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541Y1 - Charger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Charger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541Y1
KR200299541Y1 KR20-2002-0028592U KR20020028592U KR200299541Y1 KR 200299541 Y1 KR200299541 Y1 KR 200299541Y1 KR 20020028592 U KR20020028592 U KR 20020028592U KR 200299541 Y1 KR200299541 Y1 KR 200299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harger
converter
charging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5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디아이
Priority to KR20-2002-0028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54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541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 교류전원(110V/220V)에 연결된 AC 어댑터 또는 차량의 전원에 연결되어 직류전압이 공급되는 제1 입력부와,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도록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입력부와,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압을 제2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과 실질적으로 같은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압변환부와, 상기 전압변환부와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압을 충전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DC-DC 변환부를 구비하는 충전기가 제공된다. 상기 충전기는 상기 DC-DC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전압을 검출하며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전압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전류를 검출하며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전류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는 상기 DC-DC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며, 상기 DC-DC 변환부의 출력단으로의 역전류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정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in particular to a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put unit connected to an AC adapter connected to a general AC power source (110V / 220V) or a vehicle power supply and a DC voltage is supplied, and a USB cable is connected to receive a DC voltage from a USB port of a computer. A second input unit, a voltage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first input unit into a voltage substantially equal to the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second input unit, and outputting the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 converting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Provided is a charger having a DC-DC convert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voltage to a charging voltage. Th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C-DC converter. Th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etector that detects the charging voltage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charging current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configured to rectif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C-DC converter and to prevent a reverse curren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Description

휴대폰 충전기 {CHARGER FOR MOBILE PHONE}Mobile Phone Charger {CHARGER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in particular to a mobile phone charger.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충전기는 사용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일반 가정용 교류전원(110V 또는 220V)을 사용하는 것과 차량내 시가잭 직류전원(12V또는 24V)을 사용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가정용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충전기는 다시 탁상용과 여행용으로 나누어진다. 탁상용은 충전지가 결합된 휴대폰 본체 또는 휴대폰 본체로부터 분리된 충전지가 안전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거치대를 구비한다. 거치대 내부에는 AC 어댑터와 각종 제어부가 구비된다. 탁상용은 정해진 장소에서 이동하지 않고 사용하기에는 편리하지만 거치대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휴대하고 다니기에는 불편하다. 따라서, 탁상용 대신 거치대가 필요없는 여행용 충전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여행용 충전기는 전원에 연결되는 플러그와 AC 어댑터가 함께 일체로 구성되며 휴대폰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전화접속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여행용 충전기는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탁상용에 비해 크기가 비교적 작아 휴대가 간편하다.Currently widely used mobile phone chargers are classified into using general household AC power (110V or 220V) and in-car cigar jack DC power (12V or 24V) according to the type of power used. Chargers using home AC power are again divided into desktop and travel. The table top has a cradle provided to securely couple the mobile phone body to which the rechargeable battery is coupled or the rechargeable battery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body. Inside the cradle is equipped with an AC adapter and various controls. The tabletop is convenient to use without moving in a fixed place, bu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because of its relatively large holder. Therefore, a travel charger may be used instead of a desktop. The travel charger includes a connector and a control unit which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g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n AC adapter and inserted into a mobile phone connection connector provided at a lower part of a mobile phone. Since the travel charger does not have a cradle, it is relatively small in size compared to the table top, and is easy to carry.

차량 내 시가잭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충전기는 시가잭에 연결되는 전원플러그(이하, CLA(Cigarette Lighter Adapter)라 한다)와, 충전지 또는 휴대폰 본체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한다(거치대 대신 휴대폰의 이동전화접속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거치대 내부에는 전압을 강하시키는 변환부를 비롯하여 각종 제어부가 구비된다. 시가잭을 이용하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차량내에서 간편하게 충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A charger using a cigar jack DC power in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power plug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A (Cigarette Lighter Adapter)) connected to the cigar jack and a cradle to which a rechargeable battery or a mobile phone body is mounted (mobile phone connection connector of a mobile phone instead of a cradle).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inserted into). Inside the cradle, various controllers are provided, including a converter for dropping a voltage. A charger using a cigar jack can be used to easily charge a rechargeable battery in a vehicle.

