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943Y1 - Roaster - Google Patents

Roa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943Y1
KR200298943Y1 KR2020020028326U KR20020028326U KR200298943Y1 KR 200298943 Y1 KR200298943 Y1 KR 200298943Y1 KR 2020020028326 U KR2020020028326 U KR 2020020028326U KR 20020028326 U KR20020028326 U KR 20020028326U KR 200298943 Y1 KR200298943 Y1 KR 200298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er
smoke
duct
safety container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3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천
Original Assignee
김대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천 filed Critical 김대천
Priority to KR2020020028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94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943Y1/en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순환방식으로 흡입하고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어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로스터를 제공한다. 그 로스터는 상부에 일부가 식탁에 형성된 개구부에 재치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내측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받침대가 형성되며, 하부 주변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안전용기; 그 안전용기의 지지대에 재치되고,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수분, 찌꺼기 등을 수집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기름받이; 기름받이의 관통구를 통해 출입가능하고, 안전용기의 받침대에 지지되며, 하부에 숯불의 화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한 통기공이 형성되는 화덕; 안전용기의 상부에 재치되는 불판; 및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로스터의 하부 및 불판의 상부에서 흡수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고 화력유지에 필요한 공기를 화덕에 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안전용기의 측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흡배기장치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aster that can provide a pleasant atmosphere by inhaling and purifying the smoke an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in a circulating manner. The roaster is provided with a flange is mounted on the opening portion formed in the table on the upper part, the support is formed on the inside, the bottom is formed in the center, the safety vesse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around the bottom; An oil tray mounted on a support of the safety contain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for collecting oil, water, and dregs generated during cooking; The oven is accessibl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mp, supported by the base of the safety container, the oven is formed in the lower air vents for supplying and circulating the air required to maintain the fire power of charcoal; A fire plat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afety container; And smokes and odors generated during cooking are absorb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roaster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e plate to purify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o supply and circulate air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fire power to the oven. It consists of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Description

로스터{ROASTER}Roaster {ROASTER}

본 고안은 로스터(roast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순환방식으로 흡입하고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어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er (roa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ster that can provide a pleasant atmosphere by inhaling and purifying the exhaust smoke an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in a circulating manner.

일반적으로, 육류를 조리하여 섭취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이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식으로서 즉석에서 화력을 이용하여 조리 및 취식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같은 조리방식은 가정 및 음식점 모두에서 행할 수 있다.이 같은 조리 방식, 즉, 육류를 구워서 취식하는 방식에 사용되는 화력으로는 가스, 전기, 숯불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고기의 향과 맛의 우수성으로 인해 숯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a variety of methods for cooking and ingesting meat are various, and among them,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s a method of cooking and eating by using fire power on the fly. This cooking method can be performed in both homes and restaurants. Gas, electricity, charcoal, etc. are used as a fire power for cooking methods such as grilling and eating meat. Charcoal is widely used due to its excellent taste.

한편, 이와 같은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를 조리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스터가 사용된다. 그 로스터는 식탁(1)의 대체로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a)에 플랜지(2a)에 의해 재치되는 안전용기(2)와, 그 안전용기(2)의 플랜지(2a)에 재치되어 지지되는 플랜지(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구(3b)가 형성되며 조리시 주변 하부로 떨어지는 기름 등을 수집하기 위한 기름받이(3)와, 그 기름받이(3)의 관통구(3b)에 삽입되고 받침대(4a)에 의해 안전용기(2)의 내부에 지지되며 숯(4b)이 담겨진 화덕(4)과, 기름받이(3)의 플랜지 부근에 주변이 재치되는 불판(5)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cooking meat using such a charcoal roaster as shown in Figure 1 is used. The roaster includes a safety container 2 mounted by a flange 2a in an opening 1a formed generally in the center of the dining table 1, and a flange mounted and supported by a flange 2a of the safety container 2 ( 3a) is integrally formed, and a through hole 3b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inserted into the drip tray 3 for collecting oil and the like falling into the lower part of the periphery when cooking, and the through hole 3b of the drip tray 3. It is made up of the oven (4), which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4a) inside the safety container (2), the charcoal (4b) is contained, and the fire plate (5) around the flange of the drip tray (3).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취식자 또는 사용자가 고기를 불판(5)에 올려놓으면 그 고기들은 화덕(4)의 숯(4b)의 화력에 의해 익혀지거나 구워지게 되어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 고기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수분, 찌꺼기 등은 대체로 불판(5)의 주변 하부로 낙하되어 기름받이(3)에 수집되는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eater or the user puts the meat on the fire plate 5, the meat is cooked or baked by the fire power of the charcoal 4b of the oven 4 and can be eaten. In addition, at this time, oil, moisture, dregs, etc. discharged from the meat are generally dropp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fire plate 5 to be collected in the drip tray 3.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로스터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고기가 숯불에 의해 조리될 때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어 취식자 또는 사용자가 쾌적한 상태에서 취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roasters have been shown to have various problems. First, there is a problem that smoke and odor generated when the meat is cooked by charcoal is emit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eater or the user cannot eat in a comfortable state.

