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092Y1 - 배수방습판 - Google Patents

배수방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092Y1
KR200311092Y1 KR20-2002-0036570U KR20020036570U KR200311092Y1 KR 200311092 Y1 KR200311092 Y1 KR 200311092Y1 KR 20020036570 U KR20020036570 U KR 20020036570U KR 200311092 Y1 KR200311092 Y1 KR 200311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concrete
protrusion
moisture
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기
박철현
Original Assignee
박용기
박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기, 박철현 filed Critical 박용기
Priority to KR20-2002-0036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방습판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하부의 방습을 위한 별도의 통풍과 콘크리트의 낙하방지를 위한 층을 따로 형성시키지 않고 자체적으로 통기성을 갖으면서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도 높이고 와이어메쉬(51)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본체(10)의 상부에 상부돌기(20)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방습을 위한 통기성을 갖기 위해 상기 상부돌기(20)의 일측에 유입공(24)이 상기 배수본체(10) 하부와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배수본체(10)의 하부이면서 상기 상부돌기(20)와 어긋나게 일정간격으로 하부돌기(3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방습판 {A Drainage Waterproof Plate}
본 고안은 지하구조물의 실내공간에 습기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배수방습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하부의 방습을 위한 별도의 통풍과 콘크리트의 낙하방지를 위한 층을 따로 형성시키지 않고 자체적으로 통기성을 갖으면서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도 높이고 와이어메쉬의 간격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배수방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지중에 매설되는 지하구조물은 지상에 노출되는 지상구조물과는 달리 누수, 결로, 습도 등으로 인하여 지하구조물의 내부공간에 보관되는 물품들이 쉽게 변질될 우려가 높고,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불쾌한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부터 지하구조물을 구축할 때, 벽체나 바닥슬라브를 통한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과 구조로서 방수공사를 시행하여서 지하구조물의 내부환경을 개선하여 왔다.
그러나 지하구조물의 누수현상을 방지한다고 하여도 지하구조물의 내부공간이 여전히 다습한 상태로 남아있는 것이 통례이다. 그 이유는 지하구조물의 결로현상에 대하여 충분한 고려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다습한 상태로 남아있는 지하구조물의 내부공간은 사람이 거주하거나 물품을 보관하는 장소로 적합하지 못하여, 나름대로 중요하게 활용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개발되어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특1990-001339호의 기술내용을 보면, 지하실의 바닥면에 유입되는 침투수가 지하실의 내벽체 및 상부슬라브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내벽체 및 상부슬라브로 구획되는 지하실의 내부공간이 항시 쾌적한 습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건축물의 외벽체에 내측으로 위치되는 내벽체는 바닥면의 상부와 내벽체의 하부에 합성수지제 방습벽돌층이 형성되도록 한 후에 조적하여 형성하고, 상기 내벽체의 내부바닥면에는 합성수지 팔레트를 전체에 걸쳐서 깔아 팔레트층을 형성하며, 상기 팔레트층의 상부면에는 부직포를 깔아서 부직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부직포의 상부면에는 상부슬라브를 형성하는 공사방법을 통해 방습기능을 얻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습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 사용되는 배수방습판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을 이루는 바닥슬라브(100)나 외벽체로부터 물과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되도록 격리간격을 유지하여 지하구조물 내측의 마감바닥(200)이나 마감벽체에 결로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일정한 크기의 평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평판부(101)와, 상기 평판부(101) 전체 면적에 걸쳐서 등간격마다 요입형성되어 일정한 높이로서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받침기둥(102)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배수방습판은 지하구조물의 바닥슬라브(100)와 마감바닥(200), 외벽체와 마감벽체 사이에 물과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시키기 위한 격리간격을 유지하여 주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평판부(101)에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기둥(102)들이 마감바닥이나 마감벽체의 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배수방습판은 그 재질적인 특성상 하중에 대한 감당능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마감바닥을 설치할 때에 그 마감바닥(200)이 배수방습판의 받침기둥(102)에 채워져서 배수방습판의 하중 감당능력을 보완하여 주도록 시공하게 되었다.
