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01Y1 -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01Y1
KR200298201Y1 KR2020020026818U KR20020026818U KR200298201Y1 KR 200298201 Y1 KR200298201 Y1 KR 200298201Y1 KR 2020020026818 U KR2020020026818 U KR 2020020026818U KR 20020026818 U KR20020026818 U KR 20020026818U KR 200298201 Y1 KR200298201 Y1 KR 200298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microscope
reflector
sig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택
Original Assignee
(주)동원 EnC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 EnC filed Critical (주)동원 EnC
Priority to KR2020020026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01Y1/ko

Links

Landscapes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현미경의 하우징에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본체가 내장되어 외관 형상이 소형화된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관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하부에 내장되며 하우징(101)이 접하는 지면에 수평하게 빛을 주사하는 광원부(110)와, 주사된 빛의 광축(171)을 상부로 직각되게 변경하는 제 1반사체와, 변경된 광축(172) 선상에 위치하며 시편이 놓여지는 시편 받침대(130)와, 시편 받침대(130)의 상부에 놓여지며 관찰대상의 영상을 광축(172) 선상에서 확대하는 대물렌즈와, 변경된 광축(172)을 지면에 수평하게 다시 직각으로 변경하는 제 2반사체와, 제 2반사체에서 변경된 광축(173)을 수평으로 직각되게 또 다시 변경하는 제 3반사체 및, 제 3반사체에 의해 변경된 광축(174)을 따라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외부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시그널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10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A microscope with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고안은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현미경의 하우징에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본체가 내장되어 외관 형상이 소형화된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현미경은 과학분야에서 연구와 학습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험기구로서, 인체의 눈으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대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이런 현미경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관찰자가 현미경의 렌즈에 직접 접촉해야 때문에, 관찰자의 눈이 쉽게 피로하거나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어려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장치를 통상의 현미경에 설치하여, 관찰대상을 촬영하거나 그 영상을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런 디지털 영상수단이 설치된 현미경에 관한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1999-0010158호에 공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현미경에 디지털 영상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수단이 설치된 현미경은 현미경의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20)를 구비하고, 이런 받침대(20)에는 광원램프(10)가 내장되거나 부착된다. 광원램프(10)는 관찰대상이 용이하게 관찰되도록 빛을 제공하여 관찰대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광원램프(10)에서 주사되는 광축이 관찰대상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현미경은 관찰대상이 놓여진 시편을 받쳐주는 시편 받침대(30)와, 관찰대상의 영상을 직접 확대하는 대물렌즈(40)를 구비한다. 대물렌즈(40)에는 확대배율이 다른 다수개의 렌즈가 각각 설치된 회전식 대물렌즈가 이용되고, 이런 회전식 대물렌즈에서 각각의 렌즈는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는 경우에 광원램프(10)에서 주사된 광축의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현미경의 상부에 위치한 몸체(50)에는 회전식 대물렌즈(40)를 고정하며 회전시키는 회전판(41)이 부착되고, 몸체(50)에서 상부로 굴곡지게 연장된 측면에는 관찰자의 눈이 직접 접촉하는 접안렌즈(60)가 결합된다. 이렇게 접안렌즈(60)는 대물렌즈(40)의 중심축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현미경의 몸체(50)에는 대물렌즈(40)에서 확대된 관찰대상의 영상이 접안렌즈(60)에 전달되도록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도시 생략)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대물렌즈(40)의 중심축이 지나는 몸체(50)의 상부면에는 경통(5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런 경통(51)에는 디지털 카메라(70)가 어댑터(71)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현미경은 다음과 같은 원리에 의해 작동된다. 먼저, 시편 받침대(30)에 시편을 올려 놓고 광원램프(1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시편 받침대(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시편에 놓여진 관찰대상에 대한 대물렌즈(40)의 초점을 조정한다. 그러면, 대물렌즈(40)에서는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여 프리즘을 통해 그 영상을 접안렌즈(60)에 보내주고, 관찰자는 그 영상을 직접 관찰하게 된다.
또한, 관찰자는 회전판(41)을 회전시켜 관찰대상의 영상에 대한 대물렌즈(40)의 확대배율을 저배율의 렌즈에서 고배율의 렌즈로 조정하면서 관찰한다.
