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784A -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784A
KR20030083784A KR1020020021954A KR20020021954A KR20030083784A KR 20030083784 A KR20030083784 A KR 20030083784A KR 1020020021954 A KR1020020021954 A KR 1020020021954A KR 20020021954 A KR20020021954 A KR 20020021954A KR 20030083784 A KR20030083784 A KR 2003008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dental implant
main
coupling
bon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충현
Original Assignee
정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충현 filed Critical 정충현
Priority to KR1020020021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3784A/ko
Priority to PCT/KR2003/000819 priority patent/WO2003088862A1/en
Priority to AU2003222490A priority patent/AU2003222490A1/en
Publication of KR2003008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7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8Immediate loade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Multiple implanting technique, i.e. multiple component implants introduced in the jaw from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그 외주면의 일측에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어 골조직과의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며 치과용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결합물질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메인임플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 CAPABLE OF IMPLANTING RAPIDLY AND SUPPORTING FIRMLY}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란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 또는 악골 내에 금속을 유착시킨 후 그 위에 인공치아를 고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종래에는 한 개 또는 다수의 치아가 상실된 경우 일반적으로 인접치아를 삭제하여 고정성 인공치아를 만들거나 가철성 부분 인공치아 혹은 완전 인공치아를 사용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골조직이 흡수될 수 있으며, 미관상 좋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의치가 탈락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의 단점들이 극복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용이 급증하였다.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는 나사형 임플란트, 원통형 임플란트, 칼날형 임플란트 등이 있으나, 이 중 나사형 임플란트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7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공치근(10)과 연결기둥(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공치근(10)은 골조직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뿌리부분으로 상기 인공치근(10)이 골조직 내에서 안정되는 것은 다음의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첫째, 골조직 개재가 임플란트와 골조직에 인정되는 것(Encapsulation withconnective tissue)과, 둘째, 골조직과 임플란트가 직접 앵커되는 것(Direct bone anchorage)이다.
상기 골조직과 임플란트가 직접 앵커되는 현상을 골유착(osseointegration)이라 한다.
치아는 음식물의 저작에 의한 압력에 충분히 지지될 수 있어야 하므로,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 중 하나는 상기 인공치근(10)이 골조직과 견고하게 골유착 되는 것이다.
이에 인공치근(10)과 골조직의 골유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인공치근(10)의 표면적을 넓게 하였다.
TPS(Titanium Plasma Spray) 코팅법 또는 SLA(Sandblasted Large grid Acid etched) 표면처리법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치근(10)의 표면적이 확장되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인공치근(10)이 골조직 내에서 안정적으로 식립되도록 골조직과 접촉되는 표면적을 넓히거나 인공치근(10)을 길고 두껍게 형성하였다.
이에 종래의 임플란트에서는 인공치근(10)이 길고 두꺼우므로 골조직에 깊고 넓게 삽입되어야 하므로, 골조직이 많이 손상되었다.
또한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촉면적을 넓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임플란트가 지지되는 부분은 주로 골조직이 치밀한 피질골(cortical bone)이나, 종래의 임플란트는 상기 피질골 뿐만 아니라 조직이 엉성한 본멜로(bonemarrow)까지 삽입되므로, 피질골 이하 부분에서는 지지력이 현저히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피질골 부분에만 힘이 집중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인공치근(10)은 일(-)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부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방식으로 골조직에 삽입 고정시키도록 되어있어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에 수직압이 아닌 측방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골유착 부위가 손상이 되어, 임플란트가 지지력을 잃게 되므로 이를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시술하는 경우에는 그 시술 기간이 장기가 되는 단점이 있다.
도 8은 도 7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다음의 제 3 단계로 식립하였다.
