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421Y1 - 다기능 필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421Y1
KR200312421Y1 KR20-2003-0002292U KR20030002292U KR200312421Y1 KR 200312421 Y1 KR200312421 Y1 KR 200312421Y1 KR 20030002292 U KR20030002292 U KR 20030002292U KR 200312421 Y1 KR200312421 Y1 KR 200312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writing instrument
needle
fitted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선
Original Assignee
배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선 filed Critical 배용선
Priority to KR20-2003-0002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1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com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필기구의 상단 외주면에는 로드가 착탈 가능하면서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로드가 중간에서 상부 및 하부 부분으로 나뉘어져 하부 로드가 상부 로드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하단에는 침이 형성되되 상기 침의 말단이 상기 필기구의 말단과 동일선 상에 있도록 로드 및 침의 길이가 설정되고, 상기 로드에서 상기 필기구와 대면하는 쪽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서 상기 필기구와 대면하는 쪽의 절첩 부분에는 클립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기능 필기구에 의하면, 로드가 펼쳐지면 컴퍼스와 자로서 기능하면서도 로드가 절첩되면 클립으로서 기능하므로 사용자가 컴퍼스와 자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원이나 직선을 그릴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에도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필기구{A MULTIFUNCTIONAL PENCIL}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퍼스와 자의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휴대하기에 간편한 다기능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필기구를 이용하여 원을 그리고자 할 때에, 필기구를 별개의 컴퍼스에 끼워서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필기구를 이용하여 직선을 그리고자 할 때에, 필기구를 별개의 자에 대고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이나 직선을 그리기 위해서, 별개의 제품으로 제조되어 판매되는 필기구, 컴퍼스, 자를 각각 모두 구비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기구의 상단 외주면에는 로드가 착탈 가능하면서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로드가 중간에서 상부 및 하부 부분으로 나뉘어져 하부 로드가 상부 로드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하단에는 침이 형성되되 상기 침의 말단이 상기 필기구의 말단과 동일선 상에 있도록 로드 및 침의 길이가 설정되고, 상기 로드에서 상기 필기구와 대면하는 쪽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서 상기 필기구와 대면하는 쪽의 절첩 부분에는 클립용 돌기가 형성된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로드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로드가 필기구에 대하여 소정각도 벌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에서 로드가 필기구에서 분리된 후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배면도, 및
도 7은 도 6에서 로드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도 3에서 로드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기구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양단이 벌어지면서 결합되는 링 형상의 탄성 결합부가 끼워지고, 상기 탄성 결합부의 일단에는 지지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로드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공이 끼워지고, 상기 로드는 중간에서 상부 및 하부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 부분의 하단 일측 및 상기 하부 부분의 상단 일측에는 각각 핀구멍이 돌출되어 서로 중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핀구멍에는 핀이 끼워진 후 리베팅 결합되되 상기 하부 부분이 상기 상부 부분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드의 하부 부분의 하단에는 침이 형성되되 상기 침의 말단이 상기 필기구의 말단과 동일선 상에 있도록 로드 및 침의 길이가 설정되고, 상기 로드에서 상기 필기구와 대면하는 쪽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서 상기 눈금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하부 부분이 상기 상부 부분에 절첩되었을 때 맞닿는 부분이 서로 끼워 맞춤되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상부 부분의 단차부의 상단에는 상기 침을 수용하기 위한 침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서 상기 필기구와 대면하는 쪽의 핀에는 클립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는, 로드(20)가 필기구(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면서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필기구(1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탄성 결합부(20)를 개재하여 로드(30)가 설치된다. 탄성 결합부(20)는 양단이 벌어지면서 결합되는 링 형상을 갖는다. 탄성 결합부(20)의 일단에는 지지대(21)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지대(21)의 내측에는 힌지축(23)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20)의 상단에는 힌지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 결합부(20)의 지지대(21)의 힌지축(23)에는 로드(30)의 힌지공(31)이 끼워진다.
로드(30)는 중간에서 상부 및 하부 부분(30a, 30b)으로 나뉘어져 있다. 상부부분(30a)의 하단 일측 및 하부 부분(30b)의 상단 일측에는 각각 핀구멍(33)이 돌출되어 서로 중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부분(30a, 30b)의 핀구멍(33)들은 핀(35)에 의해 리베팅 결합된다. 여기에서, 핀(35)은 하부 부분(30b)이 상부 부분(30a)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되도록 리베팅 결합되어야 한다.
또한, 로드(30)의 하부 부분(30b)의 하단에는 침(3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로드(30) 및 침(37)의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37)의 말단이 필기구(10)의 말단과 동일선 상에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를 컴퍼스로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도 3 상태의 로드(30)를 탄성 결합부(20)에 대하여 회동시켜 로드(30)가 필기구(10)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로 벌어지게 한 후 로드(30)의 하단에 형성된 침(37)을 중심으로 필기구(10)를 회전시키면, 필기구(10)가 원을 그리게 된다.
