타단 인접한 하측면상에 일체로 장착되고 타단은 서로 마주보면서 하부측으로 연장된다.The first moving part 140 includes a first turning bar 142a, a second turning bar 142b, a first vertical bar 148a, a second vertical bar 148b, and a first rotating bar 154. The first turning bar 142a has a “L” shape, and the second turning bar 142b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urning bar 142a. One end of the first turning bar 142a and the second turning bar 142b is pivotally mounted to a first bearing mounted inside the second flange 124b, and the first turning bar 142a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urning bar 142b has a rod shape and a handle 144 knur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mounte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46a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6b having a bar shape curv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turning bar 142a and the second turning bar 142b facing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integrally mount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46a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6b prevent the first turning bar 142a and the second turning bar 142b from twisting each other when they are pivoted. Meanwhile, the first vertical bar 148a and the second vertical bar 148b have a vertical rod shape and one end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lower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urning bar 142a and the second turning bar 142b.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lower side facing each other.

이러한 제 1 수직바아(148a) 및 제 2 수직바아(148b)의 타단 내측에는 제 1 플랜지(124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 3 플랜지(152a)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장착되고, 제 3 플랜지(152a)에는 마찬가지로 제 2 플랜지(124b)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 4 플랜지(152b)가 볼트(B)로 체결되어 장착된다. 또한, 제 4 플랜지(152b)의 내주면상에는 제 2 베어링(도시되지 안음)이 장착된다. 이러한 제 4 플랜지(152b)에는 수평한 봉형상을 가지는 제 1 회전바아(154)가 제 4 플랜지(152b)의 내주면상에 장착된 제 2 베어링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제 1 회전바아(154)의 외주면상에는 제 1 쿠션(156)이 장착된다.Inside the oth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bar 148a and the second vertical bar 148b, third flanges 152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lange 124a are mount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third flange 152a. ), The fourth flange 152b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flange 124b is fastened and mounted with the bolt B. In addition, a second bearing (not shown)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urth flange 152b. The fourth flange 152b is rotatably mounted at both ends to a second bearing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urth flange 152b with a first rotating bar 154 having a horizontal rod shape. At this time, the first cushion 156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ar 154.

한편, 제 2 서포트부(160)는 제 2 포스트(114)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몸체(162), 하부 서포트바아(164), 상부 서포트바아(166) 및 연결바아(170)를 구비한다. 제 2 몸체(162)는 제 1 몸체(122)와 마찬가지로 내주면이 제 2 포스트(114)의 외주면을 따라서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제 2 포스트(114)의 하부 인접한 위치 즉, 안치대(118)의 상부측에 고정배치된다.Meanwhile,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ncludes a second body 162, a lower support bar 164, an upper support bar 166, and a connection bar 170 disposed below the second post 114. . Like the first body 122, the second body 162 has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coup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st 114, and thus, the lower adjacent position of the second post 114, that is, the resttable It is fixed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118.

이러한 제 2 몸체(162)의 타측 상부 및 하부에는 봉형상을 가지면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하부 서포트바아(164) 및 상부 서포트바아(166)의 일단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서포트바아(166)는 하부 서포트바아(164)보다 더 길고 수평하게 연장되다가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부 서포트바아(164) 및 상부 서포트바아(166)는 서로 평형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하부 서포트바아(164) 및 상부 서포트바아(166)의 타단은 포스트부(110)의 안치대(118) 하부면과 수평을 이룬다. 이때, 하부 서포트바아(164) 및 상부 서포트바아(166)의 타단에는 판형상을 가지는 장착판(168)이 장착되어 하부 서포트바아(164) 및 상부 서포트바아(166)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장착판(168)이 볼트(B)에 의해서 지면에 고정된다.One end of the lower support bar 164 and the upper support bar 166 having a rod shape and bent in a "b" shape are mounted on the oth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body 162. Preferably, the upper support bar 166 extends longer and horizontally than the lower support bar 164 and has a shape bent downward. More preferably, the lower support bar 164 and the upper support bar 166 ar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support bar 164 and the upper support bar 166 is the rest of the post portion 110 (118) It is level with the lower surface.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lower support bar 164 and the upper support bar 166 is mounted with a mounting plate 168 having a plate shape so that the lower support bar 164 and the upper support bar 166 is fixed without shaking 168 is fixed to the ground by the bolt B.

