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493A -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493A
KR20030096493A KR1020020033007A KR20020033007A KR20030096493A KR 20030096493 A KR20030096493 A KR 20030096493A KR 1020020033007 A KR1020020033007 A KR 1020020033007A KR 20020033007 A KR20020033007 A KR 20020033007A KR 20030096493 A KR20030096493 A KR 2003009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image
thumbnail
picture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6493A/ko
Publication of KR2003009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생중에 탐색기능이 선택되면 이전에 재생된 기저영상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축소영상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기저영상의 위치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1단계와 상기 변환되는 각 축소영상을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나열 표시하는 2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축소영상 중 임의의 축소영상이 선택되면 해당 축소영상과 연계 저장된 기저영상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그 기록위치에서부터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재생중에 탐색기능이 선택되면 이전에 재생된 기저영상을 축소영상으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여 주되, 다수개의 축소영상이 한 화면상에 순차적으로 나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축소영상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표시되는 축소영상 중 임의의 축소영상을 용이하게 선택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a thumbnail picture in optical disc driver}
본 발명은 탐색기능을 수행할 때 특정 간격마다 기저영상을 독출하여 축소영상으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나열 표시되도록 하는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와 같은 광디스크 장치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여 모니터나 텔테비전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
상기 광디스크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D와 같은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광픽업(11)과 상기 광픽업(11)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를 RF(Radio Frequency) 신호처리하는 RF 처리부(12), 상기 RF 처리부(12)로부터 입력되는 재생신호를 신호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13), 상기 광픽업(11)을 이동시키기 위한 슬레드 모터(14), 광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15), 상기 슬레드 모터(14)와 스핀들 모터(15)를 구동시키는 구동 드라이버(16), 상기 구동 드라이버(16)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광픽업(11)에 대한 트랙킹 제어나 포커싱 제어를 수행하는 서보 콘트롤러(17),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18), 상기 마이컴(18)에서 필요한 각종 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디스크 장치는 외부로부터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재생목록 정보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광디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광디스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영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 장치는 특정키의 입력신호에 따라 강제적으로 재생위치를 전환하거나 특정 영역부터 재생하는 기능이 제공되는데, 사용자에 의해 재생시간이 입력되면 광디스크에서 제공되는 재생정보를 참조하여 광디스크의 해당 영역부터 재생하여 준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재생속도를 변화시켜서 재생하여 주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배속재생은 주로 사용자가 많은 영상정보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다음 재생위치의 탐색은 통상 사전에 약속된 예컨대, GOP(Group Of Picture) 등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별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광디스크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탐색기능이 요청되면, 일정 간격마다 영상정보를 읽어내어 정지영상으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각 정지영상이 매우 빠르게 다음 정지영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탐색기능이 요청되면 이전에 재생된 기저영상을 축소영상으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나열 표시하여 주도록 하는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소영상 표시방법이 적용되는 광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이 각 I-픽처를 탐색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픽처의 축소영상과 이와 연계 저장되는 I-픽처 어드레스의 메모리 맵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소영상이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나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픽업12 : RF
13 :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 : 슬레드 모터
15 : 스핀들 모터16 : 모터 드라이버
17 : 서보 콘트롤러18 : 마이컴
19 : 메모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은 재생중에 탐색기능이 선택되면 이전에 재생된 기저영상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축소영상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기저영상의 위치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1단계와 상기 변환되는 각 축소영상을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나열 표시하는 2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축소영상 중 임의의 축소영상이 선택되면 해당 축소영상과 연계 저장된 기저영상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그 기록위치에서부터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그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전술한 일반적인 광디스크 장치의 구성과 매우 유사하므로 도 1의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광디스크가 데크에 안착된 다음 사용자에 의해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마이컴(18)은 서보 콘트롤러(17)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서보 콘트롤러(17)는 상기 제어신호를 근거로 모터 드라이버(16)를 구동 제어하게 된다. 모터 드라이버(16)는 슬레드 모터(14)와 스핀들 모터(15)를 구동하여 광디스크가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과 더불어 픽업(11)이 소정의 위치를 찾아가도록 하게 된다.
