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345A - A cellular phone charger using alter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 - Google Patents

A cellular phone charger using alter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345A
KR20030027345A KR1020010060509A KR20010060509A KR20030027345A KR 20030027345 A KR20030027345 A KR 20030027345A KR 1020010060509 A KR1020010060509 A KR 1020010060509A KR 20010060509 A KR20010060509 A KR 20010060509A KR 20030027345 A KR20030027345 A KR 20030027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charging
mobile phone
predetermined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명수
Original Assignee
(주)포스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퍼전자 filed Critical (주)포스퍼전자
Priority to KR102001006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7345A/en
Priority to PCT/KR2002/001827 priority patent/WO2003026377A2/en
Priority to AU2002362584A priority patent/AU2002362584A1/en
Publication of KR20030027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34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n AC/DC charger for mobile phones is provided to be used for both AC power and DC power to generate a charged voltage for mobile phones and to charge any mobile phones regardless of types and manufacturers. CONSTITUTION: An AC/DC charger for mobile phones comprises a DC voltage connector/feeder(10), a charged voltage generator(20) and a mobile phone interface(30). The DC voltage connector/feeder(10) includes a DC power connecting terminal(11), a connecting section(12), a DC power supplying section(13) and a connection cancel button. The charged voltage generator(20) includes a plug(21) and a power LED for showing power-on/off state. The mobile phone interface(30) includes a charged voltage connecting section(31), a charged voltage transfer cable(32) and a mobile phone connecting terminal(33).

Description

AC/DC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 {A cellular phone charger using alter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AC / DC cell phone charger {A cellular phone charger using alter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언제 어디서든 용이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har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apable of easily charging a mobile phone anytime and anywhere.

근래 들어, 핸드폰이나 피씨에스(PCS)폰과 같은 휴대용 전화기는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편리성 때문에 남녀노소에 상관없이 그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Recently, portable phones such as mobile phones and PCS (PCS) phones are being used more and more regardless of gender, age, and convenience due to the convenience of being portable and portab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화기는 그 특징상 휴대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유선 전화기와는 달리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을 배터리로 사용해야 할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를 다 사용한 후에는 재충전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portable phone as described above is portable and used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and unlike the fixed-use landline phone, the power of the portable phone must be used as a battery,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it after recharging the battery. There is this.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충전기로는, 크게 가정용 충전기인 DTC(Desk Top Charger)와 휴대용 충전기인 TC(Travel Charger), 차량용 충전기인 CLC(Ciger Light Charger), 핸즈프리 키트(Handsfree Kit) 및 여행용 충전기 등이 있는데, 이러한 기능별 충전기들은 각 충전기에 허용되는 입력 전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반 휴대용 전화기 사용자들은 가정용 충전기와 차량용 충전기를 따로 구입해야만 한다.The charger used to charge the battery of such a mobile phone includes, for example, a desk top charger (DTC), a home charger, a portable charger (TC), a cigarette lighter (CLC), a handsfree kit (Handsfree Kit) ) And travel chargers. Since these chargers have different input power sources, ordinary mobile phone users have to purchase a home charger and a car charger separately.

즉, 입력 전원이 AC 110V/220V인 경우에 동작하는 가정용 충전기는 DC 전원을 사용하는 자동차에서는 그에 따른 충전기를 통한 충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가정용 충전기와 차량용 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해야만 한다.That is, since the home charger operating when the input power is AC 110V / 220V cannot be charged through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vehicle using DC power, the home charger and the car charger must be purchased separately.

또한, 일반 휴대용 전화기들은 그 생산업체마다 후두부(RECEPTACLE)의 금형이 다르기 때문에, 휴대폰의 분실 또는 손상 등으로 인해 다른 기종 또는 다른 생산업체의 휴대용 전화기로 바꾸어야만 하는 경우, 그에 따른 충전기 역시 새로 구입해야만 한다.In addition, since ordinary mobile phones have different molds for the head of the head, each manufacturer has to purchase a new charger if they need to change to another model or another manufacturer's mobile phone due to the loss or damage of the mobile phone. do.

한편, 일부 충전기들은 그 기능상 소형화가 되지 않아, 일반 사용자가 주머니에 휴대하고 싶어도 중량 또는 부피 등의 이유로 인해 휴대시 불편함을 겪어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some chargers are not miniaturized in function, so even if a general user wants to carry it in a pocket, it has to suffer from inconvenience due to weight or volume.

관련 종래 기술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related prior art as follow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조립 상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전 상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시 상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assembled state of the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state diagram before use of the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4 is This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a mobile phone charger.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휴대폰충전기(1)는 본체(10), 충전을 위해 휴대폰단말기 및 배터리를 장착 가능하도록 복수의 포켓(미도시됨)이 형성된 충전부(20), 전원 콘센트(미도시됨)와 상기 충전부(20)를 연결하여 휴대폰충전기(1)에 적정 용량의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어댑터(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portable cell phone charger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main body 10, a charging unit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ckets (not shown) to be moun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attery for charging, power outlet ( Not shown) and the charging unit 20 includes an adapter 30 for supplying electricity of a suitable capacity to the mobile phone charger 1.

본체(10)는 일면에 어댑터(30)를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어댑터(30)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와 충전부(20) 사이에는 힌지 구조의 연결부재(미도시됨)로 연결되어 있어 휴대폰충전기(1)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한다.The main body 10 has an accommodating part 11 formed of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adapter 30 so as to accommodate the adapter 30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ing part 20 are provided. It is connected by a hinge member (not shown) between the bent cell phone charger 1 at a predetermined angle.

어댑터(30)는 몸체(31)와 플러그(32)로 구성되는데, 몸체(31)의 일면에는 플러그(32)를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32)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의 수납홈 (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홈(31a)의 일 끝단에는 힌지구조의 연결부재 (32a)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플러그(32)가 구비되어 상기 수납홈(31a) 내에 수납된다.The adapter 30 is composed of a body 31 and a plug 32, one side of the body 31, the receiving groove 31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lug 32 to accommodate the plug 32 Is formed, on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31a) is provided with a plug 32 connected to be rotatable by the hinge member connecting member (32a)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31a).

