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801A - 정량 배출 용기 - Google Patents

정량 배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801A
KR20030070801A KR1020020010344A KR20020010344A KR20030070801A KR 20030070801 A KR20030070801 A KR 20030070801A KR 1020020010344 A KR1020020010344 A KR 1020020010344A KR 20020010344 A KR20020010344 A KR 20020010344A KR 20030070801 A KR20030070801 A KR 20030070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ed
inlet
milk
powdered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채
Original Assignee
정희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채 filed Critical 정희채
Priority to KR102002001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0801A/ko
Priority to PCT/KR2003/000386 priority patent/WO2003072458A1/en
Priority to AU2003208636A priority patent/AU2003208636A1/en
Publication of KR2003007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8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유통에 담겨진 분유를 정량으로 배출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유통의 입구 측에 결합되고, 평판한 바닥 면에 부설된 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서 정량의 분유를 충진하기 위한 다수의 수납 공간이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된 회전수납부재; 및 상기 회전수납부재의 입구 측에 고정되어서 상기 수납 공간에 대응하는 유입구가 부설된 고정유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납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의해서 일편이 닫혀진 상기 수납 공간에 정량의 분유가 충진되고, 다시 상기 수납 공간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맞물려 닫혔던 상기 수납 공간의 일편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유가 배출된다.

Description

정량 배출 용기{Receptacle for Discharge Milk Powder by Constant Quantity}
본 발명은 정량 배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유통에 고정되어서 분유의 하중에 분유를 정량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해서 유입구를 통해서는 분유를 정량으로 수납 공간에 충진하고, 상기 유입구에 대해 반대편에 위치하는 유출구를 통해서 분유를 배출하는 정량 배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유통에 계량 스푼이 내장되어 있어서 이 계량 스푼으로 수유에 필요한 적당량의 분유를 젖병에 투입, 용해시켜 수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유대상 유아의 성장 개월 수나 연령에 적합하게 설정된 기준에 맞추어서 적당량의 분유를 계량 스푼으로 떠서 젖병에 여러 번 반복하여 투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젖병에 분유를 투입할 때 젖병 주위에 분유를 흘릴 우려가 많았으며, 반복적으로 계량 스푼을 사용하기 때문에 병균에 약한 유아에게 해로 왔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하루에도 수회에 걸쳐 분유를 타야되기 때문에 부모 입장에서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며, 급하게 분유를 타야하는 경우에는 단지 계량 스푼만 가지고는 계량 횟수를 착각하여 제대로 분유를 계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 95-10674호에서는 가변 정량 용기가 부착된 유아용 분유통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유아용 분유통은 기존의 분유통으로부터 일정한 분유를 밀어내어 저장하는 분유 저장통과, 이 분유저장통의 입구에 끼어지면서 수유량의 눈금이 표시되는 외주에 나사부아 개폐 홈이 형성되며, 이 개폐 홈이 형성되는 안쪽으로는 분유저장통 내에 수납된 분유가 배출되는 배출 홈이 형성되는 분유 저장통 덮개와, 배출 홈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배출 홈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분유저장통 덮개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부로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 홈으로부터 배출되는 분유를 수납하여 배출시키는 가변정량 용기와, 가변정량 용기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마개를 포함하는 구조로 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분유통은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들어왔고, 분유저장통 덮개와 나사 결합된 가변정량 용기를 분유저장통 덮개의 외주에 있는 눈금을 보면서 회전시켜 주어 토출할 분유량 즉, 가변정량 용기와 개폐판 사이의 용적을 가변, 설정한 다음 분유 저장통 덮개 속에 있는 배출 홈을 개폐판으로 개방시켜서 분유가 가변정량 용기에 채워진 것을 확인한 다음 걔폐판을 폐쇄시킨 후 가변정량 용기의 마개를 열면서 배출구를 통하여 젖병으로 분유를 넣을 수 있도록 된 것이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분유통의입구 편에 고정 부착해서 단순한 조작을 통해 정량이 분유를 쉽사리 계량하는 본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구조를 단순히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춤으로써 생산성 및 경제성을 갖춘 본 발명의 정량 배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유통에 고정되어서 분유의 하중에 의해서 분유를 정량으로 배출하는데 있어 유입구를 통해서는 분유를 정량으로 수납 공간에 충진하고, 상기 유입구에 대해 반대편에 위치하는 유출구를 통해서 분유를 정량으로 배출하는 본 발명의 정량 배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량 배출 용기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재의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유입부재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수납부재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우징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 용기의 조립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분유통 20 : 하우징 21 : 유출구
22 : 상단턱 23 : 안내돌기 24 : 바닥면