이와 같이 형성된 하부 서포트바아(164) 및 상부 서포트바아(166)의 서로 마주보는 타단 내측면상에는 수평한 봉형상을 가지는 연결바아(170)의 일단 및 타단이 일체로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바아(170)의 일측 상부면상에는 수직한 봉형상을 가지는 장착바아(172)의 일단이 장착된다. 이때, 장착바아(172)의 상부 전면측 및 배면측상에는 제 1 플랜지(124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 5 플랜지(174a)가 각각 장착되고, 제 5 플랜지(174a)에는 마찬가지로 제 2 플랜지(124b)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내주면상에 제 3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된 제 6 플랜지(174b)가 볼트(B)로 체결되어 각각 장착된다. 한편, 상부 서포트바아(166)의 타측 상부면상에는 안장(178)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서포트부(160)에는 제 2 운동부(180)가 장착된다.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ar 170 having a horizontal rod shape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other end inner side surfaces of the lower support bar 164 and the upper support bar 166 formed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mounting bar 172 having a vertical rod shape is mounted on one sid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170. At this time, the fifth flange 174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lange 124a is mounted on the upper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bar 172, and the second flange 124b is similarly mounted on the fifth flange 174a. The sixth flange 174b having the same shape as) and mounted with a third bearing (not show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astened with bolts B, and mounted therein. On the other hand, the saddle 178 is mounted on the oth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bar 166. The second moving part 180 is mount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160 formed as described above.

제 2 운동부(180)는 제 3 터닝바아(182a), 제 4 터닝바아(182b), 제 5 터닝바아(184a), 제 6 터닝바아(184b), 제 7 터닝바아(186a), 제 8 터닝바아(186b) 및 바벨축(197)을 구비한다. 제 3 터닝바아(182a) 및 제 4 터닝바아(182b)는 수평한봉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일단은 제 6 플랜지(174b)의 내측에 장착된 제 3 베어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 3 터닝바아(182a) 및 제 4 터닝바아(182b)의 타단 상부면상에는 만곡된 봉형상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5 터닝바아(184a) 및 제 6 터닝바아(184b)의 하단이 일체로 장착된다. 또한, 제 3 터닝바아(182a) 및 제 4 터닝바아(182b)의 타단 타측면상에는 수평한 봉형상을 가지는 제 7 터닝바아(186a) 및 제 8 터닝바아(186b)의 일단이 일체로 장착된다. 이러한 제 7 터닝바아(186a) 및 제 8 터닝바아(186b)의 타단에는 만곡된 봉형상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제 5 터닝바아(184a) 및 제 6 터닝바아(184b)의 상단 인접한 외주면상에 일체로 장착되는 제 3 연결부재(188a) 및 제 4 연결부재(188b)의 일단이 일체로 장착된다. 즉, 제 5 터닝바아(184a), 제 7 터닝바아(186a) 및 제 3 연결바아(170)와, 제 6 터닝바아(184b), 제 8 터닝바아(186b) 및 제 4 연결바아(170)는 삼각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장착된다.The second exercise unit 180 may include a third turning bar 182a, a fourth turning bar 182b, a fifth turning bar 184a, a sixth turning bar 184b, a seventh turning bar 186a, and an eighth turning. A bar 186b and a barbell shaft 197 are provided. The third turning bar 182a and the fourth turning bar 182b have a horizontal rod shape and each end is pivotally mounted to a third bearing mounted inside the sixth flange 174b. The lower ends of the fifth turning bar 184a and the sixth turning bar 184b extending upwards while having a curved rod shape on the other end upper surfaces of the third turning bar 182a and the fourth turning bar 182b. It is mounted integrally. In addition, one end of the seventh turning bar 186a and the eighth turning bar 186b having a horizontal bar shape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third turning bar 182a and the fourth turning bar 182b. . The other end of the seventh turning bar 186a and the eighth turning bar 186b has a curved rod shape and extends upward,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fifth turning bar 184a and the sixth turning bar 184b.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88a and the fourth connection member 188b which are integrally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tegrally mounted. That is, the fifth turning bar 184a, the seventh turning bar 186a, and the third connecting bar 170, the sixth turning bar 184b, the eighth turning bar 186b, and the fourth connecting bar 170. Are integrally mounted in a triangular shape.

