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838A -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838A
KR20030022838A KR1020030011467A KR20030011467A KR20030022838A KR 20030022838 A KR20030022838 A KR 20030022838A KR 1020030011467 A KR1020030011467 A KR 1020030011467A KR 20030011467 A KR20030011467 A KR 20030011467A KR 20030022838 A KR20030022838 A KR 20030022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문철
김경수
김종남
김희정
하명환
정병희
이범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Priority to KR102003001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2838A/en
Publication of KR2003002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838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media service system,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based on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are provided to supply contents including an intention of an author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 user, terminal, network resources, environment and so on in a general multimedia access and consumption environment. CONSTITUTION: A contents consumption monitoring block(202) extracts a contents consumption history by monitoring transformation(adaptation) contents consumption form received from a user interface and presentation block. The extracted contents consumption history is accumulated and stored in a contents consumption history storing block(204) with a previous contents history. A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lculation block(206) calculates a predetermin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a genre, a player, a channel, a contents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principal contents consumption time, a contents consumption method, a band 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e number of network users, etc. based on an accumulated statistics value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consumption of a user. The calculat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stored in a memory as meta data. Thus, the user receives transformation(adaptation) contents using automatically calculat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r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selected and inputted by the user.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TECHNICAL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universal multimedia access) 환경에서 사용자의 특성, 사용자 단말 특성, 사용자 환경 및 네크워크 자원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컨텐츠를 가공 및 제어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nd provides content in consideration of user characteristics,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user environment, and network resources in a universal multimedia access environment, thereby processing and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s provider and the user's intention. A multimedia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suitable for control,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기존의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환경은 사용자 특성, 사용자 환경, 단말 특성 및 네트워크 자원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오디오(음성 및 음향)/비주얼/텍스트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여 단순히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변환 컨텐츠를 랜더링(재생)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때, 컨텐츠 제공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환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어떠한 형태로 랜더링(재생)될 것인가 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또한, 일 예로서 데이터 방송 등에서와 같이, 고정된 규격에 맞추어진 컨텐츠와 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표준 규격의 컨텐츠를 랜더링하여 소비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Existing general-purpose multimedia access environment performs conversion of audio (voice and sound) / visual / text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by considering user characteristics, user environment, terminal characteristics, network resources, and the like, and simply transmits the converted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Rendering (playing) has become mainstream. In this case, a method of rendering (reproducing) the converted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content provider or the user is not defined. In addition, as an example, as in data broadcasting, a form that consumes the content of a standard standard by rendering the content and a program processing the same to a fixed standard and a program for processing the same is consumed.

따라서, 상기한 종래 방식은 변환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 한 후, 컨텐츠 제공자 또는 컨텐츠 사용자의 의도대로 변환(적응) 컨텐츠를 랜더링하기 위한제어 방법이 고려되지 않고 단순히 변형(적응)된 컨텐츠를 단순 재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자 및 사용자 의도를 구체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simply transfers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nd then simply considers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without considering a control method for rendering the converted (adapted) content as intended by the content provider or the content user. Because it is a playback method,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specifically reflect a content provider and a user's intention.

또한, 데이터 방송 컨텐츠와 같은 대화형 컨텐츠는 정형화된 컨텐츠 규격에 의해 저작된 컨텐츠만을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셋톱박스 등)에 전송하여 실행 및 랜더링하기 때문에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환경하에서 다양한 사용자 특성과 단말 특성 그리고 네트워크 자원 등을 고려한 단말에서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interactive content such as data broadcasting content transmits and executes only content authored according to a standardized content standard to a user terminal (for example, set-top box), various user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under a general multimedia access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be used in a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erminal characteristics and network resourc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및 소비 환경하에서 사용자의 특성, 단말 특성, 네트워크 자원, 사용자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저작자의 의도를 반영한 컨텐츠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network resources, user environment characteristics, etc. under the universal multimedia access and consumption environment, the intention of the content author in the user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edia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to realize the reflected content ser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및 소비 환경하에서 사용자의 특성, 단말 특성, 네트워크 자원, 사용자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저작자의 의도를 반영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rd a program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reflecting the intention of the content creator in the user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network resources, user environment characteristics, etc. in a general multimedia access and consumption environment, It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를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content service system having a content server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service using a network, wherein the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Means for generating information and registering it as metadata; Means for 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of the contents; Means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a remote content server using the network; Means for analyzing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Means for modifying (adapting) service request conten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Means for modifying (adapt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using the network; And means for reproduc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service using a network, wherein the user meta data is generated by 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gistering with data; Generating a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ever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s is ma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Analyz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received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and modifying (adapting) i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play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서비스 요청 컨텐츠를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service using a network, wherein the user is an optional user. Generating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user metadata; Generating a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ever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s is ma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Analyz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received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modifying (adapting) i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Drawing out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corresponding to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modifying (adapting) i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content service system having a content server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using a network. Means for generating information and registering it as metadata; Means for 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of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remote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Means for 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and transmitting the service request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Means for analyzing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request content; Means for 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Means for 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means for reproduc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erv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service using a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generating metadata; To register with; 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each time there is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remote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and transmitting the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nalyzing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request content; 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play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 on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service using a network. Generating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metadata; 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each time there is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remote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and transmitting the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nalyzing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request content; 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한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content service system having a content server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using a network,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optional user terminal Means for genera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it as metadata; Means for 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of the contents; Means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a remote content server using the network; Means for analyzing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s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be serviced, based on various types of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Means for having a program and selecting a corresponding one of a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Means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using the network; And a means for reproducing the selected modifi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selected modified content adaptation program.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erv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service using a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nd storing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s based on various types of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user metadata; Generating a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ever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s is ma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Analyz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received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a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s a service targe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ransmitt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reproduc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Provide a servic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serving a multimedia content on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using a network.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various types of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Generating and storing; 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user metadata; Generating a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ever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s is ma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Analyz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received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a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s a service targe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ransmitt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service system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소비를 모니터링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산출하는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onitoring content consumption and calculating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adaptive content rendering block shown in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10 : 사용자 단말110: user terminal