최근에는 컴퓨터(노트북 컴퓨터 포함)의 USB 포트에 연결하여 충전하는 충전기가 사용되기도 한다.Recently, chargers are being used that charge by connecting to a USB port on a computer (including a laptop computer).

휴대폰 충전기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전압의 전원으로부터 입력받아 정전압/정전류의 직류를 충전지에 인가하여 충전하게 된다. 이때, 충전기의 각종 제어부는충전지로 인가되는 직류가 정전압 및 정전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The mobile phone charger is charged from a power source having various voltages as described above to charge a DC by applying 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to a rechargeable battery. In this case, various controllers of the charger control the direct current applied to the charger to maintain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constant current.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폰은 여러 가지 방식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각 충전방식에 따라 그에 맞는 충전기를 필요로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덜기 위해 가정용 교류전원과 차량용 직류전원에서 모두 충전이 가능하도록 두 기능을 조합한 구성을 갖는 충전기가 있기는 하다. 하지만, 기존의 제품은 가정용 교류전원과 차량용 직류전원에 연결되는 각각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회로가 따로 구비되고 각각의 충전회로로부터의 출력이 충전기의 출력부에서 하나로 연결되어 휴대폰을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존의 이러한 충전기는 컴퓨터의 USB 포트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can be charged by various methods. However, there was a inconvenience in that a charger suitable for each charging method was required. In order to reduce the inconvenience, there is a charger having a combination of the two functions so that it can be charged from both the home AC power supply and the vehicle DC power supply. However, the existing product is provided with a charging circuit including each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home AC power supply and the vehicle DC power supply separately, and the output from each charging circuit is connected to one at the output of the charger is configured to charge the mobile phone . Also, these conventional chargers are not configured to use the computer's USB port together.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충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전원소스를 이용하되 통합된 충전회로에 의해 작동하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er capable of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of a mobile phone using various power source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charger using various power sources, but operated by an integrated charging circui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charger miniaturized for easy portability.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로서, 휴대폰과 충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연결장치를 함께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and the charger;

도2는 도1의 휴대폰 충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charger of Figure 1

도3은 도2의 전압변환부의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voltage converter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충전기 20 : 제1 입력부10: charger 20: first input unit

22 : 제2 입력부 30 : 전압변환부22: second input unit 30: voltage conversion unit

40 : DC-DC 변환부 50 : 제어IC40: DC-DC converter 50: control IC

60 : 정류부 70 : 전압검출부60: rectifier 70: voltage detector

75 : 전류감지부 80 : 출력부75: current sensing unit 80: output unit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반 교류전원에 연결된 AC 어댑터 또는 차량의 전원에 연결되어 직류전압이 공급되는 제1 입력부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put unit is connected to the AC adapter or a vehicle power supply connected to a general AC power supply and a DC voltage,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도록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입력부와,A second input to which a USB cable is connected to receive a DC voltage from a USB port of the computer;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압을 제2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과 실질적으로 같은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압변환부와,A voltage converter converting the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first input unit into a voltage substantially equal to the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second input unit, and outputting the same;

상기 전압변환부와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압을 충전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DC-DC 변환부를 구비하는 충전기가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charger having a DC-DC convert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 converter and the second input unit to a charging voltage.

상기 충전기는 상기 DC-DC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C-DC converter.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전압을 검출하며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전압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etector that detects the charging voltage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전류를 검출하며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전류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charging current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충전기는 상기 DC-DC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며, 상기 DC-DC 변환부의 출력단으로의 역전류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정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configured to rectif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C-DC converter and to prevent a reverse curren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을 따르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USB 연결 리셉터클과, 직류전원 연결 리셉터클과,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B connection receptac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DC power connection receptacle,

휴대폰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장착된 충전회로와,A charging circuit equipped with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obile phone,

상기 충전회로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Including a housing surrounding the charging circuit,

