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714A -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714A
KR20030004714A KR1020010040355A KR20010040355A KR20030004714A KR 20030004714 A KR20030004714 A KR 20030004714A KR 1020010040355 A KR1020010040355 A KR 1020010040355A KR 20010040355 A KR20010040355 A KR 20010040355A KR 20030004714 A KR20030004714 A KR 20030004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ne body
foreign matter
high specific
washing machine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40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714A/ko
Publication of KR2003000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에 있어서 순환덕트 상의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순수한 세탁수만이 순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여과된 이물질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한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는 일측부는 외조(3)와 연결된 인입 배수덕트(11a)와 연통되고 타측부는 순환펌프(20)가 구비된 순환덕트(15)와 연통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세탁수에 선회력을 인가하는 선회류 발생수단(120)이 구비된 사이클론 몸체(110)와,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사이클론 몸체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물보다 큰 비중을 갖는 물질(200)을 필요에 따라 상기 사이클론 몸체로 공급하는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과,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타측부 외주연에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채집되도록 연통됨과 동시에 배수밸브가 구비된 배출 배수덕트(11b)와 연통되는 이물질 집진통(15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device for collecting lint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에서 순환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채집하는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물에 충격 등의 에너지를 가하여 오염물을 박리시키는 장치로서, 세탁물에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 세탁기, 드럼 세탁기 및 애지테이터 세탁기로 나눌 수 있다. 즉 펄세이터 또는 애지테이터에 의하여 세탁물에 충격을 주거나,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을 낙하시켜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물을 세탁한다. 그리고 여기에 세제의 작용이 추가되어 세탁이 이루어진다. 즉, 상술한 세탁기는 세탁물에 기계적 방법으로 충격을 주어 세탁를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는 주로 펄세이터, 애지테이터 등의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세탁을 하므로, 요구되는 세정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소정 속도 이상의 회전력이 필요하므로 세탁물이 꼬이거나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펄세이터 세탁기는 내조 및 외조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세탁기가 동작하므로 세탁시 사용되는 세탁수의 수량 및 세제량이 증가하고, 직접적으로 세탁시간과 관계없는 급배수 시간의 증가로 전체적인 세탁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가 제안되었다. 즉, 세탁이나 헹굼행정시에 세탁수를 내조로 순환시키고, 순환된 세탁수를내조의 세탁물에 분사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내조 및 외조에 세탁수를 소량만 급수해도 되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외조(3)가 설치되며, 상기 외조(3)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5a)이 형성된 내조(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조(5)의 내부에는 펄세이터(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내조(5) 및 펄세이터(7)는 외조(3)의 저면에 설치된 구동수단(9)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한편, 외조(3)의 저면에는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덕트(11)가 연결되며, 상기 배수덕트(11)의 소정위치에는 배수밸브(13)가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덕트(11)의 소정 위치에서는 세탁수를 내조(5)로 순환시키는 순환덕트(15)가 분기되며, 상기 순환덕트(15)의 소정 위치에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20)가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순환펌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순환펌프(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22)와, 상기 모터부(22)에 결합되며 순환덕트(15)상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펌핑하는 역할을 하는 임펠러부(24)로 구성된다. 즉, 외조에서 나온 세탁수는 순환펌프(20)의 임펠러부(24)로 유입되고, 유입된 세탁수는 펌핑되므로 결국 세탁수는 다시 내조로 토출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세탁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기의 동작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각 모드가 차례로 수행되어 세탁이 행해진다.
먼저 세탁행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조(5)의 내부에 세탁물을 넣고 세탁기를 동작시키면 세탁수가 내조(5)로 급수되며, 상기 세탁수는 일정 수위까지 내조(5)와 외조(3)를 채우게 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펄세이터(7)가 정,역회전을 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이때, 순환펌프(20)도 구동되어 세탁수는 다시 내조로 배출되게 된다.
일정시간 동안 세탁행정이 진행되고 난 후에는 배수밸브(13)가 개방되어 오염된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후 다시 내조(5)에 깨끗한 세탁수를 공급한 다음 펄세이터(7)를 회전시켜 헹굼행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도 순환펌프(20)가 구동되어 세탁수는 다시 내조로 배출되게 된다.
탈수행정에서는 내조(5)와 펄세이터(7)가 함께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한다. 따라서 원심력에 의하여 내조(5)의 세탁수는 통공(5a)을 통해 외조(3)로 배출된다. 이때 순환펌프(20)는 정지된 상태이며 배수밸브(13)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외조(3)로 배출된 세탁수는 배수밸브(13)를 통해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세탁헹정이나 헹굼행정에서 보푸라기, 흙 등의 이물질이 그대로 순환덕트(15)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이물질이 순환펌프(20)의 임펠러부(24) 특히 임펠러부(24)와 모터부의 연결부분(24a)에 감기게 되어 순환펌프(20)를 구속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의류 등에서 분리된 단추 등과 같은 이물질이 그대로 순환하는 경우에는 이들에 의하여 순환펌프(20)의고장을 야기할 우려가 있었다.
