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259A - 해양물 및 식물 추출물 배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양물 및 식물 추출물 배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259A
KR20030016259A KR1020027015160A KR20027015160A KR20030016259A KR 20030016259 A KR20030016259 A KR 20030016259A KR 1020027015160 A KR1020027015160 A KR 1020027015160A KR 20027015160 A KR20027015160 A KR 20027015160A KR 20030016259 A KR20030016259 A KR 2003001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skin
lycopene
carti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701B1 (ko
Inventor
벵트 크리스터 올손
Original Assignee
벵트 크리스터 올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벵트 크리스터 올손 filed Critical 벵트 크리스터 올손
Publication of KR2003001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연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및 토마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현저한 산화 방지 효과와 자유 라디칼 억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발견되었다. 친수성 산화방지제, 친지성(소수성) 산화방지제 및 연골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진피 내 콜라겐 합성을 극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게나제 활성과 고급 글리코화 최종 생성물(AGE)의 수치를 저하시킨다. UV 방사선 노출로 인한 광노화와 같은 노화의 징후는 콜라겐 합성과 자유 라디칼 산화의 수치에 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노화 피부를 치료하고, 건강한 피부에서 노화의 징후 개시를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양물 및 식물 추출물 배합 조성물{COMBINED MARINE AND PLANT EXTRACT COMPOSITION}
자유 라디칼은 UV 방사선, 공해, 알콜 등의 결과로 체내, 예컨대 피부에 형성된다. 과량의 자유 라디칼은 피부 구조물을 비롯한 조직 구조물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노화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피부 내 자유 라디칼에 의해 야기되는 산화성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친수성과 친지성 모두를 조합한 산화방지제가 사용되고 있다["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enzyme Activities of Procyanidines from Vitis vinifera" Arzneim.-Forsch./Drug Res., 44(1), Nr. 5(1994), pp 592-601].
미국 특허 제5,648,277호에는 친수성 산화방지제와 친지성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를 개시되어 있다.
JP 09 241637호에는 활성 자유 라디칼 스캐빈저 및 우론산 또는 뮤코다당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해양물 연골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된 뮤코다당체를 함유하는 단백질 복합체의 투여가 피부의 진피 조직을 보다 조밀하고 단단하게 만듦으로써 그것을 개선시키는 능력을 가진다는 것이 입증되었다[Kieffer M. E., Efsen J.,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1998 Sep; 11(2): 129-136].
본 발명은 경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연골 또는 연골로부터 추출한 화합물, 뿐만 아니라 친수성 및 친지성 산화방지제를 함유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식물 추출물의 특별한 혼합물과의 연골 추출물의 독특한 배합이 피부 내 콜렌 합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진피 내 라디칼 매개 산화를 현저한 수치로 감소시키는 놀라울 정도로 효과적인 조성물을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콜라겐 합성과 라디칼 산화의 감소는 모두 피부의 노화 과정과 관련이 있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과 연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포도씨 추출물과 토마토 추출물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과 연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조성물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포도씨 추출물과 리코펜을 약 5:1 내지 15:1, 바람직하게는 약 10:1의 중량/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경구 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i) 연골, 그로부터 추출 가능한 1 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 ii)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 및 iii)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세포 모델에서 콜라겐 합성을 35% 이상 증가시킨다.
노화 또는 UV 노출로 인한 피부 변성의 개시를 지연시키기 위한, 건강한 피부의 일반 유지를 위하고, 피부 노화의 징후 치료를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문맥에서, 친수성 산화방지제에 적용되는 용어 "친수성"이란, 그 산화방지제가 체내 수성 매질에서 충분히 용해성이고, 따라서 체내 수성 매질에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산화방지제는 물 100 g 당 0.05 g 이상의 수중 용해도를 가진다면 친수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물 100 g 당 0.5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 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g 이상, 보다 특히 10 g 이상,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g, 더욱더, 50 g 이상, 예를 들면 100 g 이상의 수중 용해도를 갖는다.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친지성 산화방지제에 적용되는 용어 "친지성"은 체내 지질 매질에 충분히 용해성이고, 따라서, 체내 지질 매질 내에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산화방지제는 물 100 g 당 0.05 g 이하의 수중 용해도를 가진다면 친지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물 100 g 당 0.005 g 이하, 특히 0.0005 g 이하의 수중 용해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연골 추출물"은 연골로부터 추출 가능한 화합물의 합성 형태 및 합성 제조한 유도체를 비롯하여, 연골, 그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성분 및 그것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연골 추출물"이라고 하는 화합물은 관절 조직을 함유하는 다른 조직, 예컨대 피부 또는 가죽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연골은 해양 동물 연골, 어류 연골, 연체 동물 연골 및 육상 포유류 연골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해양 동물은 고래, 돌고래 및 물개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어류는 상어, 연어, 참치, 대구 및 기타 알려진 어류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연체 동물은 오징어일 수 있으며, 육상 포유류는 소, 돼지, 닭, 오리 및 칠면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연골 또는 그것으로부터의 추출물은 소 연골, 돼지 연골, 상어 연골, 오징어 연골, 닭 연골 및 연어 연골, 그리고 그들로부터의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골 자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이것은 건조, 예컨대 동결 건조되고 분쇄된 연골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술한 유형의 연골 또는 적절한 성분을 함유하는 다른 조직의 유용한 추출물은 요리된 조직의 부분 효소적 단백질 분해성 가수분해를 통한 후, 가수분해물을 여과 건조, 예컨대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를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한 추출물은 수성 매질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해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미국 특허 제3,862,003호에 따라 제조함).
통상적으로, 연골 추출물은 연골로부터 추출 가능한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임의로 펩티드에 결합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골 추출물은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케라탄 술페이트, 히알루론산 또는 더마탄 술페이트 또는 그것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연골 추출물"은 연골로부터 얻을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하지만, 실제로 그 화합물은 다른 공급원으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연골 추출물의 특히 바람직한 공급원은 상어 연골이다.
용어 "연골 추출물"은 연골로부터 추출 가능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골 추출물은 천연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지만, 합성원으로부터 얻을 수도 있는데, 즉 합성 또는 반합성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연골 추출물은 천연원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물은 연골로부터 추출 가능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추출물은 연골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양태에서, 식물 추출물과 연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포도씨 추출물과 토마토 추출물을 약 2: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약 1:1의 중량/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 추출물의 특별한 혼합물과의 연골 추출물의 독특한 배합이 피부 내 콜렌 합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진피 내 라디칼 매개 산화를 현저한 수치로 감소시키는 놀라울 정도로 효과적인 조성물을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산화방지제로서 포도씨 추출물과 토마토 추출물의 배합물의 이로운 효과는 연골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예기치 못하게 극적으로 개선되었다. 연골 추출물이 그 자체의 산화방지제 활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는 부분적으로 놀라운 일이다.
통상적으로, 연골 추출물과 식물 추출물은 약 1:2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약 1:1의 중량/중량 비율로 존재한다.
연골 추출물은 콘드로이틴 에스테르, 케라탄 에스테르, 히알루론산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 헤파린, 헤파린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백질 또는 펩티드에 결합되거나 또는 콘드로이틴 에스테르, 케라탄 에스테르, 히알루론산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 더마탄 에스테르, 헤파린, 페파란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케라탄 술페이트, 히알루론산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 더마탄 술페이트, 헤파린, 헤파란 술페이트의 에피머 또는 중합체 형태일 수 있다.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은 각기 임의로 펩티드에 결합된, 콘드로이틴-4-술페이트, 콘드로이틴-6-술페이트 및 케라탄 술페이트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펩티드에 결합된 콘드로이틴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연골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상의 구체예에서, 연골 추출물은 5 내지 100% w/w의 콘드로이틴 술페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w/w 미만의 콜라겐, 바람직하게는 0.5% w/w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w/w 미만의 콜라겐 단백질을 포함한다. 콜라겐을 제조하는 통상의 방식에서, 이것은 임의의 적절한 양으로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는다. 추출물은 효소적 단백질분해성 가수분해, 따라서 콜라겐 단백질을 펩티드로 분해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콜라겐 수치가 낮은 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예기치 않은 이로운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콜라겐 또는 그것의 공급원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더 첨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콜라겐이 없다.
