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981A - Method for failure management in digital cross-connect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failure management in digital cross-connec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981A
KR20030018981A KR1020010053604A KR20010053604A KR20030018981A KR 20030018981 A KR20030018981 A KR 20030018981A KR 1020010053604 A KR1020010053604 A KR 1020010053604A KR 20010053604 A KR20010053604 A KR 20010053604A KR 20030018981 A KR20030018981 A KR 20030018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item
list
state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981A/en
Publication of KR20030018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98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aging failure of a DCS(Digital Cross-connect System) is provided to configure a connection list for deciding and handling a failure state, and to prepare a task assuming charge of only a timer function, so as to acquire a correct time and improve a failure handling capacitance of the system. CONSTITUTION: A connection list for deciding and handling a failure state is configured and whether failure is generated is discriminated(ST21,ST22). If failure is generated, an item including a timer field is generated in the connection list(ST23). A value of the timer field of the generated item is periodically reduced, to discriminate whether the timer field value is below "0"(ST24,ST25). If so, the connection list is moved to a next item, and a memory of the previous item is released(ST26). And the list in the step ST21 includes a list for declaring a failure state for generated failure and a list for initial state declaration for the change from a failure state to a failure-free state.

Description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Method for failure management in digital cross-connect system}Method for failure management in digital cross-connect system

본 발명은 W/B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Wideband/Broadband Digital Cross-connect System, W/B DCS)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에서 신호의 장애 상태를 판단하고 처리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deband / broadband digital cross-connect system (W / B DC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crossover suitable for determining and processing a fault condition of a signal in a digital cross-connect system. It relates to a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the connection system.

일반적으로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DCS)은 DS1/T-1 회선이 DS0(64 kbps) 계층에서 전자적으로 다시 매핑(Mapping)될 수 있도록 해주는 설비로서, DACS(Digital Access and Cross-Connect System) 또는 DXS라고 불리기도 한다.In general, a digital cross-connect system (DCS) is a facility that allows DS1 / T-1 circuits to be electronically remapped at the DS0 (64 kbps) layer, and is a digital access and cross-connect system (DACS) or DXS. Also called.

그리고 W/B-DCS는 비동기 신호인 T1, E1, T3 및 동기식 신호인 STM-1(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 1, 동기 트랜스포트 모듈 1 (155.52Mbps)) 신호를 인터페이스해서 VC11, VC12 및 VC3 급 스위칭을 수행하는 W-DCS 기능과 동기식 STM-1, STM-4, STM-16 광신호 및 비동기식 DS3 전송신호를 접속하여 VC-3 및 VC-4 레벨에서 회선을 분배하는 SDH B-DCS의 기능에 W-DCS의 기능을 통합한 대용량 회선 분배 장치이다.The W / B-DCS interfaces the asynchronous signals T1, E1, T3, and the synchronous signals STM-1 (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 1, 155.52 Mbps) signals to switch VC11, VC12, and VC3. To the SDH B-DCS function that distributes lines at the VC-3 and VC-4 levels by connecting the W-DCS function to perform synchronous STM-1, STM-4, STM-16 optical signals and asynchronous DS3 transmission signals. It is a large-capacity line distribution device incorporating the functions of W-DCS.

그래서 W/B-DCS 8000 시스템의 경우 관리를 담당하는 CMF부와 인터페이스 및 적절한 분배를 담당하는 셀프부(Shelf part)로 나누어져 있다.Therefore, the W / B-DCS 8000 system is divided into the CMF department that manages and the self part that manages the interface and proper distribution.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여기서 참조번호 10은 CMF부이고, 20은 셀프부이며, 21은 스위칭부이고, 22는 입출력부이며, 23은 인터페이스부이고, 30은 장애처리부이다.Here, reference numeral 10 is a CMF unit, 20 is a self unit, 21 is a switching unit, 22 is an input / output unit, 23 is an interface unit, and 30 is a failure processing unit.

