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557Y1 - 액자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액자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557Y1
KR200312557Y1 KR20-2003-0000685U KR20030000685U KR200312557Y1 KR 200312557 Y1 KR200312557 Y1 KR 200312557Y1 KR 20030000685 U KR20030000685 U KR 20030000685U KR 200312557 Y1 KR200312557 Y1 KR 200312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present
pictur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엠디에스프레이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엠디에스프레이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엠디에스프레이닝
Priority to KR20-2003-0000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의 액자 틀체를 형성하는 액자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좌우 프레임의 배면에는 각각 상하 장방향의 끼움슬릿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어, 볼트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제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끼움슬릿에 끼워지는 간단한 연결수단만을 사용하여 연결 및 분리 가능하며, 소정의 소품들을 탈부착하는 데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자용 프레임{Frame for a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사각의 액자 틀체를 형성하는 액자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트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제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한 연결수단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액자들을 연결 및 분리 가능하고, 소정의 소품들을 탈부착하는 데 용이한 액자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 또는 다양한 삽화를 안전하게 보관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도구로써, 주로 사각 형태의 틀체를 가지며, 목재, 경량 철재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다양한 소재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기능성과 아울러 미적요소가 강조되고 있는 경향에 따라 가정과 상점 및 회사에서 단순히 싱글 형태의 액자만을 사용하던 관례에서 벗어나, 여러개의 액자를 응용 배치하여 아름답고 독창적인 디스플레이 효과를 거두려고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단의 스탠드형이나 벽걸이용 액자들과 같은 여러개의 액자들이 배치된 멀티형 액자들이 하나의 제품으로 상당수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형 액자들은 출시된 상태에서 새롭게 응용 배치하기에는 상당히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는 개개의 액자들이 소못, 볼트나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되어 액자들을 재배치하려면 제품 자체에 심각한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또한, 액자에 가해질 수 있는 심각한 손상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종래의 액자들을 응용 배치하여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볼트나 접착제 등에 의해 액자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한 연결수단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액자들을 다양한 형태로 연결 및 분리하고, 소정의 소품들을 탈부착하는 데 용이한 액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2a 는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을 채택한 액자의 배면부를 보여주는 참조도.
도 2b 는 도 2a 의 좌 프레임인 1a 를 절단하여 도시한 참조도.
도 2c 는 도 2a 의 A 부분의 인접된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참조도.
도 3 은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에 소품들이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참조도.
도 4 는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를 스탠드형으로 배치하여 연결한 사용상태도.
도 5a 는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를 걸이형으로 다단 배치하여 연결한 사용상태도.
도 5b 는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를 일직선상에 배치하여 연결한 상태를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3a,3b : 좌우상하 프레임 5a,5b,7a,7b : 끼움슬릿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액자용 프레임은, 사각의 액자 틀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좌우 프레임의 배면에는 각각 상하 장방향의 끼움슬릿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하 프레임의 배면에는 각각 좌우 장방향의 끼움슬릿이 소정 깊이로 더욱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1a,1b,3a,3b)은 사각의 액자(100) 틀체로 조립되어 사용되며, 배면에 형성된 끼움슬릿에 끼워지는 간단한 연결수단(9b)만으로 액자들을 다양한 형태로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1a,1b,3a,3b)을 채택한 다수의 액자(100)들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고 연결하며 분리할 때 볼트나 접착제 등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없으며, 연결 및 분리 작업은 매우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1a,1b,3a,3b)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는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을 채택한 액자의 배면부를 보여주는 참조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좌 프레임인 1a 를 절단하여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액자 틀체를 형성하는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은 좌우 프레임(1a,1b)의 배면에 각각 상하 장방향의 끼움슬릿(5a,5b)이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 장방향의 끼움슬릿(5a,5b)은 도시된 것처럼 상기 좌우 프레임(1a,1b)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레임(1a,1b)을 구성하는 소재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그 형성되는 위치가 반드시 상기 좌우 프레임(1a,1b)의 가장자리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좌우 프레임(1a,1b)은 상기 끼움슬릿(5a,5b)에 소정의 하중과 모멘트가 걸려도 상기 끼움슬릿(5a,5b)이 벌어지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야 하며,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나 경량의 금속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 프레임(3a,3b)의 배면에도 각각 좌우 장방향의 끼움슬릿(7a,7b)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좌우 장방향의 끼움슬릿(7a,7b)은 상기 상하 장방향의 끼움슬릿(5a,5b)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하 프레임(3a,3b)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절한 위치는 프레임(3a,3b)을 구성하는 소재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 프레임(1a,1b)과 상하 프레임(3a,3b)에 각각 상하 장방향의 끼움슬릿(5a,5b) 및 좌우 장방향이 끼움슬릿(7a,7b)이 형성되면, 상기 끼움슬릿(5a,5b,7a,7b)에 끼워지는 간단한 연결수단만을 사용하여 액자들을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라이트 박스 등과 같은 각종 소품들을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이하에서는 액자의 사각 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프레임 결합관계와,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들의 배치 및 연결방식의 사용예들을 설명한다.
