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915A - Air sterilizer using ozone - Google Patents

Air sterilizer using oz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915A
KR20030086915A KR1020030027391A KR20030027391A KR20030086915A KR 20030086915 A KR20030086915 A KR 20030086915A KR 1020030027391 A KR1020030027391 A KR 1020030027391A KR 20030027391 A KR20030027391 A KR 20030027391A KR 20030086915 A KR20030086915 A KR 20030086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target space
air
human bod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0054B1 (en
Inventor
이재신
박재석
채홍일
최대우
Original Assignee
스마트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3/0008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3092752A1/en
Priority to AU2003223137A priority patent/AU2003223137A1/en
Priority to EP03719251A priority patent/EP1503809A4/en
Priority to JP2004500934A priority patent/JP2005523775A/en
Priority to CN038157373A priority patent/CN1665548A/en
Priority to US10/510,960 priority patent/US20050207951A1/en
Publication of KR2003008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0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8Foundations inserted underneath existing building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PURPOSE: Provided is a sterilization device by using ozone to effectively sterilize and deodorize desired space contaminated with excessive virus, bacteria and/or fungi more than standard level without adverse effect to human body. CONSTITUTION: The device comprises an air-inhalation port(90), an air-filter(70) for removing dust, an air-dispenser port(30), an ozone generator(20) including an electric discharging part for generating ozone, an ozone sensor(80) for detecting concentration of the ozone in the space, a human body sensor(50) for sensing whether any person is in the space and for determining activity of the human body, PCB(60) for selecting any one among air-cleaning mode, deodorizing mode or sterilizing mode, a sirocco fan(10) for circulating inhaled air into the device, and a control part(40) for controlling entire movement of the device.

Description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AIR STERILIZER USING OZONE}Air clean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AIR STERILIZER USING OZONE}

본 발명은 오존의 뛰어난 탈취력 및 살균력을 이용하여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대상 공간의 크기를 인지하고 효율적인 탈취와 살균을 위한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를 적정 수치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살균 동작이 진행될 때와 진행 후에 인체 감지 및 대상 공간의 잔류 오존을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that performs an air cleaning function by using the excellent deodorizing power and sterilizing power of ozo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the size of the target space and to control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for efficient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at an appropriate value, and to detect the human body and the target space during and after sterilization operation An air cleaning deodorant sterilizer using ozone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residual ozone.

일반적으로 오존은 특유의 냄새가 있는 미청색의 기체로서 살균, 소독, 및 표백 작용을 한다. 이러한 오존의 성질을 이용한 오존 발생기는 일반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기청정 살균기에 응용되고 있고, 폐수 및 오염된 공기된 공기의 정화, 식품의 살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ozone is a light blue gas with a characteristic odor, which sterilizes, disinfects, and bleaches. The ozone generator using the property of ozone is applied to the air cleaning sterilizer widely used in the general market,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purification of waste water and polluted air, sterilization of food.

오존(O3)은 산소 원자 3개가 결합한 산소의 동소체로서, 자동차가 불완전 연소시 발생하는 배기 가스 중 불안정한 탄화물 또는 질화물들 간의 결합과 해리의 과정으로 인해 생성되고, 또한 지구 외곽의 오존층의 파괴로 인해 태양 에너지가지표면까지 강렬하게 도달하면서 대기 중에 20% 정도 존재하는 산소 분자(O2)가 여기되어 생성되기도 한다. 이처럼 오존은 자연 상태에서도 발생하지만, 전해 화학법, 광화합법, 고주파 전해법, 방사선 조사법, 무성 방전법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현재 오존의 강력한 산화력과 살균력 및 탈취력을 이용하기 위해 산소 분자에 전기적 방전과 같은 에너지를 인가함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오존을 생성시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오존은 이미 100여년 전부터 수질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생활 악취 및 병원균에 의한 대기 응용분야에 대한 기술 적용 검토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Ozone (O 3 ) is an allotrope of oxygen bonded to three oxygen atoms, and is produced by the process of bonding and dissociation of unstable carbides or nitrides in the exhaust gas generated when an automobile is incomplete combustion. As a result, oxygen molecules (O 2 ), which are about 20% present in the atmosphere, are intensely reached to the surface of solar energy and ar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ozone is generated even in a natural state, but can also be artificially generated using an electrochemical method, a photochemical method, a high frequency electrolysis method, a radiation method, or an silent discharge method. At present, ozone is artificially generated by applying energy such as electric discharge to oxygen molecule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ozone's strong oxidizing power, sterilizing power and deodorizing power,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The ozone has been applied to the water quality field for more than 100 years, and now,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to the air application area by the odor and pathogens is emerging.

일반적으로 공간에 분포하는 오염 물질, 즉 제거 대상 물질을 크기별로 분류하면 먼지 입자의 크기는 수~수십㎛, 진균류는 대략 5㎛ 정도, 세균류는 0.5~10㎛ 사이이며, 바이러스류는 0.1㎛ 이하이다. 종래의 전기식 이온화 장치가 포함된 공기 청정 살균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if the pollutants distributed in the space, that is, the substances to be removed are classified by size, the size of the dust particles is in the range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he fungus is in the range of about 5 micrometers, and the bacteria are in the range of 0.5 to 10 micrometers. to be. The air cleaner sterilizer including the conventional electric ioniz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기존의 공기 정화기 또는 공기 청정기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곰팡이 혹은 세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기식 이온화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대상 공간을 효율적으로 탈취, 살균하기 보다는 대상 공간의 대기 순환에 의해 에어 필터에 부착되는 제한된 대상균을 항균성 필터 등을 사용하여 제거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살균력이 미약하고, 실질적으로 다중 기능성 에어 필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에어 필터가 기기 내에서 차지하는 체적이 상대적으로 커져서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에어 필터 자체가 순환하는 기체에 대해 저항 성분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대상 공간 내의 대기 순환 효율이 저하되어 규격에 의해 제시된 체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정화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First, most conventional air purifiers or air purifiers include a predetermined electric ionizer to remove mold or bacteria contained in sucked air. However, rather than effectively deodorizing and sterilizing the target space, the bactericidal power is weak because it adopts a method of removing or limiting the growth of the limited target bacteria attached to the air filter by the air circulation in the target space using an antimicrobial filter. In addition, since the air filter occupies a relatively large volume in the device because it is substantially dependent on the multi-functional air filter,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device, and the air filter itself acts as a resistance component to the circulating ga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atmospheric circulation in the target space is lowered and it is not possible to efficiently purify the space of the volume suggested by the specification.

또한, 기존의 공기 청정기가 사용하는 순환식 에어 필터 방식은 입자상 먼지와 진균류 정도는 에어 필터에 의해 제거되지만, 세균류 또는 바이러스류를 포집 및 제거하기 위해 미세 에어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상 공간의 대기 순환 효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실질적인 청정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irculating air filter method used by the existing air cleaners removes particulate dust and fungi by the air filter, but when a fine air filter is used to capture and remove bacteria or viruses, the atmosphere of the target space is u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irculation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actual clean time is longer.