그래서 셀프부(20)는 회선분배를 담당하는 스위칭부(21)와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입출력부(22)로 구성된 공통부 랙과, 각각의 신호계위에 따라 처리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23)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랙으로 이루어져 있다.Therefore, the self unit 20 includes a common unit rack including a switching unit 21 for line distribution and an input / output unit 22 for overall management of the system, and an interface unit 23 for processing according to each signal level. It consists of an interface rack consisting of

이러한 WDCS-8000 시스템에서 회선에 대한 신호의 장애 처리는 각 입출력 셀프의 유닛트들이 담당하게 되는데, 입출력 셀프에 의해서 감시된 장애에 대하여 각 셀프의 MFU(Main Function Unit)는 장애에 대하여 판단을 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취해진 조치에 대해 CMF부(10)로 보고를 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장애 발생 및 해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 추가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In the WDCS-8000 system, the unit of each input and output unit is responsible for the fault handling of the line.The unit's main function unit (MFU) determines the fault and the Take action. And report to the CMF (10) the action taken to inform the operator of the occurrence and release of the failure to enable further processing.

도 2는 종래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a conventional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종류별, 신호 장애 항목별, 유니트별 플래그와 카운터를 설정한 다음 주기적으로 플래그를 읽고 카운터 값을 갱신시키는 단계(ST11)(ST12)와; 상기 갱신된 카운터 값을 감시하여 상태를 판별한 다음 각종 상태를 선언하는 단계(ST13)(ST14)를 수행한다.As shown therein, steps of setting a flag and a counter for each signal type, a signal failure item, a unit, and then periodically reading flags and updating a counter value (ST11) (ST12); The state of the updated counter is monitored to determine the state, and then the states ST13 and ST14 are performed.

도 3은 도 2에서 사용하는 상태천이도이고, 도 4는 도 2에 의한 장애관리 예를 보인 도면이다.3 is a state transition diagram used in FIG. 2,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failure management according to FIG. 2.

그래서 각 신호의 장애 항목들은 장애에 대한 처리를 하기 위하여 장애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Thus, the failure items of each signal determine the failure state in order to handle the failure.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가 지속되는 초기 상태(INIT)에서 어느 순간 장애가 검출되면 일정시간(발생 : 2.5초, 해제 : 10초) 동안 감시를 하여 그 시간을 기준으로 검출 상태(DETECT), 장애 상태(FAILURE) 상태 등을 선언하게 되고, 이에 해당되는 처리를 하게 된다.If a fault is detected at any moment in the initial state (INIT) where the fault does not occur, it is monitored for a certain time (occurrence: 2.5 seconds, release: 10 seconds) and based on that time, the detection state (DETECT), fault state ( FAILURE) status is declared, and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is performed.

여기서 검출 상태(DETECT)는 초기 상태(INIT)에서 장애가 검출되는 순간부터 장애 상태(FAILURE)가 선언되기 전까지의 상태로써, 장애가 지속되고 있는 상태이다.The detection state DETECT is a state in which a failure continues from the moment when the failure is detected in the initial state INIT until the failure state FAILURE is declared.

일정 시간 이상(발생 : 2.5초, 해제 : 10초) 검출 상태(DETECT)가 지속되면, 장애 상태(FAILURE)가 된다.If the detection state (DETECT) continues for a certain time or more (occurrence: 2.5 seconds, release: 10 seconds), a failure state (FAILURE) occurs.

장애 상태에서 일정 시간(10초) 장애가 해제되면, 장애 상태는 다시 초기 상태로 선언된다.If the fault is released for a certain time (10 seconds) in the fault state, the fault state is declared as the initial state again.

입출력 셀프들은 인터페이스 하는 신호에 대하여 신호 종류별, 신호 장애 항목별, 유니트별 플래그와 카운터를 둔다.I / O devices have flags and counters for each signal type, signal fault item, and unit for the signals they interface with.