즉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공정은 연조직을 개방하여 상기 인공치근(10)을 골조직에 삽입시킨 후 상기 연조직을 덮는 제 1 단계, 상기 연조직을 다시 열고 상기 인공치근(10)에 연결기둥(20)을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연결기둥(20)에 인공치아(A)를 장착하는 제 3 단계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인공치근(10)이 골조직에 유착되기 위해서는 하악의 경우 약 4개월, 상악의 경우에는 약 6개월이 경과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게 식립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압 뿐만 아니라 측방압에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삼각형 형태로 힘이 분산되어 매우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조직이 적게 손상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중 메인임플란트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중 메인임플란트의 정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중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중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
도 4d는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중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중 보조임플란트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인임플란트110: 본체
112: 골조직결합부113: 제1수나사부
114: 연조직결합부115: 치관연결부
116: 치관결합홀117: 제1암나사부
118: 스토퍼119: 조절부
120: 고정부122: 결합부
123: 관통홀124: 증강부
130: 관통부132: 암나사부
200: 보조임플란트220: 머리부
240: 몸통부250: 제2수나사부
260: 꼬리부300: 치관결합편
310: 제3수나사부320: 치관연결부
330: 연결고정부332: 제4수나사부
A: 인공치아(치관)B: 결합물질
C: 골조직D: 연조직
E: 삽입공간 F: 배출구
10: 인공치근20: 연결기둥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그 외주면의 일측에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어 골조직과의 기계적인 결합을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하면 일측에 형성되며 치과용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결합물질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메인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임플란트가 골조직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된 제1수나사 의해 골조직과 결합되는 골조직결합부, 상기 골조직결합부 상부에 형성되며 연조직과의 밀착을 위하여 상부로 넓어지게 경사지게 형성된 연조직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는 상기 연조직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치관과 직접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된 치관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치관과 결합되는 치관결합편이 결합되도록 제1암나사부가 형성된 치관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충진된 결합물질과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증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물질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각지게 형성되거나 나사부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물질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충진물질과 결합하여상기 메인임플란트에 집중되는 수직압을 분산시키며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보조임플란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임플란트는 골조직 외부에 위치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 하단에 연장되며 상기 골조직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그 외주면에 제2수나사부가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끝단에 연장되어 그 말단이 뾰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꼬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보조임플란트가 삽입고정된 후에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수나사부의 일부분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임플란트가 두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여분의 결합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은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상부보다하부의 직경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그 외주면의 일측에는 골과의 기계적인 결합을 위하여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치관과 결합되는 치관결합편이 밀착 삽입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하는 메인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임플란트는 상기 제1수나사부에 의해 골조직과 결합되는 골조직결합부와, 상기 골조직결합부 상부에 형성되며 연조직과의 밀착을 위하여 상부로 넓어지게 경사지게 형성된 연조직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임플란트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임플란트가 골조직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관결합편은 연조직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치관과 연결되는 치관연결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제4수나사부가 형성된 연결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치관결합편이 상기 메인임플란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메인임플란트 아래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임플란트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임플란트가 삽입되도록 형성한 공간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에 충진된 충진물질과 결합하여 상기 메인임플란트에 집중되는 수직압을 분산시키며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보조임플란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임플란트는 골조직 외부에 위치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 하단에 연장되며 상기 골조직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그 외주면에 제2수나사부가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끝단에 연장되어 그 말단이 뾰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꼬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보조임플란트가 삽입고정된 후에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수나사부의 일부분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임플란트가 두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메인임플란트의 일측에는 여분의 결합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은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상부보다 하부의 직경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등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메인임플란트(100), 보조임플란트(20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임플란트(100)는 골조직(C)에 결합되어 인공치아를 지지해주는 치근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본체(10), 스토퍼(118), 고정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골조직결합부(112), 연조직결합부(114), 치관연결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골조직결합부(112)는 골조직(C)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10) 일측에 형성된 제1수나사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조직결합부(114)는 잇몸인 연조직(C)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연조직(C)과의 밀착을 위하여 상부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치관연결부(115)는 인공치아, 즉 치관(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연조직결합부(114)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18)는 상기 메인임플란트(100)가 골조직(C)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연조직결합부(114)와 치관연결부(115)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E)에 충진되는 결합물질(B)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결합부(122)와 증강부(124)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122)는 결합물질(B)의 경화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이며, 상기 증강부(124)는 결합물질(B)의 경화에 의해 상기 결합부(122)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122)는 상기 결합물질(B)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중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들의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2)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122)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23)이 형성된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2)는 삼각기둥, 육각기둥과 같이 각지게 형성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2)에는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강부(124)는 충진된 결합물질(B)과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122)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강부(124)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조임플란트(200)는 상기 삽입공간(E)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물질(B)과 결합하여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에 집중되는 수직압을 분산시키며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보조임플란트(200)는 머리부(220), 몸통부(240), 꼬리부(260)로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220)는 골조직(C)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임플란트(200)를 골조직(C)에서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몸통부(240)는 상기 골조직(C)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공간(E)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외주면에 제2수나사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중 보조임플란트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임플란트(200)가 삽입고정된 후에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수나사부(250)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있다.
상기 꼬리부(260)는 상기 삽입공간(E)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말단이 뾰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었다.
