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671A - 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 Google Patents

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671A
KR20030028671A KR1020010059364A KR20010059364A KR20030028671A KR 20030028671 A KR20030028671 A KR 20030028671A KR 1020010059364 A KR1020010059364 A KR 1020010059364A KR 20010059364 A KR20010059364 A KR 20010059364A KR 20030028671 A KR20030028671 A KR 20030028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recognition
written
writing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to KR102001005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8671A/en
Publication of KR2003002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67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by recognize various written characters by prevent misunderstanding between similar characters, frequent character input mode changes and the recognition in a narrow recognition area. CONSTITUTION: A character input part(120) receives the written character through a character writing panel. A memory(110) stores a 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A controller(102) recognizes the characters written on the character input part(120) according to a processing order of the 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The controller(102) classifies the character writing panel into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regions, matches the character input regions with each character sort, discriminates the character sort by recognizing a start pos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and recognizes other characters continuously written on other character input regions in a fixed time as the same character sort.

Description

다종의 필기 문자를 인식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 및 방법{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본 발명은 개인정보처리장치및 그의 필기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종의 필기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개인정보처리장치 및 그의 다종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a plurality of handwritten characters and a plurality of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s thereof.

최근에 들어 다종(여러 종류)의 문자를 입력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들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상기 다종 문자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 등의 특수 문자들이 이에 속하며, 이를 PDA, 휴대폰 등의 개인정보처리장치들에 입력하기 위하여 키입력장치를 이용하거나 스타일러스 펜과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부 등을 이용하게 된다.Recently, many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for inputting various kinds of characters have been widely used. Special characters such as Korean, English, numbers, and symbols are included in the multi-character, and a key input device or a stylus pen and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unit are used to input them into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such as PDAs and mobile phones. Done.

여기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부 등을 이용하여 직접 필기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더욱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이를 위해 상기한 개인정보처리장치에서 필기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Here, more and more cases of directly inputting handwritten characters using the stylus pen and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unit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methods for recognizing handwritten characters have been develop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다종 문자의 입력을 위한 필기 인식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Meanwhile, the following three methods are mainly used as a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for inputting general multi-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첫 번째, 다종 문자 전체를 단일 인식 모드로 처리, 즉 모든 문자를 대상으로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First, the multi-characters are processed in a single recognition mode, that is, the recognition is performed on all characters.

이 방법은 예를 들어, 한글, 영문, 숫자 및 특수 문자를 대상으로 필기 문자를 인식하는 경우, '' 라고 필기하면 필기 문자 인식 결과의 신뢰도를 기준으로, 그에 따라 숫자 ' 2 ', 한글 ' 그 ', 영문 ' Z ', 그리고 영문 ' z ' 순으로 인식한다.This method, for example, recognizes handwritten characters for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result, it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number' 2 ', Korean' G ', English' Z ', and English' z '.

그러나, 이 방법은 상기 필기 문자 인식의 우선 순위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필기한 문자를 다수의 유사한 문자로 인식할 가능성이 커서 오인식이 자주 발생되며, 이에 따라 입력 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is method, as shown in the priority of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andwritten character is recognized as a plurality of similar characters, so that the misrecognition frequently occurs, and thus the input time is delayed.

두 번째로는, 한글, 영문 대문자 등 각 문자 집합들을 별개의 필기 인식 모드로 처리하는 방법이다.Secondly, each character set such as Korean and English capital letters is processed in a separate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이 방법은 첫 번째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필기하기 전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속하는 문자 집합을 지정하고, 필기 문자들을 입력한다.This method is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first method, and designates the character set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fore the user writes and inputs the handwritten characters.

예를 들어,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 한글 버튼을 누른 후 ' 2 '라고 필기하면, 한글 ' 그 '로 인식하고,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 숫자 버튼을 누른 후 ' 2 '라고 필기하면, 숫자 ' 2 '로 인식한다.For example, if you input Hangul, if you write '2' after pressing the Hangul button, it will be recognized as 'Hangul', and if you enter a number, if you write '2' after pressing the number button, 2 'to be recognized.