이어서, 픽업(11)은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게 되고, 상기 독출된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에서 디지털 신호처리된 다음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됨으로써 통상의 광디스크 재생 동작이 이루어진다(S10). 이때, 마이컴(18)은 I-픽처가 재생될 때마다 해당 위치정보를 메모리(19)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영상 탐색을 위한 소정의 탐색키가 입력되면(S11), 마이컴(18)은 현재 시점의 재생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탐색키가 입력된 현재 시점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19)에 저장하고, 메모리(19)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각 I-픽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서보 콘트롤러(17)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전에 재생된 I-픽처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픽업(11)을 이동시켜 I-픽처를 독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12). 서보 콘트롤러(17)는 마이컴(18)의 제어하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상의 I-픽처가 위치되는 지점으로 픽업(11)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픽업(11)에 의해 독출된 I-픽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에 의해 축소영상으로 변환(S13)되어 해당 I-픽처의 위치정보와 연계되어 차례로 저장(S14)되는데, 메모리(19)에 저장되는 축소영상 및 어드레스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연관성이 있게 저장된다.
상기에서 독출된 I-픽처들을 그대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디스플레이시 축소 영상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축소영상을 차례대로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른 화면부터 재생, 캡처 등의 동작을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생된 I-픽처의 저장시 상기 픽처의 어드레스를 함께 연계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변환된 축소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어 표시되는데, 마이컴(18)은 현재 변환된 축소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기 전에, 이전에 변환된 축소영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15), 이전에 변환된 축소영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예컨대 최초 I-픽처를 축소영상으로 변환한 경우 이전에 변환된 축소영상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현재 변환된 축소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6). 최초의 I-픽처가 변환된 축소영상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상의 우측 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영상이 축소영상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도중 어느 때라도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축소영상을 선택하거나, 또는 현재 진행되는 탐색 기능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탐색 기능이 중지된 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통상의 재생동작을 수행하라는 등의 외부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컴(18)은 사용자에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축소영상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즉시 탐색 기능을 해제함과 더불어 현재는 하나의 축소영상이 존재하므로 상기 선택된 축소영상과 연계되어 메모리(19)에 저장된 어드레스를 근거로 서보 콘트롤러(13)를 제어하여 픽업(11)이 해당 I-픽처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동 제어하여 통상의 재생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수개의 축소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이컴(18)은 현재 진행되는 탐색 기능을 중지시키라는 외부 명령이 입력되면, 즉시 현재 진행중인 탐색기능을 중지하고 대기상태로 진입한 다음 이후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외부 입력을 대기하게 되는데, 탐색기능이 중지된 상태를 해제하라는 외부명령이 입력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탐색 기능이 중지된 시점부터 다시 탐색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탐색키가 입력된 시점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통상의 재생 동작을 수행 제어하게 된다.
한편, 마이컴(18)은 현재 축소영상이 변환된 상태에서 이전에 변환된 축소영상이 존재하면(이때 이전에 변환된 축소영상은 하나일 수도 있고, 다수개일 수도 있다), 이전에 변환된 축소영상 또는 축소영상들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공간적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현재 변환된 축소영상을 우측 상단에 디스플레이 제어하게 된다.