상기 보조임플란트(200)는 두 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E)은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상부보다 하부의 직경이 더 넓게 형성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중 메인임플란트의 정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중 메인임플란트는 본체(10), 스토퍼(118), 고정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118)와 고정부(12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등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골조직결합부(112)와 연조직결합부(114)로 구성되며, 이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골조직결합부(112)와 연조직결합부(114)의 구성과 동등한다.
상기 본체(10)에는 치관결합홀(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치관결합홀(116)은 치관(A)과 결합되는 치관결합편(30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치관결합편(300)의 제3수나사부(310)에 상응하는 제1암나사부(117)가 형성되었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여분의 결합물질(B)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부(119)가 형성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중 메인임플란트의 정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중 메인임플란트는 본체(10), 스토퍼(118), 고정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 스토퍼(118)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등한 구성으로 형성되었으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등한 구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결합부(122)와 증강부(124)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122)를 짧게 형성시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를 증강부(124)로만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일측에는 여분의 결합물질(B)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메인임플란트(100), 보조임플란트(20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에는 스토퍼(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치관결합편(300)이 삽입되는 관통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임플란트(100)는 골조직결합부(112), 연조직결합부(114)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등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내부에는 치관(A)과 결합되는 치관결합편(300)이 밀착 삽입되도록 암나사부(132)가 형성된 관통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치관결합편(300)은 치관(A)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치관연결부(115)와 연결고정부(12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치관연결부(115)는 치관(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연조직(C)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있다.
상기 연결고정부(120)는 상기 본체(10)의 관통부(13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암나사부(132)에 나사결합되는 제4수나사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정부(120)는 상기 메인임플란트(100)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었다.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일측에는 여분의 결합물질(B)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부(119)가 형성되었다.
상기 보조임플란트(200)는 도 1과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등한 구성으로 형성되었으며, 두 개 이상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E)은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상부보다 하부의 직경이 더 넓게 형성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도 1을 참조하여식립되는 순서 및 적용원리에 따라 설명한다.
제1단계, 골조직(C)에 치과용 임플란트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E)을 형성시킨다.
제2단계, 상기 골조직(C)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공간(E)에 보조임플란트(200)를 삽입시킨다.
제3단계, 상기 삽입공간(E)으로부터 상기 골조직(C)이 끝나는 부분까지 배출구(F)를 형성시킨다.
제4단계, 상기 삽입공간(E)에 결합물질(B)을 충진시킨다.
제5단계, 상기 삽입공간(E)에 메인임플란트(100)를 삽입시킨다.
제6단계, 상기 결합물질(B)이 경화된 후에 치관(A)을 메인임플란트(100)의 치관연결부(115)에 연결시킨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삽입공간(E)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시킨 공간보다 얕게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되기 위한 삽입공간(E)은 약 10mm 내지 14mm의 깊이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되기 위한 삽입공간(E)은 약 6mm 내지 7mm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는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에는 상기 임플란트를 굵고 길게 형성하여 골조직(C)에 가능한 넓고 깊게 삽입해야 임플란트가 안정적으로 식립된다고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피질골 이하의 부분에서는 상기 임플란트가 지지되는 힘이 현저히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피질골 부분에서 대부분이 지지된다고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이러한 골조직(C)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본체(10)는 피질골부분에서만 지지되도록 형성하였다.
즉, 상기 삽입공간(E)에 제2단계에서 보조임플란트(200)가 삽입되고, 제4단계에서 상기 삽입공간(E)에 결합물질(B)을 충진시킨 후에, 제5단계에서 메인임플란트(100)를 상기 삽입공간(E)에 삽입시킬 때,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본체(10)는 골조직(C) 중 피질골부분에서만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고정부(120)와 상기 보조임플란트(200)는 상기 삽입공간(E)에 충진된 결합물질(B)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결합물질(B)은 본시멘트(bone cement)와 같은 생체 적합 결합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시멘트가 경화되면 그 강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120)와 상기 보조임플란트(200)가 상기 본시멘트에 의해 고정되면 그 지지력은 상당히 강하다.
즉,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단지 (-)자형의 인공치근(10)이 골조직(C)에 삽입 고정되어 지지력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상기 고정부(120)와 보조임플란트(200)를 본시멘트와 같은 고경도 물질과 결합고정시켜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본체(10)뿐만 아니라, 고정부(120)와 보조임플란트(200)에서도 견고하게 지지될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보조임플란트(200)가 측방향으로 골조직(C)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공간(E)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메인임플란트(100)의 상부에만 집중되던 힘이 역삼각형 방향으로 분산되어 그 유지력과 지지력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또한, 상기 삽입공간(E)이 하부가 넓어지게 형성하여 결합물질(B)의 경화에 의해 지지력이 더욱 강화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골조직(C)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공간(E)에 삽입되는 보조임플란트(200)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몸통부(240)에 제2수나사부(250)가 형성되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240)에서 상기 제2수나사부(250)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상기 결합물질(B)이 경화되었을 때 회전 및 하방으로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보조임플란트(200)가 삽입고정된 후에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삽입공간(E)으로부터 상기 골조직(C)이 끝나는 부분까지 배출구(F)를 형성시켰다. 이는 상기 삽입공간(E)에 결합물질(B)이 필요한 분량보다 많이 충진된 경우에 초과량을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시켰다.