그러나, 이 방법은 첫 번째 방법보다 오인식이 줄어드나, 자주 문자 입력 모드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현재의 문자 입력 모드에 해당되지 않는 문자들을 잘못 필기하여서 입력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this method is less misleading than the first method, but it is inconvenient to change the character input mode frequently. In addition, a case in which input fails due to incorrect writing of character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current character input mode may occur.

그리고 세 번째 방법은 각 문자 집합에 대해 지정된 필기 영역을 할당하고, 해당 필기 영역에서 해당 문자를 필기하는 방법이다.The third method is a method of allocating a designated writing area for each character set and writing the corresponding letter in the writing area.

이 방법은 첫 번째와 두 번째 방법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This method is intend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and is shown in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번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2)은 첫 번째 영역(4)에는 한글을, 두 번째 영역(6)에는 영문자를 그리고 세 번째 영역(8)에는 숫자를 필기할 수 있도록 필기 영역이 할당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lay screen 2 for performing the third method may write Korean characters in the first region 4, English characters in the second region 6, and numbers in the third region 8. A handwriting area is allocated for this purpose.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의 첫 번째 영역(4)에는 한글을, 두 번째 영역(6)에는 영문자를 그리고 세 번째 영역(8)에는 숫자를 필기하여 필기 문자를 인식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handwritten character is recognized by writing a Korean character in the first area 4 of the display screen 2, an English letter in the second area 6, and a number in the third area 8.

그러나 이 방법은 유사한 문자들에 대한 오인식과, 문자 입력 모드를 자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한 점은 해결하였지만, PDA, 모바일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정보처리장치에서는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필기할 수 있는 영역 너무 좁아져서 긴 단어 또는 문장 등을 빠르게 입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method solves the misunderstanding of similar characters and the inconvenience of frequently changing the character input mode. However, in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such as PDAs and mobile terminals, the writing area on the small display screen is too narrow and long.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nter a word or sentence quickly.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유사한 문자 간의 오인식, 잦은 문자 입력 모드 변경 및 좁은 필기 영역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종 문자의 필기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인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misunderstanding between similar characters of the prior art, frequent character input mode change, and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in a narrow handwriting area as described above, and to facilitate handwriting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종의 문자 필기 인식을 위한 개인정보처리장치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implement a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of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 plurality of handwriting recognition.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필기 문자들을 인식하기 위한 필기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handwriting areas for recognizing a plurality of handwritte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인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문자입력부에 나타내는 다종의 필기 문자 인식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참조도;FIG. 4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screen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shown in the character input unit shown in FIG. 2; FIG.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필기 문자들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참조도;5A to 5D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plurality of handwritte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필기 문자 인식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 그리고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ced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력된 필기 문자 인식 루틴의 동작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n input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routine illustrated in FIG. 6.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개인정보처리장치102 : 제어부100: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2: control unit

110 : 메모리부112 : 필기 인식 프로그램110: memory unit 112: handwriting recognition program

120 : 문자입력부130 : 키입력부120: character input unit 130: key input unit

140 : 스타일러스 펜200 : 문자기입패널140: stylus pen 200: letter writing panel

210 : 기능 버튼212 : 문자인식시작키210: Function button 212: Start character recognition key

220 : 특정문자입력버튼220: specific character input butt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종의 필기 문자를 인식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는, 문자의 필기가 가능한 문자기입패널을 갖고 상기 문자기입패널을 통해 필기된 문자를 받아들이기 위한 문자입력부와;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의 처리수순에 따라서 상기 문자입력부에 필기된 문자들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기입패널을 다수 개의 문자입력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을 문자종류 별로 대응시키고, 상기 문자입력부의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에 문자가 필기되면 필기시작위치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필기된 문자의 종류를 판별하고, 필기 시작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연속으로 다른 문자입력영역들에 필기되는 다른 문자들도 필기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판별된 문자의 종류와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a plurality of handwritte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character writing panel capable of writing the character for receiving the handwritten characters through the character writing panel A character input unit; A memory unit for storing a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characters written in the character input unit according to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wherein the controller divides the character writing panel into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regions, and characterizes the character input regions. Correspond to each type, determine the type of the written character by recognizing a writing start position when the character is written in the character input regions of the character input unit, and continuously enter another character input reg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 of writing. The other characters written in the letters may be recognized in the same way as the type of the determined letters regardless of the writing position.