111 : 사용자 입력 블록111: user input block

112 :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 user metadata creation and management block

113 : 사용자 메타 데이터 전송 블록113: user metadata transmission block

114 :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수신 블록114: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receiving block

115 :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115: adaptive content decoding block

116 :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116: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decoding block

117 :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 adaptive content rendering block

118 :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 User Interface and Presentation Blocks

120 : 네트워크120: network

130 : 컨텐츠 서버130: content server

131 : 사용자 메타데이터 수신 블록131: user metadata receiving block

132 : 사용자 메타데이터 해석 블록132: user metadata interpretation block

133 : 컨텐츠 적응 블록133: content adaptation block

134 :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5 :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 content archiving block

136 :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port block

202 : 컨텐츠 소비 모니터링 블록202: content consumption monitoring block

204 :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 저장 블록204: Content consumption history storage block

206 : 사용자 특성 정보 계산 블록206: User property information calculation block

1171 : 복호 적응 컨텐츠 입력/적응 블록1171: Decoding Adaptive Contents Input / Adaptation Block

1173 : 복호 적응 컨텐츠 프로그램 입력/적응 및 실행 블록1173: Decoding adaptive content program input / adaptation and execution block

1341 :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 블록1341: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put block

1343 : 해석 사용자 메타 데이터 입력 블록1343: Analysis user metadata input block

1345 :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 입력 블록1345: Content processing program parameter input block

1347 :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7: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정형화된 컨텐츠 규격에 의해 저작된 컨텐츠와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셋톱박스 등)에 단순 전송하여 실행 및 랜더링 서비스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 특성, 사용자 단말 특성, 네트워크 자원, 사용자 환경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요청 받은 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적응)시키고, 또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어떠한 형태로 처리되어 소비될 것인가에 대한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하며, 이 변형(적응)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Unlik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of executing and rendering a service by simply transmitting a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written by a standardized content standard to a user terminal (for example, a set-top box), Based on user information on user characteristics,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network resources, user environment, etc., the original multimedia content requested for service is transformed (adapted)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user environment, and the content is processed and consumed by the user terminal in some form. By modifying (adapting) the original content processing program as to whether or not, and servicing the user with the modified (adapted) multimedia content and content processing program, it is eas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uch technical means. have.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것은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할 수도 있다.Here, the modification (adaptation) of the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may be executed in the content server system, or alternatively, may be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즉,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 변형하는(적응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는 수신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신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랜더링 하면 되고, 사용자 단말에서 변형하는(적응시키는) 경우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는 변형(적응)되지 않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측에서 사용자 정보(사용자 특성 정보 및 단말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킨 후 실행 및 랜더링을 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tent server system is modified (adapted), the user terminal may execute the received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render the received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user terminal may deform (adapt) the content. The content server system transmits the unmodified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and deforms (adapts) the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user information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side. After execution, it is executed and rendered.

또한, 사용자 특성은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의미하고, 사용자 단말 특성은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배터리 수명, 복/부호기, 프로그램 실행 환경, 단말 운영체제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거나 혹은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haracteristic refers to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genre, actor, channel, content consumption price, subject, content consumption time frame, content consumption method, bandwidth of the network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and the number of network users.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refers to information on a display size, color depth, battery life, decoder / encoder, program execution environment, terminal operating system, etc.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re inputted through a user interface or It can be input in such a way that it is automatically extracted and stored by the built-in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크게 구분해 볼 때, 사용자 단말(110), 네트워크(120) 및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을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service system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10, the network 120, and the content are broadly classified. Server system 130.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입력 블록(111),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 사용자 메타 데이터 전송 블록(113),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수신 블록(114),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115),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116),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을 포함하며,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은 사용자 메타 데이터 수신 블록(131),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 컨텐츠 적응 블록(133),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 및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유선 단말(예를 들면,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갖는 컴퓨터 등) 또는 무선 단말(예를 들면, 셀룰러 폰, PCS, PDA, IMT-2000, PDA 폰, 스마트 폰 등)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user input block 111, user metadata generation and management block 112, user metadata transmission block 113,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receiving block 114, and adaptive content. A decoding block 115, an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decoding block 116, an adaptive content rendering block 117, and a user interface and presentation block 118, wherein the content server system 130 includes a user metadata receiving block ( 131, user metadata analysis block 132, content adaptation block 133,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 content archiving block 135, and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port block 136. . Here,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 wired terminal (for example, a computer having a network connection means) or a wireless terminal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PCS, PDA, IMT-2000, PDA phone, smart phone, or the like). ).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블록(111)은, 예를 들면 다수의 숫자키, 기능키 등을 갖는 단말의 키패드, 터치 패드 또는 음성 인식기 등인 것으로, 특정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의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혹은 컨텐츠에대한 선호도(예를 들면, 선호 장르, 선호 배우, 선호 프로그램 컨텐츠 등) 및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선호도(예를 들면, 원본,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등)를 선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user input block 111 is, for example, a keypad, a touch pad, or a voice recognizer of a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numeric keys, function keys, and the like, and accesses a specific content server system to service desired content. Request preferences or select preferences for content (e.g., preferred genre, preferred actor, preferred program content, etc.) and preferences for content consumption (e.g., original, summary, text plot, synopsis, etc.) Performs the function of.