이때, 제 5 터닝바아(184a) 및 제 6 터닝바아(184b)의 서로 마주보는 타단 내측면상에는 제 1 플랜지(124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 7 플랜지(190a)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장착되며 각각의 제 7 플랜지(190a)에는 내주면상에 제 4 베어링(도시되지 안음)이 장착된 제 8 플랜지(190b)가 볼트(B)로 체결되어 각각 장착되고, 일체로 형성된 제 7 터닝바아(186a) 및 제 3 연결부재(188a)의 타단과 제 8 터닝바아(186b) 및 제 4 연결부재(188b)의 타단에는 수평한 봉형상을 가지면서 양단에 바벨(198)이 장착된 바벨축(197)이 일체로 장착된다. 이러한 각각의 제 8 플랜지(190b)에는 제 1 회전바아(154)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외주면상에 제 2쿠션(196)이 장착된 제 2 회전바아(194)의 양단이 제 3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바벨축(197)의 중앙부 상측면 및 하측면상에는 제 2 완충재(199a) 및 제 3 완충재(199b)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완충재(199a) 및 제 3 완충재(199b)는 제 1 완충재(130)와 마찬가지로 방진고무 또는 탄성스프링으로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seventh flange 190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lange 124a is mounted on the other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fth turning bar 184a and the sixth turning bar 184b that face each other, respectively. The seventh flange 190a of the seventh turning bar 186a integrally formed with eighth flanges 190b having a fourth bearing (not shown)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astened with bolts B, respectively. And a barbell shaft 197 in which the barbells 198 ar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88a and the other ends of the eighth turning bar 186b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88b, respectively. It is mounted integrally. Each of the eighth flanges 190b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rotation bar 154, and both ends of the second rotation bar 194 having the second cushion 196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rotate on the third bearing. Possibly mounted. In addition, a second buffer member 199a and a third buffer member 199b are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rbell shaft 197. Preferably, the second buffer member 199a and the third buffer member 199b are made of a dustproof rubber or elastic spring like the first buffer member 130.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복합 운동기구(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bined exercise device 100 form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운동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a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bined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제 1 운동부(14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는 손잡이(144)를 양손으로 잡는다. 다음은 양손을 상측으로 쭈욱 뻗는다. 이때. 손잡이(144)가 상측으로 올라가면 제 1 운동부(140)는 제 1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 제 1 터닝바아(142a) 및 제 2 터닝바아를 중심으로 선회된다. 반대로 양손을 하측으로 접으면 마찬가지로 제 1 운동부(140)는 제 1 베어링에 장착된 제 1 터닝바아(142a) 및 제 2 터닝바아(142b)를 중심으로 선회된다. 이때, 하측으로 선회되던 제 1 운동부(140)는 완충바아(128)의 타단에 장착된 제 1 완충재(130)에 의해 더 이상 하측으로 선회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팔의 근력을 키우기 위하여 양손으로 손잡이(144)를 잡고 제 1 운동부(140)를 선회시키면서 운동한다. 한편, 또 다른 운동방법은 사용자는 포스트부(110)를 등지면서 양손으로는 손잡이(144)를 잡고 목이나 어깨부분에다가 제 1 쿠션(156)을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자세를 취하게 되면 사용자의 다리가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다리에힘을 주어 일어섰다 앉았다의 행위를 반복하면서 하체의 근력을 키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first, an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exercise unit 140 will be described. The user holds the handle 144 with both hands. Next, stretch both hands upwards. At this time. When the handle 144 is raised upward, the first moving part 140 is pivoted about the first turning bar 142a and the second turning bar mounted to the first bearing (not shown). On the contrary, when both hands are folded downward, the first moving part 140 is similarly pivoted about the first turning bar 142a and the second turning bar 142b mounted on the first bearing. At this time, the first moving part 140 that is pivoted downward is fixed to the pivot by no longer turning downward by the first buffer 130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buffer bar (128). In this way, the user grasps the handle 144 with both hand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arm and exercises while turning the first exercise unit 140. On the other hand, another exercise method is the user holding the handle 144 with both hands while holding the post portion 110, the first cushion 156 is placed on the neck or shoulder portion. When the posture is taken, the user's legs are bent. At this time, the user can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lower body while repeating the act of standing up and sitting with the force on the leg.