또한, 대기 청정 과정 중에서 상기 에어 필터가 2차 오염되기 때문에 이의 교체 및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하고, 세균류와 바이러스류 등 에어 필터에 의해 걸러지지 않는 미세 균류는 일부만 부분적으로 제거되거나 전혀 제거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오존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여 공간을 살균하는 기존의 장치는 대상 공간의 오존을 적정 농도로 제어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filter is secondaryly contaminated during the air cleaning process, it must be thoroughly replaced and managed, and the micro fungus, which is not filtered by the air filter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is partially removed or not removed at all. have.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device that sterilizes space using ozone directly has been argued that the ozone in the target space is not controlled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human body.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1998-83611호에는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일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에 사람이 일정 거리 이내로 장시간 접근하면 초음파를 이용하여 이를 탐지하여 경보음을 울려 사용자에게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줄일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자동 제어하는 구성이 아니라 단순히 사람이 오존 발생기 근처에 위치해 있는 경우 경보음을 송출함으로써 대기 내의 과잉 오존에 의한 안전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미봉책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다.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8-83611, when a person's ozone concentration reaches a certain level or more, if a person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or a long time, ultrasonic waves are detected and an alarm sound is issued to promptly respond to the user.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that can reduce safety accidents. However, this is not a configuration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to a proper level, but is a level that remains in an unsolvable way to reduce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excess ozone in the atmosphere by sending an alarm sound when a person is located near the ozone generator. to be.

또한, 인체에 유해한 오존을 직접 대상 공간으로 내보내지 않으면서 기기 내부로 대상 공간의 대기를 흡입하여 이 대기의 이동 경로 내에서 살균처리를 하는 방식도 있지만, 이 또한 대기를 포집하기 위해 기기 자체의 크기가 커지고, 기기 내부에서의 대기 정화 후에 잔류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촉매 필터의 수명이 짧으며, 전반적인 대상 공간에 대한 살균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inhaling the atmosphere of the target space into the apparatus without sterilizing ozone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sterilizing it in the movement path of the atmosphere. The size increases, the lifetime of the catalyst filter for removing residual ozone after purifying the air inside the device is short, and the sterilization effect on the overall target space is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상 공간의 효율적 탈취 및 살균을 위한 오존 농도를 제어함으로써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trolling the ozone concentration for efficient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of the target space, air using ozone having an air cleaning function that can completely exclude the effect on the human bod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lean deodorant sterilizer.

본 발명은 대상 공간의 인체 유무에 따라 자동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오존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designed to completely exclude the harmful effects of ozone on the human body by automaticall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uman body in the target space.

또한, 본 발명은 대상 공간의 공간 크기를 인지하고 대상 공간 내의 효율적인 탈취와 살균을 위한 적정 오존 농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to recognize the space size of the target space and maintain an appropriate ozone concentration for efficient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in the target space.

또한, 본 발명은 인체활성도에 따른 오존 농도의 제어를 통해 사람이 대상 공간 내에 있더라도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오존 농도하에서 대상 공간의 살균 및 탈취를 수행할 수 있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which can perform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of the target space under the ozone concentration that is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even if the person is in the target space by controlling the ozon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uman activity. There is that purpo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leaning deodorization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오존 발생기의 ON/OFF 스위칭 동작 주기의 일례을 나타내며, 도 2b는 대상 공간 크기에 따른 오존 농도 증가율과 오존 발생부의 동작 시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FIG. 2A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N / OFF switching operation cycle of an ozone generator, and FIG. 2B illustrates a correlation between an increase in ozone concentration and an operation time of an ozone generator according to a target space size.

도 3은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출력 레벨과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utput level and time detected by the human body senso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모드 중 살균 모드의 동작 조건 설정 및 동작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o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terilization mode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purifying deodorizing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모드에서 동작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오존 발생부의 동작 조건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ozone generator of the air clean deodorant sterilizer using ozone operating in the deodoriz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을 개괄적으로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ing deodorization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시로코 팬20 : 오존 발생부10: Sirocco fan 20: ozone generator

30 : 토출부 그릴40 : 제어부 및 회로부30: discharge part grille 40: control unit and circuit unit

50 : 인체감지 센서60 : 조작부 인쇄회로기판(PCB)50: human body detection sensor 60: control panel printed circuit board (PCB)

70 : 에어 필터부80 : 오존 센서70: air filter unit 80: ozone sensor

90 : 흡입부 그릴90: suction grill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존을 이용한 공기 청정 탈취 살균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탈취 살균기는 대기(청정) 모드, 탈취 모드 또는 살균 모드 중 하나 이상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공기 청정 탈취 살균기는 상기 탈취 또는 상기 살균 모드에서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부와, 상기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오존 센서와, 상기 오존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에 따라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clean deodorizing sterilizer using ozone, the air clean deodorizing sterilizer is operated in one or more modes of the standby (clean) mode, deodorization mode or sterilization mode The air purifying deodorizing sterilizer is an ozon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ozone in the deodorizing or sterilizing mode, an ozone sensor for detecting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and ozone in the target space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살균기는 크게 대상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90), 먼지 제거를 위한 에어 필터부(70),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30), 오존 발생을 위해 방전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오존 발생부(20),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오존 센서(80), 대상 공간 내에 사람의 유무를 판단하고 인체활성도를 결정하는 인체감지센서(50), 사용자에 의해 살균기의 대기(청정) 모드, 탈취 모드, 살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는 조작부 PCB(Printed Circuit Board)(60),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공기를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시코로 팬(10) 및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로 구성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leaning deodorization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n intake port 90 for sucking air in a target space, an air filter unit 70 for removing dust, and exhausting air outside. Discharge port 30 for the ozone, ozone generating unit 20 including a discharge unit (not shown) for ozone generation, ozone sensor 80 for detecting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rson in the target spac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0 to determine the human activity, the control panel PCB (Printed Circuit Board) (60), the air inhalation of air from the user's standby (clean) mode, deodorization mode, sterilization mode of the sterilizer is selected by the user, And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ichoro fan 10 and the air clean deodorizing sterilizer for circulating the sucked air into the air clean deodorizing sterilizer.

또한, 상기 오존 센서(80)로부터 검출된 오존 농도를 기준으로 적정한 탈취 또는 살균 농도에 도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연산하기 위한 논리 회로부(41)와 상기 오존 센서(80)와 상기 논리 회로부(41)에서 연산된 상기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 수단(43) 및 제2 메모리 수단(45)이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logic circuit unit 41 and the ozone sensor 80 and the logic circuit unit 41 for calculating various data for reaching an appropriate deodorization or sterilization concentration based on the ozone concentration detected from the ozone sensor 80. The first memory means 43 and the second memory means 45 for storing the data and the like calculated in the further includes.

상기 제어부(40)는 대상 공간 내의 상기 오존 농도가 적정의 탈취 또는 살균 농도에 도달되도록 상기 오존 발생부(20)의 오존 발생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오존 발생부(20)는 소정의 ON/OFF 주기를 갖는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오존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ozone generation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20 so that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reaches a proper deodorization or sterilization concentration, and the ozone generator 20 is turned on / off a predetermined amount. Ozone is generated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을 동작 모드 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1)는, 대기(청정) 모드, 탈취 모드, 살균 모드의 3가지 모드에서 동작하며, 각 동작 모드는 조작부 PCB(60)에 의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작된다. 대기(청정) 모드는 공기청정 살균 탈취기의 대기(standby) 동작 또는 공기청정 동작 모드를, 탈취 모드는 대상 공간의 악취원을 제거하는 탈취를 수행하는 동작 모드를, 살균 모드는 대상 공간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살균을 수행하는 동작 모드를 각각 의미한다.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operation mode as follows. As described above,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1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ree modes, a standby (clean) mode, a deodorization mode, and a sterilization mode, and each operation mode is applied to the operation unit PCB 60. By the user's selection. Standby (clean) mode is a standby operation or air cleaning operation mode of the air cleaning sterilization deodorizer, deodorization mode is an operation mode to perform the deodorization to remove the odor source of the target space, sterilization mode is a source of pollution of the target space Each means an operation mode to perform sterilization to remove.