한편,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또는 냄새를 상부에서 제거하기 위해 식당의 천정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전개 및 수축 가능한 후두형 장치가 제안 및 사용되고있으나, 이는 고기의 수분까지 흡수할 뿐 아니라 고기를 급속하게 익혀 맛을 저하시키고 일단 설치되면 이동을 할 수 없어 설치가 제한적이며 식당 전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설치비가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move the smoke or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from the top of the restaurant has been proposed and used that can be deployed and contracted up and dow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ch not only absorbs the moisture of the meat but also rapidly absorbs the meat. Once cooked, the taste is reduced and onc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is limited and the atmosphere of the entire restaurant cannot be maintained comfortably,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excessively consumed.

또한, 최근에는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하방으로 흡수하여 배출시키는 로스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같은 방식의 로스터는 상방으로 배출되는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여전히 실내의 분위기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없으며, 또한 하방으로 흡수된 연기 또는 냄새를 완전하게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없어 외부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roaster for absorbing and discharging smoke an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has been proposed and used. However, the roaster of this type has a limitation in removing smoke and odor emitted upward and still maintains an indoor atmosphe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aintain the best, and also can not discharge the smoke or odor absorbed downward completely to the outside to adversely affect the external environment.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숯불을 이용한 육류의 조리시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여 취식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aster that can maintain a comfortable atmosphere by removing smoke and odor when cooking meat using charcoal.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불판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입체적으로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ster capable of removing smoke and odor in three dimensions at the same time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e plat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순환방식으로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숯불의 연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ster that can remove the smoke and odor by air circulation and at the same time control the burning rate of charcoa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완전히 여과 및 정화할 수 있는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ster capable of completely filtering and purifying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1은 일반적인 로스터를 보여주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ypical roast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를 보여주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안전용기 20: 기름받이10: safety container 20: oil sump

30: 화덕 40: 불판30: oven 40: fire plate

50: 흡배기장치50: intake and exhaust device

이 같은 목적들은, 식탁에 설치되고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 등을 조리하기 위한 로스터에 있어서, 상부에 일부가 식탁에 형성된 개구부에 재치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내측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받침대가 형성되고 하부 주변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안전용기; 그 안전용기의 지지대에 재치되고,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수분, 찌꺼기 등을 수집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기름받이; 기름받이의 관통구를 통해 출입가능하고, 안전용기의 받침대에 지지되며, 하부에 숯불의 화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한 통기공이 형성되는 화덕; 안전용기의 상부에 재치되는 불판; 및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로스터의 하부 및 불판의 상부에서 흡수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고 화력유지에 필요한 공기를 화덕에 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해, 안전용기의 측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흡배기장치를 포함하는 로스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se objects, in the roaster for cooking meat and the like installed on the dining table using a charcoal, the flange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dining table, the support is formed on the inside, the lower center of the pedestal Is formed and the safety vessel is form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n oil tray mounted on a support of the safety contain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for collecting oil, water, and dregs generated during cooking; The oven is accessibl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mp, supported by the base of the safety container, the oven is formed in the lower air vents for supplying and circulating the air required to maintain the fire power of charcoal; A fire plat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afety container; And an absorber provided at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safety container to absorb and purify the smoke an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roaster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e plate and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and to supply and circulate the air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thermal power to the oven. It can be achieved by a roaster that includes the devic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는 기본적으로 안전용기(10)를 구비한다. 안전용기(10)의 상부에는 일부가 식탁(T)의 대체로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T1)에 재치되는 플랜지(12)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안전용기(10)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기름받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4)가 내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안전용기(10)의 하부에는 후술되는 화덕이 일정높이로 지지될 수 있도록 받침대(16)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안전용기(10)의 하부에는 그 안전용기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 및 순환을 위해 다수의 통기공(18)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and 3, the r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provided with a safety container (10). The upper part of the safety container 10 is integrally bent and formed with a flange 12 mounted in an opening T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able T. Inside the safety container 10, a support 14 for supporting the oil sump to be described later is integrally formed toward the inside. The pedestal 16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afety container 10 so that the oven to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vent holes 18 are dri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afety container 10 for inflow and circulation of air into the safety container.