여기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ext input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또한,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은 적어도 3개의 영역들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문자입력영역들은 적어도 한글, 영문자, 숫자를 포함한 특수문자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xt input areas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hree areas, and the at least three text input areas may correspond to special characters including at least Korean, English letters, and numbers.

한편,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은 문자의 종류들 중 입력 빈도수가 높은 종류의수순으로 상기 문자기입패널의 좌에서 우로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nput areas may be arranged from left to right of the character writing panel in the order of the type of characters having the highest input frequency.

또한, 상기 문자입력부는 특정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특정문자입력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acter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ecific character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specific character.

또한, 상기 문자입력부는,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문자인식시작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인식시작키가 눌려질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시작하거나, 상기 문자인식시작키가 소정의 시간 동안 눌려지지 않을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자동으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racter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for instructing to start recognition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the controller may start recognition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when the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is pressed, Preferably, when the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is not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is automatically star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필기문자인식방법은, 문자의 필기가 가능한 문자기입패널을 구비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에서 필기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기입패널을 다수 개의 문자입력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을 문자종류 별로 대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에 문자가 필기되면 필기시작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필기시작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필기된 문자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시작위치 이외의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에 필기 시작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연속으로 필기되는 다른 문자들도 상기 판별된 문자의 종류와 동일하게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ognizing a handwritten character in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haracter writing panel capable of writing a character. Dividing the text input areas into a plurality of text input areas and corresponding the text input areas by character type; Recognizing a writing start position when a character is written in the character input areas; Determining the type of the written character based on the recognized writing start position; And recognizing other characters continuously written in the character input areas other than the writing start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 of wri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type of the determined character.

여기서, 상기 인식단계는, 문자인식시작키가 눌려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인식시작키가 눌려질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cognizing step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letter recognition start key is pressed and starting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when the letter recognition start key is pressed.

또한, 상기 문자인식시작키가 소정의 시간 동안 눌려지지 않을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자동으로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utomatically starting the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when the letter recognition start key is not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인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문자입력부에 나타내는 다종의 필기 문자 인식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참조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2, and FIG. 4 is FIG. It is a reference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screen for recognition of the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shown in the character input part shown in the following.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정보처리장치(100)는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들로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부(120)와 각종의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is,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obile phone, and the like, for inputting a text input unit 120 and various commands for inputting tex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key input unit 130.

여기서, 상기 문자입력부(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스타일러스 펜(140)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키입력부(130)는 다수의 키 또는 버튼들(예를 들어, 전원 버튼, 선택 버튼, 실행 버튼 및 방향 키 버튼 등)을 포함한다.Here, the character input unit 12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inputs a character using the stylus pen 140, the key input unit 130 is a plurality of keys or buttons (for example, power button, selection Buttons, action buttons and direction key buttons, etc.).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정보처리장치(100)는 상기 개인정보처리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2)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112)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1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2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and a novel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memory unit 110 for storing.

또한, 상기 개인정보처리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됨)들과 무선 통신(예를 들어, RF 등)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마이크, 스피커 등의 오디오 입출력부와,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개인정보처리장치(1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may include a wireless transceiver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RF)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s (not shown), an audio input / output unit such as a microphone, a speaker, and the lik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face uni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상기 제어부(102)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상기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112)의 동작 수순에 따라 필기로 입력된 다종의 문자들을 인식하고,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운영체제 프로그램(미도시됨) 및 응용 프로그램(미도시됨)들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2 is, for example, a microprocessor, which recognizes a plurality of characters input by handwrit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112, and an operating system program (not shown) stored in the memory unit 110. ) And to execute application programs (not shown).

