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0046A -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0046A
KR20030050046A KR1020010080422A KR20010080422A KR20030050046A KR 20030050046 A KR20030050046 A KR 20030050046A KR 1020010080422 A KR1020010080422 A KR 1020010080422A KR 20010080422 A KR20010080422 A KR 20010080422A KR 20030050046 A KR20030050046 A KR 20030050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se
camera unit
moving memb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0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0046A/ko
Publication of KR2003005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04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시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케이스에 구비된 상태에서 내부로 인입 및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카메라부를 보호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카메라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전,후방의 특정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하여 특정 이미지의 촬영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1)에 분리가능하게 케이스(11)의 일측은 외부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고, 상기 케이스(11)에는 그 일측 개방부를 외측으로 하여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카메라부(12)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케이스(11)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촬영방향이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할 수 있게 회전가능하도록 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Camera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휴대폰,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 IMT-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어 화상송신을 위한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 되어 가고 있고, 상기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지역이나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그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는 물론 관련 기술의 개발도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뿐만 아니라 제3세대 이동통신이라 불리우는 IMT-2000 등의 이동 단말기에서는 문자정보는 물론 화상정보까지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 있다.
그럼 여기서 본 발명 및 그에 따른 종래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해 휴대용 부선 단말기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입력키가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의 상부면 후단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입력키를 선택적으로 보호하면서 문자 및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로 크게 구성되어 있는데, 화상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단말기에 있어서는 단말기 본체의 외부 적소에 특정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는 단말기 본체에 일체화된 형태와 단말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장착된 형태로 나뉘어 지는데, 그 형태중에서도 단말기의 사용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가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단말기 본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가 접혀진 상태에 있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단말기 본체에 접혀져 있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다음 단말기 본체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입력키 중 특정한 입력키를 선택하여 필요한 제어신호를 입력시키면 되고, 단말기는 제어신호가 입력될 경우 그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송신 및 수신신호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말기의 사용 과정에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해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부 촛점을 촬영하고자 하는 특정 이미지에 맞추면서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키 중 촬영에 필요한 입력키를 선택하면 되는데, 이때 카메라부의 렌즈를 통해 투영된 특정 이미지는 카메라부 내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됨과 동시에 그 촬영된 특정 이미지는 영상신호로 처리되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로 전송된다.
한편, 촬영된 특정 이미지는 디스플레이에 그대로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촬영되어 단말기 본체로 전송되어 온 영상신호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상대방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 송신할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종래 카메라 장치는, 단말기의 구성요소인 단말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가 있고, 케이스에는 실제로 촬영할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투영함과 함께 이 투영된 특정 이미지를 촬용하는 카메라부가 고정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단말기 본체 결합부에는 카메라 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메라 장치가 단말기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로 분할되어 분리가능한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조립과정에서 케이스 내부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전자부품이 실장된 기판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부가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외부의 특정 이미지가 사용자쪽인 전방의 특정 이미지에 한정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사용자와 반대되는 쪽인 후방의 특정 이미지는 촬영하지 못함으로 인해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는 이미지의 범위가 넓게 설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부가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반드시 