25 : 절취홈 30 : 회전수납부재 31 : 수납 공간
33 : 안내홈 34 : 제1홈 35 : 제2홈
40 : 고정유입부재 41 : 유입구 42 : 홈
43 : 요홈 50 : 교반부재 51 : 밀대
52 : 돌출부 53 : 통공 60 : 회동부재
70 : 고정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 용기는, 분유통에 담겨진 분유를 정량으로 배출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유통의 입구 측에 결합되고, 평판한 바닥면에 부설된 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서 정량의 분유를 충진하기 위한 다수의 수납 공간이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된 회전수납부재; 및 상기 회전수납부재의 입구 측에 고정되어서 상기 수납 공간에 대응하는 유입구가 부설된 고정유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납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의해서 일편이 닫혀진 상기 수납 공간에 정량의 분유가 충진되고, 다시 상기 수납 공간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맞물려 닫혔던 상기 수납 공간의 일편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유가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수납부재와 같이 축 연결되어서 분말이 분유 덩어리를 휘저어 주기 위한 다수의 밀대를 가지는 교반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모터가 부설되고, 상기 모터에 상기 교반부재와 상기 회전수납부재가 축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고정유입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턱에 접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분유통의 걸림턱에 의해 상기 상단턱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고정유입부재가 하우징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하우징은 상기 회전수납부재를 정위치하는 상기 회전수납부재에 부설된 안내홈과 체결되는 다수의 안내돌기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회전수납부재는 상기 고정유입부재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요홈과 체결되는 걸이가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고정유입부재에는 상기 밀대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안내하는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수납부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하우징은 내측 벽면에 상기 수납 공간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위치시키며, 또한 상기 수납 공간이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위치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밀대에는 분유와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원활하게 상기 교반부재가 회전하도록 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유입구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고정유입부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에 정량의 분유가 충진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배출 용기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유통(10)에 고정되어서 정량의 분유를 배출하는 유출구(21)가 평탄한 바닥면(24)에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되며, 정량의 분유를 충진하는 다수의 수납 공간(31)이 상하로 개방되어서 부설되는 회전수납부재(30);와 상기 수납 공간(31)에 대응하는 유입구(41)가 다수로 부설된 고정유입부재(40);와 상기 회전수납부재(30)와 동일축(100) 상으로 상기 고정유입부재(4)에 끼움 결합되고, 분유를 교반하기 위한 다수의 밀대(51)가 형성된 교반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이 정량 배출 용기(10)는 상기 회전수납부(30)와 상기교반부재(50)를 축 연결하여 구동하는 모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 수납부재(30)의 중심축(100) 상에 마련된 공간(34)에 고정된다.
도 2에서, 상기 교반부재(50)에는 분유를 교반하는 다수의 밀대(51)가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밀대(51)에는 상기 교반부재(50)가 회동 시에 분유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통공(53)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대(51)의 하단에는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유입부재(3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42)에 의해서 상기 교반부재(50)가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부재(50)는 상기 고정유입부재(30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또 3에서, 상기 고정유입부재(40)는 상기 밀대(51)의 돌출부(52)를 안내함으로써 상기 교반부재(50)가 정위치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홈(42)이 상부면으로 상기 돌출부(52)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입부재(40)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요홈(43)은 회전수납부재(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이(32)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정위치에서 회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하우징(20)의 상단턱(22)에 사익 고정유입부재(40)의 하단부(45)가 접하게 되고, 상단부(44)의 위에서 분유통(10)이 걸림턱(11)이 안착함으로써 상기 고정유입부재(40)는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유입부재(40)에는 수납 공간(31)에 분유를 충진하는 다수의 유입구(41)가 부설되며, 상기 유입구(41)를 통해서 분유는 상기 수납 공간(31)에충진된다. 이 유입구(41)는 수납 공간(31) 사이의 거리를 갖는 다수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유입구(41)는 유출구(21)에 대해서 반대편에 위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41)는 적어도 2개 이상을 상기 수납 공간(31)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처음의 유입구(41)를 통해서 완전하게 분유가 충진되지 않더라도 다음의 유입구(41)를 통해서 분유는 수납 공간(31)에 충진된다.
