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566A - 식물생리활성 영양 보조물 - Google Patents

식물생리활성 영양 보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566A
KR20030087566A KR10-2003-0028939A KR20030028939A KR20030087566A KR 20030087566 A KR20030087566 A KR 20030087566A KR 20030028939 A KR20030028939 A KR 20030028939A KR 20030087566 A KR20030087566 A KR 20030087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ary supplement
physiologically active
lutein
presen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비. 루프스
치오마 제이. 이콘테
메리 에이. 머레이
오드라 제이. 데비즈
Original Assignee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3008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사 중의 식물생리활성물 결핍을 교정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에는 식물생리활성물: 루테인, 리코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다. 식사 중의 식물생리활성물 결핍은 매일 제공되는 과일 및 야채 권장량에 존재하는 상기 식물생리활성물의 양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의 상기 식물생리활성물을 투여함으로써 교정한다.

Description

식물생리활성 영양 보조물 {Phytonutrient Nutritional Supplement}
본 발명은 식사로 인한 식물생리활성물의 부족을 교정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수십년간, 상당수 사람들의 식습관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조사 결과 밝혀졌다. 예를 들면,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미국 일일 식사 권장 허용량 (U.S. Recommended Daily Dietary Allowance)을 만족하기에 적합한 양의 음식물 및 다양한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하고 있다. 다수의 건강 기관에서 권장 제공횟수에 관한 정보를 잘 공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립 암 연구소 연구 (National Cancer Institute Study)에서 피실험자 중 단지 22%만이 과일 및 야채의 일일 권장횟수에 해당하는 수의 과일 및 야채를 소비하고 있다.
대부분의 건강 지침은 각 개인이 매일 5 내지 9회 이상 제공되는 과일 및 야채를 소비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Dietary Guidelines for Californians, The California Daily Food Guide, California Department of Health Services (1990)). 몇몇 연구자들은 야채 및 과일 400 g을 목표량으로 하는 것이 매일 소비해야할 최적량으로서 적합한 목표임을 제안하고 있다. 다양성의 측면에서, 연구자들은 개인들이 하루에 3가지 이상의 상이한 색상을 갖는 과일 및 야채를 섭취해야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과일 및 야채의 부적합한 섭취에 대한 여러 조사에 따르면 통상적인 미국 시민의 식사인 "서양식 식사"가 식물생리활성물을 결핍시킨다는 결론이 증명되었다. 식물생리활성물은 통상적으로 매일 섭취할 경우 심장혈관 및 뼈의 건강을 개선하고, 항산화 프로파일을 개선하고, 자유 라디칼 피해를 감소시키며 신체의 면역계를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는 식물에서 유래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식물생리활성물의 권장량과 통상적인 서양식 식사의 섭취량 사이의 차이를 갭 (gap)으로 나타낸다. 하기 표 1은 2종의 식물생리활성물인 루테인과 리코펜에 대한 갭 분석을 나타낸다. 루테인은 녹엽 야채, 예를 들면 시금치에서 발견되는 식물생리활성물이다. 리코펜은 토마토에서 발견되는 식물생리활성물이다.
식물생리활성물 권장량 전형적인 미국식 식사
루테인 19.5 내지 25.6 mg 1.8 mg 20.75 mg
리코펜 4.2 내지 10 mg 2.2 mg 2 내지 7.8 mg
다른 식물생리활성물에서 보다 더 심화되는 이러한 갭은 건강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식물생리활성물이 풍부한 과일 및 야채의 섭취는 심각한 만성 퇴행성 질환, 예를 들면 암, 심장혈관 질환, 만성 황반 변성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관상 동맥 질환의 개시 및(또는)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세포 배양 연구에서 리코펜의 유방암 종양 억제능은 알파 및 베타-카로틴의 능력에 필적하였다. 리코펜이 강화된 세포 배양물은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리코펜보다 알파 및 베타-카로틴이 유방암 세포 성장의 억제에 있어서 훨씬 덜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레비 (Levy) 등의 문헌 [Lycopene is a More Potent Inhibitor of Human Cancer Cell Proliferation Than Either A-Carotene or Beta-Carotene, Nutrition Cancer, 24:257-266 (1995)]).