외부로 돌출되어야만 하므로 단말기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그 사용 유무와는 무관하게 카메라부가 주변의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이 경우 카메라 장치의 특정 구조물이 일부 파손되면서 심할 경우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시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케이스에 구비된 상태에서 내부로 인입 및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카메라부를 보호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카메라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전,후방의 특정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하여 특정 이미지의 촬영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카메라 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카메라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카메라 장치를 구성하는 이동부재와 카메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카메라 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결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카메라부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상태도,
도 5b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카메라부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 외부로 인출된 상태도,
도 6은 도 5a의 Ⅱ-Ⅱ선 단면도,
도 7a는 도 5b의 Ⅲ-Ⅲ선 단면도로서, 카메라부의 렌즈 촛점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도,
도 7b는 도 5b의 Ⅲ-Ⅲ선 단면도로서, 카메라부의 렌즈 촛점이 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도,
도 8a는 도 5b의 Ⅳ-Ⅳ선 단면도로서, 카메라부의 렌즈 촛점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도,
도 8b는 도 5b의 Ⅳ-Ⅳ선 단면도로서, 카메라부의 렌즈가 후방쪽을 향하고 있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카메라 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카메라부가 전방의 이미지 및 후방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최대한 회전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단말기 본체 2. 디스플레이
11. 케이스 12. 카메라부
14. 기판 16. 이동부재
19. 장홈 20. 돌출편
21. 탄성끼움편 22. 끼움홈
23. 삽입홈 24. 삽입돌기
25. 손잡이편 26. 피난로
27. 가이드캠 28. 스위치
29. 스토퍼 30. 걸림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케이스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투영하면서 이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의 내측에는 케이스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촬영된 특정 이미지를 영상신호로 처리하도록 각종 소자가 실장된 기판이 고정되고, 상기 기판의 회로구성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는 입력부를 통해 단말기 본체로 전송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일측이 외부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일측 개방부를 외측으로 하여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케이스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촬영방향이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할 수 있게 회전가능하도록 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더욱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 카메라 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카메라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카메라 장치를 구성하는 이동부재와 카메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카메라 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결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a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5b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5b의 Ⅳ-Ⅳ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카메라 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는, 하부 케이스(11a)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된 상부 케이스(11b)로 분할되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1)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케이스(11)가 있고, 상기 케이스는 일측이 외부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12)가 일측 개방부를 외측으로 하여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부(12)는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촬영방향이 전방으로 향하거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카메라부(12)의 내측 끝단에는 촬영된 특정 이미지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주도록 여러가지 전자부품이 실장된 기판(14)이 고정되고, 상기 기판의 카메라부(12) 고정부분 반대쪽에는 촬영을 위한 제어신호 및 촬영된 영상신호를 단말기 본체(1)와 서로 주고 받도록 그 끝단에 접속단자(13)가 고정된 복수 가닥의 케이블(15)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11) 내에는 하부 이동편(16a)과 상부 이동편(16b)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 이동부재(16)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카메라부(12)는 상기 이동부재(16)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16)의 내,외측 이동에 따라 카메라부(12)가 이동편(16)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 중 상부 이동편(16b)과 마주보는 부분 안쪽에는 전,후로 각각 걸림편(17)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이동편(16b)중 하부 이동편(16a)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전,후로 각각 걸림홈(18)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과 상부 이동편(16b)의 결합시 각 걸림편(17)이 걸림홈(18)에 끼워져 걸림에 따라 하부 이동편(16a)과 상부 이동편(16b)이 분할된 상태에서 결합된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이동부재(16)와 상기 이동부재의 외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부(12)의 바깥쪽 상,하부면에는 상기 이동부재(16)에서 카메라부(12)로 