도 4에서, 회전수납부재(30)에는 다수의 수납 공간(31)이 축(100)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 공간(31)은 상하로 개방되어 있어서 상부(상기 유입구(41)와 접하는 편)를 통해서 분유가 충진된다. 이 경우에 상기 수납 공간931)의 하부는 하우징(20)의 평탄한 바닥면(24)에 의해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출구(21)와 수납 공간(31)이 연통되어 분유가 배출된다.
상기 회전수납부재(3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걸이(3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32)는 상기 고정유입부재(40)의 하단부(45)에 형성된 요홈(43)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수납부재(30)의 축(100)에는 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에는 동일 축으로 회전수납부재(30)와 교반부재(50)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힘에 의해서 상기 회전수납부재(30)와 교반부재(5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납부재(30)의 하단부에는 안내홈(3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이(32)와 같이 회전수납부재(30)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에서, 분유통(10)에 고정되는 하우징(20)은 상부에 상단턱(22)이 형성되어 분유통(10)과 상기 고정유입부재(40)를 지지하면서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24)은 평탄하기 때문에 상기 수납 공간(31)의 하부를 단속하여 분유가 상하로 개통된 상기 수납 공간(31)에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24)에는 상기 안내홈(33)에 대응하는 안내돌기(23)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상기 고정유입부재(4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정위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24)에는 분유를 상기 수납 공간(31)에서 배출하도록 하는 유출구(21)가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수납 공간(31)과 상기 유출구(21)가 연통됨으로써 분유의 하중에 의해서 분유가 정량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모터가 이용되지 않는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0) 또는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수납부재(30)와 상기 교반부재(50)를 축 연결하는 고정축이 형성된다.
이하, 모터를 이용하지 않는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회동부재(60)를 설명하고, 추가하여 상기 하우징(20)에 부설되어서 다수의 수납 공간(31)을 유출구(21) 및 유입구(41)와 연통되도록 위치시키는 고정부재(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 용기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회전수납부재(30)의 외벽에는 2종류의 홈이 형성된다. 하나는 상기 고정부재(70)에 체결되는 제1홈(34)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회동부재(60)에 체결되는 제2홈(35)이다.
상기 제1홈(34)은 상기 제2홈(35)보다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서 앞쪽으로 형성된다. 이 홈(34)은 도 1에 도시한 고정부재(70)의 고리(71)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31)과 상기 유출구(21)가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회전운동을 정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홈은 회동부재(60)가 고리(61)와 체결되어서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2홈의 일단(고리가 걸리는 편)은 단턱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시에 홈에서 고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타단은 경사면으로 형성해서 홈에서 고리가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나의 제1(2)홈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제1(2)홈과의 거리는 수납공간(31)이 유출구(21)와 연통되는 거리로써 상기 회동부재(60)의 1회 동작에 따라서 상기 수납 공간(31)에 충진된 분유가 상기 유출구(21)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한다. 이것은 상기 회전수납부재(30)의 축(100)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수납 공간(31)의 중심과 상기 축(100)의 연장선상에 상기 제2홈 또는 제1홈을 위치시킴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배출 용기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유입부재(40)에 부설된 유입구(41)를 통해서 분유통에 저장된 분유가 하중에 의해서 아래로 쏟아지게 된다. 경험칙에 의하면, 상기 분유통에 본 발명의 정량 배출 용기(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뒤집어 주어 분유의 하중에 의해서 분유가 아래로 배출되도록 하는 경우에, 상기 유입구(41) 주변의 분유는 아래로 계속하여 쏟아지는 반면에, 다른 곳에 있는 분유는 그대로 쌓여진 상태를 유지만 한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유입구의 상부로 하나의 분유 통공이 형성될 뿐, 더 이상 분유가 상기 유입구(41)를 통해서 아래로 쏟아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반부재(50)가 이용된다. 