한편, 제 2 운동부(18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안장(178)에 앉으면서 제 2 쿠션(196)을 등부분에 위치시킨다. 다음은 허리를 뒤로 젖히면서 제 2 쿠션(196)을 뒤로 밀어낸다. 이와 같이 뒤로 밀린 제 2 쿠션(196)에 의해 제 2 운동부(180)는 제 3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 제 3 터닝바아(182a) 및 제 4 터닝바아(182b)를 중심으로 선회된다. 이때, 선회되는 제 2 운동부(180)는 바벨축(197)의 중앙부 상측면상에 장착된 제 2 완충재(199a)가 상측에 배치된 상부 서포트바아(166)에 밀착되면서 제 2 운동부(180)가 더 이상 선회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또한, 이와는 달리 반대로 선회되는 제 2 운동부(180)는 바벨축(197)의 중앙부 하측면상에 장착된 제 3 완충재(199b)가 하측에 배치된 연결바아(170)에 밀착되면서 제 2 운동부(180)가 더 이상 선회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이와 같이 선회되는 제 2 운동부(180)에는 바벨(198)이 장착되어 있어 한층 더 무게감있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사용자는 허리, 복부 및 가슴 근력을 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exercise unit 180, first, the user sits on the saddle 178 to position the second cushion 196 on the back. The next pushes the second cushion 196 back while leaning back. The second movement unit 180 is pivoted about the third turning bar 182a and the fourth turning bar 182b mounted on the third bearing (not shown) by the second cushion 196 pushed backward. . At this time, the pivoting second movement unit 18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pport bar 166, the second buffer member 199a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barbell shaft 197, the second movement unit 180 is Block him from turning any more. In addition, the second movement unit 180, which is reversed in turn, has a second movement unit 180 while the third buffer member 199b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barbell shaft 19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ar 170 disposed below. ) Is blocked from turning anymore. The barbell 198 is mounted on the pivoting second exercise unit 180 to perform a more weighty exercise, and by this action, the user can increase the waist, abdomen, and chest muscle strength.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운동기구는 포스트부의 상부에 일측을 향하면서 상측으로 선회되는 제 1 운동부를 장착하고, 포스트부의 하부에 타측을 향하면서 일측으로 선회되는 제 2 운동부를 장착함으로써, 제 1 운동부를 이용하여 팔 및 다리의 근력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운동부를 이용하여 허리, 복부 및 가슴의 근력을 키울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portion by moving the first movement portion which is turned upward while facing one side, and by mounting the second movement portion that is pivoted to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under the post portion. In addition, the first exercise unit may not only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arms and legs, but also use the second exercise unit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aist, the abdomen, and the ches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운동기구는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봉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한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rame having most of the rod-shap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Claims (9)

지면 내에 고정되는 제 1 포스트와, 상기 제 1 포스트의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제 2 포스트와, 반구형상을 가지면서 하부면이 지면상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2 포스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안치대를 갖는 포스트부;A first post fixed in the ground, a second post integral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post, and a support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ost so as to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lower surface closely adheres to the ground. A post portion;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포스트의 상부 외주면상에 고정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중앙부 전면측 및 배면측에 각각 한쌍으로 장착되는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몸체의 하부 타측면상에 장착되는 완충바아를 갖는 제 1 서포트부;A first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st,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mounted in pairs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respectively, and the first body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buffer bar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상기 완충바아의 상부면상에 얹혀지면서 상기 제 2 플랜지에 상, 하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운동부;A first moving par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bar and pivotally mounted on the second flange so as to be pivoted up and down;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포스트의 외주면상 하부에 고정되는 제 2 몸체와, "ㄱ"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2 몸체의 타측 외주면상 하부 및 상부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수직한 장착바아의 일단이 일측에 장착된 연결바아가 장착되는 하부 서포트바아 및 상부 서포트바아와, 상기 장착바아의 상부 전면측 및 배면측에 각각 한쌍으로 장착되는 제 5 플랜지 및 제 6 플랜지와, 상기 상부 서포트바아의 타측 상부면상에 장착되는 안장을 갖는 제 2 서포트부; 및A second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st; and a mounting bar having one end mounted on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n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shape of “a”; A lower support bar and an upper support bar on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bar is mounted, and a fifth flange and a sixth flange mounted on the upper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bar, respectively, and the upper support bar.