다음에,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은 사용자 입력 블록(111)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선택 선호도) 표현은 사용자가 선호 장르, 선호 배우, 선호 프로그램 컨텐츠 등의 사용자 특성 정보(선택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사용자 특성 메타 데이터로서 도시 생략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혹은 컨텐츠 소비가 발생할 때마다 그 소비에 대한 히스토리 모니터링을 통해 자동으로 산출되는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사용자 특성 메타데이터로서 도시 생략된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이나 혹은 미리 저장된 정보인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배터리 수명, 복/부호기, 프로그램 실행 환경, 단말 운영체제 등에 대한 단말 특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메타데이터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에서는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Next, the user metadata generation and management block 112 may express a preference (selection preference) expression for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user input block 111. Cumulative statistics of the content consumption history (optional user property information), which are stored in memory not shown as user property metadata as user property metadata, or automatically generated by history monitoring of the consumption each time content consumption occurs. Is stored as a user characteristic metadata in a memory not shown,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display size, color depth, battery life, decoder / encoder, program execution environment, terminal operating system, etc. of the terminal, which is a user's direct input or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As the metadata of the user terminal And Rie storage. To this end, the user metadata generation and management block 112 may include means for calculating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xample an apparatus as shown in FIG.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소비를 모니터링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산출하는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로서, 컨텐츠 소비 모니터링 블록(202),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 저장 블록(204) 및 사용자 특성 정보 계산 블록(206)을 포함한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onitoring content consumption to calculate arbitrar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onsumption monitoring block 202, the content consumption history storage block 204, and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lculation are shown in FIG. Block 206.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소비 모니터링 블록(202)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변형(적응) 컨텐츠 소비 형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며, 이와 같이 추출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는 이전의 컨텐츠 히스토리와 함께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 저장 블록(204)에 누적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ent consumption monitoring block 202 extracts the content consumption history by monitoring the user's modified (adapted) content consumption for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interface and the presentation block 118 of FIG. 1. The content consumption history extracted as described above is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content consumption history storage block 204 together with the previous content history.

다음에, 사용자 특성 정보 계산 블록(206)에서는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에 대한 누적 통계치에 기반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 예를 들면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등과 같은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며, 이와 같이 계산된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메타 데이터로서 도시 생략된 메모리에 저장된다.Next, i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lculation block 206,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content main time frame, and a content based on cumulative statistics on a user's content consumption, is used.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a consumption scheme, a bandwidth of a network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e number of network users, and the like is calculated, and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as metadata.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산출되는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변형(적응)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혹은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변형(적응)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desired modified (adaptive) content by using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utomatically calculated based on the content consumption history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or the user selectively inputs the user. The desired modified (adapted) content can be provided us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한편,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으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저장된 대응 메타 데이터를 인출하여 사용자 특성(또는 사용자 선택 선호도) 및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 후 사용자 메타 데이터 송신 블록(113)으로 전달한다.Meanwhile, the user metadata generation and management block 112 retrieves the corresponding metadata stored when there is a service request of a specific content from the user interface and the presentation block 118, so as to display user characteristic (or user selection preference)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fter generating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a and transmits to the user metadata transmission block 113.

따라서, 사용자 메타 데이터 송신 블록(113)에서는 이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환(변조)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내 사용자 메타 데이터 수신 블록(131)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120)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이거나 혹은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etadata transmission block 113 converts (modulates)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he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nto a signal capable of being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ly, and converts the content server through the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120. To the user metadata receiving block 131 in the system 130. Here, the network 120 may be a wired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or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다른 한편,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은 사용자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원 컨텐츠와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환(적응(adaptation))시켜 변환(적응) 컨텐츠 및 변환(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변환(적응) 컨텐츠 및 변환(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server system 130 converts (adapts) and converts (adapts)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original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user metadata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user metadata information. ) Creates a content and a transform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ransformed (adapted) content and a transform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120.

즉, 사용자 메타 데이터 수신 블록(131)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역변환(복조)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으로 전달한다.That is, the user metadata receiving block 131 inversely transforms (demodulates)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he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120 into original data, and then analyzes the user metadata. To pass.

다음에,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은 전송된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컨텐츠 적응 블록(133)과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으로 각각 전달한다.Next, the user metadata analysis block 132 analyzes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transmitted user characteristic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converted into the content adaptation block 133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 To each).

이에 응답하여, 컨텐츠 적응 블록(133)에서는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으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인출하고,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에 맞게 컨텐츠를 변형(적응), 즉 해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과 적응 컨텐츠 및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를 변형 처리한 후 다음 단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하고, 또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에서는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또는 컨텐츠 소비 방식 선호도에 기반한)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하고, 사용자 단말 특성 및 사용자 정보에 맞게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 즉 해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과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를 변형(적응) 처리한 후 다음 단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한다.In response, the content adaptation block 133 fetches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from the content archiving block 135 and transforms (adapt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content preference, that is, the interpreted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and adaptation. Based on the network contex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the content is transform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of the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and also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In block 134,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for the content consumption method requested by the user (or based on the content consumption method preferences) is fetched from the content archiving block 135,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is adapted to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information. Transformation (adaptation), ie interpreted user characteristics and After the content is transformed (adap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network contex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it is transmitted to the next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To pass.