상기 메모리부(110)는 램(RAM), 롬(ROM) 등으로 구비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는 플래쉬 메모리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110)는 상기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112), 운영체제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memory unit 110 may include a RAM, a ROM, and the like, and may further include a flash memory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memory unit 110 stores th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112, an operating system program, an application program, and data.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통신을 위한 타장치들과 연결하기 위한 확장 장치로, 예를 들어, GPS, PCS, 셀룰러 단말기들, 무선 랜(LAN), 적외선 통신 장치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USB, 직렬 포트 등의 유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들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부(110)를 확장하기 위한 플래쉬 메모리 등을 연결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is an extension device for connecting with other devices f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GPS, a PCS, cellular terminals, a wireless LAN (LAN), an infrared communication device, or a USB or serial port. Connect network devices for performing wired communication, such as.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flash memory or the like for expanding the memory unit 110 may be connected.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입력부(120)는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문자기입패널(200)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기입패널(200)은 다종의 문자에 대응하여 다수의 문자입력영역(202,204,206,208)으로 구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character input unit 120 is provided with a character writing panel 200 consisting of the touch screen, the character writing panel 200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haracters a plurality of characters It is divided into input areas 202, 204, 206 and 208.

즉, 상기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112)은 다종의 문자들의 필기를 인식하기 위한 필기 인식모듈을 각 문자들의 집합별로 구성하고, 터치 스크린용 문자입력부(120)의 문자기입패널(200)을 각 문자들의 집합별로 다수개의 문자입력영역(202,204,206,208)으로 분할한다.That is,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112 configures a handwriting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handwriting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for each set of characters, and forms the character writing panel 200 of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unit 120 for each character. Each of these set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areas 202, 204, 206 and 208.

그리고 각각의 문자입력영역(202,204,206,208)은 해당 필기 인식모듈이 각각 할당된다. 이렇게 구성된 필기 인식모듈을 기준으로 필기를 시작한 위치가 상기한 각각의 문자입력영역(202,204,206,208) 중에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별하고, 필기의 시작 위치가 속한 문자입력영역에 대응하는 필기 인식모듈을 수행한다.Each letter input area 202, 204, 206, 208 is assigned a corresponding handwriting recognition module, respectively. Based o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u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at which the writing is started belongs to each of the character input areas 202, 204, 206, and 208, and the writing recognition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area to which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writing belongs.

이 때, 상기 필기 인식모듈은 필기를 시작한 위치가 속하는 문자입력영역을 판별함으로써 문자 인식이 결정되므로, 해당 문자입력영역을 벗어나서 연속적으로 필기되는 문자들은 벗어난 문자입력영역에 할당된 필기 인식모듈와는 무관하게 인식하여, 필기를 시작한 위치로 판별된 문자입력영역에 할당된 문자와 동일하게 인식한다.In this case, since the character recognition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character input area to which the writing start position belongs, the characters continuously written out of the character input area are independent o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ule assigned to the character input area. In order to recognize the same as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character input area determined as the position where the writing was started.

여기서, 상기 필기 인식모듈은 필기를 시작한 위치가 속하는 문자입력영역에 의해 필기 문자를 판별한 후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0.6초)내에 연속으로 다른 문자입력영역들에 필기되는 다른 문자들을 필기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판별된 문자의 종류와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ule determines the handwritten character by the character input area to which the location where the handwriting starts belongs, and then writes the other characters which are continuously written in the other character input area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6 seconds). Regardless of the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recognize the same type of the determined character.

즉, 필기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입력되는 필기 문자들은 다시 필기가 시작되는 각각의 문자입력영역을 판별하고 이 문자입력영역에 대응하는 필기 인식모듈을 수행하게 함으로서, 이전에 수행된 필기 문자와는 다른 영역에 속하는 필기 문자를 연속적으로 편리하게 입력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handwritten characters input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handwriting are determined again by determining the respective character input areas in which the handwriting is started and perform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areas.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input handwritten characters belonging to different areas continuously.

