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292A -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292A
KR20030025292A KR10-2003-7002310A KR20037002310A KR20030025292A KR 20030025292 A KR20030025292 A KR 20030025292A KR 20037002310 A KR20037002310 A KR 20037002310A KR 20030025292 A KR20030025292 A KR 2003002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conten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6859B1 (ko
Inventor
미끼 아베
다까후미 호소이
히로미 마쯔다
마사오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11B20/0018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using a content identifier, e.g. an 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ISRC] or a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47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wherein contents are decrypted and re-encrypted with a different key when being copied from/to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48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 G11B20/0049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wherein content or user data is encryp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89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functional copies, which can be accessed at a time, e.g. electronic bookshelf concept, virtual library, video rentals or check-in/check 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2003/0697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device management, e.g. handlers, drivers, I/O schedu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7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for managing gaps between two recordings, e.g. control data in linking areas, run-in or run-out fields, guard or buffer z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콘텐츠 전송처의 2차 기록 매체의 정보 취득에 의한 적절한 시스템 동작을 실현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측(1차 기록 매체측)은, 체크아웃처가 되는 2차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와 같이 독자의 관리 방식을 채용하는 미디어가 이용되는 경우에, 데이터 기록 장치(2차 기록 매체측) 에 대하여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여, 필요한 정보를 취득한다. 특히,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2차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 2차 기록 매체의 명칭 정보,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명칭 정보, 2차 기록 매체의 용량 정보,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수의 정보,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 등을 취득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FER APPARATUS,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TRANSFER METHOD}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1차 기록 매체로서 취급하여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여 다른 기록 매체(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그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음악 등의 재생을 즐기는 등의 사용 형태가 있다. 또, 콘텐츠 데이터는,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영상 데이터, 게임 데이터,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의 배신/전송/사용을 주목적으로 하는 데이터이다.
이 경우에, HDD에는, CD-DA(Compact Disc Digital Audio)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재생된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가 축적되거나, 또는 퍼스널 컴퓨터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음악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 데이터가 축적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에 2차 기록 매체의 기록 장치를 접속하여, HDD에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를 2차기록 매체에 복사(복제) 또는 이동시켜, 이 2차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재생 장치에서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2차 기록 매체로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카드나,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 또는 CD-R(CD Recordable), CD-RW(CD Rewritable), DVD-RAM, DVD-R, DVD-RW 등을 생각할 수 있다.
2차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 재생 장치로서, 이들 미디어(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레코더/플레이어는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거치형 기록 재생 장치나, 포터블 타입의 기록 재생 장치 등으로서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 사용자는 각각 자신의 기호나 소유한 기기에 맞춰,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의 사용 형태를 생각할 때에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의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등을 행하여, HDD에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한 후, 그 콘텐츠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가능하게 하면, 저작권자의 정당한 보호를 도모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취급상 저작권 보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이나 데이터 처리상의 약정이 제안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라는 규격이 있다.
이 SDMI에서 책정된 데이터 패스에 대해서는 후술겠하지만, 예를 들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에 축적된 콘텐츠,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데이터(이하, 네트워크 콘텐츠)나, 예를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CD-ROM 드라이브 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재생되는 CD-DA,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이하, 디스크 콘텐츠)에 대하여, 2차 기록 매체로의 전송/기록이, 저작권 보호와 일반 사용자의 이익(사적 복제의 권리)을 감안한 후에, 적절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HDD 등의 1차 기록 매체로부터 미니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등의 2차 기록 매체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여 복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작권 보호나 사적 복제의 권리의 양쪽을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즉, 상기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전송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 등이 상정되고, 이 2차 기록 매체에는 콘텐츠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된다. 예를 들면, HDD 등의 1차 기록 매체에서는, SDMI 방식의 콘텐츠인 경우에는 암호화가 실시되어 축적됨으로써, 그 암호화 상태 그대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되게 된다.
물론,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재생 기기에서는, 암호 해독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따라서 암호화 상태로 복사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되는 콘텐츠 ID를 기록하는 영역이 포맷 상, 준비되어 있다.
콘텐츠 ID는, 1차 기록 매체측의 기기에서 1차 기록 매체(HDD)에 축적된 각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되어,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는 것이지만,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하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ID도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콘텐츠 ID는, 1차 기록 매체측과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콘텐츠 권리 관리에 이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콘텐츠 권리는, 1차 기록 매체측에 대해서는 2차 기록 매체로의 전송권(2차 기록 매체에 복사시킬 권리)이고, 2차 기록 매체측에 대해서는 복사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권이 된다.
또, 이하,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권리 양도)을 「체크아웃」이라고 하고,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의 콘텐츠 데이터의 반환(실제로는 권리의 반환)을 「체크인」이라고 한다.
SDMI 방식에서는, 체크아웃, 체크인에 관해서는,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이 정해진다.
일례로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체크아웃은 3회 허용된다(상기 전송권은 「3회」로 된다).
체크아웃이 행해지면, 권리가 2차 기록 매체측으로 양도되게 되어,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그 콘텐츠 데이터의 남은 전송권은 2회로 된다. 한편,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재생권을 얻게 된다.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에 체크인을 행하면, 권리가 반환되게 된다. 즉,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재생권을 상실하고,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전송권이 하나 부활된다.
이러한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는, 각 콘텐츠 데이터별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체크아웃 시에는, 콘텐츠 데이터 및 콘텐츠 ID가 2차 기록 매체측에 기록됨으로써,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재생권을 얻는다). 1차 기록 매체에서는, 콘텐츠 ID를 하나 양도한 것으로 간주하여, Usage Rule에 의한 전송권을 하나 감소시킨다.
또한, 체크인 시에는, 실제로는 콘텐츠 데이터의 반환 전송은 행해지지 않고, 2차 기록 매체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소거하고,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콘텐츠 ID가 반환된 것으로 하여, Usage Rule에 의한 전송권을 하나 증가시킨다.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재생권을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이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콘텐츠 데이터가 암호화 상태로 복사 기록되고, 또한 체크아웃, 체크인에 따라 콘텐츠의 권리가 관리됨으로써, 무제한 복사를 방지하여 저작권 보호를 도모하며, 또한 사용자의 사적 복제권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서버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을 위해, 1차 기록 매체인 HDD에는, ATRAC3 방식(물론 다른 압축 방식이어도 되지만)으로 압축된 콘텐츠 데이터 「A3D」가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위해, 키 x로 암호화된 데이터 y를,
E(x, y)
로 표현한다.
또한, 그 암호화 데이터 E(x, y)에 대하여, 키 x에 의해 암호화를 복호한 데이터를,
D{x, E(x, y)}
로 표현하기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ATRAC3 방식의 압축 데이터를 「A3D」라고 하면,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 「A3D」는,
E(CK, A3D)
로 된다. 또한, E(CK, A3D)가 키 CK로 복호된 데이터는,
D{CK, E(CK, A3D)}
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1차 기록 매체인 HDD에는,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 E(CK, A3D)와 함께, 루트 키 KR로 암호화된 상태의 콘텐츠 키 CK, 즉 E(KR, CK)도 저장된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로부터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 E(CK, A3D)와 함께,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가 다운로드된다.
이 경우, 1차 기록 매체인 HDD로부터 2차 기록 매체에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 E(CK, A3D)와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를 송신하면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에서는, 루트 키 KR을 보유하고 있음으로써, 루트 키KR을 이용하여 콘텐츠 키 CK를 복호하고, 또한 복호된 콘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게 된다.
단, 루트 키 KR은, 저작권자측의 의지나 각종 사정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으로, 콘텐츠 데이터별로 다른 루트 키 KR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루트 키 KR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 전송처를 한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EKB(Enabling Key Block: 유효화 키 블록)라고 하는 데이터가 배신되는 경우도 있으며,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되는 정규 단말기에서는, EKB에 의해 루트 키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방식도 채용되고 있다. 즉, EKB도 상기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나 암호화 콘텐츠 키와 함께 서버로부터 배신되어 HDD에 저장된다.
여기서,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를 2차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를 생각하는 경우, 그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는,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인 E(CK, A3D)의 상태로 미니 디스크에 기록한다.
그리고, 재생 시에는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가, D{CK, E(CK, A3D)}=A3D로서 암호 해독된 ATRAC3 데이터(A3D)를 얻은 후에, 소정의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음악 등의 재생 출력을 행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는, 미니 디스크에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다. 당연히,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는 암호 해독기능이 없다.
따라서,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에 기록한고 해도, 그 미니 디스크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SDMI 대응이 아닌 대부분의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즉, 재생 호환성을 얻을 수 없다.
이것은, 일반 사용자가 구입한 SDMI 콘텐츠의 적정한 이용을 제한하게 되어, 일반 사용자에 대한 SDMI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가치나 만족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SDMI 콘텐츠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할 때에, 암호화를 푼 상태에서, 예를 들면 SDMI에 대응하지 않는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로 전송하고, 그대로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미니 디스크 등의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복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용이하게 한다. 이것은 위법 복사를 가능하게 하는 여지를 남기게 되어, SDMI 본래의 목적인 저작권 보호를 실현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 전송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전송 방식을 본 출원인은 먼저 제안한다.
즉,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에는, 데이터 전송 장치(1차 기록 매체측 기기)가 전송처로 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인증을 행하여, 인증 OK로 되고, 콘텐츠 제공자측(저작권자 등)의 허락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콘텐츠데이터를 전송 허가한다. 그리고, 콘텐츠 데이터는 암호화 상태로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되지만, 2차 기록 매체에는 암호화를 풀어 기록한다. 또한, 체크아웃, 체크인에 대한 권리 관리도 행해진다.
이에 의해, 비암호화 상태에서의 복사 기록을 허용하여 사용자가 편의를 도모함과 함께, 저작권 보호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를 HDD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로 하고, 한쪽 데이터 기록 장치를 미니 디스크 레코더로 하여, 1차 기록 매체인 HDD로부터 2차 기록 매체인 미니 디스크에 대한 콘텐츠 전송을 행하는 것이, 실제 콘텐츠 제공자측과 사용자측 쌍방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등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미디어를,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처로서 사용함으로써, 실용적인 유용성은 높지만, 미니 디스크 등 독자의 데이터 관리 형태를 갖는 미디어는, 데이터 전송 장치(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부터는 미디어의 상태 등을 인식할 수 없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예를 들면, SDMI 대응 미디어로서 예로 든 메모리 카드에서는, 기록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FAT에 의해 관리하고 있으므로, 퍼스널 컴퓨터와 조화가 잘 이루어져, 즉 데이터 전송 장치측이 되는 퍼스널 컴퓨터는, 체크아웃을 위한 리무버블 미디어로서 접속된 메모리 카드의 상태(예를 들면, 용량이나 기록 콘텐츠 수 그 외) 를, 메모리 카드측의 FAT를 판독하는 것만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에 체크아웃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 메모리 카드측의 용량 등으로부터 체크아웃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런데, 미니 디스크인 경우와 같이,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용도 등으로서 개발되어 발전하여 온 미디어로서, 독자의 데이터 관리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가 직접적으로 미디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체크아웃 등의에 판단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체크아웃처의 2차 기록 매체로서 미니 디스크 등을 이용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장치(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미니 디스크 등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차 기록 매체와 비암호화 상태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2차 기록 매체 사이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 데이터 전송 장치 측에서 2차 기록 매체의 상태를 적절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기록 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1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시키는 저장 제어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외부의 데이터 기록 장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커맨드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시키는 커맨드 송신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의 전송의 판단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장치는, 외부의 데이터 전송 장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비 암호화 상태로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서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커맨드에 따라, 해당 요구된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정보 송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비 암호화 상태로 기록 재생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장치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었을 때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2차 기록 매체가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순서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순서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가,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처의 기기로서의 정당성을 인증하는 인증 순서와, 상기 정보 취득 순서에서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의 전송 처리를 판단하는 판단 순서와, 상기 판단 순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실행하는 전송 순서가 행해지도록 한다.
또한, 이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2차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명칭 정보, 또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명칭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용량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수의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 등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기록 장치 사이의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에 앞서, 데이터 전송 장치가 체크아웃처가 되는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즉, 미니 디스크 등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명칭, 용량, 트랙(콘텐츠) 수, 트랙의 명칭이나 속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장치측에서는 체크아웃에 관하여 2차 기록 매체측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기록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암호화 방식의 트리 구조의 설명도.
도 2A 내지 도 2B는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암호화 방식의 EKB의 설명도.
도 3은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암호화 방식의 EKB 구조의 설명도.
도 4는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의 블록도.
도 5는 실시예의 SDMI 콘텐츠의 데이터 패스예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예의 1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블록도.
도 7은 실시예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블록도.
도 8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클러스터 포맷의 설명도.
도 9는 미니 디스크의 영역 구조의 설명도.
도 10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 0의 설명도.
도 11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 0의 링크 형태의 설명도.
도 12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 1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의 인증 처리의 흐름도.
도 14는 실시예의 배신/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 및 암호화 상태의 설명도.
도 15A 내지 도 15B는 실시예의 암호화 방식예 및 DNK의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의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 해제 순서의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의 체크아웃 동작의 흐름도.
도 18은 실시예의 체크아웃 동작의 흐름도.
도 19는 실시예의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20은 실시예의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21은 실시예의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22는 실시예의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23은 실시예의 체크인 동작의 흐름도.
도 24는 실시예의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25는 실시예의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의 서브 기능의 설명도.
도 26은 실시예의 체크인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27은 실시예의 콘텐츠 ID 생성의 설명도.
도 28은 실시예의 콘텐츠 ID 대응 테이블의 설명도.
도 29는 실시예의 미디어 정보 취득 동작의 흐름도.
도 30은 실시예의 미디어 정보 취득 동작의 흐름도.
도 31은 실시예의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32는 실시예의 배타적 로그아웃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33은 실시예의 겟 디스크 스테이터스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34는 실시예의 겟 디스크 스테이터스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35는 실시예의 겟 디스트 네임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36은 실시예의 겟 디스크 네임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37은 실시예의 겟 디스크 캐퍼시티 인포메이션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38은 실시예의 겟 디스크 캐퍼시티 인포메이션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39는 실시예의 겟 디스크 캐퍼시티 인포메이션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40은 실시예의 겟 넘버 오브 오디오 트랙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41은 실시예의 겟 넘버 오브 오디오 트랙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42는 실시예의 겟 오디오 트랙 네임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43은 실시예의 겟 오디오 트랙 네임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44는 실시예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할당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45는 실시예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할당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46은 실시예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모드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47은 실시예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모드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48은 실시예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사이즈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49는 실시예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사이즈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암호화 키의 트리 구조 및 EKB
2. 시스템 구성
3. SDMI 콘텐츠의 데이터 패스
4.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예(1차 기록 매체측 기기/PC)
5.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예(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
6. 미니 디스크의 관리 방식
7. 인증 처리
8. 콘텐츠 암호화 방식
9. 콘텐츠의 체크아웃/체크인
10. 콘텐츠 ID의 생성 및 관리 방식
11. 미디어 정보의 취득
1. 암호화 키의 트리 구조 및 EKB
우선, 실시예의 전송 시스템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콘텐츠 배신에 이용되는 암호화 방식 키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도 1, 도 2A 내지 도 2B, 도 3을 이용하여, 콘텐츠 배신측으로부터 콘텐츠 수신측의 각 디바이스로 암호 데이터를 배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각 디바이스에서의 암호 처리 키의 보유 구성 및 데이터 배신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암호화 키의 트리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의 최하단에 도시하는 번호 DV0∼DV15가 콘텐츠 수신측이 되는 개개의 디바이스이다. 즉, 도시하는 계층 트리 구조의 각 리프(leaf)가 각각의 디바이스에 상당한다.
