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937A - Method for creating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 - Google Patents

Method for creating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937A
KR20030068937A KR1020020008683A KR20020008683A KR20030068937A KR 20030068937 A KR20030068937 A KR 20030068937A KR 1020020008683 A KR1020020008683 A KR 1020020008683A KR 20020008683 A KR20020008683 A KR 20020008683A KR 20030068937 A KR20030068937 A KR 2003006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om
image
file
capture
stil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철
최승욱
조상욱
노문종
박철현
김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니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니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니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2000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8937A/en
Publication of KR2003006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93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generating a file suitable for a DICOM standard from an image taken from a non-DICOM medical equipment not supporting DICOM. CONSTITUTION: An image from a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 is input to a frame grabber(S201). If a capture start signal is generated, a still image is captured(S202). The captured still image is stored at a predetermined region of a hard disk. If a capture end signal is generated(S206), a DICOM multi frame file is generated by storing a plurality of still images of the hard disk to a data region of a DICOM format file(S207). After the capture start signal is received, whether a single frame or a multi frame is captured from an output image from the medical image equipment(S203). If being at a single frame mode, the captured still image is stored in the hard disk at a point of time when the capture start signal is received(S204).

Description

넌-다이콤 의료 영상 장비의 출력영상으로부터 다이콤 파일 생성 방법{Method for creating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Method for creating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ICOM을 지원하지 않는 의료 영상장비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DICOM을 지원하는 멀티프레임 이미지파일을 생성하는데 적당한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에 대한 DICOM 파일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generating a DICOM file for a non-DICOM medical imaging apparatus suitable for generating a multiframe image file supporting DICOM from an image captured by a medical imaging apparatus that does not support DICOM.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 행위에 있어서 임상 진단은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의료 기술의 발전은 정확한 임상 진단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의존도는 더욱 더 높아질 것이다.In general, clinical diagnosis is a big part of treating patients in the medical treatment of patients' lives, and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re helping to make accurate clinical diagnoses, and their dependence will be even higher. .

이에,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r Tomography),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의 의료 영상 장비들은 현대의학에서는 필수적인 장비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의료 서비스는 의료 영상 장비들로 환자의 이상 부위를 찍고 그것을 필름으로 인화하여 환자의 주치의에게 전달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임상 진단을 내리기까지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 비효율적인 자원 운영뿐만 아니라, 병원의 재정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으며, 무엇보다 환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를 받을 수가 없었다.Thus, although medical imaging equipments such as computer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have become essential in modern medicine, medical services have been used as medical imaging equipment. By taking abnormalities and printing them to film and delivering them to the patient's doctor, a lot of time and manpower is put into the final clinical diagnosis, which not only helps in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but also helps the hospital's finances. Could not receive prompt and accurate treatment.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X-Ray 필름을 5년 동안 의무적으로 보관토록 규정하고 있는바, 각 병원에서는 X-Ray 필름을 환자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있는데, 갈수록 병원의 규모가 커지고 환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보관해야 할 X-Ray 필름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필름의 보관 및 관리에 따른 공간 및 인력낭비 등의 문제 예를 들면, 보관상태가 좋지 않은 불량필름 및 필름 분실로 인한 재촬영, 필름 분실로 인한 의료 분쟁, 보관된 필름을 찾는데 소모되는 시간 및 인력의 낭비 등의 문제가 심각한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in Korea, X-Ray film is mandatory to be stored for five years. In each hospital, X-Ray film is classified and stored by patient, and as the size of the hospital increases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creases, The number of X-Ray films to be increased increases,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waste of space and manpower due to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films, for example, re-shooting due to poor film and poor film storage, and film loss. Problems such as medical disputes, time spent looking for archived films, and waste of manpower are serious.