안전용기(10)의 내부에는 조리시 발생되어 떨어지는 기름, 수분, 찌꺼기 등을 수집하기 위한 기름받이(20)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름받이(20)는 안전용기(10)의 지지대(14)에 재치되며, 중앙에는 관통구(22)가 형성되고 그 관통구(22)의 주변에는 실제로 기름, 수분, 찌꺼기 등이 수집되는 수용홈(24)이 형성된다. 물론, 수용홈(24)에는 수집되는 고온의 기름, 수분 또는 찌꺼기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외부로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물이 담겨질 수 있다.The inside of the safety container 10 is provided with a drip tray 20 for collecting oil, moisture, debris, etc. generated during cooking. More specifically, the drip tray 20 is mounted on the support 14 of the safety container 10, and a through hole 22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oil, moisture, debris, etc. are actually around the through hole 22. The receiving groove 24 to be collected is formed. Of course, the receiving groove 24 may contain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cool the hot oil, moisture or debris collecte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scattering to the outside.

또한, 안전용기(10)의 내측에는 육류를 조리하기 위한 화력을 제공하는 숯이 담겨진 화덕(30)이 재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덕(30)은 기름받이(20)의 관통구(22)를 통해 출입가능하며 안전용기(10)의 받침대(16)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화덕(30)의 하부에는 그 내부에 있는 숯의 화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한 통기공(3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safety container 10 is placed in the oven 30 containing the charcoal that provides the thermal power for cooking meat. More specifically, the oven 30 is accessible through the through hole 22 of the drip tray 20 and is releasably fixed to the pedestal 16 of the safety container 10. In addition, a ventilation hole 3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ven 30 to supply and circulate air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thermal power of the charcoal therein.

물론, 화덕(30)의 상부에는 실제로 조리되는 육류 등이 놓여지는 불판(40)이 구비된다. 이 불판(4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력의 공급 및 공기의 순환을 위해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수분, 찌꺼기 등이 기름받이(20)의 수용홈(24)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upper portion of the oven 30 is provided with a fire plate 40 on which the meat and the like is actually cooked. The fire plate 4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drilled for supply of thermal power and circulation of air. In addition, the oil, water, debris, etc. generated during cooking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ward the periphery so as to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4 of the drip tray 20.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는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로스터의 하부 및 불판의 상부에서 흡수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화력유지에 필요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흡배기장치(50)를 더 포함한다. 흡배기장치(50)는 일측은 안전용기(10)의 일측부 도는 플랜지(12)에 지지되며 타측을 식탁에 지지되거나 접하는 덕트(52)를 포함한다. 덕트(52)는 실제로 안전용기 또는 식탁에 지지되거나 고정되는 암덕트부재(54)와, 그 암덕트부재(54)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며 상단에는 불판(40)을 향해 개방되어 그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흡입하기 위한 후드(56a)를 구비하는 숫덕트부재(56)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r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smoke an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oast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 plate to purify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circulating the air intake and exhaust device 50 for maintaining the thermal power It includes more. Intake and exhaust device 50 is supported on one side or the flange 12 of one side of the safety container 10 and includes a duct 52 for supporting or contacting the other side to the table. The duct 52 is actually inserted into the arm duct member 54 which is supported or fixed to the safety container or the table, and reciprocally inserted into the arm duct member 54 to adjust the height and open toward the fire plate 40 at the top. A male duct member 56 having a hood 56a for sucking smoke and odor generated therefrom.

덕트(52)의 하부, 즉, 암덕트부재(54)의 하부 내측에는 그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 또는 냄새를 여과시키기 위한 1차필터(58)가 내장된다. 1차필터(58)는 세라믹필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1차필터(58)는 교환하거나 청소할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art of the duct 52, that is, the lower inner side of the arm duct member 54 is built in the primary filter 58 for filtering the smoke or odor flowing through the duct. It is preferable that the primary filter 58 is formed of a ceramic filter. Of course, the primary filter 58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replaceable so that it can be replaced or cleaned.