또한, 관찰자가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찰대상의 영상이 대물렌즈(40)에서 디지털 카메라(70)로 보내져 그 영상이 촬영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현미경은 광원램프(10)에서 제공하는 광축선상에 광원램프(10), 시편 받침대(30), 대물렌즈(40) 및 디지털 카메라(70)가 위치하기 때문에, 현미경의 부피가 커지고 그 높이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현미경의 무게 중심이 높아져, 고가인 현미경이 쓰러져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미경 사용자는 부피가 큰 현미경을 운반하는 경우에 별도의 큰 케이스에 넣거나, 양 손으로 잡고 조심해서 걸어야 하기 때문에, 현미경을 운반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현미경의 하우징에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본체가 내장되어 외관 형상이 정형화되며 종래기술의 현미경에 비해 그 형상이 소형화되는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현미경에 디지털 영상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의 하우징에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의 본체가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미경 본체의 각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일부를 투영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현미경 본체를 일부 투영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현미경 본체를 일부 투영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광원램프와 램프소켓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4에 도시된 광축을 조정하기 위해 오토콜리메터를 현미경 본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일부 절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하우징 105 : 현미경 본체
110 : 광원부 130 : 시편 받침대
140 : 대물렌즈부 150 : 제 2반사미러
151 : 제 1경통 152 : 제 3반사미러
160 : CCD 카메라 163 : 시그널 분배기
171 ~ 174 : 광축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관형상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되며 상기 하우징이 접하는 지면에 수평하게 빛을 주사하는 광원부와, 주사된 상기 빛의 광축을 상부로 직각되게 변경하는 제 1반사체와, 변경된 상기 광축 선상에 위치하며 시편이 놓여지는 시편 받침대와, 상기 시편 받침대의 상부에 놓여지며 관찰대상의 영상을 상기 광축 선상에서 확대하는 대물렌즈와, 변경된 상기 광축을 상기 지면에 수평하게 다시 직각으로 변경하는 제 2반사체와, 상기 제 2반사체에서 변경된 광축을 상기 지면에 수평으로 직각되게 또 다시 변경하는 제 3반사체 및, 상기 제 3반사체에서 변경된 광축에 의해 전달된 상기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외부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시그널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영상수단은 상기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시그널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와, 상기 시그널을 편집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보드와, 상기 편집된 시그널을 외부의 컴퓨터에 보내주는 USB 단자와, 상기 CCD 카메라에서 변환된 시그널을 외부의 고해상 모니터와 TV에 각각 보내주는 S단자 및 TV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빛을 주사하는 광원램프와, 상기 광원램프에 결합하는 램프소켓와, 상기 램프소켓의 위치를 연동 조정하는 볼플런저와, 상기 볼플런저의 끝단부가 중공형 내주면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램프마운트 및, 상기 볼플런저의 헤드부가 접촉하며 상기 램프마운트의 내주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램프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반사체와 상기 제 3반사체의 사이에는 경통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경통의 측면에는 광축조정판의 일면이 제 1조정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광축조정판의 일면으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된 타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본체에 제 2조정나사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제 1, 제 2조정나사가 관통하는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에는 상기 제 1, 제 2조정나사의 축직경보다 큰 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의 하우징에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의 본체가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미경 본체의 각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일부를 투영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현미경 본체를 일부 투영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현미경 본체를 일부 투영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광원램프와 램프소켓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100)은 현미경의 하우징(101)에 현미경의 본체(105)가 내장되어 있다. 특히, 현미경의 본체(105)는 빛을 주사하는 광원부(110)와, 시편이 놓여지는 시편 받침대(130)와, 관찰대상을 확대하는 대물렌즈부(140) 및, 확대된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을 구비하며, 상기의 구성요소들 사이에는 주사되는 빛의 광축을 변경하는 반사미러가 설치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100)은 종래기술의 현미경에 비해 그 형상이 소형화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하우징(101)에는 전원스위치(103)가 부착되고, 이 전원스위치(103)를 조작함으로써 현미경 본체(105)의 광원램프(111)가 작동된다. 광원램프(111)는 한 예로서, 필라멘트(filament)전구가 사용되고 빛을 주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광원램프(111)에서는 빛이 방사형으로 주사되는데, 이런 빛은 하나의 광축(171)으로 모아져 제 1반사미러(121)에 도달한다. 그리고, 상기의 광축(171)은 미세하게 조금씩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광원램프(111)를 포함한 광원부(1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도 3참조).
광원램프(111)는 램프소켓(112)에 끼워져 램프보호구(115)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런 램프보호구(115)는 광원램프(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일면에 원형 구멍이 형성되고, 그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광원램프(111)가 삽입된구멍에 마주하는 램프보호구(115)의 타면에는 광원램프(111)에서 주사된 빛이 전방으로 진행하도록 다른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램프보호구(115)의 타면에 부착된 집광렌즈(118)는 주사된 빛을 하나의 광축(171)으로 모아준다(도 6a 및 도 6b 참조).