상기 어댑터 몸체(31)의 일측 단부에는 플러그(32)로부터 인출된 도선(33)이 연장 관통하여 인출되도록 인출구(31b)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선(33)은 이 인출구 (31b)를 통해 인출되어 상기 충전기 본체(10)의 수납부(11) 일측에 형성된 도선 통로(미도시됨)를 통해 충전부(20)에 연결된다.An outlet 31b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dapter body 31 so that the lead 33 drawn out from the plug 32 extends through and is drawn out, and the lead 33 is drawn out through the outlet 31b. I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20 through a conductive wire passage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 of the charger body 10.

충전기 본체(10)의 일 끝단에는 상기 어댑터와 충전부(20) 사이에 연결된 도선(33)을 수납하기 위한 도선감개(1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납부(11)에 어댑터 (30)를 수납할 경우, 상기 도선(33)을 감아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charger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wire reel 12 for accommodating the conductive wire 33 connected between the adapter and the charging unit 20, thereby storing the adapter 30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In this case, the conductive wire 33 may be wound and cleaned.

한편, 절곡된 충전기(1)는 충전부(20)가 받침대 기능을 하므로 테이블이나 바닥에 세워질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휴대폰단말기나 배터리를 충전부(20)의 해당 포켓(미도시됨)에 장착한 후, 충전기 본체(10)의 일면에 위치된 수납부(11)로부터 어댑터를 탈거하고, 어댑터의 수납홈(31a)으로부터 플러그(32)를 회동시켜 세운 후 전원 콘센트(미도시)에 꽂으면 비로소 충전이 시작된다.On the other hand, the bent charger (1) can be built on the table or floor because the charging unit 20 functions as a stand, in this state after mounting a mobile phone or battery in the corresponding pocket (not shown) of the charging unit 20 After removing the adapter from the accommodating part 11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10, turning the plug 32 from the accommodating groove 31a of the adapter, turning the plug 32 into a power outlet (not shown), and then charging is performed. It begins.

또한, 상기 휴대폰충전기(1)의 다른 충전방법으로, 충전기(1)를 절곡시킨 후 휴대폰단말기나 배터리를 충전부(20)의 해당 포켓(미도시됨)에 장착하고, 충전기 본체(10)의 수납부(11)에 어댑터(30)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의 수납홈 (31a)에 수납된 플러그(32)를 회동시켜 일으켜 세운 후, 그대로 전원 콘센트(미도시)에 꽂으면 충전이 시작된다.In addition, as another charging method of the mobile phone charger 1, after bending the charger 1, the mobile phone terminal or the battery is mounted in the corresponding pocket (not shown) of the charging unit 20, the number of the charger main body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adapter 30 is stored in the payment part 11, the plug 32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31a of the adapter is rotated and raised, and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ower outlet (not shown), charging is started. .

이러한 구조의 휴대용 휴대폰충전기(1)는 플러그(32)가 어댑터의 수납홈 (31a)에 수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어댑터에서 수납홈(31a)이 형성된 공간은 모두 플러그(32)에 의해 차지되었기 때문에, 어댑터는 회로기판을 내장할 추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The portable cellular phone charger 1 having such a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lug 32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31a of the adapter, so that the space in which the accommodating groove 31a is formed in the adapter is occupied by the plug 32. In addition, the adapter must be large in size to provide additional space to house the circuit board.

이로 인해, 상기 어댑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휴대폰충전기 본체(10)의 수납부(11)는 크기가 커진 어댑터를 수용하기 위해 커진 크기만큼 커져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휴대폰충전기(1)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휴대폰 사용자는 휴대시 불편함을 겪어야만 한다.Because of this, when the size of the adapter increases, the receiving portion 11 of the mobile phone charger main body 10 has to be increased by an enlarged size to accommodate the larger adapter, consequently, the overall size of the mobile phone charger 1 Cell phone users must experience inconvenience in carrying because it results in a larger siz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정용 AC 전원 또는 차량용 DC 전원을 겸용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충전전압을 생성, 공급할 수 있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that can generate and supply the charging voltage of the portable phone by using a combination of a domestic AC power or a vehicle DC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It is for providing a device.

또한, 휴대용 전화기의 분실 및 손상 등으로 인한 기기 교체의 경우, 그에 따른 충전기의 교체 없이, 기종별, 생산업체별 휴대용 전화기를 충전할 수 있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placing the device due to the loss and damage of the portable phone, it is to provide an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at can charge the portable phone by model, manufacturer, without replacing the charger according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조립 상태도이다.2 is an assembled state diagram of the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FIG. 1.

도 3은 도 2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전 상태도이다.3 is a state diagram before use of the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FIG.

도 4는 도 1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시 상태도이다.4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the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조립 상태도이다.6 is an assembled state diagram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사용시 상태도이다.7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the AC / DC dual-us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상기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대략적인 기능별 블록 구성도이다.8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functional units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도 9와 도 10은 상기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에 이용되는 충전전압 생성기의 세부적인 회로 구성도이다.9 and 10 are detailed circuit diagrams of a charge voltage generator used in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 DC 전압 연결/제공기10: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1 : DC 전원 연결 단자11: DC power connection terminal