한편,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계에서도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병원 전체에 컴퓨터 통신망을 설치하고, 모든 X-Ray 필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다음, 서버와 연결된 대형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두고, 필요시에 각 진료실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원하는 환자의 X-Ray 화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영상저장전송 시스템(PACS:Picture Arching Communication System)(이하, "PACS"라 약칭함)이 최근에 도입되었다.Meanwhile,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medical system dealing with patient's life is researching and developing a system that provides medical service using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ample,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is installed throughout the hospital. Medical X-Ray film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o make a database, stored in a large storage medium connected to the server, and when needed, a medical monitor that allows each office to view the X-ray image of the desired patient through a computer monitor. Picture Arching Communication System (PACS) (hereinafter abbreviated as "PACS")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상기 PACS는 의료 영상, 특히 방사선학적 진단 영상들을 디지털 형태로 획득(Acquisition)한 후, 고속의 통신망(Network)을 통하여 전송하고, 의료 영상은 과거의 X-ray 필름 대신에 디지털 데이터로 보관되기 때문에 방사선과 의사들과 임상 의사들이 기존의 필름 뷰박스(Film view box) 대신에 영상 조회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포괄적인 디지털 영상 관리 시스템 및 전송 시스템을 말한다.The PACS acquires medical images, especially radiological diagnostic images in digital form, and then transmits them through a high-speed network, and the medical images are stored as digital data instead of the past X-ray film. Radiologists and clinicians refer to a comprehensive digital image management system and transmission system that uses an image retrieval device to treat a patient instead of a conventional film view box.

PACS의 궁극적인 목표는 필름이 없는(Filmless) 병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영상표시 및 처리(Image display and processing), 정보통신 및 네트워킹(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데이터베이스(Database), 정보관리(Information management),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정보저장 및 관리(Data storage and management) 등의 기술이 종합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The ultimate goal of PACS is to build a filmless hospital system, which includes image display and processing, 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databases, and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ser interface, data storage and management, etc. should be comprehensively established.

이러한 PACS는 영상 데이터의 저장과 조회 경로 방식에 따라 중앙집중형 시스템과 분산형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앙집중형 시스템은 모든 영상 데이터를 중앙의 대형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조회 요구시에는 해당 데이터를 조회시스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모든 사용자(의사)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모든 영상 데이터를 억세스(Access)할 수 있는 반면에, 조회요구 후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매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가 요구된다.Such PACS can be divided into centralized system and distributed system according to the storage and retrieval path method of image data. Centralized system stores all image data in large central storage media, and when requested, the corresponding data As a method of transmitting to the inquiry system, all users (doctors) can access all the image data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hile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after the inquiry request, so a very fast data transmission speed is required. do.

반면에, 분산형 시스템은 업무 특성에 맞춰 영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에 분산시켜 저장하는 시스템으로서, 각 워크스테이션은 조회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보관하는 캐시(cache) 성격의 로컬 이미지 스토리지(Local image storage) 특성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a distributed system is a system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image data in one or more storage media according to a business characteristic, and each workstation temporarily stores a cached image of a local image (Local image storage). storage) characteristics.

이와 같은 분산형 시스템은 중앙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비교적 속도가 느린 저속 네트워크로도 구성이 가능하나, 조회를 요구한 영상 데이터가 로컬 워크스테이션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데이터 전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Such a distributed system can be configured as a slow network, which is relatively slower than a centralized system, but the disadvantage is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nsmit data when the video data that requires inquiry is not present in the local workstation. have.

대부분의 PACS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서버(1)와, X-Ray, CT, MRI와 같은 다수의 영상획득장치(3)와, 상기 영상획득장치(3)에서 획득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저장장치(5)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볼 수 있는 영상출력장치(7)와, 상기 영상저장장치(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조회하여 볼 수 있는 영상조회장치(9)와, 이들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허브(11) 및 각 장치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통신망(Network)(13) 등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장치들이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most PACSs are largely obtained from a server 1, a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3 such as X-rays, CTs, and MRIs, and digital images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3. Image storage device 5 for storing data, image output device 7 for outputting and viewing image data, and image search for querying and viewing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storage device 5 as necessary. Device 9, a hub 11 for determining the data transmission path therebetween, and a network 13 for interconnecting the devices, and so on, where the important elements are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protocol.