각 디바이스 DV0∼DV15는, 제조 시 또는 출하 시, 또는 그 후에, 도 1에 도시한 계층 트리 구조에서, 자신의 리프로부터 루트에 이르기까지의 노드에 할당된 키(노드 키) 및 각 리프의 리프 키로 이루어지는 키 세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 키 세트는 DNK(Device Node Key)로 불리지만, 그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의 최하단에 도시하는 K0000∼K1111이 각 디바이스 DV0∼DV15에 각각 할당된 리프 키이며, 최상단의 KR(루트 키)에 이어서, 최하단부터 2번째 노드에 기재된 키 K0∼K111을 노드 키로 한다. 또, 문언상 「루트 키」도 「노드 키」에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한 트리 구성에서, 예를 들면 디바이스 DV0은 상기 DNK로서, 리프 키 K0000과, 노드 키 K000, K00, K0, 루트 키 KR을 소유한다. 예를 들면, DNK에서는 노드 키 K000, K00, K0, 루트 키 KR을 리프 키 K0000에 의해 암호화한 상태로 소유한다.
디바이스 DV5는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리프 키 K0101, 노드 키 K010, K01, K0, 루트 키 KR을 소유한다. 디바이스 DV15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리프 키 K1111, 노드 키 K111, K11, K1, 루트 키 KR을 소유한다.
또, 도 1의 트리에는 디바이스가 DV0∼DV15의 16개만이 기재되고, 트리 구조도 4단 구성의 균형 잡힌 좌우 대칭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은 디바이스가 트리 내에 구성되고, 또한 트리의 각 부에서 다른 단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의 트리 구조에 포함되는 각 정보 처리 장치(디바이스)에는, 다양한 기록 매체, 예를 들면 디바이스 매립형 또는 디바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DVD, CD, MD, 플래시 메모리 등을 사용하는 다양한 타입의 정보 처리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공존 가능하다. 이러한 서로 다른 디바이스,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공존 위에 도 1에 도시한 콘텐츠 또는 키 배포 구성인 계층 트리 구조가 적용된다.
이들 다양한 정보 처리 장치(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공존하는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도 1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즉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을동일한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이 점선으로 둘러싸인 그룹 내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통합하여, 공통의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프로바이더로부터 송부하거나, 각 디바이스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콘텐츠 키를 송부하거나, 또는 각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바이더 또는 결제 기관 등에 콘텐츠 요금의 지불 데이터를 역시 암호화하여 출력하는 등의 처리가 실행된다. 콘텐츠 프로바이더, 또는 결제 처리 기관 등, 각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관은, 도 1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즉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일괄적으로 데이터를 송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그룹은, 도 1의 트리 내에 복수 존재한다. 콘텐츠 프로바이더, 또는 결제 처리 기관 등, 각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관은, 메시지 데이터 배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노드 키, 리프 키는, 임의의 하나의 키 관리 센터에 의해 통괄적으로 관리되어도 되고, 각 그룹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프로바이더, 결제 기관 등의 메시지 데이터 배신 수단에 의해 그룹별로 관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들 노드 키, 리프 키는, 예를 들면 키의 누설 등의 경우에 갱신 처리가 실행되고, 이 갱신 처리는 키 관리 센터, 프로바이더, 결제 기관 등이 실행한다.
이 트리 구조에서,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3개의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은 노드 키/루트 키로서 공통의 키 K00, K0, KR을 보유한다. 이 노드 키 공유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공통의 콘텐츠 키를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에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공통으로 보유하는 노드 키 K00 자체를 콘텐츠 키로서 설정하면, 새로운 키 송부를 실행하지 않고 디바이스 DV0, DV1, DV2, DV3만이 공통의 콘텐츠 키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콘텐츠 키 CK를 노드 키 K00으로 암호화한 값 E(K00, CK)를,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에 배포하면, 디바이스 DV0, DV1, DV2, DV3만이,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보유하는 공유 노드 키 K00을 이용하여 암호 E(K00, CK)를 풀어 콘텐츠 키 CK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임의의 시점 t에서, 디바이스 DV3이 소유하는 키 K0011, K001, K00, K0, KR이 공격자(해커)에 의해 해석되어 노출된 것을 발견한 경우, 그 이후, 시스템(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의 그룹)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디바이스 DV3을 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노드 키 K001, K00, K0, 루트 키 KR을 각각 새로운 키 K(t)001, K(t)00, K(t)0, K(t)R로 갱신하여, 디바이스 DV0, DV1, DV2에 그 갱신 키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K(t)aaa는 키 Kaaa의 세대(Generation) : t의 갱신 키인 것을 나타낸다.
물론, 콘텐츠 배신 시에, 다른 사정, 예를 들면 저작권자측의 요망이나 시스템 배신상의 형편 등의 각종 사정에 따라, 노드 키나 루트 키 KR을 갱신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정규 디바이스에 대하여 키 갱신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갱신 키의 배포 처리 대하여 설명한다. 키의 갱신은,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한 유효화 키 블록(EKB : Enabling Key Block)이라고 불리는 블록 데이터로 구성되는 테이블을,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혹은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디바이스에 공급함으로써 실행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DV3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EKB를 디바이스 DV0, DV1, DV2에 공급한다.
또, 유효화 키 블록(EKB)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리 구조를 구성하는 각 리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새롭게 갱신된 키를 배포하기 위한 암호화 키로 구성된다. 유효화 키 블록(EKB)은, 키 갱신 블록(KRB : Key Renewal Block)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도 2A에 도시한 유효화 키 블록(EKB)에는, 노드 키의 갱신이 필요한 디바이스만이 갱신 가능한 데이터 구성을 갖는 블록 데이터로서 구성된다. 도 2A 내지 도 2B의 예는, 도 1에 도시한 트리 구조 내의 디바이스 DV0, DV1, DV2에서, 세대 t의 갱신 노드 키를 배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형성된 블록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키 K0011, K001, K00, K0, KR이 부정하게 노출된 경우를 상정하면, 디바이스 DV0, 디바이스 DV1은 갱신 키로서 K(t)00, K(t)0, K(t)R이 필요하게 되고, 디바이스 DV2는 갱신 키로서 K(t)001, K(t)00, K(t)0, K(t)R이 필요하게 된다.
도 2A의 EK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 EKB에는 복수의 암호화 키가 포함된다. 최하단의 암호화 키는 E(K0010, K(t)001)이다. 이것은 디바이스 DV2가 갖는 리프 키 K0010에 의해 암호화된 갱신 노드 키 K(t)001로, 디바이스 DV2는, 자신이 갖는 리프 키에 의해 이 암호화 키를 복호하여, K(t)00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호에 의해 얻은 K(t)001을 이용하여, 도 2A의 아래로부터 2단째 암호화 키 E(K(t)001, K(t)00)를 복호할 수 있어, 갱신 노드 키 K(t)00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2A의 위로부터 2단째 암호화 키 E(K(t)00, K(t)0)를 복호하여, 갱신 노드 키 K(t)0을 얻고, 또한 위로부터 1단째 암호화 키 E(K(t)0, K(t)R)을 복호하여 갱신 루트 키 K(t)R을 얻는다.
한편, 디바이스 DV0, DV1에서 각각 리프 키 K0000, K0001, 및 노드 키 K000은 갱신하는 대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갱신 키로서 필요한 것은 K(t)00, K(t)0, K(t)R이다.
이 때문에 디바이스 DV0, DV1에서는, 각각 도 2A의 위로부터 3단째 암호화 키 E(K000, K(t)00)를 복호하여 갱신 노드 키 K(t)00을 취득하고, 또한 암호화 키 E(K(t)00, K(t)0)를 복호하여 갱신 노드 키 K(t)0을 취득하며, 또한 암호화 키 E(K(t)0, K(t)R)를 복호하여 갱신 루트 키 K(t)R을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디바이스 DV0, DV1, DV2는 갱신한 루트 키 K(t)R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A의 인덱스는 복호 키로서 사용하는 노드 키, 리프 키의 절대 번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트리 구조의 상위 단의 노드 키 K(t)0, K(t)R의 갱신이 불필요하고, 노드 키 K00만의 갱신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2B의 유효화 키 블록(EKB)을 이용함으로써, 갱신 노드 키 K(t)00을 디바이스 DV0, DV1, DV2에 배포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EKB는, 예를 들면 특정한 그룹에서 공유하는 새로운 콘텐츠키를 배포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그룹 내의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이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고 있으며, 새로운 공통의 콘텐츠 키 CK(t)가 필요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의 공통의 노드 키 K00을 갱신한 K(t)00을 이용하여 새로운 공통의 갱신 콘텐츠 키 CK(t)를 암호화한 데이터 E(K(t)00, CK(t))를 도 2B에 도시한 EKB와 함께 배포한다.
이 배포에 의해, 디바이스 DV4 등, 그 밖의 그룹의 기기에서는 복호되지 않은 데이터로서의 배포가 가능하게 된다.
즉, 디바이스 DV0, DV1, DV2는 EKB를 처리하여 얻은 K(t)00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문을 복호하면, t 시점에서의 콘텐츠 키 CK(t)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키 구조가 트리 구조로 됨과 함께, 상기 예와 같은 EKB에 의해 임의로 각 키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이 키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각종 사정에 따라 루트 키 KR이나 노드 키를 갱신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하여, 정규 상태에서의 콘텐츠 배신을 융통성있게 실행할 수 있다.
도 3에 유효화 키 블록(EKB)의 포맷예를 도시한다.
4바이트로 노드 키의 수를 나타낸다.
4바이트로 노드 키의 깊이를 나타낸다. 이것은 유효화 키 블록(EKB)의 배포처의 디바이스에 대한 계층 트리의 계층 수를 나타낸다.
4바이트로 EKB의 버전을 나타낸다. 또한 버전은 최신의 EKB를 식별하는 기능과 콘텐츠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다.
리저브는 예비 영역이다.
오프셋 어드레스로서 16바이트의 위치로부터, 16×M바이트의 영역에 EKB의 실제 내용으로 되는 암호화된 노드 키(1 또는 복수)가 표시된다. 즉, 도 2A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암호화 키이다.
또한, 암호화 EKB 버전이나, 전자 서명(Signature)이 표시된다. 전자 서명은, 유효화 키 블록(EKB)을 발행한 EKB 발행국, 예를 들면 키 관리 센터, 콘텐츠 프로바이더, 결제 기관 등이 실행하는 전자 서명이다. EKB를 수령한 디바이스는 서명 검증에 의해 정당한 유효화 키 블록(EKB) 발행자가 발행한 유효화 키 블록(EKB)인 것을 확인한다.
2. 시스템 구성
상기한 키 구조를 채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에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상당하는 것은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이고,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장치에 상당하는 것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이다. 그리고,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에 의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구축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를 퍼스널 컴퓨터(1)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단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반드시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기동되는 SDMI 콘텐츠 데이터의 축적/전송 등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에 내장(또는 외부에 장착)된 HDD(5)가 1차 기록 매체(및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가 된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HDD(5)를 1차 기록 매체로 하지만, 물론 1차 기록 매체에 상당하는 기록 미디어는 HDD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등의 미디어, 기기 내장의 반도체 메모리, 가반형의 반도체 메모리(메모리 카드 등) 등, 각종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통신 네트워크(110)를 통해 콘텐츠 서버(91)와 통신 가능하게 되며, 이에 의해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콘텐츠 서버(91)는 복수 존재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사용자는 다양한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를 임의로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9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SDMI 준거의 콘텐츠 데이터도 있고 SDMI에 준거하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도 있다.
네트워크(110)를 형성하는 전송로는, 유선 또는 무선의 공중 회선망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퍼스널 컴퓨터(1)와 콘텐츠 서버(91)의 전용 회선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110)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넷, 위성 통신망, 광 파이버망, 그 밖에 각종 통신 회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의 HDD(5)에는, 내장 또는 외부에서 장착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 CD-DA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90)(이하, 디스크(90),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라고도 함)에서 재생된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시킬 수도 있다.
퍼스널 컴퓨터(1)에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를 접속하고, 이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에 대하여, HDD(5)에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는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치(기록 재생 장치)가 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전송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할 수 있게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의 구체예로서는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는 SDMI 대응의 기록 장치이다.
이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서는, 2차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가 상정된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란, 예를 들면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가 된다. 이 경우, 2차 기록 매체에는 SDMI 콘텐츠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되게 된다.
또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는 SDMI 콘텐츠의 식별자가 되는 콘텐츠 ID를 저장하는 관리 정보 포맷이 형성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에서는 HDD(5)에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 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콘텐츠 ID가 발생되고,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HDD(5)에 저장된다. 또한,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도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행해지지만,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 ID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SDMI 대응이 아닌 데이터 기록 장치에 상당하며, 상세는 후술하지만, 저작권 보호가 요구되는 SDMI 콘텐츠를, 암호화를 푼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2차 기록 매체의 예로서는, 미니 디스크를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미니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로 된다. 이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SDMI 콘텐츠를 비암호화 상태로 기록해도 저작권 보호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후술하는 인증 등이 복사의 조건이 된다.
또한, 이 경우의 미니 디스크 등의 2차 기록 매체(즉, 종래 보급되어 있는 미디어)에는, 콘텐츠 ID를 저장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후술하지만, 콘텐츠 ID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리 방식이 채용된다.
또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가 기록 재생하는 미디어는 미니 디스크 이외에도,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카드나,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 또는 CD-R(CD Recordable), CD-RW(CD Rewritable), DVD-RAM, DVD-R, DVD-RW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서는 이들 미디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이면 된다.
퍼스널 컴퓨터(1)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 등의 전송 규격에 기초하는 접속이 행해진다. 물론 다른 전송 규격의 유선 전송로, 또는 무선 전송로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 등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3. SDMI 콘텐츠의 데이터 패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은 시스템을 상정한 경우의, SDMI에서 책정된 데이터 패스를 도 5에 도시한다.
또한, 이 데이터 패스는, 예를 들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5)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1)에서, 음악 콘텐츠의 축적 및 외부 기기(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로의 전송 처리에 대한 데이터 패스이며, 다시 말하면 퍼스널 컴퓨터(1)에서 음악 콘텐츠의 축적/전송 처리를 행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다.
도 5의 데이터 패스 상의 순서/처리는 부호 DP1∼DP9를 붙이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응 위치를 이 부호로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네트워크(110)를 통해 외부 콘텐츠 서버(91)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데이터(네트워크 콘텐츠)는, 우선 그것이 SDMI에 준거한 저작권이 보호되는 콘텐츠인지의 여부가 확인된다(DP1).
배신되는 네트워크 콘텐츠로서는, 서버측이 SDMI에 준거한 콘텐츠로서 송신해 오는 것(이하, SDMI 준거 콘텐츠)과, SDMI와는 무관한 콘텐츠(이하, 비(非)SDMI 콘텐츠)가 있다.
그리고, SDMI 준거 콘텐츠인 경우에는, 그 데이터는 예를 들면 DES 등의 키 암호에 의해,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되어 있다. 콘텐츠 데이터 자체는, 원래는ATRAC3 등의 압축 방식으로 인코드된 데이터(A3D)인 것으로 하면, SDMI 준거 콘텐츠는 E(CK, A3D)의 상태로 배신된다.
배신된 네트워크 콘텐츠가 SDMI 준거 콘텐츠인 경우에는, 1차 기록 매체인 HDD(5)에 SDMI 콘텐츠로서 축적된다(DP1→DP2).
이 경우, 콘텐츠 데이터는 배신된 E(CK, A3D)의 상태로 HDD(5)에 기입된다. 또는, 암호화가 일단 복호된 후, 다른 키 CK'로 암호화가 행해지고, 즉 키의 교환이 행해져, E(CK', A3D)의 상태로 HDD(5)에 기입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콘텐츠가 비SDMI 콘텐츠인 경우에는, 워터마크 체크, 즉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스크리닝 처리가 행해진다(DP1→DP3).