이때, 배수방습판의 받침기둥(102)은 그 하부 바닥면이 바닥슬라브(100)의 표면에 접지되어서, 바닥슬라브(100)와 열교환하여 배수방습판의 받침기둥(102) 내에 채워진 마감바닥(200)에 열전달시키는 역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배수방습판의 단열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합성수지 팔레트의 받침기둥(102)은 바닥슬라브(100)의 온도를 마감바닥(200)에 열전달시켜서, 마감바닥(200)에 내외면의 온도편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배수방습판의 방습기능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었다.
또한 배수방습판 상측으로 와이어메쉬를 위치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데, 부직포층에 의한 부착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메쉬를 배수방습판 자체 위치로부터 일정높이를 간격유지시켜 주기 위해 별도의 간격재가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부직포를 배수방습판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작업공정과 자재가 소요되며, 방습을 위해 통기될 공간도 빈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콘크리트 하부의 방습을 목적으로 별도의 통풍 및 콘크리트 낙하방지를 위한 자체적으로 통기성을 갖으면서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도 높이고 와이어메쉬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으며, 방습을 위해 통기될 충분한 공간도 확보될 수 있는 배수방습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실시예에 의한 배수방습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방습판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돌기의 분리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방습판의 상부돌기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방습판의 상측에 와이어메쉬가 위치되면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방습판의 상측에 상부돌기 대신 통기개구부가 관통형성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응용실시예로 하부에 원통형 대신 십자형의 하부돌기가 일체형성된 배수방습판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배수방습판이 설치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본체 12 : 끼움돌기
13 : 끼움공 20 : 상부돌기
21 : 상부층 22 : 중간층
24 : 유입공 25 : 중간개구부
26 : 외측유출공 27 : 내측유출공
28 : 유입공받침대 30 : 하부돌기
31 : 충진홈 32 : 하부지지대
33 : 중간지지대 41 : 통기개구부
50 : 콘크리트 51 : 와이어메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수방습판은, 배수본체의 상부에 상부돌기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방습을 위한 통기성을 갖기 위해 상부돌기의 내측에 다수의 유입공이 배수본체 하부의 본체개구부와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되며, 배수본체의 하부에 상부돌기와 어긋나게 일정간격으로 하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돌기는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를 높이면서 콘크리트에 매설될 와이어메쉬와 배수본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배수본체보다 높게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돌기는 콘크리트 타설시 자갈이나 몰탈이 본체개구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유입공 하측의 상기 본체개구부 상측으로 유입공받침대가 일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돌기는 콘크리트의 방습을 위해 배수본체에서 그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관통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통기개구부로 대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돌기는 원형형태로 하향돌출되면서 그 내부하측으로는 바닥과의 접지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하부지지대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돌기는 바닥과의 일정접지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십자 기둥형태로 하향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습배수판은 배수본체(10)의 상부에 상부돌기(20)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20)의 사방이면서 상기 배수본체(1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하부돌기(30)가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상부돌기(20)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본체(10)상측으로 일정하게 중간층(22)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22) 상측으로는 상부층(21)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부층(21)은 그 사방 내측에 공기가 통하거나 콘크리트(50) 타설시 포함된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통기는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층(21)의 유입공(24)이 관통형성되고, 중간층(22)에는 유입공(24)을 따라 공기가 하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중간개구부(25)가 상기 유입공(24)의 위치 바로 하측부위를 포함하여 그 사방 측부 일측에 관통형성된다.
또한 배수본체(10) 일측에는 일정하게 중간층(22)의 중간개구부(25)와 같은 위치가 관통되되, 상부층(21)의 유입공(24) 바로 하측의 위치에는 콘크리트(50)의 골재나 몰탈 등이 떨어지거나 흐르지 않도록 유입공받침대(28)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받침대(28)의 외측에는 외측유출공(26)이 관통형성되면서 상기 유입공받침대(28)의 내측에는 내측유출공(27)이 관통형성된다.