상기 DICOM은 산업 표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CT와 MRI뿐만 아니라 핵의학, 초음파 등의 각종 디지털 영상획득장치와 다른 정보 시스템간의 통신을 효과적으로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1984년에 미국의 방사선과(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 ACR)와 의료기 업체(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NEMA)가 공동으로 표준화를 시작한 것으로 그 이듬해인 1985년에 첫번째 표준이 제정되었다. 이후 1988년과 1993년의 두 번의 개정 작업을 통해 현재의 3.0 개정판에 이르러 비로소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이라 불리게 되었다.DICOM refers to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effectively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igital image acquisition devices, such as nuclear medicine and ultrasound, and other information systems, using an industry standard network. In 1984, the American Department of Radiology (American) The College of Radiology (ACR) and the 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NEMA) jointly initiated standardization, the first of which was established in 1985 the following year. After two revisions in 1988 and 1993, the current 3.0 revision became known as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이러한 DICOM 프로토콜이 대두된 배경은 의료산업 분야가 정보화되면서 각각의 의료 장비들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서로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의료영상 장비들간에 의료영상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음에 있어 어떤 약속이 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이다.The background of the DICOM protocol has emerged as the medical industry has been informatized, and each medical device has been us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rather than independently, and the medical imaging equipment has been used to exchange medical images and related information. Because some promise was needed.

즉, 과거에는 일정한 표준이 없이 제조 업체마다, 영상 장비의 종류에 따라, 또한 영상 장비의 모델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하는 방법이 모두 달라서 서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변환기(gateway)를 구매해야만 하거나 전혀 통신이 불가능하였다.In other words, in the past, there is no standard, and different manufacturers have different methods of stor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video equipment and the model of the video equipment. Therefore, expensive gateways are purchase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t had to or had no communication at all.

그러나 DICOM 표준이 정착되면서 특별한 변환기가 필요 없어도 이 표준을 따르는 장비들은 제조 업체와 장비 종류를 막론하고 서로 정보교환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비단 병원 내에 존재하는 DICOM 지원 장비들간의 통신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격지와의 통신도 가능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DICOM standard, equipment that conforms to this standard is able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r type of equipment, even if no special converter is required. This means that not only communication between DICOM-supported equipments existing in the hospital is possible, but also remote communication is possible.

또한, 네트워크 구성 방식도 현재 컴퓨터 산업계에서 널리 쓰이는 표준 방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병원 내부간의 연결, 원격 진료소간의 통신 그리고 원격 진단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모든 의료 영상 관련 시스템에 DICOM 표준을 쉽게 적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follows the standard method widely used in the computer industry, the DICOM standard can be easily applied to all medical imaging systems, such as connection between hospitals, communication between remote clinics, and remote diagnosis systems.

이와 같은 DICOM의 주요한 특징은 CT, MRI, US(Ultra sound), NM(Nuclear Medicine)을 비롯한 각종 디지털 영상 장비가 만들어 낸 영상 정보들에 대한 질의(query) 및 검색 네트워크에 연결된 영상출력장치와의 정보 교환, CD(Compact Disk)와 같은 디지털 기록매체를 이용한 병원정보 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또는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RIS: Radiology Information System)과 연계하여 환자 정보, 예약 정보, 검사 정보, 결과 정보를 통합하는 방안 그리고 내시경 검사, 방사선 치료 계획, 병리학 분야에까지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main feature of DICOM is to query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various digital imaging equipment including CT, MRI, Ultra sound (U.S.), Nuclear Medicine (NM), and to the image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search network. Patient information, appointment information, examination information, result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or radiology information system (RIS) using digital record media such as information exchange, compact disk (CD) Increasingly, the trend is expanding to include endoscopy, radiotherapy planning, and pathology.

그러나, 아직까지도 대다수의 병원에는 DICOM을 지원하지 않는 장비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고, 따라서 이러한 장비에 의해 촬영된 영상중 정지영상은 필름으로 현상하고 동영상은 일반적인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되므로 보존성이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reality is that many hospitals still do not support DICOM. Therefore, the still images are recorded in film and the video is recorded on general video tape. have.

또한, DICOM을 지원하지 않은 장비들이 많은 상황에서 의료정보저장전송 시스템(PACS)을 구축하였거나 또는 구축할 예정에 있는 병원이라 할지라도 기존의 DICOM을 지원하지 않는 장비들과 상기 의료정보저장전송 시스템과의 연동이 불가하여 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용이 어려운 상황이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where a device which does not support DICOM has a medical data storage transmission system (PACS) in many situations or is going to build a medical equipment that does not support the existing DICOM and the medical information storage transmission system and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operate the system due to the impossibility of linkage.