먼저 대기(청정) 모드에서, 시로코 팬(10)의 동작에 의해 흡입구(90)쪽으로 흡입된 공기는 에어 필터(70)를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먼지 제거 및 탈취가 진행되고, 이를 거친 공기는 시로코 팬(10)을 지나 토출구(30) 쪽으로 배출된다. 또한,이하에 설명하는 탈취 모드 또는 살균 모드 동작에서, 상기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설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에, 오존 발생이 정지되면서 대기(청정)모드로 전환되고 대상 공간의 잔류 오존을 제거하는 일련의 동작이 수행된다.First, in the standby (clean) mode, the air sucked toward the inlet 90 by the operation of the sirocco fan 10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70 to sequentially remove dust and deodorize, and the rough air passes through the sirocco fan. It is discharged toward the discharge port 30 through 10. In addition, in the deodorization mode or sterilization mode operation described below, when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becomes higher than the set value, ozone generation is stopped and the air is switched to the standby (clean) mode to remove residual ozone from the target space. The operation of is performed.

탈취 모드에서의 동작은 상술의 대기(청정) 모드의 동작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추가적으로 흡입구(90)쪽에서는 오존 센서(80)가 작동하고, 오존 발생부(20)에서는 ON/OFF 스위칭을 통해 소량의 오존을 토출구(30)를 통하여 대상 공간으로 방출한다. 탈취 모드에서의 동작 초기, 오존 센서(80)에 의한 대상 공간 인지 작업이 수행되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오존 발생부(20)가 동작되는 시간과 조건을 제어부(40)의 논리 회로부(45)에서 산출하게 된다. 상기 오존 발생부(20)의 동작 시간 및 동작 조건을 산출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 데이터로는 상기 오존 발생부(20)에서 발생되는 대상 공간의 오존의 농도 데이터(C), 오존 발생 지속 시간 데이터(T), 및 풍량 데이터(W)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대상 공간 인지 과정과 상기 동작 시간 및 동작 조건의 산출 과정의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기로 한다.Operation in the deodorization mode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standby (clean) mode, in addition, the ozone sensor 80 is operated in the suction port 90 side, and ON / OFF switching in the ozone generator 20 A small amount of ozone is discharged to the target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0. Initial operation in the deodorizing mode, the target space recognition operation by the ozone sensor 80 is performed,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time and conditions under which the ozone generator 20 is operated, the logic circuit 45 of the controller 40 Will be calculated from. The information data used to calculate the operating time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ozone generator 20 includes ozone concentration data C and ozone generation duration data of the target spac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20. T), air volume data W, and the like. A specific example of the object space recognition process and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condi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산출된 동작 시간 및 동작 조건에 따라, 오존 발생부(20)는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적정한 탈취 농도가 될 때까지 오존을 방출한다. 이렇게 방출된 미량의 오존은 대상 공간을 순환하게 되는데, 흡입구(90)에 위치한 오존 센서(80)는 상기 오존의 농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존 센서(80)에 의해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40)는 오존 발생부(20)의 동작을 정지시켜 오존 발생이 중지되도록 하고,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모드는 탈취 모드에서 대기(청정)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이 경우에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는 대상 공간 내 잔류 오존의 제거를 위해 대기(청정) 모드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 동작하게 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대상 공간 30평을 기준으로 토출부의 토출 풍량이 5~6CMM일 때 오존 발생기 동작 후 3분~15분 이내에 설정 농도(0.03ppmv~0.06ppmv)가 오존 센서(80)에서 검출되고, 검출과 동시에 제어부(40)는 오존 발생부(20)를 제어하여 오존 발생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약 2시간 동안의 대기(청정) 모드 동작으로 대상 공간의 잔류 오존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ed operating time and operating conditions, the ozone generator 20 emits ozone until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becomes an appropriate deodorizing concentration. The small amount of ozone thus released circulates through the target space, and the ozone sensor 80 located at the suction port 90 functions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the ozone. If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is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80 or more than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40 stops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20 to stop the ozone genera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freshening deodorizer sterilizer Automatically switches from deodorization mode to standby (clean) mode. In this case,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is operat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ndby (clean) mode to remove residual ozone in the target spac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when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part is 5 to 6 mm based on 30 pyeong of the target space, the set concentration (0.03ppmv to 0.06ppmv) is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80 within 3 to 15 minutes after the ozone generator is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detection,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ozone generating unit 20 to stop the ozone generating operation. In this state, the remaining ozone in the target space is completely removed by the standby (clean) mode operation for about 2 hours. I could confirm it.

탈취 모드에서 대상 공간으로 배출된 오존은 일정 시간 동안 대상 공간을 순환하게 되고, 악취원이 존재하는 경우는 오존과 악취원과의 반응으로 인해 오존 농도가 증가하지 않게 된다.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악취원이 소멸되는 경우에는, 악취원과 반응하지 못한 잔류 오존으로 인해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소정의 설정치 이상이 되고, 이 때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은 탈취 모드에서 대기(청정) 모드로 전환되며, 청정 모드에서 흡입구(90)에 흡입된 오존은 에어 필터부(70)의 최종단에 배치된 카본 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대상 공간의 잔류 오존이 제거될 수 있다.Ozone discharged to the target space in the deodorizing mode circulates the target spac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re is a bad smell source, the ozone concentration does not increase due to the reaction between the ozone and the bad smell source. When the odor source disappears after a certain time,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become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et value due to residual ozone that has not reacted with the odor source.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ing deodorization sterilizer is performed in the deodorization mode. ) In the clean mode, the ozone sucked into the inlet 90 is treated by a carbon filter (not shown) disposed at the end of the air filter unit 70 to remove residual ozone in the target space. have.