둘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순환덕트(15)상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이물질을 어느 정도 여과할 수는 있지만 사용상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하였다. 즉, 통상 사용되는 메쉬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시에 이물질을 여과하더라도 여과된 이물질이 그대로 필터에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소정시간 세탁기의 사용후에는 필터의 여과성능이 저하되며, 또한 사용자가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야만 하므로 대단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에 있어서 순환덕트 상의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순수한 세탁수만이 순환할 수 있는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된 이물질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한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순환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
도 5a는 도 4의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4의 선회류 발생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 : 인입 배수덕트 11b : 배출 배수덕트
15 : 순환덕트 20 : 순환펌프
110 : 사이클론 몸체 112 : 이물질 배출구
120 : 선회류 발생수단 130 : 고비중 물질 저장통
140 :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 150 : 이물질 집진통
200 : 고비중 물질 300 : 혼합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는 일측부는 외조와 연결된 인입 배수덕트와 연통되고 타측부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순환덕트와 연통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세탁수에 선회력을 인가하는 선회류 발생수단이 구비된 사이클론 몸체와,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사이클론 몸체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물보다 큰 비중을 갖는 물질을 필요에 따라 상기 사이클론 몸체로 공급하는 고비중 물질 저장통과,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타측부 외주연에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채집되도록 연통됨과 동시에 배수밸브가 구비된 배출 배수덕트와 연통되는 이물질 집진통으로 이루어져, 세탁 및 행굼행정시에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고비중 물질과 혼합되어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내벽을 따라 선회하면서 이물질 집진통에 채집되며, 탈수행정시에는 외부로 배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고비중 물질 저장통은 선회류 발생수단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고비중 물질이 자중에 의해 상기 사이클론 몸체측으로 향하도록 사이클론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비중 물질 저장통은 사이클론 몸체와 연통되는 부분에 선회하는 세탁수에 의해 개방되면서 고비중 물질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은 사이클론 몸체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축과,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수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져, 상기 날개가 회전함에 따라 고비중 물질 저장통과 사이클론 몸체를 개폐시키는 임펠러(impeller)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일측부는 선회류 발생수단의 전단부까지 세탁수의 진행방향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관부가 형성되어, 세탁수의 선회력을 더욱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비중 물질은 금속분말이며, 특히 마그네타이트(magnetite)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이물질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a는 도 4의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4의 선회류 발생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후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는 외조(3)의 하단 일측에 구비된 배수덕트(11a,11b)와 상기 배수덕트로부터 분기된 순환덕트(15) 사이에 구비되는 사이클론 몸체(110)와,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비중이 물보다 큰 물질(이하, 고비중 물질)이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고비중 물질을 사이클론 몸체로 배출하는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과,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이물질 집진통(150)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배수덕트(11a,11b)는 사이클론 몸체(110)의 일측부와 연통되어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세탁수가 유입되는 인입 배수덕트(11a)와, 이물질 집진통(150)과 연통되어 배수밸브(도시 생략) 개방시 상기 이물질이 세탁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배수덕트(11b)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상기 순환덕트(15)의소정 위치에는 세탁수를 강제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2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사이클론 몸체(110)는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이 내벽을 따라 선회하다가 분리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부(도면상 좌측)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세탁수가 유입되는 인입 배수덕트(11a)가 설치되어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부(도면상 우측)에는 이물질이 분리된 순수한 세탁수만이 토출되는 순환덕트(15)가 설치되어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클론 몸체(110)의 타측부 외주연에는 세탁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이물질 집진통(150)으로 안내하는 이물질 배출관(112)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물질 배출관은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사이클론 몸체(110)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사이클론 몸체(110)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의 내부에 인입 배수덕트(11a)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선회시키기 위한 선회류 발생수단(120)이 구비되고, 상기 선회류 발생수단의 후단부에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은 선회류 발생수단(12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도 관계없으나, 후기에 설명하는 고비중 물질(200)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서는 상기 선회류 발생수단의 후단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물질 집진통(150)은 상기 사이클론 몸체(110)의 하부에 이물질 배출관(112)을 통해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되는데, 이것은 사이클론 몸체를 지나는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원활히 채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은 사이클론 몸체(110)와 연통되며, 자중에 의해 고비중 물질(200)이 상기 사이클론 몸체측으로 향하도록 사이클론 몸체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은 원통형상의 몸체 하부에 단면적이 축소되는 축관부(132)가 형성되어 고비중 물질(200)의 배출을 원활히 함과 더불어, 상기 축관부의 하단에 사이클론 몸체(110)와 연통되는 고비중 물질 배출구(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비중 물질 배출구(134)와 사이클론 몸체(110) 사이에는 세탁수의 유입시에만 고비중 물질(200)을 배출하는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140)이 구비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140)은 세탁수의 유입 여부에 따라 상기 고비중 물질 저장통과 사이클론 몸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외주연에 사이클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축(142)과,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144)로 이루어지는 임펠러(impeller)이다. 즉, 상기 임펠러의 날개(144)는 사이클론 몸체의 내벽을 따라 선회하는 세탁수 또는 이물질의 선회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시 고비중 물질 배출구에 있는 이물질을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내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임펠러의 날개(144)는 선회하는 세탁수에 의해 잘 회전되도록 곡면을 이룸이 바라직하며, 그 개수에는 관계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이 선회류 발생수단(120)의 후단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140)의 작용은 선회류 발생수단을 지난 세탁수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회류 발생수단(120)을 지난 세탁수는 사이클론 몸체(110)의 내벽을 따라 선회하면서, 사이클론 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임펠러의 날개(144)와 부딪혀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이클론 몸체(110)로 세탁수가 유입될 경우에만 고비중 물질(200)을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140)은 임펠러의 축이 사이클론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축의 반경방향으로 날개가 구비되어도 관계없다.