물론, 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용을 위해 그간의 의료 장비들을 모두 DICOM을 지원하는 장비로 교체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DICOM을 지원하는 장비와 지원하지 않는 장비간의 통신을 위한 변환기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 모두 많은 비용이 들게되어 재정상의 문제를 야기시키므로 현실적으로는 쉽지가 않다.Of course, all the medical devices in the meantime may be replaced with devices that support DICOM, or at least a converter may be install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devices that support DICOM and those that do not support them. It is not easy in reality because it causes financial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DICOM을 지원하지 않는 Non-DICOM 의료장비에서 촬영된 영상을 DICOM 표준에 맞게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 file in accordance with the DICOM standard images taken in non-DICOM medical equipment that does not support DICO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ICOM을 지원하는 장비로 교체하거나 별도의 변환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의료영상저장전송 시스템과 효과적으로 연동이 가능한 Non-DICOM 의료장비의 출력영상으로부터 DICOM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 DICOM file from the output image of the non-DICOM medical device that can be effectively linked to the medical image storage transmission system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device or support device with DICOM. have.

도 1은 일반적인 의료영상저장전송 시스템(PACS)의 개략적인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eneral medical image storage transmission system (PACS)

도 2는 본 발명의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의 출력영상으로부터 DICOM 이미지 파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DICOM image file from an output image of a non-DICOM medical im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DICOM JPEG 파일의 프레임(Frame) 구조를 도시한 도면3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of a DICOM JPEG fi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서버 3 : 영상획득장치1: Server 3: Image Acquisition Device

5 : 영상저장장치 7 : 영상출력장치5: Video storage device 7: Video output device

9 : 영상조회장치 11 : 허브9: video search device 11: hub

13 : 통신망13: communication network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의 출력영상으로부터 DICOM 파일 생성 방법은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가 프레임 그레버로 입력되는 단계와, 캡쳐 시작 신호가 발생되면 정지 영상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정지 영상 이미지를 하드디스크의 소정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와, 캡쳐 종료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하드디스크의 소정영역에 저장된 복수의 정지 영상 이미지를 DICOM 포맷 파일의 데이터 영역에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DICOM 멀티프레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generating a DICOM file from an output image of a non-DICOM medical im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putting an image image output from a non-DICOM medical imaging apparatus to a frame grabber, and a capture start signal. Capturing a still image image when the image is generated, and sequentially storing the captured still image imag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still images stor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when a capture end signal is generated. And storing the images sequentially in the data area of the DICOM format file to generate a DICOM multiframe fil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DICOM 파일 생성 방법은 DICOM을 지원하지 않는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정지 영상 이미지를 캡쳐한 후, 이를 하드디스크의 임시저장 디렉토리(TEMP Directory)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TEMP 디렉토리에 저장될 정지 영상 이미지의 수는 캡쳐를 시작하여 종료되는 동안에 캡쳐된 이미지의 수에 따라 결정되나, 사용자에 의한 강제적인 캡쳐 종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설정된 영상 캡쳐 한계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The method of generating a DICOM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ptures a plurality of still images from images captured by a non-DICOM medical imaging apparatus that does not support DICOM, and sequentially stores them in a temporary storage directory (TEMP Directory) of a hard disk. Save it. In this case, the number of still image images to be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ptured images during capturing and ending capturing. However, if the capturing by the user is not forcibly terminated,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mage capture limit time set through.

이후, 상기 TEMP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정지 영상 이미지들과 환자정보가 저장될 DICOM 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TEMP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정지 영상 이미지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DICOM 파일에 DICOM JPEG 방식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환자정보와 함께 파일의 헤더 정보에 저장한다.Thereafter, a plurality of still image images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and a DICOM file for storing patient information are generated, and then a plurality of still image images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are sequentially stored in the DICOM file. At the same time, it is saved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file along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참고로, 상기 TEMP 디렉토리에 정지 영상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1000개가 저장되었다고 가정하면, 하나의 정지 영상 이미지의 사이즈는 컬러 이미지일 경우 약 0.9MB(640*480*3)가 되고, 흑백 이미지일 경우에는 0.3MB(640*480*1)가 된다.For reference, assuming that 1000 still image images are sequentially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the size of one still image image is about 0.9MB (640 * 480 * 3) for a color image, and for a monochrome image. 0.3MB (640 * 480 * 1).