유사하게,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25% 미만의 베타-카로텐, 바람직하게는 0.02% 미만의 베타-카로텐, 특히 0.01% 미만의 베타-카로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베타-카로텐이 거의 없거나 본질적으로 없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이로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반대로, 리코펜의 상대 또는 절대 함량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예기치 못한 이로운 효과에 특히 중요한 것으로 현재 인식되고 있다. 식물 추출물, 특히 토마토 추출물은 리코펜을 포함한다. 토마토 추출물은 약 5 내지 12% w/w, 통상적으로 대략 10% w/w 리코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마토 추출물은 토마토 단일 또는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통상의 구체예에서, 토마토 추출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토마토 변종은 리코페르시쿰 아에스쿨렌툼(Lycopersicum aesculentum)이며, 이로써 리코펜의 적절한 절대 수치 및 상대 수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5% w/w의 리코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w/w 리코펜, 예컨대 0.3 내지 2% w/w 리코펜,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w/w 리코펜, 특히 0.3 내지 0.8% w/w 리코펜, 예컨대 0.3 내지 0.6% w/w 리코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대안의 정의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과 연골 추출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포도씨 추출물과 리코펜을 약 5:1 내지 15:1, 바람직하게는 약 10:1의 중량/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재의 지식에 따르면, 상기 비율의 리코펜은은 놀라울 정도로 이로운산화방지 효과를 달성하는 데 상당히 중요하다.
적절한 구체예에서,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산화방지 활성 IC50은 수성 매질 내 불포화 인지질의 지질 과산화에서 R·/ROO·를 스캐빈징하는 데 있어 1.2 x 10-7미만이다. 통상적으로, 수성 매질 내 불포화 인지질의 지질 과산화에서 R·/ROO·를 스캐빈징하는 데 있어 1.2 x 10-7이하의 산화방지 활성 IC50을 나타내는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카로테노이드 호합물 리코펜(또한, ψ,ψ-카로텐이라고 함)이다. 통상적으로, 리코펜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토마토, 수박, 레드 그레이프프루트 또는 구아바 과실과 같은 특정한 신선한 과일로부터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거나, 또는 공지의 방식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조성물의 이로운 효과는 세 가지 성분, 즉 연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및 토마토 추출물의 신규한 배합의 결과이다. 토마토 추출물은 친지성 산화방지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화방지제와 연골로부터 추출 가능한 화합물의 신규한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경구 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i) 연골, 그로부터 추출 가능한 1 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 ii)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 및 iii)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세포 모델에서 콜라겐 합성을 35% 이상 증가시킨다.
콜라겐 합성은 노화된 피부 세포에서 현저하게 감소된다. 피부 내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의 조직과 유동학적 양태의 변화, 그리고 주름, 감소된 평활성, 탄성과강성의 손실과 같은 노화의 통상적인 징후를 초래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배합물과 개별 성분과 비교하였을 때 콜라겐 합성을 놀라울 정도로 극적으로 증가시켰다. 콜라겐의 합성은 아미노산의 총 수의 30%가 프롤린인 대부분이 콜라겐으로 간주되는 프롤린 함유 단백질로의 방사성 프롤린([14C]-프롤린)의 도입량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포도씨(G) 추출물 및 토마토(T) 추출물의 배합물(GT)(미국 특허 제5,648,2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음)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진피 섬유아세포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프롤린의 도입 정도가 감소되었는데, 즉 4.8% 도입의 대조군과 비교할 때 3.6% 도입은 25% 감소된 것이다. 어류(F) 추출물과 토마토(T) 추출물의 배합물(FT)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물은 프롤린 도입에 대한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도입률이 4.8% 도입의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5.0% 도입으로서, 단지 4% 증가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어류(F)와 포도씨(G) 추출물의 배합물(FG)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물은 프롤린의 도입률이 약간 증가하였는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5.5% 도입으로 10% 증가한 것이다. 어류(F)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물은 프롤린의 도입률이 증가하였는데, 즉 6.2% 도입으로 29%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어류 추출물(F), 포도씨 추출물(G) 및 토마토 추출물(T)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FGT)로 배양된 세포는 프롤린 도입률이 극적으로 80% 증가하였다(도입된 프롤린 8.4%). GT 추출물이 콜라겐 합성을 25% 감소시키고, F 추출물이 콜라겐 합성을 29% 증가시킨 데 반하여, F와 GT의 배합시 콜라겐 합성이 80%증가한 것은 놀라운 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천연원 또는 합성원, 바람직하게는 천연원의 형태일 수 있다. 통상의 구체예에서, 천연원은 소나무 껍질,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ia sinensis), 아에스쿨루스 히포카스타눔(Aesculus hippocastanum), 깅고 빌로바(Gingo biloba), 카르두스 마리아눔(Cardus marianum), 바시니움 미르틸루스(Vaccinium myrtillus),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다.
적절한 구체예에서,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비티스 비니페라의 포도씨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의 천연원은 25% w/w 이하의 카테친, 에피카테친 및 갈산; 90% w/w 이하의 에피카테친 이량체, 삼량체 및/또는 사량체, 및/또는 그것의 갈레이트; 및 10% w/w 이하의 에피카테친 오량체, 육량체 및/또는 칠량체, 및/또는 그것의 갈레이트를 함유한다.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폴리페놀 및 그것의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및 그것의 에스테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폴리페놀은 카테친; 루코안토시아니딘 및 플라바논; 플라바닌, 플라본 및 안토시아닌; 플라보놀; 플라보노리간드; 및 이들의 소중합체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프로안토시아닌 A2 및 소중합체 프로시아니돌(OPC),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중합체 프로시아니돌로 구성된 군 중에서선택되는 카테친이다.
통상적으로, 플라보노리간드는 실리마린이거나, 또는 실리빈, 실리디아닌, 실리크리스틴 및 이소실리빈과 같은 그것의 성분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수성 매질 내 불포화 인지질의 지질 과산화에서 R·/ROO·를 스캐빈징하는 데 있어 5 x 10-7이하의 산화방지 활성 IC50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포도씨, 즉 비티스 비니페라의 씨로부터의 추출물이며, 통상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아세톤 및/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포도씨를 추출하고, 그 용매를 증발시키며, 잔류물을 물에 재용해시키고, 예컨대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에 의해 그 여액을 여과 건조시킴으로써 얻는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통상적으로 그러한 추출물은 25% w/w 이하의 카테친, 에피카테친 및 갈산; 90% w/w 이하의 에피카테친 이량체, 삼량체 및/또는 사량체, 및/또는 그것의 갈레이트; 및 10% w/w 이하의 에피카테친 오량체, 육량체 및/또는 칠량체, 및/또는 그것의 갈레이트를 함유한다.
또한,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천연원 또는 합성원, 통상적으로는 천연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착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천연원으로부터의 추출물과 같은 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적절한 천연원은 토마토 변종, 특히 리코페르시쿰 아에스쿨렌툼 변종이다.
통상적으로,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카로테노이드, 프로카로테노이드, 토코페롤, 피토스테롤 및 우비퀴논이다. 카로테노이드가 특히 관심을 끄는 친지성 산화방지제이고, α-카로텐, β-카로텐, γ-카로텐, δ-카로텐, 리코펜(ψ,ψ-카로텐), 제아크산틴, 크립토크산틴, 루테인 및 크산토필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로테노이드 리코펜은 특히 관심을 끄는 친지성 산화방지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리코펜을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공급원으로서 역할을 하는 추출물은 5 내지 12% 리코펜, 예컨대 7 내지 12% 리코펜, 바람직하게는 대략 10% 리코펜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이것은 0.1 내지 5% w/w 리코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w/w 리코펜, 예컨대 0.3 내지 2% w/w 리코펜,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w/w 리코펜, 특히 0.3 내지 0.8% w/w 리코펜, 예컨대 0.3 내지 0.6% w/w 리코펜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해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천연원은:
리코펜 5 내지 12%
토코페롤 1 내지 1.5%
베타-카로텐 0.05 내지 0.15%
피토펜 0.5 내지 0.75%
피토플루엔 0.5 내지 0.55%
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리코펜 7 내지 12%
토코페롤 1 내지 1.5%
베타-카로텐 0.05 내지 0.15%
피토펜 0.5 내지 0.75%
피토플루엔 0.5 내지 0.55%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공급원은 1% 미만의 베타-카로텐, 예컨대 0.75% 미만, 예컨대 0.5% 미만, 바람직하게는 0.2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미만, 특히 0.15% 미만의 베타-카로텐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25% 미만의 베타-카로텐, 바람직하게는 0.02% 미만의 베타-카로텐, 특히 0.01% 미만의 베타-카로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베타-카로텐이 거의 없거나 본질적으로 없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이로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구체예에서,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단독 공급원은 토마토 추출물로 제공된다. 대안으로,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토마토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통상의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40% w/w 연골 추출물, 예컨대 25 내지 35% w/w,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35% w/w, 예컨대 30 내지 35% w/w 연골 추출물;
1 내지 10% w/w 포도씨 추출물, 예컨대 2 내지 8% w/w, 바람직하게는 3 내지7% w/w, 예컨대 3 내지 5% w/w 포도씨 추출물; 및
1 내지 10% w/w 토마토 추출물, 예컨대 2 내지 8% w/w,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w/w, 예컨대 3 내지 5% w/w 토마토 추출물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상의 조성물은 어류 추출물(F), 포도씨 추출물(G) 및 토마토 추출물(T)을 약 5:1:1 내지 15:1:1, 예컨대 약 10:1:1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테스트 방법 A로 측정한 바와 같이 콜라겐 합성을 35%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테스트 방법 A의 조건 하에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면, 콜라겐 합성을 40% 이상, 예컨대 45% 이상, 예컨대 50% 이상, 55%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예컨대 65% 이상, 7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콜라겐 합성 감소를 저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한 조성물이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노화 또는 UV 방사선에 노출된 피부의 치료에 대한 그 용도의 다른 지표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적절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테스트 방법 B의 조건 하에 있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MMP-1 활성에 의해 측정한 바와 같이, 자유 라디칼의 유해한 효과를 40% 이상, 예컨대 45% 이상, 예컨대 50% 이상 감소시킨다. 통상적으로, 산소 자유 라디칼과 그로부터의 유해한 효과는 UV 노출에기인하지만, 다른 환경적, 생리학적 또는 유전적 인자로부터 초래될 수도 있다.