또한,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에 장착되어 있는 CD-ROM 드라이브 등의 내장 드라이브, 또는 퍼스널 컴퓨터(1)와 접속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재생되는 CD-DA,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디스크 콘텐츠)에 대해서는, 직접 워터마크 체크가 행해진다(DP3).
즉, SDMI에 준거하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워터마크 체크가 행해지게 된다.
만약, 워터마크 체크에 합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는 SDMI 데이터 패스 상에서 복사 불가로 취급된다(DP3→DP5). 구체적인 취급은 소프트웨어 설계에 의해 다양하게 고려되지만, 예를 들면 HDD(5)에는 저장하지만, 다른 미디어에의 복사/이동을 위한 전송이 불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로 취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SDMI 준거의 콘텐츠 처리상에 있어서 HDD(5)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워터마크 체크에 합격한 경우, 즉 전자 워터마크가 존재하고, 또한 복사 컨트롤 비트로서 복사 허가가 확인된 경우에는, 합법적으로 복사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로 판단되며, 계속해서 그 콘텐츠 데이터를 SDMI 취급으로 할지의 여부가 확인된다(DP4).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를 SDMI에 준거한 것으로서 취급할지의 여부는, 소프트웨어 설계나 사용자 설정 등에 따른 것으로 하면 된다.
SDMI 취급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SDMI 취급으로 하여 해당 SDMI에 준거한 콘텐츠 데이터 패스로부터 제외된다(DP6). 예를 들면 SDMI에 대응하지 않는 기록 장치로의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한편, SDMI 취급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SDMI 콘텐츠로서 HDD(5)에 축적된다(DP4→DP2). 예를 들면 E(CK, A3D)의 상태, 또는 E (CK', A3D)의 상태로 HDD(5)에 축적된다.
이상의 데이터 패스에 의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5)에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얻어진 SDMI 취급의 콘텐츠(SDMI 네트워크 콘텐츠)나, CD-DA 등의 디스크 또는 다른 미디어로부터 추출한 SDMI 취급의 콘텐츠(SDMI 디스크 콘텐츠)가 축적되게 된다.
또한, SDMI 콘텐츠에 대해서는, 콘텐츠별로 후술하는 Usage Rule의 관리 등을 위해, 콘텐츠마다 고유한 데이터로 되는 콘텐츠 ID가 생성되어 HDD(5)에 기억된다.
HDD(5)에 저장된 SDMI 콘텐츠(SDMI 네트워크 콘텐츠 또는 SDMI 디스크 콘텐츠)는, 소정의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로 전송하고,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는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 이외에, 기록 재생 장치(20A)에도 소정의 조건 하에서 전송 가능하게 된다.
우선, HDD(5)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1)에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된다.
SDMI 디스크 콘텐츠인 경우에는, SDMI 디스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송 취급 룰(Usage Rule)이 정해져 있으며, 그 취급 룰에 기초하여,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대하여 복사를 위한 전송이 인정된다(DP8).
또, 이 데이터 패스에서, 1차 기록 매체(HDD(5))로부터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또는 20A)에 의해 기록 재생되는 2차 기록 매체(메모리 카드 등)에 대한 복사 전송이 「체크아웃」이고, 반대로 2차 기록 매체로부터의 1차 기록 매체로의 이동 전송이 「체크인」이다.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의 이동인 경우에는, 2차 기록 매체 상에서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는 소거된 상태로 된다.
SDMI 디스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송의 취급 룰로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예를 들면 3회까지의 체크아웃이 허용되는 등, 소정의 체크아웃 상한 횟수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SDMI 대응의 3개의 2차 기록 매체까지는 복사(체크아웃)가 허가된다. 또한 체크인이 행해진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체크아웃 횟수가 감산되게 된다. 따라서, 만약 3개의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복사한 후라도, 그 중 하나의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체크인이 있으면, 그 콘텐츠는 다시 한번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가능하게 된다. 즉, 항상 최대 3개의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콘텐츠 데이터가 병존하는 것이 허용되게 된다.
SDMI 네트워크 콘텐츠인 경우에도, SDMI 네트워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송 취급 룰(Usage Rule)이 정해져 있고, 그 취급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대하여 복사을 위한 전송이 인정된다(DP7).
이 취급 룰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체크아웃 횟수의 상한 등이 정해지지만, 그 상한 횟수 등은, SDMI 디스크 콘텐츠의 경우의 취급 룰과 마찬가지로 해도 되고, 다른 횟수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체크아웃 상한을 1회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다른 하나의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만 복사할 수 있지만, 그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체크인하면, 재차 복사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 취급 룰에 따라,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복사하기 위해 SDMI 콘텐츠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그 전송 선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 그대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즉, 예를 들면 상기한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로 전송된다.
또한, 암호화되어 전송되어 온 SDMI 콘텐츠를 수신한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는, 그 SDMI 콘텐츠를 암호화 상태 그대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한다.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는,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된 SDMI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2차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화를복호하여 재생한다. 즉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키 CK, 또는 키 CK'에 의한 복호 처리를 행한다.
즉, D{CK, E(CK, A3D)}=A3D, 또는 D{CK', E(CK', A3D)}=A3D로서 암호 해독된 ATRAC3 데이터(A3D)로서 원래의 콘텐츠 데이터를 얻는다. 이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ATRAC3 압축에 대한 신장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로서 복조하여, 음악 등의 재생 출력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SDMI 준거의 콘텐츠 데이터는,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체크아웃되기까지의 데이터 패스, 또는 2차 기록 매체 상에 도달할 때까지, 암호화가 실시된 데이터로 되어 있거나, 상기 전송의 취급 룰 체크에 의한 복사 관리가 행해짐으로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저작권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1)에 기록 재생 장치(20A)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채용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20A)는,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와는 달리, 2차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등에 암호화를 푼 상태로 기록하는 것이다. 암호화를 푼 상태로 기록함으로써, 그 미니 디스크에 복사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해서도 재생 가능하게 되어, 이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암호화를 푼 상태로 기록하는 것은, 저작권 보호의 관점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20A)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전송하여 암호화를 푼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하는 것을 허가하는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① 기록 재생 장치(20A)가 인증 OK로 될 것, ②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복사 기록을 저작권자측이 인정할 것, ③ 체크아웃/체크인으로서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을 만족시킬 것의 3개로 된다.
이 ①②③의 전송 조건이 만족됨으로써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 이외의 기기에 대해서도, 무제한의 복사 전송은 할 수 없어, 저작권 보호 기능도 확보된다. 또한, 전송을 행하는 전송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로 되어도(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암호 해독을 행하는) 저작권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①②③의 전송 조건이 체크된다(DP9).
즉,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소정의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플래그 정보 등으로부터, 저작권자측의 복사 허가의 의지가 확인된다. 또한, 체크인/체크아웃의 취급 룰이 부과된다.
이들 조건에 따라,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전송 선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 그대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즉 예를 들면 상기한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로 전송된다.
그리고, 이 암호화된 SDMI 네트워크 콘텐츠는, 후술하는 도 7의 구성의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수신 처리된 후, 복호 처리부(28)에서 암호화가 복호되어, 예를 들면 원래의 ATRAC3 압축 데이터(A3D)로 된다. 그리고 그 암호화가 풀린 콘텐츠 데이터는, 도 7의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한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 공급되어,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20A)가,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 기록한 SDMI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대하여 통상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디코드 처리, 즉 EFM 복조, ACIRC 에러 정정, ATRAC 압축 방식에 대한 신장 처리 등을 행하면 된다.
이것은, 해당 복사 기록된 미니 디스크(100)가,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내장된 경우에도, 콘텐츠 데이터를 통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 기록한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SDMI 비대응의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로 재생시켜, 음악 등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도 5의 데이터 패스에서, DP7, DP8, DP9의 취급 룰 체크 등에 의해 전송 허가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 재생 장치(20A, 20B)에 대한 전송이 행해지지 않는 물론이다.
4.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예(1차 기록 매체측 기기/PC)
도 6에, 데이터 전송 장치가 되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예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를 형성하는 경우이지만,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구축되는 것 등에 의해, 데이터 전송 전용의 기기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예의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1)에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인스톨됨으로써 데이터 전송 장치가 되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가 실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퍼스널 컴퓨터」 또는 「컴퓨터」라고 하는 것은, 소위 범용 컴퓨터로서의 광의의 의미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디스크(HDD)(5)나 ROM(3)에 사전에 기록해 둘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0)에,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해 둘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는, 소위 패키지 소트프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디지털 위성 방송용의 인공 위성을 통해, 컴퓨터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하고, 컴퓨터에서는 그와 같이 하여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을 통신부(8)에서 수신하여, 내장 HDD(5)에 인스톨할 수 있다.
도 6의 컴퓨터(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를 내장하고 있다. CPU(2)에는, 버스(12)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10)가 접속되어 있다. CPU(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7)가 조작됨으로써 명령이 입력되면, 그에 따라, ROM(Read OnlyMemory)(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는, CPU(2)는 HDD(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위성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며, 통신부(8)에서 수신되어 HDD(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브(9)에 장착된 광 디스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로부터 판독되어 HDD(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4)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CPU(2)는 후술하는 SDMI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2)는 그 처리 결과를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0)를 통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6)로부터 출력, 또는 통신부(8)로부터 송신, 또는 HDD(5)에 기록시킨다.
본 예의 경우, 통신부(8)는 도 4의 네트워크(110)를 통한 각종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컴퓨터(1)는 외부의 콘텐츠 서버(91)로부터 음악 콘텐츠 등의 네트워크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된다. 다운로드되는 네트워크 콘텐츠는, 상술한 데이터 패스에 따라, SDMI 대응의 콘텐츠로서의 처리, 또는 SDMI 비대응의 콘텐츠로서의 처리가 행해져, 예를 들면 적어도 SDMI 대응의 처리에서는 SDMI 콘텐츠로서 HDD(5)에 축적된다. HDD(5)에 축적된 SDMI 콘텐츠는,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 또는 인증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한 전송 대상의 콘텐츠가 된다.
접속부(11)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용도이다.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 IEEE1394 인터페이스 등의 예를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다른 규격의 유선 인터페이스나, 적외선이나 전파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또한, 도 5에서 설명한 데이터 패스를 실현하기 위한 각종 처리는, 각각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으며, 병렬 또는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 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먼 곳에 있는 컴퓨터로 전송되어 실행되는 것이어도 된다.
5.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예(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의 구성예를 도 7에 도시한다. 이 예는, 기록 재생 장치(20A)를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레코더로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100)는 미니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의 예가 된다. 이하, 「미니 디스크(100)」로도 표기한다.
또한, 도 7에서는, 2차 기록 매체(100)로서의 미니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 데이터의 처리계, 및 상기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처리계만을 도시하고,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구동계, 서보계, 재생 출력계 등은 통상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와 마찬가지이므로, 자세한 도시를 생략한다.
MD 제어부(CPU)(21)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재생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재생을 위해, 회전 구동, 스핀들 서보, 포커스 서보, 트랙킹 서보, 쓰레드 서보 등의 제어, 광학 헤드/자기 헤드의 레이저광이나 자계 인가 동작의 제어, 기록 재생 데이터의 인코드/디코드 처리의 제어 등을 행한다.
기록/재생부(25)는, 광학 헤드, 자기 헤드, 디스크 회전 구동계, 서보계 등이 구비되며, 실제로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용도이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데이터의 인코드, 및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재생된 재생 데이터의 디코드를 행한다. 공지와 같이 미니 디스크 시스템인 경우에는, 기록 데이터는 ACIRC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드 처리나 EFM 변조 처리가 실시된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는, 기록 데이터에 대하여 ACIRC 인코드 및 EFM 인코드를 행하여 기록/재생부(25)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재생 시에는, 기록/재생부(25)로부터 판독되어 공급되어 온 데이터(RF 신호)에 대하여 2진화 처리, EFM 복조, ACIRC 방식의 에러 정정 처리 등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버퍼 메모리(30)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데이터, 재생 데이터의 버퍼링을 행한다. 특히, 쇼크 프루프 기능으로서 알려져 있는 버퍼링 기능도 행한다.
데이터 기록 시에는, 버퍼 메모리(30)에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된 기록 데이터가 일단 축적된다. 그리고 소정 데이터량별로 간헐적으로 판독되어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공급되어, 기록 처리에 제공된다.
또한, 데이터 재생 시에는,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되어,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 디코드된 데이터가 일단 축적된다. 그리고, 축적된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코덱(23)에서의 압축 디코드 처리에 제공된다.
코덱(23)은,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에 의한 압축 처리 및 신장 처리를 행하는 용도이다.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진 후, 상기 인코드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록 재생 장치(20A)에, 압축 부호화가 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 예를 들면 PCM 오디오 데이터 등이 기록 데이터로서 입력된 경우에는, 코덱(23)에서 ATRAC 방식 또는 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져, 그 압축 데이터가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재생 시에는, 기록/재생부(25)에서 판독되고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 디코드된 데이터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 상태의 데이터이다. 이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30)를 통해 코덱(23)에 공급되고, 코덱(23)에서 ATRAC/ATRAC3 방식의 압축에 대한 신장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예를 들면 44.1㎑, 16비트 양자화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복조된다. 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출력계의 회로에서, 예를 들면 D/A 변환, 아날로그 신호 처리, 증폭 처리 등이 행해져, 스피커 출력 신호로 되어, 음악 등으로서 재생된다.
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상태로 다른 기기에 대하여 출력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은, 통상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기록 재생 장치에도 구비되는 구성 요소이지만, 본 예의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에 대응하는 용도가 더 설치된다. 즉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수신·복호 등의 처리를 행하는 용도로서, 통신부(26), DMA(27), 복호 처리부(28), 캐쉬 메모리(29), 플로우 제어부(31), 시스템 제어부(32)가 포함된다.
시스템 제어부(32)(CPU)는, 해당 기록 재생 장치(20A)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용도이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의 인증을 위한 통신이나 데이터 생성의 지시나,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각종 커맨드의 교환,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처리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들 제어에 따라 MD 제어부(21)에 지시를 내려,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재생, 관리 정보의 판독이나 갱신 등의 제어도 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조작부나 표시부가 설치되지만, 조작부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의 감시 및 조작에 따른 처리나, 표시부의 표시 제어 등도 행한다.
통신부(26)는, 도 6의 퍼스널 컴퓨터(1)의 접속부(11)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용도이다. 예를 들면, USB 또는 IEEE1394 등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를 행한다.
통신부(26)에 의해 수신되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통신으로서는, 각종 커맨드 및 SDMI 콘텐츠 등이 있다.
통신부(26)에서 수신된 SDMI 콘텐츠로서의 데이터는, DMA(Direct Memory Access)(27)의 제어에 의해, 캐쉬 메모리(29)에 저장된다. 또한 물론, DMA(27)가 아니라 CPU 제어에 의해, 캐쉬 메모리(29)로의 데이터 이동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복호 처리부(28)는, SDMI 콘텐츠의 암호화 처리에 대응하기 위한 용도이다. 즉 캐쉬 메모리(29)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암호 해독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비암호화 상태로 해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캐쉬 메모리(29)의 다른 영역에 기억한다.
SDMI 콘텐츠는 콘텐츠 키 CK 또는 CK'로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콘텐츠 키 CK, CK'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가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지만, 상기 도 1의 설명에서 언급한 DNK(Device Node Key)가 기억되게 된다. 이 기록/재생부(25)는, 도 1에서의 하나의 디바이스(DVx)에 상당하게 되며, 그 때문에, DNK에서 리프 키나, 리프 키에 의해 암호화된 노드 키, 루트 키가 기억되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DNK를 이용하여,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송신되어 오는 상술한 EKB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 CK를 인식할 수 있다.