따라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112)의 처리 수순에 따라 필기를 시작하는 위치를 판별하고, 다른 위치의 문자입력영역에서도 처음 필기를 시작한 위치에 의해서 판별된 필기 문자로 인식한다. 그 결과, 문자입력영역의 너비에 관계 없이 긴 단어나 문장을 연속해서 필기할 수 있으며, 다종의 필기 문자들을 편리하게 인식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2 determines the position where the writing start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112, and recognizes the writing character determined by the position where the writing was first started in the text input area of the other position. . As a result, a long word or sentence can be continuously written regardless of the width of the character input area, and various types of handwritten characters can be conveniently recognized.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다종의 문자들 즉, 한글, 영문, 숫자 및 특수 문자인 4 개의 문자 집합을 인식 대상으로 하는 필기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상기 문자입력부(120)는 다종의 필기 문자들을 기입할 수 있는 다수의 문자입력영역(202,204,206,208)을 갖는 문자기입패널(200)을 구비한다.Here,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andwriting recognition to recognize the character set of four kinds of characters, that is,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the character input unit 120 is A character writing panel 200 having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areas 202, 204, 206, and 208 for writing various types of handwritten characters is provided.

예컨대, 상기 문자기입패널(200)은 4 개의 문자 집합에 대응하여 4 개의 문자입력영역(202,204,206,208)으로 분할하여 구성한다.For example, the character writing panel 200 is divided into four character input areas 202, 204, 206, and 208 corresponding to four character sets.

이와 같은 문자입력영역은 사용되는 PDA나 휴대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들의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적어도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 text input area is preferably divided into at least three areas in consideration of screen siz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PDA or a mobile phone.

만약,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이 3개의 영역들로 구분되었을 때에는, 상기 3개의 문자입력영역들은 한글, 영문자, 숫자를 포함한 특수문자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text input areas are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three text input areas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special characters including Korean, English letters, and numbers.

또한, 상기 문자기입패널(200)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자 종류부터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tter writing panel 200 is preferably assigned in order from left to right from the type of characters most used.

즉,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입력빈도가 높은 한글은 맨왼쪽의 문자입력영역(202)에 할당되어 있고, 입력빈도가 낮은 특수문자는 맨오른쪽의 문자입력영역(208)에 할당되어 있고, 그 사이에 영문을 인식하기 위한 문장입력영역(204)과, 숫자를 인식하기 위한 문자입력영역(206)이 할당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Korean having a high input frequency is assigned to the leftmost character input area 202, and special characters having a low input frequency are allocated to the rightmost character input area 208. In the meantime, a sentence input area 204 for recognizing an English letter and a character input area 206 for recognizing a number are allocated.

또한, 상기 문자입력부(120)는 자주 사용하거나 모양이 유사하여 필기 입력이 쉽지 않거나 인식이 어려운 특정 문자들을 위한 특정문자입력버튼(2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pecific character input buttons 220 for specific characters that are frequently used or similar in shape and are difficult to recognize or difficult to write.

또한, 상기 문자기입패널(200)에 필기되는 문자는 여러획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어 지정된 소정의 시간(예컨대 0.3-0.4초)이 지나서 필기된 문자를 인식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haracter written on the letter writing panel 200 may be composed of a number of strokes,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is pas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3-0.4 seconds).

그러나, 지정된 소정의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이 곧바로 인식을 개시하여도 무관한 경우를 위해 상기 문자입력부(120)는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문자인식시작키(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character input unit 120 further includes a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212 for instructing to start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for the case where it is irrelevant to start recognition immediately without having to wait for a predetermined time. Can be configured.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문자인식시작키(212)가 눌려질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시작하게 되는 한편, 상기 문자인식시작키(212)가 소정의 시간 동안 눌려지지 않을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2 starts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when the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212 is pressed, while the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212 is not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o automatically start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그 외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문자입력부(120)는 각종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능 버튼(210)들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unit 12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210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필기 문자들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여기서 도 5a는 한글을 인식하는 필기 인식 모드를 나타내며, 도 5b는 영문을, 도 5c는 숫자 그리고 도 5d는 특수 문자를 인식하는 필기 인식 모드를 나타낸다.5A to 5D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plurality of handwritte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shows a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for recognizing Korean, FIG. 5B shows a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for recognizing a Korean character, FIG. 5C shows a number, and FIG. 5D shows a special character.