그래서 장애 처리를 담당하는 태스크(Task)가 주기적으로 플래그를 읽고, 카운터 값들을 갱신한다.Thus, the task responsible for handling the fault periodically reads the flag and updates the counter values.

카운터 값들을 갱신함과 동시에 발생 상태 또는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장애 항목들에 대하여 카운터 값들을 감시하여 장애 상태(FAILURE)나 검출 상태(DETECT) 등을 선언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as updating the counter values, the counter values are monitored for fault items indicating an occurrence state or a release state to declare a fault state (FAILURE) or a detection state (DETEC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장애 상태를 감시하는 태스크가 장애 항목에 대하여 발생하든지 안하든지 항상 자기 주기마다 모든 장애 항목의 플래그와 카운터를 읽게 되어 장애 처리에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troubleshoot because the task of monitoring the failure state occurs for the failure item or not, and always reads the flags and counters of all the failure items at every cycle.

또한 일정 시간 동안 장애가 지속되는지 또는 장애가 해제된 상태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타이머 기능이 필요한데, WDCS-8000 시스템에서 타이머 기능은 장애 상태를 감시하는 태스크가 담당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이 태스크의 동작에 따라 타이머의 기능이 일정하게 되지 않을 수가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timer function is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ault persists for a certain time or the fault is released. In the WDCS-8000 system, the timer function is responsible for the task that monitors the fault condition.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function may not be constant.

더불어 장애 상태를 감시하는 태스크는 타이머 기능이 주가 아니고, 다른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균일하고 정확한 시간 카운팅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task that monitors the fault condition has a problem that the timer function is not the main, and it can not guarantee uniform and accurate time counting because it performs various other task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에서 신호의 장애 상태를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cross-link system that can determine and handle the signal failure state in the digital cross-link system.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애 상태 판단 처리용 연결리스트를 구성하고, 타이머 기능만을 담당하는 태스크를 두어 보다 정확한 시간을 획득하여 시스템의 장애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처리 속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connection list for processing fault status determination, and to provide a task that is only responsible for the timer function to obtain a more accurate time to improve the fault handling capacity of the system and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and st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aging a failure of a cross link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장애 상태 판단 처리용 연결리스트를 구성하고 장애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연결리스트에 타이머 필드가 포함된 아이템을 생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생성된 아이템의 타이머 필드 값을 주기적으로 감소시켜 타이머 필드 값이 "0" 이하가 되는지 판별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타이머 필드 값이 "0" 이하가 되면, 상기 연결리스트를 다음 아이템으로 옮기고 이전의 아이템의 메모리를 해제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A first step of constructing a connection list for failure status determination processing and determining whether a failure occurs; Generating an item including a timer field in the connection list when the failure occurs; A third step of periodically decreasing a timer field value of the generated item to determine whether a timer field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0"; When the timer field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0", the technical features include performing a fourth step of moving the connection list to the next item and releasing the memory of the previous item.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도 2는 종래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a conventional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도 3은 도 2에서 사용하는 상태천이도이다.3 is a state transition diagram used in FIG.

도 4는 도 2에 의한 장애관리 예를 보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failure management according to FIG. 2.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의한 장애관리 예를 보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failure management according to FIG. 5.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CMF부 20 : 셀프부10: CMF part 20: Self part