여기에서,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저장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판독, 저장 및 갱신 등을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Here, the content archiving block 135 includes a database storing the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nd means for managing the reading, storing, and updating of the stored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보다 상세하게, 컨텐츠 적응 블록(133)에서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자원, 사용자 특성(선호 장르, 선호 배우, 선호 프로그램 컨텐츠 등의 사용자 컨텐츠 선호도와 원본,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등의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선호도) 및 사용자 단말 특성(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배터리 수명, 복/부호기, 프로그램 실행 환경, 단말 운영체제 등)을 고려하여 원 컨텐츠에 대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ontent adaptation block 133, the user's content preferences such as bandwidth resources, user characteristics (preferred genres, preferred actors, preferred program content, etc.) and preferences for content consumption methods such as original, summary, text plot, synopsis, etc. )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content in consideration of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display size, color depth, battery life, decoder / encoder, program execution environment, terminal operating system, etc.) of the user.

또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또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한 컨텐츠 소비 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컨텐츠를 변형시킨다. 여기에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적응 컨텐츠를 랜더링하여 출력 장치를 통해 의도된 형태로 프리젠테이션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시놉시스와 함께 몇 장의 이미지로 축약된 요약본 방식으로 소비하고자 할 때 컨텐츠 적응 블록(133)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해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말 내장 부/복호기 등을 고려하여 한 화면에 랜더링될 수 있는 이미지 사이즈와 개수 그리고 텍스트의 양을 변형하고,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은 이렇게 변형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서 슬라이드 쇼 나 트리뷰 형태로 요약본이 랜더링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의 변형을 수행한다. 이렇게 변형된 적응 컨텐츠와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이 함께 단말에 전송되어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의도된 방식(슬라이드 쇼 또는 트리뷰 형식의 요약본 프리젠테이션)의 컨텐츠 소비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 modifi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consumption method selected by the user or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Here,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refers to an application in the form of a program that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o render the adaptive content to be presented in the intended form through the output device.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consume a specific content in a summary form abbreviated as several images together with synopsis, the content adaptation block 133 may include the bandwidth of the network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e display siz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terminal built-in. The size and number of images that can be rendered on one screen and the amount of text are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an encoder / decoder,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 converts the modified contents into a slide show or a tree view in a user terminal. The summary is then transformed into a program that can be rendere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re transmitted together to the terminal, thereby enabling the consumption of content in the intended manner (summary presentation in the form of a slide show or tree view) by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로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 블록(1341), 해석 사용자 메타 데이터 입력 블록(1343),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 입력 블록(1345),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7)을 포함한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illustrated in FIG. 1, which includes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put block 1342, an analysis user metadata input block 1343,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parameter input block 1345,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parameter input block 1345. And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7.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 블록(1341)은 도 1의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으로부터 해당 컨텐츠 랜더링을 위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입력받아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7)에 전달하고, 해석 사용자 메타 데이터 입력 블록(1343)은 도 1의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으로부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 입력 블록(1345)으로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put block 1341 receives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for content rendering from the content archiving block 135 of FIG. 1 and delivers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7, and analyzes the user. The metadata input block 1343 receives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metadata analysis block 132 of FIG. 1 and delivers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parameter input block 1345.

다음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 입력 블록(1345)은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정보로부터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환(적응)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추출하여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7)으로 전달하며,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7)은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도 1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할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한 변환(적응)을 수행하며, 이와 같이 변환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은 도 1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된다.Next,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parameter input block 1345 extracts the parameters required for the conversion (adaptation) of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from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fers them to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7, and adapts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The block 1347 extracts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ceives network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of FIG. 1 and converts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be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converted in this way is transferred to the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of FIG.

한편,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은,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수집 및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적응 블록(133)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으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마다 수집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컨텐츠 적응 블록(133)과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으로 전달하고, 컨텐츠 적응 블록(133)과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된(변형된) 컨텐츠와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 가능한 신호 데이터로 변환(변조)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내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수신 블록(114)으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collects and monitors network status information to collect network status information each time a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adaptation block 133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adaptation block 133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 and adapted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ent adaptation block 133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 Convert (modulate) the (modified)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to signal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ly and transmit the modified content and the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receiving block 114 in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120. do.

다른 한편, 사용자 단말(110) 내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수신 블록(114)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전송 받은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변형된(적응된) 컨텐츠와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환(변조) 전의 원 컨텐츠로 역변환(복조)하며, 이와 같이 역변환된 적응 컨텐츠(또는 변형 컨텐츠)는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115)으로 전달되고, 역변환된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또는 변형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은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116)으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receiving block 114 in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120. Is inversely transformed (demodulated) into original content before conversion (modulation), and the inversely transformed adaptive content (or modified content) is transferred to the adaptive content decoding block 115, and the inversely transform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or modifi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Are passed to the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decoding block 116.

다음에,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115)은 역변환된 적응 컨텐츠를 복호하여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으로 전달하고,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116)은 역변환된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복호하여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으로 전달한다.Next, the adaptive content decoding block 115 decodes the inverse transformed adaptive content and delivers it to the adaptive content rendering block 117, and the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decoding block 116 decodes the inverse transform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dapt the adaptive content. Transfer to rendering block 117.