또다른 연구에서는 신선한 토마토 (리코펜의 주요 공급원)의 섭취 증가는 모든 위치의 소화 기관 암에 대한 보호 패턴과 연관이 있음을 밝혀냈다 (스톨 (Stall) 등의 문헌 [Lycopene: A Biologically Important Carotenoid for Humans?, Arc. Biochem. Biophys., 336:1-9 (1996)]). 41,847명의 폐경후의 여성들에 대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과일 및 야채 소비와 폐암 위험성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과일 및 야채를 매주 24회 이하에서 48회 이상으로 소비 횟수를 증가시킬 경우, 폐암 위험성은 대략 절반으로 감소됨을 발견하였다. 유사하게, 폐암의 위험성은 시금치 원료를 비롯한 녹엽 야채의 소비가 매주 1회 이하에서 6회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대략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스타인메츠 (Steinmetz)의 문헌 [Vegetables, Fruit and Lung Cancer in the Iowa Women's Health Study, Cancer Research, 53: 536-543 (1993)]).
전형적인 서양식 식사는 부적합한 소비 및 불균형적 음식 섭취로 인해 과일 및 야채에서 발견되는 이로운 식물생리활성물을 현저하게 결핍시킨다. 따라서, 상기 식물생리활성물의 식사 결핍을 교정할 기회가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상기 문제점은, 식물생리활성 영양 보조물이 최적의 식사와 통상적인 서양식 식사 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식물생리활성물의 고유한 조합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서 극복된다. 바람직한 보조물은 식물생리활성물: 루테인, 리코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중 3종 이상을 함유하지만,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보조물은 복수회 제공되는 과일 및 야채의 양과 등량의 3종 이상의 특정 식물생리활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식물생리활성물 섭취와 건강한 식물생리활성물 섭취 사이의 갭을 중개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보조물은 미국 식사 권장 허용량을 만족하기 위해 추천된, 10회 이상 제공되는 과일 및 야채에 존재하는 양과 등량의 루테인, 리코펜,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식사로 인한 식물생리활성물 결핍과 같은 식물생리활성물이 결핍된 것으로 알려진 환자에게 식물생리활성물: 루테인, 리코펜,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중 3종 이상을 유효량 함유하는 식이 보조물을 투여함으로써 식물생리활성물의 부족을 교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불량한 항산화 프로파일을 갖는 환자에게 식물생리활성물: 루테인, 리코펜,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중 3종 이상을 유효량 함유하는 식이 보조물을 투여함으로써 항산화 프로파일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은 사람의 신체에서 자유 라디칼 피해의 감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식물생리활성물: 루테인, 리코펜,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및 가능한 다른 식물생리활성물 중 3종 이상을 유효량 함유하는 식이 보조물을 투여함으로써 자유 라디칼 피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심장혈관 및 뼈의 건강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식물생리활성물: 루테인, 리코펜,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중 3종 이상을 유효량 함유하는 식이 보조물을 투여함으로써 심장혈관 및 뼈의 건강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식물생리활성물: 루테인, 리코펜,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중 3종 이상을 유효량 함유하는 식이 보조물을 투여함으로써 신체의 면역학적 반응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투여는 사실상 건강에 이로운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영양적으로 그리고 식물생리활성적으로 결핍된 식사를 소비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개선 또는 적어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난 식물생리활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은 부족한 식사로 인해 특정 퇴행성 질환 상태의 위험성과 연관되는 수준으로 악화된 식물생리활성물의 수준을 보충한다. 또한, 상기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은 항산화 및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정상적인 노화 프로세스 및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노출의 결과로 발생하는 자유 라디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최적의 건강을 나타내는 특정 생체지표, 예를 들면 타원형의 산화 부산물, 항산화 척도 및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의 상태를 개선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 및 인식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식물생리활성 식이 보조물에는 식물생리활성물: 루테인, 리코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중 3종 이상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생리활성물의 식사로 인한 결핍을 교정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식사로 인한 식물생리활성물 결핍과 같은 식물생리활성물이 결핍된 것으로 알려진 환자에게 식물생리활성물: 루테인, 리코펜,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중 3종 이상을 함유하는 식이 보조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I. 식물생리활성 보조물 조성물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식물생리활성 식이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에는 약 1 내지 약 10회 제공되는 과일 및 야채 중에 존재하는 상기 식물생리활성물의 양과 등량의 루테인, 리코펜,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의 양이 포함된다. 또한,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은 식물생리활성물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5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0회 제공되는 다양한 과일 및 야채에서 발견되는 항산화 포텐셜 (potential)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존재하는 식물생리활성물은 복수의 식물 물질, 예를 들면 시금치, 토마토, 사과, 나무딸기, 오렌지, 근대, 오크라, 석류, 쿠에르세틴, 오크, 천수국, 그레이프프루트, 딸기, 블루베리, 엘더베리, 로즈메리, 브로콜리, 당근 및 아세로라 체리부터 얻을 수 있으나,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루테인, 리코펜, EGCG, 엘락산, 헤스페리딘 및 쿠에르세틴 중 3종 이상을 함유하는 바람직한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에 존재하는 것과 등량을 갖는 과일 및 야채의 양을 설명할 것이다.