아울러 상부돌기(20) 상부에 위치한 다수의 유입공(24)과 이어지는 중간개구부(25)를 비롯한 내외측유출공(27)(26)을 통해 배수본체(10) 하부의 하부돌기(30) 사이와 상기 배수본체(10) 상부의 콘크리트(50)가 공기로 연결됨으로써 공기순환에 의해 방습효과가 생기고, 상기 상부돌기(20)의 돌출로 인한 하측의 내부공간증가로 방습을 위한 공기층이 형성되며, 아울러 배수공간도 확대되게 된다.
또한 상부돌기(20)는 콘크리트(50) 타설시 와이어메쉬(51)(Wire Mesh)와 배수본체(10)의 상하간격을 이격시키는 간격재(Spacer) 역할과 콘크리트(50)와 상기 배수본체(10)의 부착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돌기(30)(30a)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됨으로써 콘크리트(50)가 충진되어 크랙 발생이 감소되고, 콘크리트(50)와 배수본체(10)의부착강도가 증대되도록 충진홈(31)이 요홈형성되며, 상기 충진홈(31)의 하부에는 충진된 콘크리트(50)에 잔존하는 하측의 수분이 맞닿아 스며들지 않도록 이격시키면서 콘크리트(50)를 비롯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지지대(32)가 일체형성된다.
또한 하부지지대(32)의 내부 중간에는 하부돌기(30)(30a)의 변형방지 및 상기 하부지지대(32)로의 수직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중간지지대(33)가 지지형성된다.
따라서 지하구조물을 이루는 바닥슬라브나 외벽체로부터 물과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되도록 격리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지하구조물 내측의 마감바닥이나 마감벽체에서 지중의 찬기운이 완벽하게 차단되어 내부로 열전도가 불가능하므로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배수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팽창공기압에 의한 공기순환으로 콘크리트(50) 속의 습기나 공간벽체 속의 습기를 마르게 하여 누수를 방지하며 풍화작용을 억제하여 건물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배수본체(10)의 연결된 두 측부에는 다른 배수본체(10)와 연결형성되도록 끼움돌기(12)가 일정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배수본체(10)의 연결된 다른 두 측부에는 다른 배수본체(10)의 상기 끼움돌기(12)에 끼움형성되어 배수본체(10)들이 연결되도록 끼움공(13)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부돌기(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습을 위한 콘크리트(50)의 통기성만을 위해 콘크리트(50)에 포함된 공기만 유통되도록, 배수본체(10)에서 막대형상이면서 그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관통형성된 다수의통기개구부(41)로 대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돌기(30)(30b)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과의 일정접지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콘크리트 하중을 견뎌 지지될 수 있도록 십자 기둥형태로 하향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방습판의 시공 및 작동과정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살펴보면, 하부바닥의 시공될 위치에 끼움공(13)을 통해 끼움돌기(12)를 끼움으로써 배수본체(10)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배수본체(10) 상부에 별도의 간격재(도면도시 생략)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메쉬(51)를 배치시킨다.
그리고 방습을 위한 상부돌기(20)의 유입공(24)으로 콘크리트(50)에 포함된 골재가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없이 와이어메쉬(51)가 배치된 배수본체(10) 위로 콘크리트(50)를 타설시킨다.