이어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19)이 형성되고, 케이스(11)를 이루는 하부 케이스(11a)와 상부 케이스(11b)에는 각각 장홈(19)에 끼워지게 돌출편(20)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 내에 설치된 이동부재(16)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된 카메라부(12)가 함께 내,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16) 및 카메라부(12)가 돌출편(20)에 가이드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이동부재(16) 및 카메라부(12)의 내,외측 이동거리가 상기 장홈(19)의 길이에 한정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16)를 이루는 상부 이동편(16b)중 바깥쪽 전방에는 탄성끼움편(21)이 형성되고, 케이스(11)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11b)의 안쪽 전방에는 내,외측 양단에 각각 끼움홈(22)이 형성되어 카메라부(12)가 결합된 이동부재(16)가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끼움편(21)이 각 끼움홈(22) 중 내측의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카메라부(12)가 결합된 이동부재(16)가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끼움편(21)이 각 끼움홈(22) 중 외측의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탄성끼움편(21)이 어느 하나의 끼움홈(22)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부(12)가 결합된 이동부재(16)가 인위적인 힘을 받지 않는 한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 및 상부 이동편(16b)의 안쪽 둘레중 카메라부(12)가 결합될 외측 끝단에는 원주를 따라 삽입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상기 카메라부(12)의 바깥쪽 둘레 중 이동부재(16)에 결합될 내측 끝부분에는 원주를 따라 삽입돌기(24)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이동편(16a)과 상부 이동편(16b)이 서로 결합되어 이동부재(16)를 이루고 상기 이동부재의 외측 끝단에 카메라부(12)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홈(23) 내로 삽입돌기(24)가 끼워짐에 따라 카메라부(12)가 이동부재(16)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됨이 없도록 함과 함께 상기 카메라부(12)가 인위적인 힘을 받을 경우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부(12)의 후면 바깥쪽에는 손잡이편(25)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12)를 통해 이동부재(16)를 내,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손잡이편(25)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11)의 후면에는 외측의 개방부와 연통된상태로 피난로(26)가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12)가 결합된 이동부재(16)가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부(12)의 손잡이편(25)이 피난로(26)에 피난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11)에는 간섭됨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과 상부 이동편(16b)의 안쪽 둘레에는 일정 직경의 원주를 따라 가이드캠(27)이 형성되고, 기판(14)에는 상기 카메라부(12)의 회전에 따라 기판(14)이 함께 회전할 때 그 접점부가 상기 가이드캠(27)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스위치(28)가 부착되어 상기 스위치가 가이드캠(27)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전방의 이미지를 촬영한 영상신호가 기판(14)의 회로구성에 의해 정상적인 상배열로 처리되어 단말기 본체(1)로 전송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스위치(28)가 가이드캠(27)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방의 이미지를 촬영한 영상신호가 기판(14)의 회로구성에 의해 반대의 상배열로 처리되어 단말기 본체(1)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이동부재(16)의 안쪽 둘레중 어느 적소에는 스토퍼(29)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부(12)의 이동부재(16) 결합부분에는 걸림돌기(30)가 형성되어 카메라부(12)의 회전이 상기 걸림돌기(30)가 스토퍼(29)에 걸릴 때까지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카메라부(12)의 회전각도가 적어도 36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구성요소인 단말기 본체(1)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 발명 장치의 구성요소인 접속단자(13)가 케이스(11)의 전면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접속단자(13)는 단말기 본체(1)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도시는 생략함)에 접속되고,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본 발명 카메라 장치가 서로 필요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게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카메라 장치에 의해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부재(16)가 상기 케이스(11)의 개방부와 반대쪽인 내측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는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 및 도 5a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6)의 외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카메라부(12)가 상기 이동부재(16) 내부로 인입되어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카메라부(12)는 렌즈 촛점이 전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케이스(11)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된다.
또한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부재(16)가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부재(16)를 이루는 상부 이동편(16b)중 바깥쪽 전방에 돌출 형성된 탄성끼움편(21)이 상기 케이스(11)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11b)의 안쪽 전방에 형성된 끼움홈(22)중 내측의 끼움홈에 끼워져 있는데, 이는 카메라부(12)가 결합된 이동부재(16)를 인위적인 힘으로서 외측으로 밀지 않는 한 상기 이동부재가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됨이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카메라부(12)가 이동부재(16)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함에 있고, 상기 카메라부(12)의 후면 바깥쪽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편(25)은 케이스(11)의 후면에 외측의 개방부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 피난로(26)에 피난되어 있는데, 이는 카메라부(12)를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손잡이편(25)이 상기 카메라부(12)의 내측 이동시 케이스(11)에 간섭됨이 없도록 함에 있다.