하나 또는 다수개의 축소영상이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과정은 도 5의 (A), (B) 및 (C)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최초 변환된 축소영상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상의 우측 상단에 표시되고, 이후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은 도 5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축소영상이 공간적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시프트된 다음 서로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나열 표시된다. 특히, 도 5의 (C)에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동시에 나열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축소영상들의 수를 예컨대, 8개로 한정하여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장 좌측 하단의 축소영상(TU-pic2)보다 먼저 축소영상으로 변환되어 표시되었던 축소영상(TU-pic1)이 시프트되어 디스플레이상에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보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탐색된 I-픽처를 축소영상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축소영상과 I-픽처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또 각 축소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은 사용자에 의한 외부 입력이 없는 한 통상 트랙상의 마지막 I-픽처까지 진행되는데, 마이컴(18)은 I-픽처를 축소영상으로 변환할 때마다 해당 I-픽처가 마지막 I-픽처인지를 판단하여(S20), 마지막 I-픽처까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처리가 끝나면 사용자에 의해 최초 탐색키가 입력된 영역부터 통상의 재생 동작을 수행 제어하게 된다(S21).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상에 축소영상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의 축소영상을 선택하는 외부 명령이 입력되면(S18), 마이컴(18)은 상기 선택된 축소영상(TU-pic8)과 연계 저장된 어드레스를 근거로 해당 I-픽처가 위치된 영역부터 통상의 재생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19).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다수개의 축소영상 중 하나의 축소영상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임의의 축소영상을 지시 및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임의의 축소영상으로 이동하고 선택하기 위한 소정의 방향이동키 및 선택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향이동키가 입력되어질 때마다 현재 지시된 축소영상에서 해당 방향의 이웃하는 축소영상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선택키를 이용하여 현재 지시된 축소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재생중에 탐색기능이 선택되면 이전에 재생된 기저영상을 축소영상으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여 주되, 다수개의 축소영상이 한 화면상에 순차적으로 나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축소영상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표시되는 축소영상 중 임의의 축소영상을 용이하게 선택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재생중에 탐색기능이 선택되면 이전에 재생된 기저영상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축소영상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기저영상의 위치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1단계;
    상기 변환되는 각 축소영상을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나열 표시하는 2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축소영상 중 임의의 축소영상이 선택되면 해당 축소영상과 연계 저장된 기저영상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그 기록위치에서부터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영상의 탐색방향은 재생방향의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현재 나열 표시되는 축소영상의 개수가 일정 수를 갖게 되면 새로운 축소영상을 표시할 때 가장 먼저 표시된 축소영상부터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KR1020020033007A 2002-06-12 2002-06-12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KR20030096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007A KR20030096493A (ko) 2002-06-12 2002-06-12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007A KR20030096493A (ko) 2002-06-12 2002-06-12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493A true KR20030096493A (ko) 2003-12-31

Family

ID=3238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007A KR20030096493A (ko) 2002-06-12 2002-06-12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649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253A (ko) * 1997-02-12 1998-10-26 이데이 노부유키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KR19990006778A (ko) * 1997-06-09 1999-01-25 이데이 노부유키 화상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화상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30056546A (ko) * 2001-12-28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썸네일 탐색화면을 제공하는 동영상 재생장치 및 썸네일탐색화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253A (ko) * 1997-02-12 1998-10-26 이데이 노부유키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KR19990006778A (ko) * 1997-06-09 1999-01-25 이데이 노부유키 화상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화상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30056546A (ko) * 2001-12-28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썸네일 탐색화면을 제공하는 동영상 재생장치 및 썸네일탐색화면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686B1 (ko) 광디스크 재생방법
KR20030096493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표시방법
JP2952877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とその再生方法
KR100589809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프리뷰 방법
KR100443273B1 (ko) 광디스크의 데이터 재생위치 지정 및 재생방법
KR100793191B1 (ko)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타이틀 프리뷰 제어방법
JP4780024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521915B1 (ko) 광 재생장치의 로딩 제어방법
KR101061011B1 (ko) 타이틀 재생 중 이전 및 이후 타이틀 프리뷰 재생방법
KR100304386B1 (ko) 광기록매체의네비게이션데이터제어방법
JP4295450B2 (ja) 多言語対応の情報再生装置
KR20040017414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타이틀 재생 이력 정보 관리방법
KR100275893B1 (ko) 디스크의 스크래치 보상 제어방법
KR0171742B1 (ko) 비디오디스크의 재생위치 제어장치와 그 방법
JPH0982070A (ja) ディジタルビデオ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ジタルビデオディスク装置に適用する映像検索方法
JPH11355714A (ja) 映像再生装置と映像データ記録方式
JP5280227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方法
KR20040037323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정지영상 표시방법
KR101031522B1 (ko) 복수의 타이틀 부분 편집장치 및 방법
KR100596871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자동 플레이 제어방법
KR20050122009A (ko) 메뉴 화면에서의 타이틀 내용 스캔 표시방법
KR20050058639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인덱스 디스크 작성 및 검색방법
KR20040062319A (ko) 축소영상을 이용한 기록위치 탐색방법
KR20050011036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확대 표시방법
KR20050058640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축소영상 스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