상기 교반부재(50)는 분유통의 하단에서 상기 분유를 교반시켜 줌으로써 상기 분유가 아래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유입구(41)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쏟아지는 분유는 회전수납부재(30)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상기 유입구(41)가 수납 공간(31)과 연통되는 순간에 상기 수납 공간(31)에 충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수납부재(30)의 회전운동은 회동부재(60)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60)의 고리(61)는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20)의 절취홈(25)과 고정부재(70)의 고리(71)에 부설된 안내통(72)에 의해서 안내되어 제2홈(35)에 결합되고, 상기 고리(61)가 상기 제2홈(3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수납부재(30)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재(6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고정부재(70)의 고리(71)는 상기 제2홈(35)에 인접한 다른 제1홈(3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수납부재(30)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에, 회전수납부재(30)의 상부로는 유입구(41)와 수납 공간(31)이 연통됨으로써 분유가 충진되고, 하부로는 수납 공간(31)이 상기 유입구(41)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유출구(21)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31)에 정량으로 충진된 분유가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유통의 입구편에 고정 부착해서 단순한 조작을 통해 정량의 분유를 쉽사리 계량할 수 있으며, 그 구조를 단순화해서 저렴한 비용으로 본 발명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

  1. 분유통(10)에 담겨진 분유를 정량으로 배출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유통(10)의 입구측에 결합되고, 평판한 바닥면(24)에 부설된 유출구(24)를 가지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서 정량의 분유를 충진하기 위한 다수의 수납 공간(31)이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된 회전수납부재(30): 및
    상기 회전수납부재(30)의 입구측에 고정되어서 상기 수납 공간(31)에 대응하는 유입구(41)가 부설된 고정유입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입구(41)를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24)에 의해서 일편이 닫혀진 상기 수납 공간(31)에 정량의 분유가 충진되고, 다시 상기 수납 공간(31)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출구(21)와 맞물려 닫혔던 상기 수납 공간(31)의 일편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유출구(21)를 통해 분유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 상기 회전수납부재(30)와 같이 축 연결되어서 분말이 분유 덩어리를 휘저어 주기 위한 다수의 밀대(51)를 가지는 교반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 모터가 부설되고, 상기 모터에 상기 교반부재(50)와 상기 회전수납부재(30)가 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입부재(40)의 하단부(45)가 상기 하우징(20)의 상단턱(22)에 접합되고, 상단부(44)는 상기 분유통(10)의 걸림턱(11)에 의해 상기 상단턱(22)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고정유입부재(40)가 하우징(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회전수납부재(30)를 정위치하는 상기 회전수납부재(30)에 부설된 안내홈(33)과 체결되는 다수의 안내돌기(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재(30)는 상기 고정유입부재(40) 하단부(45)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요홈(43)과 체결되는 걸이(32)가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입부재(40)에는 상기 밀대(51)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52)를 안내하는 홈(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 상기 회전수납부재(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동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내측 벽면에 상기 수납 공간(31)이 상기 유입구(41)와 연통되도록 위치시키며, 또한 상기 수납 공간(31)이 유출구(21)와 연통되도록 위치시키는 고정부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50)의 밀대(51)에는 분유와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원활하게 상기 교반부재(50)가 회전하도록 하는 다수의 통공(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41)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고정유입부재(40)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31)에 정량의 분유가 충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KR1020020010344A 2002-02-26 2002-02-26 정량 배출 용기 KR20030070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344A KR20030070801A (ko) 2002-02-26 2002-02-26 정량 배출 용기
PCT/KR2003/000386 WO2003072458A1 (en) 2002-02-26 2003-02-26 Container for discharging powdered milk by constant quantity
AU2003208636A AU2003208636A1 (en) 2002-02-26 2003-02-26 Container for discharging powdered milk by constant quant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344A KR20030070801A (ko) 2002-02-26 2002-02-26 정량 배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801A true KR20030070801A (ko) 2003-09-02

Family

ID=3222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344A KR20030070801A (ko) 2002-02-26 2002-02-26 정량 배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0801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9309A1 (en) * 2006-05-27 2007-12-06 Keum Ja Park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milled powder from mill
WO2008094880A1 (en) * 2007-02-01 2008-08-07 Johnson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KR100900984B1 (ko) * 2007-08-30 2009-06-04 장수진 분유 및 분말 디스펜서
KR100900983B1 (ko) * 2006-12-28 2009-06-04 신향숙 분유분말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유 디스펜서
KR100916614B1 (ko) * 2008-11-17 2009-09-14 (주)연우 파우더 정량 토출 용기
