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539A -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539A
KR20030067539A KR10-2003-0007388A KR20030007388A KR20030067539A KR 20030067539 A KR20030067539 A KR 20030067539A KR 20030007388 A KR20030007388 A KR 20030007388A KR 20030067539 A KR20030067539 A KR 2003006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mobile
information
mobile stations
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075B1 (ko
Inventor
오푸지요시아키
아베타사다유키
사와하시마모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3006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57Means for positioning u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01Wide area network
    • Y10S370/902Packet swi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01Wide area network
    • Y10S370/902Packet switching
    • Y10S370/903Osi compliant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01Wide area network
    • Y10S370/902Packet switching
    • Y10S370/903Osi compliant network
    • Y10S370/905Asynchronous transfer mode, AS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지향성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에 각 이동국을 향한 지향성 빔이 간섭하지 않도록 송수신처의 이동국을 선택하고, 선택한 이동국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지향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11)를 송수신 안테나에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이동국을 향한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기지국(10)에 있어서, 지향성 안테나의 방향 부여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19),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을 추정하는 수신 품질 추정부(22),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를 연산하는 송신 우선도 연산부(21),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각 이동국의 위치 및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형성해야 할 지향성 빔의 수 및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부(16), 및 결정된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할당하는 할당 제어부(13)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Radio resources allocating method, radio resources allocating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향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를 송수신 안테나에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이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기능을 갖는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기지국의 송수신 안테나로서는옴니빔(omni-beam)을 조사하는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송신처 이동국이 셀 혹은 섹터의 세력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만 알 수 있다면, 무선 기지국은 셀 내 혹은 섹터 내에서의 더욱 상세한 송신처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의식할 필요는 없으며, 송수신의 스케줄링(scheduling)을 하고 있었다.
한편, 무선 기지국의 송수신 안테나로서, 지향성 안테나, 예를 들면,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Adaptive Array Antenna=AAA)를 적용하면, 셀 혹은 섹터의 세력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국마다, 지향성이 예리한 안테나 빔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복수의 이동국으로 각각 다른 지향성 빔을 향하게 하였을 때, 빔 상호간의 간섭 전력비가 작은 경우, 결국 서로의 빔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코드 다중이나 주파수 다중을 적용하지 않고서, 각각의 지향성 빔으로 다른 이동국 앞의 패킷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복수의 이동국으로 각각 다른 지향성 빔을 향하게 하였을 때에, 복수의 지향성 빔이 간섭하는 경우에는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코드 다중이나 주파수 다중 혹은 시간 다중을 행할 필요가 생겨 버린다. 이 때문에, 지향성 안테나를 적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이동국을 향한 지향성 빔이 간섭하지 않도록 송수신처의 이동국을 선택하고, 선택한 이동국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지향성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에 각 이동국을 향한 지향성 빔이 간섭하지 않도록 송수신처의 이동국을 선택하고, 선택한 이동국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지향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를 송수신 안테나에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이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에 있어서,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여기서의 이동국의 위치 정보에는 무선 기지국에 대한 이동국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 이외에, 이동국에 도달하는 전파 중 1개 또는 복수의 전파의 도래 방향의 정보, 상기 전파의 전파 거리의 정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에는 지향성 빔이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다중화의 대상이 되는 주파수 및 부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지향성 안테나로서는 적응적으로 지향성을 바꾸는 스마트 안테나, 예를 들면,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 등을 들 수 있다.
종래에는 각 이동국의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서,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와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도 더하여,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의 3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할당하기 때문에, 각각의 이동국을 향한 빔끼리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송수신처 이동국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이동국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함으로써,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회선 용량의 증대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동국으로의 복수의 지향성 빔의 할당 후에, 상기 복수의 이동국을 향하여 동시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복수의 이동국을 향한 데이터 송신은 동시에 병행하여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지향성 빔의 송신에 있어서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할 때,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향성 빔에 대하여 할당하는 이동국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호의 간섭이 없도록 복수의 지향성 빔을 할당한 경우, 어떤 빔 방향으로 복수의 이동국이 존재할 때에는 상기 빔에 대하여 할당하는 이동국을,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로서는, 간섭 전력에 대한 희망파 신호 전력의 비(CIR), 및 간섭 전력에 있어서의 다른 기지국의 송신 신호에 의한 간섭 전력의 비율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여기서의 간섭 전력은 간섭 신호의 전력을 의미하고, 이 간섭 신호에는 잡음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중, 특히,간섭 전력에 있어서의 다른 기지국의 송신 신호에 의한 간섭 전력의 비율을 고려함으로써, 그 이동국이 존재하는 방향에 다른 기지국이 지향성 빔을 향하여 통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른 기지국이 지향성 빔을 향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는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과의 통신은, 다른 기지국의 통신으로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IR 대신에, 신호 전력대 간섭 전력비(SIR), 즉, 희망파도 간섭신호도 포함시킨 신호 전력을 간섭 전력으로 나눈 값, 또는, 신호 전력대 잡음 전력비(SN비나 SNR)를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로서는 청구항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기준 신호에 관한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통신한 경우에 추정되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 신호(예를 들면, 파일럿 신호 등의 제어 신호)는 통상 옴니빔에 의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고 있지만, 이러한 고정 빔을 사용하여 통신을 한 경우의 수신 품질, 및 지향성 빔을 향하여 통신한 경우의 수신 품질은 통상적으로 다르다. 따라서, 파일럿 신호와 같은 옴니빔에 의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로서 사용하는 경우, 지향성 빔을 사용한 경우에 예상되는 수신 품질로 환산할 필요가 있다. 이 환산을 할 때에는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의 위치 관계에 의해서, ① 복수인 패스의 도래 각도 넓이가 다른 등의 요인 때문에, ② 이동국과의 거리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해, 지향성 빔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이득이 각 이동국에서 다르므로, 이것을 고려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국의 위치 정보로서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래 방향의 정보, 또는 상기 도래 방향에 의해서 추정한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에서 이동국의 위치를 추정하는 경우, 이동국의 위치는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본 방향과 거리에 의해서 표현할 수 있다. 이 중 이동국의 방향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로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차로부터 추정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지물(地物)과의 반사 등에 의해 복수의 패스가 다른 방향으로부터 도래하는 것이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패스마다 도래 방향을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국의 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이동국의 신호 송신 전력이 시그널링 등에 의해서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를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의 위치 정보로서는 청구항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국이 위치 측정 수단(예를 들면, GPS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위치 측정 정보를 기초로 취득한 위치 정보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로서는 청구항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패킷의 요구 통신 품질(소위 QoS(Quality of Services))에 의해서 정해지는 허용 지연, 최대 재전송 회수, 소망 전송 속도, 송신처 이동국의 수신품질 정보, 및 기지국에서의 송신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지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드 오버하여 다른 셀로부터 이동해 온 이동국 앞의 패킷인지의 여부를 고려하여도 좋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동시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서,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지향성 빔의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어떤 지향성 빔의 방향에 복수의 이동국이 존재하는 경우, 청구항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또는 각 이동국 앞의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의 양쪽 또는 한쪽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성 빔에 대응하는 이동국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 중, 수신 품질이 가장 높은 이동국을, 상기 지향성 빔에 대응하는 이동국으로서 선정하여도 좋고,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가 가장 높은 이동국을, 상기 지향성 빔에 대응하는 이동국으로서 선정하여도 좋다. 