상기 USB 연결 리셉터클과, 직류전원 연결 리셉터클과 휴대폰 연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된 충전기가 제공된다.The USB connection receptacle, the DC power connection receptacle and the mobile phone connection connector are provided with a charger having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을 참조하면, 충전기(10)의 일측면에는 AC 어댑터(5)와, CLA(6)가 연결되는 리셉터클을 갖는 제1 입력부(20)가 구비되고, 충전기(10)의 하단부에는 USB 케이블(7)이 연결되는 리셉터클을 갖는 제2 입력부(22)가 구비된다. 충전기(10)의 상단에는 휴대폰(9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접속커넥터(95)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커넥터를 갖는 출력부(80)가 구비된다. AC 어댑터(5)는 가정 등의 상용전원인 교류 110V/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직류로 변환시켜 충전기(10)로 출력한다. 보통 출력정격은 12V, 300mA 또는 12V, 500mA이다(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6)는 승용차나 대형차에 구비되어 있는 시가잭으로부터 직류 12V(승용차) 또는 24V(대형차)의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기(10)에 그대로 공급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CLA(6) 내부에는 휴즈가 장착되어 있다. USB 케이블(7)은 컴퓨터(노트북 컴퓨터 포함)의 USB 포트에 연결되어 충전기(10)에 직류 5V의 전원을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1, one side of the charger 10 includes an AC adapter 5 and a first input unit 20 having a receptacle to which the CLA 6 is connected, and a USB cable at a lower end of the charger 10. A second input 22 having a receptacle to which 7 is connected is provided. The upper end of the charger 10 is provided with an output unit 80 having a connector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nnector 95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mobile phone (90). The AC adapter 5 receives power of AC 110V / 220V, which is a commercial power source such as a home, converts it into a DC and outputs it to the charger 10. Usually the output rating is 12V, 300mA or 12V, 500mA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CLA 6 receives a DC power supply of 12V (a passenger car) or a 24V (large car) from a cigar jack provided in a passenger car or a large car and supplies it to the charger 10 as it is. Although not shown, a fuse is mounted inside the CLA 6. The USB cable 7 is connected to a USB port of a computer (including a laptop computer) to supply DC 5V power to the charger 10.

도2를 참조하면, 충전기(10)는 제1, 제2 입력부(20, 22)와, 전압변환부(30)와, DC-DC 변환부(40)와,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어IC(50)와, 정류부(60)와, 출력부(80)와, 전압검출부(70)와, 전류감지부(75)를 구비한다. 제1 입력부(20)에는 AC 어댑터(5) 또는 CLA(6)가 연결되어 직류 12V 또는 직류 24V의 전원이 입력된다. 제2 입력부(22)에는 USB 케이블(7)이 연결되어 직류 5V의 전원이 입력된다. 제1 입력부(22)를 통해 입력된 직류 12V의 전류는 전압변환부(30)로 보내진다.Referring to FIG. 2, the charger 10 includes a control IC 50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20 and 22, the voltage converter 30, the DC-DC converter 40, and a controller. ), A rectifier 60, an output 80, a voltage detector 70, and a current detector 75. The AC adapter 5 or the CLA 6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unit 20 to input a DC 12V or DC 24V power supply. The USB cable 7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unit 22 to input DC 5V power. The DC 12V current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22 is sent to the voltage converter 30.