MMP의 UV 유발 과생성은 광노화의 주 원인 중 하나인 것으로 생각된다. UV 방사선은 진피 세포를 활성화시켜서 콜라겐과, 진피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다른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의 과생성을 초래한다. 진피 분해(붕괴) 후에는 불완전한 복구가 따른다. 불완전 복구는 진피의 구조적 일체성에 결함을 제공하며, 이것은 각각의 UV 방사선에 대한 간헐적인 노출로 반복되어 진피 흉터의 축적을 초래하게되어, 결국에는 광노화의 가시적 징후를 초래한다(2-5). MMP 유발에 대한 UV 광의 효과는 섬유아세포 배양에서도 확인되었다(6,7). MMP의 UV 유발의 메카니즘에 촛점을 맞춘 다른 연구도 UV 유발된 일중항 산소(반응성 산소 화학종)가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를 가져서 MMP의 생성을 초래한다고 시사한다. 따라서, 산화방지제와, 특히 일중항 산소를 스캐빈징하는 것들은 UV 자극 MMP 합성을 중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또한 다른 유리 라디칼 화학종이 MMP 합성의 자극에 수반된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 배양 중의 노령 세포, 뿐만 아니라 UV 또는 일광 노출된 피부 세포는 더 많은 양의 MMP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결과로서 MMP-1 활성의 감소는 건강한 피부의 유지를 위한 그 용도의 지표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테스트 방법 C의 조건 하에서 측정한 바와 같이 고급 글리코실화 최종 생성물(AGE)의 형성을 10% 이상, 예컨대 20% 이상, 예컨대 30%, 40%, 50% 또는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80% 또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또는 110% 이상 감소시킨다.
AGE(고급 글리코실화 최종 생성물, 또한 아마도리 생성물이라고도 알려짐)는단백질과 탄수화물 간의 비특이적인 반응인 글리코화(글리코산화)의 결과이다. AGE는 개체 세포 내와, 피부 내 콜라겐과 같은 장기간 수명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외 기질 모두에 축적된다. AGE 가교 단백질은 비기능성 단백질이며, 세포외 기질 또는 상기 세포의 세포질에서 응집되는 경향이 있고, 전체 단백질 합성에 대하여 유해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믿어진다. 초기에, 글루코스가 단백질과 반응할 때, 초기 단계 생성물(아마도리 생성물)이 형성된다. 그 후, 이 아마도리 생성물은 재배치 반응을 더 수행하여 단백질을 가교 결합할 수 있는 후기 단계의 갈색 색소를 형성한다. 재배치 반응 후, 후기 단계 생성물은 단백질의 고도의 가교 결합과 함께 장기간에 걸쳐서 콜라겐과 같은 장기간 수명의 단백질 내에 계속 축적된다. 생체내 AGE 형성은 생체내 및 시험관내 모두에서 유기물 및 세포 노화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내에서, AGE 축적의 수치는 혈청 글루코스 수치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후기 단계 AGE의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은 산화인 것으로 기술되는데, 그 이유는 글리코화 자체가 가역성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화는 영구적인 가교 결합으로 인하여 영구적인 화학 물질 손상과 단백질의 기능성 손실에 원인이 된다(9). 비효율적이고, 전체 단백질 합성에 대한 감소하는 효과를 가진 것과는 별도로, AGE는 UV 광으로 조사된 후에, 활성 산소 라디칼의 상당량을 발생하는 발색단인 것으로 나타났다(10). 따라서, 산화성 스트레스는 AGE 형성에 기여한다.
UV 방사선에 대한 단일 노출량(5 J/㎠)에 대하여, 비보충된 대조 세포의 AGE 수치는 비조사된 대조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대략 20 배 증가하였다. 동일 조건 하에서, F로 보충된 배양물 내 AGE 수치는 대략 40 배 증가하였는데, 이는 F가 UV조사시 AGE 형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가리킨다. F 처리된 세포의 AGE 수치 증가는 7.5 J/㎠에서 더 극적이다. 도 3으로부터, FG로 보충된 세포의 AGE 수치가 72 유니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미처리 조사된 대조 세포와 동일한 범위이다(대조군에 비하여 10% 감소).
현저하게, FGT 세포 처리된 세포는 비조사된 세포에 비하여 놀랍게도 대략 22 유니트의 AGE 수치 감소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미처리 조사된 세포에 비하여 AGE 농도의 120% 감소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롤린 도입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MMP-1 활성과 AGE 형성에 관하여 UV 노출된 세포에 이로운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피부 노화의 징후의 미용 치료 및 건강한 피부의 일반 유지에 적절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의 징후는 일광, 시간, 다이어트 및 기타 환경 조건과 같은 다수의 인자의 결과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골로부터 추출 가능한 화합물 1 내지 80% w/w;
포도씨 추출물 0.1 내지 75% w/w; 및
리코펜 0.002 내지 25% w/w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골 추출물 27 내지 35% w/w, 통상적으로 30 내지 35% w/w;
포도씨 추출물 1 내지 10% w/w, 예컨대 포도씨 추출물 3 내지 5% w/w; 및
리코펜 0.1 내지 5% w/w, 통상적으로 0.2 내지 1% w/w
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어류 추출물 100 내지 110 mg;
식물 추출물 95 내지 105 mg;
아세롤라 추출물 25 내지 35 mg;
미세결정 셀룰로스 60 내지 90 mg; 및
이산화규소 3.5 내지 4.5 mg
을 포함하는 적절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는데, 여기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소중합체 프로시아니돌 및 리코펜을 포함하며, 상기 어류 추출물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조성물은
어류 추출물 100 내지 110 mg;
식물 추출물 95 내지 105 mg;
이눌린 60 내지 65 mg;
아스코르브산 25 내지 35.00 mg;
글루콘산아연 10 내지 20 mg; 및
이산화규소 10 내지 15 mg
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소중합체 프로시아니돌 및 리코펜을 포함하며, 상기 어류 추출물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추가의 영양 첨가물, 예컨대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및 탄수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추출물, 예컨대 아세롤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재의 이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이익이 되는 놀라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구성 성분들의 상대량 및 절대량이 중요하다. 따라서, 친수성 및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중량/중량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200:1, 예컨대 2:1 내지 100:1, 특히 5:1 내지 50:1, 특히 5:1 내지 2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1 내지 12:1, 예컨대 약 10:1의 범위이다.
유사하게, 연골, 그로부터 추출 가능한 1 종 이상의 화합물과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중량/중량 비율로 약 1:1 내지 약 200:1, 예컨대 2:1 내지 100:1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5:1 내지 50:1, 특히 5:1 내지 2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1 내지 12:1, 예컨대 약 10:1의 범위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중요한 양태는 i) 연골, 그로부터 추출 가능한 1 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 ii)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체, 및 iii)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가 시험관 내에서 배양된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MMP-1 활성을 억제하거나, AGE 형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콜라겐 형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함께 존재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양태는 i) 연골, 그로부터 추출 가능한 1 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 ii)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 및 iii)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가 시험관 내에서 배양된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MMP-1 활성을 억제하거나, AGE 형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콜라겐 형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비율로 존재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리코펜 0.25 내지 15 mg 및 포도씨 추출물 5 내지 20 mg, 구체적으로 리코펜 0.75 내지 2.5 mg 및 포도씨 추출물 10 내지 30 mg, 특히 리코펜 1 내지 2.5 mg 및 포도씨 추출물 10 내지 25 mg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들의 추가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리코펜 1 내지 2.5 mg, 포도씨 추출물 5 내지 50 mg 및 연골 추출물 50 내지 200 m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이며, 고체 제형, 예컨대 정제, 분말, 과립, 캡슐, 향낭 또는 액체 제형, 예컨대 용액, 현탁액, 등장 시럽의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약제학 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것일 수 있는 1 종 이상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고체 조성물에서, 종래의 비독성 고체 부형제로는 약학 등급의 만니톨, 락토스, 전분, 대두 섬유질,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나트륨 사카린, 탈크, 셀룰로스, 예컨대 미세결정 셀룰로스, 글루코스, 사카로스, 이산화규소, 탄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 제형은 활성 성분 및 임의의 약학적 보조제를 부형제, 예컨대 물, 또는 쥬스, 오일 또는 알콜과 같은 수계 액체 내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용액 또는 현탁액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경구 조성물은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소량의 첨가제, 예컨대 습윤제 또는 유화제, 완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원리,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5판, 1975; 또는 Martindale,The Extra Pharmacopeia, The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of Great Beitain, 31판, 1996 참조]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친지성 산화방지제, 예컨대 토마토 추출물, 또는 리코펜을 포함하는 추출물이 정상적인 방출을 위해 제형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친지성 산화방지제, 예컨대 포도씨 추출물은 지연 방출 또는 서방형으로 제형화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되는 경우, 피부의 상태에 대해 명백한 가시적인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받은 지원자들에게서 전제적인 피부 상태, 유연성, 눈 주위 피부의 질 및 입 주위 피부의 질에서 두드러진 개선점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타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는 생체 내에서 성공적으로 해석되며, 상기 조성물은 표면적으로 경구 투여되는 경우 전신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화장품,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약품 또는 식이요법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노화 또는 UV 노출에 기인한 피부 변성의 개시를지연시키는, 건강한 피부의 일반 유지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및 피부에서 노화의 징후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노화하는 피부, 일광 또는 다른 형태의 자외선 조사에 노출된 피부, 건성 피부, 거친 피부, 탈색된 피부, 습진이 있는 피부, 흉터가 있는 피부, 튼살(stretch mark), 여드름 또는 건선이 있는 피부를 치료하는데 적절하다.