이때 콘크리트(50)에 포함된 물은 상부돌기(20)가 상부로 돌출되어 잘 배수되지 않아 양생 후의 크랙을 방지하고 물과 상대적으로 자중이 높은 다른 자갈이나 몰탈 등의 골재는 유입공받침대(28)에 걸려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 양생기간이 지난 후에는 내외측유출공(27)(26)에 이어지는 유입공(24)을 통해 공기가 콘크리트(50)에 계속 접촉되어 방습효과를 갖으며, 하부돌기(30)의 하부지지대(32)와 중간지지대(33)에 의해 타설된 상측의 콘크리트(50)를 하부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결로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방습판은 콘크리트 하부의 방습을 위한 별도의 통풍 및 콘크리트의 낙하방지를 위한 자체적으로 통기성을 갖으면서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도 높이고 와이어메쉬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으며, 방습 및 결로현상의 방지를 위해 통기될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배수본체(10)의 상부에 상부돌기(20)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방습을 위한 통기성을 갖기 위해 상기 상부돌기(20)의 일측에 유입공(24)이 상기 배수본체(10) 하부와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배수본체(10)의 하부이면서 상기 상부돌기(20)와 어긋나게 일정간격으로 하부돌기(3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방습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20)는 콘크리트(50)와의 부착강도를 높이면서 콘크리트(50)에 매설될 와이어메쉬(51)와 배수본체(10)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배수본체(10)보다 높게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방습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20)는 콘크리트(50) 타설시 자갈이나 몰탈이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으면서 통기는 가능하도록 유입공(24) 하측의 배수본체(10) 내외측에 각각 내외측유출공(27)(26)이 관통형성되면서 유입공받침대(28)가 일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방습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20)는 콘크리트(50)의 방습을 위해 배수본체(10)에서 그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관통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통기개구부(41)로 대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방습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기(30)(30a)는 원형형태로 하향돌출되면서 그 내부하측으로는 바닥과의 일정접지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하부지지대(33)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방습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기(30)(30b)는 바닥과의 일정접지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십자 기둥형태로 하향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방습판.
KR20-2002-0036570U 2002-12-06 2002-12-06 배수방습판 KR200311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70U KR200311092Y1 (ko) 2002-12-06 2002-12-06 배수방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70U KR200311092Y1 (ko) 2002-12-06 2002-12-06 배수방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092Y1 true KR200311092Y1 (ko) 2003-04-26

Family

ID=4933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570U KR200311092Y1 (ko) 2002-12-06 2002-12-06 배수방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0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58B1 (ko) * 2006-09-29 2008-03-07 주식회사 하나건철 절곡된 금속부재의 적재 및 운반용 파렛트
KR101043454B1 (ko) 2009-07-10 2011-06-23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58B1 (ko) * 2006-09-29 2008-03-07 주식회사 하나건철 절곡된 금속부재의 적재 및 운반용 파렛트
KR101043454B1 (ko) 2009-07-10 2011-06-23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83460A (en) L-shaped means for dampproofing basements forming passageways between foundation floor and wall
US20080184660A1 (en) Basement wall and floor system
GB2373797A (en) Water drainage panel for basement
US6477811B1 (en) Damp-proof base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CA1073625A (en) Modular homes
KR20220031828A (ko)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101764160B1 (ko) 조립식 온돌패널
KR200311092Y1 (ko) 배수방습판
KR101895924B1 (ko)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갖는 이격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59724B1 (ko) 건축물용 바닥 시공재
KR20120118705A (ko) 지하수 배수장치
US7017309B2 (en) Waterproof sealing system for a building foundation
EP2365146A1 (en) Wall structure for wet-rooms and method of producing it
JP3641038B2 (ja) 外断熱基礎構造
KR200315204Y1 (ko) 조립식 건식 온돌패널구조
FI76613B (fi) Foerfarande och formelement foer att aostadkomma en vaerme- och vattenisolerande oevergaong mellan en av betong gjutbar grundplatta och avgraensande omraode.
KR200339209Y1 (ko) 온돌패널구조
JP3886744B2 (ja) 住宅の陸屋根
Pazderka et al. Two innovative solutions based on fibre concrete blocks designed for building substructure
KR200399882Y1 (ko) 지하이중벽의 내벽 구축용 패널의 설치구조
CN215054097U (zh) 一种窗口防火隔离带保温节点构造
CN214383972U (zh) 卫生间淋浴房的防水结构
KR20130116517A (ko) 단열배수판
KR200245725Y1 (ko) 지하구조물 방습용 합성수지팔레트
CZ30042U1 (cs) Železobetonová prefabrikovaná tvarovka podzemní provětrávané předstěny budov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