도 5a를 참조하면, 필기 시작 위치가 한글인식 문자입력영역(202) 내에서 시작하면, 이후 다른 영역에서, 즉 문자입력영역(203,206,208)에서 입력되는 필기 문자들은 한글로 인식된다. 이어서, 필기 후 상기 문자인식시작키(212)를 누르거나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필기 문자들을 인식한다.Referring to FIG. 5A, when a writing start position starts in the Hangul recognition character input area 202, handwriting characters input in another area, that is, in the character input areas 203, 206, and 208, are recognized as Korean characters. Subsequently, when the letter recognition start key 212 is pressed after the writing or the set waiting time elapses, the handwriting characters are automatically recognized.

도 5b를 참조하면, 필기 시작 위치가 영어인식 문자입력영역(204) 내에서 시작하면, 이후 입력되는 필기 문자들은 다른 영역에서도 영문으로 인식한다.Referring to FIG. 5B, when the writing start position starts in the English recognition character input area 204, the handwriting characters to be input later are recognized as English in other areas.

도 5c,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특수 문자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해당 문자들을 인식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illustrated in FIGS. 5C and 5D,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are recognized in the same manner with respect to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필기 문자 인식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ced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수순은 상기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112)의 처리 수순에 따라 상기 제어부(102)가 실행하는 것으로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다.This procedure is executed by the controller 102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112 and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10.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 S230에서 상기 제어부(102)는 스타일러스 펜(140)으로서 문자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면 단계 S232에서 필기 문자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step S230, the control unit 102 determines whether the handwritten character is input in step S232 when the control unit 102 is input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120 as the stylus pen 140.

상기 판별 결과 필기 문자가 입력되면, 단계 S234로 진행하여 필기 인식모듈을 구동시킨다.If the handwriting character is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flow proceeds to step S234 to drive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ule.

그 후, 단계 S236에서 문자인식시작키(212)가 눌러졌지를 판별한다.After that, it is determined in step S236 whether the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212 has been pressed.

상기 판별 결과, 문자인식시작키(212)가 눌러졌으면, 이 수순은 단계 S240으로 진행하여 입력된 필기 문자를 인식하는 루틴을 바로 처리한다.If the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212 is press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is procedure proceeds to step S240 to immediately process a routine for recognizing the inputted handwritten character.

그리나, 상기 판별 결과 문자인식시작키(212)가 눌러지지 않았으면, 이 수순은 단계 S238로 진행하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한다.However, if the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212 has not been press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is procedure proceeds to step S238 to determine whether the set waiting time has elapsed.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입력된 필기 문자를 인식하는 루틴을 처리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routin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inputted handwritten character when the set waiting time elapses is processed.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력된 필기 문자 인식 루틴의 동작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n input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routine illustrated in FIG. 6.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필기 문자 인식 처리 루틴은 단계 S250에서 필기 시작 위치가 한글인식 문자입력영역(202) 내에 있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필기 시작 위치가 한글인식 문자입력영역(202) 내에 있으면, 이 수순은 단계 S251로 진행하여 이후 입력되는 필기 문자들이 소정의 시간 내이면 단계 S252로 진행하여 필기 시작 위치 이후 소정의 시간내에 입력되는 필기 문자들을 한글로 인식하고, 소정의 시간 내가 아니면 필기 문자, 인식루틴시작으로 되돌아 간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routine determines whether the handwriting start position is in the Hangul recognition character input area 202 in step S25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writing start position is in the Hangul recognition character input area 202,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S251 and if the handwriting characters to be input thereafter a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roceeds to step S252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writing start position. The handwritten characters inputted are recognized in Korean, and if it is no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handwritten characters are returned to the start of the recognition routine.