또한, 수신 품질과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의 양자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이동국을 선정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9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동시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서, 서로의 간섭 전력비가 소망치 이하가 되는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선정 대상이 될 수 있는 이동국의 조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청구항 10에 기재한 바와 같이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이동국의 수가 가장 많아지는이동국의 조합을 우선하여,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하여도 좋고, 청구항 11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 조합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수신 상태가 종합적으로 가장 양호하게 되는 이동국의 조합을 우선하여,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하여도 좋고, 청구항 12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 조합에 포함되는 이동국 앞의 패킷 데이터에 관한 송신 우선도가 종합적으로 가장 높은 이동국의 조합을 우선하여,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3개 중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하여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1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이동국의 조합의 선정에 있어서, 최초에 단일의 이동국을 선정한 후에, 상기 단일의 이동국을 향한 지향성 빔과의 간섭 전력비가 규정치 이하가 되도록 형성이 가능한 1개 이상의 지향성 빔의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을, 다른 이동국으로서 선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동시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서, 각 이동국의 수신 상태 또는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단일의 이동국을 선정하고, 상기 단일의 이동국을 향한 지향성 빔과의 간섭 전력비가 규정치 이하가 되도록 형성이 가능한 1개 이상의 지향성 빔의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을 선정하여도 좋다.
여기서, 최초에 선정하는 단일의 이동국으로서는, 수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이동국을 선정할 수 있고,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가 가장 높은 이동국을 선정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14에 기재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지향성 빔이 향하는 방향 중, 어떤 동일한 방향에 복수의 이동국이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동국을 향한 패킷 데이터를 부호 다중 또는 주파수 다중하여 동시에 송신하여도 좋고, 부호 다중 또는 주파수 다중에 의해, 동일한 방향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의 동시 송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서로의 간섭 전력비가 소망치 이하가 되는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의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일의 지향성 빔에 의해서 단일의 이동국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부호 다중 혹은 주파수 다중을 행하여 복수 이동국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지향성 빔의 동시 송신은 행하지 않고서, 단일의 지향성 빔에 의해서 단일의 이동국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부호 다중 혹은 주파수 다중을 사용함으로써, 즉, 단일 또는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부호 다중 혹은 주파수 다중을 행함으로써, 복수 이동국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여도 좋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은 이하의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에 따른 발명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따른 발명으로서 기술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는 청구항 16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지향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를 송수신 안테나에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에 설치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송수신을 행하고자 하는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할당 수단은 상기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형성해야 할 지향성 빔의 수 및 방향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는 청구항 17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지향성 안테나의 방향 부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 수단, 및 추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격납하는 위치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는 청구항 18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수단, 및 수신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격납하는 위치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는 청구항 1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서 복수의 지향성 빔을 형성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에 각 빔에 대한 다른 빔에 의한 간섭 전력비를 연산하는 간섭 전력비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는 청구항 20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에 관한 각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의 정보를 상기 각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품질 정보 수신 수단, 수신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이 상기 각 이동국을 향하게 된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송수신을 행한 경우의 상기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을 추정하는 품질 추정 수단, 및 추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를 격납하는 품질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의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로서는, 상기 각 이동국에서의 희망파 전력과 간섭 전력의 전력비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는 청구항 21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 앞의 패킷 데이터의 통신 품질에 의한 요구 조건, 및 각 패킷 데이터의 송신 대기 시간의 적어도 1개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의 송신 우선도를 연산하는 송신 우선도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청구항 2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지향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를 송수신 안테나에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기지국의 존 내에 있는 복수의 이동국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송수신을 행하고자 하는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할당 수단은 상기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형성해야 할 지향성 빔의 수 및 방향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청구항 2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지향성 안테나의 방향 부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 수단, 및 추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격납하는 위치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청구항 24에 기재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수단, 및 측정으로 얻어진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위치 정보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에서 통지된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수단, 및 수신에 의해 얻어진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격납하는 위치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청구항 2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복수의 지향성 빔을 형성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에 각 빔에 대한 다른 빔에 의한 간섭 전력비를 연산하는 간섭 전력비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청구항 26에 기재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의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는 품질 연산 수단, 및 연산으로 얻어진 수신 품질의 정보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품질 정보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의 정보를 수신하는 품질 정보 수신 수단, 수신에 의해 얻어진 이동국의 수신 품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을 향하게 된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송수신을 행한 경우의 상기 이동국의 수신 품질을 추정하는 품질 추정 수단, 및 추정에 의해 얻어진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를 격납하는 품질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의 이동국의 수신 품질로서는, 상기 이동국에서의 희망파 전력과 간섭 전력과의 전력비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청구항 27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기지국이,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 앞의 패킷 데이터의 통신 품질에 의한 요구 조건, 및 각 패킷 데이터의 송신 대기 시간의 적어도 1개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의 송신 우선도를 연산하는 송신 우선도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무선 기지국의 구성도.