전압변환부(30)는 AC 어댑터(5)와 CLA(6)로부터 들어온 12V 또는 24V의 직류 전류를 제어가 용이한 전압(예를 들면, 5V)으로 변화시켜 출력하는 부분이다. 전압변환부(30)는 예상 가능한 제1 입력부(20)로부터의 입력전압(직류 10.8 ~ 33V)을 제2 입력부(22)로부터의 입력전압인 5V로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행방식은 Buck(또는 STEP-DOWN)방법이며, 이를 위하여 쇼트키다이오드와 인덕터를 사용한다.전압 변환부(30)는 PWM(Pulse Width Modulator) IC(예를 들면, 대만의 Promax-Johnton사에서 제작된 pj34063)에 의하여 출력전압이 정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PWM IC는 충전기의 출력부로부터 저항에 의해 분리되어 귀환되는 전압으로 작동한다. 전압변환부(30)의 바람직한 예로서, 도3에 도시된 회로도와 같이 전압변환부(30)를 구성할 수 있다. 도3에서는 PWM IC로서 페어차일드반도체에서 제작된 KA34063A를 사용하였다.The voltage converter 30 is a part for changing the DC current of 12V or 24V input from the AC adapter 5 and the CLA 6 into a voltage (for example, 5V)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and outputting the same. The voltage converter 30 changes the input voltage (DC 10.8 to 33V) from the predictable first input unit 20 to 5V, which is an input voltage from the second input unit 22. The execution method is a Buck (or STEP-DOWN) method, and a Schottky diode and an inductor are used for this purpose. The voltage converter 30 is a PWM (Pulse Width Modulator) IC (for example, Promax-Johnton, Taiwan). The manufactured pj34063) controls the output voltage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The PWM IC operates from a charger's output, which is separated by a resistor and fed back.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voltage converter 30, the voltage converter 3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In FIG. 3, KA34063A manufactured by Fairchild Semiconductor was used as the PWM IC.

도2를 참조하면, 제1 입력부(20)를 통해 AC 어댑터(5) 또는 CLA(6)로부터 12V 또는 24V의 직류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제2 입력부(22)를 통해서는 USB 케이블(7)로부터 5V의 직류전압이 공급된다. 서로 다른 직류전압이 제1 입력부(20)와 제2 입력부(22)를 통해 입력되므로 하나의 제어부로써 충전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로 다른 직류전압이 하나로 통일되어 입력되는 충전회로가 구성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각 입력부에 따른 각각의 제어부를 갖는 충전회로가 구비되어야 한다. 제1 입력부(20)로부터의 직류전압과 제2 입력부(22)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같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부(20)로부터의 직류전압을 바꿔 제2 입력부(22)로부터의 직류전압과 같게 구성한다. 이 작용을 하는 것이 바로 전압변환부(30)이다. 제1 입력부(20)를 통해 공급된 12V 또는 24V의 직류전압은 전압변환부(30)를 거치면서 제2 입력부(22)를 통해 공급되는 5V의 직류전압과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원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직류 5V의 전기가 후술하는 DC-DC 변환부(40)에 인가되게 되고 그에 따라 충전회로의 구성이 최소화된다. 또한, 전압변환부(30)로부터 출력된 5V의 직류전압은 DC-DC 변환부(40)에 인가되는 것 이외에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의 출력으로 바로 인가되어 휴대폰(9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충전기 표준안에 의하여 시행되는 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2, a DC voltage of 12 V or 24 V is supplied from the AC adapter 5 or the CLA 6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20. In addition, a DC voltage of 5V is supplied from the USB cable 7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22. Since different DC voltages are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20 and the second input unit 22, in order to generate a charging voltage with one controller, a charging circuit in which the different DC voltages are united and inputted into one should be configured. Otherwise, a charging circuit having a respective control unit for each input unit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equalize the DC voltage from the first input unit 20 and the DC voltage from the second input unit 22, in this embodiment, the DC voltage from the first input unit 20 is changed to change the DC voltage from the second input unit 22. Configure the same as the voltage. It is the voltage converter 30 that serves this function. The DC voltage of 12V or 24V suppli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20 is equal to the DC voltage of 5V supplie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22 while passing through the voltage conversion unit 30. Therefore, regardless of the type of power, the same DC 5V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DC-DC converter 4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minimiz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circuit. In addition, the DC voltage of 5V output from the voltage converter 30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output of the charger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to the DC-DC converter 40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90. . This is to comply with the matters enforced by the charger standard of the TTA.