12 : 연결부12: connection part

13 : DC 전원 인가부13: DC power supply unit

14 : 연결 해제 버튼14: disconnect button

20 : 충전전압 생성기20: charge voltage generator

21 : 플러그21: plug

22 : POWER LED22: POWER LED

30 : 휴대폰 인터페이서30: mobile phone interface

31 : 충전전압 연결부31: charging voltage connection

32 : 충전전압 전송용 케이블32: charging voltage transmission cable

33 : 휴대폰 연결 단자33: mobile phone connection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는,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외부의 DC 전압 공급기와 분리, 결합되어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압을 그대로 유지, 인가하는 DC 전압 연결/제공기;A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which is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an external DC voltage supply to maintain and apply the DC voltage applied from the DC voltage supply as it is;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 및 외부의 AC 전압 공급기와 분리, 결합되어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 또는 상기 전압 공급기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AC 전압을 이용하여 해당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 전압으로 생성하는 충전전압 생성기; 및The portable device is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and an external AC voltage supply by using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or an A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voltage supply. A charge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harg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telephone; And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충전전압을 상기 휴대용전화기의 배터리로 인가하는 휴대폰 인터페이서A mobile phone interface for applying a charging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는,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상기 AC 전압 공급기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압을 소정 크기의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스위칭하는 AC 전압 제어기;An AC voltage controller for converting and switching an AC voltage applied from the AC voltage supply into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AC 전압 제어기 또는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상기 충전전압으로 생성하는 DC 전압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C voltage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AC voltage controller or the DC voltage supply to the charging voltag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장치의 충전 회로에 있어서,In the charging circuit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소정 크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 회로에 있어서,In the charging circuit of the AC / DC mobile phone charger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정류회로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압을 소정 크기의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정류부;A first rectifying unit configured of a rectifying circuit to convert an AC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제1 정류부에 연결되며 저항, 인덕터 및 콘덴서로 구성되어 상기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평활하는 제1 필터부;A first filter part connected to the first rectifying part and composed of a resistor, an inductor, and a capacitor to smooth the DC voltage having the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제1 필터부에 연결되며 스위칭 IC, 콘덴서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상기 소정 크기의 DC 전압이 스위칭되도록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A first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unit and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ing IC, a capacitor, and a diode to control the switching of the DC voltage of the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트랜스포머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필터부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압을 소정 크기로 강압하는 트랜스부;A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figured as a transformer to step down the DC voltage appli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상기 트랜스부와 연결되며 콘덴서 및 쇼트키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스부로부터 인가되는 강압된 DC 전압을 정류하는 제2 정류부;A second rectifier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and configured of a capacitor and a Schottky diode to rectify the stepped down DC voltage applied from the transformer;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인가하는 DC 전압 입력부;A DC voltage input unit configured to apply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nput from the DC voltage supplier;

상기 DC 전압 입력부 및 상기 제2 정류부와 연결되며 저항, FET 및 DC/DC 컨버터로 구성되어 상기 DC 전압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정류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스위칭하며, 상기 DC 전압에 대해 정전류, 정전압 제어를 수행하는 제2 스위칭부;It is connected to the DC voltage input unit and the second rectifier and consists of a resistor, a FET and a DC / DC converter to switch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DC voltage input unit or the second rectifier, and a constant current with respect to the DC voltage A second switching unit performing constant voltage control;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연결되며 쇼트키 다이오드, 트로이드 코일(Troid coil) 및 콘덴서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DC 전압을 평활하여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충전전압을 생성하는 제2 필터부;A second filter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and configured of a Schottky diode, a toroid coil and a condenser to smooth the DC volt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cond switching part to generate a charging voltage of the portable telephone ;

상기 제2 필터부와 연결되며 파워 LED 및 저항으로 구성되어 상기 AC/DC 겸용 휴대폰 충전장치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상태 표시부; 및A power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unit and configured of a power LED and a resistor to display a power state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상기 전원상태 표시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연결되며 저항으로 구성되어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출력하는 충전전압 출력부A charge voltage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tat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configured of a resistor to output the charge voltage to a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소정 크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장치의 충전 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ging method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size of power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용 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압생성 단계;A DC voltage generation step of converting an AC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상기 직류전압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용 전압을 소정의 충전전압으로 변환, 생성하는 충전전압 생성 단계; 및A charging voltage generation step of converting and generating the DC voltage and the DC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predetermined charging voltage; And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공급하는 단계Supplying the charging voltage to a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조립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사용시 상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assembled view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when using an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보면,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는 DC 전압 연결/제공기(10), 충전전압 생성기(20) 및 휴대폰 인터페이서(30)를 포함하며,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10)는 DC 전원 연결 단자(11), 연결부(12), DC 전원 인가부(13) 및 연결 해제 버튼(14)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20)는 플러그(21) 및 전원상태 표시용 파워 LED(22)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서(30)는 충전전압 연결부(31), 충전전압 전송용 케이블(32) 및 휴대폰 연결 단자(3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ncludes a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0, a charge voltage generator 20, and a mobile phone interface 30, and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0 includes It includes a DC power connection terminal 11, the connection portion 12, the DC power supply unit 13 and the disconnect button 14,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20 is a plug 21 and the power LED for power status indication The mobile phone interface 30 includes a charging voltage connection unit 31, a charging voltage transmission cable 32, and a mobile phone connection terminal 33.

DC 전압 연결/제공기(10)는 외부의 직류용 전원 공급 장치(예를 들어, DC 전압을 공급하는 차량용 배터리 등)와 연결되어 상기 직류용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12V∼24V 정도)을 제공 받는다.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C power supply (for example, a vehicle battery supplying DC voltage, etc.) and has a predetermined DC voltage (12V) applied from the DC power supply. ~ 24V).

충전전압 생성기(20)는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10)를 통해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 또는 플러그(21)를 통해 입력되는 가정용 교류 전압(통상 AC 110V/220V)을 해당 휴대용 전화기(4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전압으로 변환, 생성한다.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20 receives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through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0 or a household AC voltage (usually AC 110V / 220V) input through the plug 21. 40) is converted into a charging voltage for charging and generating.

휴대폰 인터페이서(30)는 충전전압 생성기(20) 또는 휴대용 전화기(40)와 결합, 분리되어 상기 충전전압 생성/공급기(2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전압을 상기 휴대용 전화기(40)로 공급한다.The cellular phone interface 30 is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20 or the portable telephone 40 to supply the charging voltage output from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 supply 20 to the portable telephone 40.

DC 전압 연결/제공기(10)는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DC 전원을 공급받는 DC 전원 연결 단자(11), DC 전원 연결 단자(1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DC 전원을 그대로 인가하는 연결부(12), 연결부(12)와 이어지도록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해당 DC 전원을 충전전압 생성기(20)로 인가하는 DC 전원 인가부(13)를 포함한다.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0 is formed at one end to be connected to the DC power connection terminal 11 and DC power connection terminal 11 to receive the DC power from the outside, the corresponding DC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It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12 for applying as it is, the other end is formed on the other en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2 and the DC power applying unit 13 for applying the DC power to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20.

또한, 연결부(12)는 충전전압 생성기(20)로의 DC 전원 인가 과정 수행 후, DC 전원 인가부(13)와 충전전압 생성기(20)와의 연결 해제시, 이를 위해 연결부(12)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 해제 버튼(14)을 포함하며, 해당 사용자에 따른 상기 연결 해제 버튼(14)의 푸쉬/풀에 따라 충전전압 생성/공급기(20)의 연결홈(21b)에 장착 또는 탈착되는 돌출 버튼(13 내에 점선 사각형으로 도시)을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the DC power supply process is performed to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20, the connection part 12 may protrude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2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C power supply part 13 and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20 is released. And a protruding button mounted or detached in the connection groove 21b of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 supply 20 according to the push / pull of the disconnect button 14 according to the user. (Shown as dotted rectangles within 13).