도 2a는 오존 발생기의 ON/OFF 스위칭 동작 주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존 센서(80)에 의한 공간 인지 작업은 오존 발생부(20)의 ON/OFF 스위칭 동작을 이용하고, 오존 발생부(20)가 ON이 되는 기간에 따른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의 증가 속도를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a에서 상승 에지단부터 하강 에지단까지는 오존 발생부(20)의 ON 시간이 되고, 하강 에지단부터 상승 에지단까지는 오존발생부(20)의 OFF 시간이 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존 발생부(20)의 ON/OFF 스위칭 주기를 P라 하고, 오존 발생부(20)의 ON 시간을 T라고 하면, 상기 ON 시간 비율 R은 T/P로 정의할 수 있다. 오존 발생부(20)의 스위칭 동작 중에서 오존 발생부(20)의 ON 시간이 길어지면 상기 비율 R은 증가하고, ON 시간이 짧아지면 상기 비율 R은 감소하게 된다. 대상 공간의 크기(체적)가 일정한 경우, 이러한 비율 R 커질수록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C)가 소정의 기준 오존 농도(Cp)에 도달하기 위한 오존 발생부(20)의 기준 동작 시간(Tp)은 짧아지게 된다. 도 2b는 대상 공간 크기에 따른 오존 농도 증가율과 오존 발생부의 동작 시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살균 탈취기는 동작 초기에, 대상 공간 내에서 오존 발생기(20)의 동작 시간(T)를 변화시키면서 다수의 ON 시간 비율(R=T/P)에 대한 데이터를 얻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C)와 오존 발생기(20)의 동작 시간(T)을 두 축으로 하는 그래프 상에서 상기 얻어진 ON 시간 비율(R)은 도 2b에 도시된 그래프의 기울기로 나타나게 된다. 각각의 ON 시간 비율(R)의 기울기는 기준 오존 농도(Cp)에 도달하는 기준 동작 시간(Tp)의 실측을 통해 그래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ON 시간 비율(R)이 클수록, 즉 기울기가 클수록, 기준 오존 농도(Cp)에 도달하는 기준 동작 시간(Tp)이 짧아 진다. 여기서, 기준 오존 농도(Cp)이나 기준 동작 시간(Tp)은 임의로 지정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준 오존 농도를 0.03ppmv~0.06ppmv로 설정하고 있다. 오존 발생기(20)에서 선정된 ON 시간 주기을 갖는 ON/OFF 스위칭 동작을 통해 오존을 발생시켰을 때, 즉 선정된 ON 시간비율(R)에서 오존 발생기(20)를 동작시키는 경우, 소정의 기준 오존 농도(Cp)에 도달하는 기준 동작 시간(Tp)을 측정하여 대상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대상 공간의 크기 인지 작업을 본 발명의 살균 탈취기의 특정 공간에서의 초기 동작시에만 이루어지는 작업일 수 있으며, 다른 공간 내에서도 상기 동작 시간(T)을 변화시키면서 ON 시간 비율(R)을 산출하여 데이터화함으로써 적용 확장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N / OFF switching operation cycle of an ozone generator. The space recognition operation by the ozone sensor 80 uses the ON / OFF switching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20 and detects an increase rate of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according to the period during which the ozone generator 20 is turned on. By doing so. In FIG. 2A, the ozone generator 20 is turned on from the rising edge to the falling edge, and the ozone generator 20 is turned off from the falling edge to the rising edge. As shown in FIG. 2A, when the ON / OFF switching cycle of the ozone generator 20 is P and the ON time of the ozone generator 20 is T, the ON time ratio R is defined as T / P. can do. The ratio R increases when the ON time of the ozone generator 20 is long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20, and the ratio R decreases when the ON time is shortened. When the size (volume) of the target space is constant, as the ratio R increases, the reference operating time Tp of the ozone generator 20 to reac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ozone concentration Cp becomes larger. Becomes shorter. 2B is a graph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rate of ozone concentration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ozone generator according to the target space size. The sterilization deodo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data for a plurality of ON time ratios (R = T / P) at the beginning of operation while varying the operating time T of the ozone generator 20 in the target space. As shown in FIG. 2, the obtained ON time ratio R on the graph having two axes of the ozone concentration C of the target space and the operating time T of the ozone generator 20 is the graph shown in FIG. 2B. It appears as the slope of. The slope of each ON time ratio R can be displayed on the graph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 of the reference operating time Tp reaching the reference ozone concentration Cp. Referring to the graph shown in FIG. 2B, the larger the ON time ratio R, that is, the larger the slope, the shorter the reference operating time Tp reaching the reference ozone concentration Cp. Here, the reference ozone concentration Cp and the reference operating time Tp are reference data that can be arbitrarily designa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ozone concentration is set to 0.03ppmv to 0.06ppmv. When ozone is generated through the ON / OFF switching operation having the ON time period selected by the ozone generator 20, that is, when the ozone generator 20 is operated at the selected ON time ratio R, the predetermined reference ozone concentra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size of the target space by measuring the reference operating time Tp reaching Cp. Here, the operation of recognizing the size of the target space may be performed only at the initial operation of a specific space of the sterilization deodo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lculating the ON time ratio R while changing the operation time T in another space. The data can be extended to extend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논리 회로부(45)에서는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이 시작한 시간부터 상기 오존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오존 농도가 소정의 기준 오존 농도(Cp)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데이터(TP)를 연산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발생기(20)의 동작 시간(T)와 상기 시간 데이터(TP)의 비율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ON 시간 비율(R)이 감소하도록 상기 오존 발생부를 제어한다. 즉, 비교적 작은 공간(Tp/T의 비율이 0.5 미만)에서는 오존 발생부(20)의 ON 시간이 짧은 스위칭 동작을 하고, 역으로 비교적 큰 공간(Tp/T의 비율이 0.5 이상)에서는 ON 시간이 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이는, Tp/T가 크면 짧은 시간 안에 공간 인지가 가능하지만 오차범위가 커지게 되며, Tp/T가 작으면 공간 인지 시간은 길어지지만 오차범위가 줄어드는 특징을 고려하여 대상 공간의 크기에 따른 적절한 ON 시간 비율(R)의 적용으로 안정적인 오존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오존 발생에 있어서, 탈취 및 살균 개시 농도(Cs)까지 ON 시간 비율(R)을 조금씩 변화시키면서 대상 공간 내에 오존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공간 인지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gic circuit 45 calculates time data T P from the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starts until the ozone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ozone concentration Cp.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zone generator to decrease the ON time ratio R when the ratio of the operation time T of the ozone generator 20 to the time data T P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 That is, in a relatively small space (Tp / T ratio is less than 0.5), the ON time of the ozone generator 20 has a short switching operation, and conversely, in a relatively large space (Tp / T ratio is 0.5 or more), the ON time is This is a long switching operation. This means that if the Tp / T is large, the space can be recognized within a short time, but the error range is increased. If the Tp / T is small, the space recognition time is longer, but the error range is reduced. This is to ensure a stable ozone supply by applying the time ratio (R). For example, in ozone generation, by increasing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while gradually changing the ON time ratio (R) to the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start concentration (Cs), more accurate space recognition is possible.

이러한 공간 인지 작업을 통해 얻어진 동작 시간 데이터(T)와 ON/OFF 스위칭 주기 데이터(P) 및 상기 ON 시간 비율(R) 등의 동작 조건 데이터는 이들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상 공간 크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1 메모리 수단(43)에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1 메모리 수단(43)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조건 데이터를 참조하여 오존 발생부(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대상 공간 크기에 최적이 되는 오존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operation time data T obtained through such a space-awar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condition data such as the ON / OFF switching cycle data P and the ON time ratio R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target space size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1 is stored in the memory means 43, and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20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condition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means 43, thereby optimizing the target space size. Ozone generation can be made.