도 3은 이동국에서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무선 리소스 할당 처리의 흐름도.
도 5는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의 취득과 격납에 관한 서브루틴의 흐름도.
도 6은 지향성 빔 수 및 방향의 결정에 관한 서브루틴의 흐름도.
도 7은 지향성 빔 수 및 방향의 결정에 관한 다른 서브루틴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동 통신 시스템 2: 무선 존(zone)
10: 무선 기지국 10a: 무선 리소스 할당부
11: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 12: 송수신부
13: 할당 제어부 14: 송신 대기 버퍼
15: 간섭 전력비 추정부 16: 안테나 패턴 및 송신 데이터
결정부
17: 패킷 QoS 검출부 18: 송신 대기 시간 감시부
19: 위치 추정부 20: 위치 정보 격납 메모리
21: 송신 우선도 연산부 22: 수신 품질 추정부
23: 수신 품질 정보 격납 메모리30: 이동국
31: 안테나 32: 송수신부
33: 위치 측정부 34: 품질 연산부
θ: 기준 각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강 링크의 고속 패킷 전송 서비스를 상정한다. 또한, 파일럿 신호는 옴니빔에 의해서 송신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지국(10), 및 상기 무선 기지국(10)의 무선 존(2)에 있는 복수의 이동국(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무선 기지국(10)의 장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은 지향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로서의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이하 「어레이 안테나」라고 생략한다)(11),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12), 및 후술의 무선 리소스 할당 처리를 행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부(10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10)에서는 복수의 어레이 안테나(11)를 송수신 안테나에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또, 어레이 안테나 대신에, 적응적으로 지향성을 바꾸는 다른 스마트 안테나 등을 채용하여도 좋다.
무선 리소스 할당부(10a)는 각 이동국(30)(도 1)의 위치(무선 기지국(1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이외에, 이동국(30)에 도달하는 전파 중 1개 또는 복수의 전파의 도래 방향, 및 상기 전파의 전파 거리도 포함한다)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19), 추정된 위치 정보를 격납하는 위치 정보 격납 메모리(20),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되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지향성 빔을 사용한 경우의 수신 품질을 추정하는 수신 품질 추정부(22), 추정된 수신 품질 정보를 격납하는 수신 품질 정보 격납 메모리(23), 패킷 데이터의 통신 품질(QoS), 송신 대기 시간 및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의 송신 우선도를 결정하는 송신 우선도 연산부(21), 각 이동국의 송신 우선도 및 위치 정보를 평가하여 지향성 빔의 수와 방향 및 각 지향성 빔으로 송신하는 패킷 데이터를 결정하는 안테나 패턴 및 송신 데이터 결정부(16), 복수 빔 상호의 간섭 전력비를 추정하는 간섭 전력비 추정부(15), 송신 대기 상태에 있는 패킷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송신 대기 버퍼(14), 송신 대기 버퍼(14)내의 패킷 데이터의 헤더로부터 QoS 정보를 검출하는 패킷 QoS 검출부(17), 각 패킷 데이터마다의 송신 대기 시간(송신 대기 버퍼(14)에 도착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감시하는 송신 대기 시간 감시부(18), 및 안테나 웨이트의 생성, 에러 정정 부호의 부가 및 변조 등을 행함과 동시에 무선 리소스 할당부(10a)의 각 부의 동작 감시나 제어를 행하는 할당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부(12)는 송신 신호의 중첩, 수신 신호의 분리, 송수신 신호의 증폭 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에는 도 2에 도시하는 구성 요소 이외에도, 통상 기지국 장치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는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에는 이동국(30)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30)은 GPS 장치를 내장하여 상기 이동국(30)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33),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상기이동국(30)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는 품질 연산부(34), 및 안테나(31)를 구비하고,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국(30)의 위치 정보 및 기준 신호의 수신 품질 정보를 무선 기지국(10)으로 송신하는 송수신부(32)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무선 리소스 할당 처리]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으로서, 무선 기지국(10)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 할당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에는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최초에, 도 4의 스텝(S41)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에서는 이동국(30)이 통신 개시 요구를 한 시점에서 미리 상기 이동국(3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위치 정보 격납 메모리(20)에 격납한다.
이 때 이동국(30)이 도 3의 위치 측정부(3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국(30)이 측정에서 얻어진 위치 정보를 상승 제어 정보로서 무선 기지국(10)에 통지하여도 좋다. 한편, 위치 측정부(33)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이동국(30)의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10)의 위치 추정부(19)가, 상기 이동국(3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도래 방향 및 수신 전력으로부터 상기 이동국(30)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여도 좋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은 각 이동국(30)의 위치 정보를, 각 이동국(30)의 이동 속도 등에 따른 적당한 주기로 갱신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의 스텝(S42)에서는 각 이동국(30)의 수신 품질 정보의 취득과 격납 처리가 행해진다. 이 처리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송신 대기 버퍼(14)로써 송신 대기로 되어 있는 모든 패킷(송신 대기 패킷)의 송신처의 이동국(30)으로부터, 대상으로 하는 하나의 이동국(30)을 설정하고(S51), 그 대상의 이동국(30)이 통신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2). 대상의 이동국(30)이 통신 중이면, 상기 이동국(30)에 있어서의 통신 시의 수신 품질 정보, 예를 들면 통신중 채널에 있어서의 간섭 전력에 대한 희망파 신호 전력의 비(수신 CIR)를 취득하고(S53), 취득한 수신 품질 정보를 수신 품질 정보 격납 메모리(23)에 격납한다(S57). 또한, 상기 수신 CIR 대신에, 신호 전력대 간섭 전력비(SIR), 즉, 희망파도 간섭 신호도 포함시킨 신호 전력을 간섭 전력으로 나눈 값이나, 신호 전력대 잡음 전력비(SN비나 SNR)를 채용하여도 좋다.