충전전압 생성/공급기(20)의 일면에는 외부의 가정용 교류 전원측과 연결되어 해당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플러그(21), 상기 플러그(21)가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21)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의 수납부(21a)가 있으며, 상기 수납부(21a)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플러그(21)가 상기 충전전압 생성/공급기(20)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를 이룬다.One side of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 supply 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home AC power supply side to apply a corresponding AC power, and a shape coinciding with the appearance of the plug 21 to accommodate the plug 21. There is an accommodating portion 21a, and a plug 21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21a to be rotatable forms a structu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 supply 20.

이때, 상기 플러그(21)의 수납 여부, 즉, 상기 수납부(21a) 내의 플러그(21)수납 여부에 따라, DC 입력단자로의 연결 또는 AC 입력단자로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플러그(21)가 수납부(21a) 내에 수납되면,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10)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인가하여 이를 통해 해당 회로를 동작시키는 DC 입력 단자가 동작하는 반면, 플러그(21)가 수납부(21a) 내에 수납되지 않고 충전전압 생성/공급기(20)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를 이루면, 상기 플러그(21)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 크기의 AC 전압을 인가하여 이를 통해 해당 회로를 동작시키는 AC 입력 단자가 동작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lug 21 is connected to the DC input terminal or the AC inpu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plug 21 is received, that is, the plug 21 is received in the housing 21a. That is, when the plug 21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a, a DC input terminal for applying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nput through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0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circuit is oper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plug 21 is no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1a and has a structu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 supply 20, an A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nput through the plug 21 is provided. By applying this, the AC input terminal that operates the circuit operates.

또한, 상기 수납부(21a) 내의 밑면에는 오목한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져 DC 전압 연결/제공기(10)의 돌출 버튼이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홈(21b)이 있으며, 상기 연결홈(21b)을 통해 DC 전압 연결/제공기(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전압 생성/공급기(20)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a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which has a connecting groove 21b for mounting or detaching the protruding button of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0, the connecting groove 21b. Through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0, as shown in FIG. 7,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 supplier 20 has a structu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전원 상태(POWER ON/OFF)를 알리는 POWER LED(2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전압 생성/공급기(20)의 뒷면에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In addition, a power LED (22) indicating the power state (POWER ON / OFF) of the AC / DC dual-us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s shown in Figure 6, the structure formed on the back of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 supplier 20 Achieve.

휴대폰 인터페이서(30)는 충전전압 생성/공급기(20)와 연결, 분리되며, 상기충전전압 생성/공급기(20)로부터의 충전전압을 공급받는 충전전압 연결부(31), 충전전압 연결부(3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충전전압을 그대로 인가하는 충전전압 전송용 케이블(32), 충전전압 전송용 케이블(32)과 이어지도록 휴대폰 인터페이서(3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해당 휴대용 전화기(40)로 인가되는 충전전압을 공급하는 휴대폰 연결 단자(33)를 포함한다.The mobile phone interface 30 is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 supply 20, and is connected to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31 and the charge voltage connector 31 to receive the charge voltage from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 supply 20. It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mobile phone interface 30 to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voltage transmission cable 32, the charging voltage transmission cable 32, which is formed so as to apply the charging voltage as it is applied to the mobile phone 40 And a mobile phone connection terminal 33 for supplying a charging voltage.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as follows.

도 8은 상기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대략적인 기능별 블록 구성도이다.8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functional units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도 8을 보면,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200)는, AC 입력부(201), DC 입력부(202), AC/DC 감지부(203), 중앙 제어부(204), 스위치(205), AC 스위칭부 (206), DC 스위칭부(207), 충전전압 출력부(208) 및 전원상태 표시부(POWER LED, 209)를 포함한다.8,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200 includes an AC input unit 201, a DC input unit 202, an AC / DC detection unit 203, a central control unit 204, a switch 205, and an AC. And a switching unit 206, a DC switching unit 207, a charging voltage output unit 208, and a power state display unit (POWER LED) 209.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200)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process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2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as follows.

AC 입력부(201)를 통해 가정용 교류 전압이 인가되거나 또는 DC 입력부(202)를 통해 차량용 직류 전압이 인가되면, AC/DC 감지부(203)는 이를 감지하여 중앙 제어부(204)로 인가하며, 중앙 제어부(204)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압 또는 AC 전압은 스위치(205)로 인가된다.When a household AC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AC input unit 201 or a vehicle DC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DC input unit 202, the AC / DC detection unit 203 detects this and applies 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204. The DC voltage or AC voltage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204 is applied to the switch 205.

이때, 상기 AC/DC 감지부(203)를 통한 전압 감지 기능이 아닌, 상기 AC 입력부(201) 또는 DC 입력부(202)와의 연결 관계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크기의 AC 또는 DC 전압은 스위치(205)를 통해 AC 스위칭부(206) 또는 DC 스위칭부(207)로 바로 인가되기도 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AC input unit 201 or the DC input unit 202, rather than the voltage sensing function through the AC / DC detection unit 203, the AC or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input from the outside is switched 205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AC switching unit 206 or the DC switching unit 207.

또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AC 전압 또는 DC 전압은 동시에 인가되지 않는 구조를 이룬다.In addition, the AC voltage or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outside forms a structure that is not applied at the same time.

이후, 상기 스위치(205)로 인가된 DC 전압 또는 AC 전압은 중앙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AC 스위칭부(206) 또는 DC 스위칭부(207)로 스위칭되어 해당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전압으로 변환, 생성된다.Thereafter, the DC voltage or the AC voltage applied to the switch 205 is switched to the AC switching unit 206 or the DC switching unit 207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04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Can be converted into a charge voltage and generated.

이때, 가정용 교류 전압(AC 전압)은 소정 크기의 직류 전압(DC 12V 정도)으로 강압된 후, 완전한 충전전압으로 변환/생성되는 반면, 차량용 직류 전압(DC 전압)은 그대로 충전전압으로 변환/생성된다.At this time, the home AC voltage (AC voltage) is stepped down to a DC voltage (about 12V DC)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converted / generated into a complete charging voltage, while the vehicle DC voltage (DC voltage) is converted / generated into a charging voltage as it is. do.