그리고, 램프보호구(115)의 일면에는 중공형으로 된 램프마운트(117)가 부착되고, 램프마운트(117)의 내부에 램프조정기(113)가 끼워져 접촉한다. 또한, 램프마운트(117)의 내부 원주면에는 볼플런저(116, ball plunger)의 끝단부가 약간 돌출되어 있는데, 이런 볼플런저(116)는 접촉하고 있는 램프조정기(113)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램프소켓(112)의 위치를 조정한다. 즉, 관찰자는 램프조정기(113)를 회전시켜 볼플런저(116)에 연동하는 램프소켓(112)의 위치를 조정하여 광원램프(111)의 광축(171)을 미세하게 조정한다. 그리고, 볼플런저(116)는 하우징(101)의 외부로 노출된 램프조정기(113)가 본체(10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광원부(110)는 집광렌즈(118), 광원램프(111), 램프소켓(112) 및, 램프조정기(113)가 일직선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본 고안이 놓여지는 지면에 수평하게 현미경의 본체(105)에 결합된다. 따라서, 광원부(110)의 광축(171)은 지면에 수평하게 진행하여, 지면에 대한 광원부(110)의 높이는 종래기술의 현미경에 비해 낮아진다.
그리고, 상기의 광축(171)은 제 1반사미러(121)에서 광축이 지나는 경로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되어 콘덴서 렌즈(122)에 전달된다. 이런 콘덴서 렌즈(122)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시편 받침대(130)가 광축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시편 받침대(130)는 현미경의 본체(105)에 부착되어 있는 초점조절 레버(lever)에 결합되고, 이런 초점조절 레버는 래크와 피니언 방식으로 시편 받침대(130)를 움직여서 시편에 놓여진 관찰대상이 대물렌즈부(140)의 초점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제 1초점 레버(131)는 시편 받침대(130)를 X방향으로, 제 2초점 레버(132)는 Y방향으로, 제 3초점 레버(133)는 Z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런 초점조절 레버(131, 132, 133)는 관찰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하우징(101)의 정면에 노출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시편 받침대(130)의 상부에는 관찰대상이 놓여진 시편이 올려진다(도 3참조).
그리고, 제 1반사미러(121)에서 변경된 광축(172)선상에 위치한 대물렌즈부(140)는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여 제 2반사미러(150)에 전달한다. 이런 대물렌즈부(140)는 본체(105)의 상부 프레임(106)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대물렌즈부(140)는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는 렌즈부와, 이런 렌즈부를 고정하며 상부 프레임(106)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관찰자가 대물렌즈부(140)를 직접 밀고 당길 수 있도록 고정편에 고정된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편이 상부 프레임(106)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직육면체로 된 고정편의 측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에는 고정편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그 내측면에 돌기가 융기되어 고정편의 홈과 결합홈의 돌기가 맞물린다(도시 생략). 그리고, 관찰자가 대물렌즈부(140)를 교체한 다음에는 하우징(101)에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102)를 닫는다. 슬라이딩 도어(102)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대물렌즈부(140)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101)의 정면에 형성된 1쌍의 안내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2반사미러(150)에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은 그 광축(172)이 다시 직각으로 변경되어 제 3반사미러(152)에 전달된다. 제 2반사미러(150)에서 변경된 광축(173)은 지면에 수평하게 변경되어 진행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제 2반사미러(150)는 광축(172)의 진행방향에 대해 45°기울어져 그 광축(172)이 다시 변경되도록 제 1경통(151)에 결합된다. 제 1경통(151)은 사각 중공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대물렌즈부(1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상부 프레임(106)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1경통(151)을 지나 제 3반사미러(152)에 전달된 영상은 그 광축(173)의 진행방향이 지면에 수평하면서도 직각되게 변경된다. 이를 위해, 직사각형의 제 3반사미러(152)는 제 1경통(151)을 지나는 광축(173)에 45°기울어져 결합된다. 그리고,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은 광축의 진행방향을 따라 제 3반사미러(152)에서 디지털 영상수단인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160)로 전달되어 촬상된다. 또한, 제 3반사미러(152)에서 변경된 광축(174)의 둘레에는 제 2경통(153)이 상부 프레임(106)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대물렌즈부(140)에서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은 그 광축(171, 173, 174)들의 진행방향이 지면에 수평하게 진행하면서 변경되기 때문에,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현미경에 비해 대물렌즈부(140)에서 디지털 영상수단까지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현미경과 달리 광축을 변경하여 안정되고 정형화된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되고,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D 카메라(160)는 연결선(161)을 이용해 상부 프레임(106)에 결합된 USB(Universal Serial Bus) 보드(162)와, 본체(105)의 하부에 결합된 시그널 분배기(163)에 결합된다. USB 보드(162)는 CCD 카메라(160)에 촬상된 화면의 시그널을 편집하여 시그널 분배기(163)의 USB 단자(164)에 보내준다. 이러한 CCD 카메라(160)와 USB 보드(162) 같은 디지털 영상수단은 현미경의 본체(105)에 내장되고, 시그널 분배기(163)의 출력단자가 하우징(101)에 노출된다. 이런 시그널 분배기(163)의 출력단자에는 컴퓨터를 위한 USB 단자(164), TV를 위한 TV단자(165), 고해상 모니터를 위한 S단자(16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1)의 하부에는 전원스위치(103)의 조작에 의해 광원램프(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67)가 설치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167)는 연결선을 통해 디지털 영상수단에서 필요한 전원도 공급한다.