그러나, 상기 판별 결과, 필기 시작 위치가 한글인식 문자입력영역(202) 내가 아니면, 단계 S254로 가서 필기 시작 위치가 영어인식 문자입력영역(204) 내에 있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필기 시작 위치가 영어인식 문자입력영역(204) 내에 있으면, 이 수순은 단계 S255로 진행하여 이후 입력되는 필기 문자들이 소정의 시간 내이면 단계 S256으로 진행하여 필기 시작 위치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입력되는 필기 문자들을 영어로 인식하고, 소정의 시간 내가 아니면 필기 문자, 인식루틴시작으로 되돌아 간다.Howe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writing start position is not in the Hangul recognition character input area 202, the flow goes to step S254 to determine whether the writing start position is in the English recognition character input area 204.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writing start position is in the English recognition character input area 204,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S255 and if the writing characters to be input thereafter a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roceeding to step S256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writing start position. The handwritten characters inputted are recognized in English, and if it is no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handwritten character is returned to the start of the recognition routine.

상기한 방법으로, 이후의 각 단계 S258/S262에서 필기 시작 위치가 각각 숫자인식 문자입력영역/특수문자인식 문자입력영역(206/208) 내인지 판별하여, 단계S259/S263을 거쳐, 필기 시작 위치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입력되는 필기 문자들을 숫자/특수문자들로 인식한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determined in each subsequent steps S258 / S262 whether the writing start position is within the number recognition character input area / special 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 input area 206/208, and through step S259 / S263, the writing start position Then, the handwritten characters input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re recognized as numbers / special characters.

그리고, 필기 시작 위치가 상기한 모든 문자입력영역(202,204,206,208), 즉 문자기입패널(200) 내에 속하지 않으면 S266으로 진행하여 특정문자입력버튼(210), 또는 기능 버튼(210) 중 어느 하나가 눌러졌는지 인식하고, 눌러졌으면 해당 특정 문자 입력 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writing start position does not belong to all of the character input areas 202, 204, 206, and 208, that is, the character writing panel 200, the process proceeds to S266, where one of the specific character input button 210 or the function button 210 is pressed. When it is recognized and pressed, it is desirable to perform a specific character input or a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기 문자 인식에 있어서, 유사한 문자의 오인식을 방지하고, 잦은 문자 입력 모드 변경 또는 좁은 필기 문자 입력 영역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종의 필기 문자의 입력시, 용이하게 필기 문자를 입력하고 인식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isunderstanding of similar characters in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solves the problems caused by frequent character input mode changes or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in a narrow handwriting character input area, thereby inputting various types of handwritten characters. At the time,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and recognize the handwritten characte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Claims (10)