상기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 및 도 5a에 도시된 상태에서 카메라부(12)에 형성된 손잡이편(25)을 이용해 상기 카메라부(12)를 도면상 우측인 외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카메라부는 케이스(1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부재(16)에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와 함께 외측으로 이동하여 도 4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 및 도 5b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기 케이스(11)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한 작용에서 카메라부(12)와 함께 이동부재(16)가 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카메라부(12) 및 이동부재(16)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이동부재(16)에서 카메라부(12)로 이어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19)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1)를 이루는 하부 케이스(11a)와 상부 케이스(11b)에는 각각 장홈(19)에 끼워지도록 돌출편(20)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2) 및 이동부재(16)는 돌출편(20)에 안내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부(12) 및 이동부재(16)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심하게 유동됨이 없이 안정을 이루게 됨은 물론 상기 카메라부(12) 및 이동부재(16)가 외측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편(20)이 장홈(19)의 내측 끝단부에 걸림에 따라 사용자가 카메라부(12)를 강제적인 힘에 의해 더이상 우측방향으로 밀지 않는 한 상기 카메라부(12)가 결합된 이동부재(16)가 외측으로 이동되지는 않음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2)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일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부(12) 및 이동부재(16)가 외측인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할 때는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6)를 이루는 상부 이동편(16b)에 형성되어 케이스(11)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11b)에 형성된 끼움홈(22) 중 내측의 끼움홈에 끼워져 있는 탄성끼움편(21)이 상기 이동부재(16)의 강제적인 외측이동으로 인해 내측의 끼움홈에서 빠져나오면서 탄력을 받은 상태로 오므라 들었다가 상기 카메라부(12) 및 이동부재(16)의 외측이동이 완료된 순간 오므라 들었던 탄성끼움편(21)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케이스(11)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11b)에 형성된 끼움홈(22)중 외측의 끼움홈에 다시 끼워지므로 상기 카메라부(12)가 결합된 이동부재(16)가 외측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카메라부(12)가 결합된 이동부재(16)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일은 더욱 없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카메라부(12) 및 이동부재(16)가 도면상 우측방향인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부(12)의 렌즈 촛점이 전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1)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키(1a)중 촬영에 필요한 특정 입력키를 선택하면, 이 촬영을 위한 신호가 케이블(15)을 통해 기판(14)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기판의 회로적인 구성으로 인해 전방의 특정 이미지가 카메라부(12)의 렌즈를 통해 투영됨과 동시에 이 투영된 전방의 특정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부 내에 있는 CCD카메라(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촬영되고, 이 촬영된 특정 이미지의 영상은 기판(14)에서 영상신호로 처리된 다음 케이블(15)을 통해 단말기 본체(1)로 전송된 다음 상기 단말기 본체 내의 저장부에저장되므로, 이후 이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다시 재생시켜 디스플레이(2)에 출력시키거나 아니면 상대방에게 송신하면 되는데, 상기 과정에서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되는 외부의 특정 이미지는 케이블(15)을 통해 단말기 본체(1)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2) 상에 곧바로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촬영되는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단계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에서 사용자쪽인 전방에 있는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할 때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를 통해 투영되는 전방 이미지의 투영 각도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카메라부(12)가 이동부재(16)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부(12)의 렌즈 촛점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범위내에서 상기 카메라부를 임의의 각도 만큼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전방인 사용자쪽과 반대되는 쪽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 및 도 5b로 도시된 상태에서 카메라부(12)의 렌즈 촛점이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12)를 인위적인 힘으로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데, 상기 카메라부(12)의 회전은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 및 상부 이동편(16b)의 안쪽 둘레중 카메라부(12)가 결합될 외측 끝단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삽입홈(23)으로 상기 카메라부(12)중 이동부재(16)에 결합될 내측 끝부분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삽입돌기(24)가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다. 