루테인의 바람직한 존재량은 약 1 내지 약 10회 제공되는 가공하지 않은 시금치 또는 브로콜리에 존재하는 루테인의 양과 동일하다. 1회 제공량은 상기 야채 약 1컵이다. 약 1 내지 약 10회 제공되는 가공하지 않은 시금치에 존재하는 루테인의 양은 약 1.9 내지 약 20 밀리그램 (mg)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 중 루테인의 함량이 약 3 내지 약 1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회 제공되는 가공하지 않은 시금치와 등량인 약 6 mg이다. 상기 양을 얻기위해 사용된 루테인의 또다른 원료는 천수국 추출물이다.
리코펜의 바람직한 존재량은 약 1회 내지 약 7회 제공되는 토마토에 존재하는 리코펜의 양과 동일하다. 1회 제공량은 토마토 1개이다. 약 1회 내지 약 7회 제공되는 토마토에 존재하는 리코펜의 양은 약 3 내지 약 20 mg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 중에 존재하는 리코펜의 함량은 약 2 내지 약 1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리코펜 약 3 mg이다.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 중 쿠에르세틴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개의 사과와 동일하다. 1회 제공량은 대형 사과 약 1개이다. 상기 사과의 제공 횟수에는 약 30 내지 약 300 mg의 쿠에르세틴이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에는 대형 사과 약 3 내지 5개 중의 쿠에르세틴의 양, 또는 쿠에르세틴 약 90 내지 150 mg이 포함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과 약 5개 중 쿠에르세틴의 양 또는 쿠에르세틴 약 150 mg이 포함된다.
엘락산은 약 1 내지 약 5회 제공되는 딸기 및(또는) 나무딸기와 등량으로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에 존재한다. 상기 과일의 1회 제공량은 약 1컵이다. 약 1 내지 약 5회 제공되는 상기 과일에는 엘락산 약 20 내지 150 mg이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 중 엘락산이 약 1.5회 제공되는 나무딸기 또는 딸기와 등량으로, 또는 엘락산 약 40 mg으로 존재한다. 엘락산은 석류, 나무딸기 및(또는) 딸기 추출물 또는 농축물 또는 과일로부터 직접 얻는 것을 비롯한 다양한 원료로부터 얻을 수 있다.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으로, 헤스페리딘은 약 1 내지 약 10회 제공되는 오렌지와 등량으로, 또는 헤스페리딘 약 15 내지 약 225 mg의 양으로 존재한다. 1회 제공량은 대형 오렌지 1개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헤스페리딘은 약 60 mg의 양으로 존재한다. 임의로, 헤스페리딘은 목적하는 오렌지 제공 횟수와 동일한 오렌지 추출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에 존재하는 EGCG에는 약 1 내지 약 5컵의 녹차에서 발견되는 EGCG의 양 또는 EGCG 약 25 내지 약 150 mg이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일 투여량에 존재하는 EGCG는 약 2.5회 제공되는 녹차 (또는 2.5 컵) 또는 EGCG 약 90 mg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EGCG 90 mg이 최소 95% 포텐시 (potency)의 폴리페놀, 75% 포텐시의 카테킨 및 40%의 EGCG를 제공하는 녹차 추출물을 통해 제공된다.