21 : 스위칭부 22 : 입출력부21: switching unit 22: input and output unit

23 : 인터페이스부 30 : 장애처리부23: interface unit 30: fault handling unit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technical concept of a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 상태 판단 처리용 연결리스트를 구성하고 장애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ST21)(ST22)와; 상기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연결리스트에 타이머 필드가 포함된 아이템을 생성하는 제 2 단계(ST23)와; 상기 생성된 아이템의 타이머 필드 값을 주기적으로 감소시켜 타이머 필드 값이 "0" 이하가 되는지 판별하는 제 3 단계(ST24)(ST25)와; 상기 타이머 필드 값이 "0" 이하가 되면, 상기 연결리스트를 다음 아이템으로 옮기고 이전의 아이템의 메모리를 해제시키는 제 4 단계(ST2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As shown therein, a first step (ST21) (ST22) for constructing a connection list for failure state determination processing and determining whether a failure occurs; A second step (ST23) of generating an item including a timer field in the connection list when the failure occurs; A third step (ST24) (ST25) of periodically reducing the timer field value of the generated item to determine whether the timer field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0"; If the timer field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0", a fourth step (ST26) of moving the connection list to the next item and releasing the memory of the previous item is performed.

상기에서 제 1 단계는, 장애에 대한 장애 상태 선언을 위한 리스트와 장애 상태에서 장애가 없는 상태로의 천이를 위한 초기 상태 선언을 위한 리스트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리스트를 구성하도록 동작한다.The first step above operates to construct the linked list, including a list for a fault state declaration for a fault and a list for an initial state declaration for transitioning from a fault state to a fault free state.

상기에서 제 2 단계는, 장애 발생 엔티티 정보, 장애 발생 시간, 상기 연결리스트의 넥스트 포인터(next pointer)를 더욱 포함하여 아이템을 생성한다.In the second step, the item is generated further including failure entity information, failure occurrence time, and next pointer of the connection list.

상기에서 제 3 단계는, 처음 감소할 때는 타이머가 기동된 시간에서 초기 클럭 값을 뺀 시간 만큼 감소되도록 하고, 이후에 감소할 때는 타이머의 주기 만큼 감소되도록 한다.In the third step, when the first time decreases, the time is decreased by the tim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initial clock value from the time at which the timer is star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은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에서 신호의 장애 상태를 판단하고 처리하고자 한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determine and process a fault state of a signal in a digital cross connection system.

도 6은 도 5에 의한 장애관리 예를 보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failure management according to FIG. 5.

그래서 W/B-DCS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의 기능은 유지 보수, 시스템 관리, 상호 접속, 성능 감시, 장애 처리 등의 기능을 처리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장애 처리 부분에 대한 타이머 기능에 관한 것이다.Thus, the function of the software in the W / B-DCS system is to handle functions such as maintenance, system management, interconnection, performance monitoring, fault handling,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mer function for the fault handling portion.

본 발명에서 타이머 기능은 연결리스트를 이용하여 처리되며, 장애에 대한 장애 상태 선언을 위한 리스트와 장애 상태에서 장애가 없는 상태로 천이된 초기 상태 선언을 위한 리스트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r function is processed using a linked list, and consists of a list for declaring a fault state for a fault and a list for initial state declaration transitioned from a fault state to a fault-free state.

정확한 시간 처리를 위하여 두 리스트를 제어하는 TimerHndr(Timer Handler) 태스크가 존재하고, 리스트의 제어를 위하여 d2fptr(detect to failure pointer), f2iptr(failure to init pointer)의 포인터를 둔다.There is a TimerHndr (Timer Handler) task that controls both lists for accurate time handling, and a pointer to d2fptr (detect to failure pointer) and f2iptr (failure to init pointer) for controlling the list.

또한 리스트의 첫 번째 아이템(Item)의 발생시간과 마지막 아이템의 발생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initClock 과 tailClock 변수를 둔다.It also has initClock and tailClock variables to store the occurrence of the first item in the list and the occurrence of the last item.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d2fptr은 포인터로서 장애 처리 태스크가 특정 엔티티(entity)에 발생한 장애가 없을 경우 널(Null)을 가리킨다.First, referring to FIG. 6, d2fptr is a pointer and indicates null when a failure processing task does not have a failure in a specific entity.