도 7a는 도 4에 도시된 광축을 조정하기 위해 오토콜리메터를 현미경 본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일부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반사미러(152)에서 그 진행방향이 변경된 광축(174)은 미세하게 조정되는데, 이를 위해 제 1경통(151)에는 광축조정판이 부착된다. 이런 광축조정판은 제 1경통(151)의 측면에 그 일면(157)이 제 1조정나사(154)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 프레임(106)에 일면(157)으로부터 굴곡지게연장된 타면(158)이 제 2조정나사(155)에 의해 결합된다. 광축조정판의 일면(157)과 타면(158)에는 제 1, 제 2조정나사(154, 155)가 관통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런 구멍은 제 1, 제 2조정나사(154, 155)의 직경보다 크지만 그 헤드보다는 작기 때문에, 제 1경통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여서 광축(174)이 조정된다.
이런 광축(174)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조정된다. 먼저, 광축(174)을 변경하기 위해 오토콜리메터(300)를 사용한다. 오토콜리메터(300)는 영점 조정을 하는데 사용하는 기구로서, 여기에서는 현미경의 하우징(101)를 분리한 본체(105)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본체(105)로부터 CCD 카메라(160)를 제거한 후에, 오토콜리메터(300)를 제 2경통(153)에 부착하고, 본체(105)의 정면에는 V블럭(304)의 위에 수평조정기(305)를 설치하여 수평을 조절한다. 그런 다음에는 램프(301)로부터 빛을 주사한 후에 반사미러로부터 되돌아오는 빛을 관찰구(302)를 통해 관찰한다. 관찰구(302)에서 빛은 영점 위치로부터 치우치는데, 이런 경우에는 제 1, 제 2조정나사(154, 155)를 각각 풀어 제 1경통(151)을 상하 또는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여서 제 1경통(151)에 결합된 제 3반사미러(152)의 반사각을 변경해 영점을 조정한다. 그런 다음에는 다시 제 1, 제 2조정나사(154, 155)를 조여서 제 1경통(151)를 고정한다.
아래에서는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의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시편 받침대(130)의 상면에 관찰대상이 놓여진 시편을 올려 놓는다. 그런 다음에는 전원스위치(103)를 조작하여 광원램프(111)를 작동시킨다. 작동된광원램프(111)에서는 빛이 주사되고, 집광렌즈(118)에서는 빛이 광축(171)을 이루며 진행하게 된다. 이런 광축(171)은 제 1반사미러(121)에서 지면에 수직하게 그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콘덴서 렌즈(122)에 도달한다. 이렇게 전달된 빛은 관찰대상을 밝히게 되고, 이런 변경된 광축(172)의 진행방향을 따라 관찰대상의 영상이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대물렌즈부(140)에서는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여 제 2반사미러(150)에 전달한다. 제 2반사미러(150)에서 광축(172)은 직각되게 변경되어 지면에 수평하게 제 3반사미러(152)로 진행하고, 제 3반사미러(152)에서 그 광축(173)은 다시 직각되게 변경되어 지면에 수평하게 CCD 카메라(160)로 전달된다. 이렇게 광축(172, 173, 174)들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은 CCD 카메라(160)에 촬상되어 시그널로 변환된다.
이런 시그널은 USB 보드(162)에서 편집되어 시그널 분배기(163)의 USB 단자(164)를 통해 컴퓨터로 보내지고, 시그널 분배기(163)의 TV단자(165), S단자(166)를 통해 각각 TV 또는 외부 모니터에 전달되어 관찰대상의 영상이 보여진다. 그리고, 관찰대상의 영상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CCD 카메라(160)에서 그 화면을 촬영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관찰대상에 대한 대물렌즈(140)의 초점이 불일치하여 그 영상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에는 초점조절 레버(131, 132, 133)를 조작하여 시편 받침대(130)의 위치를 조정한다.