실제로 상기 카메라부(1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카메라부의 삽입돌기(24)가 이동부재(16)의 삽입홈(23)에 끼워진상태로 걸려 있고, 상기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과 상부 이동편(16b)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부 이동편(16a)의 전,후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편(17)이 상부 이동편(16b)의 전,후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홈(18)으로 끼워져 걸려 있음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16)에서 카메라부(12)가 이탈되는 일은 절대로 없게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와 반대되는 쪽인 후방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부(12)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 완료된 상태에서는 후방의 특정 이미지가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를 통해 투영되면서 그 투영되는 후방의 특정 이미지는 기 설명된 전방의 특정 이미지가 촬영될 때와 마찬가지로 촬영신호가 주어질 경우 CCD카메라에 의해 그대로 촬영되는데, 상기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된 후방 이미지의 영상신호 배열을 기판(14)의 신호처리부에서 바꾸지 않고 그대로 단말기 본체(1)로 전송한다면 상기 전송된 영상신호가 단말기 본체(1)와 함께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2)에 출력될 때 그 출력되는 후방 이미지의 상은 전방 이지미의 촬영시 디스플레이되는 전방 이미지의 상과는 상,하 위치가 바뀌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즉, 첨부된 도 7a는 카메라부의 렌즈 촛점이 전방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기판(14)에 부착되어 있는 스위치(28)가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과 상부 이동편(16b)의 안쪽 둘레에 일정직경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캠(27)에 접촉되어 눌려 있으므로 촬영된 전방 특정 이미지의 영상신호가 바뀌지 않고 그대로 단말기 본체(1)로 전송되지만 상기 카메라부(12)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카메라부에 일단이 고정된 기판(14)도 회전하므로 카메라부(12)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 완료되면서 카메라부의 렌즈 촛점이 후방을 향하는 상태가 되면 그 순간 도 7b와 같이 상기 스위치(28)는 가이드캠(27)에서 단락되면서 누름이 해제된 상태가 됨에 따라 이때부터는 상기 스위치(28)의 스위칭신호에 의해 촬영된 후방 특정 이미지의 영상신호가 상,하로 바뀐상태가 되면서 단말기 본체(1)로 전송되므로 결국 카메라부(12)의 렌즈 촛점이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아니면 카메라부(12)의 렌즈 촛점이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후방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거나에 상관없이 모두 상,하가 동일한 영상신호로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1)로 전송되어 기록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2)에 출력된다.
상기에서 카메라부(12)의 회전시 기판(14)에 부착된 스위치(28)가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 및 상부 이동편(16b)의 안쪽 둘레에 형성된 가이드캠(27)에 접촉되면서 눌려지거나 단락되면서 눌림 해제되는 시점은 상기 가이드캠(27)의 원주방향 길이를 적당히 조절하여 그 형성 각도를 달리하면 되므로 어느 시점까지 스위치(28)가 눌러져야 하는가는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니다 하겠다.
한편 사용자쪽인 전방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사용자와 반대쪽인 후방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부(12)가 회전할 때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 및 상부 이동편(16b)의 안쪽 둘레중 어느 적소에는 스토퍼(2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부(12)의 이동부재(16) 결합부분에는 걸림돌기(30)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카메라부(12)의 회전은 걸림돌기(30)가 스토퍼(29)에 걸릴 때 까지만 이루지는데, 이는 상기 카메라부(12)의 회전이 360°를 넘어서지 않도록 하여 기판(14)에 연결된 케이블(15)이 카메라부(12)의 회전에 의해 필요 이상 꼬이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함에 있다.
즉, 카메라부(12)가 전방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회전 각도 범위내에서 최대한 회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8a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2)에 형성된 걸림돌기(30)가 이동부재(16)에 형성된 스토퍼(29)에 걸려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부(12)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음은 물론 상기 카메라부(12)가 후방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회전 각도 범위내에서 최대한 회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8b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2)에 형성된 걸림돌기(30)가 이동부재(16)에 형성된 스토퍼(29)에 걸려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부(12)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음에 따라 카메라부의 회전각도는 어떠한 경우에도 360°를 넘지 않아 케이블(15)이 한바퀴 이상 꼬이는 일은 절대로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케이블의 단선 및 단자부의 접속불량이 발생되지는 않는데, 바람직한 카메라부(12)의 회전각도는 상기 카메라부(12)의 렌즈 촛점이 촬영하고자 하는 전방의 특정 이미지 및 후방의 특정 이지지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각도 범위내에 있으면서 270°내외로 함이 적당하다 하겠다.