피부 노화의 징후, 및 UV 방사선 노출에 기인한 손상에 대한 피부의 미용 치료 또는 예방 치료 방법은 전술한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양태이다. 유사하게, 노화하는 피부, 일광 또는 다른 형태의 자외선 조사에 노출된 피부, 건성 피부, 거친 피부, 탈색된 피부, 습진이 있는 피부, 흉터있는 피부, 튼살, 여드름 또는 건선이 있는 피부의 미용적 처치 또는 예방적 처치 방법은 전술한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중요 관점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의 징후를 예방하거나 저하시키는 제제, 자외선 노출의 유해 효과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제제, 튼살을 처치하는 제제, 습진을 치료하는 제제, 여드름의 징후를 감소시키는 제제, 반흔 형성 및 환부 치유에 조력하는 제제, 반흔을 감소시키는 제제, 건선의 징후를 감소시키는 제제, 또는 거친 피부, 탈색된 피부 또는 건성 피부를 치료하는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용도에서, 평균 성인을 기준으로 통상적인 1일 사용량은 전술한 연골 성분, 친수성 산화방지제 및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혼합물 55 내지 3600 mg, 예컨대 70 내지 1000 mg이다. 투여는 1일 투여량을 1 회 투여할 수도 있고, 1일 수 회 분할하여, 예컨대 1일 1, 2, 3 또는 4 회, 바람직하게는 1일 1 또는 2회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정제 용기, 블리스터 팩 또는 병과 같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일반 원칙에 따라 포장할 수 있다. 여러 성분중 한 성분이 빛에 민감한 경우, 특히 친지성 산화방지제가 리코펜인 경우, 포장 재료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블리스터 팩의 경우, 블리스터 팩이 각각 플라스틱/알루미늄 라미네이트(예컨대, PVC, 알루미늄 및 배향된 폴리아미드 호일의 적층체)와 얇고, 필요에 따라 윤을 낸 알루미늄 호일 성형된(함몰부가 형성된) 시트와 같이 각각 2 개의 알루미늄 호일 및 알루미늄 피복된 플라스틱 호일을 이용하여 널리 알려진 형태의 것인 경우, 적절히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비제한적인 예에 의해 추가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1
친수성 산화방지제, 소수성 산화방지제 및 연골 추출물의 유효 농도의 측정
시험관 내에서 배양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여러 가지 농도의 포도씨 추출물(1 내지 200 ㎍/㎖), 연골 추출물(0 내지 1000 mg/㎖) 및 토마토 추출물(0 내지 200 ㎍/㎖)을 투여량 의존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모든 배양 조건 하에서 세포 생존 및 성장 속도를 평가한 후, 각각의 성분에 대한 다일 최적 농도를 선택하였다.
방법
연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및 리코펜을 함유하는 토마토 페이스트로 구성되는 모액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연골 용액(40 mg/㎖):
어류 분말(연골의 효소를 이용하는 단백질분해성 가수분해, 가수분해물의 여과 및 분무 건조에 의해 제조한 연골 추출물) 200 mg을 행크 완충 염수 용액(행크) 5 ml에 용해시키고, 멸균 여과하였다.
포도씨 용액(40 mg/㎖):
포도씨 추출물(이탈리아 밀라노 인데나) 200 mg을 행크 완충 염수 용액(행크) 5 ml에 용해시키고, 멸균 여과하였다.
토마토 용액(프리스톡용액: 100 mg/㎖)
프로스톡용액: 토마토 페이스트(리코펜 40 mg을 함유함) 400 mg을 테트라히드로푸란 4 ㎖ 내에 용해시키고, 멸균 여과하고, 사용할 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토마토 모액(100 ㎍/㎖):
토마토 모액: 사용 직전에 프리스톡용액을 세포 배지 DMEM에서 1:1000으로 희석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는 다음과 같이 배양하였다:
10,000 세포/웰을 24 웰 트레이에 시딩하였다. 세포는 하룻밤 부착되도록 한 후, 배지는 상이한 농도의 연골 추출액(F), 포도씨 추출액(G) 및 토마토 추출액(T)을 함유하는 배지로 교환하였다. 세포 배지인 DMEM(10% 송아지 혈청 알부민, +글루타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은 2, 3 일 마다 교환하였는데, 매일 재생한 TE를 함유하는 배지는 제외시켰다. 세포는 융합될 때까지 성장시켰으며(37℃, 5% CO2, 95% 습도), 1 ㎖ 당 세포수를 계수하기 위해 200 ㎕를 사용하는 경우, 37℃의 항온처리기에서 10 분 유지하는 동안 세포를 분리시키기 위해, 300 ㎕ 트립신/EDTA pr.웰을 이용하여 2 일마다 계수하였다.
세포 생존 및 세포 성장은 최대 15 일 이후에 평가하였다.
세포 생존은 세포내 MTT 흡수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흡수 수치는 세포 생존능의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는 미토콘드리아 활성 수치에 상응하였다. MTT는 청색으로 착색된 화합물인 포르마잔으로 환원되었으며, 이는 참조물질로서 655 nm를 이용하고, 595 nm에서의 UV/VIS 흡수에 의해 검출되었다.
세포 성장은 전자 카운터 쿨터(등록상표)를 이용하여 계수한 배양 플라스크당 세포의 수로서 평가하였다.
결과
연골 추출물 70 ㎍/㎖, 포도씨 추출물 10 ㎍/㎖ 및 토마토 추출물 10 ㎍/㎖(= 1.0 ㎍/㎖의 리코펜)으로 보충한 세포 배양물은 세포 성장을 위한 최적 환경을 제공하였다. 이들 농도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세포 분열 속도를 변화시키지도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택된 배합물(상기함)로 보충한 배양 배지 내에서 50 일에 걸쳐 섬유아세포를 장기간 배양함으로써 추가로 확인하였다. 세포 분열 및 세포 성장에 상응하는 모니터링된 누적 군집 배가 수치(cumulative populationdoubling level; CPDL)는 테스트한 성분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냈다.
O F FGT GT
0 18 18 18 18
3 19.17 19.34 18.87 18.8
9 21.4 21.52 21.28 21.32
14 23.08 22.93 23.05 23.02
21 25.65 25.87 25.59 25.67
28 27.53 27.57 27.73 27.78
35 28.88 28.88 29.2 29.15
42 31.45 31.54 31.4 32.03
50 32.98 33.14 33.42 33.39
실시예 2
콜라겐 합성에 대한 조성물의 효과
시험관내 테스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에 대한 F, G 및 T의 영향을 테스트하였다. 콜라겐 합성은 거의 콜라겐으로 간주되는 프롤린-함유 단백질내로 혼입된 방사성 프롤린([14C]-프롤린)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는데, 이때 프롤린 잔기의 수는 전체 아미노산 수의 30% 이상을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최적 농도의 F, G 및 T의 여러가지 조합물을 세포 배지에 첨가하고, 24 시간 후에 분비되고 표지된 단백질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방법
F, G 및 T의 추출물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 세포 배양물내 방사능표지된 프롤린의 혼입은 다음과 같이수행하였다(테스트 방법 A): F, G 및 T의 여러가지 조합물은 시딩한 그날에 첨가하였으며, 세포는 융합할때까지(약 1 주일) 성장시켰다. 배양 배지는 매일 교환하였다. 융합시, 배지는 방사능 용액(25 μCi) 2.5 ㎖ + F, G 또는 T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 2.5 ㎖로 교환하였다.