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saddl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상기 안장에 앉아 등으로 밀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아에 얹혀지면서 상기 제 6 플랜지에 좌, 우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And a second exercise part mounted on the connection bar so as to be able to move while sitting on the saddle, and pivotally mounted to the sixth flange to the left and r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운동부는 "L"자 형상 및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이 상기 제 2 플랜지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제 1 터닝바아 및 제 2 터닝바아와, 수직한 봉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제 1 터닝바아 및 제 2 터닝바아의 타단 인접한 하측면상에 일체로 장착되는 제 1 수직바아 및 제 2 수직바아와, 상기 제 1 수직바아 및 상기 제 2 수직바아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각각 장착되는 제 3 플랜지 및 제 4 플랜지와, 외주면상에 수평한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 1 쿠션이 장착되면서 각각의 상기 제 4 플랜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회전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oving portion having an "L" shape and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the first turning bar and the second turning bar, each end is pivotally mounted to the second flange, perpendicular to the A first vertical bar and a second vertical bar having a rod shape and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mounted on a lower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urning bars, and ends of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second vertical bar; The third and fourth flanges facing each other in the first and the first rotation bar having both ends rotatably mounted to each of the fourth flange while the first cushion having a horizontal cylindric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mounted Composite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닝바아 및 상기 제 2 터닝바아의 마주보는 내측면상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가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3. The composite of claim 2, wherein a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having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integrally mounted on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turning bar and the second turning bar. Fitness equip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닝바아 및 상기 제 2 터닝바아의 타단에는 봉형상을 가지면서 외주면상에 널링 처리된 손잡이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The complex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other ends of the first turning bar and the second turning bar are mounted with handles knur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ro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서포트바아 및 상기 상부 서포트바아의 타단에는 상기 하부 서포트바아 및 상기 상부 서포트바아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볼트에 의해 지면에 체결되는 장착판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pport bar, the combined support plate is fastened to the ground by a bolt so that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is fixed without shaking,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movement Instru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운동부는 수평한 봉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이 각각의 상기 제 6 플랜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3 터닝바아 및 제 4 터닝바아와, 만곡된 봉형상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제 3 터닝바아 및 상기 제 4 터닝바아의 타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제 5 터닝바아 및 제 6 터닝바아와, 수평한 봉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이 상기 제 3 터닝바아 및 상기 제 4 터닝바아의 타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제 7 터닝바아 및 제 8 터닝바아와, 상기 제 5 터닝바아 및 상기 제 6 터닝바아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각각 장착되는 제 7 플랜지 및 제 8 플랜지와, 외주면상에 수평한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 2 쿠션이 장착되면서 각각의 상기 제 8 플랜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회전바아와, 수평한 봉형상을 가지며 양단에는 바벨이 장착되고 상기 제 7 터닝바아 및 상기 제 8 터닝바아의 