상기에서 이동부재(16)에 형성되어 카메라부(12)에 형성된 걸림돌기(30)가 걸림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2)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29)의 형성 위치는 상기 이동부재(16)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16a)과 상부 이동편(16b)의 경계부분에 위치됨이 바람직 하고, 그 이유는 카메라부(12)를 전,후방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해 더 회전을 시킬려고 할 경우라도 상기 걸림돌기(30)가 스토퍼(29)를 하부 이동편(16a)과 상부 이동편(16b)의 경계부분 쪽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하부 이동편(16a) 및 상부 이동편(16b)의 경계부분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12)에 의해 전방 및 후방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고 난 이후 더 이상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자 하거나 아니면 본 발명 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부(12)를 다시 케이스(11) 내부로 인입시켜 외부에 노출됨이 없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카메라부(12)가 케이스(11)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부(12)를 회전시켜 렌즈의 촛점이 정확히 전방을 향하도록 한 다음 카메라부(12)의 후면 바깥쪽에 형성된 손잡이편(25)을 이용해 상기 카메라부(12)를 내측으로 밀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로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이용되는 카메라부가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므로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부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부를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카메라부에 의해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지 않을 때는 상기 카메라부가 완벽하게 보호되어 휴대과정에서 외부의 다른 구조물과 접촉됨에 따른 파손 및 고정은 절대로 발생되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외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는 렌즈의 촛점이 전방을 향하거나 아니면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쪽인 전방 이미지 및 사용자와 반대쪽인 후방 이미지의 촬영이 선택적으로 모두 가능하게 되어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는 이미지의 범위가 넓게 설정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케이스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외부의 특정 이미지를 투영하면서 이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의 내측에는 케이스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촬영된 특정 이미지를 영상신호로 처리하도록 각종 소자가 실장된 기판이 고정되고, 상기 기판의 회로구성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는 입력부를 통해 단말기 본체로 전송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일측이 외부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일측 개방부를 외측으로 하여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케이스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촬영방향이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할 수 있게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는 하부 이동편과 상부 이동편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 이동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카메라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외측 끝단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가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부재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 및 상부 이동편의 안쪽 둘레중 카메라부가 결합될 외측 끝단에는 원주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바같쪽 둘레중 이동부재에 결합될 내측 끝부분에는 원주를 따라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내측 끝부분을 사이에 두고 하부 이동편과 상부 이동편이 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가 이동부재의 외측 끝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촬영방향이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할 수 있게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외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부의 바깥쪽 상,하부면에는 상기 이동부재에서 카메라부로 이어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안쪽에는 각각 장홈에 끼워지게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된 카메라부가 함께 내,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 및 카메라부가 돌출편에 가이드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이동부재 및 카메라부의 내,외측 이동거리가 상기 장홈의 길이에 한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부재의 바깥쪽 전방에는 탄성끼움편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안쪽 전방에는 내,외측 양단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어 카메라부가 결합된 이동부재가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끼움편이 각 끼움홈 중 내측의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카메라부가 결합된 이동부재가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끼움편이 각 끼움홈 중 외측의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카메라부의 후면 바깥쪽에는 손잡이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이동부재를 내,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손잡이편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외측의 개방부와 연통된 상태로 피난로가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가 결합된 이동부재가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부의 손잡이편이 피난로에 피난되면서 케이스에 간섭됨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부재의 안쪽 둘레에는 일정 직경의 원주를 따라 가이드캠이 형성되고, 기판에는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에 따라 기판이 함께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캠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스위치가 부착되어 상기 스위치가 가이드캠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전방의 이미지를 촬영한 영상신호가 기판의 회로구성에 의해 정상적인 상배열로 처리되어 단말기 본체로 전송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스위치가 가이드캠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방의 이미지를 촬영한 영상신호가 기판의 회로구성에 의해 반대의 상배열로 처리되어 단말기 본체로 전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부재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과 상부 이동편의 안쪽 둘레중 어느 적소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이동부재 