다음은 살균 모드로서, 사용자가 조작부 PCB(60)와 연결된 살균 모드 동작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르게 되면 살균 모드에서 동작하게 될 것임을 알리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대상 공간에서 대피할 수 있는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소정의 대기 시간의 경과 후, 인체감지(IR)센서가 동작하여 인체가 대상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살균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살균 모드 동작 초기, 탈취 모드와 동일하게 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인지 작업 및 오존 발생기(20)의 동작 시간 및 동작 조건의 산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대한 기술적 내용은 상술한 것으로 갈음한다. 계속해서, 흡입구(90)에서 흡입된 공기는 에어 필터부(70)에 의해 순차적으로 걸러지고, 대상 공간의 효율적 살균을 위한 적정 오존 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오존 센서(80)가 흡입구(90) 쪽에 위치하여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상기 오존 센서(80)는 검출된 오존 농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40)로 보낸다. 제어부(40)는 오존 센서(8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부(20)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오존 발생부(20)로 보낸다. 이 때 대상 공간이 특정 농도,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오존 농도 기준값 이하인 0.03ppmv~0.06ppmv정도의 농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자체 실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에 설정된 적정 공간 살균 농도인 0.1~0.15ppmv까지 도달하기 위한 오존 발생부(20)의 동작 시간(T)과, 대상 공간의 크기와 환경적 인자, 바람직하게는 공기 중 오존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대상 공간 중의 부유물 상태, 온도, 습도, 대상 공간의 물리적 환경(지하 또는 지상) 또는 대상 공간 내 대류 등(이하, "환경 정보")에 따라 충분한 반복 실험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조건(이하, "동작 조건")이 산정되어 공기청정 살균기의 제어부에 내부 데이터로 입력된다.The following is a sterilization mode. When a user presses a sterilization mode operation button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PCB 60, a voice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will be operated in the sterilization mode is output. Generate a warning signal. After the elapse of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the IR sensor operates to detect whether the human body is located in the target space, and if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the human body operates in the sterilization mode. In the initial stage of sterilization mode operation and in the same manner as the deodorization mode, the space recognition operation for the target space and the calcul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ozone generator 20 are performed, and the technical content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Subsequently, the air sucked in the inlet 90 is sequentially filtered by the air filter unit 70, and the ozone sensor 80 is disposed on the inlet 90 in order to control an appropriate ozone concentration for efficient sterilization of the target space. Position to detect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in real time. The ozone sensor 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zone concentration to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ler 40 transmits an out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ozone generator 20 to the ozone generator 20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ozone sensor 80. At this time, the appropriate space set by the air cleaning deodorization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experiment by using the time to reach a specific concentration, preferably a concentration of 0.03ppmv ~ 0.06ppmv, which is below the ozone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harmful to human body. The operating time T of the ozone generator 20 to reach a sterilization concentration of 0.1 to 0.15 ppmv, and the size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target space, preferably in the target space which is a factor influencing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air. Predetermined condi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rating conditions") set by sufficient repetitive experiments depending on the suspended matter, temperature, humidity, physical environment of the target space (underground or above ground) or convection in the target space (hereinaf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This is calculated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of the air cleaning sterilizer as internal data.

흡입구(90)에서 흡입된 공기는 다단형 에어 필터(70)를 통과하여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내부에 위치한 팬(10)에 의해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 내부를 순환한다.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는 팬(10)과 토출부(30) 그릴 사이에 위치하는 오존 방전부(도시되지 아니함)를 거치면서 오존과 혼합되어 토출부(30) 쪽으로 나오게 된다. 대상 공간으로 방출된 오존은 대상 공간을 살균하고, 제어부(40)는 상기 오존 발생부(20)의 동작 시간과 동작 조건에 따라 오존 발생부(20)의 ON/OFF를 제어한다.The air sucked in the inlet 90 passes through the multi-stage air filter 70 and circulates inside the air clean deodorizer sterilizer by the fan 10 located inside the air clean deodorizer. The air circulating in the air cleaning deodorizing sterilizer is mixed with ozone while passing through an ozone discharge part (not shown) positioned between the fan 10 and the grill 30 to discharge to the discharge part 30. The ozone released into the target space sterilizes the target space, and the controller 40 controls ON / OFF of the ozone generator 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ozone generator 2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는 대상 공간 내의 인체 감지를 위한 인체감지 센서와 함께 동작함으로써, 인체 감지시 환기를 요청하는 경고 메시지 또는 비상벨과 함께 잔류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대기(청정)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살균 모드 동작이 완료된 경우 살균이 완료되었다는 알람과 함께 살균 동작에 의해 발생한 잔류 오존을 제거하기 위해 대기(청정) 모드에서 연속적으로 동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deodorizing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human body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in a target space, so as to remove residual ozone with a warning message or emergency bell requesting ventilation when detecting a human body. It can operate to automatically switch to (clean) mode. When the sterilization mode operation is completed, it is continuously operated in the standby (clean) mode to remove residual ozone generated by the sterilization operation with an alarm that the sterilization is completed.

도 3은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출력 레벨과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utput level and time detected by the human body sensor.

인체감지센서는 대상 공간 내에 감지되는 인체의 감지 정도를 감지거리(D)와 인체감지빈도(N)로 환산하여 인체활성도(Y)를 결정한다. 인체활성도(Y)를 통해 특정 공간 내에서의 살균과 탈취를 위한 동작 조건들인, 오존발생농도(C), 오존발생 시간(t), 풍량(W)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human body sensor determines the human activity (Y) by converting the degree of detection of the human body detected in the target space into a sensing distance (D) and a human body detection frequency (N). Through the human activity (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in a specific space, ozone generation concentration (C), ozone generation time (t), air volume (W).

우선, 대상 공간내의 살균(탈취)력(S)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며, C는 오존발생농도, t는 발생시간을 나타낸다.First, the sterilization (deodorization) force S in the target space is defined by Equation 1 below, where C is the ozone generation concentration and t is the generation time.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존 발생 농도(C)와 발생시간(t)이 증가함에 따라, 살균(탈취)력(S)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살균(탈취)력(S)으로 인체활성도(Y)를 나타내면 수학식 2로 정의된다.As shown in Equation 1, it can be seen that the sterilization (deodorization) force (S) increases as the ozone generation concentration (C) and the generation time (t) increase. When the human activity (Y) is represented by the sterilization (deodorization) force (S) is defined by Equation 2.

여기서 W는 풍량을 나타낸다. 상기 인체활성도(Y)는 살균(탈취)력(S)과 풍량(W)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상기 인체활성도(Y)는 살균(탈취)력(S)에 반비례하고 풍량(W)에 비례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퍼지(fuzzy) 살균(탈취)시에만 적용되며, 퍼지 청정시에서는 인체활성도(Y)가 증가함에 따라 풍량(W)은 감소하고 살균(탈취)력(S)은 관여하지 않는다.W represents the air volume here. The human activity (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terilization (deodorization) force (S) and the air volume (W). That is, the human activity (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terilization (deodorization) force (S) and is proportional to the air volume (W). However, this applies only to fuzzy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in purge cleaning, as the human activity (Y) increases, the air volume (W) decreases and sterilization (deodorization) force (S) is not involved.

한편, 도 3에 도시한 그래프를 참조하여, 인체감지센서의 감지거리(D)에 따른 출력 특성을 수학식 3에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graph shown in Figure 3, the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ensing distance (D) of the human body sensor is shown in equation (3).

수학식 3은, 인체감지센서가 감지거리(D)에 따라 출력전압 레벨을 다르게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출력전압 레벨이 높을수록 인체가 가까이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K는 인체감지센서의 최대 감지거리에 대한 기준 상수값(예를 들면, 인체감지센서의 최대 감지거리가 5M이면, K는 5임)을 나타내며, 따라서 D는 K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된다. 예컨대, K가 5인 인체감지센서를 사용하였을 때, V1이 1/2Vmax이면 감지거리(D)는 2.5M가 된다. 따라서, 인체감지센서의 감지거리(D)는 출력전압 레벨이 클수록 그 활용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Equation 3 is that the human body sensor uses a different output voltage level according to the sensing distance (D), the higher the output voltage level means that the human body is closer. K represents a reference constant value for the maximum sensing distance of the human body sensor (for example, if the maximum sensing distance of the human body sensor is 5M, K is 5), so that D is less than or equal to K. For example, when a human body sensor having K is 5, when V1 is 1/2 Vmax, the sensing distance D becomes 2.5M.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detection distance (D)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has a higher utilization rate as the output voltage level increases.

수학식 4에서 인체 감지 빈도(N)를 나타낸다.Equation 4 shows the human body detection frequency (N).