타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바벨축을 구비하는 복합 운동기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moving portion has a horizontal bar shape, the third turning bar and the fourth turning bar, one end is pivotally mounted to each of the sixth flange, and having a curved rod shape A fifth turning bar and a sixth turning bar extending upwardly and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other ends of the third and fourth turning bars, the first turning bar having a horizontal rod shape and one end thereof; Seventh and eighth flanges which are integrally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turning bar, and the seventh and eighth flanges which are mounted to face each other at ends of the fifth and sixth turning bars, respectively. And a second rotation bar having both ends rotatably mounted to each of the eighth flanges while a second cushion having a horizontal cylindrical shape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horizontal rod shape and a barbell at both ends thereof. And a barbell shaft which is attached and integrally mounted to the other ends of the seventh turning bar and the eighth turning bar. 제 6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5 터닝바아 및 상기 제 7 터닝바아의 타단 인접한 내측면상과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6 터닝바아 및 상기 제 8 터닝바아의 타단 인접한 내측면상에는 만곡된 봉형상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3 연결부재 및 제 4 연결부재의 일단 및 타단이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7. The curved bar of claim 6, wherein the rods are curved on the other inner side surfaces of the sixth turning bar and the eighth turning bar facing each other, as well as the other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fth turning bar and the seventh turning bar facing each other. Composite sports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extending in an upward shape and integrally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바아의 타단 상부면상에는 제 1 완충재가 장착되고, 상기 바벨축의 중앙부 상부면 및 하부면상에는 제 2 완충재 및 제 3 완충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is mount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uffer bar, and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and the third cushioning material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rbell shaf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재, 상기 제 2 완충재 및 상기 제 3 완충재는 방진고무 또는 탄성스프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The composit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shock absorbing material, the second shock absorbing material and the third shock absorbing material are any one of a dustproof rubber or an elastic spring.
KR20-2003-0002564U 2003-01-27 2003-01-27 sport outfits KR2003134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564U KR200313400Y1 (en) 2003-01-27 2003-01-27 sport outf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564U KR200313400Y1 (en) 2003-01-27 2003-01-27 sport outfi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400Y1 true KR200313400Y1 (en) 2003-05-16

Family

ID=4940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564U KR200313400Y1 (en) 2003-01-27 2003-01-27 sport outfi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40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68527U (en) Portable fitness chair
EP2116283B1 (en) Mini-trampoline with support bar
AU2019251102B2 (en) Balance board
US20040014571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50305961A1 (en) Therapeutic core building and massage chair
CA1304426C (en) Device for providing enhanced movement of a person&#39;s truncal muscles andspine
HU227206B1 (en) Playing device improving motion and coordination
CN110279978A (en) A kind of balance body-building device having both virtual reality
KR102150353B1 (en) Multi-convertible bicycle exercise apparatus
US9579539B2 (en) Compounded fitness trainer
US7060015B2 (en) Exercise device
KR200313400Y1 (en) sport outfits
US7407465B1 (en) Torso exercising apparatus
KR101298337B1 (en) A exercising machine like a sky walking
KR200312176Y1 (en) Sport outfits for bench press
CN109045583B (en) Treadmill for body building
JP3132377U (en) Exercise equipment
CN206934597U (en)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machine combined with massager
US7691037B1 (en) Exercise and muscle ton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KR20090060485A (en) Stretching chair
KR200312178Y1 (en) Sport outfits
KR102503704B1 (en) Indoor bicycle
KR200312177Y1 (en) Sport outfits for bench press
KR200428012Y1 (en) Rodeo toy
CN217908874U (en) Skiing ri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