한편, 상기 고비중 물질(200)은 세탁수에 포함된 보푸라기, 실밥 및 세탁과정에서 분리된 미세입자와 같은 이물질을 응집시키기 위한 것으로, 세탁수가 상기 사이클론 몸체(110)를 지날 때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세탁수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비중이 1인 물보다 큰 비중을 갖는 물질이면 된다.
이를 상술하면, 상기 고비중 물질(200)은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혼합되어 그 전체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세탁수의 선회력에 의한 원심력을 증대시켜 사이클론 방식에 의한 이물질의 분리를 원활하게 한다. 즉, 원심력은 질량에 비례하는 바,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에 고비중 물질(200)이 혼합될 경우 전체 질량이 증가하여 원심력이 증대된다. 이 경우, 상기 이물질은 원심력의 영향으로 사이클론 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내벽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세탁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내벽을 타고 선회하면서 이물질 배출구(112)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고비중 물질(200)은 비중 측면과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으로부터 원활한 배출을 위해 금속분말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특히 이물질과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해 마그네타이트(magnetite)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의 형상 역시 원통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고비중 물질의 저장과 상기 임펠러와 같은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140)에 의해 사이클론 몸체(110)와 연통되는 한 어떠한 형상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사이클론 몸체(110)의 일측부에서 선회류 발생수단(120)의 전단부까지는 세탁수의 유입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관부(1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사이클론 몸체(110)는 일측부가 원추형상을 갖는 원통형상이다. 이것은 사이클론 몸체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선회류 발생수단을 골고루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회력을 부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선회류 발생수단(120)은 사이클론 몸체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축(122)과, 상기 축의 외주연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축류 블레이드(12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선회류 발생수단(120)을 지나는 세탁수는 축류 블레이드(124)의 곡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선회력을 갖게 되어 사이클론 몸체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선회류 발생수단(120)은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내부 유동에 선회력을 인가하기 위한 공지 기술로 축류 블레이드 대신 나선형 블레이드를 갖는 등 변형된 형태의 적용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의 전체적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수 순환방식 세탁기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세탁 및 헹굼행정시와 탈수행정시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세탁 및 헹굼행정시에는 배출 배수덕트(11b)에 구비된 배수밸브(도시생략)는 닫힌 상태이고 순환펌프(20)는 구동 상태이다. 따라서, 외조(3)에 있는 세탁수는 순환펌프에 의해 인입 배수덕트(11a)와 사이클론 몸체(110) 및 순환덕트(15)를 차례로 지나면서 다시 내조로 유입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때, 세탁수는 순환덕트(15)로 유입되기 전에 사이클론 몸체(110)를 경유하게 되며, 여기서 이물질이 분리되어 순수한 세탁수만이 상기 순환덕트(15)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물질에 의해 순환펌프(20)의 동작이 구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상술하면, 외조(3)에 있는 세탁수는 인입 배수덕트(11a)를 통해 상기 사이클론 몸체(110)로 유입되며, 선회류 발생수단(120)을 지난 후 사이클론 몸체 내부를 선회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선회하는 세탁수에 의해 임펠러(140)의 날개가 회전하게 되면서 고비중 물질 저장통(130)에 있는 고비중 물질(200)이 배출관(134)을 통해 사이클론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사이클론 몸체(110)로 유입된 고비중 물질(200)은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혼합되면서 물보다 무거운 혼합물(300)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이물질과 고비중 물질의 혼합물(300)은 원심력에 의해 사이클론 몸체(110)의 내벽을 따라 선회하면서 이물질 배출구(112)를 통해 최종적으로 이물질 집진통(150)으로 수집된다. 그리고, 이물질이 분리된 순수한 세탁수는 순환펌프(20)의 흡입력에 의해 순환덕트(15)로 유입되어 내조로 다시 투입된다. 이 때, 배수밸브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이물질 집진통(150)에는 이물질과 고비중 물질의 혼합물(300)이 계속 채집된다.