또다른 특수 성분이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에 포함될 수 있고, 블루베리, 엘더베리, 로즈메리, 브로콜리, 시금치, 당근 및 아세로라 체리 중 1종 이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추가 성분은 임의의 목적하는 형태, 예를 들면 분말, 추출물, 탈수화물, 펄프 및 농축물로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에 첨가할 수 있다.
임의로,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에는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 예를 들면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듐, 말토덱스트린, 규화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이산화 규소, 스테아르산, 히드록실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HPMC), 락토오스,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오로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희석제 및 다른 첨가제, 예를 들면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결합제, 충전제, 지지제, 증점제, 미각개선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화제, 조절제, 유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도 사용되는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은 사실상 추가의 비타민 또는 미네랄이 없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성분들이 첨가될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활성 식물생리활성물 함량을 나타낸다. 투여량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에 존재하는 활성 식물생리활성물
식물생리활성물 양/1일 (mg)
루테인 6
리코펜 3.1
EGCG 90
엘락산 40
헤스페리딘 60
쿠에르세틴 150
본 발명의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특정 실시양태를 하기 실시예에 나타낸다.
<실시예 1>
활성 식물생리활성물 및 특수 성분을 제공하는 정제 2개를 제조하였다. 하기 투여량 목록 (표 3)에서 단위 "일일 정제 2개 당 량"은 언급된 양이 정제 2개 중 mg의 수로 주어지는 것임을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서 정제 2개는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을 포함한다. 어떠한 양도 주어지지 않은 성분은 당업계의 표준물이고, 그 양은 목적하는 경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 포텐시"를 포함하는 성분은 특정 포텐시를 갖는 추출물이 사용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10% 포텐시"는 물질 100 g 당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제시된 식물생리활성물의 양이 10 g임을 의미한다. "최소"는 성분 중에 존재하는 활성 식물생리활성물의 최소량이다.
투여량 목록
성분 성분량(정제 2개/1일) 활성 식물생리활성물 성분량(정제 2개/1일)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듐 - -
말토덱스트린, M-510 - -
뉴트릴라이트 (NUTRILITE)식물생리활성 농축물 (하기 참조) 110 n/a
루테인 에스테르 비드렛 (Beadlet)(10% 포텐시) 12 6
규화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 -
천연 리코펜 비드렛 3.1 3.1
이산화 규소 - -
스테아르산, 분말, 야채 - -
수성 H.P.M.C. (5 centipoise) - -
녹차 추출물(최소 40% EGCG, 최소 95% 폴리페놀및 최소 75% 카테킨) 225 90
석류 추출물 (최소 40% 엘락산) 100 40
오렌지 추출물(최소 80% 헤스페리딘) 75 60
쿠에르세틴 (최소 90% 쿠에르세틴) 166.7 150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LLC (Access Business Group LLC, Ada, Michigan, United States)에서 시판중인 상기 표 3 중 뉴트릴라이트 식물생리활성 농축물은 블루베리 분말, 엘더베리 추출물, 로즈메리 추출물, 브로콜리 탈수화물, 시금치 분말, 당근 펄프 분말 및 아세로라 체리 농축물 중 2종 이상을 포함하고, 그 양은 일일 투여량 당 110 mg의 배합량과 등량으로 다양하다.
정제 2개는 하루에 모두 투여될 경우 전형적인 서양식 식사 중에 존재하는 식물생리활성물의 갭을 채우는데 기여한다.
상기 표에서, 언급된 성분을 과잉공급하여 완성된 제품들이 여러달 동안 보관된 후에도 표의 양들이 언급된 양으로 실제 존재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녹차 추출물, 석류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및 쿠에르세틴은 표 3에 언급된 활성 성분의 양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 10%, 10%, 50% 및 15% 과잉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3에 나열한 성분 중 녹차 추출물은 247.5 mg, 석류 추출물은 110 mg, 오렌지 추출물은 112.5 mg, 쿠에르세틴은 191.7 mg일 수 있다.