이에 응답하여,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에서는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된 변형 컨텐츠에 대해 변형된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랜더링을 수행하며, 이러한 랜더링 수행 결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으로 전달되어 재생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방식 선호도 또는 요청에 맞게 전달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실행 결과로 원 컨텐츠의 요약본을 시놉시스와 함께 몇 장의 이지미로 하여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시킨다.In response to this, the content rendering block 117 executes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on the modified modified content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he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perform rendering, and the result of the rendering is performed by the user interface and the presentation. Passed to block 118 is played. For example, as a result of executing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delivered according to a user's content consumption method preference or request, a summary of the original content is reproduced in a slide show form with several images together with synopsis.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로서,복호 적응 컨텐츠 입력/처리 블록(1171)과 복호 적응 컨텐츠 프로그램 입력/적응 및 실행 블록(1173)을 포함한다.FIG.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adaptive content rendering block shown in FIG. 1, and includes a decoded adaptive content input / processing block 1171 and a decoded adaptive content program input / adaptation and execution block 1173.

도 4를 참조하면, 복호 적응 컨텐츠 입력/처리 블록(1171)은 도 1의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115)으로부터 제공되는 복호된 적응 컨텐츠(또는 복호된 변형 컨텐츠)를 입력받아 복호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적응 및 실행 블록(1173)으로 전달하고, 복호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적응 및 실행 블록(1173)은 다시 도 1의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116)으로부터 제공되는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또는 변형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과 도 1의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입력 랜더링을 수행하며, 그 랜더링 결과를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으로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4, the decoded adaptive content input / processing block 1171 receives decoded adaptive content (or decoded modified content) provided from the adaptive content decoding block 115 of FIG. 1, and inputs a decod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adaptation / execution block 1173, and the decoding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put / adaptation and execution block 1173 is again provided from the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decoding block 116 of FIG. Content rendering program) and input render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metadata generation and management block 112 of FIG. 1, and the rendering result is displayed in the user interface and presentation block of FIG. To (118).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택 지정한 선택 선호도(사용자 특성 정보)나 혹은 서비스 이용한 컨텐츠의 누적 통계(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추출된 임의 선호도에 의거하여 원하는 변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이미지/오디오/비디오/텍스트 컨텐츠 등), 즉 자신의 관심도를 반영하여 변형한 컨텐츠를 재생 서비스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의미적인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증진은 물론 및 다양한 사용자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can modify the desired preference based on the selected preferenc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or the random preference automatically extracted based on the cumulative statistics (arbitrar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ntent used by the service. Multimedia content (image / audio / video / text content, etc.), that is, content that has been modified to reflect one's own interest, can be provided for playback service so that users can not only increase convenience (meaning universal multimedia access) but also various users Can effectively meet service needs.

한편,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소비 방식에기반하여 원 컨텐츠와 이를 특정 소비 방식에 맞게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며, 이 변형된 컨텐츠와 맞게 변형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하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특정 기기에 장착 또는 탑재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등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판독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ence for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of a user is generated,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specific consumption method based on the generated content consumption method of the user ( And a program or algorithm serving a service by transmitting the modifi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modified content can be used by recording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mounted or mounted on a specific device. Can be read using.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임의의 단말 사용자가 사용자 특성 정보와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요청할 때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 메타 데이터에 의거하여 원 컨텐츠 및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고, 이와 같이 변형된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서비스를 요청할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서버 시스템이 아닌 사용자 단말 측에서 메타 데이터에 의거하여 원 컨텐츠 및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terminal user requests a content service using metadata including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content server system processes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original content based on the metadata. Although the program has been described as being modified (adapted)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r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is not a content server system. Of course, th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modify (adapt)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original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metadata.

이 경우, 컨텐츠 서비스를 요청할 때 사용자 단말(110) 측에서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 측으로 사용자 특성 정보와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내의 컨텐츠 적응 블록(133)과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에서는 원 컨텐츠 및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지 않고 그대로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한다. 즉,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에서는 변형되지 않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transmit metadata including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10 side to the content server system 130 when requesting a content service, and the content adaptation block in the content server system 130. 133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daptation block 134 transfer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original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without modification (adaptation). That is, the content server system 130 transmits the unmodified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110.

한편, 사용자 단말(110)내의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에서는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랜더링하기 전에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으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 즉 컨텐츠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정보와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며, 이와 같은 변형 후에 변형(적응)된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형(적응)된 적응 컨텐츠를 랜더링하게 되며, 그 결과 사용자는 메타 데이터에 따라 변형된 컨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구성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daptive content rendering block 117 in the user terminal 110 corresponds to the metadata provided from the user metadata generation and management block 112, that is, the content service request before rendering the content using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Metadata including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analyzed to modify (adapt) the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nd then adapt (content) the modified content using the modified (adapt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fter such modification. As a result, the user can receive the modified content according to the metadata. To this end, the adaptive content rendering block 117 has a configuration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3 and that modifies (adapts) the receiv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parameters.