따라서, 압축이 안되었다고 가정하면, 1000개의 정지 영상 이미지가 갖는 총 사이즈는 900MB가 되며, 결국 TEMP 디렉토리에는 900MB에 상당하는 정지 영상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저장되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캡쳐되어 저장되는 N개의 영상 이미지는 지정된 압축 퀄리티에 따라 실시간 Lossy(손실) JPEG 방식으로 압축되어 저장된다.Therefore, assuming that compression is not performed, the total size of 1000 still image images is 900MB, which means that 900MB equivalent still image images are sequentially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In general, N video images captured and stored are compressed and stored in a real-time lossy JPEG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ed compression quality.

이와 같이, Non-DICOM 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정지 영상 이미지를 캡쳐하여 이를 TEMP 디렉토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상기 1000개의 정지영상 이미지를 DICOM 파일에 순차적으로 하나씩 반복하여 저장하는데, 상기 DICOM 파일의 앞부분에는 환자의 이름, 환자 ID, 촬영날짜, 촬영번호, 프레임 속도 등의 환자정보가 저장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과 연동할 수 있는 형태의 DICOM 파일(멀티프레임 파일)이 완성된다.As such, after capturing a plurality of still image images from an image output from a non-DICOM device and sequentially storing them in the TEMP directory, the 1000 still image images are repeatedly stored one by one in a DICOM file. At the beginning of the file, patient information such as patient's name, patient ID, date taken, number taken, frame rate, etc. are saved so that the DICOM file (multi-frame file) can be finally linked to the PACS. This is done.

이를 도 2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Non-DICOM 의료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으로부터 DICOM 이지미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로서, Non-DICOM 의료 장비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이미지가 컴퓨터내 슬롯에 장착되는 프레임 그레버(Frame Grabber)에 입력되면(S201), 캡쳐 시작 버튼(Capture start button) 또는 풋 스위치(Foot switch)가 클릭(Click) 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S202), 캡쳐 시작 버튼이나 풋 스위치가 클릭 되었으면 Non-DICOM 의료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으로부터 단일 프레임을 캡쳐할 것인지 아니면 다중 프레임을 캡쳐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캡쳐 프레임 모드를 확인한다(S203).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DICOM image file from an image output from a non-DICOM medic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n analog image image output from a non-DICOM medical device is mounted in a slot in a computer. When input to the Grabber (S201), it is checked whether the capture start button or the foot switch is clicked (S202), and the capture start button or the foot switch is If clicked, the capture frame mode indicating whether to capture a single frame or multiple frames from the image output from the non-DICOM medical device is checked (S203).

여기서, 상기 프레임 그레버(Frame Grabber)는 아날로그 영상 이미지로부터 정지 영상 이미지를 캡쳐한 후, 이를 디지털 영상 이미지로 압축하여 하드디스크의 TEMP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장치로서, 압축 퀄리티(Quality), 이미지의 칼라/흑백 여부 및 그레이 레벨(Gray level)에 따라 18~30fps(Frame per second)의 속도로 정지 영상(Still image)을 캡쳐한 후,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Here, the frame grabber is a device that captures a still image image from an analog image image, compresses it into a digital image image, and stores the same in a TEMP directory of a hard disk. It captures a still image at a rate of 18 to 30 fps (Frame per second)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depending on whether it is black and white and gray level.

상기 캡쳐 시작 버튼(Capture start button)이나 풋 스위치(Foot switch)는현재 프레임 그레버(Frame Grabber)로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Non-DICOM 의료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중에서 정지 영상 이미지를 캡쳐할 시점을 상기 프레임 그레버로 알려주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capture start button or the foot switch is a time point for capturing a still image image from an image image (image image output from Non-DICOM medical equipment) currently input to a frame grabber. It serves to inform the frame grabber.