또한, 덕트(52)의 종단부에는 그 덕트(52)와 연통하는 연결관(60)이 구비된다. 특히, 그 연결관(60)에는 연기 또는 냄새를 덕트(52)를 통해 흡입할뿐 아니라 1차필터(58)를 통해 여과된 연기 또는 공기를 로스터로 순환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62)가 장착된다. 액튜에이터(62)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모터로 형성되며, 특히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송풍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duct 5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pe 60 in communication with the duct 52. In particular, the connector 60 has an actuator 62 for circulating or discharging the smoke or odor through the duct 52 as well as the smoke or air filtered through the primary filter 58 to the roaster. Is mounted. The actuator 62 is formed of a blower motor operated by a power source, and in particular, preferably formed of a blower cap capable of adjusting a speed.

한편, 안전용기(10)의 하단에는 연결관(60)에 설치된 액튜에이터(62)에 의해 강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찌꺼기를 수집하여 거르기 위한 여과용기(64)가 구비된다. 여과용기(64)에는 찌꺼기를 포집하여 여과할 수 있도록 물이 충전된다. 특히, 여과용기(64)의 일측에는 1차필터(58) 및 여과 용기(64)에 의해 대체로 완전하게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64a)가 구비되며, 그 배출구(64a)에는 최종적인 여과를 위해 2차필터(6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safety container 10 is provided with a filtration container 64 for collecting and filtering the debris contained in the air forcibly sucked by the actuator 62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60). The filtration vessel 64 is filled with water to collect and filter the debris. In particular, one side of the filtration vessel 64 is provided with an outlet 64a for discharging the air substantially completely filtered by the primary filter 58 and the filtration vessel 64 to the outside, the outlet (64a)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ary filter 66 is installed for final filtration.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로스터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oas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its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예컨대, 취식자 또는 사용자가 육류를 굽거나 조리하기 위해 화덕(30)에 숯을 채우고 안전용기(10)의 받침대(16)에 고정시킨 후, 안전용기(10)의 상부에 불판(40)을 놓는다. 또한, 사용자 또는 업소 주인은 덕트(52)의 숫덕트부재(56)를 당겨 그 단부에 구비된 후드(56a)가 불판(40)의 상부의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전개시킨다. 이 상태에서 불판에 육류를 올려놓고 액튜에이터(62)를 작동시키면, 화덕(30)의 숯불의 화력에 의해 해당 육류가 구워지거나 조리되는 것이다.For example, a meal eater or a user fills the charcoal in the oven 30 in order to bake or cook the meat, and fixes the charcoal to the base 16 of the safety container 10. Then, the fire plate 4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afety container 10. Release. In addition, the user or the business owner pulls the male duct member 56 of the duct 52 and develops the hood 56a provided at the end thereof so as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ll plate 40. In this state, the meat is placed on the fire plate and the actuator 62 is operated, and the meat is baked or cooked by the fire power of the charcoal of the fire stove 30.

한편, 조리 중에 발생되는 연기 또는 냄새는 불판(40)의 상부의 위치하는 숫덕트부재(56)의 후드(56a)를 통해 유입되어 액튜에이터(62)의 흡입력 또는 송풍력에 의해 숫덕트부재(56) 및 암덕트부재(54)를 통해 강제로 흡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smoke or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is introduced through the hood 56a of the male duct member 56 located above the fire plate 40, and the male duct member 56 is driven by the suction force or the blowing force of the actuator 62. And through the arm duct member 54.

이와 같이 흡입되는 연기 및 냄새는 덕트(52)의 하부에 내장된 1차필터(58)인 세라믹필터에 의해 여과된다. 이후, 1차적으로 여과된 공기는 액튜에이터(62)의 흡입력에 의해 계속적으로 흡입되어 연결관(60)을 통해 여과용기(64)로 송풍된다. 또한, 여과용기(64)내로 송풍된 공기에 포함된 찌꺼기는 그 여과용기(64)에 충전된 물에 포집되거나 침전되어 여과된다.The smoke and odor sucked in this way are filtered by the ceramic filter, which is the primary filter 58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uct 52. Thereafter, the primary filtered air is continuously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actuator 62 and blown through the connecting pipe 60 to the filtration vessel 64. In addition, the debris contained in the air blown into the filtration vessel 64 is collected or precipitated in the water filled in the filtration vessel 64 is filtered.

또한, 여과용기(64)내로 송풍된 공기중 일부는 안전용기(10)의 하부에 형성된 통기공(18)을 통해 송풍되어 화덕(30)의 통기공(32)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어 숯불의 화력을 유지하거나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air blown into the filtration vessel 64 is blown through a vent hole 18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afety vessel 10 is supplied to the inside through the vent hole 32 of the oven 30 to the charcoal Maintain or increase firepower.