SDMI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키 CK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인 DNK가 기억되어 있음으로써, 복호 처리부(28)는,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상태로 송신되는 SDMI 콘텐츠, 즉 예를 들면 E(CK, A3D)의 상태의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다. 즉 D{CK, E(CK, A3D)}=A3D로 하면, 복호된 ATRAC3 압축 상태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호된 ATRAC3 압축 데이터는,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SDMI 콘텐츠는, 반드시 ATRAC3 압축 데이터가 암호화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선형 PCM 데이터가 키 CK로 암호화된 것 등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E(CK, PCM)의 상태의 콘텐츠가 전송 입력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는, 당연히 복호 처리부에서 D{CK, E(CK, PCM)}=PCM으로 하여 복호된 선형 PCM 데이터가 얻어진다. 그 경우에는, 해당 PCM 데이터는, 코덱(23)에서 ATRAC3 압축 처리가 행해진 후,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 있다.
복호 처리부(28)는, 또한 인증 처리를 위한 키를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후술하는 인증 처리예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20A)가 기억하고 있는 공개 키 P, 비밀 키 S를 사용한다. 그 경우는 공개 키 P, 비밀 키 S도, 복호 처리부(28)에 기억되게 된다. 또한, 비밀 키 S를 이용한 암호화 처리도 행한다.
또한, 복호 처리부(28)는 해시 엔진도 탑재하고 있어, 소위 해시(HASH) 함수 연산에 의해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처리도 행한다.
이 콘텐츠 ID의 생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암호화가 해제된 SDMI 콘텐츠 데이터, 예를 들면 ATRAC3 방식의 압축 데이터나, PCM 데이터 상태의 콘텐츠 데이터는, 캐쉬 메모리(29)로부터 플로우 제어부(31)로 전송되게 된다.
플로우 제어부(31)는, 암호화 해제된 SDMI 콘텐츠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하기 위해, 기록 처리계인 MD 제어부(21)측(코덱(23),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 기록/재생부(25), 버퍼 메모리(30)측)으로 전송하는용도이다.
그리고, MD 제어부(21)로부터의 요청(XARQ)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해 간다. 이 플로우 제어부(31)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 암호 해독 처리, 및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처리 동안의 타이밍적인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버스 라인(22)은 상기 MD 제어부(CPU)(21), 코덱(23), 버퍼 메모리(30),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 플로우 제어부(31), DMA(27), 캐쉬 메모리(29), 통신부(26), 복호 처리부(28), 시스템 제어부(32)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하기 위한 통신선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SDMI 콘텐츠 데이터로서 E(CK, A3D)의 상태의 데이터, 또는 E(CK, PCM)의 상태의 데이터는, 비암호화 상태로 되며, ATRAC3 압축 데이터의 상태로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게 된다.
그런데,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해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 그 밖의 통신 세션 시에는 각종 커맨드도 송신되어 온다.
이들 커맨드는 통신부(26)에 의해 수신되면, 시스템 제어부(32)에 전달되고, 시스템 제어부(32)는, 이들 커맨드에 따라 각종 처리를 행함과 함께,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통신부(26)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6. 미니 디스크의 관리 방식
여기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는 데이터 및 관리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과 같은 디지털 기록/재생 시스템에서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동작이나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 정보로서 TOC(Table Of Contents)가 기록되어 있으며, 기록 재생 장치측에서는 사전에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이 TOC 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에 보존해 두고, 기록 재생 동작 시에, 이 TOC 정보를 참조하여 기록 위치나 판독 위치를 파악하여 기록 재생을 위한 액세스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미니 디스크의 경우, TOC 정보로서는 재기입 불능인 정보로서 피트에 따라 기록되는 P-TOC(프리마스터드 TOC)와, 악곡 등의 기록, 소거 등에 따라 재기입되도록 광 자기 기록되어 있는 U-TOC(사용자 TOC)가 존재하며, U-TOC에 대해서는, 기록/소거에 따라 우선 메모리 내에서 데이터를 갱신하고, 이 갱신 데이터로 소정 타이밍에서 디스크 상의 U-TOC 영역을 재기입해 간다.
또한, U-TOC에는,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콘텐츠 데이터가 트랙으로 불리는 단위로 관리된다. 즉, 하나의 트랙은, 예를 들면 하나의 악곡에 상당하게 된다.
우선,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는 데이터로서, 클러스터라는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는 기록 데이터로서 1클러스터라는 단위별로 데이터 스트림이 형성되며, 이 기록 동작의 단위가 되는 클러스터의 포맷은 도 8에 도시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기록 트랙으로서는 도 8과 같이 클러스터 CL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1클러스터가 기록 시의 최소 단위로 된다.
그리고, 1클러스터 CL은, 섹터 SCFC∼SCFE로서 나타내는 3섹터의 링킹 섹터와, 섹터 SCFF로서 나타내는 1섹터의 서브 데이터 섹터와, 섹터 SC00∼SC1F로서 나타내는 32섹터의 메인 섹터로 형성되어 있다. 즉, 1클러스터는 36섹터로 구성된다.
1섹터는 2352바이트로 형성되는 데이터 단위이다.
링킹 섹터 SCFC∼SCFE는, 기록 동작의 단점 부분으로서의 완충 영역이나 각종 동작 조정, 그 외에 이용되며, 또한 서브 데이터 섹터 SCFF는 서브 데이터로서 설정된 정보의 기록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TOC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기록은 32섹터의 메인 섹터 SC00∼SC1F에 행해진다.
또한, 섹터는 사운드 그룹 단위로 더 세분화되어, 2섹터가 11사운드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SC00 등의 짝수 섹터와 섹터 SC01 등의 홀수 섹터의 연속하는 2개의 섹터에, 사운드 그룹 SG00∼SG0A가 포함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하나의 사운드 그룹은 424바이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11.61msec 시간에 상당하는 음성 데이터량으로 된다.
하나의 사운드 그룹 SG 내에는 데이터가 L 채널과 R 채널로 나누어져 기록된다. 예를 들면, 사운드 그룹 SG00은 L 채널 데이터 L0과 R 채널 데이터 R0으로 구성되며, 또한 사운드 그룹 SG01은 L 채널 데이터 L1과 R 채널 데이터 R1로 구성된다.
또한, L 채널 또는 R 채널의 데이터 영역이 되는 212바이트를 사운드 프레임이라고 한다.
도 9는 미니 디스크(100)의 에리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a)는 디스크 최내주측으로부터 최외주측까지의 에리어를 도시하고 있으며,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100)는, 최내주측은 엠보스 피트에 의해 재생 전용의 데이터가 형성되는 피트 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P-TOC가 기록되어 있다.
피트 영역보다 외주는 광 자기 영역으로 되며, 기록 트랙의 안내 홈으로서의 그루브가 형성된 기록 재생 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광 자기 영역의 최내주측의 클러스터0∼클러스터49까지의 구간이 관리 에리어으로 되며, 실제의 악곡 등이 각각 하나의 트랙으로서 기록되는 것은, 클러스터50∼클러스터2251까지의 프로그램 에리어로 된다. 프로그램 에리어보다 외주는 리드아웃 에리어로 되어 있다.
관리 에리어 내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 도 9의 (b)이다. 도 9의 (b)는 가로 방향에 섹터를 도시하고, 세로 방향에 클러스터를 도시하고 있다.
관리 에리어에서 클러스터 0, 1은 피트 영역과의 완충 에리어로 되어 있다. 클러스터 2는 파워 캘리브레이션 에리어 PCA로 되어, 레이저광의 출력 파워 조정 등을 위해 이용된다.
클러스터 3, 4, 5는 U-TOC가 기록된다. U-TOC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것은 후술하겠지만,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32개의 각 메인 섹터(SC00∼SC1F)에서 데이터 포맷이 규정되어, 각각 소정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즉, 프로그램 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각 트랙의 어드레스, 프리 에리어의 어드레스 등이 기록되며, 또한 각 트랙에 부수하는 트랙 네임, 기록 일시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U-TOC 섹터가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U-TOC 데이터가 되는 섹터를 갖는 클러스터가, 클러스터 3, 4, 5에 3회 반복하여 기록된다.
클러스터 47, 48, 49는 프로그램 에리어와의 완충 에리어가 된다.
또한 사선 부분 PD는, 후술하는 선불 정보의 기록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클러스터 50(=16진 표기로 32h) 이후의 프로그램 에리어에는,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32개의 각 메인 섹터(SC00∼SC1F)에서, 악곡 등의 음성 데이터가 ATRAC로 불리는 압축 형식으로 기록된다. 기록되는 각 트랙(콘텐츠 데이터)이나 기록 가능한 영역은 U-TOC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에서의 각 클러스터에서, 섹터 SCFF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데이터로서의 정보의 기록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0에 의해 U-TOC 섹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P-TOC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90)의 최내주측의 피트 에리어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독 전용의 정보이다. 그리고, P-TOC에 의해 디스크의 기록 가능 에리어(기록 가능 사용자 에리어)나, 리드아웃 에리어, U-TOC 에리어 등의 위치의 관리 등이 행해진다. 또한, 모든 데이터가 피트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에서는, P-TOC에 의해 ROM화되어 기록되어 있는 악곡의 관리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U-TOC는 형성되지 않는다. P-TOC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U-TOC 섹터 0의 포맷을 도시한다. U-TOC 섹터로서는 섹터 0∼섹터 32까지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한 1클러스터 내의 메인 섹터 SC00∼SC1F에 상당하여 기록되는 섹터로 된다.
U-TOC 섹터 0은, 기록된 악곡 등의 콘텐츠 데이터(트랙)나 새롭게 콘텐츠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는 프리 에리어에 대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이 된다.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100)에 임의의 악곡의 녹음을 행하고자 할 때는, MD 제어부(21)는, U-TOC 섹터 0으로부터 디스크 상의 프리 에리어를 찾아 내어, 거기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또한, 재생 시에는 재생해야 할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 에리어를 U-TOC 섹터 0으로부터 판별하고, 그 에리어에 액세스하여 재생 동작을 행한다.
도 10의 U-TOC 섹터 0의 데이터 영역(4바이트×588의 2352바이트)은, 선두 위치에 모두 0 또는 모두 1인 1바이트 데이터가 배열되어 형성되는 동기 패턴이 기록된다.
계속해서 클러스터 어드레스(Cluster H)(Cluster L) 및 섹터 어드레스(Sector)가 되는 어드레스가 3바이트에 걸쳐 기록되며, 또한 모드 정보(MODE)가 1바이트 부가되어, 이것으로 헤더가 된다. 여기서의 3바이트의 어드레스는 그 섹터 자체의 어드레스이다.
또한, 동기 패턴이나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헤더 부분에 대해서는, 이 U-TOC 섹터 0에 한정되지 않고, P-TOC 섹터, 프로그램 에리어에서의 섹터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섹터 단위로 그 섹터 자체의 어드레스 및 동기 패턴이 기록되어 있다.
계속해서, 소정 바이트 위치에, 메이커 코드, 모델 코드, 최초 트랙의 트랙 번호(First TNO), 최후 트랙의 트랙 번호(Last TNO), 섹터 사용 상황(Used sectors), 디스크 일련 번호, 디스크 ID 등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사용자가 녹음을 행하여 기록되어 있는 트랙(악곡 등)의 영역이나 프리 에리어 등을 후술하는 테이블부에 대응시켜 식별하기 때문에, 포인터부로서 각종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01∼P-TN0255)가 기록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포인터(P-DFA∼P-TN0255)에 대응되도록 테이블부로서 (01h)∼(FFh)까지의 255개의 파트 테이블이 설치되고, 각각의 파트 테이블에는, 임의의 파트에 대하여 기점이 되는 스타트 어드레스, 종단이 되는 엔드 어드레스, 그 파트의 모드 정보(트랙 모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각 파트 테이블로 나타내는 파트가 다른 파트에 계속해서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연결되는 파트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파트 테이블을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파트는 하나의 트랙 내에서 시간적으로 연속한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연속하여 기록되어 있는 트랙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로서 나타나는 어드레스는, 하나의악곡(트랙)을 구성하는 1 또는 복수의 각 파트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된다.
이들 어드레스는 단축형으로 기록되며, 클러스터, 섹터, 사운드 그룹을 지정한다.
이러한 종류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하나의 악곡(트랙)의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불연속적으로, 즉 복수의 파트에 걸쳐 기록되어 있어도 파트간에서 액세스하면서 재생해 감으로써 재생 동작에 지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녹음하는 악곡 등에 대해서는, 녹음 가능 에리어의 효율적인 사용 등의 목적으로, 복수 파트로 나누어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링크 정보가 설정되고, 예를 들면 각 파트 테이블에 주어진 번호 (01h)∼(FFh)에 의해, 연결해야 할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파트 테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U-TOC 섹터 0에서의 테이블부에서는, 하나의 파트 테이블은 하나의 파트를 표현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3개의 파트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악곡에 대해서는 링크 정보에 의해 연결되는 3개의 파트 테이블에 의해, 그 파트 위치의 관리가 행해진다.
또한, 실제로는 링크 정보는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U-TOC 섹터 0 내의 바이트 포지션으로 되는 수치로 나타낸다. 즉, 304+(링크 정보)×8(바이트째)로서 파트 테이블을 지정한다.
U-TOC 섹터 0의 테이블부에서의 (01h)∼(FFh)까지의 각 파트 테이블은, 포인터부에서의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01∼P-TN0255)에 의해, 이하와 같이 그 파트의 내용이 표시된다.
포인터 P-DFA는 광 자기 디스크(90) 상의 결함 영역을 나타내고 있으며, 흠 등에 의한 결함 영역이 되는 트랙 부분(=파트)이 도시된 하나의 파트 테이블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내의 선두의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결함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DFA에서 (01h)∼(FFh) 중 어느 하나가 기록되어 있으며, 그것에 상당하는 파트 테이블에는, 결함 파트가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외에도 결함 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파트 테이블에서의 링크 정보로서 다른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며, 그 파트 테이블에도 결함 파트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결함 파트가 없는 경우에는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 『00h』로 되어, 이후 링크 없음으로 된다.
포인터 P-EMPTY는 테이블부에서의 1 또는 복수의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의 선두의 파트 테이블을 나타내는 것으로,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EMPTY로서, (01h)∼(FFh) 중 어느 하나가 기록된다.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EMPTY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로부터 링크 정보에 의해 순차적으로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어, 모든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테이블부 상에서 연결된다.
포인터 P-FRA는 광 자기 디스크(90) 상의 데이터가 기입 가능한 프리 에리어(소거 영역을 포함함)를 나타내고 있으며, 프리 에리어가 되는 트랙 부분(=파트)이 나타내는 1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내의 선두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프리 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FRA에서 (01h)∼(FFh) 중어느 하나가 기록되어 있으며, 그에 상당하는 파트 테이블에는, 프리 에리어인 파트가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파트가 복수개 있어, 즉 파트 테이블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 정보가 『00h』로 되는 파트 테이블까지 순차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도 11에 파트 테이블에 의해 프리 에리어로 되는 파트의 관리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것은 파트 (03h) (18h) (1Fh) (2Bh) (E3h)가 프리 에리어로 되어 있을 때에, 이 상태가 포인터 P-FRA에 이어 파트 테이블 (03h) (18h) (1Fh) (2Bh) (E3h)의 링크에 의해 표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한 결함 영역이나 미사용 파트 테이블의 관리 형태도 이와 마찬가지로 된다.
포인터 P-TN01∼P-TN0255는 디스크(90)에 사용자가 기록을 행한 악곡 등의 트랙을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면 포인터 P-TN01에서는 제1 트랙의 데이터가 기록된 1 또는 복수의 파트 중 시간적으로 선두가 되는 파트가 나타내는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 트랙으로 된 악곡이 디스크 상에서 트랙이 분단되지 않고, 즉 하나의 파트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제1 트랙의 기록 영역은 포인터 P-TN01로 나타내는 파트 테이블에서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2 트랙으로 된 악곡이 디스크 상에서 복수의 파트에 이산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제2 트랙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각 파트가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지정된다. 즉, 포인터 P-TN02로 지정된 파트 테이블로부터, 또한 링크 정보에 의해 다른 파트 테이블이 순차적으로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지정되어, 링크 정보가 『00h』로 되는 파트 테이블까지 연결된다(상기 도 11과 마찬가지의 형태).