한편, 대상의 이동국(30)이 통신 중이 아니면, 상기 이동국(30)에 있어서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 정보, 예를 들면 파일럿 채널의 수신 CIR를 취득하고 (S54), 상기 이동국(3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향성 빔을 향하였을 때의 이득을 추정한다(S55). 그리고, 수신 품질 정보에 대하여 상기의 이득을 보정하여 (S56), 보정 후의 수신 품질 정보를 수신 품질 정보 격납 메모리(23)에 격납한다 (S57).
이상과 같은 S51 내지 S57의 처리를 각 이동국(30)에 대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이동국(30)의 수신 품질 정보의 취득과 격납을 행한다. 그리고, 송신 대기 패킷의 송신처의 모든 이동국(30)에 관해서 처리가 완료되면(S58에서 부정 판단), 도 5의 처리를 종료하고, 도 4의 스텝(S43)으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이외에도, 통신중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파일럿 신호의 수신 CIR에 기초하여 통신 품질 정보를 결정하여도 좋다.
도 5의 처리에 의해, 통신 중의 이동국(30)은 지향성 빔이 자신에게 향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 CIR이 작아지고, 지향성 빔이 향하고 있지 않는 방향의(통신하고 있지 않다) 이동국(30)은 수신 CIR이 커지기 때문에, 이동국(30)간의 무선 채널 할당시의 기울기가 억제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파일럿 신호의 수신 CIR이 좋았다고 해도 실제로 통신한 경우에 수신 품질이 좋아진다고는 한정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면 각 이동국(30)의 자기(自) 셀의 지향성 빔에 의한 간섭을 현재의 빔의 형상과 각 이동국(30)의 위치 정보 등으로부터 추정하여, 이것을 빼는 것에 의해 실제의 통신 환경에 의한 수신 품질을 상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도 4로 되돌아가 다음의 스텝(S43)에서는 송신 우선도 연산부(21)가, 송신 대기 패킷의 송신처의 각 이동국(30)에 대하여, 어떤 이동국(30)에 우선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송신 우선도를 연산한다. 여기서는 각 패킷의 QoS에 의한 요구 조건, 송신처 이동국(30)의 수신 품질 정보, 송신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스텝(S44)에서는 접속 중의 전체 이동국(30)의 송신 우선도의 순위를 매긴다(ranking).
다음의 스텝(S45)에서는 안테나 패턴 및 송신 데이터 결정부에 의해, 지향성 빔 수 및 방향의 결정 처리(도 6)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S44에서 얻어진 순위에 따라서 송신 우선도가 가장 높은 이동국(30)의 방향에 지향성 빔의 형성을 결정한다(S61). 다음에, 이 빔을 기준으로 하여, 새로운 빔과의 간섭 전력비가소망의 값 이하가 되는 범위(예를 들면 기준 빔의 방향으로부터의 각도가, 실험 등으로 미리 구해진 기준 각도 θ 이상(θ는 서로의 간섭 전력이 소망의 값 이하가 되는 최소의 각도))가 되는 방향으로 이동국(3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2). 만약, 해당하는 이동국(30)이 존재하면, 기준의 빔과의 방향 차가 최소가 되는 이동국(30)을 향하여 지향성 빔을 추가한다(S63). 그리고, 새롭게 더한 지향성 빔을 새로운 기준으로서, S62의 판단을 행하고, S62, S63을 반복한다. 또,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지 여부의 판단은 간섭 전력비 추정부(15)에 의해서 지향성 빔을 형성한 경우의 각 빔의 간섭 전력비를 추정하고, 얻어진 간섭 전력비가 소망의 값을 하회하는 경우에 형성 가능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S62에서, 해당하는 이동국(30)이 존재하지 않는, 즉, 지향성 빔의 형성이 불가능하게 되었다고 판단되면(S62에서 부정 판단), 도 6의 처리를 종료하고, 도 4의 스텝(S46)으로 되돌아간다. 이 때, 지향성 빔끼리의 상호의 간섭을 소망의 값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지향성 빔의 수와 방향이 결정되어 있다
도 4로 되돌아가 다음의 스텝(S46)에서는 결정된 각 지향성 빔에 대하여, 그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30)의 수, 및 부호 리소스, 송신 전력, 주파수 등의 무선 리소스의 여유에 따라서, 사용자 다중 수를 결정하고, 스텝(S47)에서는 각 지향성 빔에 대한 사용자 다중 수에 따라서, 각 지향성 빔에 대하여 이동국(30)을 할당한다. 이로써, 어떤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의 이동국(30)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상기 복수의 이동국(30)을 향한 패킷 데이터를 부호 다중 또는 주파수 다중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이동국(30)으로의 패킷 데이터의 동시 송신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의 사용자 할당(즉, 각 지향성 빔으로의 이동국(30)의 할당)에 있어서, 선정 대상이 될 수 있는 이동국(30)의 조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이동국(30)의 수가 가장 많아지는 이동국(30)의 조합을 우선하여, 이동국(30)의 조합을 선정하여도 좋고, 각 조합에 포함되는 이동국(30)의 수신 상태가 종합적으로 가장 양호하게 되는 이동국(30)의 조합을 우선하여, 이동국(30)의 조합을 선정하여도 좋다. 또한, 각 조합에 포함되는 이동국(30)전의 패킷 데이터에 관한 송신 우선도가 종합적으로 가장 높은 이동국(30)의 조합을 우선하여, 이동국(30)의 조합을 선정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3개 중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이동국(30)의 조합을 선정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형성하는 지향성 빔의 수 및 방향, 및 각각의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송신해야 할 이동국(30)(즉,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이, 모두 결정되었다면, S48에 있어서, 안테나 웨이트의 생성, 에러 정정 부호의 부가, 변조 등을 행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상의 무선 리소스 할당 처리에 의해, 종래는 각 이동국(30)의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서, 각 이동국(30)의 수신 품질 정보와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각 이동국(30)의 위치 정보도 더하여, 각 이동국(30)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30)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의 3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30)에 대하여 할당하기 때문에, 각각의 이동국(30)을 향한 빔끼리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송수신처 이동국(30)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이동국(30)에무선 리소스를 할당함으로써,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회선 용량의 증대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동시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30)으로서,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지향성 빔의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30)의 조합을 선정하여도 좋다.