한편, 여과용기(64)에서 여과된 공기는 그 여과용기의 일측에 형성된배출구(64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64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그 배출구에 구비된 2차필터(66)에 의해 여과됨으로써, 거의 순수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iltered in the filtration vessel 6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64a)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tration vessel.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64a is filtered by the secondary filter 66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so that almost pur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선택적으로, 사용자 또는 업소주인은 액튜에이터(62)의 작동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취식자의 취식속도 또는 취향에 따라 육류를 굽거나 조리할 수 있다. 즉, 취식초기에 신속한 조리 및 대량의 취식량이 요구될 때는 액튜에이터(62)의 구동속도를 높여 화덕(3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상승시켜 화력을 증대시키는 반면, 취식후기에 또는 취향에 따라 완만한 조리를 원하는 경우에는 액튜에이터(62)의 구동속도를 완만하게 하여 화덕(3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켜 화력을 낮추는 방법으로 조리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Optionally, the user or business owner can bake or cook the meat according to the eating speed or taste of the eater by adjusting the operating speed of the actuator 62. That is, when rapid cooking and a large amount of eating is required in the early stage of ea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actuator 62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stove 30, while increasing the thermal power, Therefore, if you want to cook slowly, the drive speed of the actuator 62 is slowed down to reduc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oven (3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oking speed by lowering the fire power.

또한,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또는 냄새의 양 또는 방향에 따라 덕트(52)의 숫덕트부재(56)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즉, 발생되는 연기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숫덕트부재의 전개높이를 높이고 연기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전개높이를 낮추어 발생되는 연기를 적절하게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can be adjusted using the male duct member 56 of the duct 52 according to the amount or direction of the smoke or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In other words, if the amount of smoke generated is large, the height of deployment of the male duct member is increased, and if the amount of smoke is small, the deployment height is reduced to appropriately absorb and remove the generated smoke.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연기 또는 냄새를 흡수하여 처리함으로써 취식자는 항상 최상의 쾌적한 상태에서 조리하거나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by absorbing and treating the generated smoke or odor can be cooked or cooked in the best comfort at all times.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에 의하면, 숯불을 이용한 육류의 조리시 연기, 냄새 및 찌꺼기를 불판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입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항상 쾌적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r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smoke, odor and debris at the same tim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e plate at the same time when cooking the meat using charco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lways maintain a comfortable atmosphere.

그리고, 연기 및 냄새를 순환방식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숯불의 화력을 증대시키거나 연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ile removing smoke and odor in a circulating mann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al fire power can be increased or the combustion rate can be controlled.

또한, 여러 단계의 여과 또는 정화 단계를 거쳐 거의 완전하게 정화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되어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설치비가 저렴하여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only the air completely purified through several stages of filtration or purification ste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oes not affect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is improved.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식탁에 설치되고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 등을 조리하기 위한 로스터에 있어서,In the roaster is installed on the table to cook meat and the like using charcoal, 상부에 일부가 식탁에 형성된 개구부에 재치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내측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받침대가 형성되며, 하부 주변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안전용기;A safety container having a flange disposed on an opening formed in a part of the table on the upper side, a support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a pedestal formed on the lower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formed around the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안전용기의 지지대에 재치되고,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수분, 찌꺼기 등을 수집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기름받이;An oil tray mounted on a support of the safety contain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for collecting oil, moisture, and dregs generated during cooking; 상기 기름받이의 관통구를 통해 출입가능하고, 상기 안전용기의 받침대에 지지되며, 하부에 숯불의 화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한 통기공이 형성되는 화덕;An oven accessibl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drip tray, supported by a pedestal of the safety container, and having a ventilation hole formed therein for supplying and circulating air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fire power of the charcoal; 상기 안전용기의 상부에 재치되는 불판; 및A fire plat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afety container; And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로스터의 하부 및 불판의 상부에서 흡수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고 화력유지에 필요한 공기를 화덕에 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안전용기의 측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흡배기장치를 포함하는 로스터.Smoke an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are absorb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roaster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e plate to purify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o supply and circulate the air required to maintain the fire to the oven, the intake and exhaust in the 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safety vessel Roaster containing th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장치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ake and exhaust device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흡입하기 위한 덕트;Ducts for sucking smoke an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상기 연기 및 냄새를 여과 및 정화하기 위해 덕트에 내장되는 1차필터;A primary filter embedded in the duct to filter and purify the smoke and odor; 상기 덕트에 연통하는 연결관과;A connecting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uct;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덕트로 유입되는 연기 및 냄새를 흡입 및 송풍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 및An actuator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ipe to suck and blow smoke and odor flowing into the duct; And 상기 연결관에 연통하고 상기 안전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여과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And a filtration vessel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ipe and installed under the safety vessel, the filtration vessel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to the outsi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안전용기 또는 식탁에 지지되거나 고정되는 암덕트부재와, 상기 암덕트부재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며 상단에 불판을 향해 개방되어 그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흡입하기 위한 후드를 구비하는 숫덕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According to claim 2, The duct is an arm duct member that is supported or fixed to the safety vessel or the table, the duct is inserted into the arm duct reciprocating to adjust the height and open toward the fire plate at the top and the smoke generated therefrom and And a male duct member having a hood for sucking odors.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필터는 상기 암덕트부재의 하부에 내장되며 세라믹필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The roaster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primary filter is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duct member and formed of a ceramic filter. 제 2항에 있어서, 액튜에이터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구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는 송풍모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3. The roast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ctuator is formed of a blower motor which is driven by a power source and whose drive speed is adjustable. 제 2항에 있어서, 여과용기에는 찌꺼기를 포집하여 여과할 수 있도록 물이충전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공기의 최종적인 여과를 위해 2차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The roast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ltration vessel is filled with water to collect and filter the debris, and the outlet is provided with a secondary filter for final filtration of the exhaust air.
KR2020020028326U 2002-09-19 2002-09-19 Roaster KR2002989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26U KR200298943Y1 (en) 2002-09-19 2002-09-19 Roa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26U KR200298943Y1 (en) 2002-09-19 2002-09-19 Roa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943Y1 true KR200298943Y1 (en) 2002-12-31