한편, 상기 캡쳐 프레임 모드를 확인한 결과, 단일 프레임 모드라고 판별되면, 상기 캡쳐 시작 버튼이 클릭된 시점에서 상기 프레임 그레버에 의해 하드디스크의 TEMP 디렉토리에 저장된 하나의 정지 영상 이미지 정보는 환자정보와 함께 DICOM JPEG 파일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최종적으로 단일 프레임의 DICOM 이미지 파일이 된다(S204).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pture frame mode is a single frame mode, when the capture start button is clicked, one still imag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of the hard disk by the frame grabber is accompanied by patient information. It is stored in the data area of the DICOM JPEG file and finally becomes a single frame DICOM image file (S204).

만일, 다중 프레임 모드라고 확인되면 상기 프레임 그레버(Frame Grabber)가 언제까지 Non-DICOM 의료 장비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이미지로부터 정지 영상 이미지를 캡쳐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캡쳐 한계 시간(Capture limit time)과, 원하는 캡쳐 이미지의 수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05).If the frame grabber is confirmed to be a multi-frame mode, a capture limit time for determining when the frame grabber should capture a still image from an analog image output from a non-DICOM medical device.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desired number of captured images is set (S205).

이후, 강제적으로 캡쳐를 중지하겠다는 캡쳐 중지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캡쳐를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경과된 시간이 기설정된 캡쳐 한계 시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06).Thereafter, it is checked whether the capture stop signal forcibly stopping the capture is input or whether the time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capture reaches the preset capture limit time (S206).

상기 확인 결과, 캡쳐 중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거나 기설정된 캡쳐 한계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프레임 그레버(Frame Grabber)는 캡쳐 중지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캡쳐를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경과된 시간이 기설정된 캡쳐 한계 시간과 일치할 때까지 정지 영상 이미지를 캡쳐한 후(S207),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의 TEMP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capture stop signal is not input or the preset capture limit time has not been reached, the frame grabber may have a time elapsed since the capture stop signal is input or starts capturing. After capturing a still image until the set capture limit time is reached (S207), a process of repeatedly converting the still image to a digital signal and storing the same in a TEMP directory of the hard disk is performed.

이와 같이, 정지 영상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정지 영상 이미지를 하드디스크의 TEMP 디렉토리로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다가 현재까지의 캡쳐 시간이 기설정된 캡쳐 한계 시간과 일치하거나 또는 강제적으로 캡쳐를 종료시키기 위한 캡쳐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정지 영상 이미지의 캡쳐를 중지하고(S208), 현재 TEMP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영상 이미지의 수가 멀티 프레임 파일을 생성할 수 있을 정도 즉, 2개 이상의 다중 영상 이미지가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09).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capturing a still image image and storing the captured still image image to the TEMP directory of the hard disk is repeated, and the capturing time up to now corresponds to a preset capture limit time or is forcibly terminated. When the capture end signal is input, the capturing of the still image image is stopped (S208), and the number of the still image images stored in the current TEMP directory can generate a multi-frame file, that is, two or more multi-image images are stored. Check whether it is (S209).

만일, 충분한 이미지가 저장되었으면, 상기 하드디스크의 TEMP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영상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불러내어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온 환자정보와 함께 DICOM JPEG 파일 포맷으로 데이터 영역에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최종적으로 멀티 프레임의 DICOM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S210).If enough images are stored, the still image images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of the hard disk are sequentially retrieved one by one, and sequentially stored in the data area in the DICOM JPEG file format along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database. Create a DICOM image file of the frame (S210).

여기서, 상기 하드디스크의 TEMP 디렉토리에 지금까지 캡쳐한 정지 영상 이미지가 1000개가 저장되어 있었다면 각각의 정지 영상 이미지를 DICOM JPEG 파일속에 저장하는 과정을 1000번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정지 영상 이미지가 칼라 이미지일 경우에는 대략 0.9MB의 사이즈를 갖기 때문에 1000개의 정지 영상 이미지는 약 900MB가 되므로 이를 한 번에 DICOM JPEG 파일속에 저장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힘들다. 따라서, 환자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DICOM JPEG 파일속에 정지 영상 이미지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저장하는 것이다.Here, if 1000 still images captured so far are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of the hard disk, the process of storing each still image image in the DICOM JPEG file is performed 1000 times. As mentioned above, when one still image is a color image, the size of the still image is approximately 0.9 MB, so that 1000 still images are about 900 MB,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ore them in the DICOM JPEG file at once. Therefore, the still image images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stored one by one in the DICOM JPEG file in which patient information is stored.