DC-DC 변환부(40)는 트랜지스터나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전압변환부(30)와 제2 입력부(22)로부터 직류 5V의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시 휴대폰에 제공되는 충전전압(예를 들면, 직류 4.2V)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DC-DC 변환부(40)로부터 출력되는 값이 실제로 휴대폰을 충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DC-DC 변환부(40)의 동작은 그 출력값이 정해진 충전전압과 충전전류를 엄격하게 유지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어는 후술하는 제어IC(50)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DC-DC converter 40 is composed of a transistor or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The DC-DC converter 40 receives DC 5V of electricity from the voltage converter 30 and the second input unit 22 and is provided to the mobile phone during charging. It converts into a charging voltage (for example, direct current 4.2V), and outputs it. Since the value output from the DC-DC converter 40 actually charges the mobile phone, the operation of the DC-DC converter 40 should be controlled so that its output value is strictly maintained with the specified charging voltage and charging current. This control is performed by the control IC 50 described later.

제어IC(50)는 DC-DC 변환부(40)로부터 출력되는 값(충전시 실제 휴대폰(90)의 충전지에 공급되는 충전전압 및 충전전류)이 정전압/정전류를 유지하도록 DC-DC 변환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IC이다. 현재 또는 향후 제품규격을 고려하여 사용 가능한 IC의 예를 들면 대략 4가지를 들 수 있는데, 그에 대한 상용 IC별 제품은아래표와 같다.The control IC 50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such that the value output from the DC-DC converter 40 (the charging voltage and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90 at the time of charging) is maintained. 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C. There are four examples of ICs that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current or future product specifications. Commercial IC-specific products are as follows.

상기 표에서 저장온도는 IC를 보관할 때 유지되어야 할 온도의 범위이고, 동작온도는 IC가 충전기에 장착되어 동작할 때 그 해당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온도의 범위이다.In the above table, the storage temperature is a range of temperatures to be maintained when the IC is stored, and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a range of temperatures at which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when the IC is mounted and operated in the charger.

상기 IC들은 정확한 충전전압과 충전전류의 특성을 가진다는 점 이외에도 저전압감지 및 만충전감지 기능 등도 갖는다.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ccurate charging voltage and charging current, the ICs have low voltage detection and full charge detection functions.

정류부(60)는 다이오드로 구성되는데, DC-DC 변환부(50)로부터 출력된 값을 보다 완전한 직류성분으로 정류시키고, DC-DC 변환부(50)의 출력단으로의 역전류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The rectifier 60 is composed of a diode, and rectifies the value output from the DC-DC converter 50 into a more complete DC component, and prevents reverse curren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50. do.

출력부(80)는 실제 휴대폰(90)의 접속컨넥터(도1의 95)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해당규격에 맞추어(예를 들면, 국내용과 일본용으로 구분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80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standard (for example, divided into domestic and Japanese) as a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95 of FIG. 1) of the actual mobile phone 90.

전압검출부(70)는 충전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출력부의 전압을 검출하여 이 신호를 제어IC(50)로 귀환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이 신호를 받은 제어IC(50)는 DC-DC 변환부(40)가 정전압을 유지하도록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내보낸다.The voltage detector 70 detects the voltage of the output unit in order to maintain the charging voltage and returns the signal to the control IC 50. The control IC 50 receiving this signal sends out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DC-DC converter 40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전류감지부(75)는 충전전류를 정전류로 유지하기 위하여 현재의 충전전류를 확인하여 이 신호를 제어IC(50)로 귀환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이 신호를 받은 제어IC(50)는 DC-DC 변환부(40)가 정전류를 유지하도록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내보낸다. 사용되는 제어IC(50)의 종류에 따라 확인하는 방식(즉 구성)이 다소 변경될 수 있으나, 주로 접지경로에 저저항을 연결하여 확인하는 방법과 출력단의 +경로에 저저항을 연결하여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current sensing unit 75 is a part for checking the current charging current and returning this signal to the control IC 50 in order to maintain the charging current at a constant current. The control IC 50 receiving this signal sends out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DC-DC converter 40 to maintain a constant cur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rol IC 50 used, the method of checking (i.e., configuration) may be changed somewhat, but the method of checking the low resistance connected to the ground path and the low resistance connected to the + path of the output terminal are mainly detect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ircuit can be constructed using the method.