세포는 항온처리기 내에 24 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어서 배지를 수집하였으며, 방사능 측정 절차를 수행하였다:
TCA 침전: 배지 5 ㎕는 BSA(0.5 g/ℓ) 20 ㎕ 및 TCA(10%) 1 ㎖와 혼합하고, -20℃에서 30 분 동안 방치하였다. 샘플을 해동하고, 니트로셀룰로스 필터로 처리하여 표지된 단백질로부터 유리 방사성 프롤린을 분리하였다. 필터는 튜브로 이전하고, 섬광액 2.5 ㎖를 첨가하였다. 튜브는 암실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하고, 샘플 5 ㎕의 방사성은 섬광 계수기 상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본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2a 및 2b에 나타냈다. GT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물은 대조군에 비해 프롤린의 혼입 정도를 감소시켰다: 대조군에서 4.8% 혼입된 것에 비해 3.6% 혼입되었으며, 이는 25% 감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FT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물은 프롤린 혼입에 대해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는데, 그 이유는 혼입 정도가 대조군의 4.8%에 비해 5.0% 였으며, 이는 단지 4% 증가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FG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물은 프롤린 혼입 정도를 소폭 증가시켰는데, 혼입 정도는 5.5% 였으며, 이는 대조군에 비해 10% 상승을 의미한다.
F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물은 프롤린 혼입 정도를 증가시켰다: 혼입 정도는 6.2%였으며, 이는 29% 증가를 의미한다. 그러나, FGT 추출물은 놀라운 결과는 나타냈는데, 프롤린이 8.4% 혼입되어 프롤린 혼입에서 80% 증가라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유형의 실험에서, 30% 이상의 차이는 유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처리 활성(dpm) 활성(μCi 생성물) 프롤린혼입율(%) 대조군에대한 결과
GT 4516 0.0015 3.6 20% 증가
대조군 5758 0.0020 4.8 -
FT 4516 0.0021 5.0 변화없음
FG 5137 0.0023 5.5 10% 증가
F 5787 0.0026 6.2 30% 증가
FGT 7738 0.0035 8.4 80% 증가
실시예 3
자외선 노출시 사람 섬유아세포에 대한 조성물의 효과
UVA 노출은 노화(광노화)의 시각적인 징후를 유발하는 피부에서의 다수의 변성성 변화의 원인이다. 자외선 유도된 손상에 대한 F, G 및 T 추출물 및 그들의 조합물의 잠재적인 보호 효과는 자외선 조사시 피부 섬유아세포 배양에서 광노화와 관련된 생물학적 마커(MMP-1 및 AGE의 수치)를 모니터링하여 테스트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 세포 배양물은 4 일 연속 매일 1 조사량의 UVA 조사에 노출시켰다. 2개의 상이한 조사량(5 및 7.5 J/㎠)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세포 사멸이 발생하기 이전에 세포가 관용하는 최대 조사량에 상응하는 양이다.
세포 배양물은 F, G 및 T의 최적 농도(실시예 1에서 기술 및 결정된 바와 같음)의 최적 농도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F, G 및 T 조합물(F, FG, FT, GT 및 FGT)로 보충하였으며, 1 일후 및 4 일후 MMP-1 활성 및 AGE 형성을 측정하였다.
방법
추출물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세포의 배양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계대배양함에 따라 세포는 F, G 및 T 처리한 조합물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시켰다. 융합시 이들은 1:4로 분할하여 각 처리에 대해 4 개의 플라스크를 얻었다. 융합시 하나(1:4 분할) 또는 둘(1:2 분할)은 4 개의 새로운 플라스크에서 일련의 계대배양을 수행하였다.
세포 배양물의 UVA 조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UVA 조사량은 6x 필립스 40W UVA 클레오 퍼포먼스 튜브를 이용하여 생성시켰다. 하그너 UVA 미터를 이용하여 조사량을 단위 W/㎡으로 측정하였으며, 노출에 필요한 시간을 계산하여 원하는 조사량 5, 7.5, 10 및 15 J/㎠를 얻었다. 예비 실험 결과, 세포 사멸을 유발하지 않는 최적 조사량은 7.5 J/㎠이었다.
MMP-1 활성(내재 활성 + 잠재 활성)의 측정은 APB 바이오테크에서 시판하고 있는 코드 RPN 2629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테스트 방법 B).
AGE의 측정은 ELISA 기법에 기초하여 수행하였다(테스트 방법 C):
1 일: 마이크로플레이트는 웰당 AGE 50 ng으로 피복하였으며, +4℃에서 하룻밤 동안 탄산염 완충액 내에서 희석하였다.
2 일: 웰들은 PBST(PBS 및 0.05% 트윈 20)으로 4 회 세척한 후, 실온(RT)에서 2 시간 동안 웰당 PBS-밀크(6%) 200 ㎕로 차단하였다. 이어서, 웰들은 PBST로 4 회 세척한 후, 상기 웰들에 AGE 표준물(20 내지 20,000 유니트/웰) 50 ㎕ 또는 샘플 50 ㎕(50 ㎍ 단백질/㎖)를 첨가하고, AGE 폴리클로날 항체(1/1000 희석) 50 ㎕를 첨가하였다. 상기 평판은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고속 교반기에 위치시켰다. 웰들을 PBST로 4 회 세척한 후, 2차 항체(폴리클로날 래빗, HRP, 1/1000 희석)를 웰당 50 ㎕씩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기 상에 위치시켰다. 최종적으로, 상기 웰들은 PBST로 4회 세척한 후, 기질(1 OPD 정제/3 ml ddH2O + 과산화수소(35%)의 1/1000(v/v)) 100 ㎕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는 암실에 방치하고, 적절한 발색이 이루어진 후, 황산(1 M) 5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플레이트 흡광도는 490 nm에서 판독하였다(참조 파장 655 nm).
결과
MMP-1 활성 및 AGE 형성에 대한 결과는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냈다.
I. MMP-1 활성
UVA 조사는 1 일 및 4 일의 연구 모두에서 처리하지 않은 세포(대조군)에서 MMP-1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로써 UVA에 의한 배양된 섬유아세포에서의 MMP-1 유도능이 입증되었다. 대조군 세포의 MMP-1 활성은 광노화 과정중 수치의 약 2배였다.
GT로 처리한 세포는 1 일 및 4 일에서 각각 34% 및 58% 증가를 나타냈다.
반대로 MMP-1 활성은 F로 보충한 세포에서 유도되었다. MMP-1 활성은 1 일과 4 일에서 각각 자외선 노출후 약 3 배 및 4 배였다.
놀랍게도, F와 GT를 조합한 FGT 배합물은 자외선 노출된 세포에서 MMP-1 활성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FGT 처리한 세포는 동일한 조건에서 대조군 세포의 MMP-1 활성의 1/2의 활성을 나타냈다.
1 일
0 J/㎠ 5 J/㎠ 7.5 J/㎠
대조군 1 2.01 1.80
GT 1 1.34 1.34
FGT 1 0.97 0.99
4 일
0 J/㎠ 5 J/㎠ 7.5 J/㎠
대조군 1 2.02 2.3
GT 1 1.37 1.58
FGT 1 1.04 0.99
II. AGE 형성
결과는 도 3 및 표 4에 나타냈다. 단일 조사량(5 J/㎠)으로 자외선 노출시, 비보충된 대조군 세포에서의 AGE 수치는 비조사 대조군 세포에 비해 약 20 배 증가하였다. 동일한 조건 하에서, F로 보충된 배양물 내 AGE 수치는 40 배 증가하였는데, 이는 F가 자외선 노출시 AGE 형성에 대해 아무런 보호 효과를 보유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3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FG로 보충한 세포에서 AGE 수치는 72 유니트 증가하였으며, 이는 처리하지 않은 노출된 대조군 세포와 동일 범위 내이다(대조군에 비해 10% 증가).
FGT 처리한 세포는 노출시키지 않은 세포에 비해 약 22 유니트의 AGE 수지의 놀라운 감소를 나타냈는데, 이는 처리하지 않은 노출된 세포에 비해 AGE 농도가 120%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롤린 혼입 뿐만 아니라 MMP-1 활성 및 AGE 형성의 견지에서 자외선 노출된 세포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5 J/㎠ 7.5 J/㎠
대조군 80.06 67.88
F 152.72 258.21
G 72.04 118.58
FGT -21.94 -34.92
실시예 4
본 발명의 조성물은 후술하는 성분들을 적시된 비율(제시된 양은 최종 투여 유니트를 기준한 것이다)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리코펜은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과립의 혼합 및 취급, 정제의 압착, 정제의 저장 및 알루미늄-알루미늄-블리스터 카드내의 포장은 모두 보호성 질소 하에서 수행하였다.