KR100941064B1 (ko) * 2007-08-09 2010-02-19 박금자 분쇄기로부터 분쇄된 분말의 분리수거장치
US8261951B2 (en) 2004-05-06 2012-09-11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WO2013141418A1 (ko) * 2012-03-21 2013-09-26 Jung Byung Woon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1327550B1 (ko) * 2012-11-19 2013-11-21 주식회사 피에나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
CN105996774A (zh) * 2016-07-12 2016-10-12 北京婴萌科技有限公司 粉末冲调装置及粉末冲调***
CN107960922A (zh) * 2016-10-20 2018-04-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定量装置及烹饪器具
CN108078455A (zh) * 2016-11-21 2018-05-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定量装置、厨房储具及烹饪器具
KR2022009358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보관 용기
CN117022918A (zh) * 2023-08-24 2023-11-10 深圳璟都科技有限公司 一种出粉量可调的电动储粉瓶
WO2024138113A1 (en) * 2022-12-23 2024-06-27 Xim Llc Powder dispensing hopp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89Y1 (ko) * 1996-12-03 1999-10-01 우병선 휴대용 분유통의 정량 유출장치
KR200230076Y1 (ko) * 2000-10-14 2001-07-19 김도엽 정량 토출식 분유통
KR200235884Y1 (ko) * 2001-03-30 2001-10-10 황현덕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89Y1 (ko) * 1996-12-03 1999-10-01 우병선 휴대용 분유통의 정량 유출장치
KR200230076Y1 (ko) * 2000-10-14 2001-07-19 김도엽 정량 토출식 분유통
KR200235884Y1 (ko) * 2001-03-30 2001-10-10 황현덕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3614B2 (en) 2004-05-06 2014-09-16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US7950550B2 (en) 2004-05-06 2011-05-31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US8261951B2 (en) 2004-05-06 2012-09-11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US8276790B2 (en) 2004-05-06 2012-10-02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WO2007139309A1 (en) * 2006-05-27 2007-12-06 Keum Ja Park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milled powder from mill
KR100900983B1 (ko) * 2006-12-28 2009-06-04 신향숙 분유분말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유 디스펜서
WO2008094880A1 (en) * 2007-02-01 2008-08-07 Johnson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KR100941064B1 (ko) * 2007-08-09 2010-02-19 박금자 분쇄기로부터 분쇄된 분말의 분리수거장치
KR100900984B1 (ko) * 2007-08-30 2009-06-04 장수진 분유 및 분말 디스펜서
KR100916614B1 (ko) * 2008-11-17 2009-09-14 (주)연우 파우더 정량 토출 용기
WO2013141418A1 (ko) * 2012-03-21 2013-09-26 Jung Byung Woon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1327550B1 (ko) * 2012-11-19 2013-11-21 주식회사 피에나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
CN105996774A (zh) * 2016-07-12 2016-10-12 北京婴萌科技有限公司 粉末冲调装置及粉末冲调***
CN107960922A (zh) * 2016-10-20 2018-04-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定量装置及烹饪器具
CN108078455A (zh) * 2016-11-21 2018-05-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定量装置、厨房储具及烹饪器具
KR2022009358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보관 용기
WO2024138113A1 (en) * 2022-12-23 2024-06-27 Xim Llc Powder dispensing hopper
CN117022918A (zh) * 2023-08-24 2023-11-10 深圳璟都科技有限公司 一种出粉量可调的电动储粉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0801A (ko) 정량 배출 용기
US6283339B1 (en) Twist bottom dispenser
US4832235A (en) Self-measuring condiment cap
US20090001104A1 (en) Method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ice
US9297683B2 (en) Portion distribution device
US7441676B2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a
AU2010284643B2 (en) Dispensing cap for a container
KR20000053012A (ko) 턴테이블식 저장 디바이스
KR100407551B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100900984B1 (ko) 분유 및 분말 디스펜서
US11105671B2 (en)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KR200235884Y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450199Y1 (ko) 유량 체크 기능이 구비된 마개 구조
JP2005088937A (ja) 錠剤計量容器
KR101523932B1 (ko) 양념통
KR20040075393A (ko) 분유를 일정하게 배출하는 용기
US20150014349A1 (en) Dispensing Contents from Selected Chambers
KR100620953B1 (ko) 분체 정량 배출용기
JP5496872B2 (ja) 定量吐出具
CN109394033A (zh) 可控量调料容器
KR101801602B1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US202400608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sing a flowable solid
KR19980056349U (ko) 분유계량장치
JP2001114322A (ja) 注出量可変容器
JP2006021779A (ja) 計量振り出し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