장애가 없는 상태가 지속되다가 특정 엔티티의 특정 장애 항목에서 장애가발생되면, 장애 상태 선언을 위한 리스트에 아이템(장애 발생 엔티티 정보, 장애 발생 시간, 연결리스트의 넥스트 포인터)이 추가가 되며, 널(Null)을 가리키던 d2fptr은 추가된 아이템을 가리키게 된다.If the fault-free condition persists and a fault occurs in a specific fault item of a specific entity, an item (fault entity information, fault time, next pointer in the linked list) is added to the list for the fault state declaration, and null. D2fptr was used to refer to the added item.

마찬가지로 다른 엔티티에서 특정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리스트에 존재하는 제일 마지막 아이템의 뒤에 새로운 아이템을 추가하고, 널을 가리키고 있던 이전 아이템의 넥스트 포인터가 마지막 아이템을 지시하도록 한다.Likewise, if a specific failure occurs on another entity, it adds a new item after the last item in the list, and makes the next pointer point to the last item that pointed to null.

d2fptr이 널이면, 현재 발생된 장애가 없다는 의미이며, 이 상태에서 장애가 발생되면 리스트에 아이템이 만들어진다. 이때 타이머 필드의 값은 특정값(장애 상태 선언의 기준이 되는 값 : 2.5초)이 된다.If d2fptr is null, there is no fault currently occurring. If a fault is encountered in this state, an item is created in the list.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timer field is a specific value (value that is the basis of fault status declaration: 2.5 seconds).

또한 initClock에 장애가 발생된 시간이 저장되고, tailClock에도 같은 값이 저장된다.In addition, the time when the failure occurred in initClock is stored, and the same value is stored in tailClock.

d2fptr이 지시하는 아이템의 타이머 필드 값은 "0" 이하가 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감소하도록 하는데, 처음 감소할 때는 (TimerHndr 이 기동된 시간 - initClock) 만큼 감소되도록 하며, 이후로는 TimerHndr의 주기 만큼 감소하도록 한다.The value of the timer field of the item indicated by d2fptr is periodically decreased until it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0", and when it is first decreased, it is decreased by (TimerHndr started time-initClock), and then it is decreased by the period of TimerHndr. Do it.

d2fptr이 지시하는 아이템의 타이머 필드 값이 "0" 이하로 되면, 장애 처리 태스크는 d2fptr을 다음 아이템으로 옮기고, 이전의 아이템의 메모리를 해제한다.When the timer field value of the item indicated by d2fptr becomes equal to or less than "0", the failure processing task moves d2fptr to the next item and releases the memory of the previous item.

두 번째 이후 아이템들의 타이머 값은 이전 아이템 값의 발생시간 값과의 차이인데, 아이템을 추가할 때 tailClock에 저장된 바로 이전 아이템의 발생 시간 값을 이용하여 계산한다.The timer value of the second and subsequent items is a difference from the occurrence time value of the previous item value. When adding an item, the timer value is calculated using the occurrenc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item stored in tailClock.

f2iptr은 장애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의 선언을 하기 위한 포인터로써, 그 동작은 d2fptr의 동작과 동일하다.f2iptr is a pointer for declaring the fault state from the initial state.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d2fptr.

이처럼 본 발명은 장애 상태 판단 처리용 연결리스트를 구성하고, 타이머 기능만을 담당하는 태스크를 두어 보다 정확한 시간을 획득하여 시스템의 장애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처리 속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 connection list for processing a failure state determination, and sets a task in charge of only a timer function to obtain a more accurate time, thereby improving failure handling capability of the system and improving processing speed and stabilit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은 장애 상태 판단 처리용 연결리스트를 구성하고, 타이머 기능만을 담당하는 태스크를 두어 보다 정확한 시간을 획득하여 시스템의 장애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처리 속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ault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cross-connec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 connection list for fault state determination processing, obtains a more accurate time by placing a task in charge of a timer function, and improves the fault handling capability of the syste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and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and stability.