이제 도2를 참조하여 휴대폰이 충전되는 과정에서 충전기의 각 구성부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제1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직류 12V 또는 직류 24V의 전류는 전압변환부(30)로 입력된다. 전압변환부(30)는 입력된 직류 12V(혹은 24V)의 전류를 직류 5V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압변환부(30)로부터 출력된 직류 5V의 전류는 DC-DC 변환부(40)로 입력한다. 제2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직류 5V의 전류는 곧바로 DC-DC 변환부(40)로 입력된다. DC-DC 변환부(40)에서는 입력된 5V의 전류를 실제 휴대폰에 충전되는 충전전압(보통 4.2V로 인가된다)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DC-DC 변환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실제로 휴대폰을 충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그 출력값이 정해진 충전전압과 충전전류를 엄격하게 유지하도록 DC-DC 변환부(40)의 동작이 제어되어야 한다.Now, 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harger in the process of charging the mobile phone. Referring to FIG. 2, a current of DC 12V or DC 24V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20 is input to the voltage converter 30. The voltage conversion unit 30 converts the input DC 12V (or 24V) current into DC 5V and outputs the same. The current of DC 5V output from the voltage converter 30 is input to the DC-DC converter 40. The current of DC 5V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20 is directly input to the DC-DC converter 40. The DC-DC converter 40 converts the input 5V current into a charging voltage (usually applied at 4.2V) that is actually charged in the mobile phone and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Since the current output from the DC-DC converter 40 actually charges the mobile phone, the operation of the DC-DC converter 40 should be controlled so that its output value strictly maintains the specified charging voltage and charging current.

DC-DC 변환부(40)에 대한 제어는 제어IC(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어IC(50)는 DC-DC 변환부(40)의 구성품인 트랜지스터 또는 FET를 제어한다. DC-DC 변환부(40)로부터 출력된 값은 정류부(60)로 입력된다. 정류부(60)는 정류 작용 및 DC-DC 변환부(40)의 출력단으로의 역전류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정류부(60)로부터 출력된 값은 출력부(80)로 입력되어 휴대폰(90)에 충전 전압/전류를 인가한다. 이때, 전압검출부(70)는 정류부(60)의 출력값으로부터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원하는 충전전압을 유지시킨다. 전압검출부(70)는 충전전압을 사용하는 제어IC(50)로 출력한다. 전류감지부(75)는 출력부(80)의 출력값으로부터 충전전류를 확인한다. 전류감지부(75)는 그 값을 다시 제어IC(50)로 출력한다.Control of the DC-DC converter 40 is performed by the control IC 50. The control IC 50 controls the transistor or FE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DC-DC converter 40. The value output from the DC-DC converter 40 is input to the rectifier 60. The rectifier 60 serves to prevent rectification and reverse curren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40. The value output from the rectifier 60 is input to the output unit 80 to apply a charging voltage / current to the mobile phone (90). At this time, the voltage detector 70 detects the charging voltage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rectifier 60 to maintain the desired charging voltage. The voltage detector 70 outputs the control IC 50 using the charging voltage. The current sensing unit 75 checks the charging current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output unit 80. The current sensing unit 75 outputs the value to the control IC 50 again.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가정 등에는 AC 어댑터(7)를, 차량에는 휴즈만 내장된 CLA(6)를, 사무실 등에서는 USB 케이블(7)을 비치해 두고 충전기만 소지하고 다니면서 휴대폰(90)의 충전지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C adapter 7 in the home, the CLA 6 built in the fuse only in the vehicle, the USB cable 7 in the office, etc., carry only the charger and carry the mobile phone 90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be conveniently charged.

상기 실시예에서는 충전기를 휴대폰을 충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다른 전자제품(예를 들면, PDA)을 충전할 경우에도 응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harger has been described as charging the mobile 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harging other electronic products (eg, PDAs).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충전기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벨트클립형 또는 열쇠고리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harger may be manufactured in a belt clip type or key ring type so as to be easily carried.