문자의 필기가 가능한 문자기입패널을 갖고 상기 문자기입패널을 통해 필기된 문자를 받아들이기 위한 문자입력부와;A character input unit which has a character writing panel which enables writing of characters, and which receives characters written through the character writing panel;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A memory unit for storing a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And 상기 필기문자인식프로그램의 처리수순에 따라서 상기 문자입력부에 필기된 문자들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s written in the character input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기입패널을 다수 개의 문자입력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을 문자종류 별로 대응시키고, 상기 문자입력부의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에 문자가 필기되면 필기시작위치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필기된 문자의 종류를 판별하고, 필기 시작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연속으로 다른 문자입력영역들에 필기되는 다른 문자들도 필기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판별된 문자의 종류와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The control unit divides the character writing panel into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regions,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input regions by character type, and recognizes a writing start position when a character is written in the character input regions of the character input unit. Determine the type of the written character, and recognizes other characters written in other character input areas continuous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 of wri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type of the determined character regardless of the writing position.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입력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The character input unit is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ouch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은 적어도 3개의 영역들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개인정보처리장치.And the text input area is divided into at least three area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은 문자의 종류들 중 입력 빈도수가 높은 종류의 수순으로 상기 문자기입패널의 좌에서 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And the character input areas are arrang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character writing panel in the order of the type of characters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inpu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입력부는 특정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특정문자입력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The character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specific character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specific charac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입력부는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문자인식시작키를 더 포함하고,The character input unit further includes a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for indicating the start of recognition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인식시작키가 눌려질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And the control unit starts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when the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is press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인식시작키가 소정의 시간 동안 눌려지지 않을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자동으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And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starts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when the letter recognition start key is not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문자의 필기가 가능한 문자기입패널을 구비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에서 필기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recognizing handwritten characters in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character writing panel capable of writing a character: 상기 문자기입패널을 다수 개의 문자입력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을 문자종류 별로 대응시키는 단계와;Dividing the character entry panel into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regions and mapping the character input regions by character type;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에 문자가 필기되면 필기시작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Recognizing a writing start position when a character is written in the character input areas; 상기 인식된 필기시작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필기된 문자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Determining the type of the written character based on the recognized writing start position; 상기 필기시작위치 이외의 상기 문자입력영역들에 필기 시작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연속으로 필기되는 다른 문자들도 상기 판별된 문자의 종류와 동일하게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문자인식방법.And recognizing other characters continuously written in the character input areas other than the writing start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 of wri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determined character type. .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인식단계는,The recognition step, 문자인식시작키가 눌려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 character recognition start key is pressed; 상기 문자인식시작키가 눌려질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문자인식방법.And starting the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when the letter recognition start key is presse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문자인식시작키가 소정의 시간 동안 눌려지지 않을 때 상기 필기된 문자의 인식을 자동으로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처리장치.And automatically starting recognition of the written character when the letter recognition start key is not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KR1020010059364A 2001-09-25 2001-09-25 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KR200300286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364A KR20030028671A (en) 2001-09-25 2001-09-25 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364A KR20030028671A (en) 2001-09-25 2001-09-25 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671A true KR20030028671A (en) 2003-04-10

Family

ID=2956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364A KR20030028671A (en) 2001-09-25 2001-09-25 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867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274B1 (en) * 2005-10-28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ing Notes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ing the Same
KR101333003B1 (en) * 2012-03-08 2013-11-26 주식회사 디오텍 Text input device using multi-windows for handwriting input device using handwriting and text input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278A (en) * 1993-05-27 1996-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andwritten character size determination apparatus based on character entry area
KR20000033154A (en) * 1998-11-20 2000-06-1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of recognition letter being progressed letter recognition speed
JP2000200143A (en) * 1998-12-28 2000-07-18 Casio Comput Co Ltd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010001460A (en) * 1999-06-04 2001-01-0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278A (en) * 1993-05-27 1996-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andwritten character size determination apparatus based on character entry area
KR20000033154A (en) * 1998-11-20 2000-06-1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of recognition letter being progressed letter recognition speed
JP2000200143A (en) * 1998-12-28 2000-07-18 Casio Comput Co Ltd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010001460A (en) * 1999-06-04 2001-01-0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274B1 (en) * 2005-10-28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ing Notes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ing the Same
KR101333003B1 (en) * 2012-03-08 2013-11-26 주식회사 디오텍 Text input device using multi-windows for handwriting input device using handwriting and text input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3009B2 (en) Character recognition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US9342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9104306B2 (en) Translation of directional input to gesture
KR1014477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mposing screen in a touch screen
US85818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 having a base character component and a supplemental character component
US20090213085A1 (en)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US200902568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roke based graphic input
JP2004213269A (en) Character input device
US9317200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7031756B1 (en) Method of processing user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ouch screen panel of digital mobile station
KR100414143B1 (en)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WO2020048159A1 (en) Unlocking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KR20030008873A (en) Word inpu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1506162B1 (en) Portable terminal using qwerty key and method for setting and inputting symbol thereof
WO2006060263A2 (en) A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deographic character input
WO2023045920A1 (en) Text display method and text display apparatus
JP2003178257A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program for inputting character
KR20030028671A (en) 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US20040246228A1 (en) Editing character strings with touchscreen
KR20000060799A (en) User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rmianl equipment having touch screen panel for character input
RU2314563C1 (en) Method for recognition of written symbols on user interface
CN114296626B (e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of input interface
USRE47442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2004220437A (e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KR100360141B1 (en) Method Of Handwriting Recognition Through Gestures In Device Using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