또한, 관찰대상과 광축(172)이 불일치하여 그 영상이 뚜렷하지 않는 경우에는 램프 조정기(113)를 회전시켜 광원램프(111)로부터 주사되는 광축(171)을 조정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은 USB 보드와 CCD 카메라를 하우징에 내장하고, 현미경의 구성요소를 광원램프에서 주사되는 광축의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그 광축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현미경에 비해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광축의 진행방향이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변경되기 때문에, 안정된 직사각형의 소형화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운반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광원램프에서 주사되는 광축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선명한 관찰대상의 영상을 보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외관형상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되며 상기 하우징이 접하는 지면에 수평하게 빛을 주사하는 광원부와, 주사된 상기 빛의 광축을 상부로 직각되게 변경하는 제 1반사체와, 변경된 상기 광축 선상에 위치하며 시편이 놓여지는 시편 받침대와, 상기 시편 받침대의 상부에 놓여지며 관찰대상의 영상을 상기 광축 선상에서 확대하는 대물렌즈와, 변경된 상기 광축을 상기 지면에 수평하게 다시 직각으로 변경하는 제 2반사체와, 상기 제 2반사체에서 변경된 광축을 상기 지면에 수평으로 직각되게 또 다시 변경하는 제 3반사체 및, 상기 제 3반사체에서 변경된 광축에 의해 전달된 상기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외부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시그널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수단은 상기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시그널로 변환하는 CCD 카메라와, 상기 시그널을 편집하는 USB 보드와, 상기 편집된 시그널을 외부의 컴퓨터에 보내주는 USB 단자와, 상기 CCD 카메라에서 변환된 시그널을 외부의 고해상 모니터와 TV에 각각 보내주는 S단자 및 TV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빛을 주사하는 광원램프와, 상기 광원램프에 결합하는 램프소켓와, 상기 램프소켓의 위치를 연동 조정하는 볼플런저와, 상기 볼플런저의 끝단부가 중공형 내주면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램프마운트및, 상기 볼플런저의 끝단부가 접촉하며 상기 램프마운트의 내주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램프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반사체와 상기 제 3반사체의 사이에는 경통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경통의 측면에는 광축조정판의 일면이 제 1조정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광축조정판의 일면으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된 타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본체에 제 2조정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 제 2조정나사가 관통하는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에는 상기 제 1, 제 2조정나사의 직경보다 크지만 그 헤드보다 작은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경통이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KR2020020026818U 2002-09-07 2002-09-07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KR200298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18U KR200298201Y1 (ko) 2002-09-07 2002-09-07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18U KR200298201Y1 (ko) 2002-09-07 2002-09-07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01Y1 true KR200298201Y1 (ko) 2002-12-16

Family

ID=7307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818U KR200298201Y1 (ko) 2002-09-07 2002-09-07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2885B2 (ja) カメラホルダと光学系アダプタとを備えたカメラアダプタ
EP1865373A1 (en) Magnifying attachment
JP2008152251A5 (ko)
JP7413251B2 (ja) 顕微鏡用の光学アダプタおよび光学画像の方向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
JP2003172865A (ja)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KR100744604B1 (ko) 카메라 모듈 초점 조절장치 및 초점 조절방법
KR200298201Y1 (ko)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US6924932B2 (en) Binocular device
KR200298202Y1 (ko)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JP3558310B2 (ja) 撮像装置
JPH01502137A (ja) 視準装置
JP4300601B2 (ja) 双眼顕微鏡と双眼顕微鏡による撮像方法
JPH11298782A (ja) デンタルビデオマイクロスコープ
CN219417980U (zh) 一种提供快门3d图像的相机
JP2004040177A (ja) 資料提示装置
KR200321785Y1 (ko) 실체 영상 현미경
KR100252679B1 (ko) 회전가능한촬영부를갖는카메라
JP3884558B2 (ja) 超小型近接撮影装置を用いた周面立体観察装置
JP2006072187A (ja) 照準器調節具、調節具付照準器及び照準器付望遠撮像装置
KR0134544Y1 (ko)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JP4181368B2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H1123983A (ja) 内視鏡のテレビカメラ装置及びその合焦方法
KR200474825Y1 (ko)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
JPH0660973B2 (ja) 内視鏡用撮像装置
JPH10229515A (ja) 書画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