이와 같이, 예를 들면 2곡째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기록된 모든 파트가 순차적으로 지정되어 기록되어 있음으로써, 이 U-TOC 섹터 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2곡째의 재생 시나, 그 2곡째의 영역에의 덧씌우기 기록을 행할 때에, 기록 재생 헤드를 액세스시켜 이산적인 파트로부터 연속적인 음악 정보를 추출하거나, 기록 에리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각 파트 테이블에는 1바이트의 트랙 모드가 기록되지만, 이것은 트랙의 속성 정보가 된다.
1바이트를 구성하는 8비트를 d1(MSB)∼d8(LSB)로 하면, 이 트랙 모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1 … 0 : 라이트 퍼미티드, 1 : 라이트 프로텍트(덧씌우기 소거, 편집 금지)
d2 … 0 : 저작권 있음, 1 : 저작권 없음
d3 … 0 : 오리지널, 1 : 제1 세대 이상
d4 … 0 : 오디오 데이터, 1 : 미정의
d5, d6 … 01 : 노멀 오디오, 기타 : 미정의
d7 … 0 : 모노, 1 : 스테레오
d8 … 0 : 엠퍼시스 오프, 1 : 엠퍼시스 온
다음으로, 도 12에 U-TOC 섹터 1의 포맷을 도시한다. 이 섹터 1은 녹음된각 트랙에 트랙 네임을 붙이고, 디스크 자체의 명칭 등의 정보가 되는 디스크 네임을 붙이는 경우에, 입력된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으로 된다.
이 U-TOC 섹터 1에는, 기록된 각 트랙에 상당하는 포인터부로서 포인터 P-TNA1∼P-TNA255가 준비되고, 또한 이 포인터 P-TNA1∼P-TNA255에 의해 지정되는 슬롯부가 1단위 8바이트로 255단위의 슬롯(01h)∼(FFh) 및 동일하게 8바이트의 1개의 슬롯(00h)이 준비되어 있으며, 상술한 U-TOC 섹터 0과 거의 마찬가지의 형태로 문자 데이터를 관리한다.
슬롯(01h)∼(FFh)에는 디스크 타이틀이나 트랙 네임으로서의 문자 정보가 아스키 코드로 기록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포인터 P-TNA1에 의해 지정되는 슬롯에는 제1 트랙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기록되게 된다. 또한, 슬롯이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됨으로써, 1개의 트랙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은 7바이트(7문자)보다 크더라도 대응할 수 있다.
또, 슬롯(00h)으로서의 8바이트는 디스크 네임의 기록을 위한 전용 에리어로 되어 있으며, 포인터 P-TNA(x)에 의해서는 지정되지 않는 슬롯으로 되어 있다.
이 U-TOC 섹터 1이라도 포인터 P-EMPTY는 사용하지 않는 슬롯을 관리한다.
또, 포맷은 도 12의 U-TOC 섹터 1과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도시는 하지 않지만, U-TOC 섹터 4도, 섹터 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녹음을 행한 악곡에 곡명을 붙이고, 디스크 타이틀을 붙이는 경우에, 입력된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으로 된다.
단, 섹터 4는 한자나 유럽 문자에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으로, 도 12의 섹터 1의 데이터 외에, 소정 바이트 위치에 캐릭터 코드로서 사용하는 문자 코드의 속성이 기록된다.
그리고, U-TOC 섹터 4의 문자 정보의 관리도, 섹터 1과 마찬가지로 문자 슬롯 지시 데이터부로서 슬롯 포인터 P-TNA1∼P-TNA255 및 슬롯 포인터 P-TNA1∼P-TNA255에 의해 지정되는 255 단위의 슬롯(01h)∼(FFh)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지만, U-TOC 섹터 2는, 주로 사용자가 녹음을 행한 악곡의 녹음 일시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재기입 가능한 광 자기 디스크(90)에 대해서는, 디스크 상의 에리어 관리는 P-TOC에 의해 이루어지고, 또한 기록 가능 사용자 에리어에 기록된 악곡이나 프리 에리어 등은 U-TOC 섹터 0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U-TOC 섹터 0구조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된 트랙에 대해서는, 트랙의 분할, 복수 트랙의 1트랙에의 연결, 소거 등의 편집이 U-TOC를 재기입하는 것만으로 가능한 것이 이해된다.
또한, U-TOC 섹터 1, 또는 섹터 4가 형성됨으로써, 디스크 타이틀로서의 문자 정보나, 각 트랙에 대응한 곡명 등의 문자 정보를 등록하는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MD 제어부(21)는, 기록/재생부(25)에 미니 디스크(100)가 장착되었을 때는, 우선 이 TOC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U-TOC 정보를 버퍼 메모리(30)의 특정한 에리어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이후 그 미니디스크(100)에 대한 기록/재생/편집 동작 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콘텐츠 데이터(트랙)의 기록이나, 기록되어 있는 트랙의 편집 등이 행해지는 경우, U-TOC 섹터의 갱신 처리는, 일단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된 U-TOC 데이터에 대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소정 시점에서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되어 있는(갱신된) TOC 정보가 미니 디스크(100)에 기입됨으로써, 디스크 상에서의 U-TOC 갱신이 행해진다.
7. 인증 처리
SDMI 데이터 패스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암호화를 푼 상태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해서는, 그 전송/기록(체크아웃)의 조건의 하나로서,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인증이 OK로 되어야만 한다. 인증이란, 비암호화 상태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 동작이 허가된 기기로서 정당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처리로 된다.
이 인증 처리는, 퍼스널 컴퓨터(1)의 접속부(11)에,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 이외의 기록 재생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행해진다. 또한,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가 접속된 경우에는, 그 기기가 본 예에서 말하는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인 것을 확인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즉, 접속 기기가,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라고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이하 설명하는 인증 처리가 행해져, 기록 재생 장치(20A)인지의 여부가 확인되게 된다.
본 예에서의 인증 처리는, 비대칭 암호(공개 키 암호)를 이용한 인증 방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비대칭 암호에서는, 암호화의 키와 복호화의 키가 다르다. 현재, 암호 전의 데이터를 Db, 암호 키를 Ke, 복호 키를 Kd로 하면, 암호화 데이터 C는 C=E(Ke, Db)로 암호화가 행해지고, 또한 D(Kd, C)=Db로 데이터 Db가 복호된다.
여기서 암호 키 Ke, 복호 키 Kd는 키의 쌍으로 불리며, 한쪽은 공개 키로서 공개되며, 다른쪽은 비밀 키로서 소정 용도에 저장된다.
이하 설명하는 인증 처리에서는, 키의 쌍 Ke, Kd 중에서 공개 키를 P, 비밀 키를 S로서 나타내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기록 재생 장치(20A)는, 복호 처리부(28)(또는 시스템 제어부(32))에 암호 키 Ke, 복호 키 Kd로 되는, 공개 키 P, 비밀 키 S를 기억하게 된다.
인증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퍼스널 컴퓨터)(1)의 CPU(2)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에 대하여 인증 요구의 커맨드를 송신한 후, CPU(2)(1차 기록 매체측 기기(퍼스널 컴퓨터)(1))와 시스템 제어부(32)(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 사이에서 도 13과 같은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인증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처리 S1로서, 복호 처리부(28)에 기억되어 있는 공개 키 P를 통신부(26)로부터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 송신시킨다. 또한, 공개 키 P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측도 알고 있는 키이다. 따라서, 공개 키 P에 대하여 양자가 일치한 인식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처리 S1은 반드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CPU(2)는, 공개 키 P를 수신하면, 계속해서 처리S2로서, 난수 r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처리 S3으로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 난수 r을 송신한다.
다음으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처리 S4로서 수신된 난수 r을, 복호 처리부(28)에 기억된 비밀 키 S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그리고 처리 S5로서, 암호화 데이터 E(S, r)를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 송신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CPU(2)는, 암호화 데이터 E(S, r)를 수신하면, 처리 S6으로서, 암호화 데이터 E(S, r)를 공개 키 P에 의해 복호한다. 즉, D{P, E(S, r)}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처리 S7로서, 상기 처리 S2에서 발생시킨 난수 r과, 상기 처리 S6에서의 복호 결과 D{P, E(S, r)}를 비교한다.
여기서, 공개 키 P와 비밀 키 S가 적정한 키의 쌍이라고 하면, r=D{P, E(S, r)}의 결과가 얻어질 것이다.
따라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가, 공개 키 P에 대한 비밀 키 S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기 때문에, 처리 S8로부터 처리 S9로 진행하여, 해당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를 정당한 접속 상대로서 인증한다.
한편,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처리 S8로부터 처리 S10으로 진행하여, 접속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는, 정당한 접속 상대(즉 SDMI 콘텐츠를 전송해도 되는 기기)가 아닌 것으로 하여 인증 NG로 한다.
예를 들면 이상과 같은 인증 처리에 의해, 접속된 기기가 적정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서 인증되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그 접속된 기기에 대하여 SDMI 콘텐츠의 전송을 허가하는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8. 콘텐츠 암호화 방식
본 예의 시스템에서, 도 1에 도시한 구조의 최하단의 디바이스에 상당하는 것은 기록 재생 장치(20A, 20B)가 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암호화 구조를 해당 시스템에서 실현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4는 콘텐츠 데이터 및 키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외부 콘텐츠 서버(9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 CT1이 배신되는 경우, 이 1단위의 콘텐츠 데이터 CT1에 대해서는, E(CK, A3D), E(KR, CK), 및 EKB가 송신되어 HDD(5)에 저장되게 된다.
E(CK, A3D)는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ATRAC3 압축 콘텐츠 데이터이며, 즉 배신 목적이 되는 실제의 음악 그 밖의 정보이다.
E(KR, CK)는,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 해독을 위한 콘텐츠 키 CK를 도 1에서 설명한 루트 키 KR로 암호화한 정보이다.
EKB는 도 1∼도 3에서 설명한 유효화 키 블록의 정보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루트 키 KR을 갱신하기 위한 정보로 한다.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배신에 따라, 이들이 세트로 배신되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D(5)에는, 이들의 세트로서 콘텐츠 데이터 CT1, CT2, …이 저장되게 된다.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 또는 20B)에 콘텐츠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세트로서의 정보로서 E(CK, A3D), E(KR, CK), 및 EKB를 소정의 순서로 송신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디바이스(단말기)에 상당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 20B)에서는, 각각 고유의 리프 ID가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DNK(Device Node Key)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상기 세트의 콘텐츠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는 것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 해독을 행하여(또는 암호화 상태 그대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인 경우에는, 재생 시에 암호 해독을 행하게 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인 경우에는, 기록 시에 암호 해독을 행한다.
이 암호 해독 처리로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기억하고 있는 DNK와 송신되어 오는 EKB를 이용하여 루트 키 KR을 해독한다.
계속해서, 해독한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콘텐츠 CK를 해독한다.
그리고, 해독한 콘텐츠 키 CK를 이용함으로써, 암호화를 해제한 콘텐츠 데이터 A3D를 얻을 수 있다.
기록 재생 장치(20A)의 경우의 DNK 및 암호 해독 순서를 도 15A 내지 도 15B, 도 1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금, 도 15A와 같은 키의 트리 구조를 상정하여, 예를 들면 기록 재생장치(20A)에 리프 ID=SET0, 리프 키=K000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기록 재생 장치(20A)에 기억되는 DNK는 도 15B와 같은 정보를 갖는다.
우선, 리프 ID로서 「SET0」이 기억된다.
또한, 리프 키로서 「K000」이 기억된다.
그리고, 리프 키 「K000」부터 도 15A의 구조에서 루트 키 KR까지 찾아갈 수 있는 정보가 기억된다. 즉, 노드 키 K00, K0, 루트 키 KR이 기억된다. 단, 이 노드 키 K00, K0, 루트 키 KR은, 리프 키 K000에 의해 암호화된 상태로 기억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E(K000, K00)
E(K000, K0)
E(K000, KR)
이 기억된다.
이러한 DNK가 기억되어 있음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는, 전송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 E(CK, A3D)를, 동일하게 전송되어 온 E(KR, CK)를 이용하여 암호 해독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기록 재생 장치(20A)는 리프 키 K000을 이용하여 D{K000, E(K000, KR)}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루트 키 KR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복호한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D{KR, E(KR, CK)}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콘텐츠 키 CK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호한 콘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D{CK, E(CK, A3D)}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암호 해독된 콘텐츠 데이터 A3D를 얻을 수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루트 키 KR이나 노드 키는 불변의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정에 따라 변경된다. 그리고, 이 예와 같이 콘텐츠 키 CK를 루트 키 KR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인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마다 루트 키 KR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악 배신업자에 따라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마다 루트 키 KR을 변경하고, 이에 의해 저작권 보호를 강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EKB를 동시에 송신하여, 정규 디바이스에 대하여 변경된 루트 키 KR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 E(CK, A3D)에 대하여, 변경한 루트 키 KR'로 암호화한 콘텐츠 키 E(KR', CK) 및 EKB가 송신되어 오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EKB에는, 예를 들면 노드 키 K0으로 암호화한 갱신 루트 키 KR'로서 E(K0, KR')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갱신 루트 키 KR'을 노드 키 K0으로 암호화하는 것은, 예를 들면 도 15A 도 내지 도 15B의 디바이스 (SET0)∼(SET3)에 대해서만, 새로운 루트 키 KR'을 통지하는 경우 등에 행해지는 예가 된다. 물론 디바이스 (SET0) (SET1)만을 통지 대상으로 하면, 갱신 루트 키 KR'을 노드 키 K00으로 암호화한 E(K00, KR')의 정보가 포함하는 EKB를 발행하면 된다.
한편, 기록 재생 장치(20A)의 DNK는, 도 1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프 키K000과, 리프 키로 암호화된 노드 키 및 루트 키로서 E(K000, K00), E(K000, K0), E(K000, KR)가 기억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 A3D를 복호하기까지의 순서를 도 15에 ①∼④로 도시하고 있다.
① EKB로서 E(K0, KR')의 정보가 송신되어 옴에 따라, 우선 DNK로부터 K0을 얻는다. 즉, 리프 키 K000을 이용하여 D{K000, E(K000, K0)}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노드 키 K0을 얻는다.
② 다음으로, 노드 키 K0을 이용하여, EKB에 의한 E(K0, KR')를 해독한다. 즉, D{K0, E(K0, KR')}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갱신 루트 키 KR'을 얻는다.
③ 해독한 갱신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송신되어 온 콘텐츠 키 E(KR', CK)를 해독한다. 즉, D{KR', E(KR, CK)}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콘텐츠 키 CK를 얻는다.
④ 복호한 콘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D{CK, E(CK, A3D)}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암호 해독된 콘텐츠 데이터 A3D를 얻는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전송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화를 해제하여,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B)인 경우에는, 암호화된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순서에 의해 암호화를 해제하여, 음악 등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9. 콘텐츠의 체크아웃/체크인
계속해서 퍼스널 컴퓨터(1)의 HDD(5)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20A)에 체크아웃시키는 경우, 및 체크아웃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시키는 경우의 각각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1)와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실제로는 하나의 통신 세션으로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이 행해지는 경우도 많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으로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도 18은 체크아웃을 위한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 도 18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2)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101∼F112로 하고,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 복호 처리부(28) 등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201∼F215로서 나타내고 있다.
통신 세션은 각종 컨트롤 커맨드와 그에 대응하는 응답 커맨드에 의해 행해진다.