상기 제5단계에서는 상기 삽입공간(E)에 메인임플란트(100)를 삽입시킨다.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본체(10) 중 골조직결합부(112)가 상기 삽입공간(E)에 나사부를 형성시키면서 결합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임플란트(100)가 골조직(C)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스토퍼(118)가 형성되어있다.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에는 삽입되는 인공치근(10)의 크기에 맞추어 정확하게 삽입공간(E)을 형성시켰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에는 메인임플란트(100)의 크기에 맞추어 정확히 삽입공간(E)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메인임플란트(100)가 일정 부분까지만 식립되도록 본체(10) 일측에 스토퍼(118)를 형성하였다.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고정부(120)에서 상기 결합부(122)는 상기 결합물질(B)이 경화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삼각형, 육각형 등의 각진 모양으로 형성시키거나 나사부를 형성시켰고 상기 증강부(124)도 타원형, 삼각형, 육각형 등 각진 모양으로 형성시켰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2)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122)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관통홀(123)을 통하여 상기 결합물질(B)이 삽입 경화되므로 상기 고정부(120)의 일탈이 방지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치관결합홀(116)이 형성되어 치관결합편(300)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5단계에서 상기 삽입공간(E)에 메인임플란트(100)를 삽입시키고, 상기 결합물질(B)이 경화된 후에 상기 치관결합홀(116)에 치관결합편(300)을 결합시킨다.
상기 본체(10) 일측에는 조절부(119)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간(E)에 결합물질(B)이 필요한 분량보다 많이 충진된 경우에 그 초과량을 배출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과정에서 상기 제1단계 내지 제5단계는 동등하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메인임플란트(100)에 치관결합편(300)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5단계 이후에 상기 치관결합편(300)이 상기 메인임플란트(100)의 관통홀(123)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치관결합편(300)에서 연결고정부(120)는 상기 메인임플란트(100)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물질(B)이 충진된 삽입공간(E)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고정부(120)는 상기 보조임플란트(200)와 동시에 상기 결합물질(B)의 경화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결합물질(B)이 경화되는 시간은 약 8분 내지 9분이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골유착 고정을 위해 6개월까지 기다려야 하는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상기 결합물질(B)이 경화되는데 약 8분 내지 9분이 소요되어 단시간에 시술이 완료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보조임플란트의 사용에 의하여 수직압 뿐만 아니라 수평압에 대해서도 지지력이 강하며, 역삼각형 형태로 힘이 분산되어 매우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메인임플란트는 단단한 피질골에만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메인임플란트가 결합된 부분의 결합강도는 종래의 인공치근 결합강도와 동등하나 삽입공간을 종래보다 얕게 형성시키게 되어 골조직이 적게 손상된다.
또한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의 모양과 크기가 일치되도록 정확히 삽입공간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메인임플란트의 고정부가 삽입되는 공간의 깊이는 정확히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메인임플란트 일측에 스토퍼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임플란트가 일정한 위치까지 정확히 삽입된다.
또한 고정부가 결합물질의 경화로 견고히 고정되어 임플란트의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의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고정부와 결합물질이 결합된 후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된다.