참고로, DICOM JPEG 파일은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는데, 상기 TEMP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영상 이미지들은 도 3의 데이터 영역(DATA)에 순차적으로하나씩 저장되며, 헤더 정보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불러온 환자 정보, 데이터 사이즈, 해상도, 칼라비트수, 이미지의 플레이(Play) 속도, 통신 정보, 인코딩(Encoding) 정보 등 DICOM 파일 포맷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된다.For reference, the DICOM JPEG file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3, and the still image images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are sequentially stored one by one in the data area DATA of FIG. 3, and the patient information loaded from the database is inclu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DICOM file format such as data size, resolution, number of color bits, image play speed, communication information, encoding information are stored.

이때, 상기 데이터 영역(DATA)에 저장되는 정지 영상 이미지가 한 개이면 단일 프레임의 DICOM 이미지 파일이 되고, 상기 정지 영상 이미지가 다수 개이면 멀티 프레임의 DICOM 이미지 파일이 되며, 상기 환자정보에는 환자의 이름, 환자의 ID, 촬영날짜, 촬영번호, 상기 정지 영상 이미지의 저장속도 등에 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In this case, when there is only one still image image stored in the data area DATA, a single frame DICOM image file is provided. When the number of still image images is plural, the DICOM image file is multi-framed. Information regarding the name, the patient ID, the photographing date, the photographing number, and the storage speed of the still image is included.

참고로, DICOM 멀티프레임 파일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헤더정보내에 "Frame Time(0018,1063)" 또는 "Frame Time Vector(0018,1065)"가 조건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며, 이외에도 "Cine Rate(0018,0040)", "Recommended Display Rate(0008,1066)" 등의 값들이 부가적으로 추가되기도 한다.For reference, in order to construct a DICOM multiframe file, "Frame Time (0018,1063)" or "Frame Time Vector (0018,1065)" must be included conditionally in the header information. In addition, "Cine Rate (0018,0040) ) "," Recommended Display Rate (0008, 1066) ", etc. may be additionally added.

또한, 상기 하드디스크의 TEMP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영상 이미지의 수를 확인하는 이유는 시스템의 결함이나 기타 여러 가지의 원인에 의해 정지 영상 이미지가 제대로 캡쳐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DIOCM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reason for checking the number of still image images stored in the TEMP directory of the hard disk may be that the still image image may not be properly captured due to a system defect or other causes, in which case the DIOCM image file Because you do not need to cre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고,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xamples, and thus,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on-DICOM 의료장비의 출력영상으로부터 DICOM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DICOM image file from the output image of the non-DICOM medic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DICOM 표준을 지원하지 않은 장비로부터 DICOM 표준을 완벽하게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DICOM 표준에 의해 운용되는 의료영상저장전송 시스템(PACS)과의 완벽한 연동이 가능하므로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By creating an image file that fully supports the DICOM standard from a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the DICOM standard,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ystem effectively because it can be fully integrated with the PACS operated by the DICOM standard.

따라서, 효과적인 시스템 운용을 위해 DICOM 표준을 지원하지 않은 장비를 고가의 비용을 들여 DICOM 표준을 지원하는 장비로 대체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DICOM 표준을 지원할 수 있는 파일로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고가의 변환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재정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equipment that does not support the DICOM standard with the equipment that supports the DICOM standard at a high cost for effective system operation, and also to create a separate expensive to create a file that can support the DICOM standard. There is no need to have a transducer, minimizing financial burden.

또한, 멀티 프레임의 DICOM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에 한 장의 이미지만을 가지고 임상 또는 판독에서 사용되는 것에 비해 환자의 이상 부위를 동영상을 통해 보다 현실적인 이미지를 제공하여 임상, 판독뿐만 아니라, 학술적으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by creating a multi-frame DICOM file, it provides a more realistic image through the video of the patient's anomalies than the conventional one used in clinical or reading with only one image. Can be utilized.