HDD(5)에 저장되어 있는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CPU(2)는 도 17의 단계 F101에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인증 처리의 개시를 요구한다. 즉, 인증 개시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는 퍼스널 컴퓨터(1)에 단계 F201에서 인증 개시 허가를 통지한다. 즉, 인증 개시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그러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2에서 리프 ID를 요구하고, 이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02에서 기억하고 있는 리프 ID를 송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접속된 기록 재생 장치(20A)를, 이와 같이 리프 ID를 확인하여, 현재 유효한 리프 ID의 기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계속해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3에서, 지금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EKB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EKB가 송신되어 오면, 우선 단계 F203에서 EKB의 버전 번호를 기억한다(도 3 참조). 또한 단계 F204에서, 수신한 EKB와 기억하고 있는 DNK를 이용하여, 도 16에서 설명한 순서 ①②와 같이 하여, 금회의 전송에 관한 콘텐츠 데이터의 루트 키 KR을 탐색하고, 얻어진 루트 키 KR을 기억한다.
그리고, 단계 F205에서, 루트 키 KR의 탐색 완료를 퍼스널 컴퓨터(1)측에 통지한다.
이상의 처리로 루트 키 KR의 확인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4에서, 실제의 체크아웃 세션 개시를 요구한다. 이에 대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06에서 체크아웃 세션의 개시를 승낙하는 통지를 행한다.
또, 이 세션 개시의 컨트롤 커맨드 및 응답 커맨드 시에는, 도 12에서 설명한 인증 처리도 행해지게 된다.
즉, SDMI 비대응이며, 암호화를 풀어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로서, 정규의 것인지의 여부의 인증이 행해진다. 도 17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물론 인증 NG로 되면 체크아웃 세션은 중지된다.
다음으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5에서, 금회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관계되는,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은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07에서 상기 도 15의 순서 ③과 같이, 기억한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를 복호하여, 콘텐츠 키 CK를 해독한다. 그리고, 단계 F208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콘텐츠 키 CK의 해독 완료를 통지한다.
계속해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6에서,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고, 기록 재생 장치(20A)에, 체크아웃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제공한다.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의 포맷을 도 19에 도시한다. 이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는 30바이트로 구성되고, 체크아웃을 위한 통신 세션에 있어서, 실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시에 그 콘텐츠 데이터의 정보를 통지하는 등을 위해서,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20B))에 대하여 발하는 커맨드가 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레코드 오브젝트」가 나타나고, 통신 결과(result),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Destination List ID),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 번호(new object position number), 콘텐츠 데이터의 타입(content type), 1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데이터 포맷(Download Format Track Attribute), 2차 기록 매체에서의 콘텐츠 속성(Track Mode),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Content Size), 콘텐츠 데이터의 벌크 데이터 길이(Bulk Data Size)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1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데이터 포맷(Download Format Track Attribute)은, HDD5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압축 방식 및 비트 레이트의 정보나,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로에 송출할 때의 콘텐츠 데이터의 압축 방식 및 비트 레이트의 정보이다.
2차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콘텐츠 속성(Track Mode)은, 미니 디스크(100)로 기록할 때의 압축 방식의 지정 정보나, 스테레오 모노 그 밖의 속성 정보이다. 압축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ATRAC, ATRAC3의 132kbps, ATRAC3의 66kbps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된다.
또, 도 1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단계 F106의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에 대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는 응답 커맨드를 돌려 준다.
그리고, 상기 단계 F208의 콘텐츠 키 CK의 해독 완료 통지 및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 재생 장치(20A) 측에서 콘텐츠 데이터 수신/해독을 위한 준비가 완료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어서 「P1」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8의 단계 F107로 진행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실행한다. 즉,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 E(CK, A3D)를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 측에서는 「R1」로 표현한 바와 같이, 도 18의 단계 F209로 진행하여, 송신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 E(CK, A3D)의 수신 처리, 도 16의 순서 ④와 같이 콘텐츠 키 CK를 이용한 복호 처리, 및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 A3D의미니 디스크(100)에의 기록 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한, 수신되고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처리도 행한다.
1개의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면, 1개의 악곡)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전송 및 미니 디스크(100)에의 기록이 완료되면, 그 시점에서 미니 디스크(100) 상의 U-TOC의 갱신이 필요하게 된다.
미니 디스크(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곡 단위로서의 트랙의 스타트 어드레스/엔드 어드레스 그 밖의 것을, 디스크 내주부에 기록되는 U-TOC 에서 관리하며, 트랙 재생 시에는 U-TOC로부터 디스크 상의 어드레스를 파악하기 때문이다.
단, 본 예에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미니 디스크(100)에의 기록이 종료된 시점에서는, 단계 F210으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 메모리(30) 상에서 U-TOC만을 갱신하고,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 U-TOC의 갱신은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버퍼 메모리(30) 상에서 U-TOC 갱신을 완료하면, 단계 F211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기입에 관한 처리를 완료하고, 또한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단계 F209에서 생성한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한다.
이 경우의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의 포맷을 도 20에 도시한다.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는 62바이트로 되어,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레코드 오브젝트」가 나타나고, 통신 결과(result),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Destination List ID),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번호(new object position number), 콘텐츠 데이터의 타입(content type), 1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데이터 포맷(Download Format Track Attribute), 2차 기록 매체에서의 콘텐츠 속성(Track Mode),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Content Size), 콘텐츠 데이터의 벌크 데이터 길이(Bulk Data Size)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그리고, 또한 응답 커맨드인 경우는, 32바이트의 세션 데이터로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산출된 콘텐츠 ID의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이러한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0A)는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완료 및 콘텐츠 ID의 통지를 행한다.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는, 콘텐츠 ID의 통지에 따라, 단계 F108로서 콘텐츠 ID 테이블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이것은 HDD5에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여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붙인 콘텐츠 ID와, 상기한 단계 F209의 처리에 있어서 기록 재생 장치(20A) 측에서 생성된 콘텐츠 ID를 대응시키는 처리가 된다.
다음으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9로서,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이와 같이 체크아웃을 행함에 따라, 단계 F110에서,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취급 룰(Usage Rule)을 갱신한다. 즉, 전송 허가 횟수로서의 콘텐츠 권리를 하나 감산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는,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체크아웃이 실제로 지시된 것으로 하여 처리를 행한다. 즉, 단계 F212에서,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 U-TOC를 갱신하고, 기록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2차 기록 매체 상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권이 주어지게 된다.
또한, 이 때,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U-TOC 섹터 0의 트랙 모드에서, 상술한 비트 d1=1로 되어 있으며, 즉 해당 콘텐츠 데이터는 라이트 프로텍트 상태로 된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20A)는, 체크아웃에 관한 U-TOC 갱신을 종료하는 것에 따라, 단계 F213에서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를 송신하여, 완료를 통지한다.
이상으로 체크아웃, 즉 콘텐츠 권리의 양도가 완료된다.
도 21에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 도 22에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의 각 포맷을 도시한다.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는 25바이트로 구성되고,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는 17바이트로 구성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체크아웃」이 나타나고, 통신 결과(result),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List ID),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 번호(object position number), 암호화 세션 키(DES CBC(Ks, 0))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또한,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체크아웃」이 나타나고, 통신 결과(result),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List ID),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 번호(object position number)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이상의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 및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의 교환이 행해지고, 체크아웃의 완료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11에서 세션 종료 요구의 컨트롤 커맨드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14로서 세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12에서, 인증 상태를 종료시키는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고,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15에서, 인증 상태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상으로, 체크아웃을 위한 일련의 통신이 종료된다.
또한, 이러한 통신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아웃하는 경우에는, 각 콘텐츠에 대하여 루트 키가 공통이면, 단계 F105∼F108 및 F207∼F211의 처리가 반복되면 된다.
또한, EKB 버전이 다른 콘텐츠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EKB 전송도 행하면 된다.
계속해서, 체크인인 경우의 처리를 도 23에서 설명한다.
도 2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2)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를 단계F101∼F156으로 하고,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 복호 처리부(28) 등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201∼F257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통신 세션은 각종 컨트롤 커맨드와 그에 대응하는 응답 커맨드에 의해 행해진다.
체크인인 경우에도, 인증 개시로부터 EKB 전송, 루트 키 탐색 등의 처리는 상기 체크아웃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즉 상기 도 17과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인 단계 F101∼F103, F201∼F205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지므로, 중복 설명을 피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0에서, 체크인 세션의 개시를 요구하는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50에서 응답 커맨드를 회신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12도에서 설명한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체크인 세션이 개시되고,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가 인증 OK로 되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1로서, 체크인시키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ID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체크인시키는 콘텐츠 데이터의 미니 디스크(100) 상의 트랙 번호를 지정하고, 그 콘텐츠 ID를 요구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이에 따라, 우선 단계 F251에서, 해당 지정된 콘텐츠 데이터(트랙)가, 체크인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트랙에 대응하여 U-TOC에 기록되어 있는 기입 제어 플래그의 상태(트랙 모드의 d1)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하는 체크인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란,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이며, 또한 미니 디스크(100)측에서 편집이 행해지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이다.
상기 도 17, 도 18의 체크아웃이 행해진 경우, 미니 디스크(100)측에서는, 해당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해서는, U-TOC 섹터 0의 트랙 모드에 있어서의 d1 비트가 「1」로 되는 것은 먼저 설명하였다.
이 d1 비트는,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기입 제어 플래그로서 기능하는 것이 된다.
d1 비트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소위 라이트 프로텍트 플래그가 된다. 즉, d1 비트가 세워진 트랙은, 소거나 분할, 연결 등의 편집이 금지된다. 즉, 현재 보급되어 있는 종전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이고, 상기 기록 재생 장치(20A)로서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인, d1 비트가 세워진 트랙에 대해서는 소거나 분할 등의 편집은, 행해지지 않는다.
단, 실제로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트랙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d1 비트가 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d1 비트는, 그 트랙이 편집 금지로 될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체크아웃된 콘텐츠인 것을 명시하는 정보가 된다.
d1 비트의 확인에 의해, 해당 콘텐츠 데이터가 체크아웃된 것으로 확인되면, 즉 체크인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이면, 단계 F252에서,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ID를 준비한다. 이 경우, 이 시점에서 콘텐츠 ID를 산출하거나, 또는 이미 산출되어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ID를 판독하는 처리로 된다. 콘텐츠 ID 생성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단계 F253에서,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또한, 체크인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그 취지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고, 이후에는 에러 처리가 된다.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2로서, 송신되어 온 콘텐츠 ID를 대조한다. 즉, 기록 재생 장치(20A) 측에서 생성되어 송신되어 온 콘텐츠 ID와, 체크아웃 시에 기록 재생 장치(20A) 측에서 생성하고 퍼스널 컴퓨터(1) 측에서 생성한 콘텐츠 ID에 대응시켜 테이블 데이터로서 보존한 콘텐츠 ID를 대조하고, 체크인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올바르게 나타내고 있는지를 대조한다.
그리고, 대조 OK이면 단계 F153에서 실제로 체크인을 지시한다. 대조 NG이면 에러 처리가 된다.
단계 F153의 체크인 지시는, 도 24의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처리가 된다.
도 24에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 도 26에 체크인 응답 코맨드의 각 포맷을 도시한다.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는 17바이트로 구성되고, 체크인 응답 커맨드는 25바이트로 구성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체크인」이 나타나고, 통신 결과(result), 서브 기능(Subfunction),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List ID), 체크인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번호(object position number)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여기서, 서브 기능은 도 25와 같이 정의되고, 이에 의해 체크인 커맨드에 의한 지시 내용이 지정된다.
서브 기능의 값이 「00h」이면, 그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는, 콘텐츠 ID를 요구하는 것이 된다. 이것은 2차 기록 매체측의 재생권을 반환시키는 실제의 체크인으로서의 지시가 된다.
서브 기능의 값 「00h」는 리저브로 된다. 단, 실제의 체크인 처리 과정에서의 지시에 이용해도 된다.
서브 기능의 값이 이들 이외인 경우는, 그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는, 선불 정보 등의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유 정보를 요구하는 것이 된다. 이 경우에는,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는, 어디까지나 선불 정보 등의 판독을 지시하는 것이고, 체크인(재생권의 반환)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체크인 응답 코맨드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체크인」이 나타나고, 통신 결과(result), 서브 기능(Subfunction),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List ID), 체크인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번호(object position number)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그리고, 또한 HASH 함수 처리로 형성된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 측에 통지하기 위한 8바이트(Hash MAC)가 준비된다.
도 23의 단계 F153의 체크인 지시에서는, 서브 기능의 값을 「00h」로 하여 실제 체크인 지시임을 명시한다. 또한, 리스트 ID의 값을 기록 재생 장치(20A)를지정한 값으로 하고, 오브젝트 포지션 번호의 값으로서, 체크인시킬 콘텐츠 데이터의 미니 디스크(100) 상의 트랙 번호를 지정하게 된다.
또한, 체크인 지시에 따라 단계 F154에서,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취급 룰(Usage Rule)을 갱신한다. 즉, 전송 허가 횟수로서의 콘텐츠 권리를 하나 부활시킨다.
기록 재생 장치(20A)측은, 이에 따라 단계 F254에서, U-TOC 데이터를 갱신한다. 즉, 체크인 대상으로 된 트랙을, 미니 디스크(100) 상으로부터 소거되도록 U-TOC 섹터 0의 내용을 갱신한다. 즉, 재생 불능으로 하여, 재생권을 소실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단계 F255에서 도 26의 체크인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상으로 체크인, 즉 콘텐츠 권리의 반환이 완료된다.
체크인의 완료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5에서 세션 종료 요구의 컨트롤 커맨드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56으로서 세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6에서, 인증 상태를 종료시키는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고,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57에서, 인증 상태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상으로, 체크인을 위한 일련의 통신이 종료된다.
또한, 이러한 통신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하는 경우에는, 각 콘텐츠 ID의 확인 및 체크인 지시, 즉 단계 F151∼F154 및 F251∼F255의 처리가 반복되면 된다.
10. 콘텐츠 ID의 생성 및 관리 방식
체크아웃/체크인에서의 Usage Rule은, 각 콘텐츠별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관리된다.
상술하였지만,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는, 콘텐츠 ID를 저장할 수 있는 기록 포맷이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체크아웃/체크인 시에도, 퍼스널 컴퓨터(1)와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 사이에는, 원래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생성한 콘텐츠 ID에 의해, 대상으로 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보급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100) 등의 2차 기록 매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이것을 할 수 없다. 즉 미니 디스크(100) 상에는, 체크아웃에 의해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ID를 저장해 둘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U-TOC 등에서 그와 같은 영역을 새롭게 규정하여 콘텐츠 ID를 기록한다고 해도, 종래 기종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 의해 U-TOC 갱신이 행해지는 경우, 콘텐츠 ID는 소거되게 된다. 이 때문에 미니 디스크(100)에서는 콘텐츠 ID를 관리할 수 없다.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콘텐츠 ID를 관리할 수 없으면, 체크아웃은 가능하여도 체크인 시에는 콘텐츠 데이터의 대조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체크인 불능으로 된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콘텐츠 데이터 자체로부터 콘텐츠 ID를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발생시킨 제1 콘텐츠 ID와,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한 제2 콘텐츠 ID를 대조할 수 있도록 테이블 데이터를 준비한다.
우선,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의해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콘텐츠 ID 생성에서는,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그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콘텐츠 사이즈)나 트랙 정보 외에, 콘텐츠 데이터 스트림 내의 특정한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CBC_MAC 연산을 행하는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도 27에, 하나의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콘텐츠 데이터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체크아웃을 위해 송신되며, 암호화 상태가 복호되어, ATRAC 또는 ATRAC3 압축 상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나타난다.
이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면 포인트 P1, P2를 샘플링 포인트로서 설정하고, 사운드 유닛(사선 부분)의 데이터를 추출한다. 하나의 사운드 유닛은, 예를 들면 424바이트의 데이터, 즉 도 8에서 설명한 하나의 사운드 그룹에 상당하는 데이터 등으로 하면 된다. 단, 물론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샘플링한 실제의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콘텐츠 ID를 산출한다.