더욱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컨텐츠의 서비스를 요청할 때 자신의 단말이 아닌 제3의 단말(임의의 단말)을 지정하고, 이 단말 지정 정보를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삽입하여 컨텐츠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컨텐츠 서버 시스템이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단말로 변형 컨텐츠와 변형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또는 변형되지 않은 원 컨텐츠 및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designates a third terminal (arbitrary terminal) instead of its own terminal when the user requests the service of the content, inserts the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into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and delivers it to the content server system. The content server system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modified content and the modifi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or unmodified original content and original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ny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의 하나로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분석(해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서비스를 요청받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킨 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하고자 하는 각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형태로 미리 변형(적응)시켜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메타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서비스 요청받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저장된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바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변형 실시 예)으로 서비스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meta data is analyzed (interpreted), and the content an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hat has requested the servi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modified (adapted) and then transmitted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each content an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be service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meta data, it is stored in memory in advance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tored (adapted) contents and modified (adapte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requested by the service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Select one of the programs Of course, the service can also be transmitted in a manner of transmission to the user terminal (modified embodiment).

즉, 본 변형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각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켜 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에 준비(저장)해 두고,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으로부터 점선 라인 L11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의 분석 결과가 제공되면,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에서는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한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동일하거나 혹은 가장 유사한 특성 정보를 갖는 변형 컨텐츠 및 변형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를 선택 및 인출하여 점선 라인 L13을 통해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한다.That is, in this modified embodiment, a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s and modifications that have been previously modified (adapted) for each content an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be serviced based on various types of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daptation) When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is prepared (stored) in the content archiving block 135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dotted line L11 is provided from the user metadata analysis block 132, In the content archiving block 135, one of the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having the same or the most simil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Select and withdraw the modified content and the modifi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따라서,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에서는 점선 라인 L13을 통해 전달받은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처리 프로그램을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10)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110)에서 전송받은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ly, in the adaptive content an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ssion block 136, the selected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tted through the dotted line L13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120.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performs service processing through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overlapping descriptions, Omit.

또한, 본 변형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원하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시켜 컨텐츠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 이를 해석하여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modified embodiment,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y desired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server system, and the selected content is interpreted by the content server system. Of course, th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able) content processing program can be serviced by any user terminal designated by the service request user through the network.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bran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형화된 컨텐츠 규격에 의해 저작된 컨텐츠와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에 단순 전송하여 실행 및 랜더링 서비스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 특성, 사용자 단말 특성, 네트워크 자원, 사용자 환경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요청 받은 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시키고, 또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어떠한 형태로 처리되어 소비될 것인가에 대한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하며, 이 변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함으로써,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및 소비 환경하에서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 및 사용자 단말의 특성 그리고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하여 컨텐츠 제공자의 의도된 형태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의미적인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aforementioned conventional method of simply transmitting the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created by the standardized content standard to the user terminal for execution and rendering service, the user characteristics,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Modifies the original multimedia content requested for servic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on network resources, user environment, etc.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user environment, and changes the original content processing program on how the content is processed and consumed in the user terminal. By providing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and contents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he contents can be adjusted by reflecting various user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erminal, and user's preference for the contents consumption method in a general multimedia access and consumption environment. Since Confucius's intended form of content providing services is possible, not only can the user's ease of use (meaning universal multimedia access) be enhanced, but also the various types of user service needs can be effectively satisfied.