도 2c 는 도 2a 의 A 부분의 인접된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은 액자 틀체를 형성하기 위해, 먼저 사각의 형태로 배치된 후, 이때 형성된 사각의 모퉁이에 서로 인접되는 프레임(1a,3a) 끝단이 모퉁이 결합수단(9a)에 의해 결합된다.
단, 도 2c 에서는 좌 프레임(1a)과 상 프레임(3a)이 인접된 모습만이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모퉁이 결합수단(9a)에는 "ㄱ" 자형으로 인접 배치된 프레임(1a,3a)에 각각 형성된 끼움슬롯(5a,7a)에 끼워지는 "ㄱ" 자형 끼움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ㄱ" 자형 끼움돌기(11)에 의해 각 모퉁이에서 인접된 2 개의 프레임(1a와 3a, 3a와 1b, 1b와 3b, 3b와 1a)이 간단하게 결합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은 간단하게 구성된 모퉁이 결합수단(9a)에 의해 사각의 액자 틀체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소못이나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되던 종래와는 달리 다시 분해하고 결합하는데 매우 용이하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은 액자를 형성하고 난 이후에 더 많은 장점을 갖는 것으로 액자 틀체를 형성하기 위해 끼움슬릿(5a,5b,7a,7b)을 활용하는 모퉁이 결합수단(9a)을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a,1b,3a,3b) 상호간에 더 견고한 결합을 위해 인접한 프레임(1a와 3a, 3a와 1b, 1b와 3b, 3b와 1a)을 완전히 고정시켰던 종래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에 소품들이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에는 다양한 소품들이 끼움슬릿 (5a,5b,7a,7b)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먼저 a 경우, 벽걸이용 걸게(9c)가 상 프레임(3a)에 형성된 끼움슬릿(7a)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벽걸이용 액자와는 달리 걸게(9c)를 부착하기 위하여 못이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거나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를 벽걸이용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벽걸이용 걸게(9c)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b 경우와 같이 야간에 내용물을 아름답게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액자 배면에 부착되는 라이트 상자(13)에 간단한 끼움돌기(15)를 형성시켜 각 프레임에 형성된 끼움슬릿(5a,5b,7a,7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끼우는 방식으로 라이트 상자(13)를 액자에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에는 상기 벽걸이용 걸게(9c)나 라이트 상자(13) 이외에도 보다 다양한 소품들을 탈부착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게 된다.
도 4 는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를 스탠드형으로 배치하여 연결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는 스탠드형의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a 는 내용물을 사방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액자(100) 4 개의 전면이 사방을 향하도록 세워서 연결한 형태로써, 이때 "ㄱ" 자형으로 인접된 액자를 연결시키기 위한 "ㄱ" 자형 연결수단(9d)만으로 액자간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ㄱ" 자형 연결수단(9d)은 "ㄱ" 자형 끼움돌기(11)를 갖도록 구성도어 인접된 2 개의 프레임에 형성된 끼움슬릿(5a,5b)에 끼워진다.
또한, b 는 2 개의 액자(100)를 모두 전방을 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병풍형 배치로써, 이 경우에는 a 에서 사용된 동일한 "ㄱ" 자형 연결수단(9d)이 사용되어 액자간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도 5a 는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를 걸이형으로 다단 배치하여 연결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b 는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를 일직선상에 배치하여 연결한 상태를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는 걸이형의 다단 및 전면을 일직선상에 배치시킨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일직선상에 위치한 액자(10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ㄷ" 자형 연결수단(9b)이 사용된다.
여기서, 액자(100)를 걸이형으로 다단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ㄷ" 자형 연결수단(9b)을 상부에 위치한 액자의 하 프레임(1b)과 하부에 위치한 상 프레임(1a)의 끼움슬릿(7a,7b)에 각각 끼우는 방식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액자의 전면을 일직선상에 배치시켜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ㄷ" 자형 연결수단(9b)을 좌우측에 인접한 액자의 우 프레임(1b)과 좌 프레임(1a)에 형성된 끼움슬릿(5b,5a)에 각각 끼우는 방식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는 간단한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 및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하는 끼움슬릿(5a,5b,7a,7b)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배치 및 연결이 가능하게 되며, 반복적인 연결과 분리에도 특정 부위가 손상되거나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액자용 프레임의 사용시 연결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자의 사각 틀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 4 개(1a,1b,3a,3b)를 사각의 틀체를 이루도록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한다.