이후, 생성된 충전전압은 충전전압 출력부(208)를 통해 해당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전원 상태는 POWER LED를 포함하는 전원상태 표시부(209)를 통해 표시된다.Thereafter, the generated charging voltage is supplied to the battery of the corresponding portable phone through the charging voltage output unit 208, and the power state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is a power state including a POWER LED. I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09.

여기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에 이용되는 충전전압 생성기(도 5의 2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20 of FIG. 5) used in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와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에 이용되는 충전전압 생성기의 세부적인 회로 구성도이다.9 and 10 are detailed circuit diagrams of a charge voltage generator used in an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와 도10을 보면, 충전전압 변환/생성 회로는 교류 전원측(100)과 직류전원측(200)으로 이루어지며, 교류 전원측(100)은 AC 전압 입력부(110), 제1 정류부(120), 제1 필터부(130), 제1 스위칭부(140), IC 보호부(150) 및 트랜스부(160) 및 제2 정류부(170)를 포함하며, 직류 전원측(200)은 DC 전압 입력부(210), 제2 필터부(220), 제2 스위칭부(230), 전원상태 표시부(240) 및 충전전압 출력부(250)를 포함한다.9 and 10, the charging voltage conversion / generation circuit includes an AC power supply side 100 and a DC power supply side 200, and the AC power supply side 100 includes an AC voltage input unit 110, a first rectifying unit 120, The first filter unit 130, the first switching unit 140, the IC protection unit 150, and the transformer unit 160 and the second rectifier 170, the DC power supply side 200 is a DC voltage input unit 210 ), A second filter unit 220, a second switching unit 230, a power state display unit 240, and a charging voltage output unit 250.

교류 전원측(10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용 전압(90V∼245V)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전원측(200)으로 스위칭하며, 상기 직류 전원측(200)은 교류 전원측(100)으로부터 스위칭되는 직류전압 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용 직류 전압(12V-24V 정도)을 해당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전압으로 변환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AC power supply side 100 converts the AC voltage (90V to 245V) a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DC voltage to switch to the DC power supply side 200, the DC power supply side 200 is a DC voltage switched from the AC power supply side 100 Alternatively, the vehicle DC voltage (about 12V-24V) applied from the outside is converted into a charging voltage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and is output.

상기한 기능의 교류 전원측(1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C power supply side 100 having the above func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교류 전원측(100)은, AC 전원 입력잭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크기의 AC 전압을 인가하는 AC 전압 입력부(110), AC 전압 입력부(110)에 연결되고 브릿지 정류 회로로 구성되어 상기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정류부(120), 제1 정류부(120)에 연결되고 저항(R16), 인덕터(L3), 콘덴서(C5, C6)로 이루어진 평활 회로를 통해 상기 DC 전압을 평활하는 제1 필터부(130), 제1 필터부(130) 및 트랜스부(160)와 연결되고 스위칭 IC(U1), 콘덴서(C7) 및 다이오드 (D6)로 구성되어 트랜스부(160)를 제어(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부(140), 제1 스위칭부(140)와 연결되고 트랜스포머(T1)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스위칭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랜스포머(T1)의 권선비를 이용하여 제1 필터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강압(DC 13V 정도)하는 트랜스부(160), 트랜스부(160) 및 제1 스위칭부(140)에 연결되고 저항(R1, R5, R9)과 콘덴서(C2)로 구성된 스너버 회로를 통해 제1 스위칭부(140)의 스위칭 IC(U1)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IC 보호부(150), 상기 트랜스부(160)와 연결되고 쇼트키 다이오드(D1) 및 콘덴서 (C3)로 이루어져 상기 트랜스부(160)로부터 인가되는 강압된 DC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170)를 포함한다.The AC power supply side 100 is connected to an AC power input jack and connected to an AC voltage input unit 110 for applying an AC voltage input from the outside, and connected to an AC voltage input unit 110 and configured as a bridge rectifier circuit. Smoothing the DC voltage through a smoothing circuit comprising a resistor R16, an inductor L3, and capacitors C5 and C6 connected to the first rectifier 120 and the first rectifier 120 for converting the voltage into a DC voltage.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unit 130, the first filter unit 130, and the transformer unit 160, and includes a switching IC U1, a capacitor C7, and a diode D6 to control the transformer unit 160. (Switching) is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140, the first switching unit 140 and composed of a transformer (T1),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40, the winding ratio of the transformer (T1) Transformer unit 160, the transformer unit 1 for step-down (about 13V DC) of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130 using 60 and the switching IC U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40 are destroyed through a snubber circuit composed of the resistors R1, R5 and R9 and the capacitor C2. Rectifier connected to the IC protection unit 150, the transformer unit 160 for preventing and consisting of a Schottky diode (D1) and a capacitor (C3) to rectify the stepped DC voltage applied from the transformer unit (160) 170).

직류 전원측(200)은 외부의 DC 입력잭과 연결되어 소정 크기의 DC 전압(12V∼24V)이 입력되는 DC 전압 입력부(210), DC 전압 입력부(210) 및 교류 전원측 100)의 정류부(170)와 연결되고 DC/DC 컨버터(U2), 저항(R17, R2) 및 FET(Q1)로 구성되어 정전압과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제2 스위칭부(230), 제2 스위칭부(230)와 연결되고 쇼트키 다이오드(D3), 트로이드 코일(troid coil, L3) 및 콘덴서(C1)로 구성되어 제2 스위칭부(230)를 통해 인가되는 소정의 DC 전압 또는 DC 전압 입력부(210)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DC 전압을 평활하여 완전한 충전 전압을 생성하는 제2 필터부(220), 제2 필터부(220)와 연결되고 다이오드(D4), 저항(R7)으로 구성되어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상태 표시부 240), 전원상태 표시부(240) 및 제2 스위칭부(230)와 연결되고 저항(R3, R12, R4, R5, R6)으로 구성되어 4.2V의 정전압과 600mA의 정전류를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전압 출력부(250)를 포함한다.The DC power supply side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C input jack, the DC voltage input unit 210, DC voltage input unit 210 and the rectifier 170 of the AC power supply side 100 inputs a DC voltage (12V to 24V) of a predetermined size.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23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30 which is composed of a DC / DC converter (U2), resistors (R17, R2) and FET (Q1) to perform constant voltage and constant current control It is composed of a Schottky diode D3, a troid coil (L3) and a condenser (C1) and applied from a predetermined DC voltage or DC voltage input unit 210 applied through the second switching unit 230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power st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unit 220 and the second filter unit 220 to smooth the DC voltage to generate a complete charging voltage, and is composed of a diode D4 and a resistor R7. Connected to the power state display unit 240, the power state display unit 24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30 to the resistors R3, R12, R4, R5, and R6.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harging voltage output unit 250 for supplying the constant voltage of 4.2V and 600mA constant current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상기와 같은 구조의 충전전압 생성기를 포함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동작 과정(소정 크기의 AC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process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having the above structure (operation process when an AC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is input) is as follows.