Claims (49)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A content service system having a content server that provides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service using a network,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Means for 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it as metadata;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Means for 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of the contents;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Means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a remote content server using the network;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Means for analyzing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를 변형(적응)시키는 수단;Means for modifying (adapting) service request conten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Means for modifying (adapt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Means for transmitting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using the network; And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omprising means for reproducing the modifi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content adaptation progr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topic, a main content consumption time period,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a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etwork user. User-based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the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numb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The multimedia content of claim 2, wherei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erminal display size, a color depth, a sub / decoder characteristic, a battery life, an operating system, and a program execution environment.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Adaptive / Proces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의 컨텐츠 소비 방식은, 컨텐츠 원본, 원본 일부분,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consumption method of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ontent source, a part of an original, a summary, a text plot, and synopsis.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변형(적응)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modification (adaptation) means is: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하는 수단;Means for withdrawing the service request content and content processing program from content and content processing program storage means;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인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수단; 및Means for extracting a parameter necessary for modifying the extrac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from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And means for modifying (adapting) the extrac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extracted parameters and network context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재생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aid modified (adapted) content playback means comprises: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입력/선택하고,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을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수단;Means for inputting / selecting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a service request of content;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수단;Means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user metadata;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Means for 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metadata according to a service request of a us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the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각각 복호하는 수단; 및Means for decod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respectively received via the network; And 상기 복호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복호된 변형(적응) 컨탠츠를 랜더링하여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And means for rendering the decoded deformed (adaptive) content using the decoded deform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nd play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 발생 수단은, 키패드, 터치 패드 또는 음성 인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7. The multimedi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anipulation signal generating means is a keypad, a touch pad, or a voice recognizer.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이고,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8. A use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and the network is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ultimedia service system based on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시스템.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es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and wherein the content server is adapted to the modification (adaptation) when the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 content and a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arbitrary user terminal.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The servic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system comprises: 재생되는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는 수단;Means for monitor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be reproduced to extract a content consumption history; 상기 추출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수단;Means for storing the extracted content consumption history; 상기 저장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에 의거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는 수단; 및Means for calculating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cumulative statistics of the stored content consumption history; And 상기 계산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And a means for registering the calculat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the user metadata. The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rbitrar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content main consumption time period,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a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umber of network users. User-based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omprising one or more combinations.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using a network,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user metadata;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Generating a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ever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s is ma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Analyz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received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and modifying (adapting) i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Transmitt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And play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main content consumption time period,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a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etwork user.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using a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numb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The multimedia content of claim 13, wherei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erminal display size, a color depth, a sub / decoder characteristic, a battery life, an operating system, and a program execution environment.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using adaptation / processing.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의 컨텐츠 소비 방식은, 컨텐츠 원본, 원본 일부분,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ent consumption method of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ontent source, a part of an original, a summary, a text plot, and synopsis. 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rvice method is: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인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과정; 및Extracting a parameter necessary for modifying the extrac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from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And modifying the extrac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extracted parameters and network context information.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선또는 무선 단말이고,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17. The use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6,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and the network is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ultimedia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17.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6, wherein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es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and wherein the content server is configured to modify the adaptation when the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 content and a modified (adaptabl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arbitrary user terminal.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rvice method is: 재생되는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과정;Extracting and storing a content consumption history by monitoring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상기 저장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에 의거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 및Calculating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statistics of the stored content consumption history; And 상기 계산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And registering the calculat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the user metadata.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arbitrar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content main consumption time period,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a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umber of network users.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omprising one or more combinations.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using a network,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user metadata;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Generating a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ever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s is ma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Analyz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received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서비스 요청 컨텐츠를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modifying (adapting) i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Drawing out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corresponding to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modifying (adapting) i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Transmitt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nd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main content consumption time period,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a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etwork user. And at least one of a numb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The computer of claim 22, wherei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erminal display size, a color depth, a sub / decoder characteristic, a battery life, an operating system, and a program execution environment. Readable recording mediu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A content service system having a content server that provides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service using a network,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Means for 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it as metadata;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Means for 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of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remote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Means for 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and transmitting the service request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Means for analyzing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request content;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변형시키는 수단;Means for modifying the received content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및Means for 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omprising means for reproduc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The network of claim 24, wherei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content consumption time frame,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a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etwork user.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numb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The multimedia content of claim 25, wherei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erminal display size, a color depth, a sub / decoder characteristic, a battery life, an operating system, and a program execution environment.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Adaptive / Processing.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의 컨텐츠 소비 방식은, 컨텐츠 원본, 원본 일부분,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ontent consumption method of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ontent source, a part of an original, a summary, a text plot, and synopsis.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변형(적응) 수단은: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means for modifying (adapting)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is: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형(적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수단; 및Means for extracting a parameter necessary for 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from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And means for 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extracted parameters.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선또는 무선 단말이고,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29. The use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8,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and the network is a wired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or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ultimedia service system based on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2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8, wherein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es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and wherein the content server processes the content and content when the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wherein the program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29. The service system of any of claims 24 to 28, wherein the service system is: 재생되는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는 수단;Means for monitor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be reproduced to extract a content consumption history; 상기 추출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수단;Means for storing the extracted content consumption history; 상기 저장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에 의거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는 수단; 및Means for calculating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cumulative statistics of the stored content consumption history; And 상기 계산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And a means for registering the calculat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the user metadata. The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arbitrar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content main consumption time period,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a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umber of network users. User-based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omprising one or more combinations.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using a network,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metadata;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each time there is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remote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and transmitting the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Analyzing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request content;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및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And a method for reproduc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 content genre, actor, channel, content consumption price, theme, content main time zone, content consumption method,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etwork user.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using a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numb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The multimedia content of claim 34, wherei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erminal display size, a color depth, a sub / decoder characteristic, a battery life, an operating system, and a program execution environment.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using adaptation / processing.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의 컨텐츠 소비 방식은, 컨텐츠 원본, 원본 일부분,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content consumption method of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ontent source, a part of an original, a summary, a text plot, and synopsis. 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service method is: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형(적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과정; 및Extracting a parameter necessary for 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from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And 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extracted parameters.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이고,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38. The use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3 to 37,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and the network is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ultimedia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38.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3 to 37, wherein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es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and wherein the content server processes the content and content when the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Use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using the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38. The method of any of claims 33 to 37, wherein the service method is: 재생되는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과정;Extracting and storing a content consumption history by monitoring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상기 저장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에 의거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 및Calculating an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statistics of the stored content consumption history; And 상기 계산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And registering the calculat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the user metadata.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41. The method of claim 40, wherein the arbitrar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content consumption time frame,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a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umber of network users.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omprising one or more combinations.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using a network,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metadata;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each time there is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remote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Retrieving a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and transmitting the service request content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Analyzing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request content;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및Modifying (adapting) the received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z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nd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genre, an actor, a channel, a content consumption price, a subject, a main content consumption time period, a content consumption method, a bandwidth of a network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etwork user. And at least one of a numb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45. The computer as claimed in claim 43, wherei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display size, color depth, sub / decoder characteristics, battery life, operating system, and program execution environment. Readable recording mediu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A content service system having a content server that provides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service using a network,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Means for 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it as metadata;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Means for generat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of the contents;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Means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user characteristic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a remote content server using the network;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Means for analyzing the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user characteristic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한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수단;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s and a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be serviced, based on various types of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Means for having a program and selecting a corresponding one of a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Means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using the network; And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And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omprising means for reproducing the selected modified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selected modified content adaptation program.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46. The apparatus of claim 45, wherein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es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and wherein the content server is configured to modify the selected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when the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system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wherein a processing program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using a network,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be serviced,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based on various types of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advance. Generating and storing a processing program;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user metadata;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Generating a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ever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s is ma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Analyz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received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과정;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a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s a service targe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Transmitt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User-specific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comprising the step of reproduc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Way.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48. The apparatus of claim 47, wherein the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es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and wherein the content server is configured to modify the selected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ive) content when the arbitrary user terminal design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 user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based multimedia service method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 / processing, wherein a processing program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using a network,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be serviced,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the modified (adapted) content based on various types of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advance. Generating and storing a processing program;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Generating optional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m as user metadata;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Generating a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correspond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ever a service request for contents is ma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to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Analyzing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content service request data including the received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과정;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modified (adaptive) content and a modified (adaptive) content process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ent processing program as a service targe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Transmitt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an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nd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ndering using the selected modified (adapted) content processing program.
KR1020030011467A 2003-02-24 2003-02-24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0300228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67A KR20030022838A (en) 2003-02-24 2003-02-24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67A KR20030022838A (en) 2003-02-24 2003-02-24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838A true KR20030022838A (en) 2003-03-17