본 고안의 구성을 따르는 휴대폰 충전기를 사용하면, 다양한 전원에 대한 충전이 가능하므로 장소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각 전원에 대한 제어부가 통합된 하나의 충전회로로 구성되므로 보다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다.Using a mobile phone charg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a variety of power sources can be charged anywhere.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unit for each power source is composed of one charging circuit integrated, it can be made more compact and easy to carry.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lso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일반 교류전원에 연결된 AC 어댑터 또는 차량의 전원에 연결되어 직류전압이 공급되는 제1 입력부와,A first input unit connected to an AC adapter connected to a general AC power source or a vehicle power supply to supply a DC voltage;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도록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입력부와,A second input to which a USB cable is connected to receive a DC voltage from a USB port of the computer;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압을 제2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과 실질적으로 같은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압변환부와,A voltage converter converting the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first input unit into a voltage substantially equal to the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second input unit, and outputting the same; 상기 전압변환부와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압을 충전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DC-DC 변환부를 구비하는 충전기.And a DC-DC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 converter and the second input into a charging voltage and output the charged vol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DC-DC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충전기.The charger of claim 1, wherein the charger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C-DC conver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압을 검출하며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전압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충전기.The charger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voltag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the charging voltage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류를 검출하며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전류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충전기.The charger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urren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charging current and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l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며, 상기 DC-DC 변환부의 출력단으로의 역전류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정류부를 더 구비하는 충전기.The rectif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 rectifier configured to rectif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C-DC converter and to prevent a reverse curren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charger.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USB 연결 리셉터클과, 직류전원 연결 리셉터클과,A USB connection receptac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DC power connection receptacle, 휴대폰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장착된 충전회로와,A charging circuit equipped with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obile phone, 상기 충전회로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Including a housing surrounding the charging circuit, 상기 USB 연결 리셉터클과, 직류전원 연결 리셉터클과 휴대폰 연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된 충전기.And the USB connection receptacle, the DC power connection receptacle, and the mobile phone connection connector are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KR20-2002-0028592U 2002-09-24 2002-09-24 Charger for mobile phone KR2002995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92U KR200299541Y1 (en) 2002-09-24 2002-09-24 Charger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92U KR200299541Y1 (en) 2002-09-24 2002-09-24 Charger for mobile 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358A Division KR20040025400A (en) 2002-09-19 2002-09-19 Charger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541Y1 true KR200299541Y1 (en) 2003-01-03

Family

ID=4939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592U KR200299541Y1 (en) 2002-09-24 2002-09-24 Charger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54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773A (en)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Charger of mobile phone
KR100456448B1 (en) * 2002-06-12 2004-11-09 김금수 Built-in charge circuit to battery pack of portab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448B1 (en) * 2002-06-12 2004-11-09 김금수 Built-in charge circuit to battery pack of portable phone
KR20040044773A (en)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Charger of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7055B1 (en) Hub that can supply power actively
US7893558B2 (en) On-vehicle power supply device
KR101870769B1 (en) Hub having complex power converters
EP3506450B1 (en) Mobile power source
CN106654742B (en) USB concentrator supporting quick charging
US7868582B2 (en) Portable devices having multiple power interfaces
US9490648B2 (en) Alternating current direct current adapter with wireless charging
US5777462A (en) Mode configurable DC power supply
US20110241603A1 (en)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US20120258629A1 (en) Computer adapter with power outlet
US20050127870A1 (en) Portable charging apparatus having a charging battery built-in
CN106059335A (en) BUS CONTROLLER, power device, and power adapter
US20100301808A1 (en)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US20020195993A1 (en) Structure of an AC adaptor for mobile telephones
CN101150327A (en) Portable device power borrowing system and portable device
CN102299532A (en) Charging device
CN105098890B (en) Charging data line and charger
US20100084917A1 (en) Power adaptor
CN112087016A (en) Adapter
KR20040025400A (en) Charger for mobile phone
KR200299541Y1 (en) Charger for mobile phone
KR101051060B1 (en) Standard Charger / Adapter Converter
US10985605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US20150372521A1 (en) Portable Power Bank
KR101869758B1 (en) Input output integratio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