임의로, 추가의 식물생리활성물을 표 2의 성분에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스베라트롤을 하한으로 3 mg, 바람직하게는 6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mg, 상한으로 25 mg, 바람직하게는 18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mg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레스베라트롤의 원료에는 포도 씨, 포도 껍질 및 호장 (polygonum cuspidatum) 추출물이 포함된다. 또한, 술푸로판을 하한으로 50 mg, 바람직하게는 75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mg, 상한으로 300 mg, 바람직하게는 20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mg의 양으로 성분에 첨가할 수 있다. 술푸로판의 적합한 원료로는 최소 0.4% 포텐시의 브로콜리 싹 추출물, 또는 브로콜리 싹을 직접 이용한다.
II.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제조 방법
실시예 1에 나타낸 바람직한 식물생리활성 보조물 및 성분을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다른 투여 매체, 예를 들면 겔 정제, 캡슐, 액상 및 서방제제를 제약 산업에 잘 알려진 제조 기술에 따라서 제형화 및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 상기 표 3에 언급된 양의 녹차 추출물, 석류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및 쿠에르세틴을 이산화 규소에 첨가하고, 폴리백에 넣고, 균일하고 균질하게 혼합될 때까지 블렌딩하였다. 생성된 블렌드를 프리 블렌드 에이 (Pre-Blend A)라 하였다. 프리 블렌드 에이를 페터슨-켈리 캄파니 (Patterson Kelley Co., East Stroudsburg, Pennsylvania, USA)에서 시판하는 페터슨 켈리 (P.K.) 100 블렌더에 넣었다. 성분으로 루테인 에스테르 비드렛 (10% 포텐시), 천연 리코펜 비드렛, 뉴트릴라이트 식물생리활성 농축물 (표 3을 참조), 덱스트로스,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듐 및 규화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순서대로 스웨코 인코포레이티드 (Sweco, Inc., Florence, Kentucky, USA)에서 시판하는 20-메쉬 스크린이 장착된 스웨코 분리기를 통해 P.K. 100 블렌더에 직접 공급하였다. 임의로, 5% 포텐시의 합성 리코펜의 과잉공급량을 제제에 첨가하여 천연 리코펜 비드렛의 과잉공급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생성된 조성물을 15분 동안 P.K. 100 블렌더에서 블렌딩하였다.
이어서, 야채 기재의 스테아르산 분말을 스웨코 분리기를 통해 직접 P.K. 100 블렌더로 공급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블렌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대형 백 또는 대형 자루에 배출하고, 통상적인 수단으로 압착 펀칭하여 정제화하였다. 각 개별 정제에 대한 허용가능한 범위의 중량은 약 750 내지 90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0 내지 약 88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60 mg이다.
실시예 1의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되나,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시, 일일 투여량은 동시에 복용하거나 하루 중 상이한 시간에 복용할 수 있는 정제 2개로 투여한다. 그러나, 다른 투여 형태 및 단위 투여량의 선택은 경우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용으로 다른 적합한 형태에는 하루에 1회 또는 수회 투여하기 위한 보조물의 단위 분량을 함유하는 겔 정제, 캡슐, 로젠지, 스트립, 과립, 용액 및 현탁액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식물생리활성 식이 보조물은 다른 음식물 또는 액상물과 제형화되어 미리 정확히 계량된 보조 음식물, 예를 들면 1회 제공용 바아 (bar)를 제공할 수 있다.
III. 산소 라디칼 흡수능
실시예 1의 바람직한 식물생리활성물 및 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된 정제는 매우 높은 산소 라디칼 흡수능 (ORAC)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ORAC의 바람직한 수준은 식물생리활성 보조물의 일일 투여량 중 ORAC 값이 3000, 바람직하게는 3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보다 크다.