상기 수학식 3과 연계하여 상기 수학식 4를 고려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인체감지센서가 인체감지시 연속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의 위치 이동에 따라 비연속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수학식 4에서 인체 감지 빈도(N)는 최대 1을 넘을 수 없으며 0과 1사이의 값을 갖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Equation 4 in connection with Equation 3, as shown in FIG. 3, the human body sensor does not output a continuous signal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but outputs a non-continuous signal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human body. Able to know. In Equation 4, the human body detection frequency N may not exceed 1 and has a value between 0 and 1.

따라서, 상기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를 종합하여 인체활성도(Y)를 수학식 5로 나타낼 수 있다.Therefore, the human activity (Y)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5 by combining Equations 1 to 4 above.

수학식 5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체활성도(Y)는 인체 감지 빈도(N)에 비례하고 인체 감지 거리(D)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학식 2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체활성도(Y)는 피지 살균동작 기능을 위한 살균력(S)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Equation 5, the human activity (Y) is proportional to the human detection frequency (N)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uman detection distance (D). Also, as can be seen in Equation 2, the human activity (Y) )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terilizing power (S) for sebum sterilization operation function.

논리 회로부(41)에서는 상기 연산된 감지 거리(D)와 인체 감지 빈도(N)를 상기 수학식 5에 따른 연산 작업에 의해 인체활성도(Y)를 산출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수단(45)에는 인체 활성도(Y) 및 상기 인체 활성도(Y)에 대응하는 적정 오존 농도데이터(C), 오존 발생 지속 시간 데이터(TD), 풍량 데이터(W) 등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산출된 인체활성도(Y)에 의해 제어부(40)는 오존 발생기(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예컨대, 대상 공간 내에 사람이 있는 상태에서 살균 또는 탈취를 하고자 할 때, 인체 유해 농도 이하로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유지되도록 오존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The logic circuit part 41 calculates the human body activity Y from the calculated sensing distance D and the human body detecting frequency N by a calculation operation according to Equation 5, and the second memory means 45 includes: The body activity Y and the appropriate ozone concentration data C corresponding to the body activity Y, the ozone generation duration data T D , and the air volume data W are stor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20 by the calculated human activity (Y), for example, when a person wants to sterilize or deodorize in a state where there is a person in the target space. Ozone generation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below the noxious concentration.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모드 중 살균 모드의 동작 조건 설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동작을 시작하면, “5분 후에 살균 동작이 수행됩니다. 실내에 계신 분들은 자리를 피해 주십시오” 등의 음성 안내와 함께 소정의 시간 동안 대상 공간 내의 사용자들이 소개할 수 있도록 한다. 소정의 소개 시간이 경과하면 인체감지 센서, 오존 발생부와 오존 센서가 ON 된다(단계 205 내지 215). 오존 발생부에서 오존이 발생됨에 따라 오존 센서(80)에서 검출되는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오존 센서(80)는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여 임의의 설정 농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20). 오존 센서(80)에 의해서 검출된 오존 농도가 임의의 설정 농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오존 발생부의 동작 개시부터 임의의 설정 농도에 도달한 때까지의 도달 시간을 산정하는 대상 공간 인지 작업(단계 225)을 하게 되고, 이 도달 시간을 토대로 하여 제어부(40)에 포함된 논리 회로부에서는 기설정된 환경 정보에 따른 오존 발생부의 동작 시간 및 동작 조건을 산출(단계 230)한다. 다음으로, 오존 발생부의 동작이 산출된 동작 시간 및 동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단계 240)하고, 산출된 동작 시간이 경과하거나 동작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는 오존 발생부가 OFF(단계 245) 된다. 이후,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모드는 살균 모드에서 대기(청정) 모드로 전환(단계 250)되면서 살균 모드는 종료(단계 255)된다. 이 과정에서 오존 발생부의 동작 조건 부여와 함께 별도로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오존 발생부의 동작 중에 대상 공간에 인체가 감지된 경우, 오존 발생부는 동작 조건 설정과 무관하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경고 알람과 함께 OFF 되고,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모드는 살균 모드에서 대기(청정) 모드로 전환된다.5 is a flow chart for sett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terilization mode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leaning deodorizing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you start the operatio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5 minutes. If you are in the room, please avoid the seat ”and the user in the target space can be introduced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a voice guidance. When the predetermined introduction time elapses, the human body sensor, the ozone generator and the ozone sensor are turned on (steps 205 to 215). As ozone is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80 increases. The ozone sensor 80 detects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and determines whether an arbitrary set concentration has been reached (step 2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zone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80 has reached an arbitrary set concentration, the target space cognition operation for calculating the arrival time from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ing unit to an arbitrary set concentration ( In step 225, the logic circuit included in the controller 40 calculates an operation time and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ozone generator according to predetermined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the arrival time (step 230).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ing unit satisfies the calculated operating time and operating conditions (step 240), and when the calculated operating time has elapsed or the operating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ozone generating unit is turned off (step 245). . Thereaf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freshening deodorizer sterilizer is switched from the sterilization mode to the standby (clean) mode (step 250) while the sterilization mode ends (step 255). In this process,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in the target spa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by using the human body sensor along with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ozone generator, the ozone generator is turned off together with the warning alarm as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the operating condition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lean deodorizing sterilizer is switched from the sterilization mode to the standby (clean) mod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모드에서 동작하는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오존 발생부의 동작 조건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ozone generator of the air clean deodorant sterilizer operating in the deodoriz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흐름도는 탈취 모드에서의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량의 오존을 제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0.05ppmv 이하의 설정치를 기준으로 그 이하인 경우에는 오존 발생부(20)의 ON/OFF 동작을 계속 유지하고,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상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 대한 동작 횟수가 소정의 설정 기준 횟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초과한 경우 탈취 모드에서 대기(청정)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 의하면,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설정치를 넘는 경우에도 탈취에 필요한 설정 기준 횟수만큼의 최소한의 오존 발생을 보장함으로써 대상 공간의 효율적인 탈취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동작 후 최초 1회째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설정된 기준치(0.05ppmv)를 넘어서면 오존 발생부(20)는 일단 동작을 멈추지만, 다시 2회째 동작에서 오존센서(80)에서 측정된 대상 공간의 농도가 상기 기준치를 넘어서지 않으면 오존 발생부(20)는 다시 동작하게 된다. 결국 측정된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연속으로 기준치를 넘지 않는다면, 오존 발생부(20)는 ON/OFF 동작을 계속하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1회 동작 사이클마다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여, 예를 들면 연속으로 3회 이상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기준치를 넘어선다면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모드가 탈취 모드에서 대기(청정) 모드로 전환되도록 동작한다. 이 경우에도 비록 설정된 기준 횟수에는 미치지 못하였지만 탈취 모드에서 동작하는 공기 청정 탈취 살균기에서 방출된 오존으로 인하여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판단되는 선정된 농도(0.06ppmv) 이상인 경우에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오존 발생부(20)의 동작이 중지되고,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모드는 탈취 모드에서 대기(청정) 모드로 전환된다.The flowchart of FIG. 5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in the deodorizing mode. In order to control a small amount of ozone, for example, the ozone generator 2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of 0.05 ppmv or less. ) ON / OFF operation is continu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operations for the case where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set number of times, and in the deodorizing mode in the standby (clean) mode To switch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even when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exceeds the set value, the minimum amount of ozone generated by the set reference number necessary for the deodorization can be ensured, thereby enabling effective deodorization of the target space. That is, when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first target space after the operation exceeds the set reference value (0.05ppmv), the ozone generator 20 stops the operation once, but again the target space measured by the ozone sensor 80 in the second operation. If the concentration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the ozone generator 20 is operated again. As a result, if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measured target space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continuously for more than the set reference number of times, the ozone generator 20 continues the ON / OFF operation. In this way,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is detected every one operation cycle. For example, if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ree times in a row,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leaning deodorization sterilizer is in standby (clean) in the deodorization mode. Operate to switch to mode. In this case, even if the set number of times is not reached,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is higher than the selected concentration (0.06 ppmv) determined to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due to the ozone emitted from the air cleaner deodorizing sterilizer operating in the deodorizing mod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20 is stopped,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is switched from the deodorization mode to the standby (clean) mod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방식을 개괄적으로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기본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 탈취 살균기의 일부 구성 요소들과 그 결합 관계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동작 모드 선택부(500)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동작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505)로 신호가 입력되고, 전체 시스템(오존 발생부, 팬, LED 표시부, 오존 센서, 인체감지 센서, 네온 램프, 음성 출력부 등)이 동작하게 된다.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5)는 오존 발생부(520), 팬(530)을 제어하여 대상 공간의 적정 오존 농도를 제어(510)하도록 한다.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는 오존 센서(540)에서 검출되어 다시 제어부(505)로 귀환(feedback)되고 제어부(505)는 다시 오존 발생부(520)와 팬(530)을 제어하여 공간 오존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네온 램프(525)는 오존 발생부(520)에 포함된 고전압 변압부(도시되지 아니함)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고전압 변압부의 전자기장으로 인해 네온 램프(525) 내의 가스가 방전되어 ON 되고, 이 ON 신호가 제어부(505)로 전달되어 오존 발생부(520)의 정상 동작이 확인될 수 있다. 오존 발생부(520)의 오동작이 있는 경우 네온 램프(525)는 단속적으로 ON/OFF 되고, 이러한 네온 램프(525)의 신호가 제어부(505)로 인가되면 제어부(505)는 오존 발생부(520)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ing deodorant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some components of the air purifying deodorizing sterilizer shown in FIG. 1 and a coupling relationship thereof are shown in blocks. The operation mode selector 500 allows a user to select an operation mode of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lected, a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505, and the entire system (ozone generator, fan, LED display, ozone sensor, human body sensor, neon lamp, voice output unit, etc.)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505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controls the ozone generator 520 and the fan 530 to control 510 the appropriat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is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540 and fed back to the controller 505, and the controller 505 again controls the ozone generator 520 and the fan 530 to maintain the space ozone concentration. To be able. In the neon lamp 525 shown in FIG. 6, when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not shown) included in the ozone generator 520 operates normally, the gas in the neon lamp 525 is discharged due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of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In addition, the 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5 to confirm normal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520. When there is a malfunction of the ozone generator 520, the neon lamp 525 is intermittently turned on / off. When the signal of the neon lamp 525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505, the controller 505 is the ozone generator 520. ) Will stop working.