결합부분 바깥쪽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카메라부의 회전이 상기 걸림돌기가 스토퍼에 걸릴 때까지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카메라부의 회전각도가 360°이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이동부재를 이루는 하부 이동편과 상부 이동편의 안쪽 둘레에 형성된 스토퍼의 형성 위치는 상기 하부 이동편과 상부 이동편의 경계부분에 한정되도록 하여 카메라부의 회전시 걸림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걸릴 때 상시 하부 이동편과 상부 이동편의 경계부분 쪽으로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20010080422A 2001-12-18 2001-12-18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30050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422A KR20030050046A (ko) 2001-12-18 2001-12-18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422A KR20030050046A (ko) 2001-12-18 2001-12-18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046A true KR20030050046A (ko) 2003-06-25

Family

ID=2957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422A KR20030050046A (ko) 2001-12-18 2001-12-18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0046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40024999A (ko) * 2002-09-18 2004-03-24 (주)선양디지털이미지 휴대폰용 카메라
KR100433821B1 (ko) * 2002-02-01 2004-06-04 주식회사 시스기어 카메라를 갖는 피디에이
KR100488425B1 (ko) * 2002-05-03 2005-05-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100548339B1 (ko) * 2003-04-30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619513B1 (ko) * 2003-11-12 2006-09-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스위치를 가지는 힌지 장치 및 이 힌지 장치를 포함한전자 기기
KR100757445B1 (ko) * 2004-03-31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7528886B2 (en) 2003-07-31 2009-05-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image pick-up apparatus
KR101013702B1 (ko) * 2003-09-2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KR101051490B1 (ko) * 2004-03-19 2011-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1054996B1 (ko) * 2003-11-03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지지장치
CN106774670A (zh) * 2016-12-21 2017-05-31 南京九致信息科技有限公司 具有可伸出式摄像头的移动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287A (ja) * 1996-08-30 1998-03-17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テレビ電話
EP0930770A2 (en) * 1998-01-14 1999-07-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able cellular phone having the function of a camera
JP2000253118A (ja) * 1999-03-01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情報端末
EP1111919A2 (en) * 1999-12-24 2001-06-27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JP2001309003A (ja) * 2000-04-24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287A (ja) * 1996-08-30 1998-03-17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テレビ電話
EP0930770A2 (en) * 1998-01-14 1999-07-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able cellular phone having the function of a camera
JP2000253118A (ja) * 1999-03-01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情報端末
EP1111919A2 (en) * 1999-12-24 2001-06-27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JP2001309003A (ja) * 2000-04-24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433821B1 (ko) * 2002-02-01 2004-06-04 주식회사 시스기어 카메라를 갖는 피디에이
KR100488425B1 (ko) * 2002-05-03 2005-05-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20040024999A (ko) * 2002-09-18 2004-03-24 (주)선양디지털이미지 휴대폰용 카메라
KR100548339B1 (ko) * 2003-04-30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US7528886B2 (en) 2003-07-31 2009-05-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image pick-up apparatus
KR101013702B1 (ko) * 2003-09-2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KR101054996B1 (ko) * 2003-11-03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지지장치
KR100619513B1 (ko) * 2003-11-12 2006-09-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스위치를 가지는 힌지 장치 및 이 힌지 장치를 포함한전자 기기
KR101051490B1 (ko) * 2004-03-19 2011-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0757445B1 (ko) * 2004-03-31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N106774670A (zh) * 2016-12-21 2017-05-31 南京九致信息科技有限公司 具有可伸出式摄像头的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904B1 (ko) 휴대 가능한 다기능 전자 기기
JP4802077B2 (ja) 携帯機器
JP4546503B2 (ja) 向上した画像通信性能を有する携帯用通信装置
JPH1075287A (ja) 携帯テレビ電話
JP2004191820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20030050046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2003018261A (ja) 携帯型端末機
KR20050015787A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JP2005277775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4187068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19980083849A (ko)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KR101718113B1 (ko)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0575724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497466B1 (ko)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KR200500076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JP2005143000A (ja) スライド式携帯電子機器
JP3851221B2 (ja) 情報通信端末装置
JP3620471B2 (ja) 通信機能および撮影機能を備えた携帯機器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4269900B2 (ja) スライド式携帯電子機器
KR20040037692A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JP4052914B2 (ja) 携帯型通信端末機
KR100564018B1 (ko) 카메라가 장착된 슬라이드형 휴대폰
JP2004349809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