또한 보조임플란트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삽입되지만, 그 일측에 나사부를 제거하여 결합물질이 경화된 후에는 보조임플란트가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메인임플란트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메인임플란트보다 긴 치관결합편을이 관통홀에 결합시켜 결합물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Claims (26)

  1. 그 외주면의 일측에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어 골조직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며 치과용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결합물질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메인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메인임플란트가 골조직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된 제1수나사부에 의해 골조직과 결합되는 골조직결합부;
    상기 골조직결합부 상부에 형성되며 연조직과의 밀착을 위하여 상부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연조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연조직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치관과 직접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된 치관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치관과 결합되는 치관결합편이 결합되도록 제1암나사부가 형성된 치관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충진된 결합물질과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증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물질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각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물질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물질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충진물질과 결합하여상기 메인임플란트에 집중되는 수직압을 분산시키며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보조임플란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임플란트는 골조직 외부에 위치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 하단에 연장되며 상기 골조직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그 외주면에 제2수나사부가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끝단에 연장되어 그 말단이 뾰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꼬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보조임플란트가 삽입고정된 후에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수나사부의 일부분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임플란트가 두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여분의 결합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은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상부보다 하부의 직경이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6. 그 외주면의 일측에는 골과의 기계적인 결합을 위하여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치관과 결합되는 치관결합편이 밀착 삽입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하는 메인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임플란트는 상기 제1수나사부에 의해 골조직과 결합되는 골조직결합부와,
    상기 골조직결합부 상부에 형성되며 연조직과의 밀착을 위하여 상부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연조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임플란트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임플란트가 골조직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결합편은 연조직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치관과 연결되는 치관연결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제4수나사부가 형성된 연결고정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치관결합편이 상기 메인임플란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메인임플란트 아래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임플란트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임플란트가 삽입되도록 형성한 공간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에 충진된 충진물질과 결합하여 상기 메인임플란트에 집중되는 수직압을 분산시키며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보조임플란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임플란트는 골조직 외부에 위치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 하단에 연장되며 상기 골조직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그 외주면에 제2수나사부가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끝단에 연장되어 그 말단이 뾰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꼬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보조임플란트가 삽입고정된 후에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수나사부의 일부분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임플란트가 두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임플란트의 일측에는 여분의 결합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은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상부보다 하부의 직경이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020021954A 2002-04-22 2002-04-22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KR20030083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954A KR20030083784A (ko) 2002-04-22 2002-04-22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PCT/KR2003/000819 WO2003088862A1 (en) 2002-04-22 2003-04-22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ing the same
AU2003222490A AU2003222490A1 (en) 2002-04-22 2003-04-22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954A KR20030083784A (ko) 2002-04-22 2002-04-22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784A true KR20030083784A (ko) 2003-11-01

Family

ID=3237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954A KR20030083784A (ko) 2002-04-22 2002-04-22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37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475B1 (ko) 2005-09-21 2007-01-19 주은만 임플란트
KR100935299B1 (ko) * 2009-09-23 2010-01-06 김두태 즉시 고정이 가능한 환자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7235A (en) * 1993-07-02 1995-03-14 Dental Marketing Specialists, Inc. Method for installation of dental implant
US5564925A (en) * 1995-03-14 1996-10-15 Shampanier; Avi Implant for an artificial tooth
JP2000060872A (ja) * 1998-08-21 2000-02-29 Kaneko Agricult Mach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と移植方法
US6325627B1 (en) * 1999-10-20 2001-12-04 Arthur Ashma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idge preservation and implant treatment
KR100372093B1 (ko) * 2000-07-06 2003-02-14 이철원 루우트 스크류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7235A (en) * 1993-07-02 1995-03-14 Dental Marketing Specialists, Inc. Method for installation of dental implant
US5564925A (en) * 1995-03-14 1996-10-15 Shampanier; Avi Implant for an artificial tooth
JP2000060872A (ja) * 1998-08-21 2000-02-29 Kaneko Agricult Mach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と移植方法
US6325627B1 (en) * 1999-10-20 2001-12-04 Arthur Ashma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idge preservation and implant treatment
KR100372093B1 (ko) * 2000-07-06 2003-02-14 이철원 루우트 스크류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475B1 (ko) 2005-09-21 2007-01-19 주은만 임플란트
KR100935299B1 (ko) * 2009-09-23 2010-01-06 김두태 즉시 고정이 가능한 환자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720B1 (en) Dental implant system
US7632095B2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AU609743B2 (en) Dental prostheses
US5513989A (en) Dental implant saddle stabilizer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CA2512283C (en) Dental implant system
US20150313690A1 (en) Dental device fixing unit secured resiliently into implants and/or dental device fixing unit secured into implants enabling optional angular position adjustment
KR101139962B1 (ko) 플레이트를 가진 치과용 임플란트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US7377781B1 (en) Molar dental implant
US20050260541A1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EP0086820A1 (en) DENTAL IMPLANT.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101091350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0121550A1 (zh) 仿生牙种植体及其主根
US9968424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ementless retention of dental crowns to implants
KR101161481B1 (ko) 인공 치경 및 이뿌리를 포함하는 인공치아용 픽스츄어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0083784A (ko)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CN209899623U (zh) 单牙根用牙种植体及种植牙
KR20170103101A (ko)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KR100928019B1 (ko) 와이드 임플란트와 미니 임플란트로 이루어진 임플란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