먼저, 가정용 전원의 콘센트(미도시됨)에 충전전압 생성기의 플러그(AC 단자, 도 5의 21)를 꽂으면, 도 9의 회로도에서와 같이, AC 전압 입력부(110)를 통해 소정의 AC 전압이 인가된다.First, when the plug (AC terminal, 21 of FIG. 5) of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is plugged into an outlet (not shown) of the home power source,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9, a predetermined AC voltage is provided through the AC voltage input unit 110. Is applied.

이후, AC 전압은 제1 정류부(120)를 통해 DC 전압으로 변환된 후, 제1 스위칭부(140)의 스위칭 작용 및 트랜스부(160) 내 트랜스포머(T1)의 권선비를 통해 소정의 크기(DC 13V 정도)로 강압된 후, 직류 전원측(200)으로 인가된다.Subsequently, the AC voltage is converted into the DC voltage through the first rectifying unit 120, and then a predetermined magnitude (DC) is obtained through the switching a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40 and the winding ratio of the transformer T1 in the transformer unit 160. 13V) and then applied to the DC power supply side 200.

이후, 직류 전원측(200)으로 인가된 DC 전압은 제2 스위칭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2 필터부(220)를 통해 평활되어 해당 휴대용 전화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전압으로 생성되며, 이는, 상기 제2 스위칭부(230)의 정전압, 정전류 제어 기능을 통해, 소정의 정전압(4.2V 정도)과 소정의 정전류(600mA 정도)로 유지되어 충전전압 출력부(250)를 통해 해당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접점으로 출력된다.Thereafter, the DC voltage applied to the DC power supply side 200 is smoothed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30 and is generated as a charging voltage capable of charging the corresponding portable phone. This, through the constant voltage, constant current control function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30,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constant voltage (about 4.2V) and a predetermined constant current (about 600mA) to the corresponding portable phone through the charging voltage output unit 250 Is output to the battery contacts.

다음, 소정 크기의 DC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의 충전전압 발생 과정 및 그를 이용한 충전 과정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charging voltage generation process when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input and a charging process using the same are as follows.

먼저, DC 전압 연결/제공기(도 5의 10)의 DC 전원 연결 단자(도 5의 11)를 자동차의 DC 전원 공급용 삽입홀(미도시됨)에 꽂으면, 도 10의 회로도에서와 같이, DC 전압 입력부(210)를 통해 소정의 DC 전압이 인가된다.First, when the DC power connection terminal (11 in FIG. 5) of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10 in FIG. 5) is plugged into an insertion hole (not shown) for DC power supply of a vehicle,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The predetermined DC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DC voltage input unit 210.

이후, 소정의 DC 전압은 제2 스위칭부(230)로 인가되며 이는 제2 필터부 220)를 통해 평활된 후, 상기 제2 스위칭부(230)의 정전압, 정전류 제어 기능을 통해, 소정의 정전압(4.2V 정도)과 소정의 정전류(600mA 정도)로 유지되며, 해당 휴대용 전화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전압으로 생성된다. 이후, 충전전압은 충전전압 출력부(250)를 통해 해당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BAT)로 인가된다.Thereafter, a predetermined DC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230, which is smoothed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220, and then, through the constant voltage and constant current control function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30, the predetermined constant voltage. (Approximately 4.2V) and a predetermined constant current (approximately 600mA), and are generated with a charging voltage capable of charging the portable telephone. Thereafter, the charg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battery BAT of the portable telephone through the charging voltage output unit 2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AC 110V∼240V) 또는 DC 전원(DC 12V∼24V)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그에 따른 차량용 충전기 및 가정용 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여행시, 상기 차량용 충전기 및 가정용 충전기를 일일이 휴대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겪지 않아도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ges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using an AC power source (AC 110V to 240V) or a DC power source (DC 12V to 24V) input from the outside, and accordingly the vehicle Not only do you need to purchase a charger and a home charger separately, but also when traveling, you do not have to suffer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the car charger and the home charger one by one.

또한, 휴대용 전화기의 분실 또는 손실 등으로 인해 그에 따른 충전기를 교체해야만 하는 경우, 충전전압 생성기(도 5의 20) 및 휴대용 전화기(도 5의 40)와 분리 결합되는 휴대폰 인터페이서(도 5의 30)의 교체만으로도 새로 구입한 휴대용 전화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단, 새로 구입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가 일반적인 리튬이온 1셀 배터리인 경우 적용된다. 이를 통해, 별도의 2중(휴대용 전화기 및 그에 따른 충전기) 구입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harger has to be replaced due to the loss or loss of the portable telephone, the cellular phone interface (30 of FIG. 5) separated from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20 of FIG. 5) and the portable telephone (40 of FIG. 5). You can recharge your new cell phone just by replacing. However, this applies when the battery of a newly purchased cellular phone is a typical lithium ion 1-cell batter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rchase of a separate double (mobile phone and a charger accordingly).

또한, 충전시 상대방과의 통화가 가능하며, 부피나 무게 면에서 휴대가 가능한 소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alk with the other party when charging, and is made of a compact structure that can be carried in terms of volume or weigh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정용 교류 전원(AC 100∼220V 전원)을 통해 해당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가정용 충전기와 차량용 직류 전원(DC 12∼24V 전원)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차량용 충전기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소형 크기의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휴대용 전화기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 전화기의 분실 또는 손실 등의 경우, 그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교체 및 구입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home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home AC power source (AC 100-220V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vehicle DC power supply (DC 12-24V power supply) By providing a small-sized AC / DC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n which a car charger for charging a battery is coupled or separa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charge a mobile phone anytime and anywher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oss or loss of the mobile phon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replacement and purchase of the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ly.