여기서, 샘플링 포인트는, 무음 데이터인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의 선두 또는 종단은 피함과 함께, 상기 P1, P2와 같이 2곳에 설치함으로써 고유데이터로서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즉 각 콘텐츠 데이터마다 다른, 식별자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구비한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샘플링 포인트는 3곳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선두 또는 종단을 피하면, 1곳이어도 불충분하지 않다.
또한, 이 샘플링 포인트 P1, P2는, 아주 랜덤한 위치가 아니라,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데이터 사이즈)에 따라 설정되는 위치로 함으로써,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몇 번 산출해도 동일한 콘텐츠 ID가 얻어진다. 즉, 2차 기록 매체 상에 콘텐츠 ID를 보존해 두지 않아도 콘텐츠 데이터 자체가 기록되어 있으면, 샘플링 포인트가 일치함으로써 다른 시점에서도 동일한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것은, 2차 기록 매체로서의 미니 디스크(100) 상에 콘텐츠 ID를 기록해 둘 필요를 없앨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포인트 P1, P2는,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의 사이즈(길이)로부터 1/3의 위치, 및 2/3의 위치 등으로 하여 설정되면 된다. 물론 1/3의 위치, 2/3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에 대하여 1/2의 위치, 1/4의 위치, 3/4의 위치, 1/5의 위치, 2/5의 위치, 3/5의 위치, 4/5의 위치, 1/6의 위치, 5/6의 위치, … 등, 길이에 대한 임의의 상대적인 포인트가 규정되면 된다.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ID를 얻는 방법을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낸다.
여기서 「Key hash」는 8바이트의 고유 키 데이터이다.
Stream(P1)은, 샘플링 포인트 P1의 1사운드 그룹의 데이터, Stream(P2)는, 샘플링 포인트 P2의 1사운드 그룹의 데이터이다. 그리고 //는 연결을 나타내고 있으며, 즉 「Stream(P1)//Stream(P2)」는,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2개의 사운드 유닛을 연결한 (424×2)바이트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IV」는 8바이트의 CBC 모드의 초기 값으로, 4바이트의 콘텐츠 길이 length, 1바이트의 트랙 정보 TrackModeByte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2로 주어진다.
이 경우, 4바이트의 콘텐츠 길이 length, 및 1바이트의 트랙 정보 TrackModeByte는, 도 9에 도시한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통지되는, 4바이트의 콘텐츠 사이즈(Content Size)와 1바이트의 트랙 모드(Track Mode)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ID 생성은,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예를 들면 복호 처리부(28)에 탑재되는 HASH 엔진에 의해 행해지지만, 상기 수학식 1,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20A)는, 예를 들면 체크아웃 세션 시에는,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를 수신(도 17의 단계 F106)함으로써, 상기 「IV」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에서의 콘텐츠 사이즈(Content Size)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의 예를 들면 1/3, 2/3의 위치로서의 샘플링 포인트 P1, P2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어,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가 얻어진 시점 이후에는, 상기 수학식 1의 연산에 의해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당연히 콘텐츠 데이터의 사이즈는 U-TOC 섹터 0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체크아웃 시에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로 통지되는 트랙 모드(Track Mode)의 정보가 U-TOC 섹터 0에서의 트랙 모드에 기록됨으로써, U-TOC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학식 2의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어떠한 시점에서도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는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콘텐츠 ID를 생성할 수 있다.
단, 이것이 퍼스널 컴퓨터(1)에서 생성되고, HDD(5)에 저장된 콘텐츠 ID와 대응되지 않으면 적절하게 이용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HDD(5)에 저장되는 콘텐츠 ID란, 퍼스널 컴퓨터(1)측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된 것이다. 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전에 구해진 콘텐츠 ID는, HDD(5) 등의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기기측(퍼스널 컴퓨터(1))에 고유 정보, 예를 들면 기기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마다의 고유 ID, HDD(5)에 저장된 시간 정보나 난수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생성된 (제1) 콘텐츠 ID와 상기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된 (제2) 콘텐츠 ID는, 도 30과 같은 테이블 데이터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대응지워진다.
따라서, 이 테이블 데이터는 HDD(5) 등의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기기별로 고유한 조합으로 된다.
즉, 체크아웃 세션 시에는, 도 18의 단계 F211에서의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한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측에 통지한다. 그리고 단계 F108에서,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는 테이블 데이터의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즉 체크아웃을 위해 전송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1)측의 콘텐츠 ID와,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된 콘텐츠 ID가 대응되도록, 도 28의 테이블 데이터의 엘리먼트를 생성해 가는 처리이다.
도 28에서는 3개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제1, 제2, 제3 콘텐츠 ID가 대응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 데이터가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관리됨으로써(예를 들면 HDD(5)에서 기록/갱신되어 감으로써),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ID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즉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100) 상에는 콘텐츠 ID를 저장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지만,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는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가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대상이 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제2) 콘텐츠 ID를 기록 재생 장치(20A)에 요구하고,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ID와 도 28의 테이블 데이터에 기억되어 있는(체크아웃 시에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ID와의 일치를 확인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제1) 콘텐츠 ID로 관리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인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도 23의 단계 F151, F152, F252, F253의 처리의 의미이다.
이러한 콘텐츠 ID 관리 방식에 의해, SDMI 비대응의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 등)에 대해서도, 본 시스템에서 적절하게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 즉 콘텐츠 권리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11. 미디어 정보의 취득
지금까지, 미니 디스크(100)를 2차 기록 매체로서의 체크아웃/체크인에 대하여 설명해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이 미니 디스크(100)를 2차 기록 매체로서 체크아웃을 행하는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미리 접속된 기록 재생 장치(20A)에 장착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100)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에 기록 재생 장치(20A)가, 예를 들면 USB 전송로에서 접속된 시점 등, 실제로 체크아웃/체크인이 행해지기 이전의 시점에서,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에 장착된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처리(미디어 정보 취득 처리)가 행해진다.
이 미디어 정보 취득 처리를 도 29, 도 30에 의해 설명한다. 도 29에서 단계 F180∼F188은 퍼스널 컴퓨터(1)(퍼스널 컴퓨터(1)를 전송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처리이고, 단계 F280∼F286은 기록 재생 장치(20A)(시스템 제어부(32)))의 처리이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20A)가 접속된 시점 등에서, 퍼스널 컴퓨터(1)는 미디어 정보 취득 처리를 행하는 경우, 우선 단계 F180으로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한 배타 제어 요구를 행한다.
이 경우, 도 31의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한다.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서브 유닛 타입(subunit type), 서브 유닛 ID(subunit ID)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가 표시된다. 그리고, 우선 순위 (priority)의 값에 의해, 제어 레벨이 지시된다.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0A)는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 편집, 또는 디스크 배출, 전원 제어 등이 금지 또는 제한된다.
즉, 이 커맨드는, 이들의 동작 처리는 어디까지나 퍼스널 컴퓨터(1) 측으로부터 지시되는 것으로 하는 상태로 천이시키는 커맨드이다.
이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에 의한 우선 순위의 값에 따라서는, 동작의금지 또는 제한으로서 다양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제어 레벨 4 : 퍼스널 컴퓨터(1) 이외의 일체의 지시에 대응하는 처리를 금지한다.
제어 레벨 3 : 퍼스널 컴퓨터(1) 이외의 지시에 의한 전원 제어, 배출, 트랙의 분할, 연결, 소거를 금지한다.
제어 레벨 2 : 퍼스널 컴퓨터(1) 이외의 지시에 의한 트랙의 분할, 연결, 소거를 금지한다.
제어 레벨 1 : 체크아웃 콘텐츠가 아닌 트랙에 대해서는 편집이나 소거를 허가한다.
제어 레벨 0 : 제한없음.
등과 같이 각종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어 레벨의 설정은 일례이고, 실제로는 제어 레벨의 단계 수나 내용은 다양하게 고려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에 따라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단계 F280에서 배타 제어를 허가하는 응답을 회신한다.
또, 배타 제어 상태는, 퍼스널 컴퓨터(1)가 도 32의 배타적 로그아웃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 배타적 로그아웃 컨트롤 커맨드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한 배타적 제어를 해제하기 위한 커맨드로, 이 경우에는 우선 순위(priority)의 값을 「00h」 로 하여, 프리 상태의 제어 레벨인 것을 지시하는 커맨드로서 형성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 재생 장치(20A)를 배타 제어 상태로 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어플리케이션측으로 제어권이 이행되면, 오픈 디스크립터를 행하고, 단계 F181에서 미디어 스테이터스 취득 요구를 행한다. 이것은 기록 재생 장치(20A)에 미니 디스크(100)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요구하는 것이 된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도 33의 겟 디스크 스테이터스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81에서 도 34의 겟 디스크 스테티터스 응답 커맨드를 회신한다. 회신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디스크립터를 클로즈한다.
이 경우,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 미니 디스크(100)가 장착되어 있으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셋 바이트 1Ah의 「disc in drive」 필드를 어서트한 겟 디스크 스테이터스 응답 커맨드를 발행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는 해당 응답 커맨드의 「disc in drive」 필드를 조사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에 미니 디스크(100)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미니 디스크(100)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퍼스널 컴퓨터(1)의 처리는 단계 F182로부터 F181로 되돌아가, 재차 미디어 스테이터스 취득 요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100)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1)는 1초 등의,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미디어 스테이터스 취득 요구를 실행해 간다.
미니 디스크(100)의 장착이 확인되었다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83에서 오픈 디스크립터를 행하고, 도 35의 겟 디스크 네임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여, 미디어 명칭 취득 요구를 행한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미니 디스크(100)의 U-TOC 섹터 1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네임의 정보를 확인하고, 단계 F282로서 도 36의 겟 디스크 네임 응답 커맨드를 발행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회신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디스크립터를 클로즈한다.
이 경우, 도 36의 겟 디스크 네임 응답 커맨드에 있어서는, 오프셋 바이트 19h∼(18+N)h의 「N-Bytes Disc Title Text」 필드에서, U-TOC 섹터 1에 기록되어 있던 N 바이트의 디스크 네임으로서의 텍스트 데이터가 도시된다. 또한, 이「N-Bytes Disc Title Text」 필드의 바이트 수(데이터 사이즈)가 오프셋 바이트 17h, 18h의 「primary field length」에서 나타난다.
퍼스널 컴퓨터(1)는 해당 응답 커맨드의 「N-Bytes Disc Title Text」 필드를 조사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에 장착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명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84에서 오픈 디스크립터를 행하고, 도 37의 겟 디스크 캐패시터 인포메이션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여, 미디어 용량 취득 요구를 행한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미니 디스크(100)의 U-TOC 섹터 0의 정보를 확인하고, 단계 F283으로서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한 겟 디스크 캐퍼시티 인포메이션 응답 커맨드를 발행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회신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디스크립터를 클로즈한다.
이 경우, 도 38, 도 39의 겟 디스크 캐퍼시티 인포메이션 응답 커맨드에서는, 오프셋 바이트 1Bh∼1Fh의 「Hours」 「Minutes」 「Seconds」 「Frames」의 각 필드에서, 전 연주 시간의 정보로서의 「시간」 「분」 「초」 「프레임」의 값이 나타난다. 또한, 이 「Hours」∼「Frames」의 필드로서의 바이트 수(데이터 사이즈)가 오프셋 바이트 19h, 1Ah의 「total playback capacity length」에서 나타난다. 또, 전 연주 시간은,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전 콘텐츠 데이터의 토탈에서의 재생 시간이다.
또한, 오프셋 바이트 22h∼26h의 「Hours」 「Minutes」 「Seconds」 「Frames」의 각 필드에서, 최대 녹음 시간의 정보로서의 「시간」 「분」 「초」 「프레임」의 값이 나타난다. 또한, 이 「Hours」∼「Frames」의 필드로서의 바이트 수(데이터 사이즈)가 오프셋 바이트 20h, 21h의 「maximum recording capacity length」에서 나타난다. 최대 녹음 시간은, 미니 디스크(100)의 전체 용량으로서의 재생 시간이다.
또한, 오프셋 바이트 29h∼2Dh의 「Hours」 「Minutes」 「Seconds」 「Frames」의 각 필드에서, 남은 시간의 정보로서의 「시간」 「분」 「초」 「프레임」의 값이 나타난다. 또한, 이 「Hours」∼「Frames」의 필드로서의 바이트수(데이터 사이즈)가 오프셋 바이트 27h, 28h의 「remaining recording, capacity length」에서 나타난다. 남은 시간은, 현재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 가능한 남은 녹음 시간이다. 즉, 상기 최대 녹음 시간으로부터 상기 전체 연주 시간을 뺀 값에 상당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해당 응답 커맨드의 상기 각 필드를 조사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에 장착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용량 정보로서, 전 연주 시간, 최대 녹음 시간, 남은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85에서 오픈 디스크립터를 행하고, 도 40의 겟 넘버 오브 오디오 트랙스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여, 트랙 수 취득 요구를 행한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미니 디스크(100)의 U-TOC 섹터0의 정보를 확인하고, 단계 F284로서 도 41의 겟 넘버 오브 오디오 트랙스 응답 커맨드를 발행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회신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디스크립터를 클로즈한다.
이 경우, 도 41의 겟 넘버 오브 오디오 트랙스 응답 커맨드에서는, 오프셋 바이트 17h, 18h의 「number of items」 필드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녹음되어 있는 트랙 수(콘텐츠 데이터 수)의 값이 나타난다.
퍼스널 컴퓨터(1)는 해당 응답 커맨드의 「number of items」 필드를 조사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에 장착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수를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퍼스널 컴퓨터(1)의 처리는 도 30의 단계 F186으로 진행하여, 각 트랙에 대한 정보 취득으로 이행한다.
우선,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86에서 오픈 디스크립터를 행하여, 도 42의 겟 오디오 트랙 네임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여, 트랙 #x의 명칭 취득 요구를 행한다. 이 경우, 오프셋 바이트 07h, 08h의 「object position」 필드에서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의 트랙 번호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미니 디스크(100)의 U-TOC 섹터 1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 #x의 트랙 네임의 정보를 확인하고, 단계 F285로서 도 43의 겟 오디오 트랙 네임 응답 커맨드를 발행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이 경우, 도 43의 겟 오디오 트랙 네임 응답 커맨드에서는, 오프셋 바이트 07h, 08h의 「object position」 필드에서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의 트랙 번호를 도시하고, 오프셋 바이트 19h∼(18+N)h의 「N-Bytes Audio Track Title Text」 필드에서, U-TOC 섹터 1에 기록되어 있던 트랙 #x에 대한 M 바이트의 트랙 네임으로서의 텍스트 데이터가 나타난다. 또한, 이 「M-Bytes Audio Track Title Text」 필드의 바이트 수(데이터 사이즈)가 오프셋 바이트 17h, 18h의 「primary field length」에서 나타난다.
퍼스널 컴퓨터(1)는 해당 응답 커맨드의 「M-Bytes Audio Track Title Text」 필드를 조사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에 장착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100)의 트랙 #x에 대한 명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립터를 클로즈하지 않고, 상기 「object position」 필드에서 지정된 트랙에 대한 속성을 취득하는 처리로 이행한다.
즉,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87에서, 트랙 #x의 속성 취득 요구의 겟 오디오 트랙 인포메이션 컨트롤 커맨드 송신을 행한다.
이 겟 오디오 트랙 인포메이션 컨트롤 커맨드는, 도 44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할당 컨트롤 커맨드와, 도 46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모드 컨트롤 커맨드와, 도 48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사이즈 컨트롤 커맨드로 구성된다.
또한, 이들 각 컨트롤 커맨드에 대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도 45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할당 응답 커맨드, 도 47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모드 응답 커맨드, 도 49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사이즈 응답 커맨드를, 각각 회신하게 된다.