실시예 1의 성분을 포함하는 생성된 정제의 ORAC 값은 제제의 샘플이 제공하는 퍼옥실 자유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 보호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ORAC 평가 방법에 의해 얻어진 항산화 반응은 트롤록스 (Trolox)의 것으로 표준화하고, 각 샘플에 대해서 정제 당 마이크로몰 트롤록스 당량으로 나타냈다. 바람직한 방법, ORACFL은 항산화 보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형광 염료의 형광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하게 논의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1의 처방에서 목록의 성분을 포함하고 정제의 중량이 839 mg인 개별 정제의 ORACFL값은 3767 ±272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생리활성 식이 보조물은 다수의 이로운 식물생리활성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높은 ORAC 값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러한 방식으로 식물생리활성물을 제공하여 항산화 보호를 향상시킨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다. 다양한 변경 및 변화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들 (균등론을 포함하는 특허법의 원칙에 따라서 해석됨)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보다 넓은 측면에서 벗어남이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사 "a", "an", "the" 또는 "said"를 사용하여 단수로 요소를 청구하는 임의의 언급은 상기 요소를 단수로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루테인, 리코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엘락산, 헤스페리딘, 쿠에르세틴을 포함하는 식물생리활성물을 포함하는 식이 보조물을 투여함으로써, 사람의 신체에 대한 자유 라디칼 피해를 감소시키고, 항산화 프로파일을 개선하고, 심장혈관 및 뼈의 건강을 개선하고, 신체의 면역학적 반응을 향상시키고, 건강 생체지표를 증가시키며, 식물생리활성물의 식사 부족을 교정할 수 있다.

Claims (17)

  1. 엘락산, 루테인, 리코펜, 쿠에르세틴, 헤스페리딘 및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식물생리활성물을 포함하는 식이 보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엘락산 약 20 내지 약 150 mg을 포함하는 식이 보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엘락산 약 40 mg을 포함하는 식이 보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루테인 약 3 내지 약 10 mg을 포함하는 식이 보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루테인 약 6 mg을 포함하는 식이 보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쿠에르세틴 약 150 mg을 포함하는 식이 보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약 15 내지 약 225 mg을 포함하는 식이 보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약 60 mg을 포함하는 식이 보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식물생리활성물의 산소 라디칼 흡수능이 약 3000 이상인 식이 보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식물생리활성물의 산소 라디칼 흡수능이 약 3500 이상인 식이 보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식물생리활성물의 산소 라디칼 흡수능이 약 5000 이상인 식이 보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자유 라디칼 피해를 감소시키는 식이 보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항산화 프로파일을 개선하는 식이 보조물.
  14. 제1항에 있어서, 심장혈관 및 뼈의 건강 중 하나 이상을 개선하는 식이 보조물.
  15. 제1항에 있어서, 면역학적 반응을 향상시키는 식이 보조물.
  16. 제1항에 있어서, 타원형의 산화 부산물, 항산화제 및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 생체지표를 증가시키는 식이 보조물.
  17. 제1항에 있어서, 식사로 인한 식물생리활성물의 부족을 교정하는 식이 보조물.
KR10-2003-0028939A 2002-05-07 2003-05-07 식물생리활성 영양 보조물 KR20030087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834002A 2002-05-07 2002-05-07
US60/378,340 2002-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566A true KR20030087566A (ko) 2003-11-14

Family

ID=3171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939A KR20030087566A (ko) 2002-05-07 2003-05-07 식물생리활성 영양 보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2004035550A (ko)
KR (1) KR200300875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375A (ja) * 2004-06-09 2005-12-22 Kikkoman Corp 血中尿酸値低下剤
KR101542703B1 (ko) * 2006-10-24 2015-08-06 크렘핀, 로리에 항-재흡수 및 골 형성 식이보충제 및 이의 사용 방법
EP1958611A1 (en) * 2006-12-20 2008-08-20 DSMIP Assets B.V. Oral composition containing EGCG and lycopene
JP5564499B2 (ja) * 2008-07-31 2014-07-30 シグマ−タウ・インドゥストリエ・ファルマチェウチケ・リウニテ・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前立腺癌の進行を予防または減退させるのに有効な組成物
CN105193777B (zh) * 2009-01-19 2019-06-28 利科雷德有限公司 类胡萝卜素和多酚的协同组合
EP2263481A1 (en) 2009-05-29 2010-12-22 Nestec S.A. Green tea extracts of improved bioavailability
CN105213414B (zh) 2010-06-09 2018-01-30 花王株式会社 多酚组合物的制造方法
JP2012065607A (ja) * 2010-09-24 2012-04-05 Hirotaro Matsui サプリメント
JP5162698B2 (ja) * 2010-10-06 2013-03-13 花王株式会社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TW201347687A (zh) * 2012-03-21 2013-12-01 Meiji Co Ltd 多酚安定劑,含有該安定劑之組成物及加工製品
JP6290896B2 (ja) * 2012-09-21 2018-03-07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植物性フェノール、及び好酸球性食道炎の治療若しくは予防におけるその使用
WO2014175226A1 (ja) * 2013-04-22 2014-10-30 国立大学法人東京農工大学 骨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486A (ja) * 1983-07-07 1985-01-26 M S C:Kk 抗酸化剤
JPH06128168A (ja) * 1992-10-14 1994-05-10 Suetsuna Yoko 抗変異原活性並びにスーパーオキシドジムスターゼ様活性を有 する茶カテキン類
IT1265312B1 (it) * 1993-12-21 1996-10-31 Indena Spa Formulazioni contenenti carotenoidi e procarotenoidi associati a polifenoli nella prevenzione dei danni da abnorme produzione di
IT1275905B1 (it) * 1995-03-14 1997-10-24 Indena Spa Frazioni polifenoliche di te', loro uso e formulazioni che le contengono
JPH10175858A (ja) * 1996-12-13 1998-06-30 Itouen:Kk 活性酸素発生抑制剤及び活性酸素起因疾患予防剤
FR2769837B1 (fr) * 1997-10-17 2000-02-25 Bio Sphere 99 Lab Composition pour dietetique ou cosmetique a base d'extraits vegetaux
DE19838636A1 (de) * 1998-08-26 2000-03-02 Basf Ag Carotinoid-Formulierungen, enthaltend ein Gemisch aus beta-Carotin, Lycopin und Lutein
FR2792831B1 (fr) * 1999-04-28 2001-08-03 Bionatec Sarl Composition a destination cosmetique et/ou dietetique comprenant un melange de lycopene et d'extrait de feuille d'olivier
JP4082823B2 (ja) * 1999-05-06 2008-04-3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光毒性抑制剤
US6582721B1 (en) * 1999-09-17 2003-06-24 Alcon, Inc. Stable carotene-xanthophyll beadle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35550A (ja) 2004-02-05
JP2008273979A (ja)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9161B2 (en) Phytonutrient nutritional supplement
JP2008273979A (ja) 植物栄養素栄養サプリメント
US5904924A (en) Green nutritional powder composition
US6054128A (en) Dietary supplements for the cardiovascular system
AU2005228421B8 (en) Multi-vitamin and mineral nutritional supplements
Engler et al. The emerging role of flavonoid-rich cocoa and chocolate in cardiovascular health and disease
US6511675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rrecting a dietary phytochemical deficiency
US6440464B1 (en) Nutritive composition for cardiovascular health containing fish oil, garlic, rutin, capsaicin, selenium, vitamins and juice concentrates
JP4102820B2 (ja) 栄養補助食品及び関連方法
US10722584B2 (en)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flavan-3-ols by polyphenols
JP2014156474A (ja) 栄養補助食品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7416749B2 (en) Dietary supplement and related method
US20070104730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employing pomegranate extracts and fementation products of statin-producing fungi
US20080095757A1 (en) Vitamin c compositions
Bhagavan et al. Correlation between the disintegration time and the bioavailability of vitamin C tablets
US7438936B2 (en) Dietary supplement and related method
US20110280855A1 (en) Vitamin c compositions
US20110250270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a capillary-active system with application-relevant diffferentiability and their use
KR20050099310A (ko) 백녹색 과채류를 주재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EP1605958B1 (en) Compositions of natural products and use thereof
TWI441643B (zh) 調整血脂及保護心血管之組合物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Sawicka et al. Plants sources of vitamins against SARS-CoV-2
Dinelli et al. Physiologically bioactive compounds of functional foods, herbs, and dietary supplements
KR20210029461A (ko)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