이후, 끼움돌기(11)가 "ㄱ" 자형으로 형성된 모퉁이 결합수단(9a)으로 사각의 모퉁이에서 인접되어 있는 프레임(1a와 3a, 3a와 1b, 1b와 3b, 3b와 1a) 끝단들을 모두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서 상기 "ㄱ" 자형 결합수단(9a)에 형성된 끼움돌기(11)를 2 개의 프레임(1a와 3a, 3a와 1b, 1b와 3b, 3b와 1a) 끝단의 끼움슬롯(5a와 7a, 7a와 5b, 5b와 7b, 7b와 5a)에 간단히 끼워 맞추며, 4 군데의 모퉁이에서 이를 동일하게 실시한다.
이로써, 액자의 사각 틀체가 완성된다.
또한, 패널 및 유리 그리고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사진, 삽화 등의 내용물을 상기 사각 틀체에 끼워 고정하며, 이것은 사각 틀체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나 그 이후에 진행한다.
이로써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액자의 좌우상하 프레임(1a,1b,3a,3b)에는 각각 장방향의 끼움슬릿(5a,5b,7a,7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끼움슬릿(5a,5b,7a,7b)에 끼워지는 간단한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액자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중, 액자 전면을 일직선상에 배치하여 연결하는 방식만을 생각하면, 먼저, 액자를 전면이 일직선상에 오도록 나란하게 배치한다.
이후, 좌우 인접한 액자의 우좌 프레임(1b,1a)에 형성된 끼움슬릿(5b,5a)에 "ㄷ" 자형 연결수단(9b)을 끼워넣어 좌우에 인접한 액자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ㄷ" 자형 연결수단(9b)을 인접된 액자 프레임에 형성된 상하 장방향의 끼움슬릿(5a,5b)에 차례로 끼우는 방식으로 액자들을 순서대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간단하게, 액자들을 일직선상에 배치 및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형태의 배치 및 연결 동작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액자용 프레임은 본 고안을 채택한 액자가 볼트나 접착제 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라이트 상자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다양한 소품들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되어, 전시효과를 높이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사각의 액자 틀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좌우 프레임의 배면에는 각각 상하 장방향의 끼움슬릿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 프레임의 배면에는 각각 좌우 장방향의 끼움슬릿이 소정 깊이로 더욱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
KR20-2003-0000685U 2003-01-09 2003-01-09 액자용 프레임 KR200312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685U KR200312557Y1 (ko) 2003-01-09 2003-01-09 액자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685U KR200312557Y1 (ko) 2003-01-09 2003-01-09 액자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557Y1 true KR200312557Y1 (ko) 2003-05-13

Family

ID=4940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685U KR200312557Y1 (ko) 2003-01-09 2003-01-09 액자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5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92B1 (ko) * 2011-12-01 2012-05-18 (주) 파루 평판형 엘이디 등기구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92B1 (ko) * 2011-12-01 2012-05-18 (주) 파루 평판형 엘이디 등기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2336A (en) Interconnecting "full bleed" modular panel and connective hardware system to form a variety of exhibit and office interior enclosures
JPH04221515A (ja) ポスター類用の額縁
US4991813A (en) Frameless portable display
KR200312557Y1 (ko) 액자용 프레임
JPH0232131Y2 (ko)
US9750357B2 (en) Frameless flat artwork mounting apparatus
CN215594560U (zh) 一种吊顶面板及无缝吊顶
CN210300443U (zh) 一种无钉双面画框
US20220108634A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Arrangement of Tiles
CN210002622U (zh) 一种多功能室内金属隔断
CN207370428U (zh) 一种模块化展览框架***
JP6260922B2 (ja) 展示部の着脱部材及び展示装置
US2824398A (en) Picture frame
JP6973760B1 (ja) 壁掛け具
JP2001218658A (ja) 商品展示具
JPH053091Y2 (ko)
CN209450213U (zh) 一种展示柜
KR102657854B1 (ko) 전시 부스용 목재 조립식 패널
JP3226253U (ja) 間仕切りパネル
JPS5936605Y2 (ja) 壁埋込み型収納棚
CN208335662U (zh) 双面卡布铝材
KR200176329Y1 (ko) 상품 진열용 걸이대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KR101683236B1 (ko) 복수의 다각 기둥 형 박스의 결합 장치
JP3023739U (ja) 建物の幅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