Family

ID=2773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467A KR20030022838A (en) 2003-02-24 2003-02-24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2838A (e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621A1 (en) * 2004-08-31 2006-03-09 Epiontech Co., Ltd. System for automatically verifying mobile contents through ground-wired interne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670605B1 (en) * 2005-08-31 2007-01-17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0776799B1 (en) * 2005-12-02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amless real-time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WO2008062977A1 (en) * 2006-11-23 2008-05-29 Intromobile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omponent
KR100934088B1 (en) * 2004-12-09 2009-12-2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to a distribution network
WO2009157675A2 (en) * 2008-06-26 2009-12-30 (주) 아이티비엠지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interactive content service in ubiquitous environment
WO2009126009A3 (en) * 2008-04-11 2010-01-21 (주) 아이티비엠지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service of ubiquitous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940212B1 (en) * 2008-01-30 2010-02-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capable of offering adaptive contents and system thereof
US7698006B2 (en) 2002-10-15 2010-04-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ng audio signal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KR101017343B1 (en)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Method for encoding an interactive contents
KR101017345B1 (en)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Method for executing events of interactive contents
KR101017344B1 (en)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teractive content service and Ubiquitous server and terminal therefor
US7912457B2 (en) 2004-04-21 2011-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KR101258461B1 (en) * 2012-05-29 2013-04-26 주식회사 위엠비 Meta file geneating apparatus for heterogeneous device environment and adaptive contents servi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US8544043B2 (en) 2004-07-21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to content servers
KR101511137B1 (en) * 2012-06-28 2015-04-1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with resource recognition by synthesizing element services
US9853711B2 (en) 2007-10-04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8006B2 (en) 2002-10-15 2010-04-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ng audio signal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US9083538B2 (en) 2004-04-21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to a distribution network
US8472930B2 (en) 2004-04-21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US7912457B2 (en) 2004-04-21 2011-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US8544043B2 (en) 2004-07-21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to content servers
WO2006025621A1 (en) * 2004-08-31 2006-03-09 Epiontech Co., Ltd. System for automatically verifying mobile contents through ground-wired interne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934088B1 (en) * 2004-12-09 2009-12-2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to a distribution network
KR100670605B1 (en) * 2005-08-31 2007-01-17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0776799B1 (en) * 2005-12-02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amless real-time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WO2008062977A1 (en) * 2006-11-23 2008-05-29 Intromobile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omponent
US9853711B2 (en) 2007-10-04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KR100940212B1 (en) * 2008-01-30 2010-02-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capable of offering adaptive contents and system thereof
KR100987256B1 (en) * 2008-04-11 2010-10-12 (주) 아이티비엠지 App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in ubiquitous environment
WO2009126009A3 (en) * 2008-04-11 2010-01-21 (주) 아이티비엠지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service of ubiquitous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09157675A2 (en) * 2008-06-26 2009-12-30 (주) 아이티비엠지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interactive content service in ubiquitous environment
WO2009157675A3 (en) * 2008-06-26 2010-04-22 (주) 아이티비엠지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interactive content service in ubiquitous environment
KR101017344B1 (en)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teractive content service and Ubiquitous server and terminal therefor
KR101017345B1 (en)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Method for executing events of interactive contents
KR101017343B1 (en)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Method for encoding an interactive contents
KR101258461B1 (en) * 2012-05-29 2013-04-26 주식회사 위엠비 Meta file geneating apparatus for heterogeneous device environment and adaptive contents servi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511137B1 (en) * 2012-06-28 2015-04-1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with resource recognition by synthesizing element ser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342B2 (en) Efficient data distribution to multiple devices
KR1006217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a consumption based on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US7657563B2 (e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ased on user&#39;s preferences
US8510644B2 (en) Optimization of web page content including video
KR20030022838A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40079775A (en) Video management system
WO2011155350A1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method for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303085B2 (en) Content provision service system
KR201100477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KR101256932B1 (en) Method for contents playing
US201703167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word definitions based on user exposure
EP167291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texts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thereof
KR1011535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inuously pl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inuously play service ay service
US119564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delivering content assets
KR200900006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ook up contents
KR2005010179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program contents to users
US90494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cene clip, and record medium thereof
KR20040025098A (en) Adaptiv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Program Using Scene Description Language and Metadata
KR20090074643A (en) Method of offering a e-book service
JP2008060945A (e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08632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service using chosen-image
KR200800469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oving image
KR20120126164A (en) Contents play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110124642A (en) Contents play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JP2007172550A (en) Content transmitter, content receiver, and content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123

Effective date: 2007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