Claims (4)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가 프레임 그레버로 입력되는 단계;Inputting the image image output from the non-DICOM medical imaging apparatus to the frame grabber; 캡쳐 시작 신호가 발생되면 정지 영상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정지 영상 이미지를 하드디스크의 소정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Capturing a still image image when a capture start signal is generated and sequentially storing the captured still image imag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캡쳐 종료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하드디스크의 소정영역에 저장된 복수의 정지 영상 이미지를 DICOM 포맷 파일의 데이터 영역에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DICOM 멀티프레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의 출력 영상으로부터 DICOM 파일 생성 방법.And generating a DICOM multiframe file by sequentially storing a plurality of still image images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in a data area of a DICOM format file when a capture end signal is generated. How to create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medical imaging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시작 신호가 입력된 후,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the capture start signal is input, 상기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의 출력영상으로부터 단일 프레임을 캡쳐할 것인지 다중 프레임을 캡쳐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캡쳐 프레임 모드 확인단계와,A capture frame mode checking step of confirming whether to capture a single frame or multiple frames from an output image of the non-DICOM medical imaging apparatus; 단일 프레임 모드라고 확인되면 상기 캡쳐 시작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 캡쳐된 정지 영상 이미지를 하드디스크의 소정영역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의 출력 영상으로부터 DICOM 파일 생성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ngle frame mode is input to the DICOM from the output image of the non-DICOM medical imaging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still image captured at the time when the capture start signal is input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How to create a fi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 이미지의 캡쳐를 반복하는 동안 캡쳐 종료 신호가 발생되면 정지 영상 이미지의 캡쳐를 중단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의 출력 영상으로부터 DICOM 파일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on of the DICOM file from the output image of the non-DICOM medical im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ture of the still image image is stopped if the capture end signal is generated while repeating the capture of the still image image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의 소정영역에 저장된 복수의 정지 영상 이미지를 DICOM 포맷의 파일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될 때,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환자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n-DICOM 의료 영상 장비의 출력 영상으로부터 DICOM 파일 생성 방법.The non-DICOM medical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patient information registered in a database is stored together when a plurality of still image images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are stored in a data area of a file in a DICOM format. How to create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video equipment.
KR1020020008683A 2002-02-19 2002-02-19 Method for creating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 KR200300689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683A KR20030068937A (en) 2002-02-19 2002-02-19 Method for creating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683A KR20030068937A (en) 2002-02-19 2002-02-19 Method for creating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37A true KR20030068937A (en) 2003-08-25

Family

ID=3222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683A KR20030068937A (en) 2002-02-19 2002-02-19 Method for creating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893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45Y1 (en) * 2008-07-15 2011-02-01 (주)형진산업 A shel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45Y1 (en) * 2008-07-15 2011-02-01 (주)형진산업 A shel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867B1 (en) DICOM image transit system in PACS system
US20060149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medical image data on digital recording media
Pavlopoulos et al.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transition to a fully digital hospital
CN106650211B (en) Storage server
EP2357601A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medical device information
JP2001251596A (en) Image transmitter, shadow viewer of received image and image transmitter-shadow viewer having tv conference function
US20050207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a medical image
JP2002334011A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transfer, and program
JP2003233674A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H1097582A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
WO2007078659A2 (en) Method for processing unenhanced medical images
JP2008036262A (en) Image transfer method, image transfer device and image transfer program
US20050177312A1 (en) Real-time medical data recording system and method
KR20010002074A (en) Medical Picture Archiving &Management System
JPH11213144A (en) Image storing method and image output system
JP5305728B2 (en) Medical file management system and medical file management apparatus
WO2005119443A2 (en) System and method of a converting medical imaging movie format data to dicom compatible images
KR101597135B1 (en) Medical image storage and transmission system tagging simultaneously with recording
KR20030068937A (en) Method for creating DICOM file from output image of Non-DICOM medical image equipment
KR100878291B1 (en) DICOM image managementi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thereof
KR20030081883A (en)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and Viewing System for a Hospital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20030012727A (en) Picture archiving and distributiv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30062632A (en) The Service Method and System of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for a Hospital
CN111785355A (en) Printing device for regional medical image based on cloud computing
WO2005050519A1 (en) Large scale tomography image storage and transmission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