Claims (12)

외부의 DC 전압 공급기와 분리, 결합되어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압을 그대로 유지, 인가하는 DC 전압 연결/제공기;A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which is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an external DC voltage supply to maintain and apply the DC voltage applied from the DC voltage supply as it is;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 및 외부의 AC 전압 공급기와 분리, 결합되어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 또는 상기 전압 공급기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AC 전압을 이용하여 해당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 전압으로 생성하는 충전전압 생성기; 및The portable device is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and an external AC voltage supply by using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or an A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voltage supply. A charge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harg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telephone; And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충전전압을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인가하는 휴대폰 인터페이서A mobile phone interface for applying a charging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는,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상기 AC 전압 공급기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압을 소정 크기의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스위칭하는 AC 전압 제어기;An AC voltage controller for converting and switching an AC voltage applied from the AC voltage supply into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AC 전압 제어기 또는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상기 충전전압으로 생성하는 DC 전압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And a DC voltag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AC voltage controller or the DC voltage supply to the charging voltag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는,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상기 DC 전압 공급기와 분리, 결합되어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제공받는 DC 전원 연결 단자;A DC power connection terminal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the DC voltage supply to receive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from the DC voltage supply; 상기 DC 전원 연결 단자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DC 전압을 그대로 인가하는 연결부; 및A connection part which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C power connection terminal and directly applies the DC voltage; And 상기 연결부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DC 전압을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로 인가하는 DC 전원 인가부A DC power supply unit formed to connect with the connection unit to apply the DC voltage to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DC 전원 연결/제공기는,The DC power supply / provider,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 소정의 크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DC 전원 인가부와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It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size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AC / DC dual cell phone charg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DC power supply and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는,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상기 AC 전압 공급기와 연결되어 상기 AC 전압 공급기로부터의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AC 전압을 제공받는 플러그;A plug connected to the AC voltage supply to receive an A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AC voltage supply; 상기 플러그가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 및An accommodating part including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er shape of the plug to accommodate the plug; And 상기 수납부의 내측 밑면에 오목한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가 장착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연결홈Concave grooves form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C voltage connection / provider to be mounted or detached 을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플러그는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And the plug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상기 DC 전원 연결/제공기는,The DC power supply / provider, 상기 연결부의 밑면에 소정의 크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홈에 장착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돌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And a protruding button protrud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to a predetermined size so as to b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groove. 제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는,The charging voltage generator, 상기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파워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power LED to display the power status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서는,The mobile phone interface,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전압 생성기로부터의 충전전압을공급받는 충전전압 연결부;A charge voltage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to receive a charge voltage from the charge voltage generator; 상기 충전전압 연결부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충전전압을 그대로 인가하는 충전전압 전송용 케이블; 및A charge voltage transmission cable which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harge voltage connection part and applies the charge voltage as it is; And 상기 충전전압 전송용 케이블과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인가하는 휴대폰 연결단자Mobile phone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to connect with the charging voltage transmission cable to apply the charging voltage to the portable telephon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AC 전압 제어기는,The AC voltage controller, 상기 AC 전압 공급기로부터 소정 크기의 AC 전압이 입력되는 AC 전압 입력부;An AC voltage input unit to which an A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input from the AC voltage supplier; 상기 AC 전압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압을 소정 크기의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정류부;A first rectifying unit converting an AC voltage applied from the AC voltage input unit into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제1 정류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평활하는 제1 필터부;A first filter unit smoothing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first rectifier; 상기 제1 필터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상기 DC 전압 제어기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A first switching unit controlling to switch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to the DC voltage controller;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DC 전압을 강압하는 트랜스부; 및A transformer unit for stepping down the DC volt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상기 트랜스부를 통해 소정 크기로 강압된 DC 전압을 평활하여 상기 DC 전압 제어기로 인가되는 제2 필터부The second filter unit is applied to the DC voltage controller by smoothing the DC voltage stepped down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through the transformer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AC 전압 제어기는,The AC voltage controller,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스위칭 제어에 따른 역전압 발생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가 파괴되는 것을 보호하는 IC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When the reverse voltag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the AC / DC dual cell phone charg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IC protection unit for protecting the first switching unit is destroyed. 제1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상기 DC 전압 제어기는,The DC voltage controller,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인가하는 DC 전압 입력부;A DC voltage input unit configured to apply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nput from the DC voltage supplier; 상기 DC 전압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압 또는 상기 제2 평활부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압을 소정 크기의 정전압과 소정 크기로 정전류로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DC voltage applied from the DC voltage input unit or a DC voltage applied from the second smoothing unit to a constan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a constant current with a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제2 스위칭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평활하여 상기 휴대용 전화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전압으로 생성하는 제2 필터부;A second filter unit generating a charging voltage capable of charging the portable telephone by smoothing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second switching unit;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필터부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압을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출력하는 충전전압 출력부; 및A charging voltag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charging voltage appli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to a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상기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상태 표시부Power status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ower status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소정 크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충전 회로에 있어서,In the charging circuit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at supplies a predetermined size of power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정류회로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압을 소정 크기의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정류부;A first rectifying unit configured of a rectifying circuit to convert an AC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제1 정류부에 연결되며 저항, 인덕터 및 콘덴서로 구성되어 상기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평활하는 제1 필터부;A first filter part connected to the first rectifying part and composed of a resistor, an inductor, and a capacitor to smooth the DC voltage having the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제1 필터부에 연결되며 스위칭 IC, 콘덴서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상기 소정 크기의 DC 전압이 스위칭되도록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A first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unit and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ing IC, a capacitor, and a diode to control the switching of the DC voltage of the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트랜스포머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필터부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압을 소정 크기로 강압하는 트랜스부;A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figured as a transformer to step down the DC voltage appli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상기 트랜스부와 연결되며 콘덴서 및 쇼트키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스부로부터 인가되는 강압된 DC 전압을 정류하는 제2 정류부;A second rectifier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and configured of a capacitor and a Schottky diode to rectify the stepped down DC voltage applied from the transformer;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인가하는 DC 전압 입력부;A DC voltage input unit configured to apply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nput from the DC voltage supplier; 상기 DC 전압 입력부 및 상기 제2 정류부와 연결되며 저항, FET 및 DC/DC 컨버터로 구성되어 상기 DC 전압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정류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을 스위칭하며, 상기 DC 전압에 대해 정전류, 정전압 제어를 수행하는 제2 스위칭부;It is connected to the DC voltage input unit and the second rectifier and consists of a resistor, a FET and a DC / DC converter to switch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pplied from the DC voltage input unit or the second rectifier, and a constant current with respect to the DC voltage A second switching unit performing constant voltage control;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연결되며 쇼트키 다이오드, 트로이드 코일(Troid coil) 및 콘덴서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DC 전압을 평활하여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충전전압을 생성하는 제2 필터부;A second filter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and configured of a Schottky diode, a toroid coil and a condenser to smooth the DC volt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cond switching part to generate a charging voltage of the portable telephone ; 상기 제2 필터부와 연결되며 파워 LED 및 저항으로 구성되어 상기 AC/DC 겸용 휴대폰 충전장치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상태 표시부; 및A power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unit and configured of a power LED and a resistor to display a power state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상기 전원상태 표시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연결되며 저항으로 구성되어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출력하는 충전전압 출력부A charge voltage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tat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configured of a resistor to output the charge voltage to a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충전 회로.Charging circuit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소정 크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ging method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at supplies a predetermined size of power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용 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압 생성 단계;A DC voltage generation step of converting an AC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상기 직류전압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용 전압을 소정의 충전전압으로 변환, 생성하는 충전전압 생성 단계; 및A charging voltage generation step of converting and generating the DC voltage and the DC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predetermined charging voltage; And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로 공급하는 단계Supplying the charging voltage to a battery of the portable telephon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DC 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Charging method of the AC / DC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KR1020010060509A 2001-09-28 2001-09-28 A cellular phone charger using alter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 KR20030027345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509A KR20030027345A (en) 2001-09-28 2001-09-28 A cellular phone charger using alter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
PCT/KR2002/001827 WO2003026377A2 (en) 2001-09-28 2002-09-27 Ac/dc charger for mobile phone
AU2002362584A AU2002362584A1 (en) 2001-09-28 2002-09-27 Ac/dc charger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509A KR20030027345A (en) 2001-09-28 2001-09-28 A cellular phone charger using alter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345A true KR20030027345A (en) 2003-04-07