조성물 1(정제 코드 SF)
- 연골 추출물(연골의 효소적 단백질분해성 가수분해, 가수분해물의 여과 및 분무 건조에 의해 제조함) 105 mg;
- 식물 추출물(토마토에서 추출한 리코펜 약 1.5 mg 및 포도씨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약 14 mg을 함유하고, 잔류물은 대두 섬유, 토마토 오일 및 이산화규소; 이탈리아 밀라노 인덴다의 알렉스탄(등록상표)임) 100 mg;
- 아세롤라 추출물(아스코르브산 약 7.5 mg을 함유하며, 잔류물은 아세롤라 성분 및 말토덱스트린임) 30 mg;
- 미세결정 셀룰로스 66 mg; 및
- 이산화규소 4 mg(입경 2.4 내지 3.6 ㎛).
혼합은 뢰디게 혼합기에서 6 분 동안 수행하였다. 분말 혼합물은 중량 305 mg의 정제로 압착하였다.
조성물 2(정제 코드 SF-1)
- 연골 추출물(연골의 효소적 단백질분해성 가수분해, 가수분해물의 여과 및 분무 건조에 의해 제조함) 105 mg;
- 식물 추출물(토마토에서 추출한 리코펜 약 1.5 mg 및 포도씨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약 14 mg을 함유하고, 잔류물은 대두 섬유, 토마토 오일 및 이산화규소; 이탈리아 밀라노 인덴다의 알렉스탄(등록상표)임) 100 mg;
- 아세롤라 추출물(아스코르브산 약 7.5 mg을 함유하며, 잔류물은 아세롤라 성분 및 말토덱스트린임) 30 mg;
- 미세결정 셀룰로스 81 mg; 및
- 이산화규소 4 mg(입경 2.4 내지 3.6 ㎛).
혼합은 뢰디게 혼합기에서 6 분 동안 수행하였다. 분말 혼합물은 중량 320 mg의 정제로 압착하였다.
조성물 3(정제 코드 SS)
- 연골 추출물(연골의 효소적 단백질분해성 가수분해, 가수분해물의 여과 및분무 건조에 의해 제조함) 105 mg;
- 식물 추출물(토마토에서 추출한 리코펜 약 1.5 mg 및 포도씨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약 14 mg을 함유하고, 잔류물은 대두 섬유, 토마토 오일 및 이산화규소; 이탈리아 밀라노 인덴다의 알렉스탄(등록상표)임) 100 mg;
- 이눌린 62 mg;
- 아스코르브산 30 mg;
- 글루콘산 아연 15 mg; 및
- 이산화규소 13 mg(입경 2.4 내지 3.6 ㎛).
혼합은 뢰디게 혼합기에서 6 분 동안 수행하였다. 분말 혼합물은 중량 325 mg의 정제로 압착하였다.
통상적인 조성물
FE: 105 mg
GE: 13.75 mg
TE: 14.38 mg(이 리코펜은 10% = 1.44 mg)
실시예 5
실시예 1의 조성물은 피부에서 소비자의 인지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하였다.
129 명의 지원자가 3 개월간의 연구에 투입되었으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매일 복용하였다. 테스트를 시작하기 이전에 이들 지원자의 피부 외관 및 특질을 기록해 두었다. 1 개월, 2 개월 및 3 개월 동안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복용하게 한 후, 피부 외관 및 특질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0 - 상태변화 없음, 1 - 약간 개선됨, 2 - 개선됨, 3 - 상당히 개선됨.
도 4는 "전체적인 피부 상태", "유연성", "눈 주위 피부"의 특질 및 "입 주위 피부"의 특질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개선률(%)은 개선을 경험한 지원자의 백분율로 나타냈다.
참고문헌

Claims (49)

  1. 식물 추출물과 연골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포도씨 추출물과 토마토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경구 투여용 조성물.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포도씨 추출물과 토마토 추출물을 약 2: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식물 추출물과 연골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포도씨 추출물과 리코펜을 약 5:1 내지 15:1, 바람직하게는 약 10:1의 중량/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경구 투여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추출물과 상기 식물 추출물은 약 1:2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약 1:1의 중량/중량 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추출물은 각기 임의로 펩티드에 결합될 수 있는, 콘드로이틴 에스테르, 케라탄 에스테르, 히알루론산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 더마탄 에스테르, 헤파린, 헤파란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에피머 및 중합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것인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은 각기 펩티드에 결합될 수 있는, 콘드로이틴-4-술페이트, 콘드로이틴-6-술페이트 및 케라탄 술페이트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추출물은 임의로 펩티드에 결합된 콘드로이틴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w/w 미만의 콜라겐, 바람직하게는 0.5% w/w 미만의 콜라겐,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w/w 미만의 콜라겐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콜라겐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5% w/w의 리코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w/w 리코펜, 예컨대 0.3 내지 2% w/w 리코펜,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w/w 리코펜, 특히 0.3 내지 0.8% w/w, 예컨대 0.3 내지 0.6% 리코펜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테스트 방법 A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콜라겐 합성을 35% 이상 증가시키는 것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테스트 방법 B의 조건 하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MMP-1 활성에 의해 측정한 바, 산소 유리 라디칼의 유해한 효과를 40% 이상, 예컨대 45% 이상, 예컨대 5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테스트 방법 C의 조건 하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을 때, 고급 글리코실화 최종 생성물(AGE)의 형성을 10% 이상, 예컨대 20% 이상, 예컨대 30%, 40%, 50% 또는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80% 또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또는 11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13. 상기 조성물은
    i) 연골, 그로부터 추출 가능한 1 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
    ii)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 및
    iii)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
    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테스트 방법 A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콜라겐 합성을 35% 이상 증가시키는 것인 경구 투여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포도씨 추출물로부터 유래하는 것인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토마토 추출물로부터 유래하는 것인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천연원 또는 합성원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인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원은 소나무 껍질,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ia sinensis), 아에스쿨루스 히포카스타눔(Aesculus hippocastanum), 깅고 빌로바(Gingo biloba), 카르두스 마리아눔(Cardus marianum), 바시니움 미르틸루스(Vaccinium myrtillus),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소중합체 폴리시아니돌인 것인 조성물.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종 이상의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비티스 비니페라의 포도씨로부터 추출 가능한 것인 조성물.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천연원 또는 합성원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인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원은 토마토 변종인 것인 조성물.
  22. 제20항에 있어서, 토마토 추출물은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단독 공급원인 것인 조성물.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토마토 변종은 리코페르시쿰 아에스쿨렌툼(Lycopersicum aesculentum)인 것인 조성물.
  24. 제13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α-카로텐, β-카로텐, γ-카로텐, δ-카로텐, 리코펜(ψ,ψ-카로텐), 제아크산틴, 크립토크산틴, 루테인 및 크산토필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카로테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5.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바지제 중 하나는 리코펜인 것인 조성물.
  26. 제1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5% w/w의 리코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w/w 리코펜, 예컨대 0.3 내지 2% w/w 리코펜,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w/w 리코펜, 특히 0.3 내지 0.8% w/w, 예컨대 0.3 내지 0.6% w/w 리코펜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7. 제20항에 있어서, 1 종 이상의 친지성 산화방지제의 천연원은 대략
    리코펜 5 내지 12%
    토코페롤1 내지 1.5%
    베타-카로텐 0.05 내지 0.15%
    피토펜 0.5 내지 0.75%
    피토플루엔 0.5 내지 0.55%
    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25% 미만의 베타-카로텐, 바람직하게는 0.02% 미만의 베타-카로텐, 특히 0.01% 미만의 베타-카로텐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9. 제1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라겐 합성의 증가는 40% 이상, 45% 이상, 예컨대 50% 이상, 55%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예컨대 65% 이상, 7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또는 80% 이상인 것인 조성물.
  30. 제1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테스트 방법 B의 조건 하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MMP-1 활성에 의해 측정한 바, 산소 유리 라디칼의 해로운 효과를 40% 이상, 예컨대 45% 이상, 예컨대 5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해로운 효과는 UV 노출로 인한 것인 조성물.