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존 센서(540)와 인체감지 센서(545)는 안전 장치(515)를 통하여 제어부(505)에 연결된다. 도 6의 안전 장치(515)는 제어부(505) 자체의 신호 송/수신이 비정상적인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존 센서(540)가 고장인 경우 대상 공간의 적정 오존 농도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안전 장치(515)에서 오존 센서(540)의 동작 전압이 일정한가를 검출함으로써 오존 센서(54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데, 오존 센서(540)의 비정상적인 동작이 검출되면 안전 장치(515)가 동작하고, 제어부(505)는 LED 표시부(535)의 자가진단램프가 ON 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고장임을 인식하게 한다. 즉, 제어부(505)를 중심으로 안전 장치(515)와 오존 센서(540)가 양방향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인체감지 센서(545)는 공간의 인체 유무를 감지하여 제어부(505)에 소정의 신호를 보낸다. 인체감지 센서(545)가 고장인 경우, 인체에 무해한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오존 센서(540)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체감지 센서(545)의 비정상적인 동작이 검출되면 안전 장치(515)가 동작하고, 제어부(505)는 LED 표시부(535)의 자가진단램프가 ON 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고장임을 인식하게 한다. 도 6의 음성 출력부(550)은 제어부(505)의 제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상태를 저장된 음성의 형식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의 동작 상태를 알려 주도록 동작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wn in FIG. 6, the ozone sensor 540 and the human body sensor 545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5 via a safety device 515. The safety device 515 of FIG. 6 prepares for the cas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controller 505 itself is abnormal. For example, when the ozone sensor 540 is broken, proper ozone concentration control of the target space cannot be normally performed. In this case, the safety device 515 determines whether the ozone sensor 540 is operating normally by detecting whether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ozone sensor 540 is constant. When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ozone sensor 540 is detected, the safety device 515 is detected. ) Is operated, and the controller 505 causes the self-diagnosis lamp of the LED display unit 535 to be turned on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failure. That is, the safety device 515 and the ozone sensor 540 operate in a two-way communication with respect to the control unit 505. In addition, the human body sensor 545 detects the presence of a human body in the space and send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controller 505. If the human body sensor 545 is broken,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sterilization operation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n this case, in the same manner as the ozone sensor 540 described above, when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human body sensor 545 is detected, the safety device 515 operates, and the control unit 505 is a self-diagnostic lamp of the LED display unit 535. Is turned on so that the user recognizes a fault. The voice output unit 550 of FIG. 6 outpu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leaning deodorization sterilizer using ozone in the form of stored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5 to inform the user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air cleaning deodorization sterilizer. It works to inform.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 청정 탈취 살균기를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라면 위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토대로 다양한 변형이나 부가적인 실시가 가능할 것은 자명하다.Although the air purifying deodorizing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based o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hat additional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에 의하면, 대상 공간의 효율적 탈취 및 살균을 위해 오존 농도를 제어함으로써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유해한 영향을 완전히 배제하면서 대상 공간의 탈취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공기청정 기능을 제공한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ozone for efficient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of the target spac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of the target space while completely eliminating th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In addition, the technical effect of providing an air cleaning function can be additionally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에 의하면, 대상 공간에의 인체 유무에 따라 자동적으로 대상 공간의 살균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오존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cleaning deodorizing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sterilization operation of the target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uman body in the target space, the technical effect that can completely eliminate the harmful effect of ozone on the human body You can get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에 의하면, 대상 공간의 공간 크기를 인지하여 대상 공간 내의 효율적 탈취와 살균을 위한 적정 오존 농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technical effect of maintaining the appropriate ozone concentration for efficient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in the target space by recognizing the space size of the target space.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라도 탈취를 원할 때는 인체 유해 기준치(8시간)인 0.06ppmv 이하로 오존 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면서 대상 공간을 탈취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wants to be deodorized even if the user is located in the target space can be obtained a technical effect that the target space can be deodorized while controlling to maintain the ozone concentration to 0.06ppmv or less human harmful reference value (8 hour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오존을 이용한 공기 청정 탈취 살균기에 있어서,In air clean deodorizer sterilizer using ozone, 상기 공기 청정 탈취 살균기는 대기(청정) 모드, 탈취 모드 또는 살균 모드 중 하나 이상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공기 청정 탈취 살균기는The air clean deodorant sterilizer operates in one or more of a standby (clean) mode, a deodorization mode or a sterilization mode, and the air clean deodorizer sterilizer 상기 탈취 또는 상기 살균 모드에서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부;An 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in the deodorization or sterilization mode; 상기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오존 센서; 및An ozone sensor for detecting an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And 상기 오존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대상 공간의 오존 농도에 따라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ozo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pace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발생부의 소정의 ON/OFF 주기를 갖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오존을 발생시켜 상기 대상 공간의 상기 오존 농도가 소정의 탈취 또는 살균 농도에 도달되도록 상기 오존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The controller generates the ozone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having a predetermined ON / OFF cycle of the ozone generator to control the ozone generator so that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target space reaches a predetermined deodorization or sterilization concentration. Air clean deodorant sterilizer using ozon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오존 농도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대기(청정)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when the ozone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controls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standby (clean) mode. Deodorant steriliz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소정의 탈취 또는 살균 농도에 도달하기 위한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 시간(T), 상기 오존 발생부의 ON/OFF 스위칭 주기(P), 또는 상기 스위칭 주기(P) 중 ON 시간 비율(R)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연산하여 대상 공간의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논리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One of an operation time T of the ozone generator, an ON / OFF switching cycle P of the ozone generator, or an ON time ratio R of the switching cycle P to reach the predetermined deodorization or sterilization concentration. The air purifying deodorizing sterilizer using ozone, further comprising a logic circuit unit for calculating the size of the target space by calculating the above dat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대상 공간의 크기와 상기 대상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의 동작 조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First memory means for storing predetermined operating cond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arget space and the size of the target spa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대상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조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살균 탈취기.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arget space with reference to the first memory mean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조건 데이터에 따른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이 종료한 경우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대기(청정)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mode to switch to the standby (clean) mode when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 data is terminat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논리 회로부는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이 시작한 시간부터 상기 오존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오존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데이터(TP)를 더 연산하고,The logic circuit unit further calculates time data T P from the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starts until the ozone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 시간 데이터(T)와 상기 시간 데이터(TP)의 비율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ON 시간 비율(R)이 감소하도록 상기 오존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The controller controls the ozone generator to reduce the ON time ratio R when the ratio of the operation time data T of the ozone generator to the time data T P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ir cleaning deodorant steriliz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상 공간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 센서; 및A human body sensor for sensing a human body existing in the target space; And 상기 인체감지 센서에서 생성되는 센서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인체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인체까지의 거리 데이터(D) 또는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인체를 감지한 빈도 데이터(N)를 산출하기 위한 논리 회로부A logic circuit unit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data (D) from the human body sensor to the human body or the frequency data (N) of detecting the human body in the target space by calculating a sensor signal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enso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Air cleaning deodorizing sterilizer using oz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논리 회로부는 상기 연산된 거리 데이터(D)와 상기 연산된 빈도 데이터(N)를 이용하여 인체 활성도(Y)를 산출하도록 동작하고,The logic circuit unit operates to calculate the human body activity (Y) using the calculated distance data (D) and the calculated frequency data (N), 상기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는 상기 산출된 인체 활성도(Y)에 대응하는 소정의 동작 조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2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And the air cleaning deodorizer sterilizer further comprises second memory means for storing predetermined operating cond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human activity (Y).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인체 활성도(Y)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조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오존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살균 탈취기.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activity (Y)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memory means.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or 10, 상기 동작 조건 데이터는 상기 오존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오존의 농도 데이터(C), 오존 발생 지속 시간 데이터(TD), 또는 풍량 데이터(W)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The operating condition data includes air using ozon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concentration data (C), ozone generation duration data (T D ), or air volume data (W) of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Clean deodorant sterilize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인체활성도(Y)는, 상기 거리 데이터(D) 및 상기 인체감지빈도(N)와 감지거리(D)라 할 때,The human body activity (Y), when the distance data (D)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frequency (N) and the detection distance (D), 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살균탈취기.Air cleaning sterilization deodorizer using ozone,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equation.
KR1020030027391A 2002-05-01 2003-04-30 Air sterilizer using ozone KR100560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3/000879 WO2003092752A1 (en) 2002-05-01 2003-05-01 Air sterilizer using ozone
AU2003223137A AU2003223137A1 (en) 2002-05-01 2003-05-01 Air sterilizer using ozone
EP03719251A EP1503809A4 (en) 2002-05-01 2003-05-01 Air sterilizer using ozone
JP2004500934A JP2005523775A (en) 2002-05-01 2003-05-01 Air purification,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equipment using ozone
CN038157373A CN1665548A (en) 2002-05-01 2003-05-01 Air sterilizer using ozone
US10/510,960 US20050207951A1 (en) 2002-05-01 2003-05-01 Air sterilizer using oz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904A KR20030085698A (en) 2002-05-01 2002-05-01 Air sterilizer using ozone
KR10-2002-0023904 2002-05-01
KR1020020023904 2002-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915A true KR20030086915A (en) 2003-11-12
KR100560054B1 KR100560054B1 (en) 2006-03-13