도 44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할당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object position」 필드에서 지정된 트랙에 대한 라이트 프로텍트 정보가 요구된다.
이에 대하여 시스템 제어부(32)는, U-TOC 섹터 0의 트랙 모드를 확인하여, 도 45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할당 응답 커맨드를 발행한다. 이 경우, 「object position」 필드에서 나타내는 트랙에 대한 라이트 프로텍트 정보가, 오프셋 바이트 0Fh의 「disc subunit object attributes」 필드에서 나타난다.
퍼스널 컴퓨터(1)에서는, 이 필드의 값이 「01h」이면 트랙 #x는 록(라이트 프로텍트 상태), 「00h」이면 언로크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6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모드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objectposition」 필드에서 지정된 트랙에 대한 샘플링 레이트 등의 정보가 요구된다.
이에 대하여 시스템 제어부(32)는, 도 47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모드 응답 커맨드를 발행한다.
이 경우, 「object position」 필드에서 도시하는 트랙에 대한 샘플링 주파수가, 오프셋 바이트 19h의 「audio recording sample rate」 필드에서 나타난다.
또한, 양자화 비트 수가, 오프셋 바이트 1Ah의「audio recording sample size」 필드에서 나타난다.
또한, 압축 모드(ATRAC 또는 ATRAC3 등의 모드)가, 오프셋 바이트 1Bh의「audio recording compression mode」 필드에서 나타난다.
또한, 스테레오/모노 등의 채널 정보가, 오프셋 바이트 1Ch의 「audio recording channel mode」 필드에서 나타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이들 필드의 값으로부터, 트랙 #x에 대한 샘플링 주파수, 양자화 비트 수, 압축 모드, 채널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8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사이즈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object position」 필드에서 지정된 트랙에 대한 데이터 사이즈의 정보가 요구된다.
이에 대하여 시스템 제어부(32)는, 도 49의 리드 인포 블록 포 트랙 사이즈 응답 커맨드를 발행한다.
이 경우, 「object position」 필드에서 나타내는 트랙에 대한 데이터 사이즈가, 오프셋 바이트 1Ah∼1Eh의 「Hours」「Minutes」 「Seconds」 「Frames」의 각 필드에 의해, 「시간」「분」 「초」 「프레임」의 값으로서의 데이터 사이즈로나타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이들 필드의 값으로부터, 트랙 #x의 데이터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F186, F187 및 F285, F286에서의, 이러한 각 컨트롤 커맨드와 각 응답 커맨드의 교환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는 1개의 트랙에 대한 트랙 네임이나 속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을,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각 트랙에 대하여 반복하여 행한다. 즉,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88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전 트랙에 대한 트랙 네임 및 속성 정보의 취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단계 F186으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즉, 상기 각 컨트롤 커맨드에서의 「object position」 필드에서 나타내는 트랙 번호의 값을 변경시키고, 다음 트랙에 대한 트랙 네임 및 속성 정보의 취득을 행한다.
그리고, 단계 F185, F284에서 취득한 트랙 수에 상당하는 모든 트랙에 대한 트랙 네임 및 속성 정보의 취득이 완료되면, 디스크립터를 클로스하여, 일련의 처리를 끝낸다.
또, 각 트랙에 대한 트랙 네임 및 속성 정보의 취득에 있어서는, 「object position」별로 디스크립터의 오픈/클로즈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정보 취득 처리의 시간을 단축화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에 기록 재생 장치(20A)가 접속되었을 때 등에, 기록 재생 장치(20A)에 장착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정보, 즉 미디어 명칭, 미디어 용량(전 연주 시간, 최대 녹음 시간, 남은 시간), 트랙 수(콘텐츠 데이터 수), 각 트랙의 트랙 네임, 각 트랙의 라이트 프로텍트 정보, 각 트랙의 모드 정보(샘플링 주파수, 양자화 비트 수, 압축 모드, 채널 모드), 각 트랙의 사이즈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그 후 체크아웃/체크인의 대상이 되는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에 관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에서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이하와 같은 각종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우선,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의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의 모니터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의 타이틀, 전 연주 시간, 최대 녹음 시간, 남은 시간, 트랙 수를 표시하거나, 각 트랙을 그 트랙 네임으로 일람 제시하고, 각 트랙의 사이즈 그 밖의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HDD5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아웃할 때에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사이즈와, 미니 디스크(100)의 남은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미니 디스크(100)측을 용량적으로 체크아웃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물론, 가능하다고 판단됨에 따라, 도 17, 도 18에 도시한 체크아웃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이 지시된 경우에, 용량적으로 불가능한 경우에는, 일부의 콘텐츠 데이터만을 체크아웃시키는 등의 대응 처리도 가능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체크인을 지시하는 경우에도, 상기 표시가 가이드가 되고, 나아가서는 체크인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측의 용량을 확보하여, 지정한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아웃시키는 등의 처리에도 적합하다.
즉, 2차 기록 매체측의 정보를 얻음으로써, 전송 시스템으로서 적절한 동작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실시예로서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시스템 동작으로서의 암호화, 데이터 패스, 체크아웃/체크인 방식, 인증 방식, 콘텐츠 ID 생성 방식, 콘텐츠 ID 관리 방식, 2차 기록 매체측의 정보 취득 방식 등은, 각각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는, 예를 들면 상술한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에의 데이터 전송 처리의 대상이 되는 것을 SDMI 콘텐츠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콘텐츠 데이터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1차 기록 매체는 HDD 이외에 다양하게 생각된다.
물론 2차 기록 매체,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서도 미니 디스크,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예를 생각할 수 있다. 2차 기록 매체(100)로서는, CD-R, CD-RW, DVD-RAM, DVD-R, DVD-RW, 각종 메모리 카드 등이어도 된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이들 미디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이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측(1차 기록 매체측)은, 체크아웃 대상이 되는 2차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와 같이 독자의 관리 방식을 채용하는 미디어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데이터 기록 장치(2차 기록 매체측)에,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고,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특히,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2차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 2차 기록 매체의 명칭 정보,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명칭 정보, 2차 기록 매체의 용량 정보,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수의 정보,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 등을 취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체크아웃)에 있어서, 체크아웃이 가능한지의 여부, 체크아웃 지정된 콘텐츠 데이터가 적절한지의 여부, 또는 어떤 콘텐츠 데이터가 체크아웃에 적절한지, 등의 판단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어, 적절한 전송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장치측에서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의 내용의 가이드 표시 등도 가능하게 된다.
물론 체크아웃에 따라서는, 2차 기록 매체측이 비 암호화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 때문에, 종전 기기와의 호환성도 얻어짐과 함께, 체크아웃에 관하여 인증이나 취급 룰 체크 등이 부과됨으로써 저작권 보호도 유지된다.
이들로부터 콘텐츠 데이터 제공자측에도 적합하고, 또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사용성이 양호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5)

  1.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기록 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1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시키는 저장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커맨드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시키는 커맨드 송신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비 암호화 상태로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서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커맨드에 따라, 해당 요구된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정보 송신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2차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명칭 정보, 또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명칭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용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의 전송의 판단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8. 1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시키는 저장 제어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외부의 데이터 기록 장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커맨드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시키는 커맨드 송신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2차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명칭 정보, 또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명칭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용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의 전송의 판단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5. 외부의 데이터 전송 장치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을 포함하는각종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비 암호화 상태로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커맨드에 따라, 해당 요구된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정보 송신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2차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명칭 정보, 또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명칭 정보를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용량 정보를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수의 정보를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를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1.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비 암호화 상태로 기록 재생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장치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었을 때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2차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순서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순서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가,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처의 기기로서의 정당성을 인증하는 인증 순서와,
    상기 정보 취득 순서에서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의 전송 처리를 판단하는 판단 순서와,
    상기 판단 순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실행하는 전송 순서
    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순서에서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명칭 정보, 또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명칭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순서에서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의 용량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순서에서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수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순서에서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37002310A 2001-06-18 2002-06-18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906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83217 2001-06-18
JP2001183217A JP3809779B2 (ja) 2001-06-18 2001-06-18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PCT/JP2002/006062 WO2002103530A1 (fr) 2001-06-18 2002-06-18 Systeme et appareil de transfert de donnees, appareil d'enregistrement et procede de transfert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292A true KR20030025292A (ko) 2003-03-28
KR100906859B1 KR100906859B1 (ko) 2009-07-08

Family

ID=1902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310A KR100906859B1 (ko) 2001-06-18 2002-06-18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37770B2 (ko)
EP (1) EP1403769A4 (ko)
JP (1) JP3809779B2 (ko)
KR (1) KR100906859B1 (ko)
CN (1) CN1231848C (ko)
AU (1) AU2002306383B2 (ko)
CA (1) CA2419657C (ko)
RU (1) RU2289844C2 (ko)
WO (1) WO2002103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4923B2 (ja) * 2001-08-09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571664A3 (en) 2002-06-05 2010-03-2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with a linking area including error correction code data thereon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recording medium
JP4343551B2 (ja) * 2003-02-25 2009-10-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等
US7187188B2 (en) * 2003-12-24 2007-03-06 Cascade Microtech, Inc. Chuck with integrated wafer support
KR101100391B1 (ko) * 2004-06-01 2012-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저장장치와 디바이스간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이용한 콘텐츠 재생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휴대형저장장치
EP1760713A4 (en) 2004-06-08 2012-02-22 Panasonic Corp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JP4144573B2 (ja) * 2004-07-15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83311B2 (ja) * 2004-10-13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録画装置及びコンテンツ録画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録画装置の記録プログラム
US20070061265A1 (en) * 2005-03-17 2007-03-15 Speedus Corp. A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vision of audio and/or visual services
WO2007031955A2 (en) * 2005-09-16 2007-03-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ryptographic role-based access control
JP2007102431A (ja) * 2005-10-03 2007-04-19 Sony Corp データ移動方法、データ移動元装置、データ移動先装置、データ移動プログラム及び移動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
US8306918B2 (en) * 2005-10-11 2012-11-06 Apple Inc. Use of media storage structure with multiple pieces of content in a content-distribution system
US7853800B2 (en) * 2006-06-30 2010-12-14 Verint America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secure recording environment
US7769176B2 (en) 2006-06-30 2010-08-03 Verint America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secure recording environment
US7848524B2 (en) 2006-06-30 2010-12-07 Verint America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secure recording environment
US7953750B1 (en) 2006-09-28 2011-05-31 Verint America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searching data in a customer center environment
US8356178B2 (en) * 2006-11-13 2013-01-15 Seagate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ed data storage
JP4933932B2 (ja) * 2007-03-23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019209B2 (ja) * 2007-05-31 2012-09-05 株式会社東芝 記憶番組制御装置及び記憶番組制御方法
US8190920B2 (en) * 2007-09-17 2012-05-29 Seagate Technology Llc Security features in an electronic device
US8401155B1 (en) 2008-05-23 2013-03-19 Verint America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recording in a customer center environment
US7888957B2 (en) * 2008-10-06 2011-02-15 Cascade Microtech, Inc. Probing apparatus with impedance optimized interface
WO2010128421A2 (en) * 2009-05-05 2010-11-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securing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and resource-restricted device therefor
JP5247596B2 (ja) * 2009-06-01 2013-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ンクライアント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シンクライアント管理用プログラム
CN104810034B (zh) * 2014-01-23 2018-07-06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刻录***及刻录方法
US10205726B2 (en) * 2016-06-03 2019-02-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ile access by nodes of a protected system
CN111070921B (zh) * 2019-10-31 2021-08-24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图像形成控制方法、***、终端及图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7021A (en) * 1995-11-07 1999-01-05 Fujitsu Ltd. Security system for protecting information stored in portable storage media
US20040139211A1 (en) * 1995-12-20 2004-07-15 Nb Networks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on of peer-to-peer file sharing
US5925127A (en) * 1997-04-09 1999-07-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use of rented software
US6141702A (en) * 1997-07-30 2000-10-31 Sony Corporation Of Japan Model and command set for an AV/C-based disc media player recorder
DE69902749T2 (de) 1998-01-23 2003-07-31 Emc Corp., Hopkinton Einkapselung, datendarstellung und übertragung von inhaltsaddressierbaren daten
US6118873A (en) * 1998-04-24 2000-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encrypting broadcast programs in the presence of compromised receiver devices
JPH11328033A (ja) * 1998-05-20 1999-11-30 Fujitsu Ltd ライセンス委譲装置
EP2034479B1 (en) * 1998-07-22 2016-01-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igital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s that facilitate reproduction of encrypted digital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a,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of the method
EP0984346A1 (en) * 1998-09-02 2000-03-08 Hitachi Europe Limited Copy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3304069B2 (ja) * 1998-11-10 2002-07-2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DE69924813T2 (de) * 1998-12-02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atenkopiersystem, Datenkopiergerät, Datenkopierverfahren, und Aufzeichnungsmedium
JP3327389B2 (ja) * 1998-12-28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製システム、複製方法、書き込み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356178B2 (ja) * 1999-03-09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3327894B2 (ja) 1999-04-14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ている記録媒体
JP2000315193A (ja) * 1999-04-30 2000-11-14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のデータ転送方法及び媒体
US6889208B1 (en) 1999-04-15 2005-05-0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Contents sale system
JP3744720B2 (ja) 1999-04-26 2006-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目標追尾方法及び目標追尾装置
US7134145B1 (en) * 1999-04-30 2006-11-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gistering copy protected material in a check-out, check-in system
JP3977549B2 (ja) * 1999-04-30 2007-09-19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利用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管理装置及び再生装置
JP3983937B2 (ja) 1999-06-16 2007-09-26 株式会社東芝 記憶媒体及び同媒体を使用した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2001060174A (ja) * 1999-08-23 2001-03-06 Toshiba Video Products Japan Kk 情報処理装置
WO2001016821A2 (en) * 1999-09-01 2001-03-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tribution system, semiconductor memory card, receiv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receiving method
JP4352523B2 (ja) * 1999-09-10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
JP3808673B2 (ja) 1999-12-02 2006-08-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著作物ファイル管理装置
US6496802B1 (en) * 2000-01-07 2002-12-17 Mp3.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electronic works
CA2373641C (en) * 2000-03-09 2010-07-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nagement apparatus, edit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udio data playback management system including management apparatus, edi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3281920B2 (ja) * 2000-03-14 2002-05-13 東北大学長 アリルフラン化合物の製造方法
KR20020018011A (ko) * 2000-08-29 2002-03-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제어방법, 시스템, 컨텐츠의유통제어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189824C (zh) * 2001-05-31 2005-02-16 日本胜利株式会社 内容的复制管理方法、记录重放装置和重放装置
JP3861625B2 (ja) * 2001-06-13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JP3778009B2 (ja) * 2001-06-13 2006-05-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管理方法
JP3719396B2 (ja) * 2001-07-02 2005-11-24 ソニー株式会社 機器制御方法、データ転送装置、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37770B2 (en) 2008-10-14
JP2002373118A (ja) 2002-12-26
KR100906859B1 (ko) 2009-07-08
EP1403769A4 (en) 2007-08-15
EP1403769A1 (en) 2004-03-31
WO2002103530A1 (fr) 2002-12-27
CN1465010A (zh) 2003-12-31
JP3809779B2 (ja) 2006-08-16
CN1231848C (zh) 2005-12-14
US20040010468A1 (en) 2004-01-15
CA2419657A1 (en) 2003-02-12
AU2002306383B2 (en) 2008-06-05
CA2419657C (en) 2011-12-20
RU2289844C2 (ru)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859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010102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식별자 생성 방법
JP3861625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CN101053030B (zh) 数据处理方法、信息记录介质制造管理***、记录数据生成设备和方法、以及计算机程序
JP3770101B2 (ja) データ転送方法、転送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
KR100897966B1 (ko)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
JP4277869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002372976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課金処理方法
JP430044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3178201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4337811B2 (ja) データ記録装置
MXPA0001010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