이 때, 어떤 지향성 빔의 방향으로 복수의 이동국(30)이 존재하는 경우, 각 이동국(30)의 수신 품질 정보, 또는 각 이동국(30)전의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의 양쪽 또는 한쪽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성 빔에 대응하는 이동국(30)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30) 중, 수신 품질이 가장 높은 이동국(30)을, 상기 지향성 빔에 대응하는 이동국(30)으로서 선정하여도 좋고,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가 가장 높은 이동국(30)을, 상기 지향성 빔에 대응하는 이동국(30)으로서 선정하여도 좋다. 또한, 수신 품질과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의 양자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이동국(30)을 선정하여도 좋다.
[지향성 빔 수 및 방향의 결정에 관한 다른 처리예]
그런데, 지향성 빔 수 및 방향의 결정 및 송신처 이동국(30)의 선정에 있어서는, 상기의 도 6과 같이, 우선 지향성 빔의 수 및 방향을 결정하고 나서 송신처 이동국(30)을 선정하여도 좋지만, 도 7과 같이 최초에 단일의 이동국(30)과 그 방향의 지향성 빔을 결정하고, 상기 지향성 빔을 기준으로서 다른 지향성 빔과 다른 이동국(30)을 결정해 가는 순서를 밟아도 좋다.
이 순서에 대해서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S44에서 얻어진 순위에 따라서 송신 우선도의 가장 높은 이동국(30)을 대상으로서 설정하고(S71), 그 이동국(30)의 방향에 1개의 지향성 빔의 형성을 결정한다(S72). 또한, S71에서는 송신 우선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이동국(30)이라도 좋고, 혹은 섹터 경계에 가장 가까운 이동국(30)이라도 좋다.
그리고, 다음 우선도의 이동국(30)의 방향에 새로운 지향성 빔을, 지향성 빔간의 간섭을 소망의 값 이하로 억제하는 조건으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3). 가능하면, 그 이동국(30)의 방향에 지향성 빔을 추가하는 것을 결정한다(S74).
이후, 송신 우선도가 높은 이동국(30)으로부터 순차로 1개씩, 스텝(S73, S74)의 처리를 실행해 간다. 그리고, 대상의 전체 이동국(30)에 대하여 처리를 끝내면 (S75에서 부정 판단), 도 7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 도 7의 처리에 의해서도, 지향성 빔간의 간섭을 소망의 값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지향성 빔의 수와 방향을 적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 스텝(S73, S74)의 처리는 수신 품질이 높은 이동국(30)으로부터 순차로 실행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는 각 이동국의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서,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와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도 더하여, 각 이동국의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의 3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할당하기 때문에, 각각의 이동국을 향한 빔끼리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송수신처 이동국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이동국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함으로써,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회선 용량의 증대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7)

  1. 지향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를 송수신 안테나에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이,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에 있어서,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으로의 복수의 지향성 빔의 할당 후에, 상기 복수의 이동국을 향하여 동시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향성 빔의 송신에 있어서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할 때,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향성 빔에 대하여 할당하는 이동국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기준 신호에 관한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통신을 한 경우에 추정되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이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이동국이 위치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위치 측정 정보를 기초로 취득한 위치 정보가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로서,
    패킷의 요구 통신 품질에 의해서 정해지는 허용지연, 최대 재송 회수, 소망전송 속도, 송신처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및 기지국에서의 송신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지표가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동시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서,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지향성 빔의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어떤 지향성 빔의 방향으로 복수의 이동국이 존재하는 경우,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또는 각 이동국 앞의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의 양쪽 또는 한쪽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성 빔에 대응하는 이동국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동시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서,
    서로의 간섭 전력비가 소망치 이하가 되는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선정 대상이 될 수 있는 상기 이동국의 조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이동국의 수가 가장 많아지는 이동국의 조합을 우선하여, 상기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선정 대상이 될 수 있는 상기 이동국의 조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조합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수신 상태가 종합적으로 가장 양호하게 되는 이동국의 조합을 우선하여, 상기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선정 대상이 될 수 있는 상기 이동국의 조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조합에 포함되는 이동국 앞의 패킷 데이터에 관한 송신 우선도가 종합적으로 가장 높은 이동국의 조합을 우선하여, 상기 이동국의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13.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동시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서,
    각 이동국의 수신 상태 또는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단일의 이동국을 선정하고, 상기 단일의 이동국을 향한 지향성 빔과의 간섭 전력비가 규정치 이하가 되도록 형성이 가능한 1개 이상의 지향성 빔의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14. 제 3 항에 있어서,
    형성되는 지향성 빔이 향하는 방향 중, 어떤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의 이동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동국을 향한 패킷 데이터를 부호 다중 또는 주파수 다중하여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15.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의 간섭 전력비가 소망치 이하가 되는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방향에 존재하는 이동국의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일의 지향성 빔에 의해서 단일의 이동국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복수의 지향성 빔으로 부호 다중 혹은 주파수 다중을 행하여 복수 이동국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16. 지향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를 송수신 안테나에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에 설치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송수신을 행하고자 하는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구비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안테나의 방향 부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 수단, 및
    추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격납하는 위치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수단, 및
    수신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격납하는 위치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복수의 지향성 빔을 형성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에 각 빔에 대한 다른 빔에 의한 간섭 전력비를 연산하는 간섭 전력비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에 관한 각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의 정보를 상기 각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품질 정보 수신 수단,
    수신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이 상기 각 이동국을 향하게 된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송수신을 행한 경우의 상기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을 추정하는 품질 추정 수단, 및
    추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를 격납하는 품질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 앞의 패킷 데이터의 통신 품질에 의한 요구 조건, 및 각 패킷 데이터의 송신 대기 시간의 적어도 1개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의 송신 우선도를 연산하는 송신 우선도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한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22. 지향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를 송수신 안테나에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지향성 빔의 형성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기지국의 존 내에 있는 복수의 이동국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송수신을 행하고자 하는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 및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의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향성 빔을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지향성 안테나의 방향 부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 수단, 및