또한, 로드(30)에서 필기구(10)와 대면하는 쪽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눈금(39)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30)에서 눈금(39)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의 가장자리에는 하부 부분(30b)이 상부 부분(30a)에 절첩되었을 때 맞닿는 부분이 서로 끼워 맞춤되는 단차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를 자로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로드(30)를 탄성 결합부(20)에서 분리한 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0)의 상부 및 하부 부분(30a, 30b)을 펼치면, 로드(30)에서 눈금(39)이 형성된 부분이 일직선으로 되면서 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하부 부분(30b)이 상부 부분(30a)에 절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로드(30)의 상부 부분(30a)의 단차부(32)의 상단에는 하부 부분(30b)이 상부 부분(30a)에 절첩되었을 때 침(37)을 수용하기 위한 침 수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드(30)의 상부 부분(30a)에서 필기구(10)와 대면하는 쪽의 핀(35)에는 클립용 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0)가 탄성 결합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부분(30b)이 상부 부분(30a)에 절첩되면, 로드(30)가 웃옷 주머니에 꽂혀질 수 있게 하는 클립으로서 기능하므로 본 고안의 다기능 필기구는 휴대하기에도 간편하게 된다.
필기구(10)로서는 연필, 샤프 펜슬, 볼펜, 만년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에 따르면, 로드가 펼쳐지면 컴퍼스와 자로서 기능하면서도 로드가 절첩되면 클립으로서 기능하므로 사용자가 컴퍼스와 자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원이나 직선을 그릴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에도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필기구(1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양단이 벌어지면서 결합되는 링 형상의 탄성 결합부(20)가 끼워지고,
    상기 탄성 결합부(20)의 일단에는 지지대(21)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1)의 내측에는 힌지축(23)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23)에는 로드(30)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공(31)이 끼워지고,
    상기 로드(30)는 중간에서 상부 및 하부 부분(30a, 30b)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 부분(30a)의 하단 일측 및 상기 하부 부분(30b)의 상단 일측에는 각각 핀구멍(33)이 돌출되어 서로 중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핀구멍(33)들에는 핀(35)이 끼워진 후 리베팅 결합되되 상기 하부 부분(30b)이 상기 상부 부분(30a)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드(30)의 하부 부분(30b)의 하단에는 침(37)이 형성되되 상기 침(37)의 말단이 상기 필기구(10)의 말단과 동일선 상에 있도록 로드(30) 및 침(37)의 길이가 설정되고,
    상기 로드(30)에서 상기 필기구(10)와 대면하는 쪽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눈금(39)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30)에서 상기 눈금(39)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하부 부분(30b)이 상기 상부 부분(30a)에 절첩되었을 때 맞닿는 부분이 서로 끼워 맞춤되는 단차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30)의 상부 부분(30a)의 단차부(32)의 상단에는 상기 침(37)을 수용하기 위한 침 수용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30)에서 상기 필기구(10)와 대면하는 쪽의 상기 핀(35)에는 클립용 돌기(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필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10)는 연필, 샤프 펜슬, 볼펜, 만년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필기구.
KR20-2003-0002292U 2003-01-24 2003-01-24 다기능 필기구 KR200312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92U KR200312421Y1 (ko) 2003-01-24 2003-01-24 다기능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92U KR200312421Y1 (ko) 2003-01-24 2003-01-24 다기능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421Y1 true KR200312421Y1 (ko) 2003-05-12

Family

ID=4940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292U KR200312421Y1 (ko) 2003-01-24 2003-01-24 다기능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4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419B1 (en) Foldable writing implement
US6270274B1 (en) Pen for receiving eyeglasses
JP2002522135A (ja) メガネとメガネケースとの組み合わせ
KR200452277Y1 (ko) 조명볼펜
KR200312421Y1 (ko) 다기능 필기구
KR200441250Y1 (ko) 다목적 필기구
US6257789B1 (en) Writing instrument
KR200441249Y1 (ko) 다목적 필기구
US5240338A (en) Multifunctional drawing and writing instrument
US6702500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ombination pocket clip and stylus assembly
KR200452366Y1 (ko) 필기구
KR200391791Y1 (ko) 길이가 연장되는 접이식 볼펜
KR200350834Y1 (ko) 직선 작도용 롤러를 가진 필기구
KR200459247Y1 (ko) 레이저 포인터를 일체화한 컴퍼스
KR200391013Y1 (ko) 필기구 조립체
KR200366058Y1 (ko) 결합펜
KR200167895Y1 (ko) 문서걸이가장착된모니터
KR200310259Y1 (ko) 다용도 펜
JPH053347Y2 (ko)
KR200218256Y1 (ko) 필기구 휴대장치
JPS6345345Y2 (ko)
KR200370579Y1 (ko) 손잡이가 부착된 책 카버
KR20170003246U (ko) 스마트기기용 터치펜과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볼펜
KR200382021Y1 (ko) 화이트 보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필통
KR200280251Y1 (ko) 필기구가 구비된 부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