Claims (4)

장애 상태 판단 처리용 연결리스트를 구성하고 장애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와;A first step of constructing a connection list for failure status determination processing and determining whether a failure occurs; 상기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연결리스트에 타이머 필드가 포함된 아이템을 생성하는 제 2 단계와;Generating an item including a timer field in the connection list when the failure occurs; 상기 생성된 아이템의 타이머 필드 값을 주기적으로 감소시켜 타이머 필드 값이 "0" 이하가 되는지 판별하는 제 3 단계와;A third step of periodically decreasing a timer field value of the generated item to determine whether a timer field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0"; 상기 타이머 필드 값이 "0" 이하가 되면, 상기 연결리스트를 다음 아이템으로 옮기고 이전의 아이템의 메모리를 해제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And a fourth step of moving the connection list to the next item and releasing the memory of the previous item when the timer field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장애에 대한 장애 상태 선언을 위한 리스트와 장애 상태에서 장애가 없는 상태로의 천이를 위한 초기 상태 선언을 위한 리스트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리스트를 구성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And configuring the connection list including a list for declaring a fault state for a fault and a list for initial state declaration for a transition from a fault state to a fault-free stat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ep, 장애 발생 엔티티 정보, 장애 발생 시간, 상기 연결리스트의 넥스트 포인터를 더욱 포함하여 아이템을 생성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And generating an item further including a failure entity information, a failure occurrence time, and a next pointer of the connection li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처음 감소할 때는 타이머가 기동된 시간에서 초기 클럭 값을 뺀 시간 만큼 감소되도록 하고, 이후에 감소할 때는 타이머의 주기 만큼 감소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차연결 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When the first decrease, the timer is reduced by the time that the timer has been subtracted from the start time, and when the decrease after that is performed to reduce by the period of the timer.
KR1020010053604A 2001-08-31 2001-08-31 Method for failure management in digital cross-connect system KR200300189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604A KR20030018981A (en) 2001-08-31 2001-08-31 Method for failure management in digital cross-connec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604A KR20030018981A (en) 2001-08-31 2001-08-31 Method for failure management in digital cross-connec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981A true KR20030018981A (en) 2003-03-06

Family

ID=2772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604A KR20030018981A (en) 2001-08-31 2001-08-31 Method for failure management in digital cross-connec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89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2516B2 (en) Performance monitoring of high speed communications networks
US7564805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 for simulating capacity in a network
EP0862292A2 (en) Method of detecting signal degradation fault conditions within sonet and SDH signals
US6216207B1 (en) Performance monitoring storage module for storing performance management data
US6693919B1 (en)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frame synchronization circuit
KR20030018981A (en) Method for failure management in digital cross-connect system
US6526020B1 (en) Ring network system, protection method therefor
Garzia et al. Nonhierarchical communications networks: An application of compartmental modeling
US6097702A (en) Performanc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library
WO200007252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hancing the handling of tti identifier
US6892362B1 (en) Hybrid state machine
US6069875A (en) Performance monitoring multiplexer module for packaging PM data
CA2421896C (en) A switch model component
US6683890B1 (en) Method and circuit for improving the pointer processing in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transmission frames
US6438626B1 (en) System implementing a state transition having an interface storing a new next state of a self block and exchanging the state information with other block
US20050078713A1 (en) Enhanced management of pointer processing in case of concatenated payload in SDH and SONET frames
KR100434345B1 (en) Fault management of OAM in ATM network
KR100299147B1 (en) Flooding method for atm exchange
JP2000315988A (en) Method and circuit for monitoring fault quality of low- order group inputted signal
KR100372396B1 (en) Method for operation of alarm signal by separating units for detection and decision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Sankaranarayanan Synchronization Status Message Oscillations: Simulation Results.
JP3898453B2 (en) Transmission system, supervisory control device, data output method, and node device
JP2002152226A (en) Shaping algorithm self-monitoring system
KR20010018648A (en) Method for measuring bit error ratio using sliding window in communicationsystem
GB2340628A (en) Processing and passing on peripheral unit activations in 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