Family

ID=1971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509A KR20030027345A (en) 2001-09-28 2001-09-28 A cellular phone charger using alter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0027345A (en)
AU (1) AU2002362584A1 (en)
WO (1) WO2003026377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997A (en) * 2002-05-27 2002-08-24 다마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rging power in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0110B2 (en) 2008-12-23 2013-03-19 James F. Bennett, Jr. Energy efficient power adapter
CN104167787B (en) * 2014-08-11 2016-09-14 Tcl通讯(宁波)有限公司 A kind of mobile terminal precharge method of flow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1937A (en) * 1993-12-07 1995-07-26 전성원 Power charger and charging method for combined use of DC and AC inputs
US5847545A (en) * 1996-02-20 1998-12-08 Superior Communication Products Inc. Dual A/C and D/C input powered portable battery charger
KR19990015641U (en) * 1997-10-14 1999-05-15 히다카 쿠니타카 Portable AC / DC Combined Battery Charger
US5977747A (en) * 1998-08-20 1999-11-02 Huang; Hsin-Wei Cellular phone battery charger with an emergency battery charging function
US6138041A (en) * 1998-09-23 2000-10-24 Ccm Cellular Connection Of Miami, Inc. Device for safe use of a portable cellular telephone while driving
KR200217289Y1 (en) * 2000-10-10 2001-03-1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charger
KR200273716Y1 (en) * 2002-01-28 2002-04-27 권대웅 Multiple Purpose Multicharger Interface Include USB Por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28403U (en) * 1997-05-09 1998-03-11 Formosa Electronicindustries Inc Ac/dc power supplier having a replaceable plug
JPH11341688A (en) * 1998-05-25 1999-12-10 Toshiba Corp Charger, component for charging, and adaptor for charger
AU710580B3 (en) * 1998-11-26 1999-09-23 Shih, Hung Ming Improved device of a micro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KR20010059724A (en)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Charging circui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1937A (en) * 1993-12-07 1995-07-26 전성원 Power charger and charging method for combined use of DC and AC inputs
US5847545A (en) * 1996-02-20 1998-12-08 Superior Communication Products Inc. Dual A/C and D/C input powered portable battery charger
KR19990015641U (en) * 1997-10-14 1999-05-15 히다카 쿠니타카 Portable AC / DC Combined Battery Charger
US5977747A (en) * 1998-08-20 1999-11-02 Huang; Hsin-Wei Cellular phone battery charger with an emergency battery charging function
US6138041A (en) * 1998-09-23 2000-10-24 Ccm Cellular Connection Of Miami, Inc. Device for safe use of a portable cellular telephone while driving
KR200217289Y1 (en) * 2000-10-10 2001-03-1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charger
KR200273716Y1 (en) * 2002-01-28 2002-04-27 권대웅 Multiple Purpose Multicharger Interface Include USB P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997A (en) * 2002-05-27 2002-08-24 다마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rging power in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26377A2 (en) 2003-04-03
AU2002362584A1 (en) 2003-04-07
WO2003026377A3 (en) 200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82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 energy power to an appliance
JP3148046U (en) Portable power feeder
US20090051312A1 (en) Battery charger
JP3112906U (en) Multifunctional portable solar energy charger
JP3143554U (en) Storage type portable charging adapter
US6268709B1 (en) Charging device for a cellular phone
JP3178882U (en) Charger
KR20030027345A (en) A cellular phone charger using alter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
KR20060050084A (en) Charging equipment for both mobile phone and dry cell
KR200207411Y1 (en) Battery charger for mobile phone
JP3087509U (en) Mobile phone charger
US20020154527A1 (en) AC/DC PORTABLE CHARGER FOR Li-ION BATTERIES, CELLULAR TELEPHONES AND PDAS
KR200363324Y1 (en) The exterior power supply equipment used with the battery insertion part, and the charger equipment
US20020190691A1 (en) Mobile phone emergency charger
KR200425205Y1 (en) Battery charging circuit of mobile for both dc voltage and ac voltage
CN216675022U (en) Depilating instrument device
US20080271775A1 (en) Solar power
KR200387853Y1 (en)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KR200385266Y1 (en) mobile phone charging equipment capable of recharging commonly battery
KR200253455Y1 (en) Hand Phone Chargers Carryalong
JP2004304983A (en) General-purposed charger
CN214754601U (en) Energy storage data line
CN219697314U (en) Hole filling equipment and power utilization system
KR200326784Y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duty purpose battery charger using second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battery
CN210806808U (en) Mobile phone power supply capable of being charged and discharged wireless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