  32. 제1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테스트 방법 C의 조건 하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을 때, 고급 글리코실화 최종 생성물(AGE)의 형성을 10% 이상, 예컨대 20% 이상, 예컨대 30%, 40%, 50% 또는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80% 또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또는 11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33. 제1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산화방지제와 상기 친지성 산화방지제는 약 1:1 내지 약 200:1, 예컨대 2:1 내지 100:1, 특히 5:1 내지 50:1, 더욱 더 특히 5:1 내지 2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1 내지 12:1, 예컨대 10:1 범위의 중량/중량 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34. 제13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그로부터 추출 가능한 1 종 이상의 호합물 및 상기 친수성 산화방지제는 약 1:1 내지 약 200:1, 예컨대 2:1 내지 100:1, 특히 5:1 내지 50:1, 더욱 더 특히 5:1 내지 2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1 내지 12:1, 예컨대 10:1 범위의 중량/중량 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35. 제13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25 내지 15 mg의 리코펜과 2.5 내지 100 mg의 포도씨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mg의 리코펜과 5 내지 50 mg의 포도씨 추출물, 특히 0.75 내지 2.5 mg의 리코펜과 10 내지 30 mg의 포도씨 추출물, 특히 1 내지 2.5 mg의 리코펜과 10 내지 25 mg의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6. 제1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내지 2.5 mg의 리코펜, 5 내지 50 mg의 포도씨 추출물 및 50 내지 200 mg의 연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내지 40% w/w 연골 추출물, 예컨대 25 내지 35% w/w,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35% w/w, 예컨대 30 내지 35% w/w 연골 추출물;
    1 내지 10% w/w 포도씨 추출물, 예컨대 2 내지 8% w/w,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w/w, 예컨대 3 내지 5% w/w 포도씨 추출물; 및
    1 내지 10% w/w 토마토 추출물, 예컨대 2 내지 8% w/w,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w/w, 예컨대 3 내지 5% w/w 토마토 추출물
    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롤라(Acerola)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류 추출물 100 내지 110 mg;
    식물 추출물 95 내지 105 mg;
    아세롤라 추출물 25 내지 35.00 mg;
    미세결정 셀룰로스 60 내지 90 mg; 및
    이산화규소 3.5 내지 4.5 mg
    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은 소중합체 프로시아니돌과 리코펜을 포함하며, 상기 어류 추출물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0.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류 추출물 100 내지 110 mg;
    식물 추출물 95 내지 105 mg;
    이눌린 60 내지 65 mg;
    아스코르브산 25 내지 35.00 mg;
    글루콘산아연 10 내지 20 mg; 및
    이산화규소 10 내지 15 mg
    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은 소중합체 프로시아니돌과 리코펜을 포함하며, 상기 어류 추출물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씨 추출물은 서방형으로 조제되고, 상기 리코펜은 정상 방출형으로 조제되는 것인 조성물.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미용 생성물, 식품 또는 식품 보충물, 약제 또는 다이어트제로 사용하기 위한 것인 조성물.
  43.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강한 피부의 일반 유지, 노화 또는 UV 노출로 인한 피부 변성의 개시의 지연 및 피부 노화의 징후의 치료에 적절한 것인 조성물.
  44.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화 피부, 일광 또는 UV 방사선의 다른 형태에 노출된 피부, 건성 피부, 거친 피부, 변색 피부, 여드름이 있는 피부, 흉터가 있는 피부, 튼살(stretch mark), 습진 및 건선이 있는 피부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인 조성물.
  45. 제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분말, 과립, 과립체, 캡슐, 향가루와 같은 고형 제형의 형태로, 또는 용액, 현탁액, 긴장제 또는 시럽과 같은 액상 제형의 형태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46.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포함하는, 노화 피부, 일광 또는 UV 방사선의 다른 형태에 노출된 피부, 건성 피부, 거친 피부, 변색 피부, 여드름이 있는 피부, 흉터가 있는 피부, 튼살(stretch mark), 습진 및 건선이 있는 피부의 미용학적 또는 예방학적 치료 방법.
  47.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의 징후, UV 방사선 노출로 초래되는 손상에 대한 피부의 미용학적 또는 예방학적 치료 방법.
  48.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진피 내 콜라겐 합성 감소를 저하시키는 방법.
  49. 피부 노화의 징후의 예방 또는 지연, UV 방사선 노출의 유해한 효과의 예방 또는 저하, 튼살의 치료, 여드름 치료, 습진 증상의 경감, 흉터 형성의 보조, 흉터 감소, 건선 증상의 경감 또는 거친 피부, 변색 피부 또는 건성 피부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KR1020027015160A 2000-05-12 2001-05-10 해양물 및 식물 추출물 배합 조성물 KR100917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000782 2000-05-12
DKPA200000782 2000-05-12
PCT/DK2001/000331 WO2001085182A2 (en) 2000-05-12 2001-05-10 Combined cartilage and plant extract compositio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881A Division KR20080026663A (ko) 2000-05-12 2001-05-10 경구 투여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259A true KR20030016259A (ko) 2003-02-26
KR100917701B1 KR100917701B1 (ko) 2009-09-21

Family

ID=81594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881A KR20080026663A (ko) 2000-05-12 2001-05-10 경구 투여용 조성물
KR1020027015160A KR100917701B1 (ko) 2000-05-12 2001-05-10 해양물 및 식물 추출물 배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881A KR20080026663A (ko) 2000-05-12 2001-05-10 경구 투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7435432B2 (ko)
EP (1) EP1283713B1 (ko)
JP (2) JP2003532680A (ko)
KR (2) KR20080026663A (ko)
CN (1) CN1222297C (ko)
AR (1) AR028452A1 (ko)
AT (1) ATE320262T1 (ko)
AU (2) AU5823701A (ko)
BR (1) BRPI0110940B1 (ko)
CA (1) CA2408544A1 (ko)
CZ (1) CZ20023970A3 (ko)
DE (1) DE60117971T2 (ko)
DK (1) DK1283713T3 (ko)
EE (1) EE05173B1 (ko)
ES (1) ES2260220T3 (ko)
HK (1) HK1050629A1 (ko)
HU (1) HUP0301941A2 (ko)
IL (2) IL152730A0 (ko)
MX (1) MXPA02011133A (ko)
MY (1) MY136064A (ko)
NO (1) NO20025381L (ko)
NZ (1) NZ523050A (ko)
PL (1) PL204004B1 (ko)
PT (1) PT1283713E (ko)
RU (1) RU2271213C2 (ko)
UA (1) UA74375C2 (ko)
WO (1) WO2001085182A2 (ko)
ZA (1) ZA2002096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471A (ko) * 2021-07-12 2023-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86273C (en) * 1999-10-08 2009-03-31 Coty B.V. Cosmetic preparation of active substances with a synergistically increased radical protection factor
IL146496A0 (en) * 2001-11-14 2002-07-25 Lycored Natural Prod Ind Ltd Caroteno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tecting skin
WO2003068202A1 (en) * 2002-02-15 2003-08-21 Dsm Ip Assets B.V. Compositions comprising lycopen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ngiogenesis associated pathologies
FR2836046B1 (fr) * 2002-02-15 2006-09-15 Marie Jose Touche Nouvelle application therapeutique d'un compose a : le butoforme ou scuroforme, associe au produit b : l'eugenol et au produit c : oxyde de zinc , additionne de lycopene
JP2003335698A (ja) * 2002-05-20 2003-11-25 Maruha Corp 高尿酸血症治療又は予防用組成物
AU2002950308A0 (en) 2002-07-23 2002-09-12 Phoenix Eagle Company Pty Ltd Topically applied composition
JP4334189B2 (ja) * 2002-07-30 2009-09-30 カゴメ株式会社 Age生成阻害剤
US20050025737A1 (en) * 2003-07-30 2005-02-03 Sebagh Jean Louis Compositions containing melon extracts
ES2322757T3 (es) * 2003-08-21 2009-06-26 Nestec S.A. Concentrado natural de licopeno y procedimiento de obtencion.