    추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격납하는 위치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수단, 및
    측정으로 얻어진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위치 정보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에서 통지된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수단, 및
    수신에 의해 얻어진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격납하는 위치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복수의 지향성 빔을 형성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에 각 빔에 대한 다른 빔에 의한 간섭 전력비를 연산하는 간섭 전력비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
  26. 제 22 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의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는 품질 연산 수단, 및
    연산으로 얻어진 수신 품질의 정보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품질 정보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의 정보를 수신하는 품질 정보 수신 수단,
    수신에 의해 얻어진 이동국의 수신 품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을 향하게 된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송수신을 행한 경우의 상기 이동국의 수신 품질을 추정하는 품질 추정 수단, 및
    추정에 의해 얻어진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를 격납하는 품질 정보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각 이동국의 수신 품질 정보, 각 이동국 앞의 패킷 데이터의 통신품질에 의한 요구 조건, 및 각 패킷 데이터의 송신 대기 시간의 적어도 1개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의 송신 우선도를 연산하는 송신 우선도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30007388A 2002-02-06 2003-02-06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0564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0043A JP2003235072A (ja) 2002-02-06 2002-02-06 無線リソース割当て方法、無線リソース割当て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JP-P-2002-00030043 2002-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539A true KR20030067539A (ko) 2003-08-14
KR100564075B1 KR100564075B1 (ko) 2006-03-27

Family

ID=2760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7388A KR100564075B1 (ko) 2002-02-06 2003-02-06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36624B2 (ko)
EP (1) EP1335618B1 (ko)
JP (1) JP2003235072A (ko)
KR (1) KR100564075B1 (ko)
CN (1) CN1299518C (ko)
AU (1) AU2003200401B2 (ko)
CA (1) CA2418524C (ko)
DE (1) DE60302080T2 (ko)
SG (1) SG11287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21B1 (ko) * 2006-05-03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기기의 변경을 발견하는 방법및 장치
KR100935069B1 (ko) 2007-08-10 2009-12-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송수신 안테나의 빔 형성을 이용한 비디오 데이터전송 방법
KR101126387B1 (ko) * 2007-12-05 2012-03-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송신 장치, 송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1252394B1 (ko) * 2010-07-29 2013-04-08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고정빔 통신 시스템에서 주 그룹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1397985B1 (ko) * 2010-07-22 2014-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810B2 (en) 2000-09-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OFDM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7295509B2 (en) 2000-09-13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thod in an OFDM multiple access system
US6768459B2 (en) * 2002-07-31 2004-07-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mobile units based on angle measurements
EP1389884A1 (de) * 2002-08-13 2004-02-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unksystems mittels Richtantennen sowie sendende Station und Funksystem
US7321562B2 (en) * 2003-06-02 2008-01-22 Nokia Corporation Packet transmission method, network element and arrangement
KR100771715B1 (ko) * 2003-09-02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의 데이터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85726B1 (ko) * 2003-09-03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어레이 안테나 빔 형성 방법 및 장치
US7720509B2 (en) * 2003-10-02 2010-05-18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Harmonized adaptive arrays
US7239879B2 (en) * 2003-11-26 2007-07-03 Lucent Technologies Inc. Opportunistic beamforming and scheduling of user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241440B2 (ja) * 2004-03-03 2009-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ットスケジュール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4457382B2 (ja) * 2004-06-30 2010-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基地局
US8385937B2 (en) * 2004-07-07 2013-02-2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Load equalizing antennas
US9137822B2 (en) 2004-07-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ver access channel
US9148256B2 (en) 2004-07-2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based rank prediction for MIMO design
US8995921B2 (en) * 2004-09-10 2015-03-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ement support for a smart antenn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67269A1 (en) * 2004-09-27 2006-03-30 Enrico Jugl Method of scheduling us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JP2006135674A (ja) * 2004-11-05 2006-05-25 Ntt Docomo Inc 移動通信用受信装置、移動通信用送信装置、移動通信用受信方法、および、移動通信用送信方法
US20060120310A1 (en) * 2004-12-03 2006-06-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wireless network performance in a multi-cell communication network
KR100654316B1 (ko) * 2004-12-08 2006-12-08 한국과학기술원 직교 주파수 및 직교 부호 도약 다중화 통신 방식
WO2006077842A1 (ja) 2005-01-19 2006-07-27 Nec Corporation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アンテナ指向性・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JP4648015B2 (ja) * 2005-01-28 2011-03-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9246560B2 (en) 2005-03-1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and rate control in a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US9154211B2 (en) 2005-03-1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feedback in multi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S9461859B2 (en)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305B2 (en) 2005-03-1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0972B2 (en) 2005-03-17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559270B2 (ja) * 2005-03-22 2010-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
US9184870B2 (en) 2005-04-01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US9036538B2 (en) 2005-04-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single carrier FDMA systems
US9408220B2 (en) 2005-04-19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reporting for adaptive sectorization
US7986680B2 (en) * 2005-04-28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format selection with consideration for resource reuse
US7397782B2 (en) * 2005-05-19 2008-07-08 Intel Corporation Directional transmissions to multiple wireless devices
US8565194B2 (en) 2005-10-27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Puncturing signaling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641218B2 (ja) * 2005-06-13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装置
JP4699099B2 (ja) * 2005-06-14 2011-06-0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9179319B2 (en) 2005-06-1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ctorization in cellular systems
US7519013B2 (en) * 2005-06-30 2009-04-14 Nokia Corporation Spatial re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885628B2 (en) 2005-08-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in 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9209956B2 (en) 2005-08-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egment sensitive scheduling