Family

ID=7312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326U KR200298943Y1 (en) 2002-09-19 2002-09-19 Roa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943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11B1 (en) 2004-12-20 2006-06-08 강법식 Apparatus for roasting meat
KR100796321B1 (en) 2006-11-07 2008-01-21 임재호 Roast device
KR100808533B1 (en) 2005-07-12 2008-02-29 전봉진 Standing type roaster equipped with elimination means for smoke discharged from doors
KR101314265B1 (en) 2013-05-16 2013-10-02 최은성 Air cleaning apparatus for roaster
CN113693454A (en) * 2018-12-20 2021-11-26 宣城市博思特日用品有限公司 Safe and environment-friendly barbecue oven and use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11B1 (en) 2004-12-20 2006-06-08 강법식 Apparatus for roasting meat
KR100808533B1 (en) 2005-07-12 2008-02-29 전봉진 Standing type roaster equipped with elimination means for smoke discharged from doors
KR100796321B1 (en) 2006-11-07 2008-01-21 임재호 Roast device
KR101314265B1 (en) 2013-05-16 2013-10-02 최은성 Air cleaning apparatus for roaster
CN113693454A (en) * 2018-12-20 2021-11-26 宣城市博思特日用品有限公司 Safe and environment-friendly barbecue oven and use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8943Y1 (en) Roaster
JP2869455B2 (en) Smokeless cooker
JP2002228222A (en) Range hood
JP3683098B2 (en) Cooker
KR200232925Y1 (en) Roster which use multi-air purification
JP3805328B2 (en) Roaster with smoke removal function
KR200192544Y1 (en) A round shape grill roaster to use gas and charcoal fire combined that the duct and hood going up and down
KR102602481B1 (en) Roaster of multi fan structure
KR100464922B1 (en) electricity roast meat machine
KR200214878Y1 (en) An air circulation type of roaster
KR20190000845U (en) Charcoal roaster with filter
KR200280341Y1 (en) roaster with smoke removal device
KR100204105B1 (en) Meat roast equipment
KR200213347Y1 (en) Charcoal Roasting Device
KR20050020797A (en) Range Hood
KR200153341Y1 (en) Grill also serving as hood for a microwave oven
JP2002095593A (en) Non-duct roaster
CN214619734U (en) Fume-free and odor-free cooker
KR200166298Y1 (en) Roaster of compact
KR102333957B1 (en) Smokeless roaster
JP2002177150A (en) Heating cooker
KR20230116236A (en) It's a grill that can absorb smoke and grill meat.
KR200220119Y1 (en) Smoke exhaust equipment of roast meat type brazier
KR20110087008A (en) Cooking device for roast and casserole
KR200296341Y1 (en) Smoke exhausting apparatus having convenience of smoke exhausing and wa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