ITTO20030672A1 (it) 2003-09-03 2005-03-04 Medestea Internaz S R L Composizione a base di sostanze naturali utile nel
DE602004019673D1 (de) 2003-11-03 2009-04-09 Cortex Technology Aps Zusammensetzung für die kosmetische behandlung von altersbedingten dermatologischen symptomen
PL2233127T3 (pl) 2004-03-17 2020-11-16 Stada Arzneimittel Ag Zastosowanie przeciwutleniaczy do wytwarzania kompozycji farmaceutycznej lub kosmetycznej do ochrony skóry przed uszkodzeniem wywołanym przez promieniowanie podczerwone
DE102004020060B3 (de) * 2004-04-20 2005-06-02 Coty B.V. Kosmetisches Verfahren zur Behandlung der Haut mit Sonnenprodukten und Sonnenprodukt-Kombination
BRPI0511322A (pt) * 2004-06-25 2007-12-04 Ferrosan As composições adequadas para o tratamento de sinais cutáneos provenientes do envelhecimento, tablete e formulação de tablete
JP4585342B2 (ja) * 2005-03-18 2010-11-24 株式会社資生堂 不全角化を抑制する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同方法によりスクリーニングされた物質及び不全角化を抑制する方法
US7951782B2 (en) 2005-09-29 2011-05-31 Maruha Nichiro Seafoods, Inc Composition effective to prevent or treat adult disease
CA2524990A1 (en) * 2005-10-31 2007-04-30 Scienta Health, Inc. Oral skin supplement
JP5181486B2 (ja) * 2006-02-16 2013-04-10 大正製薬株式会社 亜鉛化合物配合経口用組成物
IL176668A0 (en) * 2006-07-02 2006-10-31 Ibr Ltd Colorless carotenoids for skin whitening
BRPI1005154A2 (pt) * 2009-01-19 2018-02-06 Lycored Ltd "composição terapêutica, método para inibir ou reduzir a produção de íons superóxido, óxido nítrico (no), fator necrose tumoral alfa (tnf-alfa) e/ou prostaglandina e2 (pge2) em um indivíduo mamífero, métodos de tratamento e uso de uma combinação"
CN105816498A (zh) 2009-04-27 2016-08-03 玫琳凯有限公司 植物性抗痤疮制剂
EP2489652B1 (en) * 2009-10-16 2018-07-25 Kaneka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reduced coenzyme q10, method for stabiliz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102451301A (zh) * 2010-10-22 2012-05-16 王京姝 一种治疗牛皮癣的外用膏剂
EP2632474B1 (en) 2010-10-26 2016-08-24 Vasil Petrov Terezov Composition for food supplement and its use for lowering high cholesterol level
US8455436B2 (en) 2010-12-28 2013-06-04 Depuy Mitek,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joints
US8398611B2 (en) 2010-12-28 2013-03-19 Depuy Mitek,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joints
FR2972923B1 (fr) * 2011-03-25 2013-08-23 Urgo Lab Composition filmogene contenant un filtre solaire, son utilisation pour le traitement des cicatrices
US8623839B2 (en) * 2011-06-30 2014-01-07 Depuy Mitek,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abilized polysaccharide formulations
US8344106B1 (en) * 2011-08-03 2013-01-01 Robert den Hoed Collagen mix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R2981272A1 (fr) * 2011-10-14 2013-04-19 Inneov Lab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orale comprenant un melange d'au moins un polyphenol, de zinc, et de vitamine c.
DE202012013018U1 (de) 2011-12-19 2014-08-20 Mary Kay Inc. Kombination von Pflanzenextrakten zur Verbesserung des Hauttons
US20130287859A1 (en) * 2012-04-26 2013-10-31 Lescarden Inc. Method for treating prupritus with cartilage extract
JP6406636B2 (ja) * 2013-06-19 2018-10-17 学校法人北里研究所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102323049B1 (ko) 2014-03-10 2021-11-05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라이트닝 조성물
EP3348273B8 (en) * 2014-04-15 2019-09-18 Devintec, Sagl Compositions based on xyloglucan and proteins for the treatment of intestinal disorders
US9682099B2 (en) 2015-01-20 2017-06-20 DePuy Synthes Product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joints
MX2018001577A (es) * 2015-08-07 2018-06-11 Laboratori Derivati Organici Spa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dermatan sulfato y sulfato de condroitina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etologicas.
CN105519761A (zh) * 2015-12-18 2016-04-27 荣成广润水产食品有限公司 一种利用鱿鱼羽状壳制备功能性多肽的方法
WO2020080316A1 (ja) * 2018-10-19 2020-04-23 オリザ油化株式会社 Ecmサイクル正常化剤
JP7405543B2 (ja) 2019-09-19 2023-12-26 オリザ油化株式会社 経口美肌用組成物
EP4041207A4 (en) * 2019-10-10 2023-11-08 Lycored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COLLAGEN LOSS
CN112553288B (zh) * 2020-12-09 2022-06-07 汤臣倍健股份有限公司 一种筛选具有抗衰老潜力天然产物的方法
US11633425B2 (en) 2021-05-13 2023-04-25 Ahava—Dead Sea Laboratories Ltd. Anti-glycation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4752A (en) * 1982-09-13 1984-04-24 Lescarden Ltd. Method for treating progressive systemic sclerosis
FR2597337B2 (fr) * 1984-10-19 1992-07-03 Courtin Olivier Cosmetique pour retarder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et procede d'application.
JPH0659402A (ja) * 1992-08-13 1994-03-04 Konica Corp 感光材料への潜像形成システム及び数字読取りシステム
IT1265312B1 (it) * 1993-12-21 1996-10-31 Indena Spa Formulazioni contenenti carotenoidi e procarotenoidi associati a polifenoli nella prevenzione dei danni da abnorme produzione di
US5569458A (en) * 1994-09-14 1996-10-29 Greenberg; Mike Nutritional formula
JP4010574B2 (ja) * 1994-12-05 2007-11-21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H09241637A (ja) * 1996-03-14 1997-09-16 Chugai Pharmaceut Co Ltd 活性酸素ラジカル除去用組成物およびその方法
WO1998033494A1 (en) * 1997-02-04 1998-08-06 Kosbab John V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 degenerative diseases
US5906811A (en) * 1997-06-27 1999-05-25 Thione International, Inc. Intra-oral antioxidant preparations
FR2770776B1 (fr) * 1997-11-07 2000-03-17 Lvmh Rech Utilisations du d-xylose et de ses esters pour ameliorer la fonctionnalite des cellules de l'epiderme
FR2770974A1 (fr) * 1997-11-20 1999-05-21 Hatem Smaoui Nouveau complement nutritionnel a base de lycopene de tomate, d'acides gras r 3-6-9 et antioxydants primaires et secondaires
EP1100517A1 (en) * 1998-08-04 2001-05-23 John V. Kosbab Nutrient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DE19842767A1 (de) * 1998-09-18 2000-03-23 Beiersdorf Ag Emulgatorfreie feindisperse Systeme von Typ Öl-in-Wasser und Wasser-in-Öl
ATE245410T1 (de) * 1998-12-23 2003-08-15 Esparma Gmbh Mittel zum schutz der haut enthaltend hydrolysierte hyaluronsäure
US6630163B1 (en) * 1999-04-22 2003-10-07 Howard Murad Method of treating dermatological disorders with fruit extra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471A (ko) * 2021-07-12 2023-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3713B1 (en) 2006-03-15
BRPI0110940B8 (ko) 2021-05-25
IL152730A0 (en) 2003-06-24
PL364466A1 (en) 2004-12-13
AU2001258237B8 (en) 2006-02-09
CA2408544A1 (en) 2001-11-15
DE60117971T2 (de) 2006-10-12
EP1283713A2 (en) 2003-02-19
RU2271213C2 (ru) 2006-03-10
US7435432B2 (en) 2008-10-14
IL152730A (en) 2009-05-04
JP2008273963A (ja) 2008-11-13
NO20025381L (no) 2003-01-10
RU2002133461A (ru) 2004-03-27
ATE320262T1 (de) 2006-04-15
HK1050629A1 (en) 2003-07-04
MY136064A (en) 2008-08-29
UA74375C2 (uk) 2005-12-15
NZ523050A (en) 2004-11-26
AR028452A1 (es) 2003-05-07
KR100917701B1 (ko) 2009-09-21
WO2001085182A2 (en) 2001-11-15
CN1437475A (zh) 2003-08-20
EE200200635A (et) 2004-04-15
PL204004B1 (pl) 2009-12-31
AU2001258237B2 (en) 2005-12-22
ES2260220T3 (es) 2006-11-01
DE60117971D1 (de) 2006-05-11
KR20080026663A (ko) 2008-03-25
CN1222297C (zh) 2005-10-12
HUP0301941A2 (hu) 2003-09-29
CZ20023970A3 (cs) 2003-06-18
BRPI0110940B1 (pt) 2015-04-28
NO20025381D0 (no) 2002-11-11
WO2001085182A3 (en) 2002-03-28
MXPA02011133A (es) 2004-08-19
JP2003532680A (ja) 2003-11-05
AU5823701A (en) 2001-11-20
US20020012714A1 (en) 2002-01-31
EE05173B1 (et) 2009-06-15
ZA200209682B (en) 2004-03-01
DK1283713T3 (da) 2006-07-10
PT1283713E (pt) 2006-08-31
BR0110940A (pt) 200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01B1 (ko) 해양물 및 식물 추출물 배합 조성물
AU2001258237A1 (en) Combined cartilage and plant extract compositions
RU2409290C2 (ru) Композиции, пригодные для лечения кожных признаков старения
JP5312727B2 (ja) 皮膚の保湿性、肌理、及び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植物を主成分とする調合物
KR100342543B1 (ko) 유리라디칼의비정상적인생성에기인한손상방지를위한,폴리페놀과결합된리코펜을함유하는조성물
Chen et al. Protection of vitamin E, selenium, trolox C, ascorbic acid palmitate, acetylcysteine, coenzyme Q0, coenzyme Q10, beta-carotene, canthaxanthin, and (+)-catechin against oxidative damage to rat blood and tissues in vivo
EP1667699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lotus extracts and methyl donors
US20080124409A1 (en) Topical Skin Composition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US5972357A (en) Healthy foods and cosmetics
CA2562829A1 (en) Oxygenated dibenzo-alpha-pyrone chromoproteins
JP4648309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水可溶性結合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100550965B1 (ko) 비타민류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KR102537140B1 (ko)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3673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KR20210034323A (ko)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