다음, 탈수행정시에는 순환펌프(20)는 정지 상태이고 배수밸브는 열린 상태이다. 따라서, 외조(3)에 있는 세탁수는 배수덕트(11a,11b)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되며 더 이상 순환덕트(15)를 따라 순환되지 않는다.
이 때, 인입 배수덕트(11a)를 통해 사이클론 몸체(110)로 유입된 세탁수는 이물질 배출구(112)를 통해 이물질 집진통(150)으로 유동되며, 계속해서 상기 이물질 집진통에 있는 이물질과 고비중 물질의 혼합물(300)을 배출 배수덕트(11b)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시키게 된다.
즉, 세탁 및 헹굼행정시에 세탁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탈수행정시에 외부로 배출되는 세탁수에 의해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 집진통(150)을 임의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는 상술한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이물질 채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물질 채집장치에서 효과적으로 채집됨에 따라 순환펌프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에 의하여 순환펌프가 구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순환덕트 상의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됨으로써, 순수한 세탁수만이 계속 순환할 수 있어 적은 양의 세탁수만으로도 효과적인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질 채집장치에 채집된 이물질이 탈수행정시에 자동적으로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이물질 채집장치를 정기적으로 청소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Claims (7)

  1. 일측부는 외조와 연결된 인입 배수덕트와 연통되고 타측부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순환덕트와 연통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세탁수에 선회력을 인가하는 선회류 발생수단이 구비된 사이클론 몸체와;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사이클론 몸체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물보다 큰 비중을 갖는 물질을 필요에 따라 상기 사이클론 몸체로 공급하는 고비중 물질 저장통과;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타측부 외주연에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채집되도록 연통됨과 동시에 배수밸브가 구비된 배출 배수덕트와 연통되는 이물질 집진통으로 이루어져,
    세탁 및 행굼행정시에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고비중 물질과 혼합되어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내벽을 따라 선회하면서 이물질 집진통에 채집되며, 탈수행정시에는 외부로 배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중 물질 저장통은 선회류 발생수단의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사이클론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고비중 물질이 자중에 의해 상기 사이클론 몸체측으로 향하는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중 물질 저장통은 사이클론 몸체와 연통되는 부분에 선회하는 세탁수에 의해 개방되면서 고비중 물질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중 물질 배출수단은 사이클론 몸체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축과,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수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진 임펠러(impeller)인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일측부는 선회류 발생수단의 전단부까지 세탁수의 진행방향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관부가 형성되는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중 물질은 금속분말인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분말은 마그네타이트(magnetite)인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1020010040355A 2001-07-06 2001-07-06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20030004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355A KR20030004714A (ko) 2001-07-06 2001-07-06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355A KR20030004714A (ko) 2001-07-06 2001-07-06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714A true KR20030004714A (ko) 2003-01-15

Family

ID=2771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355A KR20030004714A (ko) 2001-07-06 2001-07-06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7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02B1 (ko) * 2002-04-24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을 구비한 건조기
KR101481555B1 (ko) * 2008-05-14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DE102019117652A1 (de) 2018-07-12 2020-01-16 BSH Hausgeräte GmbH Waschmaschine mit Hydrozyklon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02B1 (ko) * 2002-04-24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을 구비한 건조기
KR101481555B1 (ko) * 2008-05-14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DE102019117652A1 (de) 2018-07-12 2020-01-16 BSH Hausgeräte GmbH Waschmaschine mit Hydrozyklon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384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578564B2 (ja) 洗濯機
WO2002004734A1 (en) Improvements in washing machines
KR20140018920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N104428458A (zh) 洗衣机
WO1999045187A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device for filtering dirt in washing water
KR20030004714A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100316996B1 (ko) 전자동세탁기의 실밥채집장치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JP2508197Y2 (ja) 洗濯機のフィルタ―装置
KR100808151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200159028Y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CN213652237U (zh) 一种污泥脱水机
KR100808152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100218970B1 (ko) 세탁기
CN109963977A (zh) 洗衣机
KR100565537B1 (ko) 순환분사식 세탁기
KR100315819B1 (ko) 실밥 자동 배출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KR100312813B1 (ko) 통이회전되는세탁기의보푸라기채집장치및그의방법
KR100223417B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KR100267930B1 (ko) 세탁기
KR100262987B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KR0124117Y1 (ko) 봉세탁기용 린트필터
KR200153697Y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거름장치
KR200299954Y1 (ko) 세탁기용 세탁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