US20070041457A1 (en) 2005-08-22 2007-02-22 Tamer Kadou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38422B2 (en) * 2005-08-23 2010-06-15 Alcatel-Lucent Usa Inc. Interference-reducing method of forward link scheduling for wireless networks
US9136974B2 (en) 2005-08-3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and SDMA support
US7567822B2 (en) * 2005-10-11 2009-07-28 Cisco Technology, Inc. Automated configuration of RF WLANs via selected sensors
US9225488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US9088384B2 (en) 2005-10-2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ymbo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10651B2 (en) 2005-10-27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172453B2 (en) 2005-10-2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system
US9144060B2 (en) 2005-10-2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shared signaling channels
US9225416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signaling channels for a reverse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791158B2 (ja) * 2005-11-24 2011-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空間多重送信数制御装置
CN1972174A (zh) * 2005-11-24 2007-05-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多天线通信***中数据重传和检测方法
KR101214642B1 (ko) 2005-12-05 2012-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안테나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할당을 위한 장치 및방법
CA2640577C (en) * 2006-02-02 2017-03-21 Fujitsu Limite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wireless transmitter and wireless receiver
JP4684124B2 (ja) 2006-02-16 2011-05-18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局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KR101222768B1 (ko) * 2006-02-23 2013-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단말의 위치 추정 방법
WO2007118161A2 (en) * 2006-04-05 2007-10-18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network radioloc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JP2007318579A (ja) * 2006-05-29 2007-12-06 Kyocera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干渉波判定方法
US7659850B1 (en) 2006-06-13 2010-02-09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s of mobile stations using directional corrections
US7844273B2 (en) 2006-07-14 2010-11-30 Lgc Wireles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for providing dedicated capacity in a cellular network
US7848770B2 (en) 2006-08-29 2010-12-07 Lgc Wireless, Inc. Distributed antenna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reof
JP4345800B2 (ja) * 2006-10-19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20100015927A1 (en) * 2006-10-24 2010-01-21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4902663B2 (ja) * 2006-10-24 2012-03-21 三菱電機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00330940A1 (en) * 2006-10-31 2010-12-30 Qualcomm Incorporated Sensor-aided wireless combining
BRPI0718365A2 (pt) 2006-10-31 2013-11-12 Qualcomm Inc Equipamento e método para diversidade de recepção sem fio com base em sensor
KR100852151B1 (ko) 2006-12-07 2008-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장치 및 그방법
US7817958B2 (en) 2006-12-22 2010-10-19 Lgc Wireles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remote coverage area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01606409A (zh) * 2007-02-15 2009-12-16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基于小区模式管理无线电资源的方法
US8005050B2 (en) * 2007-03-23 2011-08-23 Lgc Wireless, Inc. Localization of a mobile device in distributed antenna communications system
US8010116B2 (en) 2007-06-26 2011-08-30 Lgc Wireless, Inc. Distributed antenna communications system
US8224241B1 (en) * 2007-07-05 2012-07-17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orientation for mobile applications
US8428511B1 (en) 2007-08-10 2013-04-23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high available and survivable communication system
US9112547B2 (en) 2007-08-31 2015-08-18 Adc Telecommunication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configuring distributed antenna communications system
JP4977568B2 (ja) * 2007-09-28 2012-07-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現在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センタ装置及び誤差補正方法
US7953418B2 (en) * 2007-11-28 2011-05-31 Mediatek Inc.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radio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JP2009141438A (ja) * 2007-12-03 2009-06-25 Kddi Corp 無線通信装置
EP2111065A1 (en) * 2008-04-18 2009-10-21 Alcatel-Lucent Deutschland AG Method for assigning communication resources to a mobile radio device
JP5188257B2 (ja) * 2008-04-30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083573B2 (en) * 2008-10-15 2015-07-14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ignals, such as orthogonal-frequency-division-multiplexed (OFDM) signals, that include a same frequency
US9338033B2 (en) 2008-10-15 2016-05-10 Stmicroelectronics, Inc. Recovering data from a primary one of simultaneous signals, such as orthogonal-frequency-division-multiplexed (OFDM) signals, that include a same frequency
US9130789B2 (en) 2008-10-15 2015-09-08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Recovering data from a secondary one of simultaneous signals, such as orthogonal-frequency-division-multiplexed (OFDM) signals, that include a same frequency
US20100131123A1 (en) * 2008-11-24 2010-05-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put/steering mechanisms and aircraft control systems
US8380222B2 (en) * 2008-11-26 2013-02-19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range estimation location
CN101854638A (zh) * 2009-03-30 2010-10-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块分组波束赋形的方法和装置
US9191093B2 (en) * 2009-10-20 2015-11-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terference management for concurrent transmission in downlink wireless communications
CN102457867B (zh) * 2010-10-21 2014-10-08 富士通株式会社 无线网络设备、无线网络***和无线网络节点控制方法
CN103002497A (zh) * 2011-09-08 2013-03-27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aas的信息交互方法、***、ue及基站
US9100146B2 (en) * 2012-03-08 2015-08-04 Alcatel Lucent Virtual sectorization using an active anntenna array
US9026161B2 (en) * 2012-04-19 2015-05-05 Raytheon Company Phased array antenna having assignment based control and related techniques
US20140062784A1 (en) * 2012-08-29 2014-03-06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Location-assisted beamforming
CN103945552B (zh) * 2013-01-18 201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中用户设备的调度方法和调度装置
US9271296B2 (en) * 2013-03-07 2016-02-23 Atc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devices for allocating resource blocks in an LTE network
US9887745B2 (en) * 2013-07-22 2018-02-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ng method for antenna array communication system,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JP5714072B2 (ja) * 2013-09-11 2015-05-0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接続制御方法及び接続制御プログラム
US9609648B2 (en) * 2014-06-16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Beamform scheduling based on the directionality of UEs
US9491776B2 (en) * 2014-07-23 2016-11-08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to reduce interference associated with full duplex communication in multi-cell networks
US9903937B2 (en) 2014-08-18 2018-02-27 Qualcomm Incorporated Using known geographical information in 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578644B2 (en) * 2014-09-26 2017-02-21 Mediatek Inc. Beam misalignment det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JP6601789B2 (ja) * 2015-04-13 2019-1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セル選択方法
US11191097B2 (en) * 2015-08-17 2021-11-30 Qualcomm Incorporated Reception of multiple uplink control messages at a same time slot
JP6425139B2 (ja) * 2015-08-31 2018-1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1196462B2 (en) * 2016-02-22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Multi-layer beamforming in millimeter-wav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systems
JP2018054416A (ja) * 2016-09-28 2018-04-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位置推定システム及び位置推定方法
CN115734329A (zh) * 2016-09-28 2023-03-03 Idac控股公司 上行链路功率控制
US10432276B2 (en) * 2016-09-29 2019-10-01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link control and recovery using positional data
JP6833225B2 (ja) * 2016-09-30 2021-02-2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基準信号送信及び測定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US10264586B2 (en) 2016-12-09 2019-04-16 At&T Mobility Ii Llc Cloud-based packet controll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6903450B2 (ja) * 2017-02-23 2021-07-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およびセル選択方法
CN111164906B (zh) * 2017-10-02 2022-10-18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上行链路功率控制
EP3696993B1 (en) * 2017-11-22 2023-03-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Beam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916636B1 (ko) * 2018-06-29 2018-11-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신기 위치를 확인하여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CN115699605A (zh) * 2020-05-26 2023-02-03 艾斯康实验室公司 干扰感知波束成形
WO2023089790A1 (ja) * 2021-11-19 2023-05-25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通信方法
CN114205835B (zh) * 2021-12-08 2023-07-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定向通信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189B2 (ja) 1995-11-27 2001-10-29 モトロー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FI107851B (fi) * 1996-05-22 2001-10-15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antennikeilan valitsemiseksi, tukiasema ja solukkoradiojärjestelmä
FI105596B (fi) 1996-05-27 2000-09-15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matkaviestimen sijainnin selvittämiseksi
US5890067A (en) * 1996-06-26 1999-03-30 Bnr Inc. Multi-beam antenna arrays for base stations in which the channel follows the mobile unit
GB2317786B (en) * 1996-09-25 2001-05-30 Motorola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a deamformed control channel and method of system control
US5953325A (en) * 1997-01-02 1999-09-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orward link transmission mode for CDM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steerable and distributed antennas
US6353601B1 (en) * 1997-03-05 2002-03-0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for selecting a signal, and a cellular radio system
JP2000022618A (ja) 1998-07-03 2000-01-21 Hitachi Ltd 基地局およびアンテナビームの制御方法
US6609012B1 (en) 1998-08-24 2003-08-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bile terminal initiated and assisted antenna selection
WO2000051367A2 (en) * 1999-02-26 2000-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mart antenna beam assignment at mobile station call setup
US6275488B1 (en) * 1999-11-17 2001-08-14 Motorola, Inc. Variable rat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1111812A1 (en) * 1999-12-20 2001-06-27 Nortel Matra Cellular Omni transmit and sectored receive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6611695B1 (en) * 1999-12-20 2003-08-2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frequency channels to a beam in a multi-beam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CA2302461A1 (en) * 2000-03-27 2001-09-27 William Martin Snelgrove Wireless local loop
US20030190144A1 (en) * 2000-03-28 2003-10-09 Yoshiki Kuno Recording apparatus, special playback system, medium and information object
JP2002051375A (ja) 2000-05-26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及びパケット送信方法
US6611231B2 (en) * 2001-04-27 2003-08-26 Vivato, Inc. Wireless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systems and networks using adaptively steered antenna array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21B1 (ko) * 2006-05-03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기기의 변경을 발견하는 방법및 장치
KR100935069B1 (ko) 2007-08-10 2009-12-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송수신 안테나의 빔 형성을 이용한 비디오 데이터전송 방법
KR101126387B1 (ko) * 2007-12-05 2012-03-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송신 장치, 송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1397985B1 (ko) * 2010-07-22 2014-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252394B1 (ko) * 2010-07-29 2013-04-08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고정빔 통신 시스템에서 주 그룹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5618A2 (en) 2003-08-13
US7136624B2 (en) 2006-11-14
JP2003235072A (ja) 2003-08-22
AU2003200401A1 (en) 2003-08-21
KR100564075B1 (ko) 2006-03-27
EP1335618B1 (en) 2005-11-02
DE60302080T2 (de) 2006-08-03
EP1335618A3 (en) 2004-03-31
CA2418524C (en) 2007-07-24
US20030181163A1 (en) 2003-09-25
CN1299518C (zh) 2007-02-07
SG112873A1 (en) 2005-07-28
AU2003200401B2 (en) 2004-11-18
CN1437420A (zh) 2003-08-20
DE60302080D1 (de) 2005-12-08
CA2418524A1 (en)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075B1 (ko)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이동통신 시스템
US6330460B1 (en) Simultaneous forward link beam forming and learning method for mobile high rate data traffic
US7103022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305877Y1 (ko) 무선 통신 신호에 적합한 동적 빔 성형을 이용하는 시스템
JP48996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467210B2 (en) Transmission parameter adaptation in cooperative signal communication
US201602944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beam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38246B2 (en) Method for scheduling terminals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KR100508617B1 (ko) 기지국 장치,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20090176492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us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relay
JP2002016538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装置とアクセス・ポイント間で通信を行う方法
JP2004104206A (ja) 空間分割多重アクセス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移動局
KR100957413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그리고 그 시스템
US79406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81194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섹터 구성 장치 및 방법
EP1398890A1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transmitting method
EP1195921B1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CN107534979B (zh) 一种无线通信设备和方法
JP5066161B2 (ja) アダプティブアレイ基地局およびアダプティブアレイ基地局による物理スロットの割当て方法
JP5066162B2 (ja) アダプティブアレイ基地局およびアダプティブアレイ基地局による物理スロットの割当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