Family

ID=323810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904A KR20030085698A (en) 2002-05-01 2002-05-01 Air sterilizer using ozone
KR1020030027391A KR100560054B1 (en) 2002-05-01 2003-04-30 Air sterilizer using ozon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904A KR20030085698A (en) 2002-05-01 2002-05-01 Air sterilizer using oz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008569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6493A1 (en) * 2021-06-04 2022-12-08 Clear Path Holdings Corp.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sinfection or deodorization of defined are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989B1 (en) * 2005-05-10 2006-05-10 허태균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for foodstuffs material with the air cleaner
CN110001347B (en) * 2019-03-26 2023-12-26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Vehicle-mounted plasma air purif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256250A (en) * 2020-03-31 2020-06-09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Odor-removing steriliz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516498B1 (en) * 2020-10-08 2023-03-31 주식회사 하이로닉 Apparatus for sterilizing air
WO2023063488A1 (en) * 2021-10-15 2023-04-20 주식회사 엠케이 Ozone sterilization apparatus for vehicle, ozone concentration control method, ozone-ba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nd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ozone sterilization status information
CN116251219A (en) * 2021-12-09 2023-06-13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Ultraviolet disinfection deodoriz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7448920B2 (en) * 2021-12-15 2024-03-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Ozone sterilizer
KR102631876B1 (en) * 2022-08-11 2024-01-30 최정욱 Safety sterilization device using a safety sterilization device in which the amount of sterilant produced in each space is vari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6493A1 (en) * 2021-06-04 2022-12-08 Clear Path Holdings Corp.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sinfection or deodorization of defined are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0054B1 (en) 2006-03-13
KR20030085698A (en)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23775A (en) Air purification,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equipment using ozone
KR100974726B1 (en) Air adjustment device
KR100725576B1 (en)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er
JPWO2019150735A1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ication method
KR20100058087A (en) Apparatus of stand type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indoor air
KR102219356B1 (en) Air Cleaner Comprising Ultraviolet Air Sterilizer
JP2002319472A (en) Ion generating equipmen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is
KR102266443B1 (en) Air purifier with virus inspection function
KR100560054B1 (en) Air sterilizer using ozone
JP2008036168A (en) Deodorizing apparatus
JP2005089171A (en) Elevator with ionizer
JP3693663B2 (en) Air conditioner
JP4540424B2 (en) Air conditioner
JP2004028433A (en) Air cleaner
KR100478706B1 (en) Air- cleaning apparatus for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controls on vehicle
KR20030079818A (en) An air cleaner containing humidifier and sterilizer
JP2007117254A (en) Air purifier
JP4530808B2 (en) Air conditioner
KR20180094158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41260A (en) Air purifier with diffusing a fragrance
JP3561579B2 (en) Air purifier
JP2005348861A (en) Air purifier
JP2005046195A (en) Plasma deodorization apparatus
KR200390531Y1 (en) Ozone